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596A - 거대 기중기 - Google Patents

거대 기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596A
KR20110010596A KR1020107021768A KR20107021768A KR20110010596A KR 20110010596 A KR20110010596 A KR 20110010596A KR 1020107021768 A KR1020107021768 A KR 1020107021768A KR 20107021768 A KR20107021768 A KR 20107021768A KR 20110010596 A KR20110010596 A KR 20110010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eams
trolley
legs
gi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블라디미르 네브시말-웨이덴호퍼
Original Assignee
타이유안 헤비 인더스트리 컴패니, 리미티드
블라디미르 네브시말-웨이덴호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유안 헤비 인더스트리 컴패니, 리미티드, 블라디미르 네브시말-웨이덴호퍼 filed Critical 타이유안 헤비 인더스트리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0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대 기중기(giant crane)(1)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들(tracks)(7)을 지지하는 두 개의 빔들(beams)(2); 상기 빔들(2)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3)(4); 및 상기 트랙들(7)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빔들(2) 위에서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하기 적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trolley)(5)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6)를 구비하고; 기중기(1)는 트랙(7)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따라 이동할 때 각각의 빔(2)의 높이(H)가 변화한다.

Description

거대 기중기{Giant Crane}
본 발명은 거대 기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ship)을 건조하는 동안 해양 조선소에서 사용되는 거대 기중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알려진 기중기들(200)은 2개의 다리들(203)(204)에 놓여진 2개의 연속적인 외부 영역 수평 빔들(201)로 구성된다. 하나는 메인 트롤리(205)이고 나머지 하나는 보조 트롤리(206)인 적어도 두 개의 트롤리들(trolleys)은 짐(load)을 나를 수 있는 윈치(winchs)와 후크(hooks)를 지지하고, 빔에 배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트롤리들은 그들이 서로 교차됨으로써, 일으켜 세워질 수 있도록 된 선체(hull) 영역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리들은 동일하지 않고, 하나의 다리(203)는 고정된 다리로서, 수평 빔에 고정되어 있는 반면 다른 다리(204)는 변형된 다리로서 조인트에 의해 빔에 연결된다. 다리들은 기중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면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들에서, 트롤리(205)(206)는 빔(201)의 상면에 배치된 트랙을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두 개의 트롤리들은 그렇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기중기는 상대적으로 엄청난 양의 바람(wind)에 노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거대 기중기(200)는 두 개의 트롤리(205)(206)가 지지되는 단일의 연속된 외부 영역 수평 빔을 구비하며, 트롤리들은 각각 빔(201)의 상면에 위치된 트랙 위 및 그 하면에 가깝게 위치된 후크 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현존하는 기중기에 있어서, 보조 트롤리(206)는 빔(201)의 하부에서 움직이는 한편 메인 트롤리(205)는 빔의 아래에서 이동한다. 빔의 아래에서 보조 트롤리에 의해 사용되는 경로는 승강 높이(hoisting height)를 감소시킨다.
거대 기중기는 때때로 서로 충돌할 수도 있는 다양한 요구 조건들을 만족해야만 한다.
첫째, 기중기는 충분한 승강 높이가 허용되어야 한다. 또한, 승강 높이가 높아질 수록 바람에 맞서기 위해 가해지는 기계 동력의 양이 증가된다.
또한, 기중기는 필요한 안전성 보장 및 용이한 유지 보수성을 저렴하게 구현해야 한다.
무거운 짐을 취급할 수 있는 한편 현저한 승강 높이를 제공할 수 있는 거대 기중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필요성에 대한 해답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중기는 그 측면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각각의 빔은 외부 영역을 가지며, 어느 하나가 트랙의 어떤 부분을 따라 이동할 때 그 높이가 변화되는 사실에 의해 특징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beams);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및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빔들은 중앙에서 가장 높은 점을 가지는 하나의 외부 영역을 가지는 한편 다리들 쪽으로 이동할수록 그 높이가 감소하는 외부 영역을 구비한다.
중앙부의 길이는 예를 들어, 빔들의 전체 길이보다 50%이상 더 길 수도 있다.
최대 높이 변화(H)는 예를 들어, 상기 빔의 전체 높이의 30%보다 더 클 수 있다.
각각의 빔은, 다른 빔과 면하는 표면에서, 상기 보조 트롤리를 위한 트랙들을 지지하는 내부 브래킷(bracket)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 때문에, 보조 트롤리는, 수평 빔들에 의해 완전하지 않다면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춰지고 따라서, 보조 트롤리의 공기역학적 프로파일은 상대적으로 작다.
각각의 빔은 그 외부 표면에서, 상기 메인 트롤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랙을 지지하는 외부 브래킷을 가질 수 있다. 메인 트롤리의 일 부분은 서로 면하는 빔의 두 개의 표면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빔들에 의해 감춰진 메인 트롤리의 부분은 그 어떤 바람의 저항을 일으키지 않는다.
