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183A - 냉장고의 도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183A
KR20220005183A KR1020200082693A KR20200082693A KR20220005183A KR 20220005183 A KR20220005183 A KR 20220005183A KR 1020200082693 A KR1020200082693 A KR 1020200082693A KR 20200082693 A KR20200082693 A KR 20200082693A KR 20220005183 A KR20220005183 A KR 20220005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asket
refrigerator
vertical surface
in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황준용
박경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183A/ko
Publication of KR2022000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의 도어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상기 도어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라이너로부터 폐곡면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 바스켓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Door for a 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091호(공개일 2017년07월13일)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를 개폐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메인 도어에 도어 바스켓이 설치되고, 서브 도어가 메인 도어에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과 같은 구조의 냉장실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를, 가구장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냉장실 도어의 일부가 가구장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냉장고의 일부가 가구장의 외부로 돌출되면, 냉장고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주방의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줄어들며, 외부 장애물이 부딪힐 가능성이 있고, 미감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를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시킬 때,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가구장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를 줄여야 한다.
다만,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를 줄이면, 도어에 설치되는 바스켓의 무게에 의해 도어라이너 또는 바스켓이 결합되는 구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의 두께가 줄어들어 바스켓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중심보다 편향된 일측에서 도어라이너와 결합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바스켓이 결합되는 구성의 내구성 및 지지력이 문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또한, 본 실시 예는, 도어에 바스켓을 설치하며 음식물 수납이 가능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도어라이너와 도어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바스켓이 결합되는 구성이 바스켓의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훼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라이너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라이너에 결합되는 바스켓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도어라이너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상기 도어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라이너로부터 폐곡면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 바스켓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와, 상기 내측 바디와 이격되는 외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수직면; 상기 제1수직면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수직면; 상기 제1수직면 및 상기 제2수직면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제1수직면 및 제2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에서 상기 제1수직면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내측 바디에서 상기 제2수직면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에 상기 바스켓의 홈이 안착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수직면, 상기 제2수직면 및 상기 제1연결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에 접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형성하는 제2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부의 두께는 상기 제2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까지의 길이는 상기 바스켓결합부에서 상기 연결 바디까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상기 바스켓의 높이의 1/2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라이너와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은, 광의 투과가 가능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며, 광의 투과를 제한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라이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을 바라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면서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에 바스켓을 설치하여 음식물 수납이 가능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도어라이너와 도어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사출성형에 의해 최대한 바스켓의 중심에 가깝도록 도어라이너와 바스켓이 결합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바스켓 및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저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저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이 분리된 제1저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5-5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복수의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저장실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저장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상측의 제1저장실을 제1저장실 도어(21, 22)가 개폐하고, 하측의 제2저장실을 제2저장실 도어(23, 24)가 개폐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 또는 복수의 도어가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례로 상측의 제1저장실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저장실 도어(21, 22)가 힌지(26)에 의해서 회전되면서 개폐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힌지(26)는 힌지 커버(28)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 22)는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 1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저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는 일례로 우측에 위치된 제1저장실 도어의 후면이 도시된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바스켓이 분리된 제1저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5-5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6-6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우측의 제1저장실 도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는, 단일의 도어로서,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저장실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는,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100)와, 상기 도어 프레임(300)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와 함께 단열재(400, 도 5 참조)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402, 도 5 참조)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개구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 또는 조립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도어라이너(2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라이너 