KR2021005823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36A
KR20210058236A KR1020190145459A KR20190145459A KR20210058236A KR 20210058236 A KR20210058236 A KR 20210058236A KR 1020190145459 A KR1020190145459 A KR 1020190145459A KR 20190145459 A KR20190145459 A KR 20190145459A KR 20210058236 A KR20210058236 A KR 20210058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opening device
door open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오승진
양창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236A/ko
Priority to CN202011256785.0A priority patent/CN112797711A/zh
Priority to US17/097,634 priority patent/US11768028B2/en
Priority to AU2020267293A priority patent/AU2020267293B2/en
Priority to EP23219422.5A priority patent/EP4336132A3/en
Priority to EP20207413.4A priority patent/EP3822563B1/en
Publication of KR20210058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36A/ko
Priority to AU2023200070A priority patent/AU2023200070A1/en
Priority to US18/233,963 priority patent/US202303840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3Motors
    • E05Y2201/434Electromotors;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2Doors that can be pivoted either left-handed or right-handed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121)을 갖는 캐비넷(100)의 하부 중심에 도어개방장치(90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조립체(130)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상기 캐비넷(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처럼 도어개방장치(900)는 도어가 아니라 캐비넷(100) 쪽에 설치되고, 특히 캐비넷(100)의 하부 중심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힌지를 캐비넷(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쪽에 설치하더라도 도어개방장치(900)가 도어를 개방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조작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도어에는 닫힌 상태에서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켓이 구비되며, 가스켓과 캐비닛의 밀착력이 강할수록 냉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가스켓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가스켓의 내부에 자석이 구비되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가스켓이 스틸소재의 캐비닛에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자석을 사용하여 가스켓을 밀착시키게 되는 경우, 자력으로 인해 자력의 크기만큼 도어를 열기 위한 힘이 더 필요하게 되어서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내가 음압(negative pressure)이 될 경우에는 도어가 더욱 잘 열리지 않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빌트인 형태의 냉장고도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빌트인 냉장고는 최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아일랜드 주방(Kitchen Island)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아일랜드 타입의 주방가구는 싱크대와 독립된 작업대이므로 편의성은 높지만, 전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냉장고의 도어를 파지하고 이를 열기 위한 작업이 더욱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0030호에는 냉장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구비되고 도어 핸들에는 조작부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 조작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도어 개방장치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를 밀어서 개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냉장고의 도어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힌지를 왼쪽이나 오른쪽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는데, 종래의 도어 개방장치는 힌지와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의 힌지 위치를 바꾸고자 한다면 도어 개방장치의 설치위치도 바꾸어야 한다. 따라서 도어를 공용화하지 못하여 냉장고의 제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 개방장치를 도어 쪽에 설치하게 되면, 도어 개방장치의 좌우폭 이상으로 도어의 두께가 결정될 뿐 아니라, 도어 개방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조 및 와이어 하네스 등이 도어 쪽에 추가되어야 하므로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도어 개방장치로 인해 슬림한 냉장고 도어를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반대로 캐비넷 쪽에 도어 개방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도어 개방장치의 상하높이만큼 캐비넷의 높이가 더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냉장고의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어 개방장치를 도어 쪽에 설치하게 되면 캐비넷으로부터 멀기 때문에 제어모듈(회로기판)도 도어 쪽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되면 도어의 구조가 더욱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하면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 도어를 밀어주는 로드가 직선구간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시 로드의 돌출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도어를 자동으로 열기 위한 장치의 크기도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로드가 돌출되는 정도가 많아지므로, 로드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 소음도 더 커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003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개방장치를 냉장고의 캐비넷에 설치하되 도어의 힌지위치에 관계 없이 도어개방장치가 도어를 밀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에 도어개방장치를 설치하더라도 캐비넷이나 도어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개방장치를 냉장고의 캐비넷에 설치하되,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도어개방장치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를 밀어주는 푸시로드가 도어개방장치로부터 돌출되는 정도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보관공간을 갖는 캐비넷의 하부 중심에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조립체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를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처럼 도어개방장치는 도어가 아니라 캐비넷 쪽에 설치되고, 특히 캐비넷의 하부 중심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힌지를 캐비넷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쪽에 설치하더라도 도어개방장치가 도어를 개방해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서 상기 보관공간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는 상기 캐비넷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조립체 배면의 하부 중심부를 누른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를 설치하더라도 캐비넷을 비롯한 냉장고의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기 캐비넷의 하부를 향해 함몰된 설치공간에 설치된다. 이때, 도어개방장치를 둘러싼 커버플레이트의 주변은 발포제가 충진되어 단열부가 되는데, 이러한 단열부는 도어개방장치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기계실을 향한 저면과 상기 도어조립체를 향한 전면이 각각 개방되되 상기 도어조립체를 향한 전면은 상기 케비넷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의 입구가 있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의 전면을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어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개방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와이어하네스)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계실의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면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제어모듈 보다 상기 기계실의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도어개방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서로 간섭없이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의 설치공간에 삽입되는 장치케이스와, 상기 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어개방장치에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와 상기 기어어셈블리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조립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미는 푸시로드가 더 포함된다. 이들의 연동을 통해서 적절한 속도로 푸시로드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는 상기 기어어셈블리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 배면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장치케이스 내부로 수납된다. 특히 상기 푸시로드의 회전방향은 상기 도어조립체의 회전방향과 같다. 따라서 직선경로를 따라 도어를 밀어주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푸시로드가 돌출되는 정도가 적고, 도어개방장치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연동하고 상기 푸시로드에 맞물려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기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가 도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즉, 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가 구동모터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음의 원인이 되는 구동모터는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모터의 소음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과, 상기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들이 상기 감속기어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는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어어셈블리가 어느 한방향으로만 길게 연장되면서 도어개방장치의 전체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가 입출되는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들이 상기 감속기어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은 상기 푸시로드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하다. 따라서 푸시로드가 도어 쪽으로 돌출되는 최대인출거리를 최대한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모터회전만으로도 푸시로드가 도어를 열 수 있어 도어개방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푸시로드의 가장 돌출된 말단에는 로드캡이 조립되고,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향한 상기 로드캡의 전면은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보다 넓고,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의 말단이 돌출되어 맞닿는 위치에 곡면형상의 접촉턱이 돌출된다. 