빔들의 각각이 내부 브래킷과 외부 브래킷을 구비하는 경우, 현재 알려진 기중기들의 빔들의 정상에 놓여진 핸드레일(handrail)은 드래그(drag)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그러한 방법으로 브래킷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브래킷들은 빔들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트랙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빔의 전체 최대 높이의 1/3과 1/2 사이의 높이에서 빔들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빔의 단면은 예를 들어, 그들 각각이 각각의 빔의 폭의 절반보다 크거나 동일한 곡률을 가진 라운드진 상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라운드진 프로파일 때문에, 공기역학적 계수가 감소 된다.
수평으로 접근할 때, 각각의 빔은 공기역학적 형태의 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그러한 방법으로 라운드진 하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프로파일의 곡률은 예를 들어, 각각의 빔의 폭의 절반보다 더 크거나 동일할 수 있다.
빔들의 공기역학적 형상 때문에, 와류(turbulence)가 감소되고, 이러한 와류에 의해 야기되는 부식을 감소시키며, 유지 보수를 위한 총비용이 감소된다.
빔들의 공기역학적 모양은 또한 빔의 공기역학적 형태 계수의 감소를 허용하여 빔들의 드래그를 감소시킨다.
또한, 각각의 빔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부의 절반에서, 몇몇 버팀대들(braces)로 구성된 다수의 격벽들(bulkheads)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빔은, 적어도 상부의 절반에서, 빔의 외측에 있는 케이슨(caisson)에 직교하는 플레이트로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격벽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맨홀(man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빔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레이트들로 구성된 다수의 격벽들을 구비할 수 있다.
두 개의 빔들은 그 끝단에서 함께 모여져서, 예를 들어 빔의 각각의 측면에서 공통의 끝단을 형성한다. 공통 끝단부는, 위에서 바라볼 때, 그 자유단으로 접근하면 더 가늘게 되도록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기중기의 공기역학적 효과를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기중기는 기중기의 바닥으로부터 빔들까지 기중기의 다리들의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고정된 다리에서 움직일 수 있는 가동 캐빈(mobile cabin)을 가질 수 있다.
기중기는 다리들의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고정된 다리의 베이스에 화장실을 가질 수 있다. 화장실은 전통적으로 다양할 수 있지만 화학적으로 다양한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바람직하게 고정된 다리에는 빔들의 끝단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다리는 빔들의 끝단과 다리, 바람직하게 고정된 다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 두 개의 버팀대들(struts)을 가질 수 있다.
빔들은 공유 끝단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이동 가능하고 접을 수 있는 보수(maintenace) 크레인을 수납할 수 있는 챔버를 가질 수 있다.
기중기는 적어도 하나의 빗물받이 및 하나의 빗물 저장통을 가질 수 있다. 기중기는 또한 구정물 저장통을 가질 수 있다.
빗물 저장통은 빗물받이로부터 나오는 물을 모아서 예를 들어, 만약 그것이 화장실 부근에 가깝게 위치될 경우 그 물을 화장실을 위해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정물 저장통은 구정물 즉 화장실로부터 사용되어 나오는 물을 수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것은 기중기의 바닥에 위치되어 통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트럭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설비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및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를 구비한다. 각각의 빔은 다른 빔에 면하는 표면에서, 보조 트롤리를 위한 트랙들을 지지하는 내부 브래킷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빔은 그 외부 표면에서, 상기 메인 트롤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트랙을 지지하는 외부 브래킷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및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 및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를 구비하고, 상기 빔들을 적어도 하나는 단면이 라운드진 상부 프로파일 및/또는 라운드진 하부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및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를 구비하고, 상기 빔들은 끝단에서 공유되는 부분을 가지며, 서비스 크레인(service crane) 바람직하게 신축 가능한 서비스 크레인을 수납할 수 있는 챔버를 구비한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빔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 및 기중기의 다리들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바람직하게 상기 기중기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빔들까지 고정된 다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동 캐빈(mobile cabin)을 구비한다. 상기 기중기는 다리들의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고정된 다리의 베이스에 위치된 화장실을 가진다. 가동 캐빈은 캐빈의 운전자가 이러한 화장실에 접근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그러한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과 독립적으로 또는 이와 병행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는, 트랙들을 가진 두 개의 빔들; 상기 빔들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 상기 트랙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 및 빗물을 수거할 수 있고 다리들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기중기의 고정된 다리에 위치된 빗물 저장통으로 빗물을 안내할 수 있는 빗물받이를 구비한다.
