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45798A -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45798A
KR20200045798A KR1020180126742A KR20180126742A KR20200045798A KR 20200045798 A KR20200045798 A KR 20200045798A KR 1020180126742 A KR1020180126742 A KR 1020180126742A KR 20180126742 A KR20180126742 A KR 20180126742A KR 20200045798 A KR20200045798 A KR 20200045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unit
door opening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165B1 (ko
Inventor
김정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798A/ko
Priority to KR1020240010301A priority patent/KR2024001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전달받아 푸시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한 감지 기구,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푸시 부재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도어 개방 여부를 결정하여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바, 사용자가 스위치 터치 방식으로 도어 개방명령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스위치 터치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REFRIGERATOR POSSIBLE WITH OPEN THE DO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한 스위치 터치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이용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대상물을 저장실에 넣거나 저장실에서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스켓이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록 냉기 누설 방지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가스켓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가스켓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스켓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도어의 개방 시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최근에는 오토 클로징 기능이 구현된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조금 열려 있을 때 자동적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냉장고가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근에 제공되는 냉장고는 이전의 냉장고에 비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서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사용자가 도어를 당겨야 하기 때문이다.
근래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030호(공개일 20110420)에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구비되며, 도어 핸들에 조작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면 도어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푸쉬로드가 도어를 밀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핸들을 잡아 조작부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식품을 들고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서는 조작부를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030호(공개일 20110420)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위치 터치 방식으로 도어 개방명령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스위치 터치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터치시 발생되는 감지 신호의 입력 기간, 및 감지 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단순하고 간소화된 회로 또는 칩(chip) 구조로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냉장고 도어가 닫히는 기간에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전달받아 푸시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푸시 부재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제1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는 경우에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도어 개방명령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냉장고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에 의해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스위치 터치 방식으로 도어 개방명령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스위치 터치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가구장 도어 또는 냉장고 도어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선 상태에서 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 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물건 등으로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스위치 터치시 발생되는 감지 신호의 입력 기간, 및 감지 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단순하고 간소화된 회로 또는 칩(chip) 구조로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냉장고의 도어 오픈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들의 제조 과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빌트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가 캐비닛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어의 힌지와 감지 기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신호 인식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1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오픈 신호로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디 위한 파형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서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제1 흰지, 제3 흰지, 제7 흰지 및 제6힌지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가 빌트인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가 캐비닛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는 도어의 힌지와 감지 기구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주방의 가구에 빌트인될 수 있다.
일 예로 주방이나 특정 공간, 또는 기타 공간에 가구장(1)이 설치되고, 가구장(1) 내에 냉장고(10)가 수용될 수 있다. 가구장(1)은 가구장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저장실(12)을 구비하는 캐비닛(11)과,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은 가구장(1) 내로 수용되고, 냉장고 도어(13)는 가구장 도어(2)에 연결될 수 있다.
가구장 도어(2)의 회전 시 가구장 도어(2)와 연결된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되어 저장실(12)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3)가 저장실(12)을 닫은 상태에서는 가구장 도어(2)가 냉장고 도어(13)의 외측에서 냉장고 도어(13)를 커버하여, 냉장고 도어(1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냉장고(10)는 가구장 도어(2) 또는 냉장고 도어(13)에 연결되어 가구장 도어(2) 및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31)는 일측이 가구장 도어(2) 또는 냉장고 도어(13)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캐비닛(11)에 연결될 수있다.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31) 각각은 복수의 링크를 포함하는 다관절 힌지 어셈블리일 수 있다.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3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 31) 각각은 다수의 힌지를 포함하고, 각 힌지는 힌지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힌지는 제1 힌지 축을 포함하고, 제2 힌지는 제2 힌지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30, 31)는 힌지 어셈블리(30)(또는 "제2 힌지 어셈블리"라고도 할 수 있음)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또는 "제1 힌지 어셈블리"라고 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푸시하여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동작시킴으로써, 가구장 도어(2) 및 냉장고 도어(13)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20)는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일 예로 캐비닛(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방장치(20)는 냉장고 도어(13)가 저장실(12)을 닫은 상태에서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냉장고(10)는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기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 기구(40)는 사용자가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푸시력)을 전달받아 감지함으로써,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기구(40)가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감지하기 위하여 감지 기구(40)는 캐비닛(1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캐비닛(11)에 캐비닛 브라켓(52)이 설치되고, 캐비닛 브라켓(52)에 감지 기구(40)가 설치될 수 있다. 감지 기구(40)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로부터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즉,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경우 푸시력이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로 전달되어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감지 기구(40)를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캐비닛 브라켓(52)은 캐비닛(11)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고,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 브라켓(52)과 하부 힌지 어셈블리(31) 사이에 감지 기구(4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더라도 감지 기구(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는 일 측은 캐비닛(11)의 하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냉장고 도어(13)에 결합된 도어 브라켓(5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어 브라켓(51)에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설치되고 감지 기구(40)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로부터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전달받으므로, 냉장고 도어(13)의 단열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냉장고 도어(13)의 외부 케이스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감지 기구(40)가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일 예로, 냉장고 도어(13)의 배면은 가스켓에 의해서 캐비닛(11)의 전면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냉장고 도어(13)를 푸시하더라도 가스켓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캐비닛(11)의 전면은 최소 거리 만큼 이격된 상태가 된다.
