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124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124B1
KR101745124B1 KR1020150116622A KR20150116622A KR101745124B1 KR 101745124 B1 KR101745124 B1 KR 101745124B1 KR 1020150116622 A KR1020150116622 A KR 1020150116622A KR 20150116622 A KR20150116622 A KR 20150116622A KR 101745124 B1 KR101745124 B1 KR 10174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 rod
refrigerator
motor
refrigerato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087A (ko
Inventor
장진호
박형규
김동정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124B1/ko
Priority to EP18211552.7A priority patent/EP3489599B1/en
Priority to CN201911059915.9A priority patent/CN110887320B/zh
Priority to PCT/KR2016/008418 priority patent/WO2017018865A1/ko
Priority to EP16801365.4A priority patent/EP3165857B1/en
Priority to US15/531,009 priority patent/US10054362B2/en
Priority to CN201680001912.8A priority patent/CN107076503B/zh
Publication of KR2017002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0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hich can be made ineffective when desired
    • F16H21/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which can be made ineffective when desired by pushing a reciprocating rod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8Cool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Y02B40/3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으는 제1냉장고 도어; 상기 제1냉장고 도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냉장고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기 위하여 작동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일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타 냉장고 도어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030호(공개일 2011.04.20)에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이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경우,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 냉장고 도어에는 도어 핸들이 구비되고 도어 핸들에 조작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가 도어를 밀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그런데, 선행문헌의 경우 도어 개방 장치에서 일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 개방된 냉장고 도어의 배면이 닫힌 냉장고 도어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되므로, 두 냉장고 도어 사이의 갭이 충분치 않아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물건을 들고 있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 양손 외의 발이나 팔꿈치 등으로 개방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문헌의 경우, 일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어도 사용자가 들고 있던 음식물이나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겨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식물이나 물건을 들어 있어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도 개방된 냉장고 도어의 개방 각도를 쉽게 증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으는 제1냉장고 도어; 상기 제1냉장고 도와 함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냉장고 도어; 및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하나 이상을 개폐하기 위하여 작동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일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냉장고 도어 중 타 냉장고 도어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는, 기어와 맞물릴 수 있으며 곡선 형태를 가지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는,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호 형태의 랙기어의 중심은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의 중심일 수 있다.
상기 일 냉장고 도어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간의 간격을 이등분하는 가상선과 상기 제1측면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힌지 축과 상기 푸시 로드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가상선과 상기 힌지 축 사이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서 돌출되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는 증가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의 일정 영역에 면 접촉하되, 상기 캐비닛의 상기 일정 영역에 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캐비닛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푸시 로드는 호 형태로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호 형태의 랙 기어의 중심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의 중심이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일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일 냉장고 도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가 닫혀 있는 타 냉장고 도어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일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배면과 상기 타 냉장고 도어의 전면 사이에 갭이 형성될 수 있어, 사람이 음식물이나 물건을 들고 있어도 팔꿈치 또는 발 등을 이용하여 개방된 상기 일 냉장고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푸시 로드가 곡선 형태의 랙기어를 구비하고, 냉장고 도어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과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서, 푸시 로드의 길이가 줄어들면서도 냉장고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제1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어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푸시 로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푸시 로드가 제1냉장실 도어의 프레임에서 돌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제1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11)과 냉동실(1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1)은 냉장실 도어(1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12)은 냉동실 도어(1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실(1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3)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 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14, 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도어(14, 15)는 제1냉장실 도어(14)와 제2냉장실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12)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6)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16)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17, 18)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16)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냉동실을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인 경우에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장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12) 중 제1냉장실 도어(14)를 도어 개방장치(25)가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1냉장실 도어(14) 외에 다른 도어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조 및 방식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개방이 필요한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냉장실 도어 각각의 개방을 위하여 다수의 냉장실 도어 각각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냉장실 도어가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도어 중 하나 또는 전부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동실 도어(16)를 개방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16)에 도어 개방장치(25)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가 개시되나, 도어 개방을 위한 사상은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 하나의 저장실과 하나의 도어 만을 구비하는 냉장고 등 종류에 제한없이 다양한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는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서 캐비닛(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32)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32)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 및/또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상측부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frame: 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1)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서 단열재(미도시)가 수용되는 공간과 도어 개방장치(2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프레임(141) 내에 수용되는 하우징(housing: 250)과, 상기 하우징(250)에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61)와, 상기 모터(26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27)와, 상기 푸시 로드(27)로 상기 모터(26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5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1하우징(251)과, 상기 제1하우징(251)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2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251)에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254)가 결합되는 결합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54)는 홀(255)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41)에는 상기 완충부(254)의 홀(255)에 삽입될 수 있는 설치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54)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25)가 상기 프레임(141)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모터(261)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동력전달기구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흡수되어 소음이 줄어들 수 있고, 상기 모터 및 동력전달기구의 진동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하나 이상의 기어(262, 263, 264, 265, 26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모터(261)의 동력을 상기 푸시 로드(27)로 전달할 수 있는 한 기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4에는 일 예로 동력전달기구가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모터(261)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정방향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모터(261)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인입될 수 있다.
