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43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438B1
KR101644438B1 KR1020140162783A KR20140162783A KR101644438B1 KR 101644438 B1 KR101644438 B1 KR 101644438B1 KR 1020140162783 A KR1020140162783 A KR 1020140162783A KR 20140162783 A KR20140162783 A KR 20140162783A KR 101644438 B1 KR101644438 B1 KR 10164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llar
magnetic force
driving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444A (ko
Inventor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438B1/ko
Priority to US14/944,348 priority patent/US9581381B2/en
Publication of KR2016006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며, 상기 제1도어에 접촉하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가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스위치;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스위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상기 필라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회전된다고 감지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저장실(냉동실 또는 냉장실)을 냉각시켜 음식물을 일정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치이다.
냉장고에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가 포함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냉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공급된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상측에 있고 냉장실이 하측에 있는 구조이며,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이웃하게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냉장고는 냉장고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된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개방할 수 있는 형태의 냉장고이다.
두 개의 양문형 도어가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 두 개의 도어 중에 하나에는 필라(Pillar)가 설치된다. 필라는 두 개의 도어 중에 어느 하나에만 구비되고, 두 개의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면 두 개의 도어에 접촉해서 저장실의 밀폐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이러한 필라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냉장고의 인너 케이스에 필라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와 가이드 홈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 기술에 의하면 필라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조가 인너 케이스의 상측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저장실을 사용할 때에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라가 구비된 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해당 도어를 벗어나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냉장고에 설치된 드로워가 이동되는 경로를 방해되어서, 두 개의 드로워가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드로워의 폭이 달라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라가 펼쳐진 상태이기 때문에, 도어에 설치된 바스켓이 도어와 함께 회전될 때에 필라에 접촉하지 않도록 바스켓의 모서리부가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해야하기 때문에,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저장실을 두 개의 양문형 도어로 개방하는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개선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며, 상기 제1도어에 접촉하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가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스위치;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스위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상기 필라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상태가 변화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필라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필라는 펼쳐지도록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필라는 상기 제2도어에 대해서 접혀지도록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에는 상기 구동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제1필라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상기 제2도어를 향해서 접히고,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정회전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최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자력부의 전후 방향 중심은 상기 제1필라 자력부의 전후 방향 중심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자력부가 전방을 향해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 자력부가 후방을 향해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도어에는 도어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필라에는 상기 도어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제2필라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라가 상기 제2도어를 향해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자력부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서 상기 필라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폭이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의 폭과 상기 제2도어의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스위치와 상기 제2도어 스위치는 각각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회전되는 회전축의 반대편 도어의 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며, 상기 제1도어에 접촉하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가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스위치;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스위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상기 필라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상태가 변화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너 케이스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가 설치된 부분은 상기 상측 벽의 다른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저장실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저장실의 용량이 커질 수 있고, 돌출된 형상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 측에 설치된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드로워가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드로워의 폭이 동일해질 수 있다.
또한 필라가 구비된 도어만 저장실을 밀폐하고 반대편 도어는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필라는 펼쳐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반대편 도어를 회전시킬 때에 바스켓이 필라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바스켓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될 있고, 바스켓의 저장 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가 설치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제어 블록도를 설명한 도면.
도 5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1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2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7은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어느 하나가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회전된 후에 필라가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념도.
