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35A -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35A
KR20210058235A KR1020190145458A KR20190145458A KR20210058235A KR 20210058235 A KR20210058235 A KR 20210058235A KR 1020190145458 A KR1020190145458 A KR 1020190145458A KR 20190145458 A KR20190145458 A KR 20190145458A KR 20210058235 A KR20210058235 A KR 2021005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ssembly
frame
bracke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김기영
강덕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235A/ko
Priority to CN202011256785.0A priority patent/CN112797711A/zh
Priority to EP20207413.4A priority patent/EP3822563B1/en
Priority to AU2020267293A priority patent/AU2020267293B2/en
Priority to US17/097,634 priority patent/US11768028B2/en
Priority to EP23219422.5A priority patent/EP4336132A3/en
Publication of KR2021005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35A/ko
Priority to AU2023200070A priority patent/AU2023200070A1/en
Priority to US18/233,963 priority patent/US202303840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1Removal by evaporation
    • F25D2321/1413Removal by evaporation using heat from electric elements or using an electric field for enhancing remo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겹의 유리재질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투시부(142)와 베젤부(143)가 있는 패널유닛(140)과,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을 감싸도록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150)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상기 패널유닛(140)을 지지하고, 상기 투시부(142)의 둘레면들을 각각 감싸는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코너브라켓(160A~160D)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별도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아웃프레임을 덧대지 않고 도어프레임(150)만으로 패널유닛(140)을 지지하므로 도어의 지지구조를 얇게 할 수 있고, 패널유닛(140)을 통해 냉장고의 내부 등을 투시할 수 있는 부분(투시부(142))은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버튼과 같은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도어조립체와, 이러한 도어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냉장고의 내부를 볼 수 있게 하여 냉장고의 도어 개폐를 줄이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 도어는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로 구성된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냉장고 도어는 단열성능을 위해서 내부에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발포제를 발포 충진하여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처럼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냉장고용 도어는 일반적인 도어에 비하여 발포 공간 및 발포 유로가 상대적으로 작아 발포제의 발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냉장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유리 부분을 회피하여 외곽 부분에 발포 공간을 만들어야 하므로, 발포 공간 및 발포 유로는 도어 전체에서 투시부분을 제외한 부분, 즉 도어프레임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도어의 도어프레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발포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냉장고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거나, 투시창을 통해 도어프레임이 노출되어 미감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8334에는 가조립된 도어에 발포제를 발포할 때 발포 저항을 줄이는 내용이 공개되어 있는데, 발포 공간 및 유로확보를 위해 도어프레임이 두껍고, 투시창의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다.
또한, 도어의 도어프레임 내부에 발포제를 충진하면, 도어프레임 부분에는 터치버튼과 같은 전기회로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전기회로부품을 발포 공간 내부에 설치하여 발포제로 고정할 수도 있지만, 이렇게 되면 전기회로부품의 유지보수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06542에는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해 프레임의 일부에만 투시창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발포제를 충진하여 디스플레이 부분을 분리할 수 있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만 투시할 수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발포제로 채워져 냉장고의 내부를 관찰할 수는 없다.
한편 최근에는 주변가구와의 디자인적 조화를 위해서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도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빌트인 냉장고는 최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아일랜드 주방(Kitchen Island)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싱크대와 독립된 작업대인 아일랜드 타입의 주방가구는 편의성은 높지만, 전체 높이가 낮기 때문에 냉장고를 빌트인 타입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특히, 냉장고의 전체 높이가 낮아지면 도어의 크기도 함께 작아지므로 앞서 설명한 발포제의 충진을 위한 공간을 도어에 확보하기 어렵고, 전기회로부품을 도어에 설치하기 위한 공간도 좁아져 전기회로부품의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어 내부에 발포제를 충진하지 않고, 대신 단열성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겹으로 구성된 유리패널을 도어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도어 전체의 무게가 크게 증가할 뿐 아니라, 유리패널의 지지를 위한 도어프레임도 무겁고 튼튼한 재질로 만들어야 하고 강도보강을 위해 도어프레임을 다중구조로 구성할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도어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큰 힘을 사용해야 하므로 편의성이 떨어지고, 도어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7833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0654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조립체에 투명한 도어패널을 적용하여 냉장고 등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되 도어패널을 감싸는 도어프레임을 얇게 하여 냉장고를 투시할 수 있는 면적은 넓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조립체의 도어프레임에 센서나 터치버튼과 같은 전기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또한 설치된 전기부품을 분해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조립체의 내부에 발포제를 충진하지 않고 투명한 재질의 도어패널을 사용하여 내부를 투시할 수 있게 하면서도 도어패널을 감싸는 도어프레임의 무게를 줄이고 도어프레임을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한 재질로 된 패널유닛이 도어조립체의 전면으로 드러나는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로 구성되고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도어패널은 상기 전면도어패널과 적층되는 단열도어패널 보다 넓어 가장자리에 베젤부가 형성되는 패널유닛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들을 감싸도록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을 갖는다. 이때,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패널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들을 각각 감싸는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코너브라켓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별도의 발포제를 사용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아웃프레임을 덧대지 않고 도어프레임만으로 패널유닛을 지지하므로 도어의 지지구조를 얇게 할 수 있고, 패널유닛을 통해 냉장고의 내부 등을 투시할 수 있는 부분(투시부)은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는데, 상기 부품수납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마주본다. 따라서 전면으로 드러나는 부분에 전장품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들 사이 중 적어도 2면 이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넓은 부품설치부를 도어조립체의 내부에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수납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베젤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베젤부의 배면에 위치한 도어프레임 구조와 전장품을 가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품은 상기 부품수납홈에 인접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품브라켓에 조립되고, 상기 전장품이 상기 부품브라켓에 조립되면 상기 전장품은 상기 베젤부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수납홈에 위치한다. 따라서 전장품은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수납홈은 상기 도어라이너에 의해 차폐되는데, 상기 도어라이너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분리되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부품수납홈의 접근성이 좋고, 작업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상기 도어라이너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어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은 나머지 도어패널들 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 상기 전면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 베젤부가 있고,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차부를 메운다. 따라서 도어조립체에 불필요한 공간을 최대한 줄이면서, 도어프레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양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과, 어퍼프레임 및 로어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의 각 모서리에는 코너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너브라켓은 직교하게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드프레임에 삽입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브라켓에 조립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어프레임의 내구성이 좋아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브라켓은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몸체와, 상기 제1브라켓몸체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브라켓몸체 및 상기 제2브라켓몸체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가지므로, 도어프레임에는 전체적으로 강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이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 사이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사이드결합판들과 밀착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과 코너브라켓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진다.