이를 통해 푸시로드가 도어를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는 리드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에는 스위치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이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이격되면 리드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할 수 있고, 제어모듈을 통해 적절한 때에 푸시로드를 원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조립체에는 감지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 전방에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감지장치가 연결된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열림동작을 구동하거나 상기 도어조립체의 발광부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사용자가 쉽게 입력버튼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도어조립체에는 상기 도어조립체의 힌지와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입력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장치는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열림동작을 구동한다. 이처럼 상기 입력장치는 힌지와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도어조립체가 열리는 위치를 직감할 수 있고, 또한 힌지에서 먼 위치를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도어조립체가 열리는 입구 쪽에 설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열어주는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도어개방장치는 도어가 아니라 캐비넷 쪽에 설치되고, 특히 캐비넷의 하부 중심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어의 힌지를 캐비넷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쪽에 설치하더라도 도어개방장치가 도어를 개방해줄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공용화가 가능하고, 도어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어개방장치는 기계실에 인접한 캐비넷의 하부에 설치되는데, 기계실 상부를 덮는 커버플레이트에서 단열부 쪽으로 함몰된 설치공간에 수납된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를 설치하더라도 캐비넷을 비롯한 냉장고의 전체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고, 냉장고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어개방장치를 둘러싼 커버플레이트의 주변은 발포제가 충진되어 단열부가 되는데, 이러한 단열부는 도어개방장치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크기가 저감되어 냉장고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커버플레이트 자체가 도어개방장치의 뚜껑 역할을 하고, 도어개방장치의 전면은 전면프레임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의 동작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되는 곳은 기계실과 연결된 공간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기계실조립체를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도어개방장치의 설치공간 및 설치공간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가 외부로 드러나, 작업자가 쉽게 유지보수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어개방장치는 캐비넷의 하부에 위치한 기계실에 가깝게 설치되고, 제어모듈도 기계실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이 서로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와이어하네스)이 짧아지고, 냉장고 내부의 설치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를 직접 밀어 돌출시켜주는데, 이러한 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가 도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즉, 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가 모터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i) 소음의 원인이 되는 모터는 후방에 위치함으로써 모터의 소음이 냉장고의 전방으로 전달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ii) 푸시로드가 도어 쪽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최대한 증가시켜 상대적으로 적은 모터회전만으로도 푸시로드가 도어를 열 수 있어 도어개방장치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개방장치에서 돌출되어 도어를 밀어주는 푸시로드는 직선형태가 아닌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회전동작으로 도어를 밀어준다. 즉, 도어가 열리는 경로를 따라 푸시로드도 함께 회전하므로, 직선경로를 따라 도어를 밀어주는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푸시로드가 돌출되는 정도가 적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의 전체 크기가 줄어들 수 있고, 푸시로드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 소음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터치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특히, 도어개방장치는 도어를 적어도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팔꿈치를 넣어서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되도록 하여, 양손이 아닌 다른 신체의 일부를 개방된 틈새에 넣어서 용이하게 추가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완전한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어에 감지장치와 입력장치가 설치되고, 감지장치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입력장치의 위치를 LED로 알려주고, 사용자는 LED근처의 터치센서를 터치하여 도어개방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두운 환경에서도 도어개방장치를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가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도어가 열리는 각도가 5°내지 15°사이로 제한된다. 따라서 냉장고의 도어가 과도하게 많이 열려 자칫 유아나 어린이가 도어에 걸려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는 리드스위치가 설치되고, 상대편인 푸시로드의 말단에는 스위치자석이 내장된다. 이에 따라 푸시로드의 말단이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이격되면 리드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고, 제어모듈을 통해 적절한 때에 푸시로드를 원위치시킴으로써 푸시로드가 노출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푸시로드가 돌출되어 주변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넷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의 일실시례의 구성하는 도어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에서 도어라이너와 가스켓이 생략된 상태를 도 6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도어조립체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6의 A 및 B 부분을 각각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가 커버플레이트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저면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에 의해 냉장고의 도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열린 모습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가 커버플레이트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에서 푸시로드가 돌출되기 전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개방장치에서 푸시로드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일반냉장고, 와인냉장고, 김치냉장고, 음료저장고, 식물재배장치 등과 같이 내부에 보관공간이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크게 캐비넷(100), 도어조립체(130), 기계실조립체, 베드(330a~300d), 베리어(400), 순환팬조립체(500a,5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베드(330a~300d), 베리어(400) 및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에 설치되고,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조립된다. 그리고 기계실조립체는 캐비넷(100)의 하부에 조립된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높이가 낮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의 냉장고는 아일랜드 식탁 내부 등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로, 일반 냉장고 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내부 용량 뿐 아니라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작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900)를 비롯한 부품들의 설치를 위해 냉장고의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부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도어조립체(130)가 열리면 보관공간(121)이 전방으로 개방된다.
도 4에는 상기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아웃케이스(110)는 전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이너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아웃케이스(1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5)가 조립되고,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8)이 조립되며, 저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조립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너케이스(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백플레이트(115), 전면프레임(118) 및 커버플레이트(250)가 각각 아웃케이스(1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5)에는 충진홀(116)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충진홀(116)을 통해서 발포 단열재가 주입될 수 있다. 이렇게 발포 단열재가 충진되어 발포된 후에,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개방장치(900)가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이너캐비넷(100)의 내부에는 보관공간(121)이 있다. 상기 보관공간(121)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상기 보관공간(121)은 베드(330a~300d)에 의해 다수의 칸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121)의 안쪽 벽면에는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되고, 베드(330a~300d)은 가이드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보관공간(121)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면에는 회피부(123)가 있다. 상기 회피부(123)는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부분인데, 상기 회피부(123)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계실조립체의 압축기(61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피부(123)로 인해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쪽 일부는 단차진 공간을 가지게 된다.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보관공간(12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회전을 통해 여닫히는 구조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프레임(118)에 밀착되어 보관공간(121)을 차폐하거나, 회전을 통해 전면프레임(118)으로부터 멀어져 보관공간(121)을 개방시킨다.
