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20A -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20A
KR20110005120A KR1020090062653A KR20090062653A KR20110005120A KR 20110005120 A KR20110005120 A KR 20110005120A KR 1020090062653 A KR1020090062653 A KR 1020090062653A KR 20090062653 A KR20090062653 A KR 20090062653A KR 20110005120 A KR20110005120 A KR 20110005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lash memory
nand flash
semiconductor layer
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155B1 (ko
Inventor
박병국
윤장근
박일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2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155B1/ko
Priority to PCT/KR2009/007663 priority patent/WO2011004945A1/ko
Priority to US13/383,097 priority patent/US8766349B2/en
Publication of KR20110005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1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e top-view layo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80Arrangements comprising multiple bistable or multi-stable switching components of the same type on a plane parallel to the substrate, e.g. cross-point array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셀이 직렬로 연결된 비트라인을 수직 적층형태로 쌓고, 여러 층의 비트라인을 감싸며 동시에 공유하도록 워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셀이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GAA) 구조를 갖도록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타구조, 적층 어레이, 낸드, 플래시, 수직채널, 반도체, 메모리

Description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NAND FLASH MEMORY HAVING STACKED ARRAY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 어레이 구조(STAR 구조: STacked ARray 구조, 이하 '스타 구조'라 함)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는 노아 타입보다 고집적에 용이하여,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로 각광을 받고 있으나,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메모리 셀은 대부분 평면형(planar type) 구조이어서, 메모리 어레이를 고집적화 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왔다.
상기 평면형(planar type) 메모리 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직채널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메모리 셀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된 메모리 셀들은 단층의 비트라인과 워드라인 사이에 연결된 것이어서, 종래 메모리 셀로 메모리 어레이를 고집적화 하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는 메모리 셀의 채널에 대한 지배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워드라인을 공유하는 비선택 비트라인에 있는 이웃 셀의 프로그램 간섭 문제와 백-터널링에 의하여 이레이즈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모리 셀이 직렬로 연결된 비트라인을 수직 적층형태로 쌓고, 여러 층의 비트라인을 감싸며 동시에 공유하도록 워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메모리 셀이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GAA) 구조를 갖도록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는 기판 상에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비트라인들과; 상기 각 비트라인과 수직되게 전하저장층을 포함하는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워드라인들 사이를 채우는 층간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반도체층은 상기 각 워드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소스/드레인 역할을 하는 불순물 도핑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워드라인이 지나는 상기 각 반도체층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각 워드라인은 상기 각 반도체층의 외주면을 감싸며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일측에는 상기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 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비트선택라인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타측에는 상기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소스선택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비트선택라인이 감싸는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들 중에서 하나의 동일층에 있는 반도체층들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층들은 감싸지는 부위에 불순물이 도핑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반도체층은 하나의 공통된 바디영역을 갖고, 상기 전하저장층은 질화물층 또는 도전성 물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은, 소정의 기판상에 "적층매개층->반도체층"을 n번 반복 형성시킨 후, n번째 반도체층 상부에 n+1번째 적층매개층을 한번 더 형성시킨 다음,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 상부에 제 1 식각 마스크를 형성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부터 상기 n번 적층된 "반도체층/적층매개층"을 순차 식각하여 기둥 형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비트라인들을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홈충전물질을 증착한 후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다음, 제 2 식각 마스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 사이에 드러난 상기 홈충전물질을 식각하여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상기 제 2 단계의 적층 구조 일부가 드러나게 한 다음,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를 제거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드 러난 적층 구조의 적층매개층을 식각하여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 및 상기 반도체층만 드러나게 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에 전하저장층을 포함하는 절연막층을 형성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한 다음,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후,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를 제거하여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빈 공간에 층간절연막으로 채우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직으로 비트라인을 적층하는 구조이어서 공정이 허용하는 한 얼마든지 고집적이 가능하고, 하나의 워드라인 드라이버로 여러 층의 비트라인을 구동하기 때문에 워드라인 구동 드라이버의 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비트라인을 구성하는 반도체층을 감싸며 워드라인이 교차하게 되어,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메모리 셀은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GAA)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워드라인의 각 셀의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향상시켜 프로그램 속도 향상은 물론 셀프-부스팅(self-boosting) 효과에 의한 이웃 셀의 프로그램 간섭 문제를 해결하였고, 특히, 셀의 전하저장층을 포함하는 절연막층이 곡률반경을 달리하며 형성하게 되어 이레이즈시 전자의 백-터널링을 억제하여 메모리의 이레이즈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효과도 있다.