만약, 냉장고 도어(13)가 감지 기구(40)를 직접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감지 기구(40) 간의 거리는 최소 거리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냉장고 도어(13)의 배면이 단열을 위한 발포 과정에서 변형되어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캐비닛(11)의 전면 간의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여도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감지 기구(40) 간의 거리가 최소 거리보다 커지게 되어, 냉장고 도어(13)가 감지 기구(40)를 가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냉장고 도어(13)의 발포 완료 후 냉장고 도어(13)의 하측에 설치되는 도어 브라켓(51)에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설치되고, 금속 재질의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감지 기구(40)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냉장고 도어(13)의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어 개방장치(20)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를 가압하고 감지 기구(40)는 가구장 도어(2)의 푸시력을 전달받은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서 가압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든, 캐비닛(11)을 기준으로 도어 개방장치(20)와 감지 기구(40)는 서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선 상태에서 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 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물건 등으로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손에 또는 양손으로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와 같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황에서도, 팔, 몸과 같은 부위로 가구장 도어를 푸시하여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감지 기구(40)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이 감지되면, 도어 개방장치(20)의 구동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는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13)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이 현저히 줄어들거나 힘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1에서는 냉장고(10)가 빌트인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나, 빌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장고(10)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도어 개방장치(20), 힌지 어셈블리(30) 및 감지 기구(40)에 대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즉, 사용자가 직접 냉장고 도어(13)를 푸시함으로써,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지 기구(4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기구(40)는 케이스(410: case), 케이스(410)에 안착되는 서포터(420: supporter), 서포터(420)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1 감지부(430), 케이스(410)에 결합되며 제1 감지부(430)를 커버하는 커버(440: cover)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는 캐비닛 브라켓(52)에 일 예로 체결부재(S)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케이스(410)는 바디(411)와 바디(41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결합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411)는 일 예로 전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2개의 결합부(414)가 바디(411)에서 연장될 수 있다. 2개의 결합부(414)는 바디(411)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결합부(414)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케이스(410)가 캐비닛 브라켓(52)에 체결될 수 있다.
각 결합부(414)에는 체결부재(S)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보스(415)가 형성될 수 있다. 각 체결보스(415)는 캐비닛 브라켓(52)의 전면에 접촉되고, 체결부재(S)는 캐비닛 브라켓(52)의 후방에서 캐비닛 브라켓(52)을 관통하여 각 체결보스(415)에 체결될 수 있다.
바디(411)에는 서포터(420)가 안착되기 위한 서포터 안착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 안착부(412)는 바디(411)에서 돌출되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는 서포터(4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리브는 바디(411)에서 캐비닛 브라켓(5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바디(411)에는 서포터(420)에 의해서 지지된 제1 감지부(430)의 일부가 통과하기 위한 슬롯(417: 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417)을 통과한 제1 감지부(430)에는 후술할 제어부(15)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와이어(wire)가 구성될 수 있다.
서포터(420)는 외력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서포터(42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420)는 서포터 안착부(412)에 안착되는 베이스(base: 421), 및 베이스(421)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리브(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베이스(421)의 양 단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421)가 서포터 안착부(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캐비닛 브라켓(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가 서포터 안착부(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리브(422)는 상하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서포터(420)가 서포터 안착부(4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디(411)로부터 서포터 안착부(412)의 돌출 길이는 바디(411)로부터 복수의 지지리브(422)의 단부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서포터(420)에 지지되는 제1 감지부(430)가 가압될 때 제1 감지부(430)가 서포터 안착부(41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지지리브(422)가 제1 감지부(4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감지부(430)의 최소 길이 보다 복수의 지지리브(422)의 간격이 작을 수 있다.
