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34988A1 -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34988A1
WO2024034988A1 PCT/KR2023/011334 KR2023011334W WO2024034988A1 WO 2024034988 A1 WO2024034988 A1 WO 2024034988A1 KR 2023011334 W KR2023011334 W KR 2023011334W WO 2024034988 A1 WO2024034988 A1 WO 20240349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sh rod
motor
door
waiting ti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13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초민
이승원
이재진
전호준
천동현
신정훈
유우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567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22381A/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8/235,66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53088A1/en
Publication of WO20240349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349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frigerator equipped with a door opening device that opens the doo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keeps food fresh by having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cold air supply device provided to supply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Refrigerators are often equipped with a door opening device that helps you open the door easily.
  • the air inside the storage room cools, causing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room, which can lead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room.
  • the door is adher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gasket containing a magnet. Therefore, when opening the door, a lot of force may be required at the beginning of opening.
  • the door opening device pushes the back of the door to open the door at a certain angle. Therefore, the user can open the door with little force.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opening device capable of opening a plurality of door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oor open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ush rods movable to press the back of a plurality of doors, and a moto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push rods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move in opposite directions.
  • a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Disclosed is a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agent that presses the first door.
  • a door opening device including a motor provided to move a push rod and a second push rod pressing the second door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provided to receive a user input;
  •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including a speaker provided to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may includ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first switch, the first push rod moves the first push rod at a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s reached, and stopping the motor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a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the first push ro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first push ro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chang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s reached.
  •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initially set to a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and the motor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o a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hat is shorter than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faster than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 Performing either operation includes stopping the motor for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from when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After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rod is reached, the motor is operated at the first reference speed during the third reference waiting tim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It may include dri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and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may be set by the user.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n response to this being received, driving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second reference drive speed until the second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It may include more.
  • the motor may be continuously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is reach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stopping the motor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rotating the motor in reverse at a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It may include changing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performing at least one of driving.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This may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o this being receiv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stopping the motor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rotating the motor in reverse at a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It may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performing at least one of driving.
  •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first push rod for pressing the first door, and
  • a door opening device including a motor provided to move a second push rod that pressurizes the second door in opposite directions,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provided to receive a user input, and a device that generates a notification sound.
  • a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including a speaker provided to control the first push rod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first switch.
  •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a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the push ro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first push rod is moved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it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faster than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includes stopping the motor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rotating the motor in reverse at a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It may include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performing at least one of driving.
  • a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rranged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rear surface of the first door.
  • a first push rod movable to press the back of the second door, a second push rod movable to press the back of the second door, and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nd move forward and backward.
  • a door opening device including a motor driveable in one direction; A first switch provided to receive a user input for opening the first door; A second switch provided to receive a user input for opening the second door a switch; and a speaker provided to output a notification soun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motor and the speaker; It includes, wherein the control unit,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first switch, until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stopping the motor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driving the motor at a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performing at least one of driving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fter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the first push rod is
  • the mo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a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the first push rod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and the first push rod is moved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 the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being received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is reached.
  • a notification sound may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in response to a user input being received from the second switch while driving the motor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neutral position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 the door opening device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 the refrigerator includes an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are open or closed, and the control unit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 the motor may be driven to alig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based on the open/close information of the first door and the second door detected by the open/close sensor.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hing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to rotatably support the first door; and a cam unit provided to close the first door by its own weight when the motor driv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first push rod moves from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 cam unit including a door cam provided at a bottom of the first door and a hinge cam provided on the hinge to correspond to the door cam; may include.
  • a plurality of push rods for opening a plurality of doors are driven in conjunction with one motor,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s and simplifying the assembly structure.
  • the user when a command to withdraw the other push rod is input while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rods is withdrawn and the other push rod is retracted, the user selects the other push rod.
  • the time delay until the push rod is withdrawn may not be easily recognized.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a refrigerator is opened and the door opening device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tted line portion of FIG. 1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handle of the first door and a switch of the firs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switch of a first door and a switch of a secon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door and the front panel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door and the front panel separated from another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de portion and a side cap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ea around the lower hing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m unit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m unit in an open state (specifically, a state in which the push rod is at its maximum forward position).
  • Figure 11 is an exploded view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 a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is in a neutral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the second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and the second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second switch is not turned on during the first door opening phase, the first door waiting phase, and the first door closing phase.
  • Figure 1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part of the control flowchart including a case wher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
  • FIG. 18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rol flowchart including a case wher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
  •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main body.
  • the “main body” may include an inner box, an outer box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ox, and an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 the “inner bo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se, plate, panel, or liner that form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inner case may be formed as a single body or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lates.
  • the “outer case”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and may be join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such that an insulating material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 the “insulation material” can insul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room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storage room can be maintained at a set appropriate temperatur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environment outside the storage room.
  • the insulation material may include a foam insulation material.
  • a foam insulation material can be formed by injecting and foaming urethane foam mixed with polyurethane and a foaming agent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ounds.
  • the insulation material may include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 addition to the foam insulation material, or the insulation material may be composed of only a vacuum insulation material instead of the foam insulation material.
  • the vacuum insulator may include a core material and an outer shell material that accommodates the core material and seals the interior with a vacuum or a pressure close to vacuum.
  • the insulation material is not limited to the foam insulation material or vacuum insulation material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insulation.
  • Storage room may include a space defined by an internal container.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box that define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compartment.
  • a variety of items, such as food, medicine, and cosmetics,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room, and the storage room can be formed so that at least one side is open for loading and unloading goods.
  • a refrigerator may include one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When two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are formed in a refrigerator, each storage compartment can have a different purpose and be maintained at a different temperature. To this end, each storage compartment may be partitioned off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containing an insulating material.
  • the storage room may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range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may include a “refrigerator room,” “freezer room,” or “alternate temperature roo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 and/or temperature range.
  •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refrigerating products
  • the freezer compartment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frozen storage of products.
  • “Refrigeration” can mean cooling items to the point where they are not frozen, for example, a refrigerated room can be maintained in the range of 0 degrees Celsius to +7 degrees Celsius.
  • Freezing can mean freezing or cooling an item to remain frozen, for example, a freezer may be maintained in a range of -20 degrees Celsius to -1 degree Celsius.
  • the alternate temperature room can be used as either a refrigerator room or a freezer room, with or without the user's choice.
  • the storage room may be called by various names such as “vegetable room”, “fresh room”, “cooling room”, and “ice-making room” in addition to names such as “refrigerator room”, “freezer room”, and “cold storage room”, and is used hereinafter as “refrigerator room”.
  • Terms such as “, “freezing room” and “alternate temperature room” should be understood to encompass storage rooms with corresponding uses and temperature ranges, respectively.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one open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 a door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one or more storage compartments, or a single door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 the door may be rotatably or slidingly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 the “door” may be configured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oor may include insulation, like the body, to insulate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oor may include a door outer plate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a door inner plate forming the rear of the door and facing the storage room, an upper cap, a lower cap, and a door insulation provided inside them. there is.
  • a gasket may b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inner plate of the door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 b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oor inner plate may include a dyke that protrudes rearward so that a door basket for storing items is mounted.
  • the door may include a door body and a front panel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oor body and forms the front of the door.
  • the door body may include a door outer plate that forms the front of the door body, a door inner plate that forms the rear of the door body and faces the storage room, an upper cap, a lower cap, and a door insulator provided inside them.
  • Refrigerators are classified into French Door Type, Side-by-Side Type, BMF (Bottom Mounted Freezer), TMF (Top Mounted Freezer), or 1-door refrigerator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door and storage compartment. can be distinguished.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ld air supply device configured to supply cold air to a storage compartment.
  • a “cold ai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machine, appliance, electronic device, and/or a combination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cold air and directing cold air to cool a storage compartment.
  • the cold air supply device may generate cold air through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processes of the refrigerant.
  • the cold ai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device, and an evaporator capable of driving the refrigeration cycle.
  • the cold air supply device may include a semiconductor such as a thermoelectric element. Thermoelectric elements can cool the storage compartment by generating heat and cooling through the Peltier effect.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machine room in which at least some parts belonging to the cold air supply device are arranged.
  • the “machine room” may be arranged to be partitioned and insulated from the storage room to prevent heat generated from parts placed in the machine room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torage room.
  • the inside of the machine room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dissipate heat from the components placed inside the machine room.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ispenser provided on the door to provide water and/or ice.
  • the dispenser may be provided on the door so that the user can access it without opening the door.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ice-making device that produces ice.
  • the ice making device may include an ice making tray that stores water, an ice moving device that separates ice from the ice making tray, and an ice bucket that stores ice generated in the ice making tray.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memory that stores or remembers programs and/or data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or, and a processor that outputs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cold air supply devices, etc. according to the programs and/or data stored in the memory. You can.
  • Memory stores or records various information, data, commands, programs, etc.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 the memory can store temporary data generated while generat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frigerator.
  • the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rocessor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 the processor can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by executing programs stored in memory.
  • the processor may include a separate NPU that performs the operation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a graphics processor (GPU), etc.
  •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ld air supply. For example, the processor may receiv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from a temperature sensor and generate a cooling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ld air supply device based on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processor may process user input of the user interface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programs and/or data memorized/stored in the memory.
  •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using an input interface and an output interface.