도 9는 구동 어셈블리를 설명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위치를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을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2)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실(2)은 상기 캐비닛(1)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너 케이스(10)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는 상기 저장실(2)의 내측면을 마감하도록 상측벽(12)과 하측벽(1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전면에는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20)와, 상기 캐비닛(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2)의 타측을 개폐하는 제2도어(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의 전면을 폐쇄하면 상기 저장실(2)이 전체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는 상기 제1도어(20)에 접촉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도어(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라(1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측벽(12)과 하측벽(14)의 사이의 간격보다는 짧은 길이를 가진다. 즉 상기 제2도어(40)가 회전되면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더라도 상기 필라(100)는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 모두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구조적인 형상, 즉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는 상기 필라(1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측벽(12)과 하측벽(14)은 각각 전체적으로 하나의 평면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도어(20)는 상기 제1도어(2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40)도 상기 제2도어(4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다이크(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다이크(42, 22)에는 각각 바스켓(44, 24)이 설치되고, 각각의 바스켓(44, 24)에는 다양한 형태의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필라(100)가 설치되지 않은 제1도어(20)에 마련된 바스켓(24)는 상기 제1도어(20)가 회전될 때에 상기 바스켓(24)이 상기 필라(100)에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바스켓(24)의 모서리가 각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둥글게 만곡된 형태의 바스켓(24)에 비해서 상기 바스켓(24)에 저장될 수 있는 식품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에는 상기 제1도어(20)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도어(40)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상기 저장실(2) 내에서 동일한 높이 상에,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하다.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폭이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는 동일한 저장용량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가 서로 치환되어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 제1드로워(34)와 상기 제2드로워(32)의 폭이 달라, 두 개의 드로워가 형상이 다르다면 다른게 제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두 개의 드로워가 동일한 형태라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드로워(34)를 인출할 때에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1드로워(34)를 인출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추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생산 과정을 일부 공유해서, 도어를 생산하는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해당 이유에 대해서도 다른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의 내측에는 특정 조건에서 상기 필라(1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 어셈블리(11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라(100)를 가이드 돌기와 같은 물리적인 구성요소가 아니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상측벽(12)에 매립되고,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벽(12)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부분과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되지 않은 인접한 부위의 높이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부분은 인접한 다른 부분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기 때문에, 상기 인너 케이스(10)만을 보았을 때에 사용자가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부분이 돌출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사용자 불편이나, 저장 용량 감소와 같은 문제들은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스위치(16)와,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스위치(18)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와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는 각각의 도어에 눌렸는지 여부에 따라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가 상기 제1도어(20)에 의해서 눌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가 상기 제2도어(40)에 의해서 눌리는 경우에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가 설치된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후방에는 개스킷(21, 4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개스킷(21, 41)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저장실(2)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에 접촉하면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21, 41)의 후방에는 각각의 도어의 후방측 외관을 형성하면서, 바스켓(24, 44)이 각각 설치될 수 있는 도어 다이크(22, 4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40)에는 도어 자력부(1200)가 구비되고, 상기 필라(100)에는 상기 도어 자력부(1200)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제2필라 자력부(1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자력부(1200)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1102)는 자석 간의 인력에 의해서 서로 간의 자력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라(100)의 상측에는 제1필라 자력부(1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는 상기 필라(100)의 상측면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지는 않더라도, 상측에 배치되는 다른 자석에 의해서 쉽게 자력 간섭이 발생될 수 있도록 최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자력부는 N극과 S극을 가지는 자석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자력부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면서, 단면은 일측이 다른 측보다 긴 형태의 사각형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즉 자력 간섭이 발생되도록 서로 마주보는 면이 다른 면에 비해서 넓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은 다른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의 내측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필라(100)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캐비닛(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자력부(1144),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142)와, 상기 모터(1142)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1144)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부(1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142)는 정회전과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특정한 신호가 전달되면 일정한 회전수 만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어부(1146)는 상기 모터(1142)에서 발생된 회전 이동을 직선 이동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1146)는 렉과 피니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기어가 조합되어서 회전력이 상기 구동 자력부(1144)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외부에서 특정한 신호가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로 전달되면, 상기 모터(11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서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위치 또는 동작에 따라 상기 필라(100)가 접히는 방향이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상측벽(12)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도록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상기 필라(100)의 회전을 물리적으로 구속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인너 케이스(10)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부분은 상기 상측벽(12)의 다른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와 상기 필라(100)의 자력 간의 간섭으로 인해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필라(100)의 회전이 물리적으로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필라(100)가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상측벽(12)과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하측벽(14)에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는 상측벽(12)과 하측벽(14)에 대해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제어 블록도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는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제어부(1000)에 관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폐하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제어부(1000)에 관련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와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는 각각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해당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114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114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상기 캐비닛(1)에 대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1142)는 소정 횟수의 회전을 완료한 뒤에는 회전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모터(1142)가 정해진 횟수 만큼 회전을 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 자력부(1144)는 정해진 위치 만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 중 어느 하나에서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상태가 변화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5는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1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a에서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한 상태이고, 5b와 도 5c를 거쳐서 상기 제2도어(40)는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가 회전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20a는 상기 제1도어(20)의 힌지축으로 상기 제1도어(20)의 회전중심이고, 도면부호 40a는 상기 제2도어(40)의 힌지축으로 상기 제2도어(40)의 회전중심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는 그대로 둔 채로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는 상기 제2도어(40)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에서 발생된 신호는 상기 제어부(100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000)에서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에서 상기 모터(1142)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터(1142)는 회전축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시켜서, 상기 기어부(1146)를 동작시키고 상기 구동 자력부(1144)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 즉 상기 캐비닛(1)의 후방을 향해서 이동된다.
