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1746A -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1746A
KR20190121746A KR1020190130923A KR20190130923A KR20190121746A KR 20190121746 A KR20190121746 A KR 20190121746A KR 1020190130923 A KR1020190130923 A KR 1020190130923A KR 20190130923 A KR20190130923 A KR 20190130923A KR 20190121746 A KR20190121746 A KR 20190121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developing
waste toner
photosensitive drum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824B1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130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824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현상 카트리지는,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감광드럼의 단부를 통한 폐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와,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공간과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과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제1부착면의 상류측 경계를 형성하는 측벽이 마련된 감광 프레임을 포함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는 측벽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구비하며, 대향면에는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Development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dapting the same}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현상기는 토너(현상제)를 수용하며, 토너를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구비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며,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현상 카트리지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 부재, 예를 들어 감광 드럼, 현상롤러 등을 구비한다. 하우징에는 토너가 수용된다. 토너가 하우징 외부로 누출되면, 화상형성장치 내부를 오염시킨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에는 토너가 하우징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씰링 구조가 채용된다.
안정적인 씰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으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단부를 통한 상기 폐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 상기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공간과,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과,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부착면의 상류측 경계를 형성하는 측벽이 마련된 감광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는, 상기 측벽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현상실을 구비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실로부터 토너를 인출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는, 탄성을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층과, 상기 몸체와 상기 양면 테이프층 사이에 연성을 가진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면 테이프층에는 다수의 칼집이 마련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전술한 현상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안정적인 씰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현상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감광 프레임을 도 2의 A1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1-B1' 단면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의 부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B2-B2' 단면도이다.
도 7a은 씰링을 위한 제1부착면과 측벽의 형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결합 상태에 따른 하단 씰링 부재와 제1측부 씰링부재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 씰링 부재와 제1측부 씰링부재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측부 씰링부재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1측부 씰링부재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 매체(P)에 칼라화상을 인쇄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는 본체(1)에 착탈된다. 본체(1)에는 노광기(13), 전사기, 및 정착기(1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에는 화상이 형성될 기록매체(P)를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유닛이 마련된다.
칼라 인쇄를 위하여,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2)는 예를 들어,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4 개의 현상 카트리지(2)를 포함할 수 있다. 4 개의 현상 카트리지(2)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현상제, 예를 들어 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는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에 각각 수용되고, 4 개의 토너 공급 용기로부터 4 개의 현상 카트리지(2)로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공급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 개의 현상 카트리지(2)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며, 특별히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참조부호에 C, M, Y, K가 붙은 경우에는 각각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2)는 일체형 현상 카트리지이다. 현상 카트리지(2C)(2M)(2Y)(2K)는 도시되지 않은 도어를 통하여 본체(1)에 착탈될 수 있다. 도 2는 현상 카트리지(2)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상 카트리지(2)는 감광유닛(100)과 현상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감광 유닛(100)은 감광드럼(21)을 포함한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감광유닛(100)은 대전롤러(23)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부재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하, 클리닝 블레이드(25)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제거된 토너와 이물질을 폐토너라 한다. 폐토너는 폐토너 수용부(26)에 수용된다.
