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80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805B1
KR101584805B1 KR1020090035311A KR20090035311A KR101584805B1 KR 101584805 B1 KR101584805 B1 KR 101584805B1 KR 1020090035311 A KR1020090035311 A KR 1020090035311A KR 20090035311 A KR20090035311 A KR 20090035311A KR 101584805 B1 KR101584805 B1 KR 101584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ice
chamber
storage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742A (ko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805B1/ko
Priority to AU2009344951A priority patent/AU2009344951B2/en
Priority to MX2011009933A priority patent/MX344533B/es
Priority to CN2009801587829A priority patent/CN102395845B/zh
Priority to BRPI0924935-4A priority patent/BRPI0924935A2/pt
Priority to PCT/KR2009/005308 priority patent/WO2010123177A1/en
Priority to US13/265,354 priority patent/US20120031136A1/en
Priority to EP09843705.6A priority patent/EP2422148A4/en
Publication of KR2010011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25D23/126Water coo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6Refrigerators with a vertical mull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저장공간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냉장고, 아이스 메이커, 제빙, 저장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공간으로는 섭씨 1~4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채소와 같은 음식물이 신선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하는 냉장실과, 섭씨 -18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육류나 생선과 같은 음식물이 냉동 보관되도록 하는 냉동실이 제공되며,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배치 및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차폐하는 도어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냉장고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의 냉장고,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즈 타입(Bottom freez type)의 냉장고 그리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의 냉장고 등이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타입의 냉장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본체의 내측 또는 본체를 차폐하는 도어에 구비된다. 이때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되는 냉장고 도어는 통상 회전식 도어이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에는 디스펜서가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원하는 만큼의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냉장실을 회동식으로 개폐되는 투명한 냉장실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한 냉장실 도어를 통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정의되는 냉동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정의하는 상기 본체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다른 일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2 도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부재;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 상측에 장착되며, 단열벽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 내부에 수용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및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에 제공되어,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제빙실의 하측에 제공되며, 냉장 식품 수납을 위한 수납부; 상기 제 2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및 상기 제 2 도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다른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와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슈트에 의하여 연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수납공간을 회동되는 냉장실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수납공간을 선반의 형태와 팬트리의 형태로 동시에 구현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간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냉장실 도어를 투명하게 하는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를 통해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수납된 식품들을 확인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식품의 위치를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식품의 확인을 위해 불필요한 도어를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전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냉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의 배면에는 식품이 수납되지 않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선반이 상기 냉장실의 전단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어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도어에 식품이 수납되지 않음으로 인해 냉장실 도어가 가벼워 지게 되어 개폐를 위한 조작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제공되는 다수의 도어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로 구획되어 하부에 냉동 실(20)이 구비되고, 상부에 냉장실(30)과 저장실(100)이 형성된다. 이들 각각의 공간은 구획되어 독립적인 저장환경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냉동실(2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를 형성하며,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20)의 상부 공간은 각각 좌우측으로 구획되어 각각 저장실(100)과 냉장실(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30)은 상기 냉동실(20) 상부의 우측(도 1에서 볼 때)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 내부에는 다수의 서랍 및 선반이 제공되어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의 크기와 대응하게 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좌측(도 1에서 볼 때)에는 저장실(storage room)(100)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00)은 상기 냉장실(30)과 베리어(40)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도어(1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냉장실 도어를 회동식 도어(pivotable door)로 정의하고, 상기 저장실(100)을 개폐하기 위하여 서랍식으로 제공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를 슬라이딩 도 어(sliding door)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30)의 측방에 제공되는 상기 저장실(100)이 냉장실로 사용되는 경우, 냉장실 도어는 상기 회동식 도어 뿐아니라 상기 슬라이딩 도어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해석에 일관되게, 상기 저장실(100)이 냉동실로 사용되는 경우 냉동실 도어에 포함될 것이고, 절환실로 사용될 경우에는 별도의 절환실 도어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 중 상기 냉장실(30)과 저장실(30)이 단일의 공간을 형성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식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가 모두 냉장실 도어에 포함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용어 해석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세 설명에서 사용되는 냉장실 도어는 회동식 도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만,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냉장실 도어는 상기 회동식 도어 뿐 아니라, 냉장실로 사용되는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저장실(100)은 격벽에 의해 다시 상부와 하부로 구획되어, 상부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110)과 하부에 형성되는 제2저장실(120)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에는 제 1 도어(130)와 제 2 도어(140)가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0)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상기 저장실(10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 1 도어(130)의 완전한 인입에 의해 상기 제1저장실(110)이 완전히 차폐될 수 있 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수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134)는 팬트리(Pantry) 선반과 같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배면에서 상기 제1저장실(110)의 내측 후면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 그리고, 상기 수납부(134)는 상하 2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서 2단 이상의 다단 구조를 이룰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데, 상기 수납부(13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양측에 랙이 구비되어 전용 용기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와인 및 병 용기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는 바스켓 또는 선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제1저장실(110)의 상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134)가 1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저장실(110)의 상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134)가 2단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는 제2저장실(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저장실(120) 또한 상기 제1저장실(110)과 같이 상기 냉장실(30) 및 냉동실(20)과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냉동실(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저장실(120)에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제 2 도어(140)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제2저장실(120)이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에는 제빙실(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60)은 얼음이 만들어지고 저장되는 공간으로 내부에는 적어도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162)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는 급수되는 물을 수용하여 얼음을 만드는 것으로, 급수와 이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160)의 내부가 상기 제2저장실(120)과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별도의 단열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실(120)과 제빙실(160)이 격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단열 또는 격리를 위한 구조 없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를 비롯한 이송기구들이 상기 제2저장실(120) 내에 수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도어(140)와 한 몸으로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실(160)의 적어도 일부는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빙실(160) 내부의 아이스 메이커(162)에 대한 수리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상대적으로 하측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빙실(160) 상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도어(140)의 후방에는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상기 수납부(146)는 전술한 상기 제 1 도어(130)의 수납부(134)와 같이 다양한 구조를 가지 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입에 따라 수납된 식품들이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46)에 저장되는 식품들은 상기 제1저장실(110) 내부의 온도에 따라 냉장 보관용 식품과 냉동 보관용 식품으로 구분되어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140)의 전면에는 제빙된 얼음의 취출 및/또는 음용수를 외부에서 취출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4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식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도 2의 A-A'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도어(14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 2 도어(140)의 배면에는 상기 제빙실(160)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 2 도어(14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160)의 상부에는 수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160)의 내부에는 급수되는 물로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162)와, 제빙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42) 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170)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는 상기 제빙실(160)의 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140)가 완전히 인입되었을 때 급수와 냉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급수 유로 및 냉기덕트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빙실(160)에는 제빙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워터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워터 탱크에 물을 직접 채워 넣음으로써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160)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이빙된 얼음을 상기 디스펜서(142)로 공급하는 이송기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17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취출구(144)로 얼음을 공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디스펜서(142)에 구비되는 상기 취출구(144)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이송 기구(17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송기구(170)는, 제1이송기구(172)와, 제2이송기구(174) 및 제3이송기구(176)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이송기구(172)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모터(178)에 의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기구(172)는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상기 제빙실(160)의 전방, 즉 상기 제 2 도어(140)쪽으로 안내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이송기구(174)는 상기 제1이송기구(172)의 전단부 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도어(140)와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기구(172)와 마찬가지로 별도 제공되는 모터(178)에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이송기구(172)의 전단부와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하단부가 베벨 기어와 같은 매개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단일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이송기구(174) 또한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이 송기구(172)에 의해 이송된 얼음을 상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상단이 상기 디스펜서(142)의 취출구(144)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이송기구(174)의 