  • the processor may receive user input from a user interface. Additionally, the processor may transmit a display control signal and image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user interface to the user interface in response to a user input.
  • a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 the processor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and at least one subprocessor.
  • the memory may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processor and a memory that control all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refrigerato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a plurality of memories that individually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refrigerator.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processor and memory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a cold ai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output of a temperature sensor.
  • the refrigerator may be separately equipped with a processor and memory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r input.
  • the communication module can communicate with external devices such as servers, mobile devices, and other home appliances through a nearby access point (AP).
  • An access repeater (AP) can connect a local area network (LAN) to which a refrigerator or user device is connected to a wide area network (WAN) to which a server is connected.
  • LAN local area network
  • WAN wide area network
  • the refrigerator or user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server via a wide area network (WAN).
  • the input interface may include keys, a touch screen, a microphone, etc.
  • the input interface can receive user input and pass it to the processor.
  • the output interface may include a display, a speaker, etc.
  • the output interface can output various notifications, messages, information, etc. generated by the processor.
  •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of a refrigerator is opened and the door opening device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dotted line portion of FIG. 1 and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handle of the first door and a switch of the first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parison between a switch of a first door and a switch of a secon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main body 10, storage chambers 13 and 14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 and 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hambers 13 and 14. It may include doors 21 and 22 and a cold air supply device (not shown) that supplies cold air to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 the main body 10 includes an inner case 11 that forms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an outer case 12 tha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1 to form the exterior, and an inner case (11) to insulate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It may include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provided between 11) and the outer case 12.
  • the storage rooms 13 and 14 may be divided into a left storage room 13 and a right storage room 14 by a vertical partition 15.
  • the storage compartment 13 on the left can be used as a freezer, and the storage compartment 14 on the right can be used as a refrigerator.
  • the division and use of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as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 a shelf 16 for placing items and a storage container 17 for storing items may be provided inside the storage rooms 13 and 14.
  • the cold air supply device generates cold air using a cooling circulation cycle that compresses, condenses, expands, and evaporates the refrigerant, and supplies the generated cold air to the storage chambers 13 and 14.
  •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doors 21 and 22 that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 the door 21 on the left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13 on the left
  • the door 22 on the right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14 on the right.
  • the doors 21 and 22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 the mai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hinges 23, 24, and 25 to rotatably couple the doors 21 and 22 to the main body 10.
  • the left door 21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by the left upper hinge 23 and the left lower hinge 24.
  • the door 22 on the right side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right hinge 25 and the lower right hinge (not shown).
  • a door shelf 26 for storing food, and a door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o seal the storage compartments 13 and 14 when the doors 21 and 22 are closed.
  • a gasket 27 may be provided.
  • the door gasket 27 includes a magnet an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rough magnetic force.
  • Front panels 31 and 3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oors 21 and 22.
  • the front panels 31 and 3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doors 21 and 22.
  • a top table 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top table 2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hinges 23 and 25 and can prevent the upper hinges 23 and 25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a door opening device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top table 2 to open the doors 21 and 22.
  • a door opening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3) in which the door opening device (100)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op table (2), and the door opening device (1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3). there is.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table 2 to be accommodated in the door opening device receiving portion 3.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b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top table 2 through a fastening member 6.
  • the top table 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ith the door opening device 100 coupled to the top table 2.
  • Open/close detection sensors 141 and 142 may be provided inside the top table 2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s 21 and 22.
  •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s 141 and 142 may include a Hall sensor that detects changes in the magnetic field and generates a voltage.
  • the doors 21 and 22 may be provided with magnets (not show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open/close sensors 141 and 142.
  •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s 141 and 142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optical sensors and proximity sensors.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can open the doors 21 and 22 by pushing the rear surfaces of the doors 21 and 22 forward.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opens the doors 21 and 22 to a certain extent, allowing the user to open the doors 21 and 22 with little force.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include movable push rods 111 and 112.
  • the push rods 111 and 112 may include a first push rod 111 that opens the first door 21 and a second push rod 112 that opens the second door 22 .
  • Rod holes 5 through which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pass may be formed in the front surface 4 of the top table 2.
  • a recessed first handle 61 may be formed on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so that the user can insert his/her hand and hold it.
  • the first handle 61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ide surface 43a of the first door 21, but may not be formed in the entire se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door 21, but only in a portion of the section.
  • a recessed second handle 261 may be formed on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so that the user can insert his/her hand and hold it.
  • the second handle 261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ide surface 243a of the second door 22, but may not be formed in the entire sec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second door 22, but only in a portion of the section.
  •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may be formed to have a step (FIG. 12). That is, the gap between the front part 243b of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and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is the rear part of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 It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gap between 243c) and the side surface 43a of the first door 21. Therefore, hold your hand with the first handle 61 and the second handle 261 between the front part 243b of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and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A space 28 can be formed into which it can be inserted.
  • the second handle 261 may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243b of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be operated through switches 70 and 270.
  • the user can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100 by manipulating the switches 70 and 270.
  • the switches 70 and 270 may be operated by the user's touch.
  • the switches 70 and 270 may include a first switch 70 provided on the first door 21 and a second switch 270 provided on the second door 22.
  • the first switch 70 may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100 so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00 opens the first door 21 .
  • the second switch 270 may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100 so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00 opens the second door 22 .
  • the first switch 70 can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100 so that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for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backward.
  •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forward and pressurizes the first door 21, thereby opening the first door 21.
  • the second switch 270 may operate the door opening device 100 so that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back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forward.
  •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forward and presses the second door 22, thereby opening the second door 22.
  • the first switch 7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 the first switch 7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first handle 61 on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Accordingly, the first switch 70 may be touched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grasps the first handle 61 with his hand.
  •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witch 7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43a of the first door 21. Due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hold the first handle 61 more comfortably.
  • the second switch 27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 the second switch 270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handle 261 on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Accordingly, the second switch 270 may be touched at the same time as the user grasps the second handle 261 with his hand.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witch 270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side 243a of the second door 22. Due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hold the second handle 261 more comfortably.
  • the heights of the first switch 70 and the second switch 27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height of the first switch 70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switch 270 may differ by a predetermined height (H).
  • the device 100 can be prevented from malfunctioning.
  •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door and the front panel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door and the front panel separated from another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de portion and a side cap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doors 21 and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Since the structures of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are almost similar, the first door 21 will be described below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door 22 will be omitted.
  • the door 21 includes a door front portion 40 forming the front of the door 21, a door side portion 43 forming the side of the door 21, and a door rear portion forming the rear of the door 21 ( 49) may be included.
  • the door front part 40 and the door side part 43 may be formed as one piece.
  • the door front portion 40 and the door side portion 43 may be formed by bending a single metal plate.
  • the door front part 40 and the door side part 43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 the door front portion 40 and the door side portion 4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a handle opening 44 and a switch opening 45 may be formed in the door side portion 43.
  • the handle opening 44 and the switch opening 45 may be formed separate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handle opening 44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witch opening 45.
  • the handle opening 44 may be formed behind the switch opening 45.
  • the handle opening 44 and the switch opening 45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door 21 may include a side cap 60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side portion 43.
  • the side cap 60 may be coupled to the door side portion 43 to cover the handle opening 44 and the switch opening 45. Since the side cap 60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side portion 43, the foaming liquid will not leak through the handle opening 44 and the switch opening 45 when foaming the insulation material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21. You can.
  • the side cap 60 may be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Since the side cap 60 is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various shapes can be easily formed on the side cap 60. For example, the handle 61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side cap 60. Additionally, a switch mounting space 62 in which the switch 70 is mounted may be formed in the side cap 60.
  • the handle 61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and shape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handle opening 44. Handle 61 may be accessible through handle opening 44 .
  • the switch mounting space 6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and shape that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switch opening 45.
  • the door rear portion 49 may be coupled to the door side portion 43.
  • a door gasket 27 (FIG. 2) may be provided on the edge of the door rear portion 49.
  • the door rear portion 49 includes a dyke protruding rearward, and a door shelf 26 (FIG. 2) may be mounted on the dyke.
  • the door 21 may include an upper cap 50 and a lower cap 56.
  • the door front part 40, both door side parts 43, the door rear part 49, the upper cap 50, and the lower cap 56 may be combined to form an internal space.
  • a door insulation material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space.
  • the upper cap 50 and lower cap 56 may each be injection molded from a plastic material.
  • a structure for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panel 31 to the front of the door 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cap 50 and the lower cap 56.
  • the switch 70 may be mounted in the switch mounting space 62 formed in the side cap 60.
  • the switch 70 may be inserted into the switch mounting space 62 through the switch opening 45 formed in the door side portion 43.
  • the switch 7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operating the door opening device 100.
  • the switch 70 can receive user input by the user's touch. That is, when the user touches the switch 70, the switch 70 may generate a signal that operates the door opening device 100.
  • the switch 70 may include a touch switch that generates a door opening signal according to a change in capacitance.
  • the switch 70 may include a variety of switches other than those that detect changes in capacitance due to touch.
  • the switch 70 may include a mechanical push switch, such as a button type, dial type, or toggle type.
  • the switch may include a non-contact switch. That is, the switch may include a reed switch operated by a magnet, a proximity sensor switch including a proximity sensor, and a TOF switch including a TOF sensor using an infrared wavelength.