또한,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이 있고, 상기 사이드결합판들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결합판과,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1브라켓몸체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결합판과,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제3사이드결합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너브라켓이 도어프레임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어 도어프레임의 크기가 작아지고, 코너브라켓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의 한쪽 면에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1브라켓몸체가 밀착되고,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이 밀착되며, 상기 제1브라켓몸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 및 상기 지지브라켓은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결합판들 중에서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조립되는 제3사이드결합판이 가장 적게 돌출된다. 즉, 패널유닛과 접착되는 전면도어패널을 나머지 도어패널들과 비교하여 가장 크게 함으로써 접촉면적을 넓게 가져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판이 있고, 상기 접촉판의 표면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베젤부의 배면에 밀착되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판은 패널유닛과 접착되는 전면도어패널의 면적을 증가시켜 준다.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접촉판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들이 구비되어 상기 코너브라켓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 및 지지브라켓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결합판들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조립결합판과,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2브라켓몸체가 삽입되는 제1조립공간을 형성하는 제2조립결합판과, 상기 제2조립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립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이 삽입되는 제2조립공간을 형성하는 제3조립결합판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너브라켓이 도어프레임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어 도어프레임의 크기가 작아지고, 코너브라켓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조립결합판의 한쪽 면에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2브라켓몸체가 밀착되고, 상기 제2조립결합판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이 밀착되며, 상기 제2브라켓몸체, 상기 제2조립결합판 및 상기 지지브라켓은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들이 돌출되는데, 상기 조립결합판들 중에서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1조립결합판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조립되는 제3조립결합판이 가장 적게 돌출된다. 따라서 패널유닛과 접착되는 전면도어패널의 면적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패널유닛의 측면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이 있고,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들이 상기 패널유닛의 상면 또는 하면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이 서로 조립되면 상기 사이드결합판들과 상기 조립결합판들은 서로 연속되게 이어진다. 따라서 일원화된 도어프레임의 내부구조도 통일성이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코너브라켓의 조립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제2결합공간 및 제2조립공간을 차폐하여 미감을 좋게 한다.
그리고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베젤부의 배면과,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밀착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표면 사이는 접착물질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전면도어패널은 그 앞쪽 표면이 고스란히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미감을 좋게 해준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가장자리면과 연속된 표면을 만드므로, 디자인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품수납홈에는 도어 전면의 이슬방지를 위한 히터선이 내장되는 히터프레임이 삽입되고, 이때 상기 히터프레임은 상기 부품수납홈 내에 삽입되는 사각틀 형상이며, 상기 히터프레임에는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홈이 상기 히터프레임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히터선의 삽입구조가 간단해지고, 히터선을 다시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히터홈은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을 향해 일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따라서 히터선의 열이 전면도어패널로 잘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홈의 후방에 있는 히터프레임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에서 돌출된 지지리브에 의해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히터선이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쪽으로 지지되어 열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코너부에는 와이어가이드가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패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전장품 또는 히터선이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의 정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와이어 하네스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에서 여러겹의 유리로 된 패널유닛의 둘레면을 도어프레임이 감싸 지지하는데, 도어프레임은 다수개의 프레임들을 코너브라켓으로 연결해서 하나의 틀 형태로 만들어진다. 즉, 별도의 아웃프레임을 덧대지 않고 도어프레임만으로 패널유닛을 지지하므로 도어의 지지구조를 얇게 할 수 있고, 패널유닛을 통해 냉장고의 내부 등을 투시할 수 있는 부분(투시부)은 상대적으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냉장고의 보관공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식품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어프레임은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프레임으로 만들어지므로, 이와 반대로 도어프레임을 분해할 수도 있고, 특히 도어조립체의 내부에 발포제가 충진되지 않으므로 도어프레임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발포제의 충진공정이 생략되므로, 도어조립체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시간 및 생산비용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어프레임은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코너브라켓으로 연결되므로 각 프레임별로 형상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특히 각 프레임을 긴 바(bar)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도어프레임의 설계가 자유롭고, 각 프레임들을 사출이나 압출 등의 공정을 통해서 용이하게 만들 수 있어 제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프레임들을 연결하는 코너브라켓이 프레임의 바깥쪽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프레임들과 결합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의 전체두께를 더욱 줄여 도어조립체 및 냉장고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때, 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코너브라켓은 프레임의 내부에서 프레임과 여러겹으로 서로 겹치는 형태로 프레임에 조립된다. 따라서 프레임들과 코너브라켓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프레임들과 코너브라켓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보다 견고한 도어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고, 도어프레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 중 패널유닛의 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은 금속재질로 하여 패널유닛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패널유닛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어퍼/로어프레임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서 전체 무게를 줄여 도어조립체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패널유닛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는 어퍼/로어프레임을 합성수지재질로 만들면 보다 복잡한 형상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나 터치버튼과 같은 다양한 전장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수용구조를 도어프레임에 보다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도어조립체에 보다 다양한 부품을 여러 위치에 내장할 수 있고, 도어조립체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도어조립체에는 발포제를 충진하지 않으므로, 센서나 터치버튼 등의 부품들을 설치하는 작업과 이를 분리하는 작업이 모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어조립체에서 도어라이너를 분리하면 부품이 수용되는 부품수납홈이 바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접근성이 좋고, 부품의 유지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겹으로 구성된 유리재질의 패널유닛 중에서 가장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은 가장자리부분이 도어프레임에 둘러싸이지 않고 전면이 모두 노출된다. 따라서 도어조립체의 전방에서는 유리부분만 노출되므로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패널유닛은 여러겹의 유리로 만들어지는데, 가장 전면의 전면도어패널은 나머지 도어패널들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그 차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베젤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베젤부의 배면에 도어프레임이 결합되므로 전면도어패널은 모두 외부로 노출시키면서도 도어프레임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면도어패널의 베젤부를 반투명하게 만들면 뒤쪽에 있는 도어프레임 등 조립부를 가려 도어조립체의 미감을 좋게 하면서도, 베젤부의 배면에 위치한 터치버튼의 LED식별부 등이 조사하는 빛은 투과시킬 수 있으므로 베젤부를 디스플레이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에는 히터선이 삽입되어 도어전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해주는데, 도어조립체 내부에 발포제가 충진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히터선을 보다 용이하게 설계 및 조립할 수 있고, 발포제의 간섭 없이 전면도어패널 쪽으로 최대한 밀착될 수 있어 이슬방지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어조립체에 설치되는 센서 등 전장품의 와이어와 히터선은 발포제에 묻히지 않고, 도어조립체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과 패널유닛의 사이에 만들어지는 넓은 공간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그리고 연장된 와이어와 히터선 등은 도어조립체의 하부에 설치된 와이어가이드를 통해서 냉장고의 안쪽에 있는 제어부로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와이어가이드는 회전가능한 구조이므로 도어조립체가 여닫히는 과정에서도 와이어와 히터선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을 수 있어 냉장고 등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기계실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구성하는 캐비넷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에서 도어라이너와 가스켓이 생략된 상태를 도 6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7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제1코너조립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제1코너조립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6의 A 및 B 부분을 각각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와이어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패널어셈블리, 도어프레임 및 히터프레임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130)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한다)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도어조립체가 적용되는 빌트인 타입의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도어조립체는 일반냉장고, 와인냉장고, 김치냉장고, 음료저장고, 식물재배장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내부에 보관공간이 있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크게 캐비넷(100), 도어조립체(130), 기계실조립체, 베드(330a~300d), 베리어(400), 순환팬조립체(500a,5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에서 베드(330a~300d), 베리어(400) 및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상기 캐비넷(100) 내부에 설치되고,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조립된다. 그리고 기계실조립체는 캐비넷(100)의 하부에 조립된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높이가 낮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례의 냉장고는 아일랜드 식탁 내부 등에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 냉장고로, 일반 냉장고 보다 높이가 낮다. 따라서 내부 용량 뿐 아니라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작다. 따라서 도어조립체(130) 역시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도어조립체(130) 내부에 발포제를 충진하기 위한 공간이나 전장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지 않다. 이러한 부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전방으로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은 다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크게는 외측 벽면을 이루는 아웃케이스(110)와 내측 벽면을 이루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개방된 상태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고, 도어조립체(130)가 열리면 보관공간(121)이 전방으로 개방된다.
