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7100A -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7100A
KR20100137100A KR1020090055344A KR20090055344A KR20100137100A KR 20100137100 A KR20100137100 A KR 20100137100A KR 1020090055344 A KR1020090055344 A KR 1020090055344A KR 20090055344 A KR20090055344 A KR 20090055344A KR 20100137100 A KR20100137100 A KR 20100137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balone
meat
lyophilized
hang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586B1 (ko
Inventor
김경호
백승한
Original Assignee
김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호 filed Critical 김경호
Priority to KR102009005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586B1/ko
Publication of KR2010013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패류에 비해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전복 동결건조 육과 영양성분이 육보다 높은 함량의 전복 내장과 함께 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 감초, 계피, 홍삼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 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 등을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숙취해소 음료로서, 전복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한 후 음료에 첨가함으로 추출액에 비해 평균 3-5배 높은 아미노산 섭취로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혈액순환 촉진 등의 체내 생리활성 기능의 증가는 물론 전복 양식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식 3 - 4년째, 길이 3cm 이하의 열성종을 활용한 전복 양식 농가의 소득증대 및 원활한 원료 공급으로서 낮은 제조단가를 통한 소비 촉진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을 겨냥하였으며 현대인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복 동결 건조 육을 준비하는 단계(10),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분쇄입자 0.1mm 이하로 분말하는 단계(2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과 함께 전복 내장,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갈근, 인진),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계피, 홍삼),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을 준비하는 단계(3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을 제외한 (30)의 혼합 재료를 열수 추출기를 통한 진액(엑기스) 열수 추출단계(40), 열수추출된 진액(엑기스)에 분쇄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첨가하여 2차 가열 혼합하는 단계(50), (50)의 혼합액에 올리고당과 꿀의 등량 혼합물을 첨가하여 3차 가열살균하는 단계(60), 혼합 열수 추출액을 자동포장기를 통한 진공포장단계(70)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복, 숙취해소음료, 전복 육, 전복 내장

Description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Hang over beverage containing freeze-dring Abalone flesh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른 패류에 비해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전복 동결건조 육과 영양성분이 육보다 높은 함량의 전복 내장과 함께 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 감초, 계피, 홍삼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 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 등을 혼합하여 열수 추출한 숙취해소 음료로서, 전복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한 후 음료에 첨가함으로 추출액에 비해 평균 3-5배 높은 아미노산 섭취로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혈액순환 촉진 등의 체내 생리활성 기능의 증가는 물론 전복 양식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식 3 - 4년째, 길이 3cm 이하의 열성종을 활용한 전복 양식 농가의 소득증대 및 원활한 원료 공급으로서 낮은 제조단가를 통한 소비 촉진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을 겨냥하였으며 현대인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재료 중의 하나인 전복은 바닷물이 깨끗한 암초 주변에서 서식하며, 해조류를 먹이로 이용하는 수산생물로서 칼슘, 인 등의 무기질, 비타민 B1, B2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특히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혈관확장작용, 정자생성 촉진 및 어린이 성장인자인 아르기닌이 다른 패류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참전복 1,447mg, 말전복 1,597mg, 재첩 829mg, 홍합 1,118mg) 심장질환이나 뇌 질환 등의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주는 타우린 역시 함량이 높았다(참전복 1,779mg, 말전복 1,391mg, 재첩 525mg, 홍합 974mg). 한편 전복 육의 일반성분 조성에서 다른 패류의 단백질 조성과 비교시에 전복(참전복, 말전복, 까막전복, 오분자기) 12.8-15.0g으로 재첩 12.5g, 모시조개 11.9g, 바지락 11.5g 및 홍합 9.7g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지방 조성은 오분자기(2.1g)는 다른 패류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인 반면 그 외 전복류(참전복, 말전복, 까막전복) 0.7-0.8g으로 재첩 1.9g, 모시조개 0.9g, 홍합 1.2g 및 바지락 0.5g 등과 비교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전복은 다른 패류에 비해 비린내도 심하지 않으며 맛 또한 담백하여 건제품이나 훈제 가공 시에도 산패취가 비교적 약한 것으로 사료된다(전복과 천연 식물류 복합물의 항산화 및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 신정혜 외 4인,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 24(2):182-187, 2008; 8차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식품영양가표), 한국영양학회, 2005).