  •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front panels 31 and 32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s of the doors 21 and 22. Since the front panel 31 and the front panel 32 have the same or mostly similar configuration, only the front panel 31 will be described.
  • the front panel 3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ront of the door 21.
  • the front panel 31 may include a panel body 33, an upper trim 34 provid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panel body 33, and a lower trim 38 provided on the lower rear side of the panel body 33. You can.
  • the upper trim 34 may be provided long along the upper edge of the panel body 33.
  • the lower trim 38 may be provided long along the lower edge of the panel body 33.
  • the upper trim 34 and lower trim 38 may each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anel body 33 and attached to the panel body 33 through an adhesive. However, the upper trim 34 and lower trim 38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anel body 33.
  • the lower trim 38 may be supported by the lower cap 56.
  • the upper trim 34 can be coupled to the upper cap 50 through the fixer 55.
  • the fixer 55 may be coupled to the upper trim 34 through the fixer opening 5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ap 50.
  • the front panel 31 may include a magnet 37 for coupling to the door 21.
  • the magnet 37 may be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panel body 33.
  • the magnet 37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part of the door 40 made of metal through magnetic force.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area around the lower hing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m unit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am unit in an open state (specifically, a state in which the push rod is at its maximum forward position).
  • a cam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cam unit 180 that automatically closes the doors 21 and 22. Since the cam unit 180 is applicable to both the first door 21 and the second door 22, only the cam unit 180 of the first door 21 will be described, and the cam unit of the second door 22 ( 180), the explanation is omitted.
  • the cam unit 180 can close the door 21 by itself when the door 21 is opened below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and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 the cam unit 180 can cause the door 21 to close on its own due to its own weight.
  • the cam unit 180 may include a door cam 181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door 21 and a hinge cam 191 provided on the lower hinge 24.
  • the door cam 181 may be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21, and the hinge cam 191 may be fixed to the lower hinge 24.
  • the door cam 181 may also rotate on the hinge cam 191.
  • a leg 199 may be provided below the lower hinge 24 to support the load of the main body 10.
  • hinge cam peaks 192 and hinge cam valleys 193 ar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axis (X) of the door 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cam 181
  • Door cam valleys 183 and door cam peaks 182 may be formed alternately to correspond to the hinge cam peaks 192 and hinge cam valleys 193.
  • the door cam ridge 182 When the door 21 is closed, the door cam ridge 182 may be engaged with the hinge cam valley 193, and the door cam valley 183 may be engaged with the hinge cam ridge 192 (FIG. 9).
  • the door cam 181 When the door 21 rotates in the opening direction (R) around the rotation axis (X), the door cam 181 may also rotate together. As the door cam 181 rotates, the door cam 181 may rise on the inclined surface 194 between the hinge cam valley 193 and the hinge cam peak 192.
  • FIG. 11 is an exploded view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 a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is in a neutral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the second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and the second push rod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includes cases 101 and 102, motors 105 provid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2, and a motor A pair of push rods (111, 112) that are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riving force generated by (105), and a transmission gear assembly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05) to the pair of push rods (111, 112) It may include (107).
  • the cases 101 and 102 may include an upper case 101 and a lower case 102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ase 101.
  • a motor 105 and a transmission gear assembly 107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2.
  • Parts of the push rods 111 and 112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cases 101 and 102 and protrude out of the cases 101 and 102.
  • a pair of push rods 111 and 112 may be provid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 a pair of push rods 111 and 112 may be arranged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same time.
  • a pair of push rods 111 and 112 may be arranged to move at the sam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 a pair of movement guides 103 and 104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es 101 and 102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pair of push rods 111 and 112.
  • a pair of push rods 111 and 112 are movably coupled to a pair of movement guides 103 and 104, respectively, and may be capable of moving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guides 103 and 104.
  • a pair of movement guides 103 and 104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motor 105 may be a motor capable of driv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Motor 105 may include a DC step motor.
  • a motor gear 106 may be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105 to rotate together with the motor shaf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gear 106 may be transmitted to a pair of pinion gears 108 and 109 through the transmission gear assembly 107.
  • the push rods 111 and 112 may be provided with rack gears 113 and 114 engaged with the pinion gears 108 and 109.
  •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inion gears 108 and 109 can be converted to the linear motion of the rack gears 113 and 114.
  • the first rack gear 113 moves forward when the first pinion gear 108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forward when the first pinion gear 108 rotates clockwise.
  • the rod 111 may be mesh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108 to move backward.
  • the second rack gear 114 moves backward when the second pinion gear 109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backward when the second pinion gear 109 rotates clockwise.
  • the rod 112 may be meshed with the second pinion gear 109 to move forward.
  • the transmission gear assembly 107 may include at least one transmission gear 107a, 107b, and 107c.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transmission gear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gear assembly 107.
  • the transmission gears 107a, 107b, and 107c may have the form of two-stage spur gears to redu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05 and transmit it to a pair of pinion gears 108 and 109. That is, the transmission gears 107a, 107b, and 107c may be composed of an upper spur gear and a lower spur gear having a smaller radius than the upper spur gear.
  • the motor gear 106 and the upper spur gear of the first transmission gear 107a are meshed, the lower spur gear of the first transmission gear 107a and the upper spur gear of the second transmission gear 107b are meshed, and the second The lower spur gear of the transmission gear 107b and the upper spur gear of the third transmission gear 107c may be meshed.
  • the lower spur gear of the third transmission gear 107c may be meshed with the first pinion gear 108 and the second pinion gear 109.
  • the first pinion gear 108 and the second pinion gear 109 may be meshed wi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hird transmission gear 107c, respectively. Therefore, when the third transmission gear 107c rotates, the first pinion gear 108 and the second pinion gear 109 may rotate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130 that detects the positions of the push rods 111 and 112.
  • the position sensor 130 may include a Hall sensor that detects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d generates a voltage.
  • a magnet 120 that can be detected by a position sensor 130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rods 111 and 112 .
  • the position sensor 1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optical sensors and proximity sensors.
  •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 at the sam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so any of the positions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By detecting just one, the location of the oth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ly, it may be sufficient for the position sensor 130 and the magnet 120 to detect the position of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push rods 111 and 112.
  •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ay open the first door 21 or the second door 22 depending o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05 (i.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shaft). For example, when the motor 105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irst push rod 111 of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oves forward to open the first door 21. You can do it. When the motor 105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eg, clockwise when viewed from above), the second push rod 112 of the door opening device 100 moves forward to open the second door 22.
  •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05 i.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shaft
  •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05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70 and 270. For example, when the first switch 70 is operated, the motor 105 may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first door 21 is opened. When the second switch 270 is operated, the motor 105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door 22 is opened.
  •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ay initially each be in a neutral position (FIG. 12).
  • the first push rod 111 may open the first door 21 by pushing the first door 21 while moving forward.
  • the first push rod 111 can advance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can move backward to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FIG. 13).
  • the second push rod 112 may be at its maximum backward position.
  •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1 is such that the lowest part 182a of the door cam ridge does not reach the highest part 192a of the hinge cam ridge. It can be an angle ( Figure 10). Therefor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backward, the door 21 can be closed by itself by the cam unit 180.
  • the motor 10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first push rod 111 may move back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ay move forward.
  •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back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forward, so that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can return to their respective neutral positions.
  • the motor 105 When the motor 10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with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each in a neutral position,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back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moves backward. You can move forward.
  • the second push rod 112 may open the second door 22 by pushing the second door 22 while moving forward.
  • the first push rod 111 can move backward to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can move forward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FIG. 14).
  • the second push rod 112 may be at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 FIG. 1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 1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the second switch is not turned on during the first door opening phase, the first door waiting phase, and the first door closing phase.
  • first switch 70 is turned on while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are each in a neutral position.
  •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are described below. Even when the second switch 270 is turned on while the loads 112 are in neutral positions, they can be controlled correspondingly.
  • the refrigerator 1 operates the motor 105 according to the user input received by the switches 70 and 27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ush rods 111 and 112 detected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and a control unit 150 that controls the speaker 160.
  •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There is (S11). By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00 has started operating.
  • the control unit 150 responds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first switch 70 when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he motor 105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S12 to S13). As the motor 105 driv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push rod 111 can move for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can move backward. As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forward, the first door 21 may be pushed to open the first door 21 .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0 (S13).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befor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he motor 105 ) can be performed at least one of stopping or slightly mo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S14 to S16). Slightly mo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may include dri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at low speed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door 21 is such that the lowest part 182a of the door cam ridge reaches the highest part 192a of the hinge cam ridge. It may be an angle that was not achieved ( Figure 10).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it turns on the timer to set the elapsed time (T) to ' It can be set to 0' (S15).
  • the control unit 150 checks whether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waiting time (S16).
  • the waiting time may be preset as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throughout the waiting time from when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he control unit 150 may drive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throughout the waiting time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ere is.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for part of the waiting time and drive it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for the remaining part.
  • the control unit 150 stops the motor 105 for a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described later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2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of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during the third reference waiting tim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and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It can be driven with .
  •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may be 1 second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and the third standard waiting time may each be 0.5 seconds.