나아가, 워드라인의 Vpass 전압에 의한 프린징 필드(fringing field)로 셀의 소스/드레인을 형성함으로써, 공정의 단순화는 물론 메모리의 집적도를 높일 수 있고, 불순물 도핑으로 소스/드레인 및 단락 부위를 형성하더라도 반도체층 내부에는 도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각 반도체층에 바디컨택이 가능하게 하여 일괄 이레이즈 동작이 가능하게 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어레이 구조에 관한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기판(100) 상에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220b)(240b)이 적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비트라인들(BLm; BLm1, BLm2)과; 상기 각 비트라인과 수직되게 전하저장층(424)을 포함하는 절연막층(4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220b)(240b)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500; WLn-1, WLn, WLn+1)과; 상기 워드라인들 사이를 채우는 층간절연막(6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비트라인이 기판(100)으로부터 떨어져 수직하게 일정거리 이격되며 하나 이상 적층(즉, 수직으로 2개 이상의 비트라인을 형성)됨으로써, 얼마든지 고집적이 가능하고, 하나의 워드라인 드라이버로 여러 층의 비트라인을 동시에 구동하기 때문에 워드라인 구동 드라이버의 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비트라인들(BLm; BLm1, BLm2)을 구성하는 각 반도체층(220b)(240b)에는 상기 각 워드라인(500; WLn-1, WLn, WLn+1)과 교차되는 위치에 메모리 셀들이 형성되고, 이들은 각 비트라인을 따라 직렬 연결되게 된다.
상기 메모리셀의 소스/드레인은, 도 14와 같이, 워드라인(500)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별도로 주입된 불순물 도핑층(224, 226)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워드라인(500) 사이 간격을 50nm 이하로 줄임으로써 Vpass 전압 인가시 이웃 워드라인의 프린징 필드(fringing field)로 전기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층(4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워드라인(500)이 지나는 상기 각 반도체층(220b)(240b)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각 워드라인(500)은, 도 14와 같이, 상기 각 반도체층(220b)(240b)의 외주면을 감싸며 지나가도록 하여 메모리 셀이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GAA)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 셀이 게이트 올 어라운드(Gate All Around: GAA)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워드라인(500)의 각 셀의 채널에 대한 지배력을 높여 프로그램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셀프-부스팅(self-boosting) 효과에 의한 이웃 셀의 프로그램 간섭(program disturbance)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도 14와 같이, 상기 각 반도체층(220b)(240b)의 단면을 원형으로 할 경우, 셀의 전하저장층(424)을 포함하는 절연막층(420)은 곡률반경을 달리하며 형성하게 된다. 즉, 도 10과 같은 구조에서 드러난 각 반도체층(220b)(240b)에, 도 11과 같이, 터널링산화막(422)/전하저장층(424)/블로킹산화막(426) 순으로 절연막 층(420)을 형성하여, 워드라인(500)과 접하는 블로킹산화막(426) 외측면의 곡률반경이 터널링산화막(422) 내측면의 곡률반경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함으로써, 셀의 이레이즈 동작시 블로킹산화막(426)을 통한 전자의 백-터널링을 억제하여 메모리의 이레이즈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전하저장층(424)은 질화물(nitride)과 같은 전하트랩물질로 형성하여, 메모리 셀을 SONOS 구조나 TANOS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 10과 같이, 칸막이(712, 722)로 분리된 상태에서 절연막층(420)을 형성하므로, 상기 전하저장층(424)을 도전성 물질층(예컨대, 금속)으로 형성하여 메모리 셀이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갖는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직으로 하나 이상 적층된 비트라인들은 별개의 독립적 구동 드라이버로 구동할 수 있으나, 도 15와 같이, 하나의 구동 드라이버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럴경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일측에 절연막층(420)을 사이에 두고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220b)(240b)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비트선택라인들(BSL1, BSL2)을 더 형성하여, 각 적층된 동일층의 비트라인(BLm1((BLm2)만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각 적층된 