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7428A -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7428A
KR20110007428A KR1020090064946A KR20090064946A KR20110007428A KR 20110007428 A KR20110007428 A KR 20110007428A KR 1020090064946 A KR1020090064946 A KR 1020090064946A KR 20090064946 A KR20090064946 A KR 20090064946A KR 20110007428 A KR20110007428 A KR 20110007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toner
lower frame
opening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6618B1 (ko
Inventor
김종인
지민식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6618B1/ko
Priority to US12/723,928 priority patent/US8335451B2/en
Priority to AT10158782T priority patent/ATE547747T1/de
Priority to EP10158782A priority patent/EP2275876B1/en
Priority to CN2010202638813U priority patent/CN201773271U/zh
Publication of KR20110007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6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개시된 현상기는, 토너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의 외주에 접촉되어 감광드럼으로 공급되는 토너양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현상기이다. 하우징은 서로 융착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한다. 상부프레임에는 선단부와 그 양단부에 몰입형성되는 몰입부를 구비한다.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에는 상부프레임이 하부프레임에 융착결합될 때에 현상롤러 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몰입부에 접촉되는 제1면이 마련된다.

Description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체에 조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키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하여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토너가 수용된 현상기를 구비한다.
감광체와 토너는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트리지를 '현상기'라 한다. 현상기는 내부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비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거되고, 새로운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다.
현상기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로 구분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는 토너수용부와 현상부가 차단필름에 의하여 단절되어 있다. 현상기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차단필름을 제거하여 토너수용부와 현상부를 서로 연 결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상부 내의 토너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개선된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토너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그 외주에 상기 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되는 토너양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현상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양측부와 하단부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융착결합되며, 상기 개구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선단부으로부터 몰입되어 형성되는 몰입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융착결합될 때에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몰입부에 접촉되는 제1면을 구비한다.
상기 규제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현상기는, 상기 선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부 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상측 가장자리로의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상부씰링부재;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의 상기 현상롤러와 대면된 면에 마련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와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양측 가장자리로의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측부씰링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하측 가장자리를 통한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하부씰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씰링부재의 양단부 및 상기 측부씰링부재와 중첩되는 제2상부씰링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씰링부재로서 상기 선단부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발포성형되는 발포탄성체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탄성체는 상기 선단부에 위치되는 제1씰링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제2씰링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와 상기 선단부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씰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액상의 발포탄성체가 상기 선단부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와 상기 차단리브와의 간격은 0.7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상부씰링부재 및 상기 측부씰링부재와 중첩되어 상기 상부씰링부재와 상기 측부씰링부재 사이로 토너누출을 방지하는 제2측부씰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선단부는 그 단면이 "L"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개구를 제외한 토너 수용 공간을 에워싸는 융착산과 융착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융착산과 융착골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현상기;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과의 결합위치의 어긋남으로부터 기인하는 토너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한 토너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들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현상기(100)는 토너가 수용된 하우징(101)을 구비한다. 하우징(101)에는 개구(10)가 마련된다. 토너는 개구(10)를 통하여 현상롤러(3)로 공급된다.
감광드럼(1)은 원통형 금속 파이프의 외주에 광도전성을 가지는 감광층이 형성된 것이다. 대전롤러(2)는 감광드럼(1)의 그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에는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대전롤러(2) 대신에 코로나 대전기(미도시)가 사용될 수도 있다. 현상롤러(3)는 개구(10)를 통하여 공급된 토너를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되는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현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3)와 감광드럼(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D)을 형성하는 접촉현상방식을 채용한다. 이 경우 현상롤러(3)는 도전성 금속 코어(미도시)의 외주에 탄성층(미도시)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현상롤러(3)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이 현상닙(D)을 통하여 토너가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된다. 비접촉방식이 채용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3)의 표면과 감광드럼(1)의 표면은 수백 미크론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현상기(100)에는 개구(10)를 통하여 공급되는 토너를 현상롤러(3)에 부착시키기 위한 공급롤러(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공급롤러(4)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부착시키기 위하여 공급바이어스가 인가될 수 있다. 참조부호 5는 대전롤러(2)에 부착되는 이물질 및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롤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6은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되어 현상닙(D)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재를 표시한다. 참조부호 7은 대전 전에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잔류토너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부재를 표시한다.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토너 및 이물질은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하우징(10)에는 토너를 현상롤러(3)로 공급하기 위한 교반기(8)가 마련될 수 있다. 교반기(8)는 하우징(101)에 수용된 토너를 휘저어 토너를 소정의 전위로 대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교반기(8)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01)의 용적이나 형태를 감안하여 효과적으로 토너를 현상롤러(3)로 공급하기 위하여 하우징(101)에는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수의 교반기(8)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하우징(101)은 하부 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80)을 구비한다. 하부프레임(60)에는 개구(10)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양측부(610)와 하단부(630)가 마련된다. 상부프레임(80)에는 개구(10)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선단부(810)가 마련된다.