이 경우, 기중기는 또한 화장실을 구비하고 빗물 저장통은 이러한 화장실 부근에 위치되어 빗물을 화장실에 공급할 수 있다. 기중기는 또한 구정물 수거통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구정물 수거통은 다리들 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 고정된 다리의 베이스에 위치되어 오물 트럭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기중기는 또한 빗물받이에 의해 공급되는 빗물과 독립적으로 빗물 저장통으로부터 빗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큰 압력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빔들의 기계적 저항력이 증가될 수 있는 한편 빔들의 외부 영역은 보다 덜 한 응력을 받는 영역들에서 더 약해지기 때문에 바람에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두 개의 빔들을 구비하는 것은 단일 빔을 가진 기중기보다 공기역학적으로 더 많은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에서 설명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인 상세한 설명과 그에 첨부된 도면들을 검토하면서 읽음으로써 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중기의 일 예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기중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른 기중기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기중기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중기의 Ⅴ에 따른 위치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기중기의 Ⅵ에 따른 측면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기중기의 Ⅶ에 따른 측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기중기의 Ⅷ에 따른 측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기중기의 빔 영역의 부분 3차원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기중기의 트랙들의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기중기의 변형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대 기중기(1)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중기는 40m이거나 이보다 더 큰 높이, 바람직하게 50m 내지 150m 사이의 높이일 수 있다. 기중기의 중량은 예를 들어, 2000T 내지 8000T 사이일 수 있으며, 기중기의 전체 용량 즉, 취급할 수 있는 하중의 중량은 600T이다. 기중기의 폭은 50m 내지 250m 이다.
기중기(1)는 도 4에서 어느 하나만 볼 수 있는 서로 평행한 두 개의 수평 빔들(2)을 구비한다.
또한, 기중기(1)는 하나의 고정된 다리(3)와 지면에 배치된 레일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기울어진(sheal) 다리(4)를 구비하고, 다리들(3)(4)에 의해 빔들이 지지된다.
또한, 기중기(1)는 예를 들어, 건조 중인 선박의 부품들로 구성될 수도 있는 하중(C)을 운반할 수 있는 메인 트롤리(5)와 보조 트롤리(6)를 구비한다.
메인 트롤리(5)와 보조 트롤리(6)는 빔들(2)에 의해 지지된 수평 트랙들(7)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하중(C)이 전환되는 것을 허용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서로 교차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2)은 다른 빔(2)과 면하는 표면(25a:도 9 참조)에 배치된 내부 브래킷(10) 및 외부 표면(25b)에 배치된 외부 브래킷(11)을 구비하고, 브래킷들(10(11)은 트랙들(7)을 지지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트랙들(7)은 빔의 정상으로부터 간격(g)만큼 이격되어 빔의 최대 높이의 1/3 내지 1/2 사이에서 배치된다.
주어진 예에서, 다른 빔(2)에 면하는 표면(25a)과 외부 표면(25b)은 수직이다. 그러나, 표면(25a)과 외부 표면(25b)은 경사질 수 있으며, 이것은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설명된 예에 있어서, 보조 트롤리(6)는 두 개의 빔들(2) 사이에서 이동하고 메인 트롤리(5)의 일 부분 역시 빔들(2) 사이에서 이동한다. 두 개의 빔들(2) 사이에서 이동하는 메인 트롤리(5)의 부분은 예를 들어, 트롤리의 전체 높이의 25%이거나 이보다 더 큰 높이일 수 있다.
도 4에서 보조 트롤리는 빔(2)에 의해 완전히 가려져 있으므로 도시되지 않는다.
빔들(2) 각각은 높이(H)가 변화하는 단면을 가진다. 주어진 예에 있어서, 높이(H)는 빔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은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의 끝단 쪽으로 트랙들(7)의 부분을 따라 이동하면서 감소한다.
최대 높이(Hmax)는 예를 들어, 8m 내지 20m인 반면, 빔들의 끝단에서 최소 높이(Hmin)는 예를 들어, 4m 내지 10m이고, 높이의 변화는 예를 들어, 선형적으로 고려된다. 변이 △H = HmaxㆍHmin는 4m 내지 10m일 수 있다. 각도는 예를 들어, 5° 내지 20°이다.
각각의 빔(2)의 편평한 중앙 부분의 길이(L2)는 예를 들어, 각각의 빔(2)의 전체 길이(L1)의 50%이거나 그것보다 더 크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들(2)은 대부분 분리되어 있고 그 끝단에서 서로 접합되어, 빔들(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더 멀어질수록 그 폭이 더 감소하는 공통 끝단부를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2)의 전체 길이(L1)는 일단으로부터 공유 끝단부(15)을 포함하는 빔(2)의 타단까지로서 정의된다.
중앙 부분에서 표면(25a)와 외부 표면(25b) 사이의 각각의 빔(2)의 폭은 예를 들어, 2m 내지 4m이다.
각각의 빔의 중앙을 분리시키는 간격과 최대 높이 Hmax, e/Hmax 사이의 관계는 대략 동일하거나 대략 1보다 적으며, 이것은 기중기를 보다 더 공기역학적으로 만들 수 있다.
각각의 빔의 중앙은 다른 빔에 면하는 표면(25a)으로부터 외부 표면(25b)까지 동일 간격이다.
