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523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5231A
KR20220005231A KR1020200082783A KR20200082783A KR20220005231A KR 20220005231 A KR20220005231 A KR 20220005231A KR 1020200082783 A KR1020200082783 A KR 1020200082783A KR 20200082783 A KR20200082783 A KR 20200082783A KR 20220005231 A KR20220005231 A KR 2022000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liner
panel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철
최호진
장종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5231A/ko
Priority to EP21183759.6A priority patent/EP3936801A1/en
Priority to AU2021204711A priority patent/AU2021204711B2/en
Priority to US17/368,362 priority patent/US11624549B2/en
Publication of KR2022000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231A/ko
Priority to US18/124,158 priority patent/US20230221058A1/en
Priority to AU2023214380A priority patent/AU202321438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6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도어 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주방이나 거실 등에 독립적으로 놓이거나,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091호(공개일 2017년07월13일)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와,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를 개폐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서브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에 구비되는 라이팅 유닛이 온되면 상기 메인 도어의 개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도어 바스켓 및 냉장실에 보관된 음식물이 외부로 보일 수 있다.
선행문헌의 경우 메인 도어에 도어 바스켓이 설치되고, 서브 도어가 메인 도어에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행문헌과 같은 구조의 냉장실 도어를 가지는 냉장고를, 가구장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냉장실 도어의 일부가 가구장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냉장고의 일부가 가구장의 외부로 돌출되면, 냉장고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주방의 공간을 차지하여 공간 활용도가 줄어들며, 외부 장애물이 부딪힐 가능성이 있고, 미감이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 냉장고를 주방의 가구장 내에 수납시킬 때,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크기는 유지하면서 상기 냉장실 도어가 가구장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의 두께를 줄여야 한다.
그런데, 선행문헌과 같은 냉장실 도어의 구조 자체에서 단순히 두께를 줄이는 것은 제한적이며, 하나의 도어로 저장실을 개폐하면서 내부가 보여질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일의 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면서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도어에 바스켓을 설치하며 음식물 수납이 가능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도어 라이너와 도어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도어 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을 포함함으로써, 도어가 저장실을 개폐하면서 전면 패널을 통해 저장실을 볼 수 있고,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바스켓 및 바스켓에 수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단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연장부는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는,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은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라이너 연장부의 상단은, 최하방의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상기 바스켓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 연장부, 상기 측면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면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면에 접촉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후면 연장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을 향해 함몰되는 프레임 고정부를 형성하는 후면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프레임 후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후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후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3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2 프레임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프레임 후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 후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측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4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5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외측 바디, 상기 외측 바디에서 상기 외측 바디와 교차되어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 및 상기 외측 바디에서 상기 라이너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리브와 상기 라이너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는, 라이너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라이너 체결부가 체결되기 위한 프레임 체결부를 포함하고, 체결부재가 상기 라이너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되는 냉장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과 이격되는 단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단열 패널에 접촉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고정기구, 상기 측면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고정기구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도어 라이너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3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면서도 저장실 내부를 볼 수 있는 패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어에 바스켓을 설치하며 음식물 수납이 가능하며 패널 어셈블리를 통해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을 확인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에 수납된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서 도어 라이너와 도어 프레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 냉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상측에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7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측면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를 13-13'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도어 프레임에 패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히터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는 도 15에 도어 라이너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을 17-17'을 기준으로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서 바스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하나의 독립적인 저장공간을 포함하거나 구분되는 다수의 저장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복수의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저장실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냉장고 도어(20)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저장실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에는 상측의 제1 저장실을 제1 저장실 도어(21, 22)가 개폐하고, 하측의 제2 저장실을 제2 저장실 도어(23, 24)가 개폐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 또는 복수의 도어가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고(1)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저장실을 개폐하는 한쌍의 제1 저장실 도어(21, 22)와,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저장실을 개폐하는 한쌍의 제2 저장실 도어(23, 2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1 저장실 도어(21, 22) 및 제2 저장실 도어(23, 24)를 프렌치(french) 타입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제1 저장실 도어(21, 22)는 도어 힌지(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힌지(26)에 의해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 22)의 상단과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26)는 힌지 커버(28)에 의해서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 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구비되는 제1 저장실 도어(21)와 좌측에 구비되는 제 1 