개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라이너 개구(20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전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제1부분(111)과, 상기 제1부분(111)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분(112)은 상기 제1부분(1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서 테두리 둘레를 따라서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에 의해서 상기 제1부분(111)과 상기 제2부분(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을 베젤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111)은 도시되지 않은 조명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부분이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부분(112)에서 광의 투과를 제한하거나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120, 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일례로 2개의 단열 패널이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1개의 단열 패널이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열 패널(120, 130)은, 상기 제1단열 패널(120)과 제2단열 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 패널(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단열 패널(130)은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1단열 패널(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2단열 패널(130)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용 가스가 주입되거나 상기 단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진공 단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2단열 패널(130)과 상기 제1단열 패널(120)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용 가스가 주입되거나 상기 단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진공 단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각 단열 패널(120, 130)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의 좌우 폭 및 높이는 상기 각 단열 패널(120, 130)의 좌우 폭 및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단일의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의 조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이 상기 전면 패널(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둘레면(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포함함)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40)과,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상기 하부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350, 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10)은 내부에 전선이 각종 부품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프레임 커버(3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352)와, 상기 측면부(352)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전면벽(311)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전면벽(342)에 접촉하는 전면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는 상기 측면부(352)의 전단부에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3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의 전면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의 후면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전면에 접촉하며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50, 360) 중 어느 한 측면 프레임(360)에는 힌지(26)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3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라이너 개구(201)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02)는, 상면, 하면 및 양측면(205)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외측 바디(210)와, 상기 외측 바디(210)와 상기 내측 바디(20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202a)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와 접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202a)는 상기 제1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202a)는 상기 제1단열 패널(120)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가스켓(450)이 결합되기 위한 가스켓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결합부(211)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바디(210)와 상기 연결 바디(203)가 상기 가스켓 결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외측 바디(210)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300)과 접촉하기 위한 라이너 연장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연장부(212)는 상기 외측 바디(210)에서 상기 외측 바디(2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300)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 및 도어라이너(200)에 의해서 단열재(400)가 위치되기 위한 단열 공간(4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 또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에는 발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해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액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단열 공간(402)에 상기 단열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발포액은 상기 발포액과 접촉하는 구조물과 결합된다. 즉, 상기 발포액은 단열을 위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격되는 두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상기 단열재(400)의 일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에서 단열 패널(120, 13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특히 상기 제1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한다. 상기 단열재(400)에서 상기 제1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한 부분은 상기 도어라이너(200)의 내측 바디(202)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도어라이너(200)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상기 내측 바디(202)에 바스켓(50)이 결합되기 위한 바스켓결합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스켓결합부(220)는, 내측 바디(202)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바스켓결합부(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바스켓결합부(220)는 내측 바디(202)의 양측에 각각 세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바스켓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3바스켓결합부(220)과 중앙의 제2바스켓결합부(220)의 간격은, 최상단에 위치하는 제1바스켓결합부(220)와 제2바스켓결합부(220)와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바스켓(50)의 양측벽에는, 상기 바스켓결합부(220)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50)을 상기 내측 바디(202)의 라이너 개구(20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바스켓결합부(220)가 상기 돌기 홈(52)에 수용되어, 상기 바스켓(50)이 상기 돌기 홈(5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50)이 상기 도어라이너(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제1부분(111)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 유닛이 작동하면 상기 제1부분(111)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서 상기 바스켓(50) 및 상기 바스켓(50)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바스켓결합부(220)는, 내부공간(222)을 가지는 결합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돌기(221)는, 폐곡면을 이루면서 상기 내측 바디(202)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결합돌기(221)는, 상기 바스켓(50)의 홈(52)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21)는, 