현상 유닛(200)는 토너 수용부(203)를 구비한다. 현상유닛(200)은 토너 수용부(203)에 수용된 토너를 감광드럼(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현상 카트리지(200)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롤러(22)는 토너를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22)에는 토너를 감광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현상닙(N)을 형성하는 접촉 현상방식에 채용된다. 공급롤러(27)는 토너 수용부(201)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롤러(27)에는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현상유닛(200)은 현상롤러(2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서로 접촉된 현상닙(N)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부재(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규제부재(28)는 예를 들어,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닥터 블레이드일 수 있다. 현상 유닛(200)은 규제부재(28)의 반대쪽, 다시 말하면 현상롤러(2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규제부재(28)의 하류측에서 현상롤러(22)에 접촉되어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는 하단 씰링부재(2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하단 씰링부재(29)는 예를 들어 현상롤러(22)에 접촉되는 필름일 수 있다.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3)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사기는 중간전사벨트(31)와, 1차전사롤러(32)와, 2차전사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31)에는 각 현상 카트리지(2C)(2M)(2Y)(2K)의 감광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일시적으로 전사된다. 중간전사벨트(31)는 지지 롤러(34)(35)(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순환 주행된다. 중간전사벨트(31)를 사이에 두고 각 현상 카트리지(2C)(2M)(2Y)(2K)의 감광드럼(21)과 대면되는 위치에 4개의 1차전사롤러(32)가 배치된다. 4 개의 1차전사롤러(32)에는 감광드럼(21) 상에 현상된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31)로 1차전사시키기 위한 1차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1차전사롤러(32)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2차전사롤러(33)는 중간전사벨트(31)와 대면되게 위치된다. 2차전사롤러(33)에는 중간전사벨트(31)에 1차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2차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도시되지 않은 호스트 등으로부터 인쇄명령이 수신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미도시)는 대전롤러(23)를 이용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킨다. 노광기(13)는 각 색상의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4 개의 광빔을 현상 카트리지(2C)(2M)(2Y)(2K)의 감광드럼(21)으로 주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 카트리지(2C)(2M)(2Y)(2K)의 현상롤러(22)는 대응되는 감광드럼(21)에 각각 C, M, Y, K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된 토너화상들은 중간전사벨트(31)로 1차전사된다. 적재대(17)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한 장씩 인출되며, 피드롤러(18)에 의하여 2차전사롤러(33)와 중간전사벨트(31)에 의하여 형성된 전사닙으로 이송된다. 2차전사롤러(33)에 인가되는 2차전사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중간전사벨트(31) 위에 1차전사된 토너화상들은 기록매체(P)로 2차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15)를 통과하면, 토너화상들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광유닛(100)은 감광 프레임(101)을 구비한다. 도 3은 감광 프레임(101)을 도 2의 A1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감광 드럼(21), 대전롤러(23), 클리닝 블레이드(25),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감광 프레임(101)에 지지된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되어 전사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긁어내린다. 폐토너는 감광 프레임(101)에 마련된 폐토너 수용 공간(26)에 수용된다.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는 클리닝 블레이드(25)의 반대쪽, 다시 말하면, 감광드럼(2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클리닝 블레이트(25)의 상류측에서 감광드럼(21)에 접촉되어 폐토너의 누출을 방지한다.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는 예를 들어 감광드럼(21)에 접촉되는 필름일 수 있다.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는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된다.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의 단부를 통하여 폐토너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마련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도록 감광 프레임(101)에 설치된다. 도 3에는 하나의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도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감광 프레임(101)에 설치될 수 있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와 감광드럼(21)의 접촉 영역은, 감광드럼(21)의 원주방향으로, 클리닝 블레이드(25)의 일단부가 접촉되는 부분과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가 접촉되는 부분 사이의 영역을 포함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클리닝 블레이드(25) 및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와 중첩된다. 폐ㅌ토토너 수용공간(26)은 클리닝 블레이드(25),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 및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24)에 의하여 씰링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감광 프레임(101)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B1-B1'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감광 프레임(101)에는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24)가 부착되는 제2부착면(102)과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103)이 마련된다. 제1부착면(103)은 제2부착면(102)으로부터 오목하게 단차진다. 측벽(104)은 제2부착면(102)과 제1부착면(103)의 경계를 형성한다. 측벽(104)은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감광드럼(21)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면, 제2부착면(102)은 제1부착면(103)의 상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측벽(104)은 감광드럼(21)의 회전방향으로 기준으로 하여 제1부착면(103)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제1부착면(103)의 상류측 경계를 형성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바닥면(111)에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을 제1부착면(103)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113)이 마련된다. 접착층(113)은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부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측벽(104)과, 측벽(104)에 대향하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대향면(11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어야 한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를 제1부착면(103)에 부착할 때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3)이 측벽(104)에 먼저 접촉되면 접착층(113)이 측벽(104)에 부분적으로 먼저 부착되어 측벽(104)과 제1부착면(103)이 만나는 모서리부(106)에 틈새(S1)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측벽(104)과 대향면(112)이 서로 접촉되기 전에 접착층(113)이 제1부착면(103)에 접촉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04)과 대향면(112) 사이에 틈새(S2)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를 감광 프레임(101)에 부착하는 공정은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와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를 부착하는 장비의 높은 정밀도를 필요로 하며, 폐토너 수용 공간(26)의 씰링 안정성이 확보되기 어렵다. 따라서, 폐토너 수용 공간(26)의 씰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일 예로서, 씰링 구조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형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6a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B2-B2' 단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대향면(112)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4)를 구비한다. 돌출부(114)는 두께 방향으로는 전체적으로 돌출되고, 폭방향, 즉 감광드럼(21)의 길이방향으로는 부분적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돌출부(114)의 대향면(112)으로부터의 돌출량은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탄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4)의 대향면(112)으로부터의 돌출량은 1.5mm 이하일 수 있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돌출부(114)가 측벽(102)에 접촉되어 압축되도록 제1부착면(103)에 부착된다. 돌출부(114)가 측벽(104)에 접촉되어 자연스럽게 압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부(114)는 제1부착면(103)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접착층(113)은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바닥면(111) 중 돌출부(114)에 대응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를 제1부착면(103)에 부착할 때에 돌출부(114)가 먼저 측벽(104)에 접촉되므로 접착층(113)이 측벽(104)에 부착되어 틈새(도 5b: S1)가 생기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의 대향면(112)이 측벽(104)으로부터 다소 이격되게 제1부착면(103)에 부착되더라도 도 5c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4)가 측벽(102)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틈새(S2)가 생기지 않는다.