이때, 도어의 개방 과정 또는 도어 개방 완료 후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상기 푸시 로드(27)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각각이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각각은 평기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및 푸시 로드(27)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다수의 기어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직경이 다른 두 기어 바디를 구비하는 다단 평기어일 수 있다.
도 5는 도어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푸시 로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푸시 로드가 제1냉장실 도어의 프레임에서 돌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 로드(27)의 길이는 제한적이나, 상기 푸시 로드(27)에 의해서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가 확보되기 위하여, 상기 푸시 로드(27)는 곡선 형태의 랙기어(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272)는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중 마지막 번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랙기어(272)가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요구되는 각도 만큼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를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배치하여도 상기 푸시 로드(27)에 의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직선 형태의 래기어에 비하여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랙기어(272)가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중 마지막 번째 기어의 회전 시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마지막 번째 기어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모터(261)의 작동 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함께 상기 힌지 축(32)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에 대해서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대해서 상대 곡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272)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랙기어(272)는 상기 힌지 축(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제1냉동실 도어(14)에 대해서 상대 곡선 운동할 때,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곡선 형태의 상기 랙기어(272)의 중심은 상기 힌지 축(32)과 일치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50)과 상기 푸시 로드(27) 중 어느 하나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57)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리브(257)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73, 27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257)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73, 274)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257)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73, 274)이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에는 일 예로 상기 하우징(250)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257)가 구비되고, 상기 푸시 로드(27)에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73, 274)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푸시 로드(27)의 제1면(도면을 기준으로 상면) 및 제1면과 마주보는 제2면(도면을 기준으로 하면)에 각각 가이드 홈(273, 274)이 구비되고, 상기 제1하우징(251) 및 상기 제2하우징(252) 각각에 가이드 돌기(2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73, 274)은 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홈(273, 274)은 상기 힌지 축(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273, 274)의 호의 중심은 상기 힌지 축(32)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힌지 축(3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힌지 축(32)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록, 상기 도어 개방장치(25)가 간단해지고 컴팩트해지며 상기 푸시 로드(27)의 길이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힌지 축(32)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는, 제1측면(14a)과 상기 제1측면(14a)과 마주보는 제2측면(1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축(32)은 제1측면(14a)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측면(14a)과 제2측면(14b) 사이 간격을 이등분 하는 가상선(L)을 기준으로 상기 힌지 축(32)은 상기 가상선(L)과 상기 제1측면(14a)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모터(261)와 상기 힌지 축(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가상선(L)과 상기 제1측면(14a)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가상선(L)과 상기 힌지 축(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힌지 축(32)과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서, 짧은 길이의 푸시 로드(27)를 이용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는, 제1위치 센서(281) 및 제2위치 센서(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일 예로 상기 하우징(250)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에는 자석(2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상기 자석(275)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자석(275)을 감지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자석(275)과 마주볼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 센서(282)가 상기 자석(275)을 감지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센서(282)가 상기 자석(275)과 마주볼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도어 개방 위치(또는 최종 위치)라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각 위치 센서(281. 282)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은, 상기 도어가 개폐하는 저장실이 상기 냉장고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에는 홈 또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위치 센서(281, 282)는 홈 또는 돌출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힌지 어셈블리의 전면일 수 있음)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단부(2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단부(277)는 상기 푸시 로드(27)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설치되는 프레임(141)에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4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대해서 상대 곡선 운동하므로,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프레임(141)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143)의 면적은 상기 푸시 로드(27)의 수직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냉장실(11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27)는 초기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위치에서는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을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277)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접촉한 상태이거나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도어 개방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한다.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대해서 곡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27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이격된 상태라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을 향하여 이동한 후에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접촉하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되는 방향(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임)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27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접촉한 상태라면, 상기 푸시 로드(27)의 곡선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바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곡선 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이 미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의 곡선 운동 과정에서 상기 제2위치 센서(282)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261)를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와 같이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곡선 운동하면서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을 향하여 이동하려고 한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접촉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을 밀고,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을 미는 힘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회전력이 작용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힌지 축(32)을 중심으로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냉장실 도어(14)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 로드(27)의 이동 거리가 증가될 수록, 도 7의 (b) 및 (c)와 같이, 상기 제1냉동실 도어(14)의 개방 각도가 증가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이동 거리는 실제로 상기 푸시 로드(27)가 제1냉동실 도어(14)에서 돌출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돌출 길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7의 (d)와 같이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261)는 정지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랙기어(272)가 곡선 형태로 형성되고, 곡선의 중심이 힌지 축이 됨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27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의 일 부분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돌출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는 증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의 일 부분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됨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슬립에 의한 상기 캐비닛(11)의 손상 또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푸시 로드(27)가 직선 형태의 랙기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시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의 일 지점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슬립 현상이 발생할 것임은 용이하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27)의 랙기어(272)가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277)와 상기 랙기어(272)에서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중 마지막 번째의 기어와 맞물린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수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최초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에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아 상기 푸시 로드(27) 및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푸시 로드(27)가 직선 형태의 랙기어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푸시 로드(27)의 접촉단부와 상기 랙기어에서 다수의 기어 중 마지막 번째의 기어와 맞물린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상기 캐비닛(11)의 전면과 90도 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27)에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상기 푸시 로드(27) 및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상기 푸시 로드(27)의 랙기어(272)가 곡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랙기어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도어의 개방 각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일정 각도 만큼 도어를 개방하고자 할 때, 푸시 로드가 곡선 형태의 랙기어를 구비하는 경우의 푸시 로드의 길이는 푸시 로드가 직선 형태의 랙기어를 구비하는 경우의 푸시 로드의 길이 보다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 개방장치가 컴팩트해질 수 있으며, 도어 개방장치가 컴팩트해지면, 도어의 두께가 얇아지는 경우에도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하여 도어 개방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의 (d)와 같이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배면(14c)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냉장실 도어(15)의 전면(15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배면(14c)에서 상기 제2냉장실 도어(14)와 가까운 측의 모서리(14d)와, 상기 제2냉장실 도어(15)의 전면(15a)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가까운 측의 모서리(15b) 간 사이에 일정 거리의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G)은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 사용자의 팔꿈치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갭(G)은 40mm 이상일 수 있다. 즉, 개방된 상기 제1냉장실 도어의 배면과 닫혀있는 제2냉장실 도어의 전면과의 최소 수평 거리는 40mm일 수 있다.