동일층의 비트라인(예컨대, BLm1)만 온/오프시키기 위해서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각 비트선택라인(예컨대, BSL1)이 감싸는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들(220b, 240b) 중에서 하나의 동일층에 있는 반도체층들(예컨대, 220b와 수평으로 나란한 반도체층들)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층들(예컨대, 240b와 수평으로 나란한 반도체층들)은 감싸지는 부위에 불순물 도핑층(242b)이 형성되도록 하여, 각 비트선택라인(예컨대, BSL1)으로 온/오프시키고자 하는 비트라인(예컨대, BLm1)이 포함된 층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층들은 불순물 도핑으로 단락(short)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락(short)용 불순물 도핑층(222b, 242b)뿐만 아니라 상기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층(224, 226)은, 도 14와 같이, 각 반도체층의 중앙까지 도핑되지 않도록 하여, 하나의 공통된 바디영역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5와 같이, 상기 공통된 바디영역을 통하여 각 반도체층의 바디컨택(BC)이 가능하여, 이레이즈 동작시 블록 단위의 일괄 지우기가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타측에는,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절연막층(420)을 사이에 두고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220b, 240b)을 감싸며 소스선택라인(SSL)이 더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통해 비트라인들이 공통소스라인(CSL)과 전기적 접속을 제어하게 된다.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
다음, 상기 어레이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우선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비트라인들과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며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4와 같이, 소정의 기판(100) 상에 "적층매개층(210)->반도체 층(220)"을 n번 반복 형성시킨 후(도 4에서는 도면 작성 편의상 2번 반복 형성시킴), n번째 반도체층(도 4에서 2번째 반도체층: 240) 상부에 n+1번째 적층매개층(도 4에서 3번째 적층매개층: 250)을 한번 더 형성시킨 다음,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250) 상부에 제 1 식각 마스크(330)를 형성한다(제 1 단계).
여기서,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 및 상기 반도체층(220, 240)의 적층은 단결정 성장을 위한 에피텍시(epitaxy)법에 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은 상기 반도체층(220, 240)을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떨어뜨려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시키며 적층하기 위한 것이고, 차후에 식각시켜 없앤 다음 층간절연막(600)으로 채워 각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기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은 상기 반도체층(220, 240)의 물질과 격자구조가 비슷하여 에피텍시(epitaxy)에 의한 적층이 용이하고, 상기 반도체층(220, 240)의 물질과 식각 선택비가 큰 것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기판(100) 및 상기 반도체층(220, 240)의 물질이 실리콘(Si)이면,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의 물질은 실리콘게르마늄(SiGe)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의 물질은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 및 상기 반도체층(220, 240)과 식각 선택비가 큰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족하나, 상기 적층매개층(210, 230, 250)의 물질이 실리콘게르마늄(SiGe)이고, 상기 반도체층(220, 240)의 물질이 실리콘(Si)일 경우, 질화물(nitride)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매개층(210)->반도체층(220)"을 n번 반복시 n=1일 경우 기판(100) 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단층으로 비트라인들이 배열된 어레이를 제조할 수 있고, n이 2 이상일 경우 수직으로 복수개 적층된 비트라인들을 갖는 어레이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를 이용하여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250)부터 상기 n번 적층된 "반도체층/적층매개층"을 순차 식각하여 기둥 형상의 적층 구조(200a)를 갖는 비트라인들을 형성한다(제 2 단계).
여기서, 상기 기둥 형상의 적층 구조(200a) 형성시 상기 1번째 적층매개층(210)은 식각 공정여유를 줄 수 있다. 즉, 식각시 상기 1번째 적층매개층(210)이 도과되지 않도록 공정조건을 잡을 수 있는 여유가 있다.