도 6a에는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114)가 도시되어 있으나, 돌출부(114)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4)는 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감광드럼(21)의 외주에 접촉되는 펠트층(115)과,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층(116)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씰링 구조는 제1부착면(103)과 측벽(104)의 형상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a은 씰링을 위한 제1부착면(103)과 측벽(104)의 형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측벽(104)과 제1부착면(103)이 만나는 모서리부(106)에 측벽(104)과 제2부착면(102)을 연결하는 연결부(105)가 마련된다. 연결부(105)의 높이는 측벽(104)의 높이보다 낮다. 연결부(105)는 측벽(104)과 제2부착면(102)을 비스듬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113)이 측벽(104)에 먼저 부착되더라도 일부가 연결부(105)에도 부착된다. 따라서, 틈새(도 5c: S1)가 연결부(105)에 의하여 차단되어 틈새(도 5c: S1)를 통한 폐토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105)의 폭은 예를 들어 1~3mm 정도일 수 있다. 연결부(105)는 측벽(104)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는 돌출부(114)가 없는 구조도 가능하며, 돌출부(114)가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돌출부(114)가 있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적용되는 경우, 돌출부(114)와 연결부(105)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돌출부(114)가 있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110)가 적용되는 경우, 측벽(104)과 대향면(112) 사이의 틈새(도 5c: S2)는 돌출부(114)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으며, 측벽(104)과 제1부착면(103)이 만나는 모서리부(106)의 틈새(도 5b: S1)는 연결부(105)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폐토너 수용 공간(26)의 씰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폐토너 수용공간(26)의 씰링을 위한 구조에 관한 전술한 실시예는 회전 부재의 측부를 통한 분말상의 물질, 예를 들어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현상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상 카트리지는 회전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를 씰링하는 씰링부재와, 상기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과 상기 제1부착면의 경계를 이루는 측벽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측벽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다. 여기서 회전부재는 예를 들어 현상롤러(22), 대전롤러(23), 공급롤러(27)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현상유닛(200)은 현상 프레임(201)을 구비한다. 현상롤러(22), 공급롤러(27), 규제부재(28), 하단 씰링부재(29)는 현상 프레임(201)에 지지된다. 현상 프레임(201)은 토너 수용부(203)와 현상부(202)를 정의한다. 토너 수용부(203)와 현상부(202)는 개구(204)에 의하여 서로 연통된다. 토너 수용부(203)에 수용된 토너는 개구(204)를 통하여 현상부(202)로 운반된다. 현상롤러(22), 공급롤러(27), 규제부재(28), 하단 씰링부재(29)는 현상부(202)에 설치된다. 현상실(202)은 감광드럼(21)을 향하여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에 현상롤러(22)가 설치된다. 현상롤러(222)의 외주는 일부는 현상실(202)의 내부에 위치되며, 일부는 현상실(202)의 외부에 위치된다. 현상실(202)에 수용된 토너는 현상롤러(22)의 외주에 부착되며, 현상롤러(22)가 회전됨에 따라 현상실(202)로부터 외부로 운반된다.