즉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후방을 향해서 이동되면, 상기 필라(1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2도어(40)를 향해서 접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구동 자력부(1144)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 사이에 자력에 의해서 상기 필라(100)가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 자력부(1144)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는 인력에 의해서 서로 잡아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에서는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상기 캐비닛(1)의 최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즉 상기 구동 자력부는 도 5에서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되는 전후 방향의 궤적은 도 5에 도시된 범위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상기 캐비닛(1)의 최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전후 방향 중심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전후 방향 중심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전후 방향의 중심과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전후 방향의 중심의 사이에는 간격(gap)이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중심이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중심보다 전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1도어(20) 및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접촉력이 커질 수 있다.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와 밀착되어 접촉되어야, 상기 제1도어(20) 및 상기 제2도어(40)를 통해서 배출되는 냉기를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 자력부(1144)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를 계속해서 당기고 있기 때문에,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100)는 더 펼쳐지려고 해서, 상기 필라(100)가 각각의 도어의 개스킷에 밀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자력부(1144)는 전후 방향의 직선 운동을 하는 반면에,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2도어(40)에 가까운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와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필라(100)를 쉽게 회전시키려면, 상기 필라(100)에 상대적으로 큰 회전력을 제공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와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자력의 크기도 중요한 인자이지만, 상기 필라(100)가 회전되는 회전력의 암(arm)에 해당하는 부분도 중요한 인자로 고려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1144)는 상기 필라(100)가 회전되는 회전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한다.
한편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어(20)가 완전히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의 일부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자력부(1200)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1102)의 사이에 인력이 작용해서,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2필라 자력부(1102)와 상기 도어 자력부(1200)가 서로 당기기 때문에, 상기 구동 자력부(1144)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자력간섭에도 불구하고,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c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의 일부를 밀폐하고 있더라도, 상기 필라(100)가 접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도어(20)의 바스켓이 상기 필라(1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0)의 바스켓의 모서리 부분이 상기 필라(100)가 접히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각지게 형성될 수 있어서, 사용자에게 바스켓에 대한 실질적은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c의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 측에 배치되는 드로워를 인출할 때에 상기 필라(100)에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도어(40)을 향해서 접혀지게 되고, 상기 저장실(2)은 상기 필라(100)에 의해서 가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도어(20) 측에 위치하는 드로워의 폭을 넓힐 수 있고, 결론적으로 상기 제1도어(20) 측에 위치하는 드로워와 상기 제2도어(40) 측에 위치하는 드로워의 폭을 동일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6은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제2도어가 회전되어 저장실을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함께 밀폐한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100)는 펼쳐져 있다. 이때 도 6b에서와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에서 상기 제1도어(20)가 회전되어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하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1142)를 회전시켜서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동한다.