즉, 상기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밀폐형의 보관공간(121)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보관공간(121)은 순환팬조립체(500a,500b) 및 공조모듈(600)에 의해 냉기손실 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투시부(142) 구조로 만들어져 보관공간(12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도어조립체(130)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도어조립체(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도어조립체(130)는 대략 사각판 구조이고, 다수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하나의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도어개방장치(90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도어개방장치(9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감지장치와 입력장치는 도어조립체(130)의 전면도어패널(141)의 베젤부(143)에 설치된다. 참고로 도 6의 A와 B부분에는 각각 입력장치(170)과 감지장치(175)가 설치되는데, 이부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6을 보면 도어조립체(130)의 한쪽,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는 각각 힌지(168)가 있다. 상기 힌지(168)는 도어조립체(130)를 상기 캐비넷(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168)는 도면을 기준으로 도어조립체(13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데, 이와 반대로 좌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가 아니라 중간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어조립체(130)의 후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와 가스켓(195)이 생략된 상태인데, 도어라이너(190)가 제거되면 도 7과 같이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150)이 드러난다. 그리고 도어조립체(130)에 전장품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수납홈(S1)도 도어조립체(13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도어조립체(130)는 크게 패널유닛(140), 도어프레임(150), 히터프레임(180), 도어라이너(190) 및 가스켓(195)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도어프레임(150)이 도어조립체(130)를 지지하는 기본골격을 형성하고, 나머지 구성들을 캐비넷(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유닛(140)은 여러겹의 패널들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패널유닛(140)에는 복수의 투명한 재질의 패널이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며, 상기 패널유닛(140)을 통해 냉장고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유닛(140)은 복수 유리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유리재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투시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패널층 중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은 하프 글래스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내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필름이 도포되어 반투명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단면도인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유닛(140)은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적층되는 단열도어패널(145, 147)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전면도어패널(141)의 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단열도어패널(145,147)이 2개로 구성되지만, 1개만 있거나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구성을 보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도어패널(147)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 및 배면도어패널(147) 사이에 위치하는 내장도어패널(145)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유닛(140)은 3중유리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면도어패널(141)과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은 유리 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보관공간(121)을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도어패널(141),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은 단열 소재 또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상기 전면도어패널(141) 보다 크기가 작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면적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면적 보다 더 넓은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가장자리, 즉 둘레면 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전면도어패널(141)의 더 돌출된 부분을 베젤부(143)라 하고, 베젤부(143)의 안쪽에 있는 부분을 투시부(142)라 한다. 상기 투시부(142)는 상기 패널유닛(140)을 통해서 보관공간(121)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부분이고, 베젤부(143)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43)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에만 있지만, 상기 투시부(142)는 전면도어패널(141) 뿐 아니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상기 투시부(142)는 패널유닛(140)을 통해 보관공간(121)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으로, 전면도어패널(141)의 중심부분과,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을 보면 투시부(142)는 베젤부(143)에 의해 감싸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베젤부(143)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150)이 설치되고, 전장품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유리 사이사이에는 간봉(149)이 삽입된다. 상기 간봉(149)은 각 유리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것으로, 각 유리들과 복수의 간봉(149)들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실런트가 도포되어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가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도어패널(145)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봉(149)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의 밀폐된 공간은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도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도어프레임(15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도어조립체(1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대략 사각틀형태이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틀 형태가 되는데, 도 9에서 보듯이 4개의 프레임들을 코너브라켓(160A~160D)들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이 상기 패널유닛(140)에 조립되면,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과 연속된 표면을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면이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과 돌출된 정도가 같아서,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이 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도어조립체(130)의 외관이 보다 통일성 있게 보일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크게 4개의 프레임들으로 구성된다. 먼저 패널유닛(140)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과, 패널유닛(140)의 상면을 감싸는 어퍼프레임(153)과, 패널유닛(140)의 하면을 감싸는 로어프레임(155)이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한다. 이들은 각각 대략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베젤부(143)의 배면에 조립되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투시부(142)의 양측면을 각각 감싸고, 상기 어퍼프레임(153)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의 위쪽을 연결하면서 상기 투시부(142)의 상면을 감싸며, 상기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의 아래쪽을 연결하면서 상기 투시부(142)의 하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네모서리에는 코너브라켓(160A~160D)이 구비되어 프레임들을 연결한다.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은 네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코너브라켓(160A), 제2코너브라켓(160B), 제3코너브라켓(160C) 및 제4코너브라켓(160D)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코너브라켓(160A~160D)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은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반하여 제2코너브라켓(160B)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2)은 단순히 일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9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5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일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패널유닛(140)의 긴 쪽 면, 즉 측면을 지지하므로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알루미늄재질을 압축하여 제조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단순히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측면을 향한 안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결합공간(152)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간(152)은 사이드프레임(151)과 제1코너브라켓(160A) 및 제4코너브라켓(160D)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도어프레임(150)의 전체 두께를 두껍지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1을 보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결합공간(152)이 있는데, 상기 결합공간(152)은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151a~151c)들이 있고, 상기 사이드결합판(151a~151c)들 사이사이에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이들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에는 각각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나머지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결합판(153a1~153a3)의 조립공간(153S)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프레임(151)과 어퍼프레임(153)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측면(도 11을 기준으로 보면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의 측면)을 향해 사이드결합판(151a~151c)이 돌출되는데, 상기 사이드결합판(151a~151c)은 제1사이드결합판(151a),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사이드결합판(151a),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대략 'E' 형태를 만드는데, 돌출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이 가장 길고, 제3사이드결합판(151c)이 가장 짧다.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밀착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저면과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베젤부(143)의 배면은 서로 밀착되는데, 그 사이에 접착면(G)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이 베젤부(143)의 배면과 결합되므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면적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면(G)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착면(G)에는 양면테잎이 부착된다. 이때, 물론, 양면테잎이 아니라 접착제가 상기 접착면(G)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과 베젤부(143)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은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 이격되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1브라켓몸체(161a)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간(152a)을 만든다. 상기 제1결합공간(152a)의 폭은 제1브라켓몸체(161a)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는데, 제1브라켓몸체(161a)의 양쪽면이 각각 제1사이드결합판(151a)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접할 수 있도록 제1브라켓몸체(161a)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 반대편에 구비된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간(152b)을 형성한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고, 끝부분에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가 걸려 고정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결합공간(152b)에는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1지지몸체(163a)은 한쪽 표면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두께는 상기 제2결합공간(152b)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반대쪽 표면과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양쪽면에는 각각 제1브라켓몸체(161a)의 한쪽면과 지지브라켓(163)이 밀착되어, 하나의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는 제1체결홀(151b')이 관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상기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구성하는데,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에는 각각 힌지(168)가 조립되어 도어조립체(1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힌지(168)를 직접 지지하지 않아 큰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사이드프레임(151) 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이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면, 도어조립체(13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보다 복잡한 형상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수납홈(S1)의 구조를 도어프레임(150)에 보다 쉽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어퍼프레임(153)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어퍼프레임(153)은 대략 'L'자 형상이고, 안착공간(154)이 만들어져 그 위에 힌지(168)가 안착된다. 상기 힌지(168)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 고정되어 도어조립체(130)가 캐비넷(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169는 힌지(168)를 차폐하기 위한 힌지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커버(169A)와 제2커버(169B)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168)커버는 생략되거나, 하나의 부품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이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는데, 상기 어퍼프레임(153)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접촉판(153b)이 있다. 상기 접촉판(153b)의 표면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베젤부(143)의 배면에 밀착되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판(153b)의 표면과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 사이에는 접착면(G)이 있다. 상기 접착면(G)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접촉판(153b)의 표면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착면(G)에는 양면테잎이 부착된다. 상기 접착면(G)은 앞서 설명한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 사이의 접착면(G)과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도어프레임(150)의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이어진다. 이때, 물론, 양면테잎이 아니라 접착제가 상기 접착면(G)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과 베젤부(143)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도 사이드프레임(151)과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유닛(140)을 향해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있다.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은 상기 접촉판(153b)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패널유닛(14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구비되어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과 결합된다.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조립공간(153S)이 있는데, 상기 조립공간(153S)은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있고,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들 사이사이에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에는 각각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일부가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은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이 상기 접촉판(153b)의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의 전면에도 접착면(G)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상면(도 10을 기준으로 보면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의 상면)을 향해 조립결합판(153a1~153a3)이 돌출되는데,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은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대략 'E' 형태를 만드는데, 돌출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이 가장 길고, 제3조립결합판(153a3)이 가장 짧다.