규제부재(28)는 탄성을 가진 금속 블레이드로서, 일단부가 현상롤러(21)의 외주에 접촉된다. 하단 씰링 부재(29)는 탄성을 가진 필름부재로서, 현상롤러(22)의 외주에 접촉된다. 현상롤러(2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단 씰링부재(29)는 규제부재(28)보다 하류측에 위치된다. 즉, 현상롤러(22)의 외주 중에서 규제부재(28)의 일단부가 접촉되는 부분과 하단 씰링부재(29)가 접촉되는 부분 사이의 영역이 현상실(202)의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실(202)의 현상롤러(22)의 회전 방향으로의 씰링은, 규제부재(28)와, 현상롤러(22)의 현상실(202)의 외부로 노출된 외주와, 하단 씰링부재(29)에 의하여 구현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규제 부재(28)와 현상 프레임(201) 사이에는 토너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씰링 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
이제,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실을 구비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실로부터 토너를 인출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 프레임의 제1안착면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안착면의 일측 경계를 이루는 상기 길이방향의 측벽과 상기 측벽에 대향하는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단부 사이의 틈새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탄성을 가진 제2측부 씰링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부 씰링부재는,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상기 단부에 인접하는 내측부에 접촉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상기 단부를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측부 씰링부재는,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의 상기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3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실을 구비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실로부터 토너를 인출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 프레임은, 서로 결합되어 상기 현상실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안착면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걸쳐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현상 카트리지(2)는, 현상실을 구비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실로부터 토너를 인출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는, 탄성을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층과, 상기 몸체와 상기 양면 테이프층 사이에 연성을 가진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면 테이프층에는 다수의 칼집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설명한다.
도 8은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의 토너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 구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현상유닛(200)은 제1, 제2측부 씰링부재(210)(220)를 구비한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는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된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는 현상롤러(22)의 외주 중에서 현상실(202)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에 접촉된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하단 씰링부재(29)는 제1, 제2측부 씰링부재(210)(220)와 중첩된다. 도 8에는 하나의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 하나의 제2측부 씰링부재(220)가 도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접촉되도록 현상 프레임(20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측부 씰링부재(210)에 각각 대응되는 한 쌍의 제2측부 씰링부재(220)가 현상 프레임(201)에 설치될 수 있다.
현상 프레임(201)에는 하단 씰링부재(29)가 부착되는 하단 부착면(231)이 마련된다. 현상 프레임(201)에는 제1안착면(232)과 제2안착면(233)이 마련된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는 제1안착면(232)에 부착된다. 제1안착면(232)은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부착된 때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질 수 있도록 곡면부를 구비한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제2안착면(233)에 설치된다. 제1안착면(231)과 제2안착면(232)은 하단 부착면(231)에 대하여 오목하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제2측부 씰링부재(210)(220)가 각각 제1, 제2안착면(232)(233)에 설치되고, 하단 씰링부재(29)가 하단 부착면(231)에 부착되면, 하단 씰링부재(29)는 위쪽으로부터 제1, 제2측부 씰링부재(210)(220)를 부분적으로 누르게 된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하단 부착면(231)과 제1안착면(232)의 경계를 이루는 측벽(234)과, 측벽(234)에 대향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 사이에 틈새가 생겨서 이 틈새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234)는 제1안착면(232)의 일측, 예를 들어 현상롤러(2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하류측의 경계를 형성하며,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현상롤러(22)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류측은 규제부재(28)가 위치된 쪽이며, 하류측은 하단 씰링부재(29)가 위치된 쪽이다.
제2안착면(233)과 부착면(231) 사이의 측벽(235)은 측벽(234)보다 하단 부착면(231)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내측에 위치되고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에 인접하는 내측부(212)에 접촉되는 제1부분(221)과, 제1부분(221)으로부터 현상롤러(22)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제2부분(222)을 구비한다. 제2부분(222)은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하단 씰링부재(29) 쪽의 단부(211)를 따라 연장되며, 단부(211)에 접촉된다. 이에 의하여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이 되며, 단부(211)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에워싸는 형상이 된다.
제2부분(222)에는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를 향하여 돌출된 제3부분(223)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제3부분(223)이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에 접촉되어 압축되도록 제2안착면(233)에 설치된다.
일 예로서,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제2안착면(233)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부분(223)의 압축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제3부분(223)은 제2안착면(233)에 부착되지 않는다.