도 4에서 점선 영역으로 설명된 공유 끝단부(15)에 위치된 챔버(16)에 있어서, 기중기는 신축 가능한(telescopic) 보수(maintaenace) 크레인(미도시)을 가지며, 이러한 보수 크레인는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메인 트롤리(5)와 보조 트롤리(6), 및 트랙들(7)의 유지 보수를 담당한다. 보수 크레인의 높이는 그것이 이동하거나 메인 트롤리(5) 아래를 통과하여 필요한 경우 그것을 교차하기 위해 신축할 때 필요한 만큼의 높이를 가진다. 보수 크레인은 이동 가능하며, 보조 트롤리(5)가 이동하는 브래킷(10)에 배치된 트랙들(7)의 빔들(2)을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챔버(16)가 존재하기 때문에 보수 크레인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공유 끝단부(15)의 내측 부분에서 보관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알려진 기중기에서와 마찬가지로 그것은 계속해서 확장되지 않는다. 이것은 종래기술의 기중기들과 비교하여 기중기(1)에 대한 드래그(drag)의 감소를 허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된 다리(3)의 측면에서, 기중기(1)는 하중을 분배시키고 기중기의 평형을 강화시키기는 그러한 방식으로 공유 끝단부(15)의 끝단(15a)을 고정된 다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버팀대들(20)을 가진다. 주어진 예에 있어서, 고정된 다리(3)는 빔들을 지지하지 않고 끝단(15a)이 그것으로부터 간격(f:도 4 참조)만큼 떨어져 있다. 버팀대들(20)은 빔들의 끝단(15a)을 고정된 다리(3)에 연결한다. 간격(f)는 예를 들어, 8m 내지 15m이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끝단들(15a)은 빗각이 쳐지고 경사져서, 수직선에 대해 예를 들어, 30° 내지 45° 사이의 각도(γ:도 4 참조)를 형성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빔(2)은 빔의 외부 표면을 구획하는 케이슨(caisson)(25)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슨(25)은 각각의 빔(2)의 상부 표면(25c)의 레벨에서 라운드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 케이슨(25)은 하부 표면(25d)의 레벨에서 라운드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기역학적 형상때문에, 빗물은 케이슨(25)을 따라 용이하게 신속하게 흐를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내측 빔(2) 구조는 하나로부터 그 다음까지 거의 평행한 일련의 격벽들(bulkheads)(26)을 구비한다. 격벽들(26)은 상부 영역에서, 사람의 통행을 허용하는 구멍(28)이 천공된 다수의 플레이트들(27)과, 하부 영역의 브레싱(bracing)(30)을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격벽들(26)은 브래킷들(10)(11)에 위치된 다수의 플레이트(29)를 가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에 의해 표시된 격벽(26)은 빔(2)의 내측에 위치되는 바, 각각의 빔(2)의 내부에서 서로로부터 간격(d) 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두 개의 격벽들(26)을 분리하는 간격(d)은 예를 들어, 높이 Hmax보다 작거나 같다.
각각의 빔(2)의 내부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7)와 브레싱(30) 사이의 경계에 위치되고, 서로 다른 격벽들(26)을 연결하는 솔(sol)(31)을 구비한다. 케이슨(25)의 내부에서, 각각의 브래킷(10) 및 브래킷(11)을 위하여, 각각의 빔(2)은 T 형상의 수평 단면을 위한 다수의 보강재들(stiffeners)(32)을 구비하고, 이러한 모양은 브래킷들(10)(11)의 길이 방향으로 조립체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길이 방향 보강재들이 허용될 수 있지만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길이 방향 보강재들은 그 내부에서 케이슨(25)에 위치되어 빔들(2)의 케이슨(25)을 형성하는 쉬트를 보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솔(31)은 브래킷들(10)(11)의 상부 끝단(10b)의 정상의 높이에 위치된다. 브래킷들(10)(11)은 케이슨(25)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보강재들(32)은 각각의 브래킷(10) 또는 브래킷(11)의 하부 끝단(10a) 또는 (10b)의 높이에서 케이슨(25)의 내부에 배치된다.
케이슨(25)은 스틸과 같은 단일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다양한 다른 스틸, 바람직하게 다른 저항을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스틸들을 구비할 수 있다.
미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들(27)은 빔(2)의 정상으로부터 보강재(32)까지 이동하고, 이 경우 브레이싱(30)은 빔(2)의 바닥으로부터 보강재(32)까지의 높이일 수 있다.
각각의 브래킷(10)(11)은 그들의 전체 길이를 가로지르는 핸드 레일(35)을 구비한다. 또한, 브래킷들(10)(11)은 도 8의 점선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빗물의 드레인을 허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빗물 드레인 시스템(12)을 구비한다. 빗물 드레인 시스템(12)은 예를 들어, 각각의 브래킷을 가로지르는 수직 빗물받이를 구비한다.