그리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에는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이 지지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도 제1브라켓몸체(161a)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이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은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이격되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가 삽입되는 제1조립공간(153S1)을 만든다. 상기 제1조립공간(153S1)의 폭은 제2브라켓몸체(161b)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는데, 제2브라켓몸체(161b)의 양쪽면이 각각 제1조립결합판(153a1) 및 제2조립결합판(153a2)에 접할 수 있도록 제2브라켓몸체(161b)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제2조립결합판(153a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반대편에 구비된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 제2조립공간(153S2)을 형성한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제2조립결합판(153a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고, 끝부분에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가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2조립공간(153S2)에는 상기 메인브라켓(161)을 구성하는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한쪽 표면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두께는 상기 제2조립공간(153S2)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반대쪽 표면과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양쪽면에는 각각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면과 지지브라켓(163)이 밀착되어, 하나의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에는 제2체결홀(153a2')이 관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립공간(153S)은 앞서 설명한 결합공간(152)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조립공간(153S)과 결합공간(152)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는데, 이것은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형상에 대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i)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제2조립결합판(153a2) 사이의 제1조립공간(153S1)은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 사이의 제1결합공간(152a)과 연결되고, (ii)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 제3조립결합판(153a3) 사이의 제2조립공간(153S2)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 사이의 제2결합공간(152b)과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조립공간(153S1)-제1결합공간(152a) 사이로 메인브라켓(161)을 끼울 수 있고, 제2조립공간(153S2)-제2결합공간(152b) 사이로 지지브라켓(163)을 끼울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을 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은 제1코너브라켓 내지 제4코너브라켓(160A~160D)을 포함하고, 이 중에서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2코너브라켓(160B)은 각각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된다.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2코너브라켓(160B)은 동일한 구조이므로 제1코너브라켓(160A)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은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제1브라켓몸체(161a)와 제2브라켓몸체(161b)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몸체(161a)는 앞서 설명한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제1결합공간(152a)에 위치하고, 제2브라켓몸체(161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1조립공간(153S1)에 위치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브라켓몸체(161a)에는 제1브라켓홀(161a')이 관통되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제1체결홀(151b')과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1조립공간(153S1)에 위치하는데, 도 10을 보면,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에는 제2브라켓홀(161b'')이 있어서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제2체결홀(153a2')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은 힌지(168)와 직접 연결되어 도어조립체(130)의 회전중심이 되므로 도어조립체(130)의 회전과정에서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에는 힌지체결홀(161b')이 관통된 것을 볼 수 있고, 도 10을 보면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 위에 어퍼프레임(153)이 적층되고 어퍼프레임(153)에는 힌지연결홀(154a)이 있다. 상기 힌지연결홀(154a)은 힌지체결홀(161b')과 연결되므로,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안착공간(154)에 안착된 힌지(168)는 체결구가 힌지연결홀(154a)을 통해 힌지체결홀(161b')에 체결되면 도어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163)도 메인브라켓(161)과 마찬가지로 'ㄱ' 자 형상으로,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제1지지몸체(163a, 도 11참조)와 제2지지몸체(163b, 도 10참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몸체(163a)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제2결합공간(152b)에 위치하고, 제2지지몸체(163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2조립공간(153S2)에 위치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이 어퍼프레임(153)과 사이드프레임(151) 사이를 연결하므로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생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상기 메인브라켓(161)에 조립되어 조립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해 줄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브라켓(163)에는 제1지지홀(163a')과 제2지지홀(163b')이 있다. 상기 제1지지홀(163a')과 제2지지홀(163b')은 각각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1브라켓홀(161a') 및 제2브라켓홀(161b'')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을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1지지홀(163a')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제1체결홀(151b')을 통해서 상기 제1브라켓홀(161a')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가 이들을 통과하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제2사이드결합판(151b)-지지브라켓(163) 사이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2지지홀(163b')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제2체결홀(153a2')을 통해서 상기 제2브라켓홀(161b'')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가 이들을 통과하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제2조립결합판(153a2)-지지브라켓(163) 사이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163)도 결국에는 사이드프레임(151)과 로어프레임(155)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은 각각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되지만, 제3코너브라켓(160C)은 하나의 브라켓으로만 구성되고, 제2코너브라켓(160B)은 2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지만 제1코너브라켓(160A) 및 제4코너브라켓(160D)의 메인브라켓(161)과 같은 구조를 갖지는 않고 단순히 평판 형상의 브라켓들로만 구성된다. 이처럼 힌지(168)가 결합되는 부분은 강도보강을 위해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되지만, 힌지(168)가 없는 부분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150)에는 전장품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장품은 입력장치(170), 감지장치(175) 또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는 입력장치(170)와 감지장치(175)가 도어프레임(150)에 설치된다.
도 6을 보면,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상부, 즉 베젤부(143)에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A부분에는 입력장치(170)가 설치되고, B부분에는 감지장치(175)가 설치된다. B부분의 전방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A부분의 입력장치(170) 주변에 터치센서(173)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LED램프(172)가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터치센서(173)를 터치하여 도어개방장치(900)를 동작시켜 도어조립체(130)를 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175)는 전면도어패널(141)의 상부 중에서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a)와 도 12(b)에는 각각 입력장치(170)와 감지장치(175)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전장품들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베젤부(143) 배면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S1)이 만들어지고,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전장품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중 적어도 2면 이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사이를 따라 4면 모두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품수납홈(S1)을 따라서 상기 전장품에서 연결되는 와이어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부(143)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부품수납홈(S1)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43)는 반투명한 필름이 도포되어 전장품이 바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입력장치(170)에 구비된 LED램프(172)에서 빛이 조사되면 이를 인식할 수는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장치(170)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센서(173)를 정확하게 터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위치하지만, 별도의 부품브라켓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부품브라켓은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인접한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장품이 상기 부품브라켓에 조립되면 상기 전장품은 상기 베젤부(143)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장품을 살펴보면, 도 12(a)에 도시된 입력장치(170)는 LED램프(172)와, 터치센서(173)를 포함한다. 상기 LED램프(172)는 입력장치(17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터치센서(173)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를 터치했을 때 도어개방장치(900)를 동작시켜 도어조립체(130)를 열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장치(17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힌지(168)와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조립체(130)가 열리는 위치를 직감할 수 있고, 또한 힌지(168)에서 먼 위치를 눌러야 하므로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도어조립체(130)가 열리는 입구 쪽에 설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장치(170)는 제어모듈(70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열림동작을 구동한다
상기 입력장치(170)에는 별도의 제어기판(도시되지 않음)이 함께 포함되어 터치센서(173)와 LED램프(172)를 제어할 수도 있고,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제어모듈(700)에 연결되어 제어모듈(7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이중에서 LED램프(172)는 생략될 수도 있고, 터치센서(173)는 정전용량식이 아니라 다양한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센서(173)가 아니라, 상기 입력장치(170)에는 진동에 의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노크조작을 인식하는 노크감지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2(b)에는 감지장치(17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감지장치(175)는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 전방에 위치한 것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감지장치(175)에는 피에스디(Position Sensing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장치(175)는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에스디에 의해 검출 가능한 근접 거리는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감지거리를 1m 이내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전면의 1m 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면부호 177는 감지장치(175)의 케이스를 가리킨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장품들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베젤부(143) 배면 중에서 상부에 설치된다. 이는 도어조립체(13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예를 들어 와인냉장고와 같이 높이가 낮은 제품에 도어조립체(130)가 적용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170)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입력장치(170)의 터치센서(173)를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다르게 상기 전장품들은 상기 베젤부(143)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사이를 따라 4면 모두 형성되므로, 전장품들의 설치위치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장치(175)는 상기 베젤부(143)의 상부 배면 중에서도 상기 베젤부(143)의 상부 중심부에 배치된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심부에 배치된 감지장치(175)는 사용자의 접근을 보다 잘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에는 히터프레임(180)이 설치된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 사이 공간, 즉 부품수납홈(S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상기 패널유닛(140)에 이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를 위한 것으로, 히터선(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접촉되는 부분 근처에는 냉장고의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라 이슬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여러겹의 유리들 사이의 접합부위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져 이슬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상기 히터선이 이를 방지해준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투시부(142)를 구성하는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 보다는 크지만 상기 도어프레임(150) 보다는 작다. 