일 예로서,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제2안착면(233)에 압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부 씰링부재(220)의 크기는 제2안착면(233)보다 약간, 예를 들어 약 0.3mm 정도 크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스펀지일 수 있다. 제2측부 씰링부재(220)의 경도는 예를 들어 shore 00 경도 28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크기의 제2측부 씰링부재(220)를 제2안착면(233)에 압입한 후에 하단 씰링부재(29)를 부착면(231)에 부착하면, 제2측부 씰링부재(220)가 제2안착면(233)에 안착될 수 있다.
제1부분(221)과 제2부분(222)을 구비하는 제2측부 씰링부재(220)는 전체적으로 "L"자 형상이 되며, 단부(211)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에워싸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측벽(234)과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 사이에 틈새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3부분(223)을 더 구비하는 제2측부 씰링부재(220)에 따르면, 제3부분(223)이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에 눌려서 압축된다. 또한, 제2측부 씰링부재(220)의 제2부분(222)은 측벽(235)에 가압되어 접촉된다. 따라서, 측벽(234)과,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부(211) 사이의 틈새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과 도 9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3부분(223)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3부분(22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형, 반원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제3부분(233)은 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2와 도 8을 참조하면, 현상 프레임(201)은 현상실(202)과 토너 수용부(203)의 상부벽과 측벽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08)과, 현상실(202)과 토너 수용부(203)의 하부벽을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209)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은 예를 들어 초음파 융착 방식 또는 진동 융착 방식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안착면(232)은 상부 프레임(208)에 위치되는 제1영역(232-1)과 하부 프레임(209)에 위치되는 제2영역(23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영역(232-1)과 제2영역(232-2)은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의 경계부(207)에 의하여 서로 구분된다. 하단 부착면(231)과 제2안착면(233)은 하부 프레임(209)에 마련된다. 즉, 제1안착면(232)의 적어도 일부와 하단 부착면(231)은 하부 프레임(209)에 마련된다. 제2영역(232-2)과 제2안착면(233)은 동일면일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제2측부 씰링부재(210)(220) 사이의 단차를 없앨 수 있어, 안정적인 씰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제2영역(232-2)과 제2안착면(233)이 동일면이라 함은, 제2영역(232-2)과 제2안착면(233)이 동일한 평면인 경우만의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단차가 없는 단일의 곡면인 경우를 포함한다.
제1안착면(232)이 전체적으로 상부 프레임(208)에 위치되도록 경계부(207)가 설정되면,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의 결합 상태에 따라서 하단 씰링 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의 접촉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의 결합 상태에 따른 하단 씰링 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상부 프레임(208)이 하부 프레임(209)과 결합될 때에 융착량이 부족하면 상부 프레임(208)이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두께 방향으로 위쪽으로 튀어나오게 된다. 그러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씰링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의 중첩량이 과도해지고, 하단 씰링부재(29)가 위쪽으로 들뜨게 되며, 하단 씰링부재(29)가 제1측부 씰링부재(21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상부 프레임(208)이 하부 프레임(209)과 결합될 때에 융착량이 과도하면 상부 프레임(208)이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두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면, 하단 씰링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의 중첩량이 너무 작아져서 하단 씰링부재(29)가 제1측부 씰링부재(210)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지 못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씰링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단 씰링 부재(29)와 제1측부 씰링부재(210)와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안착면(232)은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에 걸쳐서 형성된다. 즉, 경계부(207)는 제1안착면(232)의 제2영역(232-2)이 하부 프레임(209)에 마련되도록 결정된다. 제2영역(232-2)과 하단 부착면(231) 사이의 단차량은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의 융착량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의 결합 상태, 즉 상부 프레임(208)과 하부 프레임(209)과의 융착량이 변하더라도 제2영역(232-2)과 하단 부착면(231) 사이의 단차량은 일정하며, 하단 씰링부재(29)가 제1측부 씰링부재(210)에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는다. 경계부(207)를 통한 토너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계부(207)에는 경계 씰링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 씰링부재(230)는 경계부(207)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08)의 일면 또는 하부 프레임(209)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경계 씰링부재(230)는 예를 들어 스펀지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경계 씰링부재(230)의 제1안착면(232) 쪽의 단부는 제1안착면(232)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제1안착면(232)으로부터 약간 돌출될 수 있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제1안착면(232)에 안착되면 탄성을 가진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경계 씰링부재(230)에 의하여 압축되면서 제1안착면(232)과 경계 씰링부재(210) 사이의 단차를 보상한다.