현상기(100)는 폐토너수용부(30)를 형성하는 수용프레임(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는 측부프레임(9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커버(90)는 서로 연결된 하부프레임(60)과 수용프레임(70)의 상부를 덮는다. 이러한 형태의 현상기(100)는 현상롤러(3)과 감광드럼(1)을 구비하는 일체형 현상기이다. 커버(90)에는 후술하는 광주사기(도 12의 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감광드럼(1)에 입사될 수 있도록 광창(9a)이 마련된다.
응용예로서, 감광드럼(1), 대전롤러(2), 클리닝롤러(5), 및 클리닝 부재(7)가 결합된 수용프레임(70)이 감광드럼 카트리지의 형태로 화상형성장치에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다.
현상기(100)는 토너공급창(41)을 구비한 격벽부재(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격벽부재(40)에는 토너공급창(41)을 막는 차단필름(50)이 부착된다. 토너는 격벽부 재(40)와 상부프레임(80) 및 하부프레임(6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격벽부재(40)가 채용된 현상기(100)를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현상기(100)의 측부로 노출된 차단필름(50)의 단부를 당기면, 차단필름(50)이 격벽부재(40)로부터 떨어진다. 차단필름(50)을 완전히 제거하면 개구(10)가 개방된다.
도 3은 하부프레임(60), 격벽부재(40), 및 상부프레임(80)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격벽부재(40)에 차단필름(50)이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격벽부재(40)가 하부프레임(60)에는 결합된다. 격벽부재(40)는 초음파 융착공정에 의하여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60)의 측벽(61)에는 취출구(64)가 마련된다. 차단필름(50)의 단부는 취출구(64)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상부프레임(80)은 융착방식, 예를 들어 초음파 융착방식에 의하여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될 수 있다. 격벽부재(4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부프레임(80)의 선단부(810)의 아래쪽면은 격벽부재(40)의 상면(42)에 융착결합된다.
도 3을 보면, 하부프레임(60)에는 개구(10)가 마련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에워싸는 제1안착면(65)이 마련된다. 제1안착면(65)에는 그로부터 몰입된 융착골(66)이 마련된다. 상부프레임(80)에는 제1안착면(65) 및 융착골(66)에 대응되는 제2안착면(81)과 융착산(82)이 마련된다. 물론, 제1안착면(65)에 융착산(82)이 마련되고, 제2안착면(81)에 융착골(66)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산(82)이 융착골(66)에 삽입되도록 상부프레임(80)을 하부프레임(60)에 올려놓고, 융착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80)을 누르면서 초음파 에너지를 공급한다. 초음파 에너지에 의하여 융착산(82)과 융착골(66)이 맞닿는 부위에서 진동이 일어난다. 이 진동에 의하여 융착산(82)이 용융되고 다시 고화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골(66)에 부착된다. 이에 의하여, 상부프레임(80)이 하부프레임(60)에 융착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80)이 하부프레임(60)과 융착결합될 때에, 융착산(82)이 융착골(66)에 정확하게 삽입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초음파 에너지가 융착산(82)과 융착골(66)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서 융착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융착산(82)과 융착골(66) 사이에 틈새가 생겨 이를 통하여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80)의 좌우위치편차, 즉 도 3의 X방향의 편차보다는 앞뒤위치편차, 즉 도 3의 Y방향의 편차가 토너의 씰링에 더 영향을 미친다. 왜냐하면, X방향의 융착산(82)과 융착골(62)이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설계, 제조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Y방향의 융착산(82)과 융착골(62)은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조될 수 있다. 즉, 하부프레임(60)과 상부프레임(80)의 측부는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형상이 매우 복잡하여, 측벽(61)(62)에 마련되는 융착골(62)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상부프레임(80)의 융착골(82) 또한 상하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부프레임(60)의 Y방향의 조립위치편차가 없다면, 융착산(82)과 융착골(66)은 정확히 서로 맞닿게 된다. 