도 4에는 상기 캐비넷(1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아웃케이스(110)는 전후방 및 아래쪽으로 개방된 대략 육면체형상이고, 이너케이스(120)는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아웃케이스(1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아웃케이스(11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115)가 조립되고, 전면에는 전면프레임(118)이 조립되며, 저면에는 커버플레이트(250)가 조립된다.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내부에 이너케이스(120)가 위치한 상태에서 백플레이트(115), 전면프레임(118) 및 커버플레이트(250)가 각각 아웃케이스(1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아웃케이스(110)의 사이 공간으로 발포 단열재(도시는 생략됨)가 충진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5)에는 충진홀(116)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충진홀(116)을 통해서 발포 단열재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이너캐비넷(100)의 내부에는 보관공간(121)이 있다. 상기 보관공간(121)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공간으로, 상기 보관공간(121)은 베드(330a~300d)에 의해 다수의 칸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보관공간(121)의 안쪽 벽면에는 가이드레일(122)이 구비되고, 베드(330a~300d)은 가이드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보관공간(121)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면에는 회피부(123)가 있다. 상기 회피부(123)는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된 부분인데, 상기 회피부(123)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계실조립체의 압축기(61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피부(123)로 인해 상기 보관공간(121)의 바닥쪽 일부는 단차진 공간을 가지게 된다.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도어조립체(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보관공간(121)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회전을 통해 여닫히는 구조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프레임(118)에 밀착되어 보관공간(121)을 차폐하거나, 회전을 통해 전면프레임(118)으로부터 멀어져 보관공간(121)을 개방시킨다.
즉, 상기한 도어조립체(130)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밀폐형의 보관공간(121)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형의 보관공간(121)은 순환팬조립체(500a,500b) 및 공조모듈(600)에 의해 냉기손실 없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투시부(142) 구조로 만들어져 보관공간(121)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5에는 도어조립체(130)의 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도어조립체(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도어조립체(130)는 대략 사각판 구조이고, 다수개의 부품이 조립되어 하나의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오토도어조립체(900)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토도어조립체(9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와 버튼은 도어조립체(130)의 전면도어패널(141)의 베젤부(143)에 설치된다. 참고로 도 6의 A와 B부분에는 각각 입력장치(170)과 감지장치(175)가 설치되는데, 이부분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6을 보면 도어조립체(130)의 한쪽, 보다 정확하게는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는 각각 힌지(168)가 있다. 상기 힌지(168)는 도어조립체(130)를 상기 캐비넷(1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켜주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168)는 도면을 기준으로 도어조립체(130)의 우측면에 설치되는데, 이와 반대로 좌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가 아니라 중간 높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도어조립체(130)의 후면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와 가스켓(195)이 생략된 상태인데, 도어라이너(190)가 제거되면 도 7과 같이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150)이 드러난다. 그리고 도어조립체(130)에 전장품을 설치하기 위한 부품수납홈(S1)도 도어조립체(13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도어조립체(130)는 크게 패널유닛(140), 도어프레임(150), 히터프레임(180), 도어라이너(190) 및 가스켓(195)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도어프레임(150)이 도어조립체(130)를 지지하는 기본골격을 형성하고, 나머지 구성들을 캐비넷(1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유닛(140)은 여러겹의 패널들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패널유닛(140)에는 복수의 투명한 재질의 패널이 서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며, 상기 패널유닛(140)을 통해 냉장고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투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유닛(140)은 복수 유리가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유리재질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투시가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패널층 중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은 하프 글래스 소재로 형성되어 냉장고 내의 선택적인 투시가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필름이 도포되어 반투명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단면도인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유닛(140)은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적층되는 단열도어패널(145, 147)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전면도어패널(141)의 후방에 적층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단열도어패널(145,147)이 2개로 구성되지만, 1개만 있거나 또는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구성을 보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배면을 구성하는 배면도어패널(147)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 및 배면도어패널(147) 사이에 위치하는 내장도어패널(145)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유닛(140)은 3중유리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면도어패널(141)과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은 유리 또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보관공간(121)을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전면도어패널(141),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은 단열 소재 또는 단열 구조를 가지며 고내의 냉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은 상기 전면도어패널(141) 보다 크기가 작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면적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면적 보다 더 넓은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는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가장자리, 즉 둘레면 보다 더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도 8, 도 10 및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전면도어패널(141)의 더 돌출된 부분을 베젤부(143)라 하고, 베젤부(143)의 안쪽에 있는 부분을 투시부(142)라 한다. 상기 투시부(142)는 상기 패널유닛(140)을 통해서 보관공간(121)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부분이고, 베젤부(143)는 반드시 투명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43)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에만 있지만, 상기 투시부(142)는 전면도어패널(141) 뿐 아니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상기 투시부(142)는 패널유닛(140)을 통해 보관공간(121)을 관찰할 수 있는 투명한 부분으로, 전면도어패널(141)의 중심부분과,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6을 보면 투시부(142)는 베젤부(143)에 의해 감싸진 형태가 된다. 이러한 베젤부(143)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프레임(150)이 설치되고, 전장품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 유리 사이사이에는 간봉(149)이 삽입된다. 상기 간봉(149)은 각 유리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것으로, 각 유리들과 복수의 간봉(149)들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며, 실런트가 도포되어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가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도어패널(145)의 후면에는 복사에 의한 저장실 내로의 열전달을 줄이기 위한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방사코팅층이 형성된 유리를 로이 유리(Low-ε Glass)라고 하는데, 유리의 표면에 보통은 등을 스퍼터링(Sputtering) 등으로 증착함으로써 저방사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봉(149)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의 밀폐된 공간은 진공 상태로 형성되어 단열되도록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전면도어패널(141)-내장도어패널(145)-배면도어패널(147) 사이의 밀폐된 공간에는 단열을 위한 아르곤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충전될 수도 있다. 비활성 기체는 일반 공기에 비해 단열 특성이 더욱 우수하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도어프레임(15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도어조립체(1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대략 사각틀형태이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틀 형태가 되는데, 도 9에서 보듯이 4개의 프레임들을 코너브라켓(160A~160D)들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이 상기 패널유닛(140)에 조립되면,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과 연속된 표면을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면이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과 돌출된 정도가 같아서,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전면도어패널(141)의 가장자리면이 연속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도어조립체(130)의 외관이 보다 통일성 있게 보일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크게 4개의 프레임들으로 구성된다. 먼저 패널유닛(140)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과, 패널유닛(140)의 상면을 감싸는 어퍼프레임(153)과, 패널유닛(140)의 하면을 감싸는 로어프레임(155)이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한다. 이들은 각각 대략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은 베젤부(143)의 배면에 조립되어서,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투시부(142)의 양측면을 각각 감싸고, 상기 어퍼프레임(153)은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의 위쪽을 연결하면서 상기 투시부(142)의 상면을 감싸며, 상기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의 아래쪽을 연결하면서 상기 투시부(142)의 하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네모서리에는 코너브라켓(160A~160D)이 구비되어 프레임들을 연결한다.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은 네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코너브라켓(160A), 제2코너브라켓(160B), 제3코너브라켓(160C) 및 제4코너브라켓(160D)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코너브라켓(160A~160D)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은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반하여 제2코너브라켓(160B)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2)은 단순히 일자형태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한 쌍의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9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사이드프레임(151)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일방으로 길게 연장되고,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패널유닛(140)의 긴 쪽 면, 즉 측면을 지지하므로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례에서는 알루미늄재질을 압축하여 제조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은 단순히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측면을 향한 안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는 결합공간(152)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간(152)은 사이드프레임(151)과 제1코너브라켓(160A) 및 제4코너브라켓(160D) 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도어프레임(150)의 전체 두께를 두껍지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11을 보면,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결합공간(152)이 있는데, 상기 결합공간(152)은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151a~151c)들이 있고, 상기 사이드결합판(151a~151c)들 사이사이에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이들 제1결합공간(152a)과 제2결합공간(152b)에는 각각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나머지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립결합판(153a1~153a3)의 조립공간(153S)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프레임(151)과 어퍼프레임(153)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측면(도 11을 기준으로 보면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의 측면)을 향해 사이드결합판(151a~151c)이 돌출되는데, 상기 사이드결합판(151a~151c)은 제1사이드결합판(151a),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사이드결합판(151a),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대략 'E' 형태를 만드는데, 돌출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이 가장 길고, 제3사이드결합판(151c)이 가장 짧다.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밀착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저면과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베젤부(143)의 배면은 서로 밀착되는데, 그 사이에 접착면(G)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이 베젤부(143)의 배면과 결합되므로,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서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면적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면(G)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착면(G)에는 양면테잎이 부착된다. 이때, 물론, 양면테잎이 아니라 접착제가 상기 접착면(G)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과 베젤부(143)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은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 이격되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1브라켓몸체(161a)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간(152a)을 만든다. 상기 제1결합공간(152a)의 폭은 제1브라켓몸체(161a)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는데, 제1브라켓몸체(161a)의 양쪽면이 각각 제1사이드결합판(151a)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접할 수 있도록 제1브라켓몸체(161a)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과 반대편에 구비된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 제2결합공간(152b)을 형성한다.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은 제2사이드결합판(151b)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고, 끝부분에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가 걸려 고정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2결합공간(152b)에는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1지지몸체(163a)은 한쪽 표면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두께는 상기 제2결합공간(152b)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반대쪽 표면과 상기 제3사이드결합판(151c)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양쪽면에는 각각 제1브라켓몸체(161a)의 한쪽면과 지지브라켓(163)이 밀착되어, 하나의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는 제1체결홀(151b')이 관통되어 있다.