도 12는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측부 씰링부재(210)는 현상롤러(22)와 접촉되는 제1면(210a)과 그 반대쪽인 제2면(210b)을 구비한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현상 프레임(201)에 부착될 때에 제1면(210a)쪽이 오목한 형상이 되도록 구부러지는데, 이때 두께 방향의 중립면을 기준으로 하여 제1면(210a)은 압축되고 제2면(210b)은 인장된다. 제2면(210b)이 자연스럽게 인장되지 않으면 제2면(210a)에 주름이 생기고, 현상롤러(22)의 표면과 제1면(210a)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1측부 씰링부재(210)에 따르면, 제2면(210b)에 다수의 칼집(cutting scars)(219)이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구부러질 때에 다수의 칼집(219)이 벌어지면서 제2면(210b)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제1면(210a)에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은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측부 씰링부재(210)는 탄성을 가진 몸체(210c)와, 몸체(210c)를 제1안착면(232)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층(210-4)을 포함한다. 몸체(210c)는 현상롤러(22)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층(210-1)과, 탄성층(2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층(210-1)은 현상롤러(22)의 외주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펠트층일 수 있다. 탄성층(210-2)은 스펀지 등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며, 제1측부 씰링부재(210)에 탄성을 부여한다. 접촉층(210-1)과 탄성층(210-2)은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층(210-3)에 의하여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최하단의 양면 테이프층(210-4)은 제1측부 씰링부재(210)를 제1안착면(232)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양면 테이프층(210-4)은 부직포층(210-4b)과, 부직포층(210-4b)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1, 제2접착층(210-4a)(210-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현상 프레임(201)에 부착될 때에 탄성층(210-2)이 인장되어야 하는데, 양면 테이프층(210-4)이 탄성층(210-2)에 붙어있기 때문에 탄성층(210-2)이 잘 인장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양면 테이프층(210-4)의 부직포층(210-4b)이 인장되지 않으므로 탄성층(210-2) 역시 인장되지 않는다. 그러면, 제1면(210a) 쪽에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칼집(219)은 제2면(210b)으로부터 양면 테이프층(210-4)까지 형성된다. 칼집(219)에 의하여 부직포층(210-4b)이 끊어져 있으므로 탄성층(210-2)이 용이하게 인장되고,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탄성층(210-2)이 다수의 칼집(219)이 형성된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인장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곡면으로 구부러진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인장된다. 그러면, 탄성층(210-2)이 찢어지면서 찢어진 틈새로 토너가 누출될 수 있다. 탄성층(210-2)으로서 고밀도 폐쇄셀(closed cell) 스펀지를 사용하면,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경도가 높아서 현상롤러(22)와의 접촉 압력이 커질 수 있다. 그러면, 제1면(210a)과 현상롤러(22)의 표면 사이로 인입된 토너가 마찰열에 의하여 녹았다가 다시 고화되면서 현상롤러(22)의 외주에 들러붙을 수 있다. 이는 현상롤러(22)의 회전 부하 증가, 제1측부 씰링부재(210)의 제1면(210a)의 손상 및 이로 인한 토너 누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탄성층(210-2)으로서 저밀도 폐쇄셀(closed cell) 스펀지를 사용하면, 탄성층(210-2)의 파손 위험이 높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층(210-2)과 양면 테이프층(210-4) 사이에 연성을 가진 지지층(210-5)이 개재된다. 지지층(210-5)은 예를 들어 접착층일 수 있다. 지지층(210-5)은 예를 들어 부직포층(210-4b)가 없는 양면 테이프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지지층(210-5)는 연성을 가지므로, 탄성층(210-2)의 인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층(210-2)이 용이하게 인장될 수 있으며, 제1측부 씰링부재(210)가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지지층(210-5)은 탄성층(210-2)을 지지하여 탄성층(210-2)이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본체 2...현상 카트리지
13...광주사기 15...정착기
17...적재대 21...감광드럼
22...현상롤러 23...대전롤러
24...하단 폐토너 씰링부재 25...클리닝 블레이드
26...폐토너 수용 공간 27...공급롤러
28...규제부재 29...하단 씰링부재
31...중간전사벨트 32...중간전사롤러
33...전사롤러 40...구동 모터
100...감광유닛 101...감광 프레임
102...제2부착면 103...제1부착면
104...측벽 105...연결부
110...측부 폐토너 씰링부재 114...돌출부
200...현상유닛 201...현상 프레임
202...현상실 208...상부 프레임
209...하부 프레임 210...제1측부 씰링부재
210c...몸체 210-4...양면 테이프층
210-5...지지층 207...경계부
19...칼집 220...제2측부 씰링부재
221, 222, 223...제1, 제2, 제3부분
231...하단 부착면 232, 233...제1, 제2안착면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으로부터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
    상기 감광드럼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감광드럼의 단부를 통한 상기 폐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
    상기 폐토너를 수용하는 폐토너 수용공간과,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과,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부착면의 상류측 경계를 형성하는 측벽이 마련된 감광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는, 상기 측벽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접착층이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제1부착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상기 측벽과 상기 제1부착면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현상 카트리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는 서로 중첩되는 현상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상류측에 위치되며, 상기 감광 프레임에 부착되고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에 접촉되어 상기 클리닝 부재, 상기 측부 폐토너 씰링부재와 함께 상기 폐토너 수용공간을 씰링하는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프레임에는 상기 하단 폐토너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2부착면이 마련되며,