이어, 도 6과 같이, 상기 기판 전면에 홈충전물질(700)을 증착한 후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다음, 도 7과 같이, 제 2 식각 마스크(340)를 형성한다(제 3 단계).
여기서, 상기 홈충전물질(700)은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 물질과 식각률(식각 선택비)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물질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판(100) 및 반도체층(220a, 240a) 물질이 실리콘(Si)일 경우 상기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 및 상기 홈충전물질(700)은 모두 실리콘게르마늄(SiGe)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를 질화물로 형성하였을 경우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를 식각 스톱퍼(stopper)로 사용하여 공지의 CMP 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340) 형성은 마스크의 폭(A)이 마스크 사이 간격(B) 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거나, 경사 식각(slope etch)을 이용하여 마스크의 하부 폭이 상부 폭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후자의 경우는 동일한 사진 식각에 의한 분해능으로 마스크 사이의 간격을 형성시켜도, 실제 제 2 식각 마스크(340) 사이의 간격은 더 좁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340) 사이의 간격(B)은 상기 홈충전물질(700)을 식각할 수 있는 틈만 주면되고, 차후 상기 홈충전물질(700)로 형성된 칸막이(710, 720)가 더 식각되면서 칸막이(710, 720) 사이의 폭은 줄어들고 간격은 커지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어, 도 8과 같이,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340)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 사이에 드러난 상기 홈충전물질(700)을 식각하여 홈(715)을 사이에 두며 칸막이(710, 720)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상기 제 2 단계의 적층 구조(200a, 330) 일부가 드러나게 한 다음(돌출된 210a, 220a, 230a, 240a, 250a 참조),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340)를 제거한다(제 4 단계).
이때, 상기 칸막이(710, 720) 형성 공정은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340) 사이로 드러난 상기 홈충전물질(700)이 수직하게 식각되도록 비등방성 식각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9와 같이, 상기 드러난 적층 구조의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을 식각하여 상기 칸막이(712, 722) 양측으로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 및 상기 반도체층(220a, 240a)만 드러나게 한다(제 5 단계).
여기서, 상기 드러난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의 식각은 등방성 식각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홈충전물질(700)로 된 칸막이(710, 720)도 일부 식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홈충전물질(700)을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과 동일한 물질(예: 실리콘게르마늄) 또는 식각률이 서로 유사한 물질로 할 경우 가능하다. 도 9에서 도면부호 712 및 722는 상기 홈충전물질(700)이 상기 적층매개층(210a, 230a, 250a)과 동일한 물질(예: 실리콘게르마늄)로 이루어진 경우, 각 반도체층(220a 또는 240a)을 둘러싸며 칸막이를 형성함을 보여준다.
이어, 도 11과 같이, 상기 칸막이(712 또는 722) 양측으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220b, 240b)에 절연막층(420)을 형성시킨다(제 6 단계).
상기 절연막층(420) 형성 공정은 일예로 터널링산화막(422) 형성->전하저장층(424) 형성->블로킹산화막(426) 형성 순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여기서 전하저장층(424)은 질화물(nitride)과 같은 전하트랩물질로 형성하여, 메모리 셀을 SONOS 구조나 TANOS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칸막이(712, 722)로 분리된 상태에서 절연막층(420)을 형성하므로, 상기 전하저장층(424)을 도전성 물질층(예컨대, 금속)으로 형성하여 메모리 셀이 플로팅 게이트 구조를 갖는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절연막층(420) 형성시, 열산화막 공정을 이용할 경우 실리콘계 물질(예: 실리콘게르마늄)을 사용한 칸막이(712 또는 722)에도 터널링산화막(422) 및/또는 블로킹산화막(426)이 형성될 수 있고, 실리콘으로 된 기판(100)에도 마찬가지이다.
결국, 도 11과 같이, 노출된 구조 전면에 상기 절연막층(4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한 다음,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후, 도 12와 같이,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30)를 제거하여 워드라인들(500)을 형성한다(제 7 단계).
상기 게이트 물질 증착은 도핑된 폴리실리콘 등 실리콘계 물질이나 금속 등으로 상기 칸막이들(712 및 722) 사이를 메꾸며 진행하여, 상기 절연막층(420)이 형성된 각 반도체층(220b 또는 240b)을 둘러싸게 된다.