그러나, 상부프레임(80)의 Y방향의 조립위치편차가 발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산(82)과 융착골(62) 사이에 틈새(G)이 생긴다. 이 틈새(G)는 기울어진 융착산(82)과 융착골(62)의 Y방향의 길이 전체에 걸쳐 발생된다. 초음파 에너 지를 공급하는 융착지그는 상부프레임(80)을 상하방향으로 누르더라도 융착산(82)과 융착골(66)이 맞닿아있지 않기 때문에 융착산(82)이 용융되지 않거나 불완전하에 용융되어 융착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부프레임(80)의 Y 방향의 조립위치를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 도 3과 도 7을 보면, 상부프레임(80)의 선단부(810)의 양단부에는 선단부(810)로부터 현상롤러(3)의 반대쪽으로 몰입된 몰입부(820)가 마련된다. 측부(610)는 하부프레임(60)의 측벽(61)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다. 측부(610)에는 몰입부(820)가 접촉되는 제1면(611)이 마련된다. 제1면(611)은 적어도 제1안착면(도 3: 65)보다 상방으로 돌출된다. 제1면(611)에는 상부프레임(80)의 몰입부(820)가 접촉된다. 도 7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측벽(62)에 마련되는 측부(610)도 역시 제1면(611)이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상부프레임(80)의 Y방향의 조립위치는 제1면(611)과 볼입부(820)에 의하여 규제되어, 초음파 융착 과정에서 상부프레임(80)이 현상롤러(3) 쪽으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프레임(80)의 Y방향의 조립편차에 기인하는 융착불량과 이로 인한 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610)의 현상롤러(3) 쪽 면, 즉 제1면(611)의 반대쪽 면인 제2면(612)에는 측부씰링부재(630)가 부착된다. 측부씰링부재(630)는 스펀지, 펠트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측부씰링부재(630)는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측부(610)의 제2면(612)에 부착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80)의 선단부(810)에는 상부씰링부재가 조립된다. 상부씰링부재는 스펀지 등으로 제조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선단부(810)에 부착되는 부착식 씰링부재(830)일 수 있다. 부착식 씰링부재(830)는 측부씰링부재(630)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그 양단부가 측부씰링부재(630)에 닿거나 중첩되도록 선단부(810)에 부착된다.
상부씰링부재로서, 부착식 씰링부재(830) 대신에 발포식 씰링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80)의 선단부(810)에는 발포탄성체(840)가 도포될 수 있다. 발포탄성체(840)는 액상으로 도포되는 즉시 발포되고, 고화되어 탄성체로 성형된다. 발포탄성체(840)는 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일 수 있다. 도 7을 보면, 선단부(810)의 양단부와 측부(610)의 선단부(810) 쪽 면인 제3면(613)은 서로 이격되어 있어, 그 사이로 발포액이 용이하게 침투되어 성형된다. 따라서, 발포탄성체(840)는 선단부(810)를 따라 성형된 제1씰링부(841)와, 선단부(810)의 양단부와 측부(610)의 제3면(613)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2씰링부(842)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긴 "H"자 형상이 된다. 도 7을 보면, 산단부(810)의 양단부에는 차단리브(850)가 마련된다. 차단리브(850)는 발포액이 선단부(810)의 양단부를 통하여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한다. 발포액이 차단리브(850)와 측부(610)의 제3면(613) 사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차단리브(850)와 측부(610)의 제3면(613)과의 간격은 예를 들어 0.7mm 내지 1.5mm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씰링부재로서 발포탄성체(830)를 채용함으로써, 현상기(100)의 생산공정에서 자동화된 발포액 공급장치를 이용할 수 있어 씰링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규제부재(6)가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된다. 규제부재(6)는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되는 지지부(691)와 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696)가 현상롤러(3)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부(692)를 구비한다. 지지부(691)에는 위치결정홀(693) 및 고정홀(694)이 마련된다. 하부프레임(60)에는 위치결정홀(693)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보스(67)와, 고정홀(694)과 연통되어 체결부재(미도시), 예를 들어 스크류가 체결되는 체결홀(68)이 마련된다.