다음으로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상기 로어프레임(155)은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구성하는데,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에는 각각 힌지(168)가 조립되어 도어조립체(13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힌지(168)를 직접 지지하지 않아 큰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사이드프레임(151) 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이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면, 도어조립체(130)의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보다 복잡한 형상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될 부품수납홈(S1)의 구조를 도어프레임(150)에 보다 쉽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어퍼프레임(153)과 로어프레임(155)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어퍼프레임(153)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어퍼프레임(153)은 대략 'L'자 형상이고, 안착공간(154)이 만들어져 그 위에 힌지(168)가 안착된다. 상기 힌지(168)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 고정되어 도어조립체(130)가 캐비넷(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면부호 169는 힌지(168)를 차폐하기 위한 힌지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커버(169A)와 제2커버(169B)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168)커버는 생략되거나, 하나의 부품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0에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이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는데, 상기 어퍼프레임(153)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는 접촉판(153b)이 있다. 상기 접촉판(153b)의 표면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보다 정확하게는 베젤부(143)의 배면에 밀착되는 평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판(153b)의 표면과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 사이에는 접착면(G)이 있다. 상기 접착면(G)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접촉판(153b)의 표면 사이를 결합시켜주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착면(G)에는 양면테잎이 부착된다. 상기 접착면(G)은 앞서 설명한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과 제1사이드결합판(151a)의 전면 사이의 접착면(G)과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되 도어프레임(150)의 모서리 부분에서 서로 이어진다. 이때, 물론, 양면테잎이 아니라 접착제가 상기 접착면(G)에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과 베젤부(143)는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어퍼프레임(153)도 사이드프레임(151)과 마찬가지로 상기 패널유닛(140)을 향해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있다.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은 상기 접촉판(153b)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패널유닛(14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구비되어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과 결합된다.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조립공간(153S)이 있는데, 상기 조립공간(153S)은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에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이 있고,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들 사이사이에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1조립공간(153S1)과 제2조립공간(153S2)에는 각각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일부가 삽입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은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이 상기 접촉판(153b)의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의 전면에도 접착면(G)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에는 패널유닛(140)의 투시부(142) 상면(도 10을 기준으로 보면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의 상면)을 향해 조립결합판(153a1~153a3)이 돌출되는데, 상기 조립결합판(153a1~153a3)은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으로 구성된다. 이들 제1조립결합판(153a1), 제2조립결합판(153a2) 및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대략 'E' 형태를 만드는데, 돌출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이 가장 길고, 제3조립결합판(153a3)이 가장 짧다.
그리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에는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이 지지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도 제1브라켓몸체(161a)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이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은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이격되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가 삽입되는 제1조립공간(153S1)을 만든다. 상기 제1조립공간(153S1)의 폭은 제2브라켓몸체(161b)의 두께와 같거나 클 수 있는데, 제2브라켓몸체(161b)의 양쪽면이 각각 제1조립결합판(153a1) 및 제2조립결합판(153a2)에 접할 수 있도록 제2브라켓몸체(161b)의 두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제2조립결합판(153a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반대편에 구비된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 제2조립공간(153S2)을 형성한다.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은 제2조립결합판(153a2) 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고, 끝부분에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가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2조립공간(153S2)에는 상기 메인브라켓(161)을 구성하는 지지브라켓(163)이 삽입되는데,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한쪽 표면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에 밀착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두께는 상기 제2조립공간(153S2)의 폭 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반대쪽 표면과 상기 제3조립결합판(153a3)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양쪽면에는 각각 제2브라켓몸체(161b)의 한쪽면과 지지브라켓(163)이 밀착되어, 하나의 체결구로 체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에는 제2체결홀(153a2')이 관통되어 있다.
한편, 상기 조립공간(153S)은 앞서 설명한 결합공간(152)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조립공간(153S)과 결합공간(152)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는데, 이것은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의 형상에 대응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i) 상기 제1조립결합판(153a1)과 제2조립결합판(153a2) 사이의 제1조립공간(153S1)은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151a)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 사이의 제1결합공간(152a)과 연결되고, (ii)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 제3조립결합판(153a3) 사이의 제2조립공간(153S2)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3사이드결합판(151c) 사이의 제2결합공간(152b)과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조립공간(153S1)-제1결합공간(152a) 사이로 메인브라켓(161)을 끼울 수 있고, 제2조립공간(153S2)-제2결합공간(152b) 사이로 지지브라켓(163)을 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결합판(151a~151c)들과 조립결합판(153a1~153a3)들은 서로 연결되어 연속된 표면을 가질 수 있는데, 도 12와 도 13을 보면 제2사이드결합판(151b)과 제2조립결합판(153a2)이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그 이어진 표면 위에 코너브라켓(160A~160D)을 구성하는 지지브라켓(163)이 결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참고도 도 12는 도 7에서 D로 표시된 제1코너브라켓(160A)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도 7에서 E로 표시된 제2코너브라켓(160B)을 도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을 보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코너브라켓(160A~160D)은 제1코너브라켓 내지 제4코너브라켓(160A~160D)을 포함하고, 이 중에서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2코너브라켓(160B)은 각각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된다.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2코너브라켓(160B)은 동일한 구조이므로 제1코너브라켓(160A)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61)은 전체적으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제1브라켓몸체(161a)와 제2브라켓몸체(161b)가 서로 직교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몸체(161a)는 앞서 설명한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제1결합공간(152a)에 위치하고, 제2브라켓몸체(161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1조립공간(153S1)에 위치한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제1브라켓몸체(161a)에는 제1브라켓홀(161a')이 관통되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제1체결홀(151b')과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1조립공간(153S1)에 위치하는데, 도 10을 보면,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에는 제2브라켓홀(161b'')이 있어서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제2체결홀(153a2')과 서로 연결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은 힌지(168)와 직접 연결되어 도어조립체(130)의 회전중심이 되므로 도어조립체(130)의 회전과정에서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을 통해서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9를 보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2브라켓몸체(161b)에는 힌지체결홀(161b')이 관통된 것을 볼 수 있고, 도 10을 보면 상기 제2브라켓몸체(161b) 위에 어퍼프레임(153)이 적층되고 어퍼프레임(153)에는 힌지연결홀(154a)이 있다. 