다음, 상기 칸막이(712 및 722)를 제거하고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빈 공간(716)에, 바로 층간절연막(600)으로 채우거나(프린징 필드로 셀의 소스/드레인을 형성할 경우), 도 13과 같이,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각 반도체층(220b)(240b)에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층(224, 226)을 더 형성한 다음, 도 14와 같이, 상기 층간절연막(600)을 채울 수도 있다(제 8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은 에피텍시(epitaxy)법 또는 플라즈마 방식에 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순물 주입시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상기 각 반도체층의 외주면을 둘러싸며 불순물이 주입되도록 하여, 도 13과 같이, 상기 각 반도체층의 내측에는 바디 영역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불순물 주입은 상기 칸막이(712 및 722) 측면에 형성되었던 절연막층(420)도 제거한 이후에 진행하여, 상기 워드라인들(500)이 실리콘계 물질로 형성되었을 경우, 이에도 불순물 이온 주입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2>
이는,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 5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712, 722) 양측으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을, 도 10의 도면부호 220b 및 240b와 같이, 곡면화시키는 공정이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후 공정에서 원통 구조의 반도체층(220b, 240b)의 표면에 원통형 절연막층(420)이 형성되고(도 11 참조), 상기 원통형 절연막층(420)을 감싸며 게이트 물질이 증착되어 워드라인들(500)이 상기 칸막이(712, 722) 사이로 형성되고(도 12 참조), 상기 칸막이(712, 722) 제거 후 바로 층간 절연막(600)을 채우거나(프린징 필드로 셀의 소스/드레인을 형성할 경우), 상기 칸막이(712, 722) 제거 후 드러난 각 반도체층에 불순물 도핑층으로 소스(224)/드레인(226)을 형성하고(도 13 참조), 상기 칸막이(712, 722) 제거로 생긴 빈 공간에 층간 절연막(600)으로 채워 낸드 어레이를 제조하게 된다(도 14, 15 참조).
상기 제조방법에 따른 장점은 원통 구조의 반도체층(220b, 240b) 형성, 원통형 절연막층(420) 형성, 그리고 상기 원통형 절연막층(420)을 감싸며 상기 칸막이(712, 722) 사이에 워드라인들(500)을 형성할 수 있다는데 있다.
여기서, 도 10과 같이, 상기 칸막이(712, 722) 양측으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220b, 240b)의 표면을, 도 10의 도면부호 220b 및 240b와 같이, 곡면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소 어닐링공정을 이용하거나 실리콘 잠식이 일어나는 산화공정 및 산화막 식각공정을 반복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기타, 공정들은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3>
이는 주로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 및 비트선택라인들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 1 단계의 각 "적층매개층->반도체층" 형성시마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개방된 위치가 다른 도핑 마스크(310, 320)를 형성한 후 드러난 반도체층에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22, 242)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고,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n) 만큼 상기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22, 242)을 각각 지난는 비트선택라인들(BSL1, BSL2)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1과 같이, 기판(100) 상에 "적층매개층(210)->반도체층(220)"를 형성한 다음, 도 2와 같이, 감광막(PR) 등으로 일측만 개방되도록 제 1 도핑 마스크(310)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핑 마스크(310)를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제 1 반도체층(220)에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22)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도핑 마스크(310)를 제거한 다음, 도 3과 같이, 2번째 "반도체층(230)/적층매개층(240)"를 형성하고, 감광막(PR) 등으로 개방된 위치를 달리하는 제 2 도핑 마스크(320)를 형성하여, 이를 이용하여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제 2 반도체층(240)에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42)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매개층->반도체층" 형성시마다 개방된 위치가 다른 도핑 마스크를 반복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n개의 반도체층에 서로 다른 위치에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22, 242)은 일정 깊이로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후 도 10과 같이, 반도체층(220b, 240b) 외주면 상부 일측에만 불순물 도핑층(222b, 242b)이 남아 있도록 하여, 반도체층(220b, 240b) 내측에는 하나의 바디 영역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도 12 및 도 15와 같이,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n) 만큼 상기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222b, 242b)을 각각 지나는 비트선택라인들(BSL1, BSL2)도 형성하게 된다.