규제부재(6)가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되고, 현상롤러(3)가 하부프레임(60)에 결합된다. 블레이드부(692)의 단부(696)는 현상롤러(3)의 외주에 접촉된다. 상부씰링부재(부착식 씰링부재(830) 또는 발포탄성체(840))는 블레이드부(692)의 내측면(695)에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810), 즉 개구(10)의 상측 가장자리로의 토너누출이 차단된다.
도 7 및 도 10을 보면, 상부프레임(80)의 선단부(810)는 "L"자 형태일 수 있다. 상부씰링부재가 선단부(810)에 설치된 후에 규제부재(6)가 하부프레임(60)에 조립된다. 이 때, 블레이드부(692)가 상부씰링부재와 접촉되면서 상부씰링부재를 아래쪽으로 밀어서 상부씰링부재가 아래쪽으로 밀려서 부착위치를 벗어나거나 선단부(810)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L"자 형태의 선단부(810)는 규제부재(6)와의 간섭에 의하여 상부씰링부재가 부착위치를 벗어나거나 선단부(810)로부터 떨어지 않도록 상부씰링부재를 지지한다. 또, "L"자 형태의 선단부(810)는 발포탄성체(840)를 형성하기 위하여 발포액이 선단부(810)에 도포될 때에, 발포액이 아래쪽으로 흘러서 현상기(100) 내부를 오염시키지 않도록 가로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씰링부재(630)의 일면은 현상롤러(3)의 외주 및 블레이드부(692)의 내측면(695)에 접촉되고, 그 반대면은 하부프레임(60)에 접 촉된다. 이에 의하여 개구(10)의 측부 가장자리로의 토너노출이 차단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69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제2측부씰링부재(6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부씰링부재(640)는 예를 들어, 스펀지, 펠트 등으로 제조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블레이드부(692)의 내측면(695)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측부씰링부재(640)는 측부씰링부재(630)와 접촉되어 측부씰링부재(630)의 씰링효과를 증진시킨다. 더불어, 제2측부씰링부재(640)는 측부씰링부재(630) 및 상부씰링부재(830 또는 840)의 양단부와 중첩되어, 측부씰링부재(630)와 상부씰링부재(830 또는 840)의 양단부가 만나는 부분(도 8의 참조부호 C로 표시된 부분)에서의 씰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즉, 현상기(100)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사용될 때에는 교반기(8)에 의하여 토너가 현상롤러(3) 쪽으로 강제로 이송되므로, 토너의 이송압력이 측부씰링부재(630)과 상부씰링부재(830 또는 840)의 양단부가 만나는 부분으로 집중될 수 있다. 제2측부씰링부재(640)는 토너 이송압력에 의하여 측부씰링부재(630)과 상부씰링부재(830 또는 840)의 양단부가 벌어져서 발생될 수 잇는 토너누출을 차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692)에는 제2상부씰링부재(6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상부씰링부재(65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서, 예를 들어, 스펀지, 펠트 등으로 제조되어 양면테이프에 의하여 블레이드부(692)의 내측면(695)에 부착될 수 있다. 제2상부씰링부재(650)의 양단부는 제2측부씰링부재(640)와 중첩될 수 있다. 제2상부씰링부재(650)는 상부씰링부재와 접촉되어 씰링효과를 증진시킨다. 제2상부씰링부재(650)는 상부씰링부재로서 탄성이 발포탄성 체(840)에 비하여 작은 부착식 씰링부재(830)가 채용된 경우에는 씰링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물론, 발포탄성체(840)가 채용된 경우에도 제2상부씰링부재(650)는 씰링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채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부프레임(60)의 하단부(660)에는 하부씰링부재(670)가 마련된다. 하부씰링부재(670)는 탄성을 가진 필름부재일 수 있다. 하부씰링부재(670)는 현상롤러(3)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개구(10)의 하측 가장자리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2에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현상기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보면, 현상기(100)는 도어(701)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 본체(700)에 장착된다. 격벽부재(40)가 구비된 현상기(100)인 경우에는, 현상기(100)를 본체(700)에 장착하기 전에 차단필름(50)을 제거한다.