이렇듯 영양 만점의 고급 어패류로서 건강식으로 애용되고 있는 전복은 가격이 비싸 여전히 보편화되지 못하는 형편이며 피로회복, 자양강장 등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숙취해소 방법은 콩나 물, 미나리 등의 채소류, 꿀, 복어, 한약재, 조개류 등을 섭취하는 전통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들 식품의 알코올 분해 효과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어져 있다. 전복을 이용한 숙취해소 효과에 관한 실험을 살펴보면, 전복과 마늘, 대추, 흑두, 갈근, 구기자, 황기, 진피, 산수유, 감초, 생강, 꿀 등의 식물류 복합물을 이용하여 숙취 해소용 음료 제조를 위한 기초실험 결과, 알코올 대사 활성 측정에서 대조구의 활성을 100%로 하였을 때 ADH 활성은 알코올 농도 12.5%에서 114.47±2.18 - 121.39±4.36% 범위로 유의적으로 활성도가 높았으며, ALDH 활성은 알코올 농도 12.5%에서 100.04±2.90 - 129.54±4.80% 범위로 유의적으로 역시 활성도가 높았다. 특히 마늘과 구기자가 첨가된 군에서 ADH 활성과 ALDH 활성이 높아 숙취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전복과 천연 식물류 복합물의 항산화 및 알코올대사 효소 활성, 신정혜 외 4인, 한국식품조리과학학회지 24(2):182-187, 2008).
전복 부위에 따른 영양조성(g/100g)에서 내장부위(조단백 12.17±0.39, 조지방 4.81±0.15, 회분 1.16±0.03)가 육 부위(조단백 11.05±0.22, 조지방 0.54±0.02, 회분 0.85±0.02)에 비해 영양성분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복추출액 영양성분(조단백 4.21±0.13, 조지방 1.26±0.04, 회분 0.97±0.02)은 육질 부위의 1/3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생전복 및 전복추출액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에서 각각 15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모두 아르기닌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생전복 563.80±8.04에 비해 전복추출액 126.92±3.94로서 현저히 낮은 함량을 보였고 다른 아미노산 역시 생전복에서 월등히 많은 유리아미노 산 함량을 나타냈다(음용 전복추출액의 제조 및 특성, 유맹자, 정희종,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2(6):827-832, 2007). 이를 통해 전복 내장을 활용하고 또한 전복 육을 그대로 섭취하여 보다 많은 영양성분을 섭취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동결건조 된 전복 육과 전복 내장과 함께 혼합되어져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숙취해소 기능을 향상시키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재료
헛개나무는 알코올 분해 효과 및 간 손상 예방 효과가 있어 주독을 해소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열매는 갈색이 돌고 단맛과 은은한 향기를 가지며 주성분은 (+)-dihydroxymyricetin으로 알코올 분해 및 간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음료의 숙취 제거 효과, 박은미 외 4인,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1(1):71-75, 2006).
갈근은 한방에서 숙취제거 등에 이용하고 있으며 에탄올 섭취 흰쥐에서 열수추출물에 의해 간 손상 지표의 억제 및 알코올 대사 효소의 활성 감소, GST 활성증가 등이 보고되고 있다. 갈근은 고유의 이소플라본인 puerarin을 함유하고 있다(갈근 에탄올 추출물이 흰쥐의 항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이옥희, 한국영양학회지, 37(10):872-8890, 2004).