  • this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may be set by the user.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may also be set by the user in a shorter range than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 the refrigerator 1 may include a waiting time setting unit 145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and/or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 the motor 105 stops or moves slightly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first push rod 111 can stop or slowly move backwards. Accordingly, time for the user to hold the handle 61 and pull the first door 21 can be secured. Additionally, when the user does not pull the first door 21, the first door 21 can be closed smoothly, and noise and energy consumption due to a sudden change in direction of the motor 105 can be reduced.
  • the control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150 confirms that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it drives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S17). That is, after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to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he motor 105 may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it returns to .
  •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faster than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10 percent or less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05, and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approximately 60 percent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05.
  • the motor 105 drives in the reverse direction
  •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backward, so the first door 21 can be closed by itself by the cam unit 180.
  • the first door 21 may close by itself again. Accordingly, leakage of cold air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prevented.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an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S18).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neutral position (S19).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first door opening step (S12 to S13), a first door waiting step (S14 to S16), and a first door closing step (S17 to S18). ) may include.
  • the motor 105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110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o open the first door 21.
  • the user may wait to pull the first door 21 until a waiting time preset as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elapses.
  • the first door 21 may be closed by dri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111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 FIG. 17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part of the control flowchart including a case wher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
  • FIG. 18 is a control flowchart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is a remaining portion of the control flowchart including a case where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
  • the refrigerator control method includes any one of a first door opening step (S22 to S24), a first door waiting step (S25 to S27), and a first door closing step (S28 to S29).
  • the step may include a notification sound output step (S31) of outputting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second switch 270.
  • the refrigerator control method is such that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second switch 270 in any one of the first door opening steps (S22 to S24) and the first door waiting steps (S25 to S27), the waiting time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to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which are interlocked to move in opposite directions, are moved through one motor 150, the first push rod 111 ) is in a forward and withdrawn state, the second push rod 112 is in a backward and retracted state. Therefore, when a user input is received at the second switch 270 while the first push rod 111 is withdrawn, it may take time for the second push rod 112 to move forward to open the second door 22. .
  •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There is (S21). According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00 starts operating.
  • the control unit 150 responds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first switch 70 when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he motor 105 can b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S22 to S24). As the motor 105 driv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push rod 111 can move forward and the second push rod 112 can move backward. As the first push rod 111 moves forward, the first door 21 may be pushed to open the first door 21 .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0 (S24).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operates the motor 105 until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elapses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 can be performed at least one of stopping or slightly mo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S25 to S27). Slightly mo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may include dri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at low speed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throughout the waiting time from when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0 may drive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throughout the waiting time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ere is.
  •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for part of the waiting time and drive it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for the remaining part.
  • the control unit 150 stops the motor 105 for a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After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has elapsed, the motor 10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during the third reference waiting time, which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and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can do.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it turns on the timer to set the elapsed time (T) to ' It can be set to 0' (S26).
  • the control unit 150 checks whether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waiting time (S27).
  • the waiting time may be preset as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 the control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150 confirms that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it drives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S28). That is, after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e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e first push rod 111 The motor 105 may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until it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faster than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10 percent or less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05, and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may be approximately 60 percent of the maximum speed of the motor 105.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an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S29).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neutral position (S30).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first door opening step (S22 to S24), a first door waiting step (S25 to S27), and a first door closing step (S28 to S29). ) may include.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a user input has been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witch 270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s (S22 to S24) (S23). If no user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witch 270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s (S22 to S24), step S25 is entered, and the second switch 270 is turned on in the first door opening steps (S22 to S24). Step S31 may be entered in response to the user input being received.
  • the motor In response to a user input being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witch 270 while driving 105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S31). As a result, the user may perceive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100 has started operating, and it may be difficult to recognize the delay time until the second door 22 is actually opened.
  • the motor 105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through the second switch 270 while performing at least one of stopping the motor 105 and driving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first reference driving speed, the control unit 150 Can output a notification sound through the speaker 160.
  •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motor 105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While doing so, the waiting time can be changed in response to a user input being received through the second switch 270. Specifically, the waiting time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to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 the delay time until the second door 22 is opened can actually be shortened.
  •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may be 1 second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may be 0.5 seconds.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from the first door waiting stage (S25 to S27), that is, when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 the waiting time can be changed. Specifically, the waiting time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to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1).
  •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0 (S32).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it stops the motor 105 or the motor 105 ) can be slightly moved in the reverse direction (S33).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it turns on the timer to set the elapsed time (T) to ' It can be set to 0' (S34).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waiting time (S35). Since the waiting time has changed from the first standard waiting time (T2) to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the control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second standard waiting time (T2). You can.
  • the first door 21 is set to a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in the first door waiting steps (S33 to S35). ) can wait.
  • the motor 105 may stop or slightly move in the reverse direction.
  • control unit 150 When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it drives the motor 105 in the reverse direction (S36).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motor 105 in the forward direction until the first push rod 111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in the neutral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In response to receiving a user input from the second switch, the motor 105 moves the second push rod 112 from the neutral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until it reaches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 can be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t the second reference driving speed (S36 to S37).
  • the control unit 15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rough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0 to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revers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1.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ush rod 112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S37).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does not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neutral position, but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1.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rod 112 has reached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or slightly move it in the forward direction (S38).
  • the second push rod 112 can move directly from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without stopping at the neutral position of the second push rod 112. there is.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reverse position,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maximum reverse position, it turns on the timer to set the elapsed time (T) to ' It can be set to 0' (S39). At this time, the waiting time may be reset to the first reference waiting time (T1).
  •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elapsed time (T) of the timer has elapsed the waiting time (S40).
  • the control unit 150 drives the motor 105 in the forward direction (S41).
  •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ct the posi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through the position sensor 130 and determine whether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turned to the neutral position (S42).
  • the control unit 150 may stop the motor 10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rst push rod 111 has reached the neutral position (S43).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1 includes a notification sound output step (S31) and a first door standby step. (S33 to S35), a first door closing step and a second door opening step (S36 to S37), a second door waiting step (S38 to S40), and a second door closing step (S41 to S42). You can.
  • the first door closing step and the second door opening step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Between the first door closing phase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hase, the motor 105 may be driven continuously without stopping.
  • the control unit 150 sets the first push rod 111 to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Determining that the second push rod 112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is equivalent to determining that the first push rod 111 is in the maximum backward position, and determining that the second push rod 112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is equivalent to determining that the second push rod 112 is in the maximum forward position. Likewise, determining that the first push rod 111 is in a neutral position may be the same as determining that the second push rod 112 is in a neutral position.
  • control unit 15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130 and the first door detected by the opening/closing detection sensors 141 and 142. Based on the opening/closing information of 21 and the second door 22, the motor 105 may be driven to align the positions of the first push rod 111 and the second push rod 112.
  •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and change the waiting time to the second reference waiting time (T2).
  • the control unit 150 may output a notification sound.
  • the control unit 150 performs any one of the first door opening steps (S22 to S24), the first door waiting steps (S25 to S27), and the first door closing steps (S28 to S29).
  • the motor 10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first door closing phase and the second door opening phase (S36 to S37). The speed can be controlled to increase.
  •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as above does not apply only to the above-described refrigerator, but may also be applied to home appliances and their doors having a main body with a cavity, which is an internal space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nd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avity.