상단에는 제3이송기구(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이송기구(176)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제1이송기구(172)와 동일한 나선 또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별도 제공되는 모터(178)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2이송기구(174)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얼음을 전방, 즉 상기 취출구(144)쪽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기구(174)와 제3이송기구(176)도 매개 수단에 의하여 연결되어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취출구(144)에는 댐퍼(D)가 장착되어, 상기 취출구(144)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D)의 동작에 의하여 얼음 취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송기구(170)는 필요에 따라서 나선 또는 코일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기구(170)가 장착되는 상기 제빙실(160)의 내측에는 상기 이송기구(170)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이송통로(180)가 형성되어 제빙된 얼음이 상기 이송기구(170)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온도를 가변하여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전환 가능한 절환실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부에서 완전히 독립된 단열공간을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냉동실(20)의 후방에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구비되며,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 및 상기 저장실(100) 및 제빙실(160)로 공급되어 각각의 공간을 냉각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 도어(140)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덕트가 상기 제빙실(1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16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에서 제빙작업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1)에 음식물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여 내부에 저장을 위한 식품을 저장하고 상기 도어를 다시 닫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저장실(110)의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제 1 도어(130)의 도어핸들(132)을 잡고 상기 제 1 도어(130)를 슬라이딩 인출하여 상기 제1저장실(110)을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130)의 후방에 제공되는 상기 수납부(134)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품의 수납 후에는 상기 제 1 도어(130)를 인입시켜 상기 제1저장실(110)을 닫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저장실(120)의 경우도, 상기 제 2 도어(140)의 도어핸들(144)을 당겨서 상기 제 2 도어(140)를 슬라이딩 인출함으로써 상기 제2저장실(120)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제 2 도어(140)의 인출시 상기 제 2 도어(14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빙실(160)도 함께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60) 상방에 형성된 수납실 또한 상기 제 2 도어(140)와 함게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제 2 도어(140)에 상기 디스펜서(142)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상기 저장실(100)의 개방시 상기 제빙실(160)의 적어도 일측은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제 2 도어(1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얼음을 직접 상기 제빙실(160)에서 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140)는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물과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제 2 도어(140)가 완전히 닫힌 후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에서 얼음이 만들어지며, 제빙완료된 얼음은 하방으로 낙하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하방에 저장된 얼음은 상기 제1이송기구(172)에 의해 수평방향 이동된 후, 상기 제2이송기구(17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기구(17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디스펜서(142)의 취출구(144)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디스펜서(142)의 조작을 통해 상기 취출구(144)로 이송된 얼음은 외부로 취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또는 상기 이송기구(170)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제 2 도어(140)를 인출하여 상기 제빙실(16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 또는 이송기구(170)의 수리가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162)와 상기 이송기구(17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140)의 상기 수납부(146)에 식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도어(140)를 인출하여 상기 수납부(146)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식품을 수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146)에 저장되는 식품은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의 온도에 따라 냉장 또는 냉동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빙실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일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각각 구획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32)와, 냉동실도어(22), 제 1 도어(230) 및 제 2 도어(240)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
한편,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 제공되며,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 2 도어(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제 2 도어(240)는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에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2 도어(240)의 배면에는 제빙 어셈블리(250)가 수용되는 제빙실(2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260)은 상기 제 2 도어(24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260)의 하부에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246)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46)는 상기 제빙실(260)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후방으로 연장되며,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에서 제공되는 얼음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2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242)는 상기 제빙실(260) 보다 하방에 위치하여 얼음의 배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242)가 상기 제 2 도어(240)의 상단부에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도 얼음이나 물을 취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가 별도의 단열 부재에 의하여 격리되지 않는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단열 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260)이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에서 별도의 격리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242)가 형성된 상기 제 2 도어(240)의 배면에는 상기 제빙실(260)과 디스펜서(242)를 연통하는 아이스슈트(248)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슈트(248)는 상기 상기 제빙실(260)의 내측에 저장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242) 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슈트(248)에는 댐퍼(D)가 장착되어, 얼음 인출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들에도 상기 댐퍼(D) 구조가 제공될 수 있으며, 댐퍼(D)에 대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댐퍼 구조가 적용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빙실(260) 내부에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250)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252)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의 하방에 구비되어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뱅크(25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254)에는 전동모터(256)에 의해 구동되는 오거(258)가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뱅크(254)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슈트(248)측으로 이동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 어셈블리(25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와, 상기 아이스 뱅크(254)와, 상기 오거(258)와, 상기 오거(258)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크러셔(257) 및 상기 오거(258)와 크러셔(257)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256)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260)에는 냉기 입구(262)와 냉기 출구(264)가 별도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2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냉기 입구(262)와 냉기 출구(264)가 상기 제2저장실(120) 내측에 형성된 냉기덕트(280)와 서로 연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냉기덕트(280)는, 상기 냉기 입구(262)와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증발기 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260)로 공급하는 공급덕트(282)와, 상기 냉기 출구(264)와 선택적으로 연통하여 상기 제빙실(260)의 냉기를 상기 증발기측으로 안내하는 귀환덕트(28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실(120)의 내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로 공급될 제빙용 물과 상기 디스펜서(242)로 공급될 음용수가 저장되는 워터탱크(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290)는 급수 유로(292)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252) 및 디스펜서(24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워터탱크(290)는 상기 제빙실(260) 측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급수원과 직결되는 방식에 의해 급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직접 급수하는 방식에 의해 급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급수 유로(292)는 어느 지점에서 분리되며, 분리되는 지점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240)가 개방될 때 상기 개폐 밸브(V)가 폐쇄되어, 상기 디스펜서(242) 쪽으로 물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2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개폐 밸브(V)가 개방되어 상기 디스펜서(242) 쪽으로 물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V)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이하에서 제시되는 도면들에서 동일한 개폐밸브(V)가 적용 가능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아이스 메이커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냉장고 본체(10)에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 2 도어(340)의 슬라이딩 인출입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340)의 전면에는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342)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352)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는 상기 제 2 도어(340)에 형성된 제빙실 상부(360)에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 상부(36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 하부(37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단열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상부에서 후방으로 돌출 되어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하면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부(3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된 공급덕트(282)와 연통되는 냉기 입구(36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 커(352)의 직하방에는 아이스뱅크(354)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스뱅크(354)는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에 형성된 제빙실 하부(370)에 수용된다. 그리고, 전동모터(356)에 의해 오거(358)가 구동되어 아이스뱅크(354)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슈트(348) 쪽으로 안내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크러셔(357)가 구동하면 상기 아이스 슈트(348) 입구에서 얼음이 분쇄되어 상기 디스펜서(342)를 통해 취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를 포함하는 영역이 제빙실로 정의되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2저장실(120)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는, 상기 제빙실을 구획하기 위하여 독립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빙실 상부(360)를 정의하는 구조물 내에 아이스 메이커(352)가 수용되고, 제빙실 하부(370)를 정의하는 구조물 내에 아이스 뱅크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 아이스 뱅크354), 전동모터(356), 크러셔(357) 및 오거(358)는 제빙 어셈블리(350)에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제빙실 하부(370)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입시 상기 제빙실 상부(360)의 개구부(362)와 연통되는 개구부(3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72)는 상기 귀환덕트(284)와 연통되어, 냉기가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하부(370)의 상측에는 상기 워터탱크(390)가 구비되며, 제빙을 위한 물과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로(392)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입시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340)가 닫힌 상태에서 상 기 아이스 메이커(352)와 상기 디스펜서(342)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는 상기 제 2 도어(34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밀폐된 단열공간, 즉 하나의 제빙실을 형성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동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가 반드시 단열 및 밀폐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즉,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제빙실 하부(370)가 별개로 구획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와 아이스뱅크(354)가 장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 하부에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부(346)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346)는 상기 제 2 도어(340)의 인출시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함께 인출되어 식품의 수납이 용이한 상태가 되며,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도 6에서 제시된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아이스 메이커(352)가 수용되는 제빙실 상부(360)는 상기 제 2 저장실(120) 내부 일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354)가 수용되는 제빙실 하부(370)가 상기 제 2 도어(340)의 배면에 고정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340)가 인출되면 상기 제빙실 하부(370)도 함께 인출되어, 상기 제빙실 상부(360)와 분리된다.