도 10과 도 11에는 히터프레임(18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히터프레임(180)에는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홈(182)이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히터홈(182)은 상기 히터프레임(180) 전체를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홈(182)은 상기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유리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을 향해 일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따라서 히터홈(182)에 내장된 히터선에서 발생한 열기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슬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의 후방에는 도어라이너(190)가 조립된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는 것으로, 사각틀 형상이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어 앞서 설명한 부품수납홈(S1)을 차폐해준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은 한쪽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을 향하고, 반대쪽은 도어라이너(190)를 향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라이너(190)가 도어프레임(150)에서 분리되면 부품수납홈(S1)은 반대쪽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라이너(190)를 분리해서 전장품을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라이너(190)가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면 상기 부품수납홈(S1)이 차폐되므로,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및 브라켓들의 조립부위와, 와이어들을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 도 10참조)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 도 11참조)의 끝 부분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어느 정도 탄성이 있고,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도어라이너(190)가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도어라이너(190)를 도어프레임(15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에는 지지리브(193)가 있다. 상기 지지리브(193)는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전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히터프레임(18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리브(193)는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여러 겹의 유리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히터선이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에 밀착되도록 돕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라이너(190)에는 도어조립체(130)의 내부를 밝히기 위한 별도의 라이트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배면에는 가스켓(195)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195)은 상기 캐비넷(100)의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도어조립체(130)와 캐비넷(100) 사이로 보관공간(121)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기계실조립체를 구성하는 기계실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조모듈(600)이 설치되고,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캐비넷(100)이 결합된다.
이러한 기계실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사각틀 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내부에는 기계실이 있어서 공조모듈(6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보관공간(121)과 기계실의 사이에는 별도의 구획용 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보관공간(121)과 기계실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의 전방인 기계실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흡토출그릴(220)이 구비된다. 상기 흡토출그릴(220)은 기계실의 외부로부터 기계실 내로 흡입되는 공기 혹은, 기계실 내로부터 기계실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면서 기계실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흡토출그릴(220)에는 흡입구(225a) 및 배출구(225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5a)와 배출구(225b)는 후술될 분리격벽(230)에 의해 서로 구분된 위치에 분리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좌측의 흡입구(225a)와 우측의 배출구(225b)로 구분되나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보면,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는 여타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기계실 내부의 후방측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 내에 설치되는 방열팬(611)과 압축기(61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후방측 부위를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축기(610)는 가장 높이가 높기 때문에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압축기(610)의 높이에 대응하여 돌출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는 도어개방장치(9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253)이 있다. 상기 설치공간(253)은 커버플레이트(250)의 전방, 즉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향한 앞쪽에 구비되는데, 상부로 돌출되어 아래쪽에 공간을 확보하되 아래쪽으로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설치공간(253)은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가 상향 돌출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로 돌출되지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공간(253)이 돌출된 정도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가 상향 돌출된 정도보다는 낮다.
참고로, 도 2에는 도어개방장치(900)를 구성하는 오픈로드(950)가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돌출되어 도어조립체(130)의 안쪽면에 있는 접촉부(B)를 밀어준다.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앞서 설명한 전장품들 중에서 입력장치(17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커넥터하우징(257)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5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모듈(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와이어하네스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와이어하네스의 연장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57)은 아래쪽에 있는 제어모듈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와이어하네스를 후방측, 즉 배면플레이트(213) 방향으로 안내한다.
다음으로 베드(330a~300d)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베드(330a~300d)는 보관공간(121)에 설치되어 보관공간(121)을 여러층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베드(330a~300d)는 여러층의 보관공간(121)을 완전히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은 아니고, 각 층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드(330a~300d)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틈을 갖는다.
이러한 베드(330a~300d)는 평판 혹은, 둘레벽을 갖는 트레이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 상면으로 음식물 등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보관공간(121)의 내의 양측 벽면(이너케이스(120) 내의 양측 벽면)에는 가이드레일(122, 도 3 참조)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330a~300d)는 그 양쪽 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보관공간(121)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다양한 구조로 상기 베드(330a~300d)의 서랍식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드(330a~300d)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그 중간에는 베리어(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00)는 상기 보관공간(121)을 가로질러 상기 베드(330a~300d)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공간(121)을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400)는 상기 베드(330a~300d)와 달리 상기 보관공간(121)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데, 이에 따라 베리어(40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서로 다른 공간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리어(4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갖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00)의 전면(430)에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냉장고의 각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을 통해 표시되는 각 상태는 보관공간(121) 내의 온도, 동작모드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터치식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식이나 스위치식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조립체(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이 도어조립체(130)에 구비된다면 각종 신호선이나 전원선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투시부(142)는 내부 투시가 가능한 유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보관공간(12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베리어(400)의 전방에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순환팬조립체(500a,500b)를 보면, 상기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보관공간(121)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이너케이스(120)를 이루는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구비되며, 해당 보관공간(121) 내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보관공간(121) 내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공간(121) 내의 상측과 하측은 해당 보관공간(121)의 중간측 높이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팬조립체(500a,500b)가 상기 각 보관공간(121)마다 하나씩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베리어(400)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아래쪽의 보관공간(121a)과 위쪽 보관공간(121b)에 각각 순환팬조립체(500a,500b)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공조모듈(6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공조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보관공간(121) 내의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조모듈(600)은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와 증발기(630a,630b)를 포함하는 공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공조장치에 의해 보관공간(121)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는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기계실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할된 양측 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메인응축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경유하는 부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압축기(610)는 공기가 배출되는 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에는 방열팬(611)이 구비되면서 기계실 내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610)를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팬(611)은 메인응축기(620)가 위치된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압축기(610)가 위치된 부위를 사실상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메인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어개방장치(900)를 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캐비넷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상기 캐비넷(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장치(900)가 동작하면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
이어서 도어개방장치(900)를 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를 상기 캐비넷(1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개방장치(900)가 동작하면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자동으로 열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 중에서, 기계실의 상부 중심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개방장치(900)가 냉장고의 바닥면이 기계실의 바닥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어 기계실에 설치된 부품들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있어서 도어조립체(130)의 배면 중심을 밀어준다. 도 2에서 도면부호 S는 도어개방장치(900)가 설치되는 위치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힌지가 캐비넷(100)의 우측에 있거나(도 15(a)참조) 또는 좌측에 있거나(도 15(b)참조) 상관없이 도어조립체(130)를 정확하게 밀어줄 수 있다. 참고도 13 내지 도 15에서 도면부호 H는 힌지(168)가 설치되는 힌지장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a)를 보면, 도면을 기준으로 힌지장착부(H)가 우측에 있는 경우에 푸시로드(950)가 도어조립체(130)를 밀면, 도어조립체(130)가 회전하는 방향(시계방향)과 푸시로드(950)가 돌출될 때 회전하는 방향(시례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접촉턱(B)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5(b)를 보면, 도면을 기준으로 힌지장착부(H)가 좌측에 있는 경우에 푸시로드(950)가 도어조립체(130)를 밀면, 도어조립체(130)가 회전하는 방향(반시계방향)과 푸시로드(950)가 돌출될 때 회전하는 방향(시례방향)이 서로 반대이다. 하지만, 일정한 회전경로까지는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접촉턱(B)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 의하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로드캡(952)이 접촉턱(B)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동작되므로 힌지장착부(H)의 위치와 관계없이 도어개방장치(900)가 도어조립체(130)를 정확하게 밀어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에서 상기 보관공간(121)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253)은 캐비넷(100)의 하부 일부가 움푹 들어간 형상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공간(253)은 커버플레이트(250)에 만들어진다. 즉, 상기 기계실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서 상기 캐비넷(100)의 하부를 향해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플레이트(250)는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발포공간을 만들기 때문에 그 위쪽으로 발포제가 충진되어 단열부가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단열부의 공간 쪽으로 함몰되고, 다른 부품들과 간섭될 염려가 없다. 또한 도어개방장치(900)를 둘러싼 커버플레이트(250)의 주변은 단열부가 채워지는데, 이러한 단열부는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발생하는 모터/기어의 동작소음을 차단하는 차음재역할도 하게 된다.