제1 감지부(430)는 서포터(420)에 접촉되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푸시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신호(일 예로 전압)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감지부(430)는 센서 피씨비(sensor PCB)(43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피씨비(431)가 서포터(420)의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버(440)는 일 예로 후면이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440)는 케이스(410)에 결합되기 위한 후크(442: hook)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410)는 후크(442)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 슬롯(413: hook coupling slot)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440)의 후크(442)가 후크 결합 슬롯(413)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440)는 제1 감지부(430)를 커버한다.
따라서, 커버(440)에 의해서 제1 감지부(4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440)에는 커버(440)가 케이스(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 피씨비(431)에 접촉하는 접촉돌기(444)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돌기(444)는 커버(440)에서 센서 피씨비(431) 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으며, 센서 피씨비(431)와 접촉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리브(422) 사이의 영역의 중간 부분과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접촉돌기(444)는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이 접촉돌기(444) 측으로 집중되어 센서 피씨비(431)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커버(440)가 케이스(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440)는 케이스(410)에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31) 측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에 커버(440)가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일 예로,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440)는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피씨비(431)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복수의 지지리브(422)와 접촉돌기(444)의 수평 거리는 센서 피씨비(431)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센서 피씨비(431)가 복수의 지지리브(422)와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440)가 케이스(410)에 결합되면, 접촉돌기(444)가 센서 피씨비(431)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센서 피씨비(431)가 복수의 지지리브(422)를 가압하게 되어 복수의 지지리브(4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리브(422)가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센서 피씨비(431) 및 커버(440)는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의해서 탄성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커버(440)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커버(440)가 케이스(410)에서 돌출된 상태로 존재하고, 복수의 지지리브(422)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므로, 가구장 도어(2)와 결합된 냉장고 도어(13)를 캐비닛(11)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 오차가 발생되어도 커버(440)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힌지 어셈블리(31)가 커버(440)와 접촉된 상태에서 커버(440)를 가압하더라도 복수의 지지리브(422)가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커버(440)나 센서 피씨비(431)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31)의 가압력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개방장치(20)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도어 개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부(240)는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면서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푸쉬한다.
도어 개방장치(20)는 구동부와 도어 개방부(240)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200: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캐비닛(11)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220)과 하부 프레임(220)에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20)에는 구동부(250)와 도어 개방부(240)가 안착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210)은 구동부 및 도어 개방부(240)의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구동부(250)는 구동 모터(251), 및 구동 모터(251)의 동력을 도어 개방부(24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251)는 일 예로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구동 모터(251)는 하부 프레임(22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하부 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52)는 하부 프레임(22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하부 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252)는 복수의 기어(25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어(253)는 구동 모터(25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도어 개방부(240)의 구동을 위한 힘을 도어 개방부(240)로 전달하는 감속 기어이다.
복수의 기어(253)는 도어 개방부(240)와 직접 연결되는 연결 기어(2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장치(20)는 구동 모터(251)의 제어를 위한 피씨비(290: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피씨비(290)는 하부 프레임(220)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모터(251)가 하부 프레임(22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하부 프레임(220)에 장착되므로, 피씨비(290)와 구동 모터(251)의 용이한 연결을 위하여 피씨비(290)는 하부 프레임(220)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피씨비(290)에는 도어 개방부(24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홀 센서(292)가 설치될 수 있다.
홀 센서(292)는 프레임(200) 내에 위치된 도어 개방부(24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홀 센서(292)는 하부 프레임(220)의 하측을 관통하여 프레임(20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220)은 도어 개방부(24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슬롯(2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부(240)의 일부는 프레임(200)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슬롯(221)을 관통하여 프레임(20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서 도어 개방부(240)가 냉장고 도어(13)를 개방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이고, 전후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것으로 가정한다.