저장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어 힌지(26)는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 22) 각각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측의 제1 저장실 도어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의 후측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냉장실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는, 단일의 도어로서,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 저장실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는, 외형을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300)과,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결합되는 패널 어셈블리(100)와, 상기 도어 프레임(300)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와 함께 단열재(400)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402)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개구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 또는 조립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개구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라이너 개구(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라이너 개구(201)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전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상기 제1 저장실 도어(2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은, 제1 부분(111)과, 상기 제1 부분(111)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112)은 상기 제1 부분(1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서 테두리 둘레를 따라서 인쇄층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층에 의해서 상기 제1 부분(111)과 상기 제2 부분(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을 베젤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11)은 도시되지 않은 조명 유닛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하는 부분이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2 부분(112)에서 광의 투과를 제한하거나 광의 투과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단열 패널(120, 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2개의 단열 패널이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1개의 단열 패널이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열 패널(120, 130)은, 상기 제1 단열 패널(120)과 제2 단열 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열 패널(130)은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1 단열 패널(1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2 단열 패널(130) 사이에는 스페이서(140)가 구비되며,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2 단열 패널(130)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용 가스가 주입되거나 상기 단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진공 단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2 단열 패널(130)과 상기 제1 단열 패널(120) 사이에는 스페이서(1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단열 패널(130)과 상기 제1 단열 패널(120) 사이에는 단열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용 가스가 주입되거나 상기 단열 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어 진공 단열 공간일 수 있다.
상기 각 단열 패널(120, 130)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되거나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4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스페이서(140)는 상기 제2 부분(112)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10)의 좌우 폭 및 높이는 상기 각 단열 패널(120, 130)의 좌우 폭 및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110)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상기 스페이서(1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 접착부에 의해서 부착되는 히터 프레임(3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프레임(39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스페이서(140)의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2 단열 패널(130) 사이의 스페이서(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프레임(390)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상기 스페이서(14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프레임(390)의 전면에는 히터(394)가 수용되기 위한 홈(3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394)는, 상기 전면 패널(110)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 패널(110)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히터 프레임(39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히터 프레임(39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제2 부분(112)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단일의 프레임에 의해서 형성되거나, 복수의 프레임의 조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 접착부(33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30)는 일례로 접착제이거나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부(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접착부(330)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제2 부분(112)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이 상기 전면 패널(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330)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둘레면(상면, 하면 및 양측면을 포함함)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은, 상부 프레임(310)과, 하부 프레임(340)과,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상기 하부 프레임(34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350, 3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10)은 내부에 전선이 각종 부품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프레임 커버(3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 각각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352)와, 상기 측면부(352)의 후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부(355), 상기 측면부(352)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전면벽(311)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전면벽(342)에 접촉하는 전면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는 상기 측면부(352)의 전단부에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3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의 전면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354)의 후면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전면에 접촉하며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과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은 상기 전면부(354)의 후방에 상기 측면부(352)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리브(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리브(353)는 상기 전면부(354)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측면부(3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리브(353)는 상기 측면부(352)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면부(354)와 평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부(354)와 상기 전면 리브(353) 사이에 사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은 상기 후면부(355)로부터 연장되는 후면 연장부(3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연장부(356)는 상기 후면부(355)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면부(355)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연장부(356)를 통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은 상기 상부 프레임(310) 및 상기 하부 프레임(340) 각각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350, 360) 중 어느 한 측면 프레임(360)에는 힌지(26)가 위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36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상기 라이너 개구(201)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02)는, 상면, 하면 및 양측면(205)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바디(202)에는 바스켓(50)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20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207)는 