도 10에 더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들(7)의 각각은, 바람직하게 레일(100)의 베이스에 만들어진 용접(101)의 도움에 의해 레일(100)이 고정되는 T형 단면을 가진다. 트랙(7)의 T 형상 단면의 바닥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의 외측 끝단(10c)(10d)에서, 그것을 지지하는 브래킷에 연결, 바람직하게 용접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고 명확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균평기(equalizer)와 보기(bogies)(55)를 구비하는 기중기의 측면 조절 시스템에 놓여진 베이스(54)에 장착된 고정된 다리(3)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고정된 다리(3)는 균평기와 보기(55)의 도움으로 이동에 적합하다. 고정된 다리(3)는 빔들(2)을 지지하는 필라(pillar)(50), 연결된 빔들(2)의 공통 끝단부(15)의 끝단(15a)을 지지하기 위해 그들의 상부 끝단들(20a)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버팀대(20)를 구비한다. 버팀대(20)는 빔들의 끝단(15)에서 핀(pin)에 연결된 단단하지 않은 튜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버팀대(20)는 빔들(2)과 40° 내지 60°의 각도(δ: 도 4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의 두 개의 끝단들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는 바와 같이, 기중기의 바닥으로부터 정상까지 엘리베이터(51)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필라(50)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통로가 마련된다. 미도시된 계단 역시 필라(50)의 내부에서 기중기의 바닥으로부터 정상까지 마련된다.
화장실(53)은 베이스(54)의 고정된 다리(3)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기중기는 고정된 다리(3)에서, 도 6에서 점선으로 표시되고 빗물 저장통(58)으로 빗물을 공급하는 빗물받이(57)을 구비한다.
베이스(54)에 위치된 빗물 저장통(58)은 화장실(53)에 연결되어 화장실에 빗물을 공급한다. 또한, 빗물 저장통(58)은 빗물받이로부터 독립하여 예를 들어, 트럭에 의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구정물 저장통(59)은 화장실(53)에 근접되도록 베이스(54)에 위치됨으로써 구정물 및 화장실(53)로부터 나오는 다른 구정물을 수거한다. 구정물 저장통(59)은 예를 들어, 트럭에 의해 그 내용물이 드레인 될 수 있도록 위치된다.
필라(50)의 양측에서 바닥에 위치된 두 개의 버팀벽(buttress)(52)은, 전체 기중기에 걸리는 중량을 그 위에 필라(50)가 놓여지는 균평기와 보기(55)를 구비하는 측면 조절 시스템에 분배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각각의 버팀벽(52)은 필라(50) 위의 양단들과 예를 들어, 20° 내지 45° 사이의 각도(β)를 형성한다. 버팀벽(52)은 유연한 연결을 형성하는 핀들에 의해 필라(50)와 베이스(54) 사이에 연결된다.
기울어진 다리(4)와 면하는 고정된 다리(3)의 일 부분에서, 기중기(1)는 필라(50) 위에서 바닥으로부터 정상까지 이동 가능하고, 운전자가 그들을 운전할 수 있는 트롤리 가이드 컨트롤을 수납하는 이동 캐빈(60)을 구비한다. 이동 캐빈(60)이 바닥으로부터 정상까지 이동할 수 있는 사실은 운전자가 베이스(54)에 위치된 화장실에 용이하게 접근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그것의 상승을 모니터하고 기중기를 용이하게 소개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진 다리(4)는 고정된 다리(3)와 동일하게 보기와 균평기를 구비하는 기중기의 측면 조절 시스템(55)에 장착된다.
기울어진 다리(4)는 삼각형 모양이고, 그들의 상부 끝단에서 서로 연결되고, 예를 들어, 20° 내지 45° 사이의 각도(α)를 형성하는 두 개의 다리들(62)을 구비한다. 다리들(62)은 기중기 측면 조절 시스템(55)에 놓여진다. 다리들(62)은 도면의 배율상 보이지 않은, 다리(62)의 중앙 부분에서 10m 내지 20mm 사이에서 변화하는 두께를 가진 튜브 영역을 가진다.
고정된 다리(3)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진 다리(4)는 그들의 끝단(15a)으로부터 8m 내지 15m 간격(k: 도 4 참조)만큼 떨어져서 빔들(2)을 지지한다.
메인 트롤리(5)와 보조 트롤리(6)는 도 8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메인 트롤리(5)는 빔들(2)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 가로질러 위치되고, 그들의 위와 양측면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횡단 빔들(75)을 구비한다. 어느 하나의 횡단 빔(75)은 도 8에서 볼 수 있다. 횡단 빔들(75)은 필요한 경우, 빔들(2)의 그것과 유사하게 라운드진 모양의, 공기역학적 상부 및/또는 하면을 가진다.
또한, 메인 트롤리(5)는 빔들(2)에 평행하고 횡단 빔들(75)을 연결하는 두 개의 보다 작은 빔들(77)을 구비한다. 빔 서포트(77)는 도 5에서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트롤리(5)는 빔들(2)에 옆에 위치된 수직 필라들(80)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고, 트랙들(7) 위에서 움직이기 적합하다. 빔 서포트(77)와 필라들(8)은 횡단 빔들(75)의 끝단들에 대해 움푹 들어간 곳에 4m 내지 8m 간격(j:도 8 참조)으로 위치된다. 필라들(80)은 균평기(82), 보기(83) 및 롤러(81)를 구비하고, 그들 중 어느 하나는 동력 설비가 갖춰져서 빔들(2) 위에서 메인 트롤리를 움직일 수 있다.
