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46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46A
KR20240051646A KR1020220131558A KR20220131558A KR20240051646A KR 20240051646 A KR20240051646 A KR 20240051646A KR 1020220131558 A KR1020220131558 A KR 1020220131558A KR 20220131558 A KR20220131558 A KR 20220131558A KR 20240051646 A KR20240051646 A KR 2024005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extension wall
refrigerator
door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서창호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34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80560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및 상기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과,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와, 상기 아이스 슬롯을 통과하는 얼음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연장벽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과, 상기 제 2 연장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장벽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과 가깝게 위치되며,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3 연장벽의 경사 각도 보다 작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36659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 하방의 냉동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좌우양측에 한쌍이 배치되며, 어느 일측에 아이스 메이커와 디스펜서가 구비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메인 워터탱크;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며 급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장치; 상기 냉장실 도어에 구비되며, 공급되는 물을 추가 냉각시키는 서브 워터탱크; 상기 정수장치, 메인 워터탱크, 서브 워터탱크, 디스펜서 및 아이스 메이커를 연통시키는 급수유로; 상기 냉장실 도어의 상기 급수유로상에 제공되며, 정수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 또는 아이스 메이커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분지 밸브를 포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의 후측에 서브 워터탱크와 분지 밸브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므로, 디스펜서 후측의 공간을 별도의 저장공간이나 제빙실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설령, 선행문헌의 경우, 디스펜서 후측에 추가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어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두꺼워진 도어의 두께 만큼 냉장실의 용적인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디스펜서가 슬림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에는 도어에 구비되는 제빙기에서 배출된 얼음의 통로의 폭을 줄이면서도 얼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슬림해진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슬롯을 통과하는 얼음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연장벽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2 연장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3 연장벽의 경사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냉장고 도어의 전후 방향인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얼음 출구의 길이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좌우 방향인 Y축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제 3 연장벽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1)은 상기 얼음 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2)은 상기 얼음 출구를 미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3 바디의 상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아이스 슬롯이 형성되는 경사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3 연장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연장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벽의 하단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연장벽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얼음 출구의 중심과 상기 제 1 연장벽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는, 상기 제 2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과, 상기 제 3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2)은 상기 제 5 연장벽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4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얼음 출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상기 제 4 연장벽 사이에 위치되는 물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상기 제 4 연장벽 사이에 위치되는 부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피씨비 일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상기 제 2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디스펜서의 아이스 슬롯을 통과한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은 캡 덕트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3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거나 상기 얼음 출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연장벽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과, 상기 제 2 연장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는, 상기 제 2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과, 상기 제 3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4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아이스 가이드가 형성하는 얼음의 통로를 줄이면서 도어의 두께 방향으로의 길이가 줄어들어 디스펜서가 슬림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이 통과하는 얼음 슬롯과 인접한 벽이 경사도가 충분히 커서 얼음 통로의 폭을 줄이더라도 얼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림해진 디스펜서에 의해서 도어의 두께 증가 없이 또는 도어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
도 9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평면도.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저면도.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얼음 통로가 닫힌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얼음 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유동을 위한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도시되지 않은 냉기 덕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일례로 도어 라이너(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기 제 2 공간(124) 중 하나 이상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1 냉기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는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제 1 공간(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서 냉기는 상승하여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1 제빙기(20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2 냉기 유로(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부의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기(5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3 냉기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하측부의 냉기가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가이드하고 얼음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340)의 위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 증가가 최소화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후측에 상기 제 2 공간(124)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이 슬림해진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슬림화를 위해서 얼음의 통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형태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11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11c)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전면이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패드(10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1010)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얼음 및/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1010)를 조작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패드(1010)를 푸시 또는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상기 패드(1010)에 의해서 동작하는 레버(10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는 상기 레버(1070)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온되거나 오프되는 스위치(1050)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패드(1010)의 미조작 시 상기 스위치(1050)는 오프되고, 상기 패드(1010)의 조작 시 상기 패드(1010)의 조작력이 상기 레버(1070)로 전달되어 상기 레버(1070)가 상기 스위치(1050)를 온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아이스 슈트(700)에 의해서 안내되는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1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은 일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경사벽(111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벽(111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외측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경사벽(111a)의 상측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통과한 얼음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경사벽(11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은 