  • the above technical idea can be applied to a cooking appliance with a cooking chamber, a dishwasher with a washing chamber, a dryer with a drying chambe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with a clothing treatment chamber, an air conditioner with a heat exchange chamber in which a heat exchanger is disposed,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모터를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본 개시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도어를 편하게 열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도어 개방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도어가 닫히면 저장실 내부의 공기가 냉각되어 저장실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저장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히면 도어는 자석이 포함된 가스켓을 통해 본체에 밀착된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 할 시 개방 초기에 많은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도어 개방 장치는 도어의 배면을 밀어 주어 도어를 일정 각도로 개방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도어들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 개방 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복수의 도어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이동 가능한 복수의 푸시 로드들과, 복수의 푸시 로드들이 서로 연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모터를 갖는 도어 개방 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를 가압하는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도어를 가압하는 제2 푸시 로드를 연동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와,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은 초기에 제1기준 대기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에서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 보다 짧은 제2기준 대기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내내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내내 상기 모터를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모터를 정지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과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의 차인 상기 제3기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모터를 상기 제1기준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 및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푸시 로드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는 것과, 상기 제2푸시 로드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를 가압하는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도어를 가압하는 제2 푸시 로드를 연동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와,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도어의 배면을 가압하도록 이동 가능한 제2푸시 로드와, 상기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푸시 로드가 서로 연동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정역 방향으로 구동 가능한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상기 제1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와, 상기 제2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2스위치;와,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마련된 스피커; 및 상기 모터와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한다.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 장치는 상기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푸시 로드 중 어느 하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개폐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위치 정보와, 상기 개폐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개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1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에 마련된 힌지; 및 상기 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1도어가 자중에 의해 닫히도록 마련된 캠 유닛으로서, 상기 제1도어의 하단에 마련된 도어 캠과, 상기 도어 캠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에 마련된 힌지 캠을 포함하는 캠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도어들을 개방하기 위한 복수의 푸시 로드들이 하나의 모터에 의해 연동되어 구동되므로 재료비를 절감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푸시 로드들 중 하나의 푸시 로드가 인출되고 다른 하나의 푸시 로드가 인입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푸시 로드를 인출하는 명령이 입력될 시에, 사용자가 다른 하나의 푸시 로드가 인출될 때까지의 시간 지연을 쉽게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고 도어 개방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손잡이 및 제1도어의 스위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스위치와 제2도어의 스위치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전방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전방 패널을 분리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부와, 사이드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힌지 주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구체적으로, 푸시 로드가 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 있고 제2푸시 로드가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최대 전진 위치에 있고 도어 개방 장치의 제2푸시 로드가 최대 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최대 후진 위치에 있고 도어 개방 장치의 제2푸시 로드가 최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와, 제1도어 대기 단계와, 제1도어 폐쇄 단계 중에 제2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에서 제2스위치가 온되는 경우를 포함한 제어 흐름도의 일부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에서 제2스위치가 온되는 경우를 포함한 제어 흐름도의 나머지 일부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측면', '좌측', '우측',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개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내상과, 내상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상과,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은 저장실을 형성하는 케이스(case), 플레이트(plate), 패널(panel) 또는 라이너(lin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이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상"은 본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단열재가 배치되도록 내상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단열재"는 저장실 내부의 온도가 저장실 외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설정된 적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저장실 내부와 저장실 외부를 단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재는 발포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상과 외상의 사이에 폴리우레탄과 발포제가 혼합된 우레탄폼을 주입 및 발포시킴으로써 발포 단열재를 성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재는 발포 단열재 이외에 추가로 진공 단열재를 포함하거나, 단열재는 발포 단열재 대신 진공 단열재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진공 단열재는 심재와, 심재를 수용하고 내부를 진공 또는 진공에 가까운 압력으로 밀봉하는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열재는 상기한 발포 단열재 또는 진공 단열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은 내상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은 저장실에 대응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에는 식품, 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물품이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실은 물품을 출납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장고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저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에 2 개 이상의 저장실이 형성될 때 각각의 저장실은 서로 다른 용도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저장실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은 용도에 따라 적정한 온도 범위에서 유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그 용도 및/또는 온도 범위에 따라 구분되는"냉장실", "냉동실"또는 "변온실"을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은 물품을 냉장 보관하기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고, 냉동실은 물품을 냉동 보관하기에 적정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냉장"은 물품을 얼지 않는 한도에서 차갑게 냉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냉장실은 섭씨 0도에서 섭씨 영상 7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냉동"은 물품을 얼리거나 언 상태로 유지되도록 냉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일례로 냉동실은 섭씨 영하 20도 내지 섭씨 영하 1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변온실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이와 무관하게 냉장실 또는 냉동실 중 어느 하나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실은 "냉장실", "냉동실" 및 "변온실" 등의 명칭 이외에도 "야채실", "신선실", "쿨링실" 및 "제빙실"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으며, 이하에서 사용되는 "냉장실", "냉동실" 및 "변온실" 등의 용어는 각각 대응되는 용도 및 온도 범위를 갖는 저장실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저장실 각각을 개폐하도록 구비되거나, 도어 하나가 복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는 본체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는 도어가 닫힐 시에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는 도어가 닫힐 시에 저장실을 단열하도록 본체와 마찬가지로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외판과,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고 저장실을 마주보는 도어 내판과, 상부 캡과, 하부 캡 및 이들의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내판의 테두리에는 도어가 닫혔을 때 본체의 전면에 밀착됨으로써 저장실을 밀폐하는 가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 내판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도어 바스켓이 장착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이크(dyk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는 도어 바디와, 도어 바디의 전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방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는 도어 바디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외판, 도어 바디의 후면을 형성하고 저장실을 마주보는 도어 내판, 상부 캡, 하부 캡 및 이들의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도어 및 저장실의 배치에 따라 프렌치 도어 타입(French Door Type),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by-side Type), BMF(Bottom Mounted Freezer), TMF(Top Mounted Freezer) 또는 1도어 냉장고 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기를 생성하고 냉기를 안내하여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는 기계, 기구, 전자 장치 및/또는 이들을 조합한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과정을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기 공급 장치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시킬 수 있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장치 및 증발기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기 공급 장치는 열전 소자와 같은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열전 소자는 펠티어 효과를 통한 발열 및 냉각 작용으로 저장실을 냉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기 공급 장치에 속한 적어도 일부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마련되는 기계실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실"은 기계실에 배치되는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이 저장실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장실과 구획 및 단열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계실 내부에 배치된 부품을 방열하도록 기계실 내부는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물 및/또는 얼음을 제공하도록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펜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 접근 가능하도록 도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제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장치는 물을 저수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이빙 장치와,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냉장고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또는 기억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따라 냉기 공급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냉장고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데이터, 명령어, 프로그램 등을 저장 또는 기록한다. 메모리는 냉장고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중에 발생하는 임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냉장고 전반의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냉장고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인공지능 모델의 동작을 수행하는 별도의 N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부, 그래픽 전용 프로세서(GPU)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냉기 공급 방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온도 센서로부터 저장실의 온도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실의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냉기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냉각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기억/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신호 및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냉장고에 포함된 구성들을 모두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구성들을 개별 제어하는 복수의 프로세서들과 복수의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온도센서의 출력에 따라 냉기 공급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주변의 접속 중계기(AP: Access Point)를 통해 서버, 모바일 장치, 다른 가전 기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접속 중계기(AP)는 냉장고 또는 사용자 기기가 연결된 지역 네트워크(LAN)를 서버가 연결된 광역 네트워크(WAN)에 연결시킬 수 있다. 냉장고 또는 사용자 기기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키, 터치스크린,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프로세서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서 생성된 다양한 알림, 메시지,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열리고 도어 개방 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점선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손잡이 및 제1도어의 스위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의 스위치와 제2도어의 스위치를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실(13, 14)과, 저장실(13, 14)을 개폐하는 도어(21, 22)와, 저장실(13, 14)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저장실(13, 14)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2)과, 저장실(13, 14)을 단열하도록 내상(11)과 외상(12)의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실(13, 14)은 수직 격벽(15)에 의해 좌측의 저장실(13)과 우측의 저장실(14)로 구획될 수 있다. 좌측의 저장실(13)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고, 우측의 저장실(14)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저장실(13, 14)의 분할 및 용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실(13, 14)의 내부에는 물품을 올려 놓는 선반(16)과,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 용기(1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고, 응축하고, 팽창시키고, 증발시키는 냉각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13, 14)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3, 14)을 개폐하는 도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의 도어(21)는 좌측의 저장실(13)을 개폐하고, 우측의 도어(22)는 우측의 저장실(14)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21, 22)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도어(21, 22)를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힌지(23, 24, 25)가 마련될 수 있다. 좌측의 도어(21)는 좌측 상부 힌지(23) 및 좌측 하부 힌지(24)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의 도어(22)는 우측 상부 힌지(25) 및 우측 하부 힌지(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1, 22)의 배면에는 식품을 보관하는 도어 선반(26)과, 도어(21, 22)가 닫힐 때 저장실(13, 14)이 밀폐되도록 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는 도어 가스켓(27)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 가스켓(27)은 자석을 포함하여 자력으로 본체(1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21, 22)의 전면에는 전방 패널(31, 32)이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 32)은 도어(21, 22)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면에는 탑 테이블(2)이 마련될 수 있다. 탑 테이블(2)은 상측 힌지(23, 25)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고, 상부 힌지(23, 25)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탑 테이블(2)의 내부에는 도어(21, 22)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탑 테이블(2)의 저면에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수용될 수 있는 도어 개방 장치 수용부(3)가 형성되고,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 개방 장치 수용부(3)에 수용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 개방 장치 수용부(3)에 수용되도록 탑 테이블(2)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체결 부재(6)를 통해 탑 테이블(2)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탑 테이블(2)은 도어 개방 장치(100)가 탑 테이블(2)에 결합된 상태로 본체(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탑 테이블(2)의 내부에는 도어(21, 22)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개폐 감지 센서(141, 142)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감지 센서(141, 142)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 22)에는 개폐 감지 센서(141, 14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마그넷(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개폐 감지 센서(141, 14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1, 22)의 배면을 전방으로 푸시하여 도어(21, 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도어(21, 22)를 일정 부분 개방시켜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21, 22)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이동 가능한 푸시 로드(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로드(111, 112)는 제1도어(21)를 개방하는 제1푸시 로드(111)와, 제2도어(22)를 개방하는 제2푸시 로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테이블(2)의 전면(4)에는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로드 홀들(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21)의 측면(43a)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잡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제1손잡이(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61)는 제1도어(21)의 측면(43a)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제1도어(21)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전체 구간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어(22)의 측면(243a)에는 사용자가 손을 넣어서 잡을 수 있도록 함몰된 제2손잡이(26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261)는 제2도어(22)의 측면(243a)에 함몰되게 형성되되, 제2도어(2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전체 구간에 형성되지 않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2도어(22)의 측면(243a)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12). 즉, 제2도어(22)의 측면(243a)의 앞 부분(243b)과 제1도어(21)의 측면(43a) 사이의 간격은, 제2도어(22)의 측면(243a)의 뒷부분(243c)과 제1도어(21)의 측면(43a) 사이의 간격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도어(22)의 측면(243a)의 앞 부분(243b)과 제1도어(21)의 측면(43a) 사이에 제1손잡이(61) 및 제2손잡이(261)로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공간(2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261)는 제2도어(22)의 측면(243a)의 앞 부분(243b)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스위치(70, 270)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70, 270)를 조작하여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70, 27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스위치(70, 270)는 제1도어(21)에 마련되는 제1스위치(70)와, 제2도어(22)에 마련되는 제2스위치(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70)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제1도어(21)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2스위치(270)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제2도어(22)를 개방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1스위치(7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후진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여 제1도어(21)를 가압함으로써 제1도어(21)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2스위치(270)는 제1푸시 로드(111)가 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가 전진하도록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2푸시 로드(112)가 전진하여 제2도어(22)를 가압함으로써 제2도어(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1스위치(70)는 제1도어(21)의 측면(43a)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스위치(70)는 제1도어(21)의 측면(43a)의 제1손잡이(6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제1손잡이(61)를 잡는 동작과 동시에 제1스위치(70)가 터치될 수 있다.