광주사기(200)는 화상정보에 따라 변조된 광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드럼(1)의 표면에 주사한다. 광주사기(200)로서,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폴리곤미러를 이용하여 주주사방향으로 편향시켜 감광드럼(1)에 주사하는 LSU(laser scanning unit)가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300)는 감광드럼(1)의 표면과 대면되게 위치되어 전사닙을 형성하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300)에는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된다. 전사롤러(300)대신에 코로나 전사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전사롤러(300)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으로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전기 적 인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의 표면에 유지된다. 정착기(400)는 토너화상이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킴으로써 기록매체(P)에 영구적인 인쇄화상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화상형성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대전롤러(2)에 대전바이어스가 인가되고, 감광드럼(1)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다. 광주사기(20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현상기(100)에 마련된 광창(9a)을 통하여 감광드럼(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는 교반기(8)에 의하여 공급롤러(4) 쪽으로 이송되며, 공급롤러(4)는 토너를 현상롤러(3)의 표면에 부착시킨다. 규제부재(6)는 현상롤러(3)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토너층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3)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된다. 현상롤러(3)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닙(D)으로 운반된 토너는 현상바이어스에 의하여 감광드럼(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되어 부착되어 감광드럼(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픽업롤러(502)에 의하여 적재수단(501)으로부터 인출된 기록매체(P)는 이송롤러(503)에 의하여 전사롤러(300)와 감광드럼(1)이 대면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전사롤러(300)에 전사바이어스가 인가되면,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토너화상은 기록매체(P)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이 정착기(400)로부터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P)에 정착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504)에 의하여 배출된다. 기록매체(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7)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수용부(30)에 수용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현상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하부프레임, 격벽부재, 및 상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융착산과 융착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융착산이 융착골이 융착결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융착산과 융착골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하우징, 규제부재, 현상롤러, 및 씰링부재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8은 상부씰링부재로서 부착식 씰링부재를 채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부씰링부재로서 발포탄성체를 채용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상부씰링부재에 의하여 개구의 상측 가장자리가 씰링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1은 측부씰링부재에 의하여 개구의 측부 가장자리가 씰링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감광드럼 2.....대전롤러
3......현상롤러 4......공급롤러
5......클리닝롤러 6......규제부재
7......클리닝 블레이드 8......교반기
9a......광창 10......개구
30......폐토너수용부 40......격벽부재
50......차단필름 60......하부프레임
61, 62......측벽 66......융착산
70......수용프레임 80......상부프레임
82......융착산 90......커버
95......측부프레임 100......현상기
101....하우징 200......광주사기
300......전사기 400......정착기
501......적재수단 502......픽업롤러
503......피드롤러 504......배출롤러
610.....측부 630......측부씰링부재
640......제2측부씰링부재 650......제2상부씰링부재
691......지지부 692......블레이드부
810......상부프레임의 선단 820......몰입부
830......부착식 씰링부재 840......발포탄성체
700......본체 701......도어

Claims (15)

  1. 토너를 수용하며 일측에 개구를 갖는 하우징과, 그 외주에 상기 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토너를 부착시켜 감광드럼으로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으로 공급되는 토너양을 규제하는 규제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현상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의 길이방향의 양 가장자리와 하측 가장자리를 각각 형성하는 양측부와 하단부를 구비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융착결합되며, 상기 개구의 상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상기 선단부으로부터 몰입되어 형성되는 몰입부를 구비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는 상기 상부프레임이 상기 하부프레임에 융착결합될 때에 상기 현상롤러 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상기 몰입부에 접촉되는 제1면을 구비하는 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되는 블레이드부를 구비하는 현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상측 가장자리로의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상부씰링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씰링부재의 양단부 및 상기 측부씰링부재와 중첩되는 제2상부씰링부재가 상기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현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씰링부재는, 상기 선단부에 액상으로 도포되어 발포성형되는 발포탄성체인 현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탄성체는 상기 선단부에 위치되는 제1씰링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와 상기 선단부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제2씰링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인 현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와 상기 선단부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씰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액상의 발포탄성체가 상기 선단부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차단리브를 구비하는 현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부와 상기 차단리브와의 간격은 0.7mm 내지 1.5mm인 현상기.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의 상기 현상롤러와 대면된 면에 마련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와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양측 가장자리로의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측부씰링부재;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현상롤러의 외주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되어 상기 개구의 하측 가장자리를 통한 토너누출을 차단하는 하부씰링부재;를 포함하는 현상기.