횡단 빔들(75) 사이에 위치된 메인 트롤리(5)의 상승 시스템(70)은 각각의 횡단 빔(75)에 중앙 지점에서 고정된다.
상승 시스템의 외부는 예를 들어, 복합재료의 어느 하나로 제조된 쉬트에 의해 덮여진다. 상승 시스템의 내부에는 4개의 브레이싱들(71)이 위치되고, 4개 모두 상승 시스템(70)의 외부에서 복귀 쉬브(return sheave)(72)에 연결된다.
또한, 메인 트롤리(5)는 상승 시스템(70)의 양측에서, 도 4 및 도 5에서 명백히 볼 수 있고 메인 트롤리(5)를 완전히 단단하게 하는 두 개의 브레이스(78)를 구비한다.
상승 시스템이 횡단 빔들의 끝단에 위치된 종래의 알려진 기중기와 달리, 메인 트롤리(5)의 상승 시스템은 횡단 빔들(75)의 위와 아래에 이러한 길이를 따라 절반이 되는 점에서 중앙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승 시스템(70)의 하중은 빔들(2) 사이의 메인 트롤리의 중간에서 집중되는 장점이 있다.
복귀 쉬브(72)는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후크와 로프를 안내하는 것을 허용한다. 점선에 의해 표시된 것은 횡단 빔들(75) 사이에 위치된 두 개의 스페이스 트롤리(76)를 나타내고 복귀 쉬브(72)에 연결되어 빔들(2)의 후크들의 확장 및 복귀를 허용한다.
보조 트롤리(6)에 대하여, 그것은 메인 트롤리(5)의 이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그러한 방식으로 메달리고 케이블 또는 로프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조 트롤리는 빔들(2)을 교차되게 수평으로 이동하고 이들을 바라볼 때 표면들 사이에 위치되는 두 개의 횡단 빔들(90)을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빔 서포트(95)는 빔들(2)에 평행하고, 횡단 빔들(90)을 서로 연결한다. 횡단 빔(90)은 그들의 끝단들(90a)에서 어느 하나는 보조 트롤리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화되는 균평기(91), 다수의 보기들(93), 및 다수의 롤러들(92)을 통해 브래킷들(10)의 트랙들(7)에 놓여진다. 또한, 보조 트롤리(6)는 예를 들어, 2×2의 V 형태로 배치되고 횡단 빔들(90)의 어느 하나와 상부 끝단(85b)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빔 끝단들(90a)에 대해 후미진 4개의 필러(85)를 구비한다. 필라(85)의 하부 끝단(85a)은 2×2 형태로 그들 사이에 연결된다. 필라(85)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수직으로 다르게 위치될 수 있다.
필라(85)는 복합재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윈치(88)를 수용하고 2개가 도면에 도시된 외부 쉬트재(87)를 구비한다. 윈치(88)는 복귀 쉬브(89)에 연결되고, 상승 시스템의 외측에서 그들을 케이블 및/또는 후크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적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후크 또는 두 개의 후크를 연결한다. 윈치(88)의 위치는 후크의 수의 기능을 한다.
메인 트롤리(5)의 동력 시스템(70)의 하부 끝단이 보조 트롤리(6)의 횡단 빔(90)의 상부 끝단 위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보조 트롤리(6)와 메인 트롤리(5)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전력 공급은 도시된 예에서 케이블 체인 형태이고 각각의 트롤리에서 명백하다.
보조 트롤리와 메인 트롤리의 상승 시스템 주위에 쉬팅재를 부가하기 위한 복합재의 사용의 장점은 이러한 물질들이 경량이고, 내부식성 및 내오일성을 가지며, 공기역학적 프로파일의 생성 가능성이 높으며, 한낮 동안 빛이 투과할 수 있는 빛 투과성이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계단, 플랫폼, 사다리 및 핸드 레일과 같은 기중기의 다른 구성요소들 역시 복합재로 제조될 수 있다.
빔들(2), 메인 트롤리(5)의 횡단 빔들(70) 및 다리들(3)(4)의 베이스에 있는 가장 큰 균평기는 압축 응력 처리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중기의 구성요소들 특히 메인 트롤리, 보조 트롤리, 빔들과 브래킷들의 형상, 보수 크레인 및 기중기 다리들 각각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들(26)은 빔(2)의 전체 정상을 따라 플레이트(27)를 구비할 수 있고, 빔의 내부 구조는 이 경우 브레이싱이 생략될 수 있다.
반대로, 격벽들(26)은 완전히 브레싱으로만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극단 사이의 모든 중간 구조물들 또한 가능하다.
보조 트롤리와 메인 트롤리의 브레이싱의 위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변형될 수 있다.