상부 프레임(210)은 하부 프레임(220)에 결합되어 하부 프레임(220)에 안착된 동력 전달부(252) 및 도어 개방부(240)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 개방부(240)는 구동부(25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푸시 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241)는 롤러(245: roll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부재(241)의 앞쪽 부분에 롤러(245)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푸시 부재(241)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롤러(245)의 일부는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개방을 위하여 도어 개방부(2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롤러(245)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와 접촉하므로, 푸시 부재가 힌지 어셈블리(30)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비하여 마찰 소음이 줄어들 수 있고, 도어 개방부(24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어 개방부(240)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를 미는 과정에서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가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푸시 부재(241)의 전단부(243a)는 라운드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힌지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부 힌지 어셈블리(30)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 힌지 어셈블리(30)는 캐비닛(11)에 설치되는 제1 힌지 프레임(310), 가구장 도어(2) 또는 냉장고 도어(13)에 고정되는 제2 힌지 프레임(320), 제1 힌지 프레임(310), 및 제2 힌지 프레임(320)에 연결되는 링크 유닛(330: link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힌지 프레임(320)은 일 예로 냉장고 도어(13)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322), 도어 고정부(322)의 상측에 위치되며 링크 유닛(330)이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개방부(240)는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링크 유닛(330)을 민다.
링크 유닛(330)은 도어 개방부(240)로부터 미는 힘을 전달받아 냉장고 도어(13)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저장실(12)을 개방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 중심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하는 복수의 링크(332, 340, 35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유닛(330)은 제1 힌지(314)에 의해서 제1 힌지 프레임(310)에 연결되는 제1 링크(332)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유닛(330)은 제1 힌지(314)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 링크(332)에 연결되는 제2 링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링크(340)는 제2 힌지(342)에 의해서 제1 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340)의 복수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다관절 링크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부재 중 일 부재에 제2 힌지(342)가 형성되고, 복수의 부재중 다른 부재에 제6 힌지(344)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유닛(330)은 제1 힌지(314)와 제2 힌지(342) 사이 영역에서 제1 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링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링크(350)는 제3 힌지(352)에 의해서 제1 링크(3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링크 유닛(330)은 제3 링크(350) 및 제1 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링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링크(360)는 제4 힌지(362)에 의해서 제3 링크(3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5 힌지(364)에 의해서 제1 힌지 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4 힌지(362)는 제1 흰지(314) 보다 냉장고 도어에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제2 링크(340)는 제6 힌지(344)에 의해서 제2 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3 링크(350)는 제7 힌지(354)에 의해서 제2 힌지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6 힌지(344)와 제7 힌지(354) 사이의 거리는 제3 힌지(352)와 제2 힌지(342)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그리고 제4 링크(360)의 길이는 제1 링크(33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부(15)가 구동 모터(251)를 제어한다는 것은 제어부(15)가 피씨비(292)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피씨비(292)가 구동 모터(251)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푸시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아날로그의 감지 신호(일 예로 전압)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430), 및 제1 감지부(43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도어 개방 여부를 결정하여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도어 개방을 위해 구동 모터(251)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제1 감지부(430)는 서포터(420)에 접촉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푸시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아날로그의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피씨비(sensor PCB)(431)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피씨비(431)는 서포터(420)에 의해 지지되어 복수의 지지리브(422)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푸시력)의 크기에 대응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15)는 센서 피씨비(431)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의 입력 기간, 및 감지 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는 센서 피씨비(431)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보다 더 크게 입력된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과 추가로 비교한다.
이에, 제어부(15)는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보다 더 크게 입력된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보다 더 길거나 크면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도어 개방 명령 신호는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로 전송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부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15)는 감지 전압 입력부(151), 비교부(153), 및 열림 제어 판단부(154)를 포함한다.
감지 전압 입력부(151)는 제1 감지부(430)의 센서 피씨비(431)로부터 감지 신호(V_430)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5)가 원-칩(1-chip)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감지 전압 입력부(151)는 하나의 신호 입력단자가 될 수 있다.
비교부(153)는 센서 피씨비(431)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V_430)의 전압 크기를 기준 전압 입력부(152)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전압(V_th)과 비교한다. 그리고 감지 신호(V_430)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V_th)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과 대응되도록 펄스 폭 변조신호(PWM)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비교부(153)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게이트로 설계될 수 있다.
열림 제어 판단부(154)는 펄스 폭 변조신호(PWM)가 입력되는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Ttf)과 비교한다. 그리고 펄스 폭 변조신호(PWM) 입력 기간이 제1 기준 시간(Ttf) 보다 크거나 길면 도어 개방 명령 신호(OPC)를 생성하여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열림 제어 판단부(154) 또한 적어도 하나의 논리 게이트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열림 제어 판단부(154)에서 출력되는 도어 개방 명령 신호(OPC)는 도어 개방장치(20)에 구성된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로 전송된다.