  10.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상부씰링부재 및 상기 측부씰링부재와 중첩되어 상기 상부씰링부재와 상기 측부씰링부재 사이로 토너누출을 방지하는 제2측부씰링부재가 마련된 현상기.
  11.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상기 규제부재에 의하여 상기 상부씰링부재가 하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L"자 형상인 현상기.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개구를 제외한 토너 수용 공간을 에워싸는 융착산과 융착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융착산과 융착골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현상기.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기;
    상기 감광드럼에 화상신호에 따라 변조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기;
    상기 감광드럼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시키는 전사기;
    상기 기록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토너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그 단면이 "L"자 형상인 화상형성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개구를 제외한 토너 수용 공간을 에워싸는 융착산과 융착골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융착산과 융착골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KR1020090064946A 2009-07-16 2009-07-16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KR101116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6A KR101116618B1 (ko) 2009-07-16 2009-07-16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12/723,928 US8335451B2 (en) 2009-07-16 2010-03-15 Developing device to prevent toner leak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T10158782T ATE547747T1 (de) 2009-07-16 2010-03-31 Entwicklungsvorrichtung und bilderzeugungsvorrichtung damit
EP10158782A EP2275876B1 (en) 2009-07-16 2010-03-31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0202638813U CN201773271U (zh) 2009-07-16 2010-07-16 显影装置和包括该显影装置的图像形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946A KR101116618B1 (ko) 2009-07-16 2009-07-16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28A true KR20110007428A (ko) 2011-01-24
KR101116618B1 KR101116618B1 (ko) 2012-03-08

Family

ID=4266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946A KR101116618B1 (ko) 2009-07-16 2009-07-16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35451B2 (ko)
EP (1) EP2275876B1 (ko)
KR (1) KR101116618B1 (ko)
CN (1) CN201773271U (ko)
AT (1) ATE547747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942A (ko) * 2018-04-05 2019-10-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지지 유닛,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감광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지지 유닛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247B2 (ja) * 2012-06-0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2016142869A (ja) * 2015-01-30 2016-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16142871A (ja) 2015-01-30 2016-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679416B2 (ja) * 2016-05-31 2020-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255218B2 (ja) * 2019-02-13 2023-04-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255229B2 (ja) * 2019-02-19 2023-04-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93926B2 (ja) * 2019-07-11 2023-06-2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8440B1 (ja) * 2000-03-07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1255741A (ja) 2000-03-09 2001-09-21 Canon Inc 仕切り部材及びシール部品及び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45877B2 (ja) * 2000-04-21 2010-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その溶着接合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139904A (ja) * 2000-10-31 2002-05-1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725058B2 (en) 2007-09-14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942A (ko) * 2018-04-05 2019-10-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지지 유닛, 현상제 용기, 현상 장치, 감광체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지지 유닛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47747T1 (de) 2012-03-15
KR101116618B1 (ko) 2012-03-08
US20110013929A1 (en) 2011-01-20
EP2275876A1 (en) 2011-01-19
US8335451B2 (en) 2012-12-18
EP2275876B1 (en) 2012-02-29
CN201773271U (zh)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618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9632451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unit
JP4345989B1 (ja) 現像装置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28013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028039A1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O2013069807A1 (en) Cartridge and unit, seal member and blade member
US6266502B1 (en) Process cartridge with cleaning frame having reinforcing member
US9213266B2 (en) Development apparatus and cartridge with sealing member to prevent leakage of developer
KR101151399B1 (ko)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US8437680B2 (en)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4448122B2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140133882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422908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826765B2 (en) Develop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er container with sealing mechanism providing enhanced usability
US6181898B1 (en) Developing apparatus
US8355649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151228A (ja) 現像装置
JP2021107867A (ja) 現像装置
JP6650957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072176A (ja)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140286673A1 (en) Development device,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49043A (ja) 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KR20190121746A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10221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