또한,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는 급수 유로(392)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352)로 물을 공급한다. 그러나, 도 6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워터 탱크가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음용수 취출을 위하여 상기 디스펜서(342)로 연장되는 급수 유로(392)의 어느 지점에 개폐 밸브(V)가 설치되어, 상기 제 2 도어(340)의 개방 여부에 따라 물공급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빙 어셈블리와 디스펜서가 제1저장실과 제 1 도어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 1 도어(430) 및 제 2 도어(4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110)은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제 1 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기 위한 제빙실(4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저장실(110) 내부 공기와 격리되는 별도의 밀폐된 단열공간을 형성하며,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4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제빙실(460) 내부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빙실(460)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제 1 도어(430)의 후방에는 식품의 저장을 위한 수납부(43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430)의 전면에는 얼음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43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부에는 제2저장실(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어(440)에는 적어도 1단 이상의 수납부(434)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제 1 도어(430)와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434)에는 다수의 전용용기를 포함하는 다수의 저장 용기가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434)는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디스펜서가 저장실 도어의 배면, 즉 저장실 내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 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 1 도어(130) 및 제 2 도어(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저장실(110)은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저장실(120)은 상기 제1저장실(110)의 하방에 형성되며,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2 도어(5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제 2 도어(540)의 배면 상부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빙실(5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56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를 비롯한 제빙을 위한 다수의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560)은, 상기 제2저장실(120)이 냉장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2저장실(120) 내부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빙실(560)의 하부에는 디스펜서(542)와 수납부(54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542)는 상기 제빙실(560)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빙실(560)의 하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도어(540)의 배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542)는 상기 제 2 도어(540)의 인출에 의해 노출되는 좌우 양측면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2 도어(540)를 좌측과 우측으로 이등분하는 면을 기준으로 좌측 공간 또는 우측 공간 중 어느 일측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디스펜서(542)의 사용을 위해서 상기 제 2 도어(540)를 인출한 후에 상기 제 2 도어(540) 후방의 측면 또는 배면에 서 음용수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디스펜서(542)가 상기 제 2 도어(520)의 중심부 영역에 해당하는 배면에 제공되는 구조도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부(546)는 상기 제빙실(560)의 하측 영역에 구비되며, 식품의 수납이 용이하도록 상기 디스펜서(542)와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디스펜서(542)를 제외한 상기 제빙실(560)의 하측 영역이 수납부(546)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다수 개로 구획되는 저장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고, 어느 일측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일부분이 다른 일측 저장실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610) 및 제2저장실(6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상기 제1저장실(610) 및 제2저장실(620)을 각각 차폐하는 제 1 도어(630), 제 2 도어(6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도어(630)가 상기 제1 저장실(610)의 개구된 정면 면적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제2저장실(620) 정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빙 어셈블리(450)와 디스펜서(636)가 제 1 도어(630)의 배면에 제공되되,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610)에 수용되고, 상기 디스펜서(636)는 제 2 저장실(620)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610)은 상기 냉장실(30)의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저장실(610)의 크기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빙실(660)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저장실(610)은 상기 제빙실(660)이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만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660)의 내부는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영하의 온도 즉,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저장실(620)은 상기 제1저장실(610)의 하방에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저장실(610)의 길이에 비하여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620)의 내부 온도를 절환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2저장실(620)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저장실(610)과 제2저장실(620)은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630)는 상기 제1저장실(610) 전부 및 상기 제2저장실(620) 상부 일부를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가 제2저장실(620) 의 상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반면, 상기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의 상하 길이가 동일하거나, 적어도 상기 제 1 도어(630)의 상하 길이가 상기 제1저장실(61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630)의 배면에는 제빙실(6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6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는 곳으로서, 상기 제빙실(660)은 상기 제1저장실(610)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660)은 외부와 구획된 단열공간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내부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도어(63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 얼음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6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636)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상단보다 하단에 더 가깝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빙실(6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660)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636)가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단부에 더 가깝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얼음 또는 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660)의 하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배면에는 수납부(6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634)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길이에 따라서 상하 2단 또는 1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 또한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수납부(634)는 선반과 같은 구조로 형성되거나 랙구조, 또는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한 구조 등 다양한 구조가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 2 도어(640)는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저장실(620)에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제 2 도어(640)는 상기 제 1 도어(630)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나머지 상기 제2저장실(620)의 하측을 차폐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640)의 배면에는 상기 수납부(646)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부(646)는 상기 제 2 도어(640)의 상하 길이에 따라서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630)의 하단과 제 2 도어(640)의 상단이 접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2저장실(620) 전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6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22)은 상기 제 1 도어(630) 하단부 배면 및 제 2 도어(640)의 상단부 배면 둘러지는 가스켓과 접하여 냉기를 단속하기 위한 배리어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실(620)의 공간을 두 공간으로 구획하지 않으면서, 상기 제 1 도어(630)와 제 2 도어(640) 가 접하는 부분을 통하여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 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다수 개로 구획되는 저장실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직전 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들 각각은 해당 저장실만을 개폐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 제1저장실(710) 및 제2저장실(720)이 구비된 본체(10)와, 이들 각각을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상기 제1저장실(710) 및 제2저장실(72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저장실(710)과 제2저장실(720)은 상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저장실(710)과 제2저장실(720)을 차폐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 또한 상하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어(730)는 제1저장실(710)만 개폐하고, 제 2 도어(740)는 제2저장실(720)만 개폐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제1저장실(710)은 상기 냉장실(30) 좌측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저장실(710)은 증발기에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실(710)은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실(720)과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710)은 상기 제2저장실(720)의 상하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상기 제1저장실(71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730)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빙실(7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7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도어(730)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760)은, 상기 제1저장실(710)이 냉장실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저장실(710)로부터 격리되는 독립적인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별도의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760)이 상기 제1저장실(710) 내부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760)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비스 및 청소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760)의 하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수납부(7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754)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길이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도어(730)의 전면에는 상기 제빙실(760)로부터 공급되는 얼음을 외부로 취출하는 디스펜서(73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36)는 상기 제빙실(760)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쪽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의 길이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736)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음용수 또는 제빙된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저장실(720)은 상기 제1저장실(71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1저장실(710)의 상하 길이보다는 다소 작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실(720) 또한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제 2 도어(740)는 상기 제2저장실(720)의 개구된 전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저장을 위한 식품이 수납되는 수납부(74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740)의 개방시 상기 제2저장실(720)이 개방되면서, 상기 수납부(744)가 외부로 노출되어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744)는 수납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하 길이에 따라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제빙 어셈블리와 디스펜서가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되며, 서로 다른 도어의 배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냉장고(1)의 냉장실(30) 측면에 서랍식 도어가 수용되는 별도의 저장실이 제공되고,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된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격벽(190)에 의하여 제 1 저장실(710)과, 상기 제 1 저장실(710)의 하측에 제공되는 제 2 저장실(720)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은 제 1 도어(7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는 제빙실(460)이 구비되고, 상기 제빙실(46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빙 어셈블리(450)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 뱅크(454), 오거(458) 및 크러셔(457)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전동 모터(45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저장실(710)이 냉동실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710)을 정의하는 단열벽 구조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절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를 정의하는 벽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는 공급덕트(282)와, 상기 제빙실(460) 또는 제 1 저장실(710)로 공급된 냉기가 증발기로 귀환하도록 하는 귀환 덕트(284)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454)에 저장된 얼음을 인출하거나 음용수를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42)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742)의 후방에 해당하는 도어 배면에는 수납부(744)가 제공된다. 설계 방법에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736)에는 얼음 취출 구조만 제공되고, 음용수 취출 구조는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 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 및/또는 상기 디스펜서에 구비된 음용수 취출구로 물을 공급하기 워터 탱크(290)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전방으로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급수 유로(292)가 워터 탱크(290)에 유동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급수 유로(292)와 워터 탱크(290)의 연결 부위를 통하여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실링 구조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454)에 저장된 얼음이 디스펜서(742) 쪽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아이스 슈트(748)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의 바닥부 일측에는 얼음 배출을 위한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가 제빙실(460)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에는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바닥부분에도 디스차지 홀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격벽(190)에는 상기 디스차지 홀(461)과 상기 아이스 슈트(748)를 연결하는 디스차지 덕트(19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191) 내부에는 댐퍼(D)가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스 뱅크(454)를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450)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저장실(710,720)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기 격벽(190)의 상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는 상기 격벽(190)의 하부면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와 아이스 슈트(748)가 상기 격벽(19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는 경우, 이격되는 거리에 해당하는 저장실 내부 공간이 수납 기능을 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 또는 상기 제빙실(460)의 바닥면이 상기 격벽(190)의 상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상단부가 상기 격벽(190)의 하부면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디스펜서(742)의 형성 위치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쪽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펜서(742)의 상하 길이를 더 늘여서 상기 디스펜서(742)의 바닥부 위치는 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어린이와 같은 키가 작은 사용자도 상기 디스펜서(742)를 통하여 물이나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빙 어셈블리(450)를 포함하는 제빙실(460) 구조는 제 1 저장실(710) 내에 수용되고, 상기 디스펜서(742) 구조는 제 2 저장실(720) 내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고장으로 인한 수리가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냉장고(1) 외부로 노출될 일이 거의 없고, 