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882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8827A
KR20230128827A KR1020220026210A KR20220026210A KR20230128827A KR 20230128827 A KR20230128827 A KR 20230128827A KR 1020220026210 A KR1020220026210 A KR 1020220026210A KR 20220026210 A KR20220026210 A KR 20220026210A KR 20230128827 A KR20230128827 A KR 20230128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cabinet
opening request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정한진
김미영
손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8827A/ko
Priority to PCT/KR2022/018554 priority patent/WO2023163330A1/ko
Publication of KR20230128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88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요구를 정확히 판단하고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어에 상기 도어의 개방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개방요청 감지부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요구를 정확히 판단하고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보관물을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보관물이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실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도어를 수동 개방하여야만 하였으나 사용자가 도어를 수동 개방하기 어려운 상황(예컨대, 물건을 양 손 모두 들고 있을 경우 등)에서는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스위치나 센서를 냉장고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을 판단하는 기술과, 상기 도어 개방 요청이 확인될 경우 도어를 자동 개방하기 위한 기술 등이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07-011856호, 공개특허 제10-2011-0009348호, 공개특허 제10-2011-0040030호, 공개특허 제10-2020-0045798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들 중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기술의 경우 오류가 많았던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는 기술의 경우 주변을 지나는 사용자나 애완동물에 의해 원치않게 도어가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식 센서나 스위치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는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접촉이나 부딪힘에 따른 충격을 도어 개방 요청으로 잘못 인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접촉식 센서나 스위치의 경우 사용자가 접촉 감도 등을 조절할 수 없다. 즉, 냉장고의 캐비닛에 센서나 스위치가 위치될 경우 설치 환경에 따라 예민할 수 있는 감지 정도에 대한 세밀한 세팅이 어려웠다. 이로써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가 잦을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센서나 스위치의 경우 캐비닛에 위치된다. 이로써 상기 센서 혹은, 스위치의 고장이 발생될 경우 이를 수리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07-011856호 공개특허 제10-2011-0009348호 공개특허 제10-2011-0040030호 공개특허 제10-2020-004579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요청에 대한 확인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로써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장치가 원치않게 동작되면서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조작력에 대한 설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로써 사용자별로 다를 수 있는 도어의 개방 요청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구조 또는, 장치의 수리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 혹은, 스위치의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캐비닛을 분해하지 않고도 센서나 스위치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도어의 자동 개방 요구를 확인 또는, 감지하기 위한 구조 혹은,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제어 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개방 요청을 감지하기 위해 개방요청 감지부가 도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가 캐비닛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를 가압하는 조작 발생시 도어의 개방이 요청된 것으로 판단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표면으로부터 수용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손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 중 캐비닛 과의 대향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어느 한 둘레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가압시 캐비닛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가압량에 따라 도어의 자동 개방 여부를 달리 판단할 수 있다. 즉, 설정된 가압량을 초과한 도어의 가압시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동작 제어 혹은,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가압시 가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가압량에 따라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동작 제어나 동작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가압시 가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재는 센서 혹은,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부재는 가압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재는 도어의 가압시 캐비닛에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가압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재는 가압단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단은 감지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거나 혹은, 감지부재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접촉단이 감지부재에 접촉시 도어의 개방 요청이 이루어졌음으로 판단하거나 혹은, 접촉단이 감지부재를 가압하였을 경우 도어의 개방 요청이 이루어졌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단은 캐비닛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압부재는 캐비닛과의 대향 방향을 향해 정확히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단이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단의 거리 조절에 의해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한 도어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단은 가압단으로부터 가압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거리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재와 감지부재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복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의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가압부재는 