상기 갭(G)이 40mm 이상이 되기 위하여,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된 위치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는 19도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곡선 형태의 랙기어(272)를 포함하고, 힌지축(32)에 인접하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푸시 로드(27)의 돌출 길이가 줄어들면서도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된 위치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 각도(θ) 만큼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갭(G)으로 사용자가 팔꿈치 또는 발을 삽입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를 수동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갭(G)은 사용자가 팔꿈치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111)이 상기 사용자의 주변에 존재하는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6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갭(G)이 60mm 이하가 되기 위하여,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된 위치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는 22도 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시간이 일정 시간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26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26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는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모터(261)를 정지시킬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개방장치가 냉장고 도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어 개방장치가 캐비닛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푸시 로드는 힌지 축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 개방장치의 완충부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설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좌측의 냉동실 도어와 우측의 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될 때 개방된 도어의 배면과 닫혀있는 도어의 전면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도어 개방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냉장고 11: 캐비닛
12: 냉장고 도어 25: 도어 개방장치
261: 모터 27: 푸시 로드

Claims (6)

  1.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는 냉장고 도어;
    상기 냉장고 도어의 상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작동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모터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는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장고 도어에서 돌출되는 상기 푸시 로드의 길이는 증가되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의 일정 영역에 면 접촉하되, 상기 캐비닛의 상기 일정 영역에 면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냉장고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캐비닛의 접촉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푸시 로드는 호 형태로 형성되는 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호 형태의 랙 기어의 중심은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축의 중심인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도어는, 제1측면과, 상기 제1측면과 마주보는 제2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간의 간격을 이등분하는 가상선과 상기 제1측면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냉장고 도어의 힌지 축과 상기 푸시 로드가 위치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로드는 상기 가상선과 상기 힌지 축 사이 영역에 위치되는 냉장고.
KR1020150116622A 2015-07-30 2015-08-19 냉장고 KR10174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22A KR101745124B1 (ko) 2015-08-19 2015-08-19 냉장고
EP18211552.7A EP3489599B1 (en) 2015-07-30 2016-07-29 Refrigerator
CN201911059915.9A CN110887320B (zh) 2015-07-30 2016-07-29 冰箱
PCT/KR2016/008418 WO2017018865A1 (ko) 2015-07-30 2016-07-29 냉장고
EP16801365.4A EP3165857B1 (en) 2015-07-30 2016-07-29 Refrigerator
US15/531,009 US10054362B2 (en) 2015-07-30 2016-07-29 Refrigerator
CN201680001912.8A CN107076503B (zh) 2015-07-30 2016-07-29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622A KR101745124B1 (ko) 2015-08-19 2015-08-1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87A KR20170022087A (ko) 2017-03-02
KR101745124B1 true KR101745124B1 (ko) 2017-06-08

Family

ID=5842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622A KR101745124B1 (ko) 2015-07-30 2015-08-1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1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0556A1 (de) 2017-12-01 2019-06-06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63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Corp 貯蔵庫の扉開放装置
JP2015055437A (ja) * 2013-09-13 2015-03-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開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863A (ja) * 1999-08-19 2001-02-27 Toshiba Corp 貯蔵庫の扉開放装置
JP2015055437A (ja) * 2013-09-13 2015-03-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開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20556A1 (de) 2017-12-01 2019-06-06 Lg Electronics Inc. Kühlschrank
US11255118B2 (en) 2017-12-01 2022-02-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866980B2 (en) 2017-12-01 2024-01-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087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2137B (zh) 電冰箱
CN110887320B (zh) 冰箱
KR101618129B1 (ko) 냉장고
KR102368377B1 (ko) 냉장고
KR101618552B1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189292B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639435B1 (ko) 냉장고
KR102616258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58668B1 (ko)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101972785B1 (ko) 냉장고
KR102403037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30693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45124B1 (ko) 냉장고
KR102377618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