기타, 공정들은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4>
이는 주로 다르게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 및 비트선택라인들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 2 단계의 비트라인들을 형성시, 도 16과 같이,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50)로 n번째 적층된 "반도체층(240c)/적층매개층(230c)"에서 반도체층(240c)이 드러나도록 식각한 다음, 도 17과 같이, 제 n 도핑 마스크(360)로 제 1 불순물 도 핑층(241) 및 제 n-1 도핑 마스크(370)로 이웃한 위치에 제 2 불순물 도핑층(243)을 형성하고(도 18 참조), 이어 도 19와 같이,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350)로 n-1번째 적층된 "반도체층(220c)/적층매개층(210c)"에서 반도체층(220c)이 드러나도록 식각한 다음, 도 20과 같이, 상기 제 n-1 도핑 마스크(370)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마스크(380)로 제 1 불순물 도핑층 및 제 n-2 도핑 마스크(미도시)로 이웃한 위치에 제 2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 반도체층(220c, 240c)의 서로 다른 위치에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221, 241)을 형성하고,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상기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221, 241)을 각각 지나는 비트선택라인들(BSL1, BSL2)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n-1 도핑 마스크(370)로 제 2 불순물(예컨대, P형 불순물) 도핑층(243)을 먼저 형성하는 것은 이웃한 반도체층(220c)에 단락용 제 1 불순물(예컨대, N형 불순물) 도핑층(221) 형성시 원하지 않은 반도체층(예컨대, 240C층)에 단락용 제 1 불순물(예컨대, N형 불순물) 도핑층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즉, 단락용 N형 불순물 도핑층의 형성을 원하지 않는 부위는 먼저 P형 불순물로 도핑한 다음, N형 불순물로 도핑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이때, 상기 불순물 도핑은 수직으로 적층된 기둥 구조에서 이루어 지므로, 일정 경사로 불순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반도체층(220c)(240c) 내부 전체에 도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즉 상기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221, 241)이 차후 반도체층 외주면 일측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각 반도체층(220c)(240c) 내 측에는 하나의 바디 영역이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n) 만큼 상기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221, 241)을 각각 지나는 비트선택라인들(BSL1, BSL2)도 형성하게 된다(미도시).
기타, 공정들은 상기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제조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어레이 구조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제조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200a : 기둥형상의 적층구조
210, 230, 250; 210a, 230a, 250a : 적층매개층
220, 240; 220a, 240a; 220b, 240b : 반도체층
222, 242; 222a, 242a; 222b, 242b :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
221, 241 :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
224, 226 :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층
243: 제 2 불순물 도핑층 310, 320, 360, 370, 380 : 도핑 마스크
330, 340 : 식각 마스크 420 : 절연막층
500: 게이트 물질(워드라인, 비트선탁라인, 소스선택라인)
600 : 층간절연막 700 : 홈충전물질
710, 720; 712, 722 : 칸막이

Claims (20)

  1. 기판 상에 수평 및 수직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비트라인들과;
    상기 각 비트라인과 수직되게 전하저장층을 포함하는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개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워드라인들 사이를 채우는 층간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도체층은 상기 각 워드라인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소스/드레인 역할을 하는 불순물 도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워드라인이 지나는 상기 각 반도체층의 단면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중에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각 워드라인은 상기 각 반도체층의 외주면을 감싸며 지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일측에는 상기 절연막층 또는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수평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면서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비트선택라인들이 더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워드라인들 타측에는 상기 절연막층 또는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반도체층을 감싸며 소스선택라인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비트선택라인이 감싸는 수직으로 적층된 반도체층들 중에서 하나의 동일층에 있는 반도체층들을 제외한 나머지 반도체층들은 감싸지는 부위에 불순물이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반도체층은 하나의 공통된 바디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저장층은 질화물층 또는 도전성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8. 