그러면 상기 구동 자력부(1144)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사이에 자력 간섭에 의해서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도어(40)를 향해서 접혀지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1도어(20)에 걸릴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도어(40)가 개방되는 동안에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2도어(40)를 향해서 접히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필라(100)와 상기 제1도어(20)가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 중에 어느 하나에서라도 각각의 도어가 개방된다고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 자력부(1144)를 상기 캐비닛(1)의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어느 하나의 도어라도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2도어(40)를 향해서 접혀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7은 제1도어와 제2도어 중 어느 하나가 저장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회전된 후에 필라가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고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2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20)가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고 상기 제2도어(40)가 상기 저장실(2)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40)를 회전시켜서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 사용자는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회전시키고, 밀폐하는 도어는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모두 상기 저장실(2)을 밀폐하도록 도어가 회전되면 상기 제1도어 스위치(16)와 상기 제2도어 스위치(18)에서 모두 도어가 닫혀 있다는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에서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모두 닫혔다고 판단하면, 상기 모터(1142)를 구동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1144)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1142)는 상술한 것과는 달리 역회전 또는 정회전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동 자력부(1144)를 직선 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구동 자력부(1144)는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구동을 시작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가 닫혔다는 신호가 발생되면,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1142)가 구동되고, 도 7b, 도 7c와 같은 순서대로 상기 필라(10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자력부(1144)가 상기 캐비닛(1)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1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필라(100)는 상기 제2도어(40)에 대해서 펼쳐지게 된다. 즉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의 개스킷에 각각 접촉해서 상기 저장실(2)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와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자력 간섭에 의해서 상기 필라(100)는 각각의 도어의 개스킷에 밀착될 수 있고 충분한 밀폐력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 자력부(1144)의 전후 방향의 중심은 상기 제1필라 자력부(1110)의 전후 방향의 중심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서, 상기 필라(100)가 상기 제1도어(20)와 상기 제2도어(40) 측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100)와 상기 제1도어(20), 상기 제2도어(40)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2)이 밀폐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념도이다.
도 8a는 냉장고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8b는 냉장고의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캐비닛(1)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1)과 상기 저장실(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의 사이에 매립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를 눈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또한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위치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인접한 부위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가 설치된 위치가 파악되기 힘들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의 설치로 인해서 상기 저장실(2)을 사용할 때에 방해받지 않게 된다.
도 9는 구동 어셈블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9a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에서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b는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을 내부가 도시된 상태에서 위에서 내려다본 도면이다.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의 모터(1142)는 24V의 전압에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1142)는 출력 토크가 3Kgf이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질 때에 동작시간은 0.3sec 정도인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모터(1142)가 구동되는 0.3sec에서 상기 필라(100)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는 동작이 완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0.3 sec내에 상기 필라(100)가 회전되어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면, 사용자가 도어를 동작시킬 때에 상기 필라(100)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1142)의 회전은 상기 기어부(1146)에 의해서 직선운동으로 전환된다.
상기 기어부(1146)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모터(1142)의 회전축에는 웜기어(1147)이 설치된다. 상기 웜기어(1147)를 사용해서, 상기 모터(1142)의 회전축은 상기 자력 구동부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모터(1142)는 모터(1142)의 회전축에서 몸체까지의 높이가 모터(1142) 자체의 폭이나 전후 방향 길이에 비해서 길어질 수밖에 없다.
상기 모터(1142)가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사이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면 인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는 두께가 감소할 수밖에 없어서,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웜기어(1147)를 사용해서 단열 두께의 감소 폭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웜기어(1147)는 제1기어부(1148)에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기어부(1148)은 상기 웜기어(1147)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웜휠기어(1148a)와 상기 웜휠기어(1148a)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종동기어(1148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웜휠기어(1148a)와 상기 제1종동기어(1148b)는 높이를 달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웜휠기어(1148a)는 상기 윔기어(1147)에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서, 상기 모터(1142)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의 