일례로 상기 양측면(205)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측면에서 복수의 결합 돌기(207)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50)의 양측벽에는, 상기 결합 돌기(207)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스켓(50)을 상기 내측 바디(202)의 라이너 개구(201)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5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결합 돌기(207)가 상기 돌기 홈(52)에 수용되어, 상기 바스켓(50)이 상기 돌기 홈(52)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50)이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전면 패널(110)의 제1 부분(111)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조명 유닛이 작동하면 상기 제1 부분(111)을 통과하는 광에 의해서 상기 바스켓(50) 및 상기 바스켓(50)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는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 바디(202)의 단부는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의 외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외측 바디(210)와, 상기 외측 바디(210)와 상기 내측 바디(202)를 연결하는 연결 바디(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가스켓(450)이 결합되기 위한 가스켓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결합부(211)는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 바디(210)와 상기 연결 바디(203)가 상기 가스켓 결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내측 바디(20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부가 상기 개구(20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상기 외측 바디(210)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300)과 접촉하기 위한 라이너 접촉부(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는 상기 외측 바디(210)에서 상기 외측 바디(2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는,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후면벽(312)에 구비되는 프레임 연장부(317)와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후면벽(344)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와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와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접촉 부위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접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접착부 없이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와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가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두 부재 사이에 접착부가 매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두 부재가 결합되어도 두 부재가 접촉한 것으로 정의 및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는, 상기 각 측면 프레임(350, 360)의 후측에 접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300)과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 및 도어 라이너(200)에 의해서 단열재(400)가 위치되기 위한 단열 공간(4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00) 또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는 발포액을 주입하기 위한 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통해 발포액이 주입되고 발포액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단열 공간(402)에 상기 단열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포액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상기 발포액은 상기 발포액과 접촉하는 구조물과 결합된다. 즉, 상기 발포액은 단열을 위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이격되는 두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단열재(400)의 일부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에서 단열 패널(120, 13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특히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한다. 상기 단열재(400)에서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한 부분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내측 바디(202)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단열재(40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프레임 연장부(317) 및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외측 바디(210)와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310)을 연결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서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에서 단열 패널(120, 130)의 하방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제1 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내측 바디(202)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바스켓(50)이 결합되므로, 상기 바스켓(50) 및 상기 바스켓(50)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하중이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작용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작용하는 힘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접촉 부위로 작용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접촉 부위로 가해지는 힘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도어 프레임(300)이 분리되도록 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설령,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접착부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접착되고, 상기 단열재(400)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연결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작용하는 하중이 크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프레임 연장부(317)와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접촉부(212)가 분리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제1 저장실 도어(21)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바스켓(50)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200)로 바스켓(50)과 음식물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상기 도어 프레임(30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구는, 일 예로 상기 하부 프레임(340)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기구와,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과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고정을 위한 제 2 고정기구와,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고정을 위한 제3 고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실 도어(21)의 제1 고정기구에 대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에 측면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상측에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은 상방에서 하측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40)은, 베이스(341)와, 상기 베이스(341)의 전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벽(342)과, 상기 전면벽(341)의 후방에서 상기 베이스(341)로부터 연장되는 후면벽(344)과, 상기 후면벽(344)의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전면벽(341)을 향해 연장되는 측면벽(3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341)의 앞쪽 부분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지지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후면벽(344)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라이너 안착면(344a) 및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의 일부가 위치되기 위한 프레임 안착면(34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은 상기 후면벽(344)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접촉한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라이너 안착면(344a)과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되거나 접착부 없이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은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 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안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에 상기 후면부(355)가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은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은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으로부터 상기 후면부(355)의 두께만큼 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부(355) 