상기 힌지연결홀(154a)은 힌지체결홀(161b')과 연결되므로,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안착공간(154)에 안착된 힌지(168)는 체결구가 힌지연결홀(154a)을 통해 힌지체결홀(161b')에 체결되면 도어프레임(15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163)도 메인브라켓(161)과 마찬가지로 'ㄱ' 자 형상으로, 도 12를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제1지지몸체(163a)와 제2지지몸체(163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지지몸체(163a)는 상기 사이드프레임(151)의 제2결합공간(152b)에 위치하고, 제2지지몸체(163b)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제2조립공간(153S2)에 위치한다. 상기 메인브라켓(161)이 어퍼프레임(153)과 사이드프레임(151) 사이를 연결하므로 상기 지지브라켓(163)은 생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지지브라켓(163)이 상기 메인브라켓(161)에 조립되어 조립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해 줄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브라켓(163)에는 제1지지홀(163a')과 제2지지홀(163b')이 있다. 상기 제1지지홀(163a')과 제2지지홀(163b')은 각각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1브라켓홀(161a') 및 제2브라켓홀(161b'')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을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1지지홀(163a')은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151b)의 제1체결홀(151b')을 통해서 상기 제1브라켓홀(161a')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가 이들을 통과하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제2사이드결합판(151b)-지지브라켓(163) 사이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지지브라켓(163)의 제2지지홀(163b')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의 제2체결홀(153a2')을 통해서 상기 제2브라켓홀(161b'')과 연결된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가 이들을 통과하면 상기 메인브라켓(161)-제2조립결합판(153a2)-지지브라켓(163) 사이가 체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163)도 결국에는 사이드프레임(151)과 로어프레임(155) 사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9를 보면,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은 각각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되지만, 제3코너브라켓(160C)은 하나의 브라켓으로만 구성되고, 제2코너브라켓(160B)은 2개의 브라켓으로 구성되지만 제1코너브라켓(160A) 및 제4코너브라켓(160D)의 메인브라켓(161)과 같은 구조를 갖지는 않고 단순히 평판 형상의 브라켓들로만 구성된다. 이처럼 힌지(168)가 결합되는 부분은 강도보강을 위해 메인브라켓(161)과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되지만, 힌지(168)가 없는 부분은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150)에는 전장품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장품은 입력장치(170), 감지장치(175) 또는 디스플레이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는 입력장치(170)와 감지장치(175)가 도어프레임(150)에 설치된다.
도 6을 보면, 도어조립체(130)를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상부, 즉 베젤부(143)에 전장품이 설치되는데, 본 실실에서는 A부분에는 입력장치(170)가 설치되고, B부분에는 감지장치(175)가 설치된다. B부분에 전방에 사용자가 감지되면, A부분의 입력장치(170) 주변에 터치센서(173)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LED(172)가 발광하게 되고, 사용자는 터치센서(173)를 터치하여 오토도어조립체(900)를 동작시켜 도어조립체(130)를 열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175)는 전면도어패널(141)의 상부 중에서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a)와 도 14(b)에는 각각 입력장치(170)와 감지장치(175)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전장품들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베젤부(143) 배면에 설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이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S1, 도 7참조)이 만들어지고,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전장품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중 적어도 2면 이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사이를 따라 4면 모두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품수납홈(S1)을 따라서 상기 전장품에서 연결되는 와이어가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부(143)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부품수납홈(S1)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젤부(143)는 반투명한 필름이 도포되어 전장품이 바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입력장치(170)에 구비된 LED(172)에서 빛이 조사되면 이를 인식할 수는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장치(170)의 위치를 감지하고 터치센서(173)를 정확하게 터치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위치하지만, 별도의 부품브라켓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부품브라켓은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인접한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전장품이 상기 부품브라켓에 조립되면 상기 전장품은 상기 베젤부(143)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수납홈(S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라이너(19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은 한쪽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을 향하고, 반대쪽은 도어라이너(190)를 향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라이너(190)가 도어프레임(150)에서 분리되면 부품수납홈(S1)은 반대쪽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라이너(190)를 분리해서 전장품을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상기 전장품을 살펴보면, 도 14(a)에 도시된 입력장치(170)는 LED(172)와, 터치센서(173)를 포함한다. 상기 LED(172)는 입력장치(170)의 위치를 알리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터치센서(173)는 정전용량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를 터치했을 때 오토도어조립체(900)를 동작시켜 도어조립체(130)를 열 수 있게 한다.
상기 입력장치(170)에는 별도의 제어기판(도시되지 않음)이 함께 포함되어 터치센서(173)와 LED(172)를 제어할 수도 있고, 냉장고의 내부에 설치된 별도의 제어모듈(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물론 이중에서 LED(172)는 생략될 수도 있고, 터치센서(173)는 정전용량식이 아니라 다양한 근접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센서(173)가 아니라, 상기 입력장치(170)에는 진동에 의한 음파를 감지하는 마이크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노크조작을 인식하는 노크감지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b)에는 감지장치(17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감지장치(175)는 사용자가 도어조립체(130) 전방에 위치한 것을 인식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감지장치(175)에는 피에스디(Position Sensing Device)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장치(175)는 발광부에서 적외선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각도를 수광부에서 측정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에스디에 의해 검출 가능한 근접 거리는 설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감지거리를 1m 이내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 전면의 1m 거리 이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작을 위해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면부호 177는 감지장치(175)의 케이스를 가리킨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장품들은 상기 패널유닛(140)의 베젤부(143) 배면 중에서 상부에 설치된다. 이는 도어조립체(130)의 크기가 작은 경우, 예를 들어 와인냉장고와 같이 높이가 낮은 제품에 도어조립체(130)가 적용되면 사용자가 입력장치(170)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입력장치(170)의 터치센서(173)를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다르게 상기 전장품들은 상기 베젤부(143)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부품수납홈(S1)은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들 사이를 따라 4면 모두 형성되므로, 전장품들의 설치위치는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감지장치(175)는 상기 베젤부(143)의 상부 배면 중에서도 상기 베젤부(143)의 상부 중심부에 배치된다.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중심부에 배치된 감지장치(175)는 사용자의 접근을 보다 잘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의 가장자리에는 히터프레임(180)이 설치된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상기 도어프레임(150)과 상기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 사이 공간, 즉 부품수납홈(S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상기 패널유닛(140)에 이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를 위한 것으로, 히터선(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된다.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서 상기 도어조립체(130)가 접촉되는 부분 근처에는 냉장고의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라 이슬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여러겹의 유리들 사이의 접합부위에서 열전달이 이루어져 이슬이 발생할 수도 있는데, 상기 히터선이 이를 방지해준다.