냉장고(10)는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부(50)는 일 예로 캐비닛(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13)에 의해서 가압되는 스위치일 수 있다.
제2 감지부(50)는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일 예로 low 신호를 출력하고,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 예로 high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냉장고(10)가 턴-온된 상태에서는 냉장고(10)는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대기한다(S1).
일 예로,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고(10)가 도어 개방명령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제2 감지부(50)에서 low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도어 개방명령을 대기하는 중에, 제어부(15)는 도어 개방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
일 예로,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는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면,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는 힘(푸시력)이 냉장고 도어(13)에 의해서 하부 힌지 어셈블리(31)를 통해 감지 기구(40)로 전달된다.
일 예로,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에 의해서 전달되는 푸시력에 의해서 커버(440)가 가압되고, 커버(440)의 접촉돌기(444)가 센서 피씨비(431)를 가압하여, 센서 피씨비(431)에서 아날로그의 감지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제1 감지부(430)에서 입력되는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보다 더 크게 입력된 기간을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기간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보다 더 길거나 크면 도어 개방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도를 가지고 가구장 도어(2)를 푸시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사용자가 가구장 도어에 부딪히거나 사용자 외의 물건이 가구장 도어(2)에 충돌하는 등과 같이 의도치 않게 외력이 가구장 도어(2)에 가해지는 경우에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5)가 제1 감지부(430)에서 감지 신호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이상으로 입력되되, 그 입력된 기간이 제1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는 경우에만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1 기준 시간은 변경될 수 있으며,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0.3초 이상일 수 있다.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5)는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
본 실시 예에서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제2 감지부(50)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가 제2 기준 시간(TR) 이상 닫혀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이다. 이때, 제2 기준 시간은 제1 기준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며,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2초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기준 시간(TR)은 닫힘 기준 시간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 13은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의 신호 인식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제1 감지부의 감지 신호를 오픈 신호로 판단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디 위한 파형도이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냉장고 도어(13)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제2 감지부(50)에서 냉장고 도어(13)가 닫혀있는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low 신호).
이 상태에서, 제1 감지부(43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제1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어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을 위하여 도어 개방장치(20)가 작동할 수 있다.
반면, 도어 개방장치(20)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냉장고 도어(13)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제2 감지부(50)에서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high 신호).
이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냉장고 도어(13)가 닫히거나 냉장고 도어(13)의 자중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가 닫힐 수 있다.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시점에서 제2 감지부(430)에서는 냉장고 도어(13)가 닫혀있는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출력된다.
본 실시 예에서, 냉장고 도어(13)가 저장실(12)을 닫은 상태에서 감지 기구(40)가 하부 힌지 어셈블리(31)와 접촉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는 과정에서 감지 기구(40)로 충격이 가해져 제1 감지부(43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감지 신호(V_430)가 제1 기준 시간 이상 동안 출력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는 센서 피씨비(431)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V_430)의 전압 크기를 기준 전압 입력부(152)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전압(V_th)과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감지 신호(V_430)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V_th)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Ttf)과 비교한다. 감지 신호(V_430)의 전압 크기가 기준 전압(V_th)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이 제1 기준 시간(Ttf) 보다 크거나 길면 도어 개방 명령 신호(OPC)를 생성하여 구동 모터(251)의 제어 신호로 전송한다.
반면,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는 과정에서 제1 감지부(4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일시적으로 출력되는 신호이며, 제1 감지부(43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은 제2 기준 시간(TR) 보다 작다.
본 실시 예에서는,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는 과정에서 냉장고 도어(13)의 닫힘력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어도 도어 개방조건이 만족되어야만 도어 개방장치(20)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도어 개방장치(20)가 작동하여 냉장고 도어(13)가 다시 열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3에서 판단 결과, 도어 개방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는 구동 모터(2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 모터(251)를 제어한다(S4).
도 15 내지 도 17은 도어 개방장치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가 개방될 때의 힌지 어셈블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구동 모터(251)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결 기어(255)는 도 8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연결 기어(255)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푸시 부재(241)는 제1링크(332)를 밀게 된다. 즉, 푸시 부재(241)는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1링크(332)를 민다.