제 1 항의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기판상에 "적층매개층->반도체층"을 n번 반복 형성시킨 후, n번째 반도체층 상부에 n+1번째 적층매개층을 한번 더 형성시킨 다음,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 상부에 제 1 식각 마스크를 형성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n+1번째 적층매개층부터 상기 n번 적층된 "반도체층/적층매개층"을 순차 식각하여 기둥 형상의 적층 구조를 갖는 비트라인들을 형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홈충전물질을 증착한 후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다음, 제 2 식각 마스크를 형성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 사이에 드러난 상 기 홈충전물질을 식각하여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상기 제 2 단계의 적층 구조 일부가 드러나게 한 다음, 상기 제 2 식각 마스크를 제거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드러난 적층 구조의 적층매개층을 식각하여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 및 상기 반도체층만 드러나게 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에 전하저장층을 포함하는 절연막층을 형성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기판 전면에 게이트 물질을 증착한 다음,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가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 후,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를 제거하여 워드라인들을 형성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빈 공간에 층간절연막으로 채우는 제 8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단계와 상기 제 8 단계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를 제거하고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에 소스/드레인 역할을 하는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홈충전물질은 상기 적층매개층 물질과 식각률이 동일하거나 비슷한 물질이고,
    상기 제 4 단계의 칸막이 형성 공정은 비등방성 식각을 이용하고,
    상기 제 5 단계의 적층매개층 식각은 등방성 식각을 이용하여 상기 홈충전물질로 된 칸막이도 일부 식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제 2 식각 마스크 형성은 마스크의 폭이 마스크 사이 간격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거나, 경사 식각(slope etch)을 이용하여 마스크의 하부 폭이 상부 폭보다 더 크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 사이에는 상기 칸막이 양측으로 드러난 상 기 반도체층의 표면을 곡면화시키는 공정이 더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 표면 곡면화 공정은 수소 어닐링공정을 이용하거나 산화공정 및 산화막 식각공정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매개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적층은 에피텍시(epitaxy)법에 의하고,
    상기 적층매개층의 물질은 상기 반도체층의 물질과 격자구조가 비슷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역할을 하는 불순물 도핑층 형성은 에피텍시(epitaxy)법 또는 플라즈마 방식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반도체층의 물질은 실리콘(Si)이고,
    상기 적층매개층의 물질 및 상기 홈충전물질은 실리콘게르마늄(SiGe)이고,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 물질 및 상기 전하저장층은 질화물(nit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7. 제 8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각 "적층매개층->반도체층" 형성시마다 개방된 위치가 다른 도핑 마스크를 형성한 후 드러난 반도체층에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고,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상기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을 각각 지나는 비트선택라인들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층은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상기 반도 체층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단락용 불순물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층 외주면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반도체층 내측에는 하나의 바디 영역이 존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19. 제 8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비트라인들을 형성시,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로 n번째 적층된 "반도체층/적층매개층"에서 반도체층이 드러나도록 식각한 다음, 제 n 도핑 마스크로 제 1 불순물 도핑층 및 제 n-1 도핑 마스크로 이웃한 위치에 제 2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제 1 식각 마스크로 n-1번째 적층된 "반도체층/적층매개층"에서 반도체층이 드러나도록 식각한 다음, 상기 제 n-1 도핑 마스크와 동일한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마스크로 제 1 불순물 도핑층 및 제 n-2 도핑 마스크로 이웃한 위치에 제 2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각 반도체층의 서로 다른 위치에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 7 단계의 워드라인들 형성시, 적층된 반도체층 갯수 만큼 상기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을 각각 지나는 비트선택라인들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드레인용 불순물 도핑층은 상기 칸막이 제거로 드러난 상기 반도체층 외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단락용 제 1 불순물 도핑층은 상기 반도체층 외주면 일측에 형성하여, 상기 반도체층 내측에는 하나의 바디 영역이 존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의 제조방법.