캐비닛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재는 도어에 구비되는 가스켓부재보다 캐비닛을 향한 돌출 거리가 더욱 짧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를 닫을 때 가압부재가 캐비닛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감지부재가 수용되고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와는 별개의 조립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부재는 케이스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개방요청 감지부의 교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 중 부딪힘이 잦은 부위에 대한 불필요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도어가 원치않게 자동으로 개방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 중 부딪힘이 잦은 부위에 대한 불필요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도어가 원치않게 자동으로 개방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를 캐비닛으로부터 이격시켜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방부는 개방요청 감지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요청이 확인될 경우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방부는 캐비닛과 도어 간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을 향해 밀어서 도어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아래의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의 특정 부위가 설정 압력이상 가압될 경우 사용자에 의한 도어의 개방 요청이 확인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도어가 원치않게 개방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접촉단으로부터 가압단의 돌출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조작력(도어 가압력)에 대한 설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의 개방요청 감지부가 도어에 구비되고, 사용자(또는,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조작력(도어 가압력)에 대한 조절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캐비닛을 분해하지 않고도 센서나 스위치의 교체 또는, 조작력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방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방요청 감지부가 도어에 구비된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개방요청 감지부가 장착되는 장착홈의 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방요청 감지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방요청 감지부가 도어에 구비된 상태를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방요청 감지부가 도어에 구비된 상태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방부가 구비된 상태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를 가압할 경우 개방요청 감지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도어 개방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도어 개방부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요청 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요청 감지부의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요청 감지부의 상태를 도 12와는 다른 방향에서 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각 방향에 대한 설명은 냉장고가 설치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예컨대, 정상적인 냉장고의 설치 상태에서 캐비닛(100)이나 도어(200) 중 실내를 향하는 면(사용자를 향하는 면)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캐비닛(100) 중 실내(혹은, 설치 공간)의 벽면에 인접된 면 및 도어(200) 중 저장실이 폐쇄된 상태에서 캐비닛(100)과의 대향면을 후면(또는, 배면)으로 지칭한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요청 감지부에 관련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사용자의 도어 개방 요청을 감지하기 위한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포함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나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어(200)의 개방 요구에 대한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캐비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은 냉장고의 외관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110)와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아웃케이스(110)와 이너케이스(120) 사이에는 발포재나 단열재 등의 단열 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부재가 충전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0) 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실(101,10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1,102)에는 음식물이나 음료 혹은, 식품류 등의 저장물이 보관될 수 있으며, 냉동시스템(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물을 장시간 보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1,102)은 둘 이상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01,102)은 상측의 저장실(101)과 하측의 저장실(102)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저장실(101,102)은 구획벽(103)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장실은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측의 저장실 혹은, 하측의 저장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또 다른 구획벽에 의해 좌우의 두 공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각 저장실(101,102)은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의 저장실(101)은 냉장 온도로 유지되고, 하측의 저장실(102)은 냉동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상측의 저장실(101)은 냉동 온도로 유지되고, 하측의 저장실(102)은 냉장 온도로 유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저장실(101)을 개폐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도어(20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의 저장실(101,102)이 실내로 개방되거나 혹은, 실내로부터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캐비닛(100)에 설치되면서 상기 저장실(101,102)을 개폐한다. 