및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에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은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고정되기 위한 제1 프레임 후크(34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는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는,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제1 후크 홀(35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면부(355)의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제1 후크 홀(35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후크 홀(355a)에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는 하방을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상방에서 하측을 향해 용이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벽(344)은 상기 라이너 안착면(344a)과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의 사이에 상기 후면 연장부(356)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된 프레임 고정부(34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부(344c)는 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측면부(352)가 상기 측면벽(343)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후면부(355)가 상기 프레임 안착면(344b)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후면 연장부(356)가 상기 프레임 고정부(344c)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면벽(342)에는,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의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전면부(354)가 상기 전면벽(342)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벽(342)은 체결부(342a)를 형성하고, 상기 전면부(354)는 상기 체결홀(342a)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부(354a)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체결부(342a) 및 상기 체결부(354a)는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홀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340)은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리브(345) 및 제2 리브(3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345)는 상기 전면벽(342)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벽(342)은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나, 측방에 제1 리브(345)가 형성되도록 측단이 다수 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345)는 상기 베이스(341)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354)와 상기 전면 리브(353)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사이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345)는 상기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면, 상기 제1 리브(345)가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346)는 상기 전면벽(34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346)는 상기 전면벽(342)의 전방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리브(346)는 상기 베이스(341)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면, 상기 제2 리브(346)와 상기 전면벽(342)의 사이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354)가 상기 제2 리브(346)와 상기 전면벽(342)의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부(354)의 전방에 상기 제 2 리브(346)가 위치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프레임(340)은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의 체결을 위해 프레임 체결부(3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는 상기 전면벽(342)과 상기 후면벽(34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는 상기 전면벽(342)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의 일부는 상기 전면벽(342)과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는 상기 베이스(341)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하부 프레임(34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제1 체결홀(3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4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핸들부(34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기구에 대하여 정리하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후면 연장부(356)가 상기 프레임 고정부(344c)에 삽입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355)의 상기 제1 후크 홀(355a)에 상기 제1 프레임 후크(344d)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54)와 상기 전면 리브(35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이 공간에 상기 제1 리브(345)가 위치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54)의 전방에 상기 제 2 리브(346)가 위치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실 도어(21)의 제2 고정기구에 대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결합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측면 프레임에 상부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측면을 보여주는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를 13-13'을 기준으로 절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은 상방에서 하측을 향해 이동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310)은, 개구된 상면부(313), 상기 상면부(313)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후면벽(312), 상기 상면부(313)의 전단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전면벽(311)과, 상기 전면벽(31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면벽(312)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측면벽(3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313)는 개구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3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후면벽(312)은 상기 상면부(313)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후면벽(312)에는 상기 힌지(26)가 위치하기 위한 함몰된 형태의 힌지 수용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벽(312)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상기 후면벽(312)의 좌우 폭길이 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상기 측면벽(31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측면벽(314)이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바,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전방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후면벽(312)과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면부(355)가, 상기 후면벽(312)과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벽(314)은 상기 상면부(3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벽(314)은 상기 상면부(313)의 측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면벽(314)은 상기 전면벽(311)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면벽(312)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벽(314)과 상기 후면벽(312)의 이격된 공간에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면부(355)가, 상기 후면벽(312)과 상기 측면벽(3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벽(314)은 상기 후면벽(312)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측면벽(314)의 후면은 상기 후면벽(312)과 마주하게 된다. 