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히터프레임(18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투시부(142)를 구성하는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 보다는 크지만 상기 도어프레임(150) 보다는 작다. 도 10과 도 11에는 히터프레임(18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히터프레임(180)에는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홈(182)이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히터홈(182)은 상기 히터프레임(180) 전체를 둘러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홈(182)은 상기 패널유닛(140)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유리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을 향해 일부가 개방된 형상이다. 따라서 히터홈(182)에 내장된 히터선에서 발생한 열기는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에 직접 전달될 수 있고, 이슬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의 후방에는 도어라이너(190)가 조립된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는 것으로, 사각틀 형상이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어 앞서 설명한 부품수납홈(S1)을 차폐해준다. 상기 부품수납홈(S1)은 한쪽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을 향하고, 반대쪽은 도어라이너(190)를 향하게 되는데, 상기 도어라이너(190)가 도어프레임(150)에서 분리되면 부품수납홈(S1)은 반대쪽 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라이너(190)를 분리해서 전장품을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라이너(190)가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면 상기 부품수납홈(S1)이 차폐되므로,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및 브라켓들의 조립부위와, 와이어들을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 도 10참조) 및 제2사이드결합판(151b, 도 11참조)의 끝 부분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어느 정도 탄성이 있고,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을 통해 상기 제2조립결합판(153a2)과 제2사이드결합판(151b)에 조립될 수 있다. 즉,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도어라이너(190)가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도어라이너(190)를 도어프레임(15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에는 지지리브(193)가 있다. 상기 지지리브(193)는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전면에서 돌출된 것으로, 상기 히터프레임(18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리브(193)는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여러 겹의 유리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141)의 배면 방향으로 지지하여, 상기 히터선이 상기 전면도어패널(141)에 밀착되도록 돕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라이너(190)에는 도어조립체(130)의 내부를 밝히기 위한 별도의 라이트장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배면에는 가스켓(195)이 결합된다. 상기 가스켓(195)은 상기 캐비넷(100)의 둘레와 밀착되어 상기 도어조립체(130)와 캐비넷(100) 사이로 보관공간(121) 내부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50)에는 와이어가이드(197)가 조립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97)는 상기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151)과 로어프레임(155)이 서로 연결되는 코너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장품의 와이어나 히터선을 캐비넷(100)의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5를 보면, 상기 와이어가이드(197)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가이드(197)는 크게 제1가이드몸체(198)와 제2가이드몸체(199)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상대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먼저 본 실시례에서 제1가이드몸체(198)는 상기 로어프레임(155)의 저면을 따라 조립되고 내부에는 와이어들이 통과하는 공간인 제1가이드채널(198b)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가이드채널(198b)을 가로 막는 걸림턱(198')들이 있어서 와이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상기 제1가이드몸체(198)의 한쪽 끝부분은 개방되어 삽입홈(198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98a)은 와이어들이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가이드몸체(198)가 합성수지재질이라면 좌우로 벌어지면서 와이어가 쉽게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몸체(198)에는 제2가이드몸체(199)가 연결된다. 상기 제2가이드몸체(199)는 상기 제1가이드몸체(198)와 상대회전가능한 것으로, 상기 제1가이드몸체(198)와 조립되는 부분에는 와이어연결홈(199a)이 함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가이드몸체(198)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중심에 와이어연결홈(199a)이 있는데, 상기 와이어연결홈(199a)은 제1가이드채널(198b)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몸체(199)의 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제2가이드몸체(199)이 있다. 상기 제2가이드몸체(199)에도 제2가이드채널(199b)을 가로 막는 걸림턱(199')들이 있어서 와이어가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채널(199b)은 출구 쪽이 개방되어 있어서 와이어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몸체(199)는 캐비넷(100)의 내부쪽으로 삽입되는데, 제2가이드몸체(199)로 안내된 와이어들은 캐비넷(100) 내부의 제어모듈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기계실조립체를 구성하는 기계실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조모듈(600)이 설치되고,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부에는 앞서 설명한 캐비넷(100)이 결합된다.
이러한 기계실프레임(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웃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도 3에서 보듯이 대략 사각틀 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고, 내부에는 기계실(201)이 있어서 공조모듈(600)의 적어도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이너케이스(120)와 상기 기계실프레임(200)은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보관공간(121)과 기계실(201)의 사이에는 별도의 구획용 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보관공간(121)과 기계실(201)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201)의 전방인 기계실프레임(2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흡토출그릴(220)이 구비된다. 상기 흡토출그릴(220)은 기계실(201)의 외부로부터 기계실(201) 내로 흡입되는 공기 혹은, 기계실(201) 내로부터 기계실(201)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면서 기계실(201)의 개방된 전면을 가로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흡토출그릴(220)에는 흡입구(225a) 및 배출구(225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225a)와 배출구(225b)는 후술될 분리격벽(230)에 의해 서로 구분된 위치에 분리 제공되도록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면에서 볼 때 좌측의 흡입구(225a)와 우측의 배출구(225b)로 구분되나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보면, 기계실프레임(2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는 여타 부위로부터 상향 돌출되면서 기계실(201) 내부의 후방측 부위가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기계실(201) 내에 설치되는 방열팬(611)과 압축기(610)의 돌출 높이를 고려하여 후방측 부위를 여타 부위에 비해 높게 형성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압축기(610)는 가장 높이가 높기 때문에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압축기(610)의 높이에 대응하여 돌출부(2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오토도어조립체(900)가 설치되는 오토도어설치부(253)가 있다.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는 커버플레이트(250)의 전방, 즉 상기 도어조립체(130)를 향한 앞쪽에 구비되는데, 상부로 돌출되어 아래쪽에 공간을 확보하되 아래쪽으로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는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가 상향 돌출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부로 돌출되지만 본 실시례에서 상기 오토도어설치부(253)가 돌출된 정도는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의 후방측 부위가 상향 돌출된 정도보다는 낮다.
참고로, 도 2에는 오토도어조립체(900)를 구성하는 오픈로드(950)가 돌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오터도어조립체(900)에서 돌출되어 도어조립체(130)의 안쪽면에 있는 접촉부(B)를 밀어준다. 상기 오토도어조립체(900)는 앞서 설명한 전장품들 중에서 입력장치(170)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50)에는 커넥터하우징(257)이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57)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어모듈(도시되지 않음)에서 연장되는 와이어하네스가 내장되는 부분으로, 와이어하네스의 연장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57)은 아래쪽에 있는 제어모듈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와이어하네스를 후방측, 즉 배면플레이트(213) 방향으로 안내한다.
다음으로 베드(330a~300d)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베드(330a~300d)는 보관공간(121)에 설치되어 보관공간(121)을 여러층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베드(330a~300d)는 여러층의 보관공간(121)을 완전히 독립적인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은 아니고, 각 층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드(330a~300d)는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틈을 갖는다.