이때, 상기 도어(200)는 힌지(도시는 생략됨)에 의해 캐비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실(101,102)을 개방하거나 혹은,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저장실(101,102)마다 하나씩 제공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해 둘 이상 복수의 도어(200)가 제공될 수도 있고, 두 저장실을 하나의 도어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0)의 배면(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는 면, 저장실을 향하는 면) 둘레에는 가스켓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부재(210)는 도어(200)의 닫힘 동작시 도어(200)의 후면과 캐비닛(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차단(캐비닛의 전면에 밀착)하여 냉기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의 자동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요청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제공으로 사용자의 도어(200) 개방에 대한 의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에 구비된다. 즉,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도어(200)에 구비함으로써 해당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조립 작업이나 유지 보수를 위한 작업시 캐비닛(100)을 분해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도어(200)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감지 민감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캐비닛(100)에 위치될 경우 도어(200)가 조작력을 감쇠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지 민감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만큼 도어(200)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커야만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사용자의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도어(200)에 구비되도록 하여 도어(200)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작더라도 정확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상기 도어(200) 중 캐비닛(100)과의 대향면에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상기 도어(20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의 각 부위 중 캐비닛(100)의 전면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부위 중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상기 도어(200)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도어(200)의 모서리 부위에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상기 도어(200)의 힌지(도시는 생략됨)가 위치되는 부위와는 반대측 모서리 부위에 배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도어(200)에 가압력이 제공될 경우 힌지가 위치되는 부위보다 그 반대측 부위의 위치 변화가 더욱 크게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도어(200)의 모서리 부위가 아닌 여타의 둘레 부위에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위치시킬 수도 있다. 즉,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위치에 상관없이 도어(200)의 어느 부위이든 가압력이 제공된다면 감지 민감도는 다르더라도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에 의한 감지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도어(200)의 각 모서리 부위 중 구획격벽(103)이 위치되는 하단측 어느 한 모서리에 위치됨을 그 예로 한다. 이때, 후술될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접촉, 대향, 가압되는 캐비닛(100)의 전면은 도면상 상기 구획격벽(103)의 전면이 될 수 있다.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의 표면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의 경우, 상기 도어(200) 중 캐비닛(100)과의 대향면에는 장착홈(220)(첨부된 도 4 참조)을 요입 형성하고,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상기 장착홈(220) 내에 장착될 수 있다.(첨부된 도 3 및 도 6 참조)
일 예로써, 상기 장착홈(220)은 도어(200)의 후면(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요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홈(220)은 후면(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는 면)이 도어(200)의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장착홈(220)은 도어(200)의 저면으로부터 상부로 요입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홈(220)은 저면(도어의 하측)이 개방되고, 후면(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는 면)은 적어도 일부가 도어(200)의 후방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도어(200)에 형성되는 장착홈(220)은 저면과 후면이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착홈(220)은 도어(200)의 측면이나 상면에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두 도어(200) 중 하측에 위치된 도어(200)의 경우 상기 도어(200)의 상면에 장착홈(220)이 요입되게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를 설정된 힘만큼 가압할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단순한 터치식 센서나 근접 센서의 경우 센싱 부위에 원치않은 접촉이 발생되더라도 감지를 하거나 정전기 등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정된 힘(혹은, 거리) 이상의 도어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를 감지하여 이를 도어 개방 요청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동작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감지부재(310)와 가압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재(310)는 상기 가압부재(320)의 접촉 또는, 가압력을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감지부재(310)에 의해 가압부재(32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310)는 상기 가압부재(320)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센서 혹은,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감지부재(310)는 가압부재(320)의 이동에 의해 가압부재(320)가 접촉 또는, 가압 조작되는 센서나 스위치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로써, 가압부재(320)가 충분히 이동되지 않을 정도의 도어 가압 혹은, 충격시(예컨대, 도어에 부딪힘 등)에는 가압부재(320)가 감지부재(310)에 접촉 또는, 가압하지 않아서 도어(200)의 개방 요청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감지부재(310)는 무선 혹은, 유선으로 도어 개방부(400)에 직접 혹은, 도어 개방부(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부(도시는 생략됨)에 감지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320)는 캐비닛(100)과의 대향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도어(2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도어(200)의 가압된 거리만큼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어(200)를 가압할 경우 상기 가압부재(320)가 캐비닛(100)과는 반대 방향(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320)는 가압단(321)과, 상기 가압단(321)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단(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단(321)은 캐비닛(100)과의 대향면에 접촉되는 부위로써, 상기 장착홈(220)의 개방된 후면을 통과하여 도어(200)의 후방(캐비닛의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입단(321)의 후면(캐비닛의 전면을 향하는 면)은 캐비닛(100)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압단(321)의 