상기 측면벽(314)은,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3 리브(314a) 및 후면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프레임 후크(314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리브(314a)는 상기 측면벽(314)은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벽(31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벽(314)과 상기 후면벽(31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후면부(355)가 상기 제3 리브(314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면부(355)의 전방에 상기 제3 리브(314a)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면부(355)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벽(314)과 상기 후면벽(312)의 사이에 상기 후면부(355)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3 리브(314a)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면부(355)가 고정되는 경우, 상기 후면 연장부(356)는 상기 제3 리브(314a)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는 상기 측면벽(314)은 후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벽(314)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는,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되는 제2 후크 홀(355b)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면부(355)의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제2 후크 홀(35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후크 홀(355b)에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는 상방을 향할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상방에서 하측을 향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벽(314)은, 측면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4 리브(31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314b)는 상기 측면벽(314)은, 측면 전단으로부터 외측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314b)는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리브(314b)는 복수 개가 상하방향으로 이격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리브(314b)는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354)와 상기 전면 리브(353)가 형성하는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4 리브(314b)는 상기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이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결합되면, 상기 제1 리브(345)가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벽(311)은 상기 상면부(3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면벽(311)은, 상기 상면부(313)의 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부(354)가 상기 전면벽(311)에 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부(354)가 상기 전면벽(311)의 전방에서 상기 전면벽(311)에 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면부(313)는 상기 전면벽(311)의 전방에 상기 상면부(313)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5 리브(313a)를 포함한다. 상기 제5 리브(313a)는 상기 전면벽(3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5 리브(313a)는, 상기 전면부(354)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면벽(31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부(354)는 상기 전면벽(311)과 상기 제5 리브(313a)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5 리브(3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기구에 대하여 정리하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후면부(355)의 전방에 상기 제3 리브(314a)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면부(355)가 고정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355)의 상기 제2 후크 홀(355b)에 상기 제2 프레임 후크(314c)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54)와 상기 전면 리브(353)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사이 공간에 상기 제4 리브(314b)가 위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354)의 전방에 상기 제5 리브(313a)가 위치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310), 상기 측면 프레임(350, 360) 및 상기 상부 프레임(310)이 결합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300)이 개구를 구비하는 사각 틀 형태로 형성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조립된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립된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가 고정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은 본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도어 프레임에 패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히터 프레임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면 패널(110)이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전면에 접착부(33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30)는 일례로 접착제이거나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이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전방에 고정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300)의 개구된 공간에 상기 단열 패널(120, 13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면에 상기 히터 프레임(390)이 접착부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프레임(390)은 사각 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 패널(110)의 후측에 위치되며 상기 전면 패널(110)과 상기 제2 단열 패널(130) 사이의 스페이서(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300)에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 및 상기 히터 프레임(39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400)가 위치되는 상기 단열 공간(402)을 형성하는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실 도어(21)의 제3 고정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6는 도 15에 도어 라이너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을 17-17'을 기준으로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 바스켓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상기 내측 바디(202), 상기 외측 바디(210) 및 상기 외측 바디(210)와 상기 내측 바디(202)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 바디(2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3 고정기구는, 상기 외측 바디(21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6 리브(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리브(214)는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일 예로, 상기 제6 리브(214)는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6 리브(214)와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의 간격 사이에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가 위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고정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외측 바디(210)의 상면에는 복수의 제6 리브(214)가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상부 프레임(31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6 리브(214)는, 상기 외측 바디(210)에서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 후,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는 상기 제6 리브(214)와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 사이에서 상기 외측 바디(21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바스켓(50)이 장착되고, 바스켓(50)에 음식물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가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의 앞쪽에 상기 제6 리브(214)가 존재하므로,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상기 라이너 접촉부(212)가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도 상기 제6 리브(214)가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에 걸리므로,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상기 상부 프레임(310)과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6 리브(214)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6 리브(214)는 상기 프레임 연장부(317)와 미세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200)와 상기 하부 프레임(340)이 체결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340)은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00)의 일부는 상기 전면벽(341)과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하측부를 상기 하부 프레임(340)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라이너 체결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체결부(217)는 상기 연결 바디(203)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체결부(217)에는 체결부재가 관통하기 위한 제2 체결홀(2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하측부를 상기 하부 프레임(340)과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라이너 체결부(217)를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프레임 체결부(347)에 접촉시킨다.
그러면, 상기 라이너 체결부(217)의 제2 체결홀(218)과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의 제1 체결홀(348)이 정렬된다. 또한, 상기 도어 라이너(200)의 라이너 접촉부(212)가 상기 하부 프레임(340)의 후면벽(344)의 후면과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라이너 체결부(217)와 상기 프레임 체결부(347)에 체결시킨다.