외부 노출이 잦아질수록 제빙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710)에 별도로 위치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펜서(742) 구조는 제 2 도어(740)에 배치되도록 하 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냉장실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면, 상기 급수 유로(292) 및 워터 탱크(290)가 결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워터 탱크(290)와 같은 별도의 물 저장 용기가 냉장고(1)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6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급수 유로(290)가 급수원과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 약간의 변경을 가하면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제시 가능하며, 이는 별도의 도면으로 제시하지 않더라도 본 실시예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740)가 디스펜서 영역과 그외의 영역으로 나뉘어 두 개의 도어를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도어(740)가 두 개로 나뉘어져서,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두 개의 도어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 1 저장실(710)에 수용되는 제빙실(460)을 차폐하는 제 1 도어와, 제 2 저장실(720)의 상측 일부분을 차폐하며, 디스펜서와 수납부가 구비되는 제 2 도어 및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하측 일부분을 차폐하며, 수납부만 구비되는 제 3 도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고, 디스펜서 구조만 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배면에 제공되어, 도어와 함께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30) 측면에 별도의 저장실이 구비되고, 격벽(190)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이 상하로 구획되는 구조이며, 구획되는 저장실 중 어느 하나에 제빙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구조를 이룬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이전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격벽(190)에 의하여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은 각각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 제 2 도어(740)는 서랍식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제빙 어셈블리(4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디스펜서(736)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상기 도 13 및 도 14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저장실(710)의 전방 개구면은 단열벽(711)에 의하여 차폐되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는 냉동실(20) 온도에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이스 메이커(452), 아이스 뱅크(454), 전동 모터(456), 크러셔(457) 및 오거(458)를 포함하며, 설계 조건에 따라 냉각팬(459)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459)은, 상 기 공급덕트(282)로부터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골고루 분포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냉기가 신속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냉각팬(459) 구조는 이전의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제 2 저장실(720) 내부 일측에는 워터 탱크(290)가 장착되고, 상기 워터 탱크(290)에는 급수 유로(292)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292)가 냉장고 본체(10)를 정의하는 벽을 따라 급수원과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도 13 및 도 14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일부분이 상기 제 2 저장실(740)의 상측 일부 공간을 차폐하는 형태가 제시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와 제 2 도어(740)의 상단부가 만나는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전방 측에는 냉기 누설 방지를 위한 프레임(72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배면에 제공되는 가스켓과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배면에 제공되는 가스켓이 상기 프레임(722)의 전면에 밀착되어,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 1 도어(730)가 상기 제 1 저장실(710)만을 차폐하는 크기로 형성된다면, 별도의 프레임 구조가 필요없고, 상기 격벽(190)이 프레임의 기능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디스펜서(736)에 음용수 취출을 위한 취출구 구조가 제공되지 않고, 얼음 취출 구조만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워터 탱크(290)와 음용수 공급을 위한 급수 유로(292) 구조는 필요 없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전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도어(730)가 인출될 때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제 1 저장실(7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자주 외부로 노출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들(730,740)이 인출되더라도 제빙 어셈블리(4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가 제 1 저장실(710)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빙 어셈블리(450) 전체를 감싸는 별도의 단열벽 구조가 제공될 필요가 없음을 재차 밝혀 둔다. 즉, 상기 단열벽(711) 구조만 제공되어도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설계 조건에 의하여 제빙실을 정의하는 별도의 단열벽이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단열벽(711)은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제시된 구조로부터,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을 개폐하는 도어가 하나인 구조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와 제 2 도어(740)로 구분되지 않고, 단일 도어가 제공되어, 상기 제 1 저장실(710)과 제 2 저장실(720)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을 것 이다. 이러한 구조를 다수의 저장실/단일의 도어 구조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경우, 상기 제 2 저장실(720)이 개방될 때, 상기 제 1 저장실(710)도 함께 개방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 1 저장실(710)은 상기 단열벽(711)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제 1 저장실(710)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뿐만 아니라, 단일 도어 구조로 변형될 경우, 상기 프레임(722) 구조는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반대로, 제 1 도어(730)가 두 개의 도어로 분할되는 실시예도 제안 가능할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도어(730)가 상기 제빙실(710) 만을 덮는 상측 도어와, 상기 디스펜서 부분을 포함하는 하측 도어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벽(711) 대신 상기 상측 도어가 상기 제빙실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도어에는 디스펜서(736)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펜서(736)의 후방으로 수납부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저장실(720)은 상기 디스펜서(736)가 정의되는 하측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개폐될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저장실/다수의 도어 구조이면서, 하나의 도어는 하나의 저장실 전부 또는 일부를 개폐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빙 어셈블리가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고, 디스펜서 구조만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배면에 제공되며, 저장실이 단일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실(30), 냉동실(20) 및 상기 냉장실(30)의 측방에 더 제공되는 저장실(76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760)은 단일 공간으로 제공되며, 상기 저장실(760)의 상측부에는 제빙실(460)이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저장실(760) 공간과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상기 제빙실(460) 내부 온도와 상기 저장실(760) 내부 온도가 다르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760)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가 수용되며,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는, 아이스 메이커(452), 아이스 뱅크(454), 전동 모터(456), 크러셔(457), 오거(458) 및/또는 냉각팬(45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전면부는 일측 가장자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을 정의하는 단열벽들 중 바닥부에는 얼음 배출을 위한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장실(760)의 전면 개구부는 도어(75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도어(750)는 이전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가 하나로 합쳐진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의 일측에는 디스펜서(736) 구조가 제공된다. 즉, 상기 도어(750)의 전면에는 용기가 수용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얼음 배출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슈트(7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상단부는 상기 디스차지홀(461)과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스 뱅크(456)로부터 배출되는 얼음은 상기 디스차지홀(461)을 통과하고, 상기 아이스 슈트(748)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펜서(736)로 배출된다.
한편, 도면으로 제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빙실(460)이 상기 도어(750)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750)와 함께 인출입되는 구조도 제안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됨을 밝혀 둔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750)가 두 개로 분할되고, 상기 저장실(760)도 두 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7과 18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750)는 상기 디스펜서(736) 및/또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제 1 도어와, 수납부만 구비되는 제 2 도어로 분할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저장실(760)도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빙 어셈블리(460)와 상기 디스펜서(736)의 후반부를 수용하는 제 1 저장실과, 상기 제 2 도어에 구비되는 수납부를 수용하는 제 2 저장실로 구획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할된 제 1 저장실은 제 1 도어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분할된 제 2 저장실은 제 2 도어에 의하여 개폐될 것이다. 물론, 상기 제빙 어셈블리(460)는 상기 분할된 제 1 저장실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다수의 저장실/다수의 도어 구조이면서, 하나의 도어는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실 및 냉동실과 별개로 제공되는 저장실 및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각각 단일의 공간 및 단일 도어로 제공되고, 상기 도어에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만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본체(10)는 냉장실(30), 냉동실(20) 및 저장실(76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760)은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는 도어(750)에 의하여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도어(750)의 배면에는 수납부(754)가 적어도 1단 이상 제공되며, 상기 수납부(754)에는 각종 용기가 얹혀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750)의 전면에는 음용수 취출을 위한 디스펜서(756)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756)의 상부면으로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저장실(760) 내부 일측에는 워터 탱크(290)가 장착되고,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워터 탱크(290)로부터 상기 디스펜서(756)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음용수 공급을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탱크(290)가 별도로 제공되는 것 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급수 유로(292)의 일단은 상기 급수 탱크(29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750)가 개방될 때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 탱크(29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도어(75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급수 유로(292)가 급수 탱크(290)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디스펜서(756)가 상기 도어(750)의 상측에 형성 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상기 디스펜서(756)가 상기 도어(750)의 하측에 가깝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도 손쉽게 음용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얼음 취출용 디스펜서는 구비되지 않고 음용수 취출용 디스펜서만이 구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와 저장실(737)을 개폐하는 도어(750)가 하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 개인 경우도 상정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상측과 하측에 각각 제공되고, 상기 음용수 취출용 디스펜서가 어느 한 쪽의 도어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실(760)도 복수 개로 구획되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이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2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2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어(730)가 제 1 저장실(710) 전부 및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를 차폐하고, 제 2 도어(740)가 제 2 저장실(720)의 나머지 일부를 차폐하는 구조를 이룬다. 나아가, 제빙 어셈블리(450)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를 차폐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제 1 도어(730)의 배면에 장착되고, 얼음 및/또는 물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46)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장착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및 상기 디스펜서(746)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유로(292)는 급수원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도어(730) 및/또는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인출되면, 상기 급수 유로(292)는 어느 지점에서 분리되고, 분리되는 지점에 제공되는 개폐 밸브(V)에 의하여 물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 사이에는 격벽이나 프레임이 없고, 상기 제 1 도어(730)의 하단부 배면에 필러(pillar)(5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상기 필러(50)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빙 어셈블리(450)의 저면 전방측에는 얼음 인출을 가이드하는 디스차지 덕트(462)가 상기 디스펜서(740)쪽으로 연장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740)의 상측에는 얼음 인출을 가이드하는 아이스 슈트(74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에 근접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는 없다. 즉,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최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부를 지나는 평면(L1)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도어(7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7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가 상기 제 2 도어(74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는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 쪽으로 돌출될 수 있으나, 상기 필러(50)의 하단부를 지나는 평면(L2)보다 상측으로 더 연장될 수는 없다. 즉, 상기 제 1 도어(7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도어(740)를 개방할 때,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가 상기 필러(5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 내부에는 각각 댐퍼(D)가 장착되어, 상기 제 1 도어(730) 또는 제 2 도어(740) 중 어느 한 쪽만 개방될 때 얼음 인출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부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와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는 밀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댐퍼(D)의 조작을 통하여 제빙실(460)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가 상기 제 2 저장실(720)로 누설되거나 디스펜서(746)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하나로서, 얼음을 취출하는 과정을 제외하고는 상기 댐퍼(D)에 의하여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아이스 슈트(748)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로가 차폐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 덕트 단부의 내경(d1)이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 내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게 형성되도록 하여, 취출되는 얼음의 일부가 상기 제 2 저장실(720)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734)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다단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수납부(734)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 레일(61)과, 상기 고정 레일(6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 레일(6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내부 측벽에는 상기 레일 부재(6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이후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일 부재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임을 밝혀 둔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21에서 제시된 냉장고와 구성에 있어서 대부분 동일하고, 다만 제빙실(460)이 저장실 내부에 고정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실(460)이 저장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저장실(720)의 후측벽에 고정되고, 제빙 어셈블리(450)가 상기 제빙실(46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어(730)의 상측 일부분은 상기 제 1 저장실(710) 전부를 차폐하고, 하측 일부분은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일부분을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디스펜서(746)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도어(740)는 상기 제 2 저장실(720)의 나머지 일부분을 차폐한다.