후면은 상기 캐비닛(100)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국부적인 충격에 의한 캐비닛(100) 전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가압부재(320)는 도어(200)에 구비되는 가스켓부재(210)보다 캐비닛(100)을 향한 돌출 거리가 더욱 짧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어(200)를 닫을 때 가압부재(320)가 캐비닛(10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가압단(321)은 가스켓부재(210)로부터 더욱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200)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단(321)이 캐비닛(100)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2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작더라도 상기 가압단(321)이 정확히 후퇴 이동(전방으로의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감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단(322)은 상기 가압단(321)으로부터 이동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압단(321)의 전면(도어의 전방을 향하는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단(322)은 상기 가압단(321)의 이동과 함께 이동되면서 감지부재(310)에 선택적으로 접촉 혹은,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접촉단(322)은 상기 가압단(321)보다 작은 직경이나 폭 또는,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접촉단(322)은 상기 가압단(321)의 전면으로부터 가압단(321)의 내부를 향해 삽입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접촉단(322)은 상기 가압단(321)의 전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전면 내부로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촉단(322)을 가압단(321)의 전면에 나사식으로 회전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촉단(322)의 돌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써 감지부재(310)가 감지할 수 있는 도어(200)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부재(320)와 감지부재(310)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재(320)를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200)의 가압력이 해제될 경우 가압부재(320)는 캐비닛(1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도어(200)에 가압력이 제공될 경우 가압부재(320)가 정확히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3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0) 내로 상기 감지부재(310)가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3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케이스(340)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감지부재(310)는 외부 환경(충격 혹은, 온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케이스(340)는 상기 도어(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340)는 도어(200)에 형성되는 장착홈(220)에 수용되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와 별개로 제공되면서 일괄적으로 도어(200)에 설치되거나 혹은, 도어(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40)의 후면(캐비닛의 전면과 대향되는 면)은 상기 가압부재(320)를 이루는 가압단(321)이 돌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40) 내의 전면에는 상기 감지부재(31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40)는 상측 케이스(341)와 하측 케이스(342)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케이스(340) 내에 가압부재(320)와 감지부재(310) 및 복원부재(330)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개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부(400)는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300)에 의해 도어(200)의 개방 요청이 확인될 경우 상기 도어(200)를 캐비닛(100)으로부터 이격시켜 개방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도어(200)가 설정 힘(또는, 거리) 이상 가압됨을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감지할 경우 도어 개방부(400)가 동작되면서 도어(20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도어 개방부(400)는 상기 캐비닛(100)과 도어(200) 간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을 향해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410)와, 상기 푸시부재(410)를 동작시키는 동작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8과 같이 상기 도어 개방부(400)는 캐비닛(100)의 전면에 설치되면서 도어(200)를 향해 푸시부재(410)가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부재(410)는 상기 도어(200)에 직접 접촉하면서 도어(200)를 밀도록 설치되거나 혹은, 도어(200)에 추가로 형성되는 받침부재(240)를 상기 푸시부재(410)가 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작부(420)는 모터나 실린더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개방부(400)는 상기 도어(200)에 설치되면서 캐비닛의 전면을 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 개방부(400)는 상기 캐비닛(100)의 상면 혹은, 저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개방시 작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어(200)가 닫힌 경우 캐비닛(100) 내의 저장실(101,102)은 외부 환경(실내)으로부터 폐쇄된다.
상기 도어(200)가 닫힌 경우 상기 도어(200)에 구비된 가스켓부재(210)는 상기 도어(200)와 캐비닛(1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냉기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어(200)가 닫힌 경우에는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이루는 가압부재(320)의 가압단(321) 후면은 캐비닛(100)의 전면(구획격벽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상기 가압단(321)의 후면은 복원부재(33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의 전면에 접촉되고, 접촉단(322)의 전면은 감지부재(310)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첨부된 도 3과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촉단(322)의 전면은 감지부재(310)에 접촉된 상태일 수도 있고, 이의 경우 감지부재(310)가 감지하지 않을 정도의 가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한 도어(200)의 닫힘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200)를 직접 개방할 수도 있고, 도어 개방부(400)를 동작시켜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도어(200)를 직접 개방할 경우는 사용자의 양 손 중 적어도 어느 한 손으로 도어(200)를 조작할 수 있는 경우가 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할 경우는 사용자가 양 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혹은, 여타의 이유로 도어(200)를 직접 개방하기 어려운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도어(200)를 자동 개방할 수도 있다.