서로 평행하게 돌출되는 제1수직면(223) 및 제2수직면(224)과 상기 제1수직면(223)과 제2수직면(224)을 연결하는 제1연결면(225) 및 제2연결면(2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수직면(223)은 상기 결합돌기(221)의 상기 양측면(205)의 연결 바디(203)와 가까운 면일 수 있고, 상기 제2수직면(224)은 상기 결합돌기(221)의 전면패널(110)에 가까운 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면(225)은 상기 제1수직면(223)과 상기 제2수직면(224)의 상단을 연결하는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26)은 상기 제1수직면(223)과 상기 제2수직면(224)의 하단을 연결하는 곡선일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02)는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제1단열 패널(202)의 후면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바디(202)와 상기 제1단열 패널(202)은 둔각으로 서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수직면(223)의 길이는 제2수직면(224)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바디(202)로부터 상기 제1수직면(223)의 단부까지의 길이가 내측 바디(202)로부터 제2수직면(224)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수직면(223)의 단부와 상기 제2수직면(224)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제1단열 패널(202)과 수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면(225)과 상기 제2연결면(226)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바스켓(50)의 홈(52)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바스켓(50)의 높이의 1/2보다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돌기(221)는, 상기 내측 바디(202)와 접하는 제1단부(221a)와 상기 제1단부(221a)에 대향되고, 상기 바스켓(50)과 접하는 제2단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단부(221a)와 제2단부(221b)는 각각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단부(221a)와 제2단부(221b)를 연결한 면은 상기 폐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부(221a)의 두께는 상기 제2단부(221b)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를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시킬 때,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가구장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도어라이너가 바스켓 및 바스켓에 수납되는 음식물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저장실 도어(21)는, 중심이 투명한 전면패널(110)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어라이너(110)가 전면패널(110)의 테두리부분에만 형성됨에 따라 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라이너(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바스켓결합부(220)도 상기 도어라이너(200)와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스켓결합부(220)가 도어라이너(200)와 일체로 사출성형됨에 따라, 바스켓(50)의 중심에서 편향된 일측에서 결합되는 상기 바스켓결합부(220)가 충분히 바스켓(50) 및 바스켓(50)에 수납되는 음식물의 무게를 버틸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스켓결합부(220)를 상기 내측 바디(202)에서 연결 바디(203)에 최대한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최대한 바스켓(50)의 중심과 가까운 부분에서 바스켓(50)과 바스켓결합부(22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21: 제1저장실 도어 50: 바스켓
100: 패널 어셈블리 200: 도어라이너
220: 바스켓결합부

Claims (15)

  1.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라이너;
    상기 도어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도록 상기 도어라이너로부터 폐곡면을 이루어 돌출 형성된 바스켓결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와, 상기 내측 바디와 이격되는 외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와 상기 외측 바디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에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전면 패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1수직면;
    상기 제1수직면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수직면;
    상기 제1수직면 및 상기 제2수직면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연결면; 및
    상기 제1수직면 및 제2수직면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연결면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바디에서 상기 제1수직면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상기 내측 바디에서 상기 제2수직면의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큰 냉장고의 도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에 상기 바스켓의 홈이 안착되고,
    상기 홈은 상기 제1수직면, 상기 제2수직면 및 상기 제1연결면을 감싸는 냉장고의 도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에 접하는 제1단부와 상기 제1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형성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부의 두께는 상기 제2단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냉장고의 도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상기 내측 바디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에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까지의 길이는 상기 바스켓결합부에서 상기 연결 바디까지의 길이보다 큰 냉장고의 도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결합부의 상하방향의 길이는 상기 바스켓의 높이의 1/2보다 큰 냉장고의 도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라이너와 상기 바스켓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냉장고의 도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도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은, 광의 투과가 가능한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외측에 배치되며, 광의 투과를 제한하는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라이너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을 바라보는 냉장고의 도어.
KR1020200082693A 2020-07-06 2020-07-06 냉장고의 도어 KR20220005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93A KR20220005183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93A KR20220005183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83A true KR20220005183A (ko) 2022-01-13

Family

ID=7934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93A KR20220005183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18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0870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door thereof
EP2730869B1 (en) Refrigerator
US7293847B2 (en) Cabinet for recessed refrigerators
KR20140060145A (ko) 냉장고 및 그 내부 도어의 제조 방법
CN111998607B (zh) 用于制冷设备的用户界面单元以及制冷设备
CN113803926A (zh) 冰箱
US11988442B2 (en) Refrigerator
KR20180106734A (ko) 냉장고
US20230221058A1 (en) Refrigerator
KR20190106494A (ko) 냉장고
KR20220005183A (ko) 냉장고의 도어
KR20220005231A (ko) 냉장고
JP6838019B2 (ja) 冷蔵庫
US11073328B1 (en) Injection molded front frame corners for cooling appliances
KR20220001781A (ko) 냉장고
KR20220005220A (ko) 냉장고
CN114061227A (zh) 多关节连杆铰链和包括该多关节连杆铰链的冰箱
KR102593786B1 (ko) 냉장고
KR20220007290A (ko) 도어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20005332A (ko) 냉장고
US11959691B2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20005223A (ko) 냉장고
US10823493B2 (en) Household appliance with an alignment contour provided on a wall element
US20230213270A1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102554593B1 (ko) 가전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