여기서, 상기 제빙실(460)의 저면에는 디스차지 덕트(462)가 연장되며,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는 상기 디스펜서(746)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아이스 슈트(748) 쪽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는 전방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아이스 슈트(748)의 입구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제 1 도어(730)를 전방으로 인출하더라도 상기 제빙실(460)은 이동하 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단부가 상기 제 2 도어(740)의 상단보다 낮은 지점까지 연장되어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이 상기 도 21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다른 특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의 하단과 상기 아이스 슈트(748) 입구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냉기 누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디스차지 덕트(462)와 아이스 슈트(748) 내부에 댐퍼(D)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급수 유로 및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의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에서 제시되는 급수 유로 및 전선에 대한 실시예는 이전의 실시예들 및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두며, 이러한 급수 유로는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에 지나지 않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도 21에 제시되는 냉장고 구성을 기본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워터 탱크 또는 급수원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 유로(292)가 냉장고 본체(10)의 측벽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로(292)는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측벽의 전면부에서 연장이 중단되고, 단부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 2 도어(740) 내부에도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292)가 상기 디스펜서 쪽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급수 유로(292)의 단부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되는 급수 유로(292)의 단부는 상기 개폐 밸브(V)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즉, 상기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히면, 상기 냉장고 본체(10) 측 급수 유로와 상기 제 2 도어(740) 측 급수 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 밸브(V)는 개방된다.
본 도면에서는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만이 냉장고 본체를 따라 디스펜서로 연장되는 것에 대해서 제시되어 있으나, 제빙실이 제 1 도어 또는 제 2 도어에 고정되는 구조에서는, 제빙용 급수 유로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734)의 바닥에 해당하는 부분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된다. 그리고, 어느 일측의 레일 부재(60) 내측으로 전선(P)이 연장되어, 상기 제 2 도어(740)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디스펜서(736)를 구동하는 제어부(미도시)로 연결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부(734)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61)의 내부에 상기 전선(P)이 수용되고, 상기 전선(P)은 나선형으로 감기고 소정의 탄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P)은 상기 제 2 도어(74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늘어났다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전선의 파손 문제가 예방될 수 있다.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25 및 도 26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전원 공급 구조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 서, 전원 공급 구조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는, 냉장고 본체(10)의 측벽 내부를 따라 전선(P)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 본체(10)의 측벽 전면, 즉 상기 제 1 도어(730) 또는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접촉되는 면에 소켓(600)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P)은 상기 소켓(6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또는 제 1 도어(730))의 배면 중 상기 소켓(600)에 대응하는 면에는 플러그(601)가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 내부에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602)가 매설되고, 상기 플러그(60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602)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전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 기타 전기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상기 플러그(601)가 냉장고 본체(10) 쪽에 제공되고, 상기 소켓(600)이 상기 제 2 도어(740) 쪽에 제공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2 도어(74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플러그(601)가 상기 소켓(600)에 끼워져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602)가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플러그(601)가 상기 소켓(600)으로부터 분리되어 충전이 중단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선(P)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제 2 도어(74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각종 전장 부품이 동작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 도어(74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배터리(60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전장 부품이 동 작하게 된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들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실 도어의 배면에 제빙실이 장착되고, 상기 제빙실 내부에 제빙 어셈블리 및 디스펜서 구조가 모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빙용 급수 유로와 음용수 취출을 위한 급수 유로가 저장실 도어 쪽으로 연장되는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돕기 위하여 제 2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 2 도어(740)의 배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가 구현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에는 제빙실(770)이 상하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빙실(770)의 일 측면에 제빙실 도어(771)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770)의 내부에는 제빙 어셈블리(450)를 구성하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 뱅크(454)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 내부에는 오거(458) 및 크러셔(457)가 제공되며, 상기 오거(458) 및 크러셔(457)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미도시)는 상기 제 2 도어(740)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는 상기 제빙실(770) 내부의 상부면에 장착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직하방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의 하측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아이스 슈트(748)를 가지는 디스펜서(746)가 제공된다. 즉,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디스펜서(748)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54)는 상기 디스펜서(748)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도어(740)를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 도어(771)를 열어 상기 아이스뱅크(45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거(458)와 크러셔(457)를 포함하는 이송 수단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 예컨대, 미국 등록 번호 제6,082,103호에서 제시되는 수직향 오거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한국공개특허 제2008-0052503호에서 제시되는 회전축이 경사지는 오거 구조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2 도어(740)와 교체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거나, 상기 제 2 도어(740)와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740)에 의하여 개폐되는 제 2 저장실(720) 측벽 내부에는 한 쌍의 급수 유로(292)가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단부에 개폐 밸브(V)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도어(74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개폐 밸브(V)에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급수 유로(292)의 단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 구조에 대해서는 이전에 설명되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빙실(770)의 후방에는 수납부(744)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744)의 양 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장착되어, 상기 제 2 도어(740)가 전방 인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실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하여 제빙 어셈블리로 공급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넘침 방지 수단을 보여준다.
상세히, 제빙실(460) 내부에는 아이스 메이커(452)가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을 가로질러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쪽으로 급수 유로(292)가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빙실(460)의 바닥에는 디스차지 홀(461)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부터 분리되는 얼음이 상기 디스차지 홀(461) 쪽으로 이송되도록 가이드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일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 판(459)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판(459)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상부면 측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디스차지 홀(461)에 근접한다.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물넘침 방지부(453)가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이 저장실 도어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저장실 도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에 저장된 물이 관성에 의하여 흘러 넘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는 관성에 의하여 흘러 넘치는 물이 다시 아이스 메이커(452)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관성의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가 라 운드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부터 위로 솟아 오르는 물이 상기 물넘침 방지부(453)의 내주면을 타고 흘러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재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넘침 방지부(453)는 상기 제빙실(460) 내부의 구조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장착 방향 등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바닥면에 흘러넘친 물을 받을 수 있는 잔수 트레이가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빙 어셈블리는 제빙 메커니즘으로 정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빙 어셈블리와 제빙실을 포함하는 구조도 제빙 메커니즘으로 포괄하여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적어도 제빙 어셈블리를 가지는 구성은 제빙 메커니즘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은 상기 제빙 어셈블리를 감싸는 단열벽 구조와 같은 물리적 형상뿐 아니라, 상기 단열벽 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 해석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저장실, 즉 제 1 저장실 및 제 2 저장실은 냉장실과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 또는 운전 조건에 따라 냉장실과 냉동실 상화간의 전환이 가능한 절환실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나타난 냉장고의 구조는, 냉장고 본체의 어느 일 측방에는 회동식 도어가 아닌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방식 도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냉장고가 실내 공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벽쪽에 밀착되는 쪽의 도어가 벽면에 의하여 90도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 하는 단점이 극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저장실의 경우 냉장실에 비하여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반면, 병과 같은 길이가 긴 용기를 수납하기에 용이하므로, 냉장고 내부의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3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3과 도 3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냉장실의 내측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된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가 회동식 도어와 다수의 슬라이딩 도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이 각각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32), 냉동실 도어(22),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에 의해 외형이 정의된다.