상기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서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덕트 구동부(990)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폐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덕트 구동부(990)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870)는 상기 수용 공간(11c)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물 배출구(87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물 배출구(870)를 지지하는 서포터(8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물 배출구(870)의 살균을 위한 살균 장치(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장치(880)는 일례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물 배출구(870)가 형성하는 물 유로를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1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입력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100)에 표시되는 버튼을 조작하거나 터치하여 온도나, 다양한 기능 등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1100)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은 상기 수용 공간(11c)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은, 상기 디스플레이(1100)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되는 개구(1122)를 포함하는 제 1 프레임(1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1122)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11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은, 상기 제 1 프레임(1121)에서 연장되는 제 2 프레임(1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124)은 상기 제 1 프레임(1121)에 대해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임(1124)에는 입력 모듈(1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얼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배출될 얼음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투명한 얼음을 선택하거나 불투명한 얼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입력 모듈(1160)을 통해서 크기가 다른 얼음 들을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은 일례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모듈(1160)의 일부는 상기 제 2 프레임(1124)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의 형태는 위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입력 모듈(1160)이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 외의 다른 구성에 설치되거나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별도의 입력 모듈(1160)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1110)가 입력 모듈의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프레임(1120)의 후측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는 상기 개구(1122)를 관통한 상기 디스플레이(110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서포터(1140)는 생락 가능하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형성하는 공간 형성벽(124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공간 형성벽(124g)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 형성벽(124g)에는 물을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하는 장착 브라켓(4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브라켓(480)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 브라켓(480)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9의 11-11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가이드의 저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상측부는 얼음의 통로(801)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기 캡 덕트(900)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상측부의 통로 폭은 하측부의 통로 폭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제 1 바디(8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81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상측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810)의 상단부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810)는 얼음 입구(813)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바디(810)는 제 1 연장벽(8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벽(812)은 상기 얼음 입구(813)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1 바디(81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2 바디(830)의 통로 폭은 상기 제 1 바디(810)의 통로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일례로 X축 방향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 또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830)의 일부는 상기 얼음 입구(813)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얼음 입구(813)는 상기 제 1 바디(810) 및 상기 제 2 바디(830)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바디(810) 만이 상기 얼음 입구(81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바디(83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2 연장벽(8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830)는, 상기 얼음 입구(813)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8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은 상기 제 2 연장벽(832)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상기 제 3 연장벽(834) 간의 거리는 하측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상기 제 3 연장벽(834)은 경사벽일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을 가이드 벽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가 크면, 얼음의 배출이 원활해질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3 연장벽(834)에 대한 경사 각도는 55도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연장벽(834)에 대한 경사 각도는 60도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830)는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8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836)는 일례로 상기 제 2 연장벽(83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바디(83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 3 바디(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850)는 얼음 출구(851)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제 3 바디(850)의 통로 폭은 상기 제 2 바디(830)의 통로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850)의 상하 길이(L1)는 상기 제 2 바디(830)의 상하 길이(L2) 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바디(830)와 제 3 바디(830)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서, 아이스 가이드(800)의 X축 방향의 전체 폭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가 상기 디스펜서(11)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850)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에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8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바디(850)는, 상기 제 3 연장벽(834)에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8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벽일 수 있다. 상기 제 5 연장벽(853)의 적어도 일부는 라운드벽일 수 있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을 지나는 가상선(E1)은 상기 얼음 출구(851)를 통과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 2 연장벽(832)을 지나는 가상선(E2)은 상기 얼음 출구(851)를 미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2)은 상기 제 5 연장벽(853)을 통과할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4 연장벽(852)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 보다 크다.
상기 제 4 연장벽(852)에는 개구(8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854)에 의해서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개구(854)에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주변 구조물이 위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얼음 출구(851)는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851)의 중심(C)은 상기 제 4 연장벽(852) 보다 상기 제 5 연장벽(853)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얼음 출구(851)의 중심(C)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제 2 연장벽(832) 보다 상기 제 3 연장벽(834)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고정을 위한 제 1 고정부(8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고정부(814)는 상기 제 1 바디(81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1 바디(810)의 적어도 두 지점에서 상기 제 1 고정부(814)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814)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2를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고정부(814)와 상기 제 1 연장벽(812)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얼음 출구(851)의 중심(C)과 상기 제 1 연장벽(812)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부(8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838)는 상기 제 1 고정부(814)와 상하 방향을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838)는 일례로 상기 제 2 바디(83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바디(830)의 적어도 두 지점에서 상기 제 2 고정부(838)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부(838)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X축 