하중이 너무 크거나 너무 유연할 때, 다수의 후크들을 가진 스프레더(spreader) 빔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후크들과 하중(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프레더 빔은 가볍고 내부식성의 장점이 있는 티타늄 합금을 제조될 수 있다.
케이슨(25)의 라운드진 프로파일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시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타원형 모양일 수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된 기중기의 다른 실시예의 절반이 도시된다.
이 예에서, 케이슨(25)은 각각의 빔의 상부 레벨 표면(25c)에서 편평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케이슨(25)의 공기역학적 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예에 따른 보조 트롤리(6)는 4개의 윈치(88) 및 수직으로 배치된 다수의 필라(85)를 구비한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메인 트롤리(5)는 2개의 큰 윈치(71a) 및 두 개의 작은 윈치(71b)를 구비하고, 윈치들(71a)(71b)은 측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승 시스템(70)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으므로, 메인 트롤리(5)의 수직축에 대한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윈치(71a)는 작은 윈치(71b) 위에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윈치들(71a)(71b)은 수직축 주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체 설명에 있어서, 그 반대의 의미로 특정되지 않는 한 "하나를 구비하는"의 표현은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과 동의어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1...기중기 2...빔(beam)
3...고정된 다리 4...기울어진(sheal) 다리
5...메인 트롤리 6...보조 트롤리
7...트랙 10...내부 브래킷
11...외부 브래킷 12...빗물 드레인 시스템
15...공유 끝단부 16...챔버
25...케이슨 26...격벽
27...플레이트 30...브레싱
32...보강재 35...핸드 레일
50...필라 51...엘리베이터
52...버팀벽 53...화장실
54...베이스 55...측면 조절 시스템
57...빗물받이 58...빗물 저장통
59...구정물 저장통 60...이동 캐빈
70...상승 시스템 71...브레이싱
75...횡단 빔 77...빔 서포트
80...필라 81...롤러
82...균평기 83...보기

Claims (17)

  1. 거대 기중기(giant crane)(1)에 있어서,
    트랙들(tracks)(7)을 지지하는 두 개의 빔들(beams)(2);
    상기 빔들(2)을 지지하는 두 개의 다리들(3)(4); 및
    상기 트랙들(7)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빔들(2) 위에서 이동하는 동안 서로 교차하기 적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메인 트롤리(trolley)(5)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트롤리(6)를 구비하고;
    트랙(7)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따라 이동할 때 각각의 빔(2)의 높이(H)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2. 제1항 있어서,
    상기 빔들(2)은 중앙 부분에서 최대 높이를 가지며 다리들(3)(4) 쪽으로 이동할 때 높이가 감소하는 외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다른 빔(2)과 면하는 하나의 표면(25a)에서, 상기 보조 트롤리(6)의 트랙(7)을 구획하는 내부 브래킷(interior bracket)(1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외부 표면(25b)에서, 상기 메인 트롤리(5)의 적어도 하나의 트랙(7)을 구획하는 외부 브래킷(11)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트롤리(6)는 상기 두 개의 빔들(2)과 면하는 표면들(25a) 사이에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롤리(5)의 일 부분은 상기 두 개의 빔들과 면하는 표면들(25a)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라운드진 상부 프로파일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라운드진 하부 프로파일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부 영역에서, 다수의 브레이싱들(bracings)(30)을 가진 다수의 격벽들(bulkhead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빔(2)은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다수의 격벽들 각각이 바람직하게 상부 영역에서, 상기 빔의 외측에서 케이슨(caisson)(25)에 수직인 플레이트(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빔들(2)은 그들의 끝단에서 서로 결합되어 그 양측에서 공통 끝단부(15)를 형성하고, 상기 공통 끝단부(15)는 그 끝단으로 접근할수록 감소하는 폭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중기의 바닥으로부터 정상(top)까지 상기 다리들의 어느 하나 위에서 움직이기 적합한 가동(mobile) 캐빈(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들의 어느 하나의 베이스(54)에 위치된 화장실(5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리,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된 다리(3)은 상기 빔들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빔들의 끝단을 상기 다리, 적어도 상기 고정된 다리에 연결하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바람직하게 두 개의 버팀대들(struts)(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들(2)은, 공통 끝단부(15)에서, 보수(maintenance) 크레인, 바람직하게 신축가능하고 이동가능한 보수 크레인을 수납하기 적합한 장착부(1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들(2)은 적어도 하나의 빗물받이 및 적어도 하나의 빗물 저장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 기중기.