상기 냉장실(30)과 냉동실(20)은 각각 상기 본체(10)의 상부와 하부에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차 폐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힌지(34)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결합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세로방향 높이는 상기 냉장실(30)의 세로방향 높이에 대응하며, 가로방향 폭은 상기 냉장실(30)의 가로방향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회동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가로방향 일정폭 만큼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외부에서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를 볼 수 있으며, 특히 아래에서 설명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 까지도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전면은 유리소재로 형성되며, 둘레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유리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작동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상기 냉장실(30)의 전면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에 의해 각각 차폐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다른 하나의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의 도어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다수의 선반(12)과 서랍(14)이 제공된다. 상기 선반(12) 및 서랍(14)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가로방향 폭보다 크지 않게 형성되어 상기 냉장실 도어(32)만을 개방한 후에 상기 서랍(14)과 선반(12)을 간섭없이 인출입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후벽면에 캔틸레버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공간에서 탈착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어 상기 냉장실(30)의 좌측공간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도어(130)는 상기 제2도어(14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전면에는 도어핸들(132,144)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후방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도 3에서, 134,14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도어(140)의 후방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도 3에서, 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도어(140)의 전면에는 음용수 및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142)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142)는 상기 제빙실(160)의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실(160)과 연통되며, 음용수의 공급을 위해 외부의 급수원과 급수 유로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디스펜서(142)에는 제빙된 얼음과 음용수가 취출되는 각각의 취출구 및 조작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142)의 하방에는 얼음 또는 음용수의 취출 중 발생되는 잔수를 받기 위한 잔수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42)의 상방에는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인출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5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35와 3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는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서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되는 장착 레일(63)과, 상기 장착 레일(63)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레일(62)과, 상기 제1도어(130) 또는 제2도어(140)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레일(62)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슬라이딩 도어와 연결되는 고정 레일(61)로 구성된다.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인출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에 제공되는 수납부(134,146)가 완전하게 외부측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다단으로 연장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130) 및 제2도어(140)는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 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일부를 개폐하고 상기 수납부(134,146)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좌우측 중 일측을 제외한 상기 제1도어(130)와 제2도어(140)의 상측 및/또는 하측과 좌우측 중 다른 일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도어(130)와 인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는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레일 부재(60)의 지지 및 장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도어(130)의 인출입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130)의 상면 및 좌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130)의 좌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제1도어(130)의 상하 길이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레일(62)은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된 장착 레일(63)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 레일(61)은 상기 제1도어(130)의 상면과 좌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레일(63)과 이동 레일(62), 고정 레일(61)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13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상측과 좌측에 매달린 상태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도어(140)와 인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도 상기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및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게 제1도어(130)의 인출입을 위한 상기 레일 부재(60) 및 레일 장착부재(70)와 그 장착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제2도어(140)의 하면과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바닥면과, 상기 제2도어(140)의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좌측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는 상기 레일 부재(60)의 장착 레일(63)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레일(63)에는 이동 레일(62)이 장착되며, 상기 제2도어(140)의 좌측면과 하면에는 고정 레일(61)이 장착되어 상기 제2도어(140)가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면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인출입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레일 장착부재(70) 및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되지만,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인접하는 서랍(14) 또는 저장실(도 41에서 102)과 같은 별도의 저장공간이 제공되는 경우 이와 같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을 보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 및/또는 하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입시 유동을 방지하는 인출가이드(4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가이드(42)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측면 상단 또는 하단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인출시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인출가이드(42)에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와 레일 부재(6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가이드(42)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제공되는 수납되는 식품들을 가리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도어(140)의 배면 하측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상기 제 빙실(160)이 구비되며,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디스펜서(14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제빙실(160)의 우측면과 상기 서랍(14)의 좌측면 사이에 상기 제2도어(14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추가의 레일 부재(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실(160)은 상기 제2도어(14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146)의 위치 또한 상기 제빙실(160)의 상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D-D'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고,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8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냉장실의 내측을 구획하는 베리어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구성된 냉장실을 냉장실 도어와 제1도어 및 제2도어가 차폐하며,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에 필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냉장실(30)과 냉동실(20)로 상하 구획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일부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냉장실(3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에 의해 차폐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와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되며,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측방에서 상하로 배치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상면과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지지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의 인출입을 위한 레일 부재(60)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하면과 좌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지지 및 슬라이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434,44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과 얼음의 취출을 위한 상기 디스펜서(43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436)는 사용자의 키를 고려하여 상기 제1도어(4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측에는 제빙실(4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상기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서 독립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장실(30)의 후벽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완전한 인입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제공되는 냉기덕트(480)와 상기 제빙실(460)의 내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기덕트(480)는 상기 제빙실로 냉기를 안내하는 공급덕트(482)와, 증발기측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귀환덕트(484)로 구성되며, 상기 각각 공급덕트(482) 및 귀환덕트(484)와 대응하는 상기 제빙실(460)의 후벽에는 냉기 입구(462)와 냉기 출구(464)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덕트(482)는 상기 냉기 입구(462)와 연통되고, 상기 냉기 출구(464)는 상기 귀환덕트(484)와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460)과 증발기측 사이에 지속적인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빙실(460) 내부의 아이스뱅크(454)에는 전동 모터(456)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오거(458)와, 동일한 회전축상에 제공되어 얼음을 분쇄하는 크러셔(45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뱅크(454)의 전동 모터(456) 및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의 동작을 위한 전원은 상기 제1도어(430)의 완전한 인입시 연결되는 전원 커넥터(466)에 의해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460)의 일측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 및 디스펜서(436)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워터탱크(490)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490)는 착탈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물을 급수하여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시 상기 제빙실(460)과 함께 상기 워터탱크(490) 또한 상기 제1도어(430)와 함께 전후방으 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탱크(490)의 물은 급수 유로(492)에 의해 각각 상기 디스펜서(436)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492)는 상기 워터탱크(490)와 상기 디스펜서(436) 및 아이스 메이커(452)를 연결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내측에 발포 충진된 단열재 내측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제빙실(460)과 떨어진 본체(10)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디스펜서(436)로 급수원과 직결된 급수유로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제1도어(430)의 인입에 따라 상기 제빙실(460) 일측에 제공된 연결부(468)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유로에는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배면에는 상기 냉장실(30) 내부의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43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서로 인접하는 사이에는 필러(50)가 제공된다.