회전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종동기어(1148b)는 상기 제2기어부(1149)에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기어부(1149)는 상기 제1종동기어(1148b)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기어(1149a)와 상기 기어(1149a)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2종동기어(1149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종동기어(1149b)는 피니언 기어(114b)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기어부(1149)는 상기 제1기어부(1148)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종동기어(1148b)와 상기 기어(1149a)는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어서, 상기 제1기어부(1148)의 회전력이 상기 제2기어부(1149)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종동기어(1148b)의 반지름은 상기 기어(1149a)의 반지름보다 작아서, 상기 제1종동기어(1148b)와 상기 기어(1149a)가 맞물려서 회전될 때에 상기 기어(1149a)의 각속도가 상기 제1종동기어(1148b)의 각속도보다 작아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부(1148)에서 상기 제2기어부(1149)로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토크가 커질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1149)에서 상기 기어(1149)보다 상기 피니언 기어(1149b)의 반지름이 작아지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 기어(1149b)에서 전달되는 토크는 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니언 기어(1149b)에는 랙 기어(1150)가 맞물려서 상기 모터(1142)의 회전력은 직선 방향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터(114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상기 피니언 기어(1149b)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랙 기어(1150)도 상기 피니언 기어(1149b)에 맞물려서 전진 또는 후진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1142)의 회전은 최종적으로 상기 기어부(1146)에 전달되는데, 상기 기어부(1146)는 전체적으로 50mm 정도의 스트로크를 가지고,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수치 정도의 스트로크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필라가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위치의 위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상기 도어 스위치(16, 18)는 상기 인너 케이스(10)의 중앙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16, 18)는 각각의 도어(20, 40)의 회전축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도어(20, 40)가 회전될 때에 도어의 회전축보다는 도어의 회전축의 반대편 위치에서 도어(20, 40)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 빠르다. 왜냐하면, 도어(20, 40)는 회전축에서 멀어질수록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더라도 회전거리가 크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 스위치(16, 18)가 상기 도어(20, 40)에 의해서 눌리는지 여부에 의해서 상기 도어(20, 40)의 개폐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스위치(16, 18)이 상기 도어(20, 40)의 회전축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20, 40)이 작은 각도 만큼 회전되더라도, 상기 도어 스위치(16, 18)이 눌리거나 눌리지 않도록 상태가 쉽게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도어 스위치(16, 18)에서는 도어의 개폐를 빠르게 감지해서, 상기 모터(1142)를 빠르게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할 때에 상기 필라를 적합하게 회전시켜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폐할 때에 사용자의 동작에 방해를 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를 밀폐할 때에 상기 저장실(2)이 필라와 도어에 의해서 빠르게 밀폐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도어 스위치(16, 18)는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모터(1142)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상기 도어(20, 40)의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해서 상기 모터(1142)의 반응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스위치(16, 18)은 상기 도어(20, 40)에 각각 맞닿도록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 어셈블리(1140)에는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인너 케이스 16: 제1도어 스위치
18: 제2도어 스위치 20: 제1도어
32: 제2드로워 34: 제1드로워
40: 제2도어
100: 필라 1000: 제어부
1110: 제1필라 자력부 1102: 제2필라 자력부
1140: 구동 어셈블리 1144: 구동 자력부
1200: 도어 자력부

Claims (18)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일측을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캐비닛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의 타측을 개폐하며, 상기 제1도어에 접촉하능하도록 회전되는 필라가 구비되는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1도어 스위치;
    상기 제2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제2도어 스위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상기 필라를 자력에 의해서 회전시키는 구동 어셈블리; 및
    상기 제1도어 스위치 또는 상기 제2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 또는 밀폐하도록 상태가 변화했다고 감지하면, 상기 구동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필라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도록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의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필라는 펼쳐지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상기 필라는 상기 제2도어에 대해서 접혀지도록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자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에는 상기 구동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제1필라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상기 제2도어를 향해서 접히고,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는,
    정회전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구동 자력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자력부가 상기 캐비닛의 최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 자력부의 전후 방향 중심은 상기 제1필라 자력부의 전후 방향 중심보다 전방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자력부가 전방을 향해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 자력부가 후방을 향해서 이동되면 상기 필라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운동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1기어부와,
    상기 제1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제2기어부에 맞물려서 상기 제2기어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은 냉장고의 전후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에는 도어 자력부가 구비되고,