이러한 베드(330a~300d)는 평판 혹은, 둘레벽을 갖는 트레이 구조로 형성되면서 그 상면으로 음식물 등이 안착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보관공간(121)의 내의 양측 벽면(이너케이스(120) 내의 양측 벽면)에는 가이드레일(122, 도 3 참조)이 구비되고, 상기 베드(330a~300d)는 그 양쪽 측면이 상기 가이드레일(122)의 안내를 받아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보관공간(121)으로부터 서랍식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여타의 다양한 구조로 상기 베드(330a~300d)의 서랍식 취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드(330a~300d)는 다수개로 구성되되 그 중간에는 베리어(4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00)는 상기 보관공간(121)을 가로질러 상기 베드(330a~300d)와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관공간(121)을 구획한다. 상기 베리어(400)는 상기 베드(330a~300d)와 달리 상기 보관공간(121)을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데, 이에 따라 베리어(400)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는 서로 다른 공간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베리어(4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은 서로 다른 온도를 갖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400)의 전면(430)에는 디스플레이모듈(800)이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냉장고의 각 상태를 표시함과 더불어 각종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을 통해 표시되는 각 상태는 보관공간(121) 내의 온도, 동작모드 표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디스플레이모듈(800)은 터치식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버튼식이나 스위치식으로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어조립체(130)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이 도어조립체(130)에 구비된다면 각종 신호선이나 전원선의 연결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캐비넷(100)에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도어조립체(130)의 내측 부위를 이루는 투시부(142)는 내부 투시가 가능한 유리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모듈(800)은 보관공간(121)의 중간 높이에 설치되는 베리어(400)의 전방에 설치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순환팬조립체(500a,500b)를 보면, 상기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보관공간(121)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순환팬조립체(500a,500b)는 이너케이스(120)를 이루는 후방측 벽면의 전방에 구비되며, 해당 보관공간(121) 내의 하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해당 보관공간(121) 내의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공간(121) 내의 상측과 하측은 해당 보관공간(121)의 중간측 높이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순환팬조립체(500a,500b)가 상기 각 보관공간(121)마다 하나씩 제공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베리어(400)를 기준으로 구획되는 아래쪽의 보관공간(121a)과 위쪽 보관공간(121b)에 각각 순환팬조립체(500a,500b)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은, 공조모듈(600)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공조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20)의 보관공간(121) 내의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공조모듈(600)은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와 증발기(630a,630b)를 포함하는 공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한 공조장치에 의해 보관공간(121) 내를 순환하는 공기의 온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610)와 메인응축기(620)는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기계실(201)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응축기(620)는 상기 기계실프레임(200) 내의 분리격벽(230)에 의해 분할된 양측 중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위치되고, 상기 압축기(610)는 상기 메인응축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경유하는 부위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압축기(610)는 공기가 배출되는 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610)의 공기 유입측에는 방열팬(611)이 구비되면서 기계실(201) 내로 공기가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610)를 방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열팬(611)은 메인응축기(620)가 위치된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압축기(610)가 위치된 부위를 사실상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압축기(610)의 고온 열기가 메인응축기(62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조립체(13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어프레임(150) 조립된다. 상기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하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51)의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는 어퍼프레임(153) 및 로어프레임(155)을 사각형태로 배치한 후에, 코너브라켓(160A~160D)들로 이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총 4개의 모서리에 제1코너브라켓(160A) 내지 제4코너브라켓(160D)을 조립하여, 사각틀 형태의 도어프레임(150)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코너브라켓(160A)과 제4코너브라켓(160D)은 메인브라켓(161) 및 지지브라켓(163)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브라켓(161)의 제1브라켓몸체(161a)는 제1결합공간(152a)으로 삽입되고, 이와 직교한 제2브라켓몸체(161b)는 상기 제1조립공간(153S1)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2사이드결합판(151b) 및 제2조립결합판(153a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브라켓(161)에는 지지브라켓(163)이 결합되고, 이들은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다. 따라서 도어프레임(150)은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어프레임(150)의 조립이 1차적으로 완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어프레임(150)의 내부에 발포제가 충진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장품들을 도어조립체(130)에 설치하는 작업과 이를 분리하는 작업이 모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어조립체(130)에서 도어라이너(190)를 분리하면 부품이 수용되는 부품수납홈(S1)이 바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부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50)에는 패널유닛(140)이 조립된다. 상기 패널유닛(140)은 이미 여러겹으로 적층된 상태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유닛(140)은 전면도어패널(141), 내장도어패널(145) 및 배면도어패널(147)이 순서대로 적층된 후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패널유닛(140)의 전면도어패널(141)은 나머지 유리들 보다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일종의 단차부인 베젤부(143)가 생기고, 상기 베젤부(143)에는 도어프레임(150)이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에 상기 도어프레임(150)을 배치하되, 이들 사이에 양면테잎 등 접착물질을 둔다. 이 상태에서 별도의 지그나 장치를 이용해서 패널유닛(140)과 도어프레임(150) 사이를 강하게 눌러 압축하면 베젤부(143)의 배면과 도어프레임(150)의 전면 사이가 접착될 수 있다. 도 15에는 완성된 도어프레임(150)이 패널유닛(140)의 후방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패널유닛(140)의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과 도어프레임(150) 사이 간격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부품수납홈(S1)이 생긴다. 이 부품수납홈(S1)으로 전장품인 입력장치(170)와 감지장치(175)를 설치한다. 상기 전장품은 상기 베젤부(143)의 배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고, 부품브라켓으로 고정되므로 다시 분리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패널유닛(140)의 단열도어패널(145, 147)의 둘레면과 도어프레임(150) 사이의 부품수납홈(S1)에 히터프레임(180)이 삽입된다. 상기 히터프레임(180)의 히터홈(182)에는 히터선이 삽입된 상태이고, 이 상태로 부품수납홈(S1)에 히터프레임(180)이 삽입되는 것이다. 도 15에는 히터프레임(180)이 도어프레임(150)과 이격된 상태로 표현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히터선과 전장품에서 나온 와이어 묶음이 정리되는데, 상기 와이어 묶음은 상기 부품수납홈(S1)을 따라서 정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되어 있는 와이어가이드(197)에 상기 와이어 묶음이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50)에는 도어라이너(190)가 조립된다. 상기 도어라이너(190)는 도어프레임(150)의 후면에 조립되어서 상기 부품수납홈(S1)을 차폐한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5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및 브라켓들의 조립부위와, 와이어들을 도어라이너(190)가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지지리브(193)는 상기 히터프레임(180)을 상기 전면도어패널(141) 방향으로 눌러서 히터프레임(180)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히터선이 전면도어패널(141)에 열을 잘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가스켓(195)이 상기 도어라이너(190)의 배면에 조립되고, 마지막으로 힌지(168)가 도어프레임(150)에 조립된다. 상기 힌지(168)는 상기 어퍼프레임(153)의 안착공간(154) 및 상기 로어프레임(155)의 안착공간(154)에 각각 한개씩 조립된다. 이때 힌지(168)는 상기 어퍼프레임(153) 및 로어프레임(155)에 안착되기는 하지만, 실제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은 그 안쪽에 조립되어 있는 메인브라켓(161)이다.