구체적으로, 푸시 부재(241)는 제1 링크(332)에서 제3 힌지(352)와 제2 힌지(342) 사이 영역을 민다. 그러면, 도 14를 기준으로, 제1 링크(332)는 제1 힌지(31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제4 링크(360)는 제5 힌지(364)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제1 링크(332)와 제4 링크(360)의 시계 방향 회전에 의해서 냉장고 도어(13)가 캐비닛(11)에서 멀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4 링크(360)의 길이가 제1 링크(332)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제1 링크(332)의 회전 시 제1 링크(332)의 회전 각도보다 제4링크(360)의 회전 각도가 크다. 따라서, 제4 링크(360)는 제1링크(332)에 의한 냉장고 도어(13)의 회전 시 회전 각도를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제로 제1 링크(332)의 회전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냉장고 도어(13)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5 내지 도 17에서의 힌지 어셈블리에서 제1 힌지, 제3 힌지, 제7 힌지 및 제6 힌지를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의 이동 궤적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6 힌지(344)와 제7 힌지(354)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L)은 냉장고 도어(13) 상에 위치되며 냉장고 도어(13)와 함께 이동한다.
도 18과 같이 푸시 부재(241)의 이동 거리가 증가될 수록 연결선(L)은 캐비닛(11)에서 멀어짐과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소정 각도를 이룰 때까지 이동한다. 소정 각도는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각도와 동일하다.
이때, 연결선(L)은 회전함과 동시에 캐비닛(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
냉장고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 제6 힌지(344) 및 제7 힌지(354)는 캐비닛(11)의 전면과 평행하면서 제5 힌지(36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 또는 평면에 위치되거나 수평선 또는 평면보다 캐비닛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도어(13)가 닫히면, 제5 힌지(364), 제6 힌지(344), 및 제7 힌지(354)는 캐비닛(11)의 전면과 평행한 공통면 상에 위치되거나, 제6 힌지(344) 및 제7 힌지(354)는 제5 힌지(364) 보다 앞쪽에 위치될 수 있다.
반면,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되면, 제6 힌지(344) 및 제7 힌지(354)는 제5 힌지(35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캐비닛(11)에서 멀게 위치된다. 일 예로, 제6 힌지(344) 및 제7 힌지(354)는 제5 힌지(364)의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선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냉장고 도어(13)의 개방 각도는 냉장고(10)의 크기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냉장고(10)의 크기와 무관하게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13)의 배면과 캐비닛(11) 전면 간의 최대 거리(D1)는 120mm 이상이 되도록 개방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5)는 구동 모터(251)의 제1방향 회전 과정에서 도어 개방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일 예로, 제어부(15)는 푸시 부재(241)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9와 같이, 냉장고 도어(13)의 개방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푸시 부재(241)의 위치가 도어 개방 위치이다.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 도어의 개방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5)는 구동 모터(251)를 정지시킨다(S6).
한편, 제어부(15)는 도어 개방이 완료되어 구동 모터(251)가 정지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단계 S7에서 판단 결과, 구동 모터(251)가 정지된 시점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되면, 푸시 부재(24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5)는 구동 모터(251)가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S8).
푸시 부재(241)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251)가 바로 제2방향으로 회전되면, 냉장고 도어(13) 자체의 하중, 냉장고 도어(13)와 캐비닛(11)의 밀착을 위한 가스켓에 구비되는 자석의 자력, 냉장고 도어(13)의 힌지 어셈블리(30, 31)에 구비되어 냉장고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닫힘 기구(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되는 닫힘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상기 냉장고 도어(13)가 바로 닫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구동 모터(251)가 정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모터(251)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냉장고 도어(13)가 개방된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냉장고 도어(13)를 추가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모터(251)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어부(15)는 푸시 부재(241)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제어부(15)는 푸시 부재(241)가 초기 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되면 구동 모터(251)를 정지시킨다(S10).