상기 필러(piller)(50)는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가로방향 폭과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인입시 회동되어 상기 필러(50)의 전면에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제2도어(440)의 상단이 접하여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사이로 상기 냉장실(30) 내부의 냉기 누설을 단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러(50)에 제공되는 탄성부재(52)에 의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필러(5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제1도어(430)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도어(430)를 전방에서 볼 때 상기 필러(50)가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러(50)에 제공되는 탄성부재(52)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2)는 상기 필러(50)와 상기 제1도어(430)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필러(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52)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장착 위치 또한 상기 필러(50)의 회전 축 등에 상기 필러(5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50)의 일측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54)는 상기 냉장실(30) 내측의 대응하는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7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필러(50)의 자연스러운 회전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홈(70)과 가이드 돌기(54)의 대응하는 면은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70)은 전방으로 개구되며, 상기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70)은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홈(70)과 접하는 상기 가이드 돌기(54)에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곡률과 대응하는 만곡부(56)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축결합된 상기 필러(50)의 가이드 돌기(54)가 상기 냉장실(30) 내측 벽면에 고정된 가이드 홈(70)을 따라서 이동될 때 상기 필러(5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4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50)는 상기 탄성부재(52)가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필러(50)의 전면이 하방을 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430)를 후방으로 인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54)의 만곡부(56)가 상기 가이드 홈(70)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를 지속적으로 더 인입하게 되면, 상기 필러(50)는 상기 제1도어(43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54)에 형성된 상기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내측을 따라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를 완전하게 인입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 돌기(54) 의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완전히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러(50)의 전면은 전방을 향하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은 물론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이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러(50)의 만곡부(56)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내측과 형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필러(50)의 전면은 상기 제1도어(430)가 개방된 상태와 비교할 때 90°각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가 되고, 상기 냉장고(1)의 전방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52)는 가장 인장된 상태가 되며, 상기 제1도어(430)를 다시 인출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5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필러(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필러(50)는 상기 가이드 홈(70)의 안내에 의해 상기 만곡부(56)가 상기 가이드 홈(7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 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30)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세히,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우측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좌측부 중 상부를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저장실(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2)은 상기 제2도어(440)와 대응하는 좌측 하부 모서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되도록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2)은 상기 냉장실(3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냉동 식품의 저장을 위해 냉동실(2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2)은 제2도어(4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도어(44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의 배면에는 펜트리(Pantry)와 구조를 가지는 수납부(4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의 인출입에 의해 상기 수납부(442)에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도어(440)의 상부에는 제1도어(430)가 제공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냉장실(30)과는 단열된 별도의 독립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460)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452)와 제빙된 얼음을 저장 및 이송시키는 아이스뱅크(454)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투시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어 고외측에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440)에도 상기 레일 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제2도 어(44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저장실(102) 내측의 상하 좌우측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좌측면과 하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은 상기 저장실(102)의 상단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사이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41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의 일측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이때, 상기 냉장실(30)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와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 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42)가 형성된 상기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는 저장실(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4)은 상기 제1도어(430)와 대응하는 좌측 상부 모서리측에 형성되며, 상기 냉장실(30)과 구분되도록 단열벽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4)은 제빙 및 냉동 식품의 저장을 위해 냉동실(2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실(30)과 같은 온도로 유지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실(104)은 제1도어(4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도어(430)는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와 얼음의 취출을 위한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을 위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460)과 수납부(434)는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장실(10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개폐조작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4)의 내외측 으로 선택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도어(430)와 인접하는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우 측면에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과 상면을 지지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에 장착된다. 물론, 상기 레일 장착부재(70)와 상기 레일 부재(60)는 상기 저장실(104) 내부의 양측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저장실(104)의 내측이 냉동실(20) 온도와 같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단열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의 장착을 위한 공간만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104)의 냉기에 노출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의 수납부(434)에는 냉동 저장을 위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구비되는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 우측 벽면과 상기 저장실(104)의 우측 벽면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반(12)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벽면과 상기 저장실(104)의 외측 벽면에 돌출 형성된 안착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과 상기 제2도어(440)의 상단이 상기 저장실(104)의 전면 상단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의 완전한 인입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로 누설되는 냉기를 단속할 수 있게 된다.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3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40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 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4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로 구획되는 저장실(106)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6)은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빙실(46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빙실(460)이 인출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6)은 상기 제빙실(460)의 위치와 대응하는 냉장실(30) 내부 좌측 상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30)과 단열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06)은 제1도어(430)에 형성된 제빙실(460)과 대응하는 제1도어(430)의 일부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냉장실(30)의 일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제빙실(460) 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저장실(106)의 내측이 냉동실(20) 온도와 같이 영하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빙실(460)은 별도의 단열공간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의 장착을 위한 공간만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106)의 냉기에 노출되어 제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제1도어(430)의 상부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실(460) 하부에는 수납부(43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4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빙실(460)은 상기 저장실(106)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수납부(434)는 상기 저장실(106) 하방의 상기 냉장실(30)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면과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실(106)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중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부재(6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빙실(460)과 수납부(434)의 좌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6)과 상기 냉장실(3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시 상 기 제빙실(460) 및 상기 수납부(43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의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 다.
도 4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냉장실 내부에 별도의 제빙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내부의 공간 구성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430) 및 제2도어(4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힌지(34)에 의해 상기 본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434,4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냉장실(30)에는 별도의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실(10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108)은 상기 제1도어(43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도어(830)가 닫힐 때 전면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108)의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108)의 전면은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8)은 상기 냉장실(30) 내부 좌측 상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영하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냉장실(30)과 단 열벽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전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436)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배면에는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는 저장실(108)이 상기 디스펜서(436)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디스펜서(4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4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의 상면과 좌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저장실(108)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제1도어(430)는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레일 부재(60) 중 상기 제1도어(430)의 좌측면에 구비되는 레일 부재(6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실(108)과 수납부(434)의 좌측면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입에 따라서 상기 저장실(108)의 전면과 상기 냉장실(3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도어(430)의 인출시 상기 제빙실(460) 및 상기 수납부(434)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4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430)의 수납부(434)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430)의 하방에는 제2도어(4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 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4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는 상기 제2도어(4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2도어(440)의 수납부(442)에 보관되는 식품을 상기 냉장실 도어(32) 및 제2도어(440)를 개방하지 않고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4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430)와 제2도어(440) 사이의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상기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성 및 디스펜서의 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디스펜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 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830) 및 제2도어(8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본체(10)에 힌지(3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834,8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830)는 상기 제2도어(84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830)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83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레일 장착부재(7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도어(830)는 상기 제2도어(840)의 상하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배면 상부에는 제빙실(8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8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860)의 내부는 제빙을 위해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빙실(860)은 상기 냉장실(30)과는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후방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836)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빙실(86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펜서(836)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높이인 상기 제1도어(830)의 중간 또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빙실(860)과 연통되어 상기 제빙실(860)로부터 제빙된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냉장실(30)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도어(83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 상기 수납부(834)와 함께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836)는 상기 제1도어(830)를 슬라이딩 인출하였을 때 상기 냉장실(30) 외측의 측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디스펜서(8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8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836)의 후방 및 하방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834)가 각각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830)의 하방에는 제2도어(8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레일 부재(60)가 장착되는 상 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8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830)에 다단으로 구성되는 수납부(834)와, 상기 제2도어(840)의 제공되는 수납부(842)는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1도어(830) 및 제2도어(840)의 수납부(834,842)에 보관되는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를 회동시켜 상기 냉장실(30)을 개방하게 되면, 상기 디스펜서(836)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1도어(83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태로 상기 디스펜서(836)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의 상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에 구비되는 수납부(834,842)의 배열 또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도어(8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830)와 제2도어(840) 사이로 냉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도 37에서 제시되는 냉장고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되,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의 구성 및 디스펜서의 위치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제1도어와 제2도어 및 디스펜서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서의 본체(10)는 상하로 구획되어 각각 냉장실(30)과 냉동실(2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은 냉장실 도어(32)와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냉동실(20)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32)는 상기 냉장실(30)의 개구된 전면 일부를 회동에 의해 차폐하며, 수납부(934,942)가 형성된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는 서랍식으로 전후방 인출입되면서 상기 냉장실(30)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 도어(32)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930)는 상기 제2도어(940)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930)에 대응하는 상기 냉장실(30)의 상면과 좌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93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부재(60)는 레일 장착부재(7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제1도어(930)의 후방에는 식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934)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934)는 1단 또는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식품이 저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930)의 하방에는 제2도어(9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도 어(940)는 상기 레일 부재(60)에 의해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하면과 상기 좌측 벽면에 인접하게 되므로, 상기 레일 부재(60) 및 상기 상기 레일 장착부재(70)는 상기 냉장실(30)의 하면과 좌측 벽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도어(940)는 상기 냉장실(30)의 내측 상면과 좌측면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도어(940)의 배면 상부에는 제빙실(96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960)은 얼음을 만들고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아이스 메이커(452)와 아이스뱅크(454)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960)의 내부는 제빙을 위해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빙실(960)은 상기 냉장실(30)과는 구획된 단열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960)과 연통되는 상기 제2도어(940)의 배면에는 물 또는 얼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936)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펜서(936)는 상기 제빙실(960)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기구에 의해 상기 제빙실(960) 내부의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936) 측으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936)에는 음용수 취출구와 얼음 취출구 및 이들 각각의 취출 조작수단 그리고 잔수받이가 더 형성되며, 상기 디스펜서(936)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에 제공되는 수납부(934,942)는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30)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32)가 닫힌 상태에서도 투명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통해서 상기 제1도어(930) 및 제2도어(940)의 수납부(934,942)에 보관되는 식품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30)의 개방시 상기 디스펜서(936)가 상기 냉장실(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상기 제2도어(940)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냉장실 도어(32)를 개방하여 디스펜서(936)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도어(930)의 하단에는 상기 필러(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가 닫힌 경우, 상기 제1도어(930)와 제2도어(940) 사이의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식도어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1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1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 사시도.