KR1020090062653A 2009-07-09 2009-07-09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53A KR101036155B1 (ko) 2009-07-09 2009-07-09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9/007663 WO2011004945A1 (ko) 2009-07-09 2009-12-22 스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와 이를 이용한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US13/383,097 US8766349B2 (en) 2009-07-09 2009-12-22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acked array structure, NAND flash memory array using the same and fabrication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53A KR101036155B1 (ko) 2009-07-09 2009-07-09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20A true KR20110005120A (ko) 2011-01-17
KR101036155B1 KR101036155B1 (ko) 2011-05-23

Family

ID=4342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53A KR101036155B1 (ko) 2009-07-09 2009-07-09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66349B2 (ko)
KR (1) KR101036155B1 (ko)
WO (1) WO201100494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893B2 (en) 2012-09-26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362397B2 (en) 2013-09-24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509B1 (ko) 2012-02-24 2014-03-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Lsm이 가능한 3차원 적층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동작방법
KR102024710B1 (ko) 2013-01-11 201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의 스트링 선택 구조
KR101415744B1 (ko) 2013-02-20 2014-07-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링선택트랜지스터들의 문턱전압을 모니터링하는 ssl 상태 확인 빌딩을 구비한 3차원 적층형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그 모니터링 및 구동방법
KR101582621B1 (ko) 2014-07-16 2016-0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적층형 메모리 어레이 및 스트링선택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결정방법
US9917096B2 (en) * 2014-09-10 2018-03-13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589979B2 (en) * 2014-11-19 2017-03-0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Vertical and 3D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340518B (zh) * 2015-07-06 2019-07-05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元件及其制造方法
US9825052B2 (en) * 2015-07-09 2017-11-21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N106469731B (zh) * 2015-08-11 2020-02-04 旺宏电子股份有限公司 存储元件及其制造方法
US10026743B2 (en) * 2016-08-15 2018-07-17 Toshiba Memory Corpora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8148071A (ja) * 2017-03-07 2018-09-20 東芝メモリ株式会社 記憶装置
US10840254B2 (en) * 2018-05-22 2020-11-1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itch scalable 3D NAND
CN111435641B (zh) * 2019-01-11 2022-06-24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三维堆叠的环栅晶体管及其制备方法
KR20210002775A (ko) 2019-06-27 2021-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390A (ja) 1997-06-18 1999-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940748B2 (en) * 2002-05-16 2005-09-06 Micron Technology, Inc. Stacked 1T-nMTJ MRAM structure
KR100481209B1 (ko) 2002-10-01 200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채널을 갖는 모스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96642B1 (ko) 2006-01-27 2008-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집적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51844B2 (en) * 2008-01-14 2010-12-14 Infineon Technologies Ag Memory device having cross-shaped semiconductor fin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3893B2 (en) 2012-09-26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9362397B2 (en) 2013-09-24 2016-06-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4945A1 (ko) 2011-01-13
US8766349B2 (en) 2014-07-01
US20120117316A1 (en) 2012-05-10
KR101036155B1 (ko)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155B1 (ko) 스타 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US9362305B2 (en) Vertically stacked nonvolatile NAND type flash memory device with U-shaped strings,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9230973B2 (en) Methods of fabricating a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09103198B (zh) 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20190319038A1 (en) Semiconductor devices
KR101809512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8993B1 (ko) 3차원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989940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ver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90230458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950620B2 (en) Vertical-type memory device
US11594544B2 (en) Semiconductor devices with string select channel for improved upper connection
KR101056113B1 (ko) 분리 절연막 스택으로 둘러싸인 차폐전극을 갖는 3차원 수직형 메모리 셀 스트링,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60185B1 (ko) 차폐전극을 갖는 3차원 수직형 메모리 셀 스트링,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7621B1 (ko) 수직 적층구조를 갖는 앤드형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와 그제작방법 및 동작방법
CN111276488A (zh) 非易失性存储器件
JP2013069932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144426A1 (en) Three-dimensional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9586B1 (ko) 가중치 전극을 갖는 3차원 수직형 메모리 셀 스트링,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3607B1 (ko) 층 선택이 가능한 3차원 스타구조를 갖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3616A (ko)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591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11729972B2 (en) 3D memory devices
US11211399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an oxide-only tunneling structure by a select gate tier, and related methods
CN113497054A (zh) 立体存储器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