    상기 제1부착면은 상기 제2부착면으로부터 오목하게 단차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제1부착면과 상기 제2부착면의 경계를 형성하는 현상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현상실을 구비하는 현상 프레임;
    상기 현상 프레임에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상기 현상실로부터 토너를 인출하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되며, 상기 현상롤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현상롤러의 단부를 통한 토너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측부 씰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부 씰링부재는, 탄성을 가진 몸체와, 상기 몸체를 상기 현상 프레임에 부착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층과, 상기 몸체와 상기 양면 테이프층 사이에 연성을 가진 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양면 테이프층에는 다수의 칼집이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테이프층은 부직포층과, 상기 부직포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제1, 제2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칼집은 상기 부직포층과 상기 제1, 제2접착층에 형성되는 현상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몸체와 상기 양면 테이프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현상 카트리지.
  11.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현상 카트리지로서,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를 씰링하는 씰링 부재;
    상기 씰링부재가 부착되는 제1부착면과 상기 제1부착면의 경계를 이루는 측벽을 구비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측벽과 대향되는 대향면을 구비하며 상기 대향면에는 상기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접착층이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제1부착면이 만나는 모서리부에는 상기 측벽과 상기 제1부착면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마련된 현상 카트리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 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시키는 현상 롤러, 상기 감광 드럼이 균일한 표면 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 토너를 상기 현상 롤러에 공급하는 공급 롤러 중 하나인 현상 카트리지.
  15.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90130923A 2019-10-21 2019-10-21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7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23A KR102079824B1 (ko) 2019-10-21 2019-10-21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923A KR102079824B1 (ko) 2019-10-21 2019-10-21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343A Division KR102079823B1 (ko) 2017-01-19 2017-01-19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46A true KR20190121746A (ko) 2019-10-28
KR102079824B1 KR102079824B1 (ko) 2020-02-20

Family

ID=6842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923A KR102079824B1 (ko) 2019-10-21 2019-10-21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8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926A (ja) * 1998-10-28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28235A (ja) * 2002-02-06 2003-08-15 Canon Inc 現像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30084098A1 (en) * 2011-10-03 2013-04-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JP2014056176A (ja) * 2012-09-13 2014-03-27 Canon Inc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140093270A1 (en) * 2012-10-01 2014-04-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1926A (ja) * 1998-10-28 2000-05-12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228235A (ja) * 2002-02-06 2003-08-15 Canon Inc 現像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シール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30084098A1 (en) * 2011-10-03 2013-04-0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cleaning device
JP2014056176A (ja) * 2012-09-13 2014-03-27 Canon Inc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20140093270A1 (en) * 2012-10-01 2014-04-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824B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444B2 (en) Clean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00521A (ko) 제어보드를 내장한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90669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
KR20070113947A (ko) 토너 수용기 및 토너 충전 방법
US8335451B2 (en) Developing device to prevent toner leaka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221569B2 (en) Development cartridge having sealing member
US8139976B2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027613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079824B1 (ko)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900077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40133882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030558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US11556078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1550238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10488785B2 (en) Develop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WO2023277961A1 (en) Intermediate transfer belt assembly with foreign substance container
JP4139040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0677556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JP2021110799A (ja) 被覆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617021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