제1스위치(70)의 적어도 일부는 제1도어(21)의 측면(43a)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제1손잡이(61)를 더욱 편하게 잡을 수 있다.
제2스위치(270)는 제2도어(22)의 측면(243a)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스위치(270)는 제2도어(22)의 측면(243a)의 제2손잡이(26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제2손잡이(261)를 잡는 동작과 동시에 제2스위치(270)가 터치될 수 있다.
제2스위치(270)의 적어도 일부는 제2도어(22)의 측면(243a)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제2손잡이(261)를 더욱 편하게 잡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스위치(70)와, 제2스위치(270)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1스위치(70)의 높이와 제2스위치(270)의 높이는 소정 높이(H)만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1스위치(70)의 높이와 제2스위치(270)의 높이가 다름으로써 제1스위치(70)과 제2스위치(270) 중 어느 하나가 의도치 않게 터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도어 개방 장치(100)가 오작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전방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와, 전방 패널을 분리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측면부와, 사이드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21, 22)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어(21)와 제2도어(22)의 구성은 거의 유사하므로 이하에서 제1도어(21)에 대해 설명하고 제2도어(2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어(21)는 도어(21)의 전면을 형성하는 도어 전면부(40)와, 도어(21)의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 측면부(43)와, 도어(21)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후면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전면부(40)와 도어 측면부(4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전면부(40)와 도어 측면부(43)는 하나의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전면부(40)와 도어 측면부(43)는 서로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전면부(40)와 도어 측면부(43)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측면부(43)에는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는 별개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손잡이 개구(44)는 스위치 개구(45)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의 크기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 개구(44)는 스위치 개구(45)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가 서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21)는 도어 측면부(43)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사이드 캡(6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캡(60)은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를 커버하도록 도어 측면부(43)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캡(60)이 도어 측면부(43)의 내측면에 결합됨으로써, 도어(21)의 내부 공간에 단열재를 발포 시에 손잡이 개구(44)와 스위치 개구(45)를 통해 발포액이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사이드 캡(6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사이드 캡(60)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므로 사이드 캡(60)에 다양한 형상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드 캡(60)에는 손잡이(61)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캡(60)에는 스위치(70)가 장착되는 스위치 장착 공간(62)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61)는 대체로 손잡이 개구(44)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61)는 손잡이 개구(44)를 통해 접근 가능할 수 있다. 스위치 장착 공간(62)은 대체로 스위치 개구(45)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후면부(49)는 도어 측면부(43)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후면부(49)의 테두리 부분에는 도어 가스켓(27, 도 2)이 마련될 수 있다. 도어 후면부(49)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이크를 포함하고, 다이크에는 도어 선반(26, 도 2)이 장착될 수 있다.
도어(21)는 상부 캡(50)과 하부 캡(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전면부(40)와, 양 도어 측면부(43)와, 도어 후면부(49)와, 상부 캡(50)과, 하부 캡(56)이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공간에는 도어 단열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캡(50)과 하부 캡(56)은 각각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부 캡(50)과 하부 캡(56)에는 전방 패널(31)을 도어(2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스위치(70)는 사이드 캡(60)에 형성된 스위치 장착 공간(62)에 장착될 수 있다. 스위치(70)는 도어 측면부(43)에 형성된 스위치 개구(45)를 통해 스위치 장착 공간(62)에 삽입될 수 있다.
스위치(70)는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스위치(7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70)를 터치하면 스위치(70)는 도어 개방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위치(70)는 정전 용량 변화에 따라 도어 개방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스위치(70)는 터치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다양한 방식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70)는 버튼식, 다이얼식, 토글식 등 기계식 푸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비접촉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위치는 마그넷에 의해 동작되는 리드 스위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스위치, 적외선 파장을 이용한 TOF 센서를 포함하는 TOF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는 도어(21, 22)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전방 패널(31, 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패널(31)과 전방 패널(32)은 동일하거나 대부분 유사한 구성을 가지므로 전방 패널(3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방 패널(31)은 도어(21)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은 패널 바디(33)와, 패널 바디(33)의 배면 상단에 마련되는 상부 트림(34)과, 패널 바디(33)의 배면 하단에 마련되는 하부 트림(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트림(34)은 패널 바디(33)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하부 트림(38)은 패널 바디(33)의 하단 테두리를 따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트림(34)과 하부 트림(38)은 각각 패널 바디(33)와 별개로 마련되어 접착제를 통해 패널 바디(33)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상부 트림(34)과 하부 트림(38)은 패널 바디(3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방 패널(31)이 도어(21)에 결합된 때, 하부 트림(38)은 하부 캡(5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이 도어(21)에 결합된 때, 상부 트림(34)은 픽서(55)를 통해 상부 캡(5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이 도어(21)에 결합된 때, 상부 트림(34)은 상부 캡(50)의 트림 개구(53)를 통해 상부 캡(5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이 도어(21)에 결합된 때, 픽서(55)가 상부 캡(50)의 상측에 형성된 픽서 개구(54)를 통해 상부 트림(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방 패널(31)이 도어(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패널(31)은 도어(21)와의 결합을 위해 마그넷(37)을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넷(37)은 패널 바디(33)의 좌우측 테두리 부분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넷(37)은 금속 재질의 도어 전면부(40)에 자기력으로 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힌지 주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어가 열린 상태(구체적으로, 푸시 로드가 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캠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 유닛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는 도어(21, 22)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캠 유닛(180)을 포함한다. 캠 유닛(180)은 제1도어(21) 및 제2도어(22)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제1도어(21)의 캠 유닛(18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2도어(22)의 캠 유닛(18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캠 유닛(180)은 도어(21)가 소정 열림 각도 이하로 열린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시에 도어(21)가 스스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캠 유닛(180)은 도어(21)의 자중에 의해 도어(21)가 스스로 닫히도록 할 수 있다.
캠 유닛(180)은 도어(21)의 하부에 마련된 도어 캠(181)과, 하부 힌지(24)에 마련되는 힌지 캠(19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캠(181)은 도어(21)의 하부에 고정되고, 힌지 캠(191)은 하부 힌지(24)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21)가 회전하면 도어 캠(181)도 힌지 캠(191)의 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하부 힌지(24)의 아래에는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레그(199)가 마련될 수 있다.
힌지 캠(191)의 상면에는 도어(21)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힌지 캠 산부(192)와 힌지 캠 골부(193)가 교대로 형성되고, 도어 캠(181)의 저면에는 힌지 캠 산부(192)와 힌지 캠 골부(193)에 대응되도록 도어 캠 골부(183)와 도어 캠 산부(182)가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캠 산부(182)는 힌지 캠 골부(193)에 치합되고, 도어 캠 골부(183)는 힌지 캠 산부(192)에 치합될 수 있다(도 9).
도어(21)가 회전축(X)을 중심으로 개방 방향(R)으로 회전하면, 도어 캠(18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도어 캠(181)이 회전하면서 도어 캠(181)은 힌지 캠 골부(193)와 힌지 캠 산부(192) 사이의 경사면(194)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도어 캠 산부의 최저부(182a)가 힌지 캠 산부의 최고부(192a)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21)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도어(21)는 자중에 의해 아래로 힘을 받게 되고, 따라서, 도어 캠(181)이 힌지 캠 산부(192)와 힌지 캠 골부(193) 사이의 경사면(194)을 타고 개방 방향(R)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21)가 닫힐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 있고 제2푸시 로드가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최대 전진 위치에 있고 도어 개방 장치의 제2푸시 로드가 최대 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개방 장치의 제1푸시 로드가 최대 후진 위치에 있고 도어 개방 장치의 제2푸시 로드가 최대 전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개방 장치(100)는 케이스(101, 102)와, 케이스(101, 102)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05)와, 모터(105)에서 발생한 구동력에 의해 전진 및 후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푸시 로드(111, 112)와, 모터(105)의 구동력을 한 쌍의 푸시 로드(111, 112)에 전달하는 전달 기어 어셈블리(107)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 102)는 상부 케이스(101)와, 상부 케이스(101)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1, 102)의 내부에 모터(105)와 전달 기어 어셈블리(107)가 수용될 수 있다. 푸시 로드(111, 112)의 일부분은 케이스(101, 102)를 관통하여 케이스(101, 10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시 로드(111, 112)들은 각각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시 로드(111, 112)들은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시 로드(111, 112)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1, 102)의 내부에는 한 쌍의 푸시 로드들(111, 11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들(103, 104)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푸시 로드들(111, 112)은 한 쌍의 이동 가이드들(103, 104)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 가이드들(103, 104)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한 쌍의 이동 가이드들(103, 10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105)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이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모터(105)는 DC 스텝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05)의 모터 축에는 모터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모터 기어(106)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기어(106)의 회전력은 전달 기어 어셈블리(107)를 통해 한 쌍의 피니언 기어(108, 109)에 전달될 수 있다.