KR1020107021768A 2008-03-25 2009-03-24 거대 기중기 KR201100105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1910A FR2929258B1 (fr) 2008-03-25 2008-03-25 Portique geant
FR0851910 2008-03-25
PCT/FR2009/050508 WO2009125127A1 (fr) 2008-03-25 2009-03-24 Portique ge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96A true KR20110010596A (ko) 2011-02-01

Family

ID=3987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768A KR20110010596A (ko) 2008-03-25 2009-03-24 거대 기중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254821A1 (ko)
JP (1) JP5752591B2 (ko)
KR (1) KR20110010596A (ko)
CN (1) CN102083734B (ko)
FR (1) FR2929258B1 (ko)
RU (1) RU2489344C2 (ko)
TW (1) TWI464103B (ko)
WO (1) WO2009125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9612B (zh) * 2011-08-16 2013-09-18 中铁十七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横跨既有铁路线的悬臂龙门吊转换平台架梁工艺
AT515824B1 (de) * 2014-05-26 2016-06-15 Hans Künz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MY180746A (en) * 2015-10-27 2020-12-08 Nevsimal Weidenhoffer Vladimir Sts multi-trolley portal gantry container crane
CN105668424A (zh) * 2016-03-24 2016-06-15 贵州精钻高合金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带有可移动支撑柱的吊架
CN109353932B (zh) * 2018-11-14 2024-01-30 德马科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饲料自动装车起重机
CN109879165A (zh) * 2019-02-22 2019-06-14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钢吊架及采用钢吊架人力吊装钢梁的施工方法
CN109850767B (zh) * 2019-03-14 2020-08-04 武汉理工大学 一种全自动十字连杆避障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6808A (en) * 1958-01-27 1962-01-10 Babcock & Wilcox Ltd Improvements in cranes
BE664215A (ko) * 1963-04-11
NL6906549A (ko) * 1968-05-03 1969-11-05
JPS503012Y1 (ko) * 1969-10-23 1975-01-27
JPS4995351A (ko) * 1973-01-17 1974-09-10
SU965969A1 (ru) * 1980-07-01 1982-10-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А-7255 Мостовой двухбалочный кран
JPS60137782U (ja) * 1984-02-22 1985-09-12 株式会社 北都鉄工 クレ−ンガ−ダ
JPS61110691U (ko) * 1984-12-25 1986-07-12
SU1708749A1 (ru) * 1989-08-15 1992-01-30 Харьковский Филиал Проект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И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Энергомонтажпроект"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т желовесных грузов
JPH0682087U (ja) * 1993-05-11 1994-11-25 日立機電工業株式会社 クレーン用ボックスガーダー
JPH1171094A (ja) * 1997-08-29 1999-03-1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大型プラント建設工法
CN100371234C (zh) * 2005-10-27 2008-02-27 上海港机重工有限公司 一种轨道式集装箱龙门起重机
JP2007269480A (ja) * 2006-03-31 2007-10-18 Mitsubishi Heavy Ind Ltd 門型クレーン及び門型クレーンの制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42436A (ru) 2012-04-27
WO2009125127A1 (fr) 2009-10-15
CN102083734B (zh) 2013-04-03
EP2254821A1 (fr) 2010-12-01
JP5752591B2 (ja) 2015-07-22
RU2489344C2 (ru) 2013-08-10
TWI464103B (zh) 2014-12-11
JP2011515301A (ja) 2011-05-19
TW200948701A (en) 2009-12-01
FR2929258A1 (fr) 2009-10-02
FR2929258B1 (fr) 2010-05-07
CN102083734A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596A (ko) 거대 기중기
CN100476076C (zh) 移动式整体施工平台及施工方法和专用吊具
JP6701362B2 (ja) Stsマルチトロリーポータルガントリーコンテナクレーン
CN106574449B (zh) 建造桥梁的方法及建造桥梁的装置
TWI620859B (zh) Vertical work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CN2793147Y (zh) 多跨悬索桥无索区钢箱吊梁
CN101559905A (zh) 一种缆载吊机
CN208995928U (zh) 一种适用于叠合梁施工的多功能桥面吊机
CN102367650A (zh) 一种钢管拱桥的施工方法
CN109184190A (zh) 爬升与承载一体化的梁式液压爬升平台及其安装方法
CN204822001U (zh) 货物吊装导向装置及具有该货物吊装导向装置的船体
CN113605255A (zh) 一种海上限高限航区域钢桁钢箱组合梁桥快速施工方法
EP3002246B1 (en) System for reducing the counterweight of a crane
CN207619809U (zh) 一种大跨径装配式钢桥结构
CN207862788U (zh) 一种连接于悬灌挂篮上的张拉千斤顶吊装装置
CN215048164U (zh) 岸桥
CN212559207U (zh) 桥面吊机
CN111453630B (zh) 桥面吊机及其使用方法
IT202100025505A1 (it) Struttura di mensola rampante per casserature per getti verticali
JP6873435B2 (ja) 吊り足場及びその架設方法
CN210439160U (zh) 用于钢桥梁悬拼施工的行走式挂篮
CN202730646U (zh) 一种能避让桥侧障碍的吊架铰接式桥梁检修车
CN110789679A (zh) 一种用于集装箱船舱盖支撑盒垫块装焊的移动式登高梯架
CN112796218A (zh) 一种钢箱梁滑移纠偏系统
CN202450449U (zh) 桥梁挂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