방향으로의 수평 길이는 상기 제 1 고정부(814)를 제외한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Y축 방향으로의 수평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X축 방향으로의 수평 길이가 줄어들면, 상기 디스펜서가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851)의 X축 방향 길이는 상기 얼음 출구(851)의 Y축 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얼음 출구(851)의 형태 변화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X축 방향으로의 수평 길이가 줄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얼음 출구(851)의 X축 방향 길이가 줄어들면, 얼음 출구(851)를 통과하는 얼음 들의 비산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4는 본 실시 예의 얼음 통로가 닫힌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예의 얼음 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캡 덕트와 아이스 가이드의 배치를 보여주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를 둘러싸는 커버 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벽(110)이 상기 경사벽(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벽(110a)에서 상기 아이스 슬롯(111)의 둘레에서 결합 벽(112)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벽(112)에 상기 아이스 슈트(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일부가 상기 결합 벽(112)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836)는 상기 경사벽(111a)의 하단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아이스 슬롯(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벽(83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슬롯(111)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 덕트(900)의 일부는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일 수 있다.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4 연장벽(852)의 경사 각도 보다 작으므로,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상측에 쌓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가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경우, 얼음 부스러기가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의 최하단부(901)는 상기 얼음 출구(851)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1 연장벽(812)과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캡 덕트(900)가 상기 아이스 슬롯(111)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900)는 상기 제 2 연장벽(832)에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물 배출구(870)가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물 배출구(87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살균 모듈(880)이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살균 모듈(88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아이스 가이드(800)의 얼음 출구(851)를 비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얼음 출구(851)의 X축 방향 길이를 줄이면,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의 공간이 증가될 수 있어, 부품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경사 각도가 상기 제 3 연장벽(834)의 경사 각도 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연장벽(832)의 수직 방향 연장선과 상기 제 4 연장벽(852) 간의 수평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연장벽(832)의 하측에 부품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입력 모듈(1160)의 피씨비(116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피씨비(1162)가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4 연장벽(852)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 사이에 상기 입력 모듈(1160) 외의 다른 부품이나 다른 피씨비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연장벽(832)은 상기 부품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캡 덕트에 의해서 개방된 얼음 슬롯과 인접한 벽이 경사도가 충분히 커서 얼음 통로의 폭을 줄이더라도 얼음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얼음의 배출 과정에서 얼음 부스러기가 얼음의 통로를 형성하는 아이스 가이드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슬림해진 디스펜서에 의해서 도어의 두께 증가 없이 또는 도어의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디스펜서의 후측에 제빙실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7)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과,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와,
    상기 아이스 슬롯을 통과하는 얼음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연장벽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과, 상기 제 2 연장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장벽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과 가깝게 위치되며,
    수평면에 대한 상기 제 2 연장벽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3 연장벽의 경사 각도 보다 작은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냉장고 도어의 전후 방향인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얼음 출구의 길이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좌우 방향인 Y축 방향으로의 길이 보다 짧은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출구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제 3 연장벽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1)은 상기 얼음 출구를 통과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장벽을 지나는 가상선(E2)은 상기 얼음 출구를 미통과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디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3 바디의 상하 길이 보다 짧은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은 상기 아이스 슬롯이 형성되는 경사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3 연장벽의 상단에서 상기 제 2 연장벽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경사벽의 하단에 접촉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가이드를 상측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 1 고정부와 상기 제 1 연장벽 간의 수평 거리는 상기 얼음 출구의 중심과 상기 제 1 연장벽 간의 수평 거리 보다 큰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바디는, 상기 제 2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과, 상기 제 3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4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얼음 출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상기 제 4 연장벽 사이에 위치되는 물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전면과 상기 제 4 연장벽 사이에 위치되는 부품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제 2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6.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디스펜서 하우징과,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얼음이 통과하는 아이스 슬롯과,
    상기 아이스 슬롯을 개폐하는 캡 덕트와,
    상기 아이스 슬롯을 통과하는 얼음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가이드는, 얼음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바디와,
    상기 제 2 바디의 하측으로 연장되며 얼음 출구를 형성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고,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3 바디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거나 상기 얼음 출구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는 제 1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디는 상기 제 1 연장벽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벽과, 상기 제 2 연장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3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바디는, 상기 제 2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4 연장벽과, 상기 제 3 연장벽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5 연장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연장벽은 상기 제 2 연장벽 보다 상기 아이스 슬롯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캡 덕트가 상기 아이스 슬롯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캡 덕트의 최하단부는 상기 제 4 연장벽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는 냉장고.
KR1020220131558A 2022-10-13 2022-10-13 냉장고 KR20240051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3404 WO2024080560A1 (ko) 2022-10-13 2023-09-07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46A true KR20240051646A (ko) 2024-04-22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1578B1 (ko) 냉장고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1584806B1 (ko) 냉장고
EP2679942B1 (en) Refrigerator
US20110146331A1 (en) Refrigerator
KR101050303B1 (ko) 냉장고
US20110146335A1 (en) Refrigerator
KR20150018962A (ko) 냉장고
KR20100036879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112377A (ko) 냉장고
KR20120007202A (ko) 냉장고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100690702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KR101638191B1 (ko) 냉장고
KR20110046403A (ko) 냉장고
KR101639443B1 (ko) 냉장고
KR20240051646A (ko) 냉장고
KR20240051634A (ko) 냉장고
KR20240051637A (ko) 냉장고
KR20240051627A (ko) 냉장고
KR20240051629A (ko) 냉장고
KR20240051642A (ko) 냉장고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101639444B1 (ko) 냉장고
KR20240051625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