푸시 로드(111, 112)에는 피니언 기어(108, 109)에 치합되는 랙 기어(113, 114)가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108, 109)의 회전 운동은 랙 기어(113, 114)의 직선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1랙 기어(113)는 제1피니언 기어(10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고 제1피니언 기어(10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푸시 로드(111)가 후진하도록 제1피니언 기어(108)와 치합될 수 있다.
제2랙 기어(114)는 제2피니언 기어(109)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푸시 로드(112)가 후진하고 제2피니언 기어(109)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푸시 로드(112)가 전진하도록 제2피니언 기어(109)와 치합될 수 있다.
전달 기어 어셈블리(107)는 적어도 하나의 전달 기어(107a, 107b, 107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 기어 어셈블리(107)에 포함된 전달 기어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달 기어(107a, 107b, 107c)는 모터(105)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한 쌍의 피니언 기어(108, 109)에 전달하도록 2단 평기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전달 기어(107a, 107b, 107c)는 상부 평기어와, 상부 평기어 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 하부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 기어(106)와 제1전달 기어(107a)의 상부 평기어가 치합되고, 제1전달 기어(107a)의 하부 평기어와 제2전달 기어(107b)의 상부 평기어가 치합되고, 제2전달 기어(107b)의 하부 평기어와 제3전달 기어(107c)의 상부 평기어가 치합될 수 있다. 제3전달 기어(107c)의 하부 평기어는 제1피니언 기어(108) 및 제2피니언 기어(109)에 치합될 수 있다. 제1피니언 기어(108)와 제2피니언 기어(109)는 각각 제3전달 기어(107c)의 좌우 측에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전달 기어(107c)가 회전 시에 제1피니언 기어(108)와 제2피니언 기어(109)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푸시 로드(111, 112)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감지 센서(130)는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여 전압을 발생시키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푸시 로드들(111, 112) 중에 어느 하나의 푸시 로드에는 위치 감지 센서(1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마그넷(120)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위치 감지 센서(13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센서, 근접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므로,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의 위치 중 어느 하나만 감지하면 나머지 하나의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감지 센서(130) 및 마그넷(120)은 복수의 푸시 로드들(111, 112) 중 어느 하나의 푸시 로드의 위치만 감지하도록 마련되면 충분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장치(100)는 모터(105)의 구동 방향(즉, 모터 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도어(21)를 개방시키거나 제2도어(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모터(105)가 정방향(예를 들어, 위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개방 장치(100)의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여 제1도어(2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모터(105)가 역방향(예를 들어, 위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 개방 장치(100)의 제2푸시 로드(112)가 전진하여 제2도어(22)를 개방시킬 수 있다.
모터(105)의 구동 방향은 스위치(70, 270)의 조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치(70)가 조작되면 제1도어(21)가 개방되도록 모터(105)는 정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2스위치(270)가 조작되면 제2도어(22)가 개방되도록 모터(105)는 역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는 초기에 각각 중립 위치에 있을 수 있다(도 12).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105)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푸시 로드(111)는 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후진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는 전진하면서 제1도어(21)를 밀어서 제1도어(21)를 개방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는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까지 전진할 수 있고 제2푸시 로드(112)는 제2푸시 로드의 최대 후진 위치까지 후진할 수 있다(도 13).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2푸시 로드(112)는 제2푸시 로드의 최대 후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도어(21)의 개방 각도는 도어 캠 산부의 최저부(182a)가 힌지 캠 산부의 최고부(192a)에 도달하지 못한 각도일 수 있다(도 10).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1푸시 로드(111)가 후진하면 도어(21)는 캠 유닛(180)에 의해 스스로 닫힐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고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후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105)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푸시 로드(111)는 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전진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는 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전진하여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는 다시 각각의 중립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모터(105)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푸시 로드(111)는 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전진할 수 있다. 제2푸시 로드(112)는 전진하면서 제2도어(22)를 밀어서 제2도어(22)를 개방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는 제1푸시 로드의 최대 후진 위치까지 후진할 수 있고 제2푸시 로드(112)는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까지 전진할 수 있다(도 14).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최대 후진 위치에 있을 때 제2푸시 로드(112)는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와, 제1도어 대기 단계와, 제1도어 폐쇄 단계 중에 제2스위치가 온되지 않은 경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5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스위치(70)가 온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에도 대응되게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는 스위치(70, 27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감지된 푸시 로드(111, 112)의 위치 정보에 따라 모터(105) 및 스피커(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스위치(70)가 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S11).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함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7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S12 내지 S13). 모터(105)가 정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1푸시 로드(111)는 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후진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면서 제1도어(21)를 밀어 제1도어(21)가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3).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터(105)를 정지하거나 또는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미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S14 내지 S16).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미동하는 것은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저속(제1기준 구동 속도)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있을 때, 제1도어(21)의 개방 각도는 도어 캠 산부의 최저부(182a)가 힌지 캠 산부의 최고부(192a)에 도달하지 못한 각도일 수 있다(도 10).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를 온시켜 경과 시간(T)을 '0'으로 세팅할 수 있다(S15).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S16). 대기 시간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S14 내지 S16 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대기 시간 동안 내내 모터(105)를 정지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대기 시간 동안 내내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대기 시간의 일부 동안 모터(105)를 정지하고 나머지 일부 동안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후술하는 제2기준 대기 시간(T2) 동안 모터(105)를 정지하고, 제2기준 대기 시간(T2)이 경과한 후에 제1기준 대기 시간(T1)과 제2기준 대기 시간(T2)의 차인 제3기준 대기 시간 동안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일례로, 제1기준 대기 시간(T1)은 1초이고, 제2기준 대기 시간(T2)과 제3기준 대기 시간은 각각 0.5초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1기준 대기 시간(T1)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 대기 시간(T2)도 제1기준 대기 시간(T1) 보다 짧은 범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장고(1)는 제1기준 대기 시간(T1) 및/또는 제2기준 대기 시간(T2)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대기 시간 설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14 내지 S16 단계에서, 모터(105)가 정지 또는 역방향으로 미동함으로써, 제1푸시 로드(111)가 정지 또는 서서히 후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61)를 잡고 제1도어(21)를 당길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1도어(21)를 당기지 않을 시에 제1도어(21)가 부드럽게 닫힐 수 있고, 모터(105)의 급격한 방향 전환으로 인한 소음 및 에너지 소모가 저감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제1기준 대기 시간(T1)을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S17). 즉,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기준 구동 속도는 모터(105)의 최대 속도의 10 퍼센트 이하의 속도일 수 있고, 제2기준 구동 속도는 모터(105)의 최대 속도의 60퍼센트 내외의 속도일 수 있다. 모터(105)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제1푸시 로드(111)가 후진하므로 제1도어(21)는 캠 유닛(180)에 의해 스스로 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사용자가 제1도어(21)를 당기지 않을 경우에 제1도어(21)가 스스로 다시 닫힐 수 있다. 따라서, 저장실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로 복귀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18).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지할 수 있다(S19).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 의 제어 방법은, 제1도어 개방 단계(S12 내지 S13)와, 제1도어 대기 단계(S14 내지 S16)와, 제1도어 폐쇄 단계(S17 내지 S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 개방 단계(S12 내지 S13)에서, 제1푸시 로드(110)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가 정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도어(21)를 개방할 수 이다.