도 20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부분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1 도어의 저면 사시도.
도 2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 2 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제공되는 급수 유로 및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B-B'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28 및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디스펜서로 연결되는 전원 공급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인출된 모 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6은 도 35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1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38은 도 37에서 제1도어가 닫힌 상태의 C-C'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배면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작동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작동 상태도.
도 4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

Claims (39)

  1.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측에 정의되는 냉동실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정의하는 상기 본체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 1 도어;
    상기 제 1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상기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다른 일부를 개폐하는 제 2 도어;
    상기 제 2 도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제 2 도어가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레일 부재;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 상측에 장착되며, 단열벽으로 이루어지는 제빙실;
    상기 제빙실 내부에 수용되며, 얼음을 만드는 아이스 메이커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의 하측에 놓여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 및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에 제공되어,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
    상기 제 2 도어의 후방에서 상기 제빙실의 하측에 제공되며, 냉장 식품 수납을 위한 수납부;
    상기 제 2 도어에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및
    상기 제 2 도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아이스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어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냉장실의 다른 일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뱅크와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아이스 슈트에 의하여 연통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제 2 도어의 좌우 양측면 중 상기 냉장실의 내측벽과 가까운 일측 벽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다단으로 연장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의 일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 2 도어는 서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는,
    상기 제 1 도어의 좌측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의 좌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의 상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하부 도어의 하측, 그리고 좌우측 중 어느 일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의 배면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의 배면 상단부 중 어느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 도어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도어의 하단부 사이를 통한 냉기 유출을 차단하는 필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의 측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냉장실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선택적으로 접하며, 상기 필러의 회전을 위해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는, 상기 냉장실 내부 전체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090035311A 2009-04-23 2009-04-23 냉장고 KR101584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11A KR101584805B1 (ko) 2009-04-23 2009-04-23 냉장고
AU2009344951A AU2009344951B2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MX2011009933A MX344533B (es) 2009-04-23 2009-09-17 Refrigerador.
CN2009801587829A CN102395845B (zh) 2009-04-23 2009-09-17 冰箱
BRPI0924935-4A BRPI0924935A2 (pt) 2009-04-23 2009-09-17 Refrigerador
PCT/KR2009/005308 WO2010123177A1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US13/265,354 US20120031136A1 (en) 2009-04-23 2009-09-17 Refrigerator
EP09843705.6A EP2422148A4 (en) 2009-04-23 2009-09-17 F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311A KR101584805B1 (ko) 2009-04-23 2009-04-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742A KR20100116742A (ko) 2010-11-02
KR101584805B1 true KR101584805B1 (ko) 2016-01-12

Family

ID=4301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11A KR101584805B1 (ko) 2009-04-23 2009-04-23 냉장고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31136A1 (ko)
EP (1) EP2422148A4 (ko)
KR (1) KR101584805B1 (ko)
CN (1) CN102395845B (ko)
AU (1) AU2009344951B2 (ko)
BR (1) BRPI0924935A2 (ko)
MX (1) MX344533B (ko)
WO (1) WO20101231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93B2 (en) 2019-11-19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2267A1 (en) * 2011-05-17 2012-11-22 Mellanox Technologies Ltd. Mounting rail with internal power cable
WO2013020807A1 (en) * 2011-08-05 2013-02-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 cooling device with an ice machine
KR101907166B1 (ko)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001465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860713B1 (ko) * 2013-02-23 2018-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138355B1 (ko) * 2013-10-04 2020-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91571B1 (ko) * 2013-10-04 2020-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278204B1 (ko) * 2013-10-04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5089439B (zh) * 2014-05-12 2016-10-12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柜体结构及采用该柜体结构的冷藏装置
KR101940510B1 (ko) * 2014-09-23 2019-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EP3001125B1 (en) 2014-09-23 2021-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with an ice-making compartment
KR20160045545A (ko) 2014-10-17 2016-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258196B1 (en) 2015-02-13 2022-05-2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EP3256800A4 (en) * 2015-02-13 2019-03-20 LG Electronics Inc. FRIDGE
KR101871266B1 (ko) * 2015-02-13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32166B1 (ko) 2015-06-18 2017-05-0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5214024A1 (de) * 2015-07-24 2017-01-26 BSH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einer Abgabetür
US9726423B1 (en) 2016-04-06 2017-08-08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liding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102573774B1 (ko) * 2016-07-13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IT201600093591A1 (it) * 2016-09-16 2018-03-16 Marcello Carluccio Frigorifero
CN108036560B (zh) * 2017-05-05 2021-10-29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防卡碎冰器
US10712074B2 (en) 2017-06-30 2020-07-14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tandem evaporators
US10837690B2 (en) * 2017-12-08 2020-11-17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US11525615B2 (en) 2017-12-08 2022-12-13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icemaking system with tandem storage bins and/or removable dispenser recess
DE102018126649A1 (de) * 2018-08-03 2020-02-06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Gefriergerät oder Kühl-/Gefrierkombination
CN109269207B (zh) * 2018-09-29 2020-10-0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水箱组件及冰箱
US10852046B2 (en) 2018-12-10 2020-12-01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door-mounted fluid dispenser
CN111380296A (zh) * 2018-12-29 2020-07-0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US11293680B2 (en) * 2019-06-14 2022-04-05 Midea Group Co., Ltd. Refrigerator with multiple ice movers
WO2021243864A1 (en) * 2020-06-01 2021-12-09 Chun Kit Lai Ice dispensing system
US11723459B2 (en) 2021-05-04 2023-08-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helf system for a beverage cabin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875A (ja) *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4887A (en) * 1945-02-17 1948-07-06 Ralph S Wyeth Supplemental food-storage cabinet for use in conjunction with refrigerators
US5135645A (en) * 1991-03-28 1992-08-04 Raytheon Company Refrigerator water filter
US6059420A (en) * 1999-02-17 2000-05-09 Rogers; Thomas See through refrigerator door construction
US6253568B1 (en) * 1999-12-23 2001-07-03 David A. Peffley Refrigerator with enhanced freeze compartment access
KR20040049058A (ko) * 2002-12-03 2004-06-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슬라이드도어의 전원공급구조
KR20040059041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설치구조
KR100565606B1 (ko)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0577422B1 (ko) * 2003-12-11 2006-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고
KR100621236B1 (ko) * 2004-05-17 2006-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실 도어 제빙실의 그릴 개폐장치
KR100626459B1 (ko) * 2004-08-26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개폐 장치
US7228702B2 (en) * 2004-10-26 2007-06-12 Whirlpool Corporatio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20060085985A (ko) * 2005-01-25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84B1 (ko) * 2005-04-18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KR101093900B1 (ko) * 2005-07-12 2011-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형 냉장고의 레일조립체
US8075074B2 (en) * 2006-03-24 2011-12-13 Whirlpool Corporation Door to cabinet interface for refrigerator
KR100765196B1 (ko) * 2006-07-20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DE102006061093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und Eisvorratsbehälter dafür
DE102006061100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bereiter, damit ausgestattes Kältegerät und Eisbereitungsverfahren
CN101012993A (zh) * 2007-02-15 2007-08-08 海尔集团公司 透明电冰箱
KR20080079113A (ko) * 2007-02-26 2008-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966926B2 (en) * 2008-05-08 2015-03-03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with easy access draw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0875A (ja) *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59893B2 (en) 2019-11-19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95845B (zh) 2013-12-11
MX2011009933A (es) 2011-10-06
WO2010123177A1 (en) 2010-10-28
EP2422148A4 (en) 2016-01-13
BRPI0924935A2 (pt) 2015-07-07
AU2009344951B2 (en) 2013-02-14
KR20100116742A (ko) 2010-11-02
US20120031136A1 (en) 2012-02-09
MX344533B (es) 2016-12-19
CN102395845A (zh) 2012-03-28
AU2009344951A1 (en) 2011-09-22
EP2422148A1 (en)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1584806B1 (ko) 냉장고
KR101621578B1 (ko) 냉장고
EP1653179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EP2623906B1 (en) Refrigerator
EP1653175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EP1657510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101052150B1 (ko) 냉장고
KR101392596B1 (ko) 냉장고
EP1653176B1 (en) Ice making and dispensing system
KR20120080722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KR20110046405A (ko) 냉장고
KR20060085985A (ko) 냉장고
KR20090075911A (ko) 냉장고
KR2011004640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