도 16을 보면,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서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바닥 쪽으로 요입된 함몰부의 안쪽에 만들어진다.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부에 있고, 상기 설치공간(253)은 상기 기계실을 향한 저면과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향한 전면이 각각 개방된다.
즉 상기 설치공간(253)은 기계실과 연결된 공간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기계실조립체를 냉장고에서 분리하면 상기 설치공간(253) 및 설치공간(253)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900)가 외부로 드러나, 쉽게 유지보수 할 수도 있다. 도 13은 냉장고의 기계실조립체를 제거하고, 냉장고의 바닥쪽을 보인 것으로, 설치공간(253)과 상기 설치공간(253)에 설치된 도어개방장치(900)의 모습이 드러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253)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향한 전면도 개방되어 있는데, 도 16을 보면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 입구(253')가 드러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은 상기 케비넷(100)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118)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전면프레임(118)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950)의 로드입출구(119)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설치공간(253)의 전면은 전면프레임(118)에 의해 차폐되되,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부분만 구멍형태(로드입출구(119))로 뚫려 있다. 따라서 도어개방장치(900)의 푸시로드(950)가 아직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상기 로드입출구(119)를 막아 이물질이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제 도 13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외형을 형성하는 장치케이스(901)에 설치된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에 가까운 일부는 폭이 좁지만, 커버플레이트(250)의 안쪽 부분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어진다. 이것은 상기 장치케이스(90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910) 및 기어어셈블리(920)의 배치에 따른 것으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푸시로드(950)가 돌출되는 로드입출구(119)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서 A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상기 설치공간(253)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데, 얇고 넓은 판상구조이다. 상기 장치케이스(901)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케이스(도시되지 않음)와 하부케이스는 각각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상부와 하부의 외형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결합에 의해 내부에 구동모터(910)와 기어어셈블리(92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도면에는 구동모터(910)와 기어어셈블리(920)가 노출되도록 상부케이스가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부케이스가 생략되고 하부케이스만으로 장치케이스(901)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외측에는 다수개의 설치링(905)이 있다. 상기 설치링(905)은 장치케이스(901)의 가장자리에 함몰된 링장착홈(904)에 삽입되는 것으로, 설치링(905)은 상기 하부케이스가 장치케이스(901)의 링장착홈(904) 내측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설치링(905)은 상기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어퍼케이스에 고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설치링(905)은 완전한 폐곡선을 만들지는 않고, 한쪽이 뚤린 형상인데,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탄성변형량이 더 커질 수 있다. 상기 설치링(905)은 상기 링장착홈(904)에 억지끼움 형태로 압입된 상태에서 체결구가 이를 통과함으로써, 체결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구동모터(91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하면에 장착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정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BLDC타입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BLDC타입의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FG(frequency generating)신호를 카운팅하여 상기 구동모터(910)의 속도를 가변 제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동작시 속도 조절을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긴급 상황시에 푸시로드(950)의 긴급 복귀 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910)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하면에서 장착되며, 상기 구동모터(910)의 회전축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측으로 관통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구동모터(910)가 설치되고, 구동모터(910)의 피니언기어(911)가 구동모터(910)에 의해 회전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911)는 기어어셈블리(920)와 맞물려 기어어셈블리(92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장치케이스(901)에는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다수의 기어는 감속기어(921,923) 및 스페이서기어(925,927)를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어(921,923)는 기어비를 통해서 구동모터(91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역할을 하고, 스페이서기어(925,927)는 감속기어(921,923)에 연결되어 맞물리되 푸시로드(950)와 감속기어(921,923) 사이의 빈 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감속기어(921,923)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상기 푸시로드(950)의 구동을 위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는 상기 푸시로드(950)의 인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의 조합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950)와의 접점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구분 없이 스페이서기어(925,927)도 감속기능을 담당하는 감속기어(921,923)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순서대로 살펴보면, 상기 구동모터(910)의 피니언기어(911)는 제1감속기어(921)와 맞물린다. 상기 제1감속기어(921)는 가장 회전속도가 높은 피니언기어(911)과 결합되는 기어로 소음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기어(911)과 제1감속기어(921)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탄성회복률 그리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는 엘라스토머(Elastomer)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피니언기어(911)과 제1감속기어(921)에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를 만족하면서도 상기 피니언기어(911)과 제1감속기어(921) 사이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그외 나머지 기어들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POM)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모든 기어들이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거나 위의 예시 이외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감속기어(921)는 제2감속기어(923)와 연결되며, 제2감속기어(923)는 스페이서기어(925,927)들과 연결된다. 상기 감속기어(921,923)들은 일반적인 감속기어(921,923)와 같이 입력측과 출력측이 상하 2단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웃하는 기어와 입력측과 출력측이 접하여 감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의 조합을 통해서 회전수가 조절될 수 있으며, 회전수의 조절을 통해 상기 푸시로드(950)로 전달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감속기어(921,92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속기어(921,923)는 총 2개로 구성되지만, 3개 이상일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921' 및 도 923'은 각각 상기 제1감속기어(921) 및 제2감속기어(923)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상기 제2감속기어(923)에는 제1스페이서기어(925)가 배치되고, 상기 제1스페이서기어(925)와 상기 푸시로드(950)는 제2스페이서기어(92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는 일반적인 평기어 형상으로 상기 제2감속기어(923)의 힘을 상기 푸시로드(950)로 단순 전달하되, 상기 푸시로드(950)와의 접점 거리를 조정하여 상기 푸시로드(950)의 최대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는 크기가 다른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로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페이서기어(925,927)와 푸시로드(950) 사이의 접점의 위치는 최대한 상기 푸시로드(950)의 인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과 가까운 위치에 위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감속기어(923)와 상기 푸시로드(950)의 사이에 스페이서기어(925,927)가 배치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925' 및 도 927'은 각각 상기 제1스페이서기어(925) 및 제2스페이서기어(927)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기어어셈블리(920)를 구성하는 감속기어(921,923)들과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은 서로 배치되는 방향이 다르다. 도 14를 보면,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모터(9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과, 상기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상기 감속기어(921,923)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기어어셈블리(920)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921,923)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9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고, 상기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상기 감속기어(921,923)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은 상기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하다.