그러면,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도어 라이너(200)가 상기 하부 프레임(340)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라이너(200)는, 상기 내측 바디(202)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00)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는 상기 단열 패널(120)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를 통해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단열 공간(402)에 상기 발포액이 발포되어도 상기 도어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너(200)에 형성되는 개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발포액이 주입되며, 상기 발포되는 힘에 의해 상기 도어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바디(20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열 패널(120)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를 통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를 통해 상기 발포액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의 상단은, 최하방의 상기 결합 돌기(207)에 결합되는 상기 바스켓(50)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바스켓(50) 및 상기 바스켓(50)에 수용된 음식물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경우, 상기 라이너 연장부(220)는 보여지지 않아 수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1: 냉장고
10: 캐비닛
21: 제1 냉장고 도어
50: 바스켓
100: 패널 어셈블리
200: 도어 라이너
300: 도어 프레임

Claims (16)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및
    상기 도어 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어셈블리는 상기 전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단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너 연장부는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냉장고.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바디는,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바스켓은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라이너 연장부의 상단은, 최하방의 상기 결합 돌기에 결합되는 상기 바스켓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과 결합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측면에 접촉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후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면에 접촉하는 후면부;
    상기 후면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후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 연장부;
    상기 측면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면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전면에 접촉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상기 측면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면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후면 연장부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방을 향해 함몰되는 프레임 고정부를 형성하는 후면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1 프레임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 프레임 후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후크 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 2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후면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3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2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부는 상기 제2 프레임 후크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2 프레임 후크가 삽입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 후크 홀을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와 상기 전면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측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4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전면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5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외측 바디;
    상기 외측 바디에서 상기 외측 바디와 교차되어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 및
    상기 외측 바디에서 상기 라이너 연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리브와 상기 라이너 연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레임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라이너는, 라이너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라이너 체결부가 체결되기 위한 프레임 체결부를 포함하고,
    체결부재가 상기 라이너 체결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부에 체결되는 냉장고.
  16.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및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전면 패널과 이격되는 단열 패널을 포함하는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연결되며,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단열 패널에 접촉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과 함께 단열재가 위치되는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
    상기 도어 라이너에 설치되는 바스켓;
    상기 하부 프레임에 상기 측면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고정기구;
    상기 측면 프레임에 상기 상부 프레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고정기구; 및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도어 라이너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3 고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라이너는,
    개구를 형성하는 내측 바디; 및
    상기 내측 바디의 하면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단열 패널의 후면에 접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라이너 연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200082783A 2020-07-06 2020-07-06 냉장고 KR20220005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83A KR20220005231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
EP21183759.6A EP3936801A1 (en) 2020-07-06 2021-07-05 Refrigerator
AU2021204711A AU2021204711B2 (en) 2020-07-06 2021-07-06 Refrigerator
US17/368,362 US11624549B2 (en) 2020-07-06 2021-07-06 Refrigerator
US18/124,158 US20230221058A1 (en) 2020-07-06 2023-03-21 Refrigerator
AU2023214380A AU2023214380A1 (en) 2020-07-06 2023-08-1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783A KR20220005231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231A true KR20220005231A (ko) 2022-01-13

Family

ID=79341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783A KR20220005231A (ko) 2020-07-06 2020-07-06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52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4549B2 (en) * 2020-07-06 2023-04-11 LG Electi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24549B2 (en) * 2020-07-06 2023-04-11 LG Electi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431B1 (ko) 냉장고
KR102597666B1 (ko) 냉장고
KR20180086644A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투명 패널 어셈블리
US11774164B2 (en) Refrigerator
KR102285845B1 (ko) 냉장고
US11988442B2 (en) Refrigerator
AU2023214380A1 (en) Refrigerator
KR20220005231A (ko) 냉장고
KR102510226B1 (ko) 냉장고
KR20180105929A (ko) 냉장고
KR20220005220A (ko) 냉장고
JP6838019B2 (ja) 冷蔵庫
KR101668707B1 (ko) 냉장고 도어
CN111664623B (zh) 具有抽屉的家用制冷器具
KR20220005183A (ko) 냉장고의 도어
KR20220001781A (ko) 냉장고
KR102645872B1 (ko) 냉장고
KR20220005332A (ko) 냉장고
JP7481162B2 (ja) 冷蔵庫
JP7481163B2 (ja) 冷蔵庫
KR101010792B1 (ko) 냉장고
US20230030975A1 (en) Refrigerator
KR20240051576A (ko) 냉장고
KR20060039227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고정장치
KR20220005223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