인진은 인진쑥이라고도 불리며, capillene, 6,7-dimethylaesculetin, scopoletin 및 caff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고 약리적 효과는 황달, 간염, 간경화, 간기능 항진, 타박상, 명안, 관절염, 소염 등에 뛰어난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일반 쑥과는 구별하고 있다(인진 추출물의 소염진통작용, 김시나 외 4인, 생약학회지, 36(4):338-343, 2005).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재료
홍삼 사포닌인 ginsenosides는 혈관내피세포에서 유리되는 혈관 이완인자인 nitric oxide(NO)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신장에서의 혈류증가, 음경해면체의 발기 유도, 폐에서 free radical에 의한 방어 작용, 심근 허혈/재관류 장애에 대한 보호 작용, 뇌허혈 및 혈관 부전에 대한 치료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또 다른 기전으로 세포내 칼슘 이온농도를 저하하여 혈관을 이완하여 혈류를 개선하고서 혈압강하작용, 항콜레스테롤혈증 작용, 항혈전작용 및 발기부전 등의 성인병 및 노화에 대한 예방 내지 치료효과가 있음이 동물 및 임상실험으로 밝혀지고 있다(홍삼의 약리작용, 김낙두, 고려인삼학회지, 25(1):2-10, 2001).
계피는 계피나무의 외피를 건조시킨 것으로 한방에서는 두통, 발열, 신경성심계항진, 진통 및 감기 등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약재이다. 주요 성분은 방향족 화합물로서 cinnamon aldehyde로 음료, 검, 치약, 화장품 등의 용도로 쓰여지고 있으며 생리활성 작용으로는 항균효과, 항돌연변이원성, 항암효과, 항위궤양유발작용, 계란의 면역항체 증강효과, 항알러지효과 및 보체계 활성화 작용 등의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계피 추출물의 어류 질병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목종수 외 3인, 한국수산학회지, 34(5):545-549, 2001).
감초는 기원전 수세기부터 사용되어 온 약재이며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 종이에서 기관지 염증의 치료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2000년 전에 작성된 중국 신농의 약초집에 기록된 365종의 약재 중에 가장 뛰어난 효과를 가진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주요성분은 triterpenoid series saponin, flavonoids 계통 물질 등이다. 한방에서 설사, 위궤양, 만성위염 등 위장관 계통의 질환에 널리 쓰이고 기침, 기관지 염증에도 효과가 좋다. 그 외에도 인후부 염증, 습진, 부스럼, 약물중독, 식중독 등에도 응용된다(한방식품재료학, 이영은, 홍성흔 저, 교문사, p129-130, 2003).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재료
구기자는 중국 진시황제가 불로장수의 명약으로 애용했다는 사실이 문헌으로 내려올 정도로 강장장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열매지만 단백질 14.6%, 지방 10.7%, 당질 47.0% 등 영양소가 우수하며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정액과 피를 보하고 눈을 밝히고 진정작용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자양강장작용, 간세포 촉진 등의 효능이 있다(한방식품재료학, 이영은, 홍성흔 저, 교문사, p132-134, 2003; 한국의 보약, 안덕균 해설, 열린책들, p284, 1990).
대추는 탄수화물이 주성분(43%)이며 철분과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단백질 1.5%, 지방 0.8%, 회분 4.2%가 함유되어 있으며 생대추에는 비타민 C가 60mg%나 함유하는 건강식품이다. 한방에서 건대추를 자양, 강장, 진해, 진통, 해독 등의 효능이 있어 기력부족, 전신통증, 불면증, 근육경련, 약물중독 등에 쓴다(한방식품재료학, 이영은, 홍성흔 저, 교문사, p72-73, 2003; 한국의 보약).
산약은 마 및 참마의 덩이줄기(뿌리)를 가리키며 마의 유효성분은 당단백질이며 만난과 글로불린 등이 결합된 강한 점성 물질이다. 이외에도 choline, batatasin Ⅰ, batatasin Ⅲ, diastase 등의 특수성분도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 로 자양강장 효과가 있어 의욕이 없거나 허약한 사람들에게 사용한다.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심기가 모자란 것을 보하며 정신을 안정시키고 기억력을 좋게 한다(한방식품재료학, 이영은, 홍성흔 저, 교문사, p66-67, 2003; 한국의 