이처럼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이 연장되는 방향(Y)이 상기 푸시로드(950)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하면, 제2스페이서기어(927)가 푸시로드(950)와 맞물리는 접점을 최대한 로드입출구(119)에 가깝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푸시로드(950)의 최대 인출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동시에, 감속기어(921,923)들의 배치방향과 스페이서기어(925,927)들의 배치방향을 달리함으로써, 기어어셈블리(920)가 어느 한방향으로만 길게 연장되면서 도어개방장치(900)의 전체 길이를 과도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을 밀어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내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와 맞물려 작동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랙기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기어(925,92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는 상기 로드입출구(119)를 통과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의 위치로 인해, 상기 랙기어의 적어도 절반 이상은 상기 푸시로드(950)가 상기 제2스페이서기어(927)에 의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장치케이스(901)의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푸시로드(95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호형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회동되는 상황에서도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의 일정지점, 보다 정확하게는 접촉턱(B)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가 슬립되지 않고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일지점을 밀어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푸시로드(950)의 회전방향은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회전방향과 같다. 도 13을 보면, 힌지는 도면을 기준으로 커버플레이트(250)의 우측에 위치하는데, 이에 따라 도어조립체(1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도 역시 돌출되는 과정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도 14에는 도어조립체(130)가 회전하는 방향(화살표 ①방향)과 푸시로드(950)가 돌출될 때 회전하는 방향(화살표 ②방향)이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접촉턱(B)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950)의 전단에는 로드캡(952)이 구비된다. 상기 로드캡(952)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도어조립체(130)와 접촉되어 상기 푸시로드(950)와 도어조립체(130)의 접촉시 소음을 방지하고 접지력을 향상시켜 상기 푸시로드(950)가 밀어주는 힘을 상기 도어조립체(130)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을 향한 상기 로드캡(952)의 전면은 상기 푸시로드(950)의 말단보다 넓어서, 상기 접촉턱(B)의 표면(B')을 보다 안정적으로 밀어줄 수 있다. 상기 로드캡(952)은 대략 사각형상의 전면을 갖는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로드캡(952)의 내부에는 스위치자석이 구비될 수 상기 스위치자석은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열림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턱(B)의 내부에 구비된 리드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접촉턱(B)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에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자석은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회전시에 함께 접촉된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푸시로드(950)에 의해 밀리는 상태, 즉 로드캡(952)이 접촉턱(B)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리드스위치가 상기 스위치자석에 의해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도어조립체(130)가 닫힌 상태부터 도어조립체(130)가 푸시로드(950)에 의해 밀려 자동으로 일정 각도만큼 열리는 상태까지는 리드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조립체(130)가 소정각도만큼 자동으로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 회전시켜 개방하면 상기 로드캡(952)의 스위치자석과 도어조립체(130)의 접촉턱(B)에 내장된 스위치자석이 떨어져 스위치자석이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제어모듈(700)은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 열었음을 감지하고 도어개방장치(900)를 작동시켜 푸시로드(95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로드캡(952)이 접촉턱(B)에 접촉된 상태가 오프(OFF)이고 이격되면 온(ON) 상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700)은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 열었음을 감지하고 도어개방장치(900)를 작동시켜 푸시로드(95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사용자에 의해 열림을 감지하면, 내부의 조명을 켜서 보관공간(121)이 잘 보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의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과 5°내지 15°사이의 사이각을 갖도록 상기 도어조립체를 밀어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냉장고의 도어조립체(130)가 과도하게 많이 열려 자칫 유아나 어린이가 도어조립체(130)에 걸려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설정각도 이상 도어조립체(130)가 회전되면 앞서 설명한 리드스위치가 오프되면서 제어모듈(700)이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모터(9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푸시로드(950)를 원위치시킨다.
이때, 본 실시례에서 이러한 제어모듈(700)은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와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는 제어모듈(700)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개방장치(9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 설치되되 상기 캐비넷(100)과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이 결합되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어개방장치(900)와 매우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모듈(700)은 상기 기계실의 배출구(225b)에 인접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면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상기 제어모듈(700) 보다 상기 기계실의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다. 이것은 상기 제어모듈(700)은 커버플레이트(250)의 저면(251)에 설치되지만,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는 커버플레이트(250)에서 상기 캐비넷(100)의 저면을 향해 더 함몰된 설치공간(253)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높이차로 인해 제어모듈(700)과 도어개방장치(900)의 간섭가능성이 더 낮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도어개방장치(900)가 동작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의 앞으로 이동하면 도어조립체(130)의 감지장치(175)가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 앞에 있는 것을 인식한다. 이때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의 전방 1m 안에 존재하는 경우에 감지장치(175)가 이를 센싱할 수 있도록 감지장치(175)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175)는 전면도어패널(141)의 상부 중에서 중심부에 설치되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서 접근하는 사용자를 모두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장치(175)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인지되면, 제어모듈(700)은 입력장치(170)를 동작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상부, 보다 정확하게는 도어조립체(130)의 좌측 상단 베젤부(143) 뒤에 설치된 입력장치(170)의 LED램프(172)가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장치(170)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센서(173)를 정확하게 터치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43)는 반투명한 필름이 도포되어 전장품이 바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입력장치(170)에 구비된 LED램프(172)에서 빛이 조사되면 이를 인식할 수는 있는 것이다.