위의 실시 예에서 제2 감지부(50)를 이용하지 않고 냉장고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제1 감지부(43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 경우이되, 기준 시간이 제2 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푸시력을 가하는 시간이 제2 감지부(50)를 사용할 때보다는 다소 길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감지부(430)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간이 기준 시간(상기 제2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시간임) 이상인 경우,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고, 이 상태에서 제2 감지부(50)에 의해서 도어가 닫혀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 개방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개방장치가 힌지 어셈블리, 일 예로 상부 힌지 어셈블리를 푸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어 개방장치가 냉장고 도어(13) 또는 가구장 도어(2)를 직접 푸시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가 스위치 터치 방식으로 도어 개방명령을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스위치 터치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가구장 도어 또는 냉장고 도어를 푸시하는 것에 의해서 도어 개방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냉장고 앞에서 선 상태에서 손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 또는 사용자가 들고 있는 물건 등으로 쉽게 도어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스위치 터치시 발생되는 감지 신호의 입력 기간, 및 감지 신호의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함으로써, 단순하고 간소화된 회로 또는 칩(chip) 구조로 도어 개방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냉장고의 도어 오픈에 이용되는 구성 요소들의 제조 과정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냉장고
11: 캐비닛
13: 냉장고 도어
15: 제어부
20: 도어 개방장치
30: 상부 힌지 어셈블리
31: 하부 힌지 어셈블리
40: 감지 기구
410: 케이스
420: 서포터
430: 제1 감지부
440: 커버
50: 제2 감지부

Claims (7)

  1. 캐비닛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가압하는 푸시력을 전달받아 푸시력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를 구비한 감지 기구;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푸시 부재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상기 제1 감지부에서 출력된 감지 신호에 따라 도어 개방 여부를 결정하여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푸시력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감지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 피씨비(sensor PCB)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상기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시간 이상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개방 명령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키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조건이 만족된 경우는,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 가 제2기준 시간 이상 닫혀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이며,
    상기 제2 기준 시간은 상기 제1 기준 시간보다 길게 설정된,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센서 피씨비로부터 감지 신호를 입력받는 감지 전압 입력부;
    상기 센서 피씨비로부터 입력된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를 기준 전압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감지 신호의 전압 크기가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크게 입력된 기간과 대응되도록 펄스 폭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펄스 폭 변조신호가 입력되는 기간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시간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도어 개방 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 모터의 제어 신호로 전송하는 열림 제어 판단부를 포함하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면,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 중 일 힌지 어셈블리를 푸시하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감지 기구는 복수의 힌지 어셈블리중 일 힌지 어셈블리와 접촉되는.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20180126742A 2018-10-23 2018-10-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2630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42A KR102630165B1 (ko) 2018-10-23 2018-10-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20240010301A KR20240014567A (ko) 2018-10-23 2024-01-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42A KR102630165B1 (ko) 2018-10-23 2018-10-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301A Division KR20240014567A (ko) 2018-10-23 2024-01-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798A true KR20200045798A (ko) 2020-05-06
KR102630165B1 KR102630165B1 (ko) 2024-01-25

Family

ID=707376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42A KR102630165B1 (ko) 2018-10-23 2018-10-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20240010301A KR20240014567A (ko) 2018-10-23 2024-01-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301A KR20240014567A (ko) 2018-10-23 2024-01-23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3016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427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2045430A1 (ko) * 2020-08-2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2173188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4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6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5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CN114941923A (zh) * 2022-05-26 2022-08-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体控制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芯片和制冷设备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038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扉開閉装置における操作検知装置および冷蔵庫
KR20110022849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JP2014102069A (ja) * 2012-11-20 2014-06-05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KR101480459B1 (ko) * 2008-06-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48037A (ko) * 2014-11-07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 터치 감지장치 그리고 메탈 터치 감지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038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扉開閉装置における操作検知装置および冷蔵庫
KR101480459B1 (ko) * 2008-06-11 2015-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자동 개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2849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JP2014102069A (ja) * 2012-11-20 2014-06-05 Lg Electronics Inc 冷蔵庫
KR20160148037A (ko) * 2014-11-07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탈 터치 감지장치 그리고 메탈 터치 감지장치가 구비된 가전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427A1 (ko) * 2020-08-27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2045430A1 (ko) * 2020-08-28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WO2022173188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4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6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 door of refrigerator
WO2022173195A1 (en) * 2021-02-09 2022-08-1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utomatic door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4941923A (zh) * 2022-05-26 2022-08-26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门体控制方法、电子设备、存储介质、芯片和制冷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65B1 (ko) 2024-01-25
KR20240014567A (ko)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45798A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US11041671B2 (en) Refrigerator
US10054362B2 (en) Refrigerator
KR102616258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3091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3069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17958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AU2020223666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77618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42380B1 (ko) 냉장고
KR101977985B1 (ko) 냉장고
KR20230128827A (ko) 냉장고
KR20240016724A (ko) 냉장고 및 냉장고 고내등의 온 오프 제어 방법
KR20240072974A (ko) 가전기기,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500332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