    상기 필라에는 상기 도어 자력부에 자력 간섭이 발생되는 제2필라 자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가 상기 제2도어를 향해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자력부와 상기 제2필라 자력부가 인력에 의해서 상기 필라가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도어 측에 배치되는 제2드로워를 포함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동일한 수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드로워와 상기 제2드로워는 각각 독립적으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의 폭과 상기 제2도어의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 스위치와 상기 제2도어 스위치는 각각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가 회전되는 회전축의 반대편 도어의 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에서 상기 구동 어셈블리가 설치된 부분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 벽의 다른 인접한 부분과 동일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162783A 2014-11-20 2014-11-20 냉장고 KR10164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83A KR101644438B1 (ko) 2014-11-20 2014-11-20 냉장고
US14/944,348 US9581381B2 (en) 2014-11-20 2015-11-1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783A KR101644438B1 (ko) 2014-11-20 2014-11-2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44A KR20160060444A (ko) 2016-05-30
KR101644438B1 true KR101644438B1 (ko) 2016-08-01

Family

ID=56009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783A KR101644438B1 (ko) 2014-11-20 2014-11-20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1381B2 (ko)
KR (1) KR101644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844B1 (ko) * 2015-02-23 202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119599A1 (ko) * 2016-01-04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83708B1 (ko) * 2016-01-04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091549B (zh) * 2016-05-27 2018-04-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开关门装置和冰箱
CN106225402B (zh) * 2016-08-30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对开门冰箱及其竖梁导向装置
CN106225401B (zh) * 2016-08-30 2019-05-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对开门冰箱及其竖梁导向装置
KR101897356B1 (ko) *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N106437391B (zh) * 2016-12-21 2018-03-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自动开关装置和制冷设备
KR102368377B1 (ko) 2017-03-29 2022-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7692587A (zh) * 2017-11-08 2018-02-16 繁昌县晶鑫贸易有限公司 一种医用多功能车
CN109043842A (zh) * 2018-07-24 2018-12-21 合肥爱玩动漫有限公司 一种用于漫展的智能咨询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28139A (en) * 1984-03-06 1987-10-13 John Polkinghorne Appliance control system
US4711098A (en) * 1985-10-11 1987-12-08 Sanyo Electric Co., Ltd. Refrigerator
USRE33960E (en) * 1989-01-18 1992-06-16 Neuman Industries, Inc. Refrigerator door ajar detection system
JPH0812032B2 (ja) * 1990-09-19 1996-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0126277Y1 (ko) * 1996-06-29 1998-11-02 배순훈 냉장고 고내등 스위치
US7008032B2 (en) * 2003-08-29 2006-03-07 Maytag Corporation Refrigerator incorporating french doors with rotating mullion bar
US8019476B2 (en) * 2003-09-08 2011-09-13 Sony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building
US7819488B2 (en) * 2006-10-09 2010-10-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open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099970B2 (en) * 2006-12-08 2012-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door ope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GB2446047A (en) * 2007-01-26 2008-07-30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Refrigerator gasket having tabs with magnetic elements
US20090273264A1 (en) * 2008-05-02 2009-11-05 James Christopher Butler Flapper mechanism for a refrigerator
JP2010118281A (ja) * 2008-11-14 2010-05-27 Kyoto Institute Of Technology スイッチのチャタリング抑制方法、開閉スイッチ、および冷蔵庫の扉開閉回数計
KR20100064022A (ko) * 2008-12-04 2010-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39435B1 (ko) * 2009-10-13 2016-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64911B1 (ko) * 2012-03-16 2015-11-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864251B2 (en) * 2012-07-31 2014-10-21 Whirlpool Corporation Hydrophilic structures for condensation management in refrigerator appliances
KR102059573B1 (ko) * 2013-01-30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890991B2 (en) * 2013-03-14 2018-02-13 Whirlpool Corporation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piezoelectric components
KR20140121187A (ko) * 2013-04-05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22186B1 (ko) * 2013-06-20 2015-05-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9234695B1 (en) * 2014-07-15 2016-01-1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eaf spring flipper mull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6530A1 (en) 2016-05-26
KR20160060444A (ko) 2016-05-30
US9581381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438B1 (ko) 냉장고
AU2017354657B2 (en) Refrigerator
KR101285257B1 (ko) 미닫이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721883B1 (ko) 냉장고
KR101949738B1 (ko) 냉장고용 레일 조립체 및 냉장고
KR101655801B1 (ko) 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101658668B1 (ko)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
KR102439470B1 (ko) 냉장고
KR20110040037A (ko) 냉장고
US10871321B2 (en) Refrigerator
JP6905379B2 (ja) 冷蔵庫
KR102548043B1 (ko) 냉장고
KR101161120B1 (ko) 냉장고용 식품 수납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727045B1 (ko) 냉장고
KR10165995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11585594B2 (en) Refrigerator
CN215216850U (zh) 对开门组件及制冷设备
KR20080014554A (ko) 냉장고의 슬라이드레일장치
EP4134607A1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ion device
KR101972547B1 (ko) 도어 자동열림장치가 장착된 양문형 냉장고
JP2006242495A (ja) 冷蔵庫等の扉開放装置
JP2009127980A (ja) 冷蔵庫
KR20220099418A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
KR20050078356A (ko) 냉장고
KR2011012290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