제1도어 대기 단계(S14 내지 S16)에서, 제1기준 대기 시간(T1)으로 미리 설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제1도어(21)를 잡아당기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제1도어 폐쇄 단계(S17 내지 S18)에서,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제1도어(21)를 폐쇄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에서 제2스위치가 온되는 경우를 포함한 제어 흐름도의 일부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흐름도로서, 제1도어 개방 단계에서 제2스위치가 온되는 경우를 포함한 제어 흐름도의 나머지 일부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와,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와, 제1도어 폐쇄 단계(S28 내지 S29)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제2스위치(27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알림음 출력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은,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와,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제2스위치(27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대기 시간을 제1기준 대기 시간(T1)에서 제2기준 대기 시간(T2)로 변경할 수 있다. 제2기준 대기 시간(T2)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 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150)를 통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된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여 인출된 상태일 때 제2푸시 로드(112)는 후진하여 인입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푸시 로드(111)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2스위치(27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2푸시 로드(112)가 제2도어(22)를 개방하도록 전진하는데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알림음 출력과 대기 시간 단축의 제어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시간 지연을 인식하기 어렵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제어 방법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가 각각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스위치(70)가 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S21). 이로써, 사용자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함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스위치(7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S22 내지 S24). 모터(105)가 정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제1푸시 로드(111)는 전진하고 제2푸시 로드(112)는 후진할 수 있다. 제1푸시 로드(111)가 전진하면서 제1도어(21)를 밀어 제1도어(21)가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4).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모터(105)를 정지하거나 또는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미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S25 내지 S27).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미동하는 것은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저속(제1기준 구동 속도)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대기 시간 동안 내내 모터(105)를 정지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대기 시간 동안 내내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대기 시간의 일부 동안 모터(105)를 정지하고 나머지 일부 동안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제2기준 대기 시간(T2) 동안 모터(105)를 정지하고, 제2기준 대기 시간(T2)이 경과한 후에 제1기준 대기 시간(T1)과 제2기준 대기 시간(T2)의 차인 제3기준 대기 시간 동안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1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를 온시켜 경과 시간(T)을 '0'으로 세팅할 수 있다(S26).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확인한다(S27). 대기 시간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제1기준 대기 시간(T1)을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S28). 즉,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일례로, 제1기준 구동 속도는 모터(105)의 최대 속도의 10 퍼센트 이하의 속도일 수 있고, 제2기준 구동 속도는 모터(105)의 최대 속도의 60퍼센트 내외의 속도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로 복귀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9).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지할 수 있다(S30).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1) 의 제어 방법은,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와,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와, 제1도어 폐쇄 단계(S28 내지 S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S25 단계로 진입하고,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S31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즉,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50)는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S31). 이로써, 사용자는 도어 개방 장치(100)가 작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실제로 제2도어(22)가 열리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나아가,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 즉,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터(105)를 정지하는 것과 모터(105)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어부(150)는 스피커(160)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시간을 제1기준 대기 시간(T1)에서 제2기준 대기 시간(T2)로 변경할 수 있다. 제2기준 대기 시간(T2)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 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이로써, 제2도어(22)가 열리기까지의 지연 시간을 실제로 단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기준 대기 시간(T1)은 1초이고, 제2기준 대기 시간(T2)은 0.5초일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50)는,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 즉,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모터(105)를 정지하는 것과 모터(105)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제2스위치(27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대기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기 시간을 제1기준 대기 시간(T1)에서 제2기준 대기 시간(T2)로 변경할 수 있다. 제2기준 대기 시간(T2)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 보다 짧은 시간일 수 있다.
S31 단계 이후,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2).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지하거나 또는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미동할 수 있다(S33).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를 온시켜 경과 시간(T)을 '0'으로 세팅할 수 있다(S34).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35). 대기 시간은 제1기준 대기 시간(T2)에서 제2기준 대기 시간(T2)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제어부(105)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제2기준 대기 시간(T2)을 경과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 제1도어 대기 단계(S33 내지 S35)에서 제1도어(21)는 제2기준 대기 시간(T2) 동안 대기할 수 있다. 제1도어 대기 단계(S33 내지 S35)에서 모터(105)는 정지하거나 역방향 미동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제2기준 대기 시간(T2)을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105)를 역방향으로 구동한다(S36).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중립 위치에서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S36 내지 S37).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 및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7). 즉,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지 않고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 및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지하거나 정방향으로 미동할 수 있다(S38).상기와 같은 제어 방법으로, 제1푸시 로드(111)가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모터(105)를 상기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는 것과, 제2푸시 로드(112)가 제2푸시 로드(112)의 중립 위치에서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105)를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푸시 로드(111)는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전진 위치에서 제1푸시 로드(111)의 중립 위치에서 멈추지 않고 바로 제1푸시 로드(111)의 최대 후진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제2푸시 로드(112)는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후진 위치에서 제2푸시 로드(112)의 중립 위치에서 멈추지 않고 제2푸시 로드(112)의 최대 전진 위치까지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후진 위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후진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타이머를 온시켜 경과 시간(T)을 '0'으로 세팅할 수 있다(S39). 이때, 대기 시간은 제1기준 대기 시간(T1)으로 재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대기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판단한다(S40).
제어부(150)는 타이머의 경과 시간(T)이 제1기준 대기 시간(T1)을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방향으로 구동한다(S41).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를 통해 제1푸시 로드(11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로 복귀 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
제어부(150)는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모터(105)를 정지할 수 있다(S43).
이와 같이,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냉장고(1) 의 제어 방법은, 알림음 출력 단계(S31)와, 제1도어 대기 단계(S33 내지 S35)와, 제1도어 폐쇄 단계 및 제2도어 개방 단계(S36 내지 S37)와, 제2도어 대기 단계(S38 내지 S40)와, 제2도어 폐쇄 단계(S41 내지 S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 폐쇄 단계 및 제2도어 개방 단계(S36 내지 S37)는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도어 폐쇄 단계와 제2도어 개방 단계의 사이에서 모터(105)는 정지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방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의 위치는 상호 일대일 대응하기 때문에, 제어부(150)가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전진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은 제2푸시 로드(112)가 최대 후진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과 같고, 제1푸시 로드(111)가 최대 후진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은 제2푸시 로드(112)가 최대 전진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과 같으며, 제1푸시 로드(111)가 중립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은 제2푸시 로드(112)가 중립 위치임을 판단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위치 감지 센서(130)에서 감지된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의 위치 정보와, 개폐 감지 센서(141, 142)에서 감지된 제1도어(21)와 제2도어(22)의 개폐 정보를 기초로, 제1푸시 로드(111)와 제2푸시 로드(112)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모터(105)를 구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와, 제1도어 폐쇄 단계(S28 내지 S29)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알림음을 출력하고, 대기 시간을 제2기준 대기 시간(T2)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도어 폐쇄 단계(S28 내지 S29)에서 제2스위치(270)가 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제1도어 개방 단계(S22 내지 S24)와, 제1도어 대기 단계(S25 내지 S27)와, 제1도어 폐쇄 단계(S28 내지 S29)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제2스위치(270)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도어 폐쇄 단계 및 제2도어 개방 단계(S36 내지 S37)에서 모터(105)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시된 기술적 사상은 상술한 냉장고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 공간인 캐비티를 갖는 본체와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갖는 가전 기기 및 그 도어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조리실을 갖는 조리 기기, 세척실을 갖는 식기 세척기, 건조실을 갖는 건조기, 의류 처리실을 갖는 의류 처리 장치, 열교환기가 배치된 열교환실을 갖는 공기 조화기 등에도 상기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5)

  1.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를 가압하는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도어를 가압하는 제2 푸시 로드를 연동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와,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은 초기에 제1기준 대기 시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에서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 보다 짧은 제2기준 대기 시간으로 변경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내내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 동안 내내 상기 모터를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모터를 정지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과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의 차인 상기 제3기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모터를 상기 제1기준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대기 시간 및 상기 제2기준 대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냉장고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푸시 로드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는 것과, 상기 제2푸시 로드가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2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로 상기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을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3.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1도어 및 제2도어와, 상기 제1도어를 가압하는 제1푸시 로드와 상기 제2도어를 가압하는 제2 푸시 로드를 연동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마련된 모터를 포함하는 도어 개방 장치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마련된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와, 알림음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스피커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상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제2기준 구동 속도로 구동하고,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중립 위치에서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 구동 속도는 상기 제1기준 구동 속도 보다 빠른
    냉장고의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시 로드가 상기 제1푸시 로드의 최대 전진 위치에 도달한 때부터 소정의 대기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모터를 정지하는 것과 상기 모터를 제1기준 구동 속도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제2스위치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알림음을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 방법.
PCT/KR2023/011334 2022-08-11 2023-08-02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240349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35,665 US20240053088A1 (en) 2022-08-11 2023-08-18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00903 2022-08-11
KR10-2022-0100903 2022-08-11
KR1020220156774A KR20240022381A (ko) 2022-08-11 2022-11-21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2-0156774 2022-11-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8/235,665 Continuation US20240053088A1 (en) 2022-08-11 2023-08-18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34988A1 true WO2024034988A1 (ko) 2024-02-15

Family

ID=8985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1334 WO2024034988A1 (ko) 2022-08-11 2023-08-02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3498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346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KR20100003347U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 도어 열림장치
US20110087376A1 (en) * 2009-10-13 2011-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KR20200070620A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7037599B2 (ja) * 2016-01-26 2022-03-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0346A (ko) *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자동 개방 장치
KR20100003347U (ko) * 2008-09-18 2010-03-26 주식회사 에스 씨디 냉장고 도어 열림장치
US20110087376A1 (en) * 2009-10-13 2011-04-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JP7037599B2 (ja) * 2016-01-26 2022-03-16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KR20200070620A (ko) * 2018-12-10 202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6212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WO2016036213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1081499A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169178A1 (ko) 냉장고
WO2018182156A1 (ko) 냉장고
WO2014200316A1 (en) Refrigerator
EP3008268A1 (en)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9235747A1 (ko) 냉장고
WO2018194324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three-way flow rate control valve
WO2020116987A1 (en) Refrigerator
EP3314180A1 (en) Refrigerator
WO2015105305A1 (ko) 냉장고
WO2024034988A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20080841A1 (en) Refrigerator
WO2020027596A1 (ko) 냉장고의 제어방법
WO2018066885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4034990A1 (ko) 냉장고
WO2014200315A1 (en) Refrigerator
WO2017119599A1 (ko) 냉장고
WO2021256753A1 (en) Refrigerator
WO2020218825A1 (ko) 냉장고
WO2024039033A1 (ko) 터치 입력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EP3596413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and three-way flow rate control valve
WO2024080538A1 (ko) 냉장고
WO2024039074A1 (ko) 높이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5286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