이렇게 완성된 도어조립체(130)는 캐비넷(100)에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힌지(168)의 한쪽이 상기 캐비넷(100)의 가장자리에 조립되면, 상기 도어조립체(130)는 상기 캐비넷(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캐비넷 110: 아웃케이스
120: 이너케이스 121: 보관공간
130: 도어조립체 140: 패널유닛
142: 투시부 143: 베젤부
150: 도어프레임 151: 사이드프레임
153: 어퍼프레임 155: 로어프레임
160: 코어브라켓 161: 메인브라켓
163: 지지브라켓 170: 입력장치
175: 감지장치 180: 히터프레임
190: 도어라이너 195: 가스켓
200: 기계실프레임 201: 기계실
211: 바닥플레이트 212: 측면플레이트
213: 배면플레이트 220: 흡토출그릴
225a: 흡입구 225b: 배출구
300a~300d: 베드 400: 베리어
500a, 500b: 순환팬조립체 600: 공조모듈
610: 압축기 620: 메인응축기
630: 증발기 900: 오토도어조립체

Claims (34)

  1. 투시부를 갖는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로 구성되고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도어패널은 상기 전면도어패널과 적층되는 단열도어패널 보다 넓어 가장자리에 베젤부가 형성되는 패널유닛;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들을 각각 감싸는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코너브라켓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회전을 위한 힌지가 조립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베젤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고, 상기 부품수납홈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마주보는 도어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납홈은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들 사이 중 적어도 2면 이상을 따라 연속적으로 만들어지는 도어조립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품수납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위치하고, 상기 베젤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부품수납홈 내부에 설치된 전장품이 외부에서 인식될 수 있는 도어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은 상기 부품수납홈에 인접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부품브라켓에 조립되고, 상기 전장품이 상기 부품브라켓에 조립되면 상기 전장품은 상기 베젤부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수납홈에 위치하는 도어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고, 상기 부품수납홈은 상기 도어라이너에 의해 차폐되되, 상기 도어라이너가 상기 도어프레임에서 분리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상기 도어라이너에서 가장 멀리 배치되어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은 나머지 도어패널들 보다 넓은 면적을 가져 상기 전면도어패널의 가장자리에 베젤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상기 나머지 도어패널들의 둘레면 사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단차부를 메우는 도어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양측면을 각각 감싸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상면을 감싸는 어퍼프레임;
    상기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하면을 감싸는 로어프레임;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로어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코너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되는 도어조립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코너브라켓은
    직교하게 연장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도어프레임의 사이드프레임에 삽입되는 메인브라켓과,
    상기 사이드프레임의 사이드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메인브라켓에 조립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은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결합되는 제1브라켓몸체와,
    상기 제1브라켓몸체에서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브라켓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브라켓몸체 및 상기 제2브라켓몸체는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도어조립체.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에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이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돌출되어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 사이에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프레임을 연결하는 코너브라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공간에 삽입되어 사이드결합판들과 밀착되는 도어조립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이 있고, 상기 사이드결합판들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사이드결합판;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의 사이에 메인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1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제2사이드결합판; 및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과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과의 사이에 지지브라켓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제2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제3사이드결합판;을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의 한쪽 면에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1브라켓몸체가 밀착되고,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1지지몸체가 밀착되며, 상기 제1브라켓몸체, 상기 제2사이드결합판 및 상기 제1지지몸체는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도어조립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결합판들 중에서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1사이드결합판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조립되는 제3사이드결합판이 가장 적게 돌출되는 도어조립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판이 있고, 상기 접촉판의 표면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베젤부의 배면에 밀착되는 평면으로 구성되는 도어조립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접촉판이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상기 패널유닛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들이 구비되어 상기 코너브라켓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 및 지지브라켓과 결합되는 도어조립체.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립결합판들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결합판들은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제1조립결합판;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 이격되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2브라켓몸체가 삽입되는 제1조립공간을 형성하는 제2조립결합판;
    상기 제2조립결합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조립결합판과 반대편에 구비되어 상기 제2조립결합판과의 사이에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2지지몸체가 삽입되는 제2조립공간을 형성하는 제3조립결합판;을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조립결합판의 한쪽 면에는 상기 메인브라켓의 제2브라켓몸체가 밀착되고, 상기 제2조립결합판의 반대쪽 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제2지지몸체가 밀착되며, 상기 제2브라켓몸체, 상기 제2조립결합판 및 상기 제2지지몸체는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도어조립체.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조립결합판들이 돌출되고, 상기 조립결합판들 중에서 상기 패널유닛의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에 밀착되는 상기 제1조립결합판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돌출되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조립되는 제3조립결합판이 가장 적게 돌출되는 도어조립체.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에는 상기 패널유닛의 측면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사이드결합판들이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어퍼프레임 또는 로어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수개의 조립결합판들이 상기 패널유닛의 상면 또는 하면 가장자리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 또는 상기 로어프레임이 서로 조립되면 상기 사이드결합판들과 상기 조립결합판들은 서로 연속되게 이어지는 도어조립체.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패널유닛 사이의 부품수납홈을 차폐하는 도어조립체.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베젤부의 배면과,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밀착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표면 사이는 접착물질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도어조립체.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가장자리면은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가장자리면과 연속된 표면을 만드는 도어조립체.
  2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고, 상기 부품수납홈에는 도어 전면의 이슬방지를 위한 히터선이 내장되는 히터프레임이 삽입되는 도어조립체.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히터프레임은 상기 부품수납홈 내에 삽입되는 사각틀 형상이고, 상기 히터프레임에는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홈이 상기 히터프레임을 따라 형성되는 도어조립체.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히터홈은 상기 패널유닛을 구성하는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을 향해 일부가 개방된 형상인 도어조립체.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히터프레임에는 히터선이 삽입되는 히터홈이 있고, 상기 히터홈의 후방에 있는 히터프레임의 배면은 상기 도어라이너에서 돌출된 지지리브에 의해 여러 겹의 도어패널들 중에서 전면을 구성하는 전면도어패널의 배면 방향으로 지지되는 도어조립체.
  2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단열도어패널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고, 상기 부품수납홈에는 입력장치와 감지장치가 설치되는 도어조립체.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베젤부의 상부 배면에 설치되되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베젤부의 상부 중심부에 배치되는 도어조립체.
  3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는 코너부에는 와이어가이드가 조립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패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전장품 또는 히터선이 상기 와이어가이드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도어조립체.
  32. 청구항 3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이드는
    상기 로어프레임의 저면을 따라 조립되고 끝부분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제1가이드채널이 있는 제1가이드몸체와,
    상기 제1가이드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1가이드몸체와 조립되는 부분에는 와이어연결홈이 함몰되며 상기 와이어연결홈에 연결되는 제2가이드채널이 내부에 있는 제2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
  33. 보관공간을 갖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조립체는
    여러 겹의 유리재질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관공간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와 상기 투시부의 가장자리를 둘러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베젤부가 있는 패널유닛;
    상기 투시부의 둘레면들을 감싸도록 상기 베젤부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유닛을 지지하고, 상기 투시부의 둘레면들을 각각 감싸는 다수개의 프레임들이 코너브라켓으로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캐비넷에 연결되는 힌지가 조립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베젤부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하는 냉장고.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은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투시부의 둘레면과 이격되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상기 투시부의 둘레면 사이에는 부품수납홈이 있고, 상기 부품수납홈은 상기 베젤부의 배면과 마주보는 냉장고.
KR1020190145458A 2019-11-13 2019-11-13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8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58A KR20210058235A (ko) 2019-11-13 2019-11-13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202011256785.0A CN112797711A (zh) 2019-11-13 2020-11-11 冰箱
EP20207413.4A EP3822563B1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AU2020267293A AU2020267293B2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US17/097,634 US11768028B2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EP23219422.5A EP4336132A3 (en) 2019-11-13 2020-11-13 Refrigerator
AU2023200070A AU2023200070A1 (en) 2019-11-13 2023-01-06 Refrigerator
US18/233,963 US20230384023A1 (en) 2019-11-13 2023-08-15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458A KR20210058235A (ko) 2019-11-13 2019-11-13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35A true KR20210058235A (ko) 2021-05-24

Family

ID=7615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458A KR20210058235A (ko) 2019-11-13 2019-11-13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82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8260A1 (de) * 2022-03-30 2022-07-15 V Zug Ag Kühl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ühlschrank, mit einer Glastü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42A (ko)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78334A (ko) 2015-07-15 201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542A (ko)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78334A (ko) 2015-07-15 201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8260A1 (de) * 2022-03-30 2022-07-15 V Zug Ag Kühl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ühlschrank, mit einer Glastü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889B1 (ko) 냉장고
AU2018260325B2 (en) Refrigerator
KR102273092B1 (ko) 냉장고
KR101829352B1 (ko) 냉장고
KR102602658B1 (ko) 냉장고
AU2020267293B2 (en) Refrigerator
US20100058788A1 (en) Low temperature showcase
KR20210058235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U2021202353B2 (en) Refrigerator
KR102266800B1 (ko) 냉장고
KR20190106494A (ko) 냉장고
KR102429243B1 (ko) 냉장고
KR20210058237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58236A (ko) 냉장고
JP2010057806A (ja) 低温ショーケース
KR102645872B1 (ko) 냉장고
CN210574056U (zh) 一种新型薄款式侧出货轻装售货机
AU2021202356B2 (en) Refrigerator
KR20220005183A (ko) 냉장고의 도어
KR20220005332A (ko) 냉장고
KR20240051576A (ko) 냉장고
KR20230117293A (ko) 냉장고
KR20220005220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