이렇게 도어(20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도어(200)의 특정 부위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특정 부위는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위치된 부위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할 경우에서는 도어(200)의 전면 중 좌측 하부 모서리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0)의 모서리를 가압할 경우 해당 가압력만큼 가스켓부재(210)가 압축되면서 도어(200)와 캐비닛(100) 간의 대향면은 서로 인접해진다. 물론, 사용자가 도어(200)의 모서리를 가압하지 않고 여타 부위를 가압하더라도 도어(200) 전체가 뒤로 밀려 가스켓부재(210)가 압축되면서 도어(200)와 캐비닛(100) 간의 대향면이 서로 인접해진다.
그리고, 상기 인접된 거리만큼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가압부재(320)는 감지부재(310)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감지부재(310)를 접촉 또는, 가압하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9와 같다.
이로써, 상기 감지부재(310)는 가압부재(320)의 접촉 또는, 가압에 의해 사용자의 조작 발생(도어의 개방 요청 발생)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신호에 의해 도어 개방부(400)의 동작부(420)가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420)의 동작에 의해 도어 개방부(400)의 푸시부재(410)는 그에 접촉된 도어(200)를 개방 방향으로 밀고, 이로써 도어(200)는 상기 푸시부재(410)의 동작 거리만큼 개방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3과 같다.
따라서, 사용자는 양 손이 자유롭지 못한 상태이더라도 상기와 같이 개방된 도어(200)를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도어(200)가 개방되면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가압부재(320)는 복원부재(330)의 복원력에 의해 감지부재(310)로부터 이격되고, 이로써 도어 개방부(400)의 동작부(420)는 동작을 중단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감지를 위해 필요로 하는 조작력(도어를 가압하는 정도, 도어 가압력)을 직접 조절할 수 있다. 즉,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가압부재(320)를 이루는 가압단(321)으로부터 접촉단(322)의 돌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필요 조작력이 조절된다.
예컨대, 접촉단(322)을 가압단(321)으로부터 돌출시킬수록 작은 조작력으로도 도어(200)의 가압 여부를 감지부재(310)가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반대로, 접촉단(322)을 가압단(321)에 삽입시킬수록 감지부재(310)가 인지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조작력이 커지게 된다.
상기 조작력에 대한 조절을 위해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도어(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341)로부터 하측 케이스(342)를 분리한 후 가압부재(320)를 이루는 접촉단(322)을 가압단(321)으로부터 더욱 돌출시키거나 혹은, 더욱 삽입시킨다.
물론, 개방요청 감지부(300)를 도어(2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하측 케이스(342)만 분리한 상태에서 가압단(321)을 접촉단(322)으로부터 더욱 돌출시키거나 혹은, 더욱 삽입시킴으로써 조작력에 대한 조절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냉장고는 도어(200)의 특정 부위가 설정 압력이상 가압될 경우 사용자에 의한 도어(200)의 개방 요청이 확인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어(200)의 원치않게 개방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가압단(321)으로부터 접촉단(322)의 돌출 거리를 조절하는 조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조작력(도어 가압력)에 대한 설정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도어(200)에 구비되고, 사용자(또는, 작업자)가 손쉽게 분리 가능한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조작력(도어 가압력)에 대한 조절이나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을 분해하지 않고도 감지부재(320)의 교체 또는, 조작력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와는 다르게 다양한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요청 감지부(300)는 도어(200)의 표면 내부로 요입 장착되는 배치가 아니라 도어(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도 장착될 수가 있다.