만약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터치센서(173)를 터치하지 않으면, 냉장고의 사용의사가 없음으로 간주하고 제어모듈(700)은 상기 LED램프(172)를 끈다. 하지만 일정 시간, 예를 들어 10초 내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감지장치(175)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모듈(700)은 LED램프(172)를 켠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센서(173)를 터치하면 도어개방장치(900)가 동작한다. 터치센서(173)의 입력신호를 받은 제어모듈(700)은 상기 도어개방장치(900)를 동작시켜 푸시로드(950)가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모듈(700)은 사용자가 터치센서(173)를 터치하지 않아도, 상기 감지장치(175)에 의해 사용자가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곧바로 도어개방장치(90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어개방장치(90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910)가 회전하고, 기어어셈블리(920)를 구성하는 감속기어(921,923) 및 스페이서기어(925,927)를 통해 푸시로드(950)가 동작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도 17에서 보듯이, 구동모터(910)의 피니언기어(911)가 회전(화살표 ①방향)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1감속기어(921, 화살표 ②방향)-제2감속기어(923, 화살표 ③방향)-제1스페이서기어(925, 화살표 ④방향)-제2스페이서기어(927, 화살표 ⑤방향)가 순서대로 맞물려 회전하고, 제2스페이서기어는 푸시로드(950)의 랙기어와 맞물려 푸시로드(950)를 전방(화살표 ⑥방향)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배면에 있는 접촉턱(B)을 밀어 도어조립체(130)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푸시로드(950)의 회전방향은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회전방향과 같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의 회동시에도 상기 푸시로드(950)의 로드캡(952)이 접촉턱(B)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950)는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전시켜서 도어조립체(130)의 열림양을 제어한다. 본 실시례에 의하면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약 80mm 내지 120mm 정도 열린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조립체(130)가 열린 틈으로 신체의 일부를 넣어서 용이하게 추가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입력장치(170)를 터치하여 도어조립체(13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욱 큰 각도로 열면, 접촉턱(B)의 내부에 구비된 리드스위치가 오프된다. 즉,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푸시로드(950)에 의해 밀리는 상태에서는 상기 리드스위치가 상기 로드캡(952)에 내장된 스위치자석에 의해 온(ON) 상태를 유지하지만,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 회전시켜 개방하면 상기 로드캡(952)의 스위치자석과 도어조립체(130)의 접촉턱(B)에 내장된 스위치자석이 떨어져 스위치자석이 오프(OFF)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제어모듈(700)은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를 더 열었음을 감지하고 도어개방장치(900)의 구동모터(9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푸시로드(95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모듈(700)은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사용자에 의해 열림을 감지하면, 내부의 조명을 켜서 보관공간(121)이 잘 보이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캐비넷 110: 아웃케이스
120: 이너케이스 121: 보관공간
130: 도어조립체 140: 패널유닛
142: 투시부 143: 베젤부
150: 도어프레임 151: 사이드프레임
153: 어퍼프레임 155: 로어프레임
160: 코어브라켓 161: 메인브라켓
163: 지지브라켓 170: 입력장치
175: 감지장치 180: 히터프레임
190: 도어라이너 195: 가스켓
200: 기계실프레임 201: 기계실
211: 바닥플레이트 212: 측면플레이트
213: 배면플레이트 220: 흡토출그릴
225a: 흡입구 225b: 배출구
300a~300d: 베드 400: 베리어
500a, 500b: 순환팬조립체 600: 공조모듈
610: 압축기 620: 메인응축기
630: 증발기 700: 제어모듈
900: 도어개방장치 910: 구동모터
920: 기어어셈블리 950: 푸시로드

Claims (22)

  1. 보관공간을 갖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조립체;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기계실이 있는 기계실조립체;
    상기 캐비넷의 하부 중심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를 상기 캐비넷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서 상기 보관공간 방향으로 함몰된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는 상기 캐비넷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조립체 배면의 하부 중심부를 누르는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기 캐비넷의 하부를 향해 함몰된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냉장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기계실을 향한 저면과 상기 도어조립체를 향한 전면이 각각 개방되되 상기 도어조립체를 향한 전면은 상기 케비넷을 구성하는 전면프레임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에서 돌출되는 푸시로드의 입구가 있는 냉장고.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에는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개방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는 커버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제어모듈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개방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냉장고.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되 상기 캐비넷과 상기 기계실조립체이 결합되면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냉장고.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기계실의 배출구에 인접하도록 상기 기계실의 측면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제어모듈 보다 상기 기계실의 바닥으로부터 높은 위치에 있는 냉장고.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는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의 설치공간에 삽입되는 장치케이스;
    상기 장치케이스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기어어셈블리; 및
    상기 기어어셈블리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조립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미는 푸시로드;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는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와 맞물리는 랙기어가 표면에 구비되고, 상기 푸시로드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 배면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여 도어개방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냉장고.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회전방향은 상기 도어조립체의 회전방향과 같은 냉장고.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어어셈블리는 상기 구동모터와 연동되면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와, 상기 감속기어와 연동하고 상기 푸시로드에 맞물려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기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과, 상기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들이 상기 감속기어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냉장고.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감속기어들이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구동모터로부터 연장되는 방향(X)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가 입출되는 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기어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스페이서기어들이 상기 감속기어들로부터 연장되는 방향(Y)은 상기 푸시로드가 입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냉장고.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가장 돌출된 말단에는 로드캡이 조립되고,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향한 상기 로드캡의 전면은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보다 넓은 냉장고.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의 말단이 돌출되어 맞닿는 위치에 곡면형상의 접촉턱이 돌출되는 냉장고.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의 말단과 맞닿는 부분에는 리드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에는 스위치자석이 내장되어, 상기 푸시로드의 말단이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에서 이격되면 리드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가 되는 냉장고.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조립체에는 감지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감지장치를 통해 상기 도어조립체 전방에 사용자가 인식되면 상기 감지장치가 연결된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열림동작을 구동하거나 상기 도어조립체의 발광부를 작동시키는 냉장고.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도어조립체의 상부 중앙에 배치되는 냉장고.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조립체에는 상기 도어조립체의 힌지와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입력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입력장치는 제어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에 입력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열림동작을 구동하는 냉장고.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방장치의 푸시로드는 상기 도어조립체가 상기 캐비넷의 전면과 5°내지 15°사이의 사이각을 갖도록 상기 도어조립체를 밀어 회전시키는 냉장고.
  22. 보관공간을 갖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조립체;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기계실이 있으며 상기 기계실에는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조립체;
    상기 기계실조립체의 상부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을 덮고,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향한 전면 중심부에는 설치공간이 상기 캐비넷의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있는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조립체의 배면을 눌러 상기 도어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도어개방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45459A 2019-11-13 2019-11-13 냉장고 KR20210058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59A KR20210058236A (ko) 2019-11-13 2019-11-13 냉장고
CN202011256785.0A CN112797711A (zh) 2019-11-13 2020-11-11 冰箱
US17/097,634 US11768028B2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AU2020267293A AU2020267293B2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EP23219422.5A EP4336132A3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EP20207413.4A EP3822563B1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AU2023200070A AU2023200070A1 (en) 2019-11-13 2023-01-06 Refrigerator
US18/233,963 US20230384023A1 (en) 2019-11-13 2023-08-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59A KR20210058236A (ko) 2019-11-13 2019-11-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36A true KR20210058236A (ko) 2021-05-24

Family

ID=7615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59A KR20210058236A (ko) 2019-11-13 2019-11-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2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352B1 (ko) 냉장고
KR10181076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56835B1 (ko) 냉장고
AU2020267293B2 (en) Refrigerator
AU2011210122B2 (en) Refrigerator
KR102412060B1 (ko) 냉장고
KR20180067363A (ko) 냉장고
KR20230156894A (ko) 냉장고
KR20230150241A (ko) 냉장고
AU202022366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6800B1 (ko) 냉장고
KR20210058236A (ko) 냉장고
KR20210058237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8235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20669912U (zh) 冰箱
KR102327579B1 (ko) 냉장고
KR102259771B1 (ko) 냉장고
US11668518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645872B1 (ko) 냉장고
KR20170022087A (ko) 냉장고
KR20240051646A (ko) 냉장고
KR20240022377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