예컨대, 도어(200)의 저면에 개방요청 감지부(300)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조작력에 대한 조절은 감지부재(310)에 대한 전후 위치 조절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감지부재(310)를 케이스(340) 내에서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도어(200)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한 조작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조작력에 대한 조절은 서로 다른 탄성을 가지는 복수의 복원부재(330)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발명의 냉장고는 개방요청 감지부(300)의 위치나 갯수 혹은, 조작력의 조절을 위한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캐비닛 101,102. 저장실
103. 구획벽 110. 아웃케이스
120. 이너케이스 200. 도어
210. 가스켓부재 220. 장착홈
240. 받침부재 300. 개방요청 감지부
310. 감지부재 320. 가압부재
321. 가압단 322. 접촉단
330. 복원부재 340. 케이스
341. 상측 케이스 342. 하측 케이스
400. 도어 개방부 410. 푸시부재
420. 동작부

Claims (20)

  1. 저장실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가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설정된 가압력 또는, 가압 거리만큼 가압되는 것을 감지하여 도어의 개방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개방요청 감지부;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요청이 확인될 경우 상기 도어를 캐비닛으로부터 이격시켜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부는
    상기 캐비닛과 도어 간의 대향면 중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대향면 중 다른 한 면을 향해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부재와,
    상기 푸시부재를 동작시키는 동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상기 캐비닛과의 대향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장착홈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어느 한 둘레면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장착홈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도어의 가압시 캐비닛과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 경로에 설치되는 센서 혹은,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캐비닛과의 대향면에 접촉되면서 가압되는 가압단과,
    상기 가압단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상기 감지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 혹은, 가압하는 접촉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은 상기 캐비닛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은 상기 가압단으로부터 가압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조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와 감지부재 간의 대향면 사이에는 상기 가압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캐비닛과의 대향면에 밀착되면서 냉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켓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캐비닛을 향한 돌출 거리가 가스켓부재보다 짧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재가 수용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도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상기 캐비닛과의 대향면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착홈이 수용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는 장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착홈이 수용되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 부위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저장실을 제공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 요청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부위에 제공되는 개방요청 감지부;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에 의해 도어의 개방 요청이 확인될 경우 상기 도어를 캐비닛으로부터 이격시켜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 부위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요청 감지부는 상기 도어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220026210A 2022-02-28 2022-02-28 냉장고 KR2023012882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10A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2-02-28 냉장고
PCT/KR2022/018554 WO2023163330A1 (ko) 2022-02-28 2022-11-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210A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2-02-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8827A true KR20230128827A (ko) 2023-09-05

Family

ID=8776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210A KR20230128827A (ko) 2022-02-28 2022-02-28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28827A (ko)
WO (1) WO202316333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856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노비타 쾌변을 위한 유도세정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제어방법
KR20110009348A (ko)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방 장치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20200045798A (ko) 2018-10-23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3038A (ja) *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扉開閉装置における操作検知装置および冷蔵庫
DE102014107367B4 (de) * 2014-05-26 2022-10-06 Miele & Cie. Kg Kühlgerät
DE102014107366A1 (de) * 2014-05-26 2015-11-26 Miele & Cie. Kg Kühlgerät
KR102448499B1 (ko) * 2017-06-02 2022-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KR102442380B1 (ko) * 2017-11-08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1856A (ko) 2005-07-21 2007-01-25 주식회사 노비타 쾌변을 위한 유도세정기능을 갖는 온수세정기와 그제어방법
KR20110009348A (ko)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 개방 장치
KR20110040030A (ko) 2009-10-13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20200045798A (ko) 2018-10-23 2020-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3330A1 (ko) 2023-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62B2 (en) Refrigerator
KR102448499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의 제어방법
EP2299214B1 (en) Refrigerator
KR102206179B1 (ko) 냉장고
KR102228916B1 (ko) 냉장고
TWI682137B (zh) 電冰箱
KR10253091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630165B1 (ko) 자동으로 도어 오픈이 가능한 냉장고
KR10240303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3069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42576B1 (ko) 냉장고
US20230095878A1 (en) Refrigerator
KR20230128827A (ko) 냉장고
CN113661301B (zh) 用于冷却装置的打开装置
KR102442380B1 (ko) 냉장고
KR102377618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77985B1 (ko) 냉장고
KR101745124B1 (ko) 냉장고
EP4134607A1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ion device
KR20240010141A (ko) 도어 개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70114425A (ko) 냉장고
JP4589949B2 (ja) 冷蔵庫
JP2005069577A (ja) 冷蔵庫
JP2005201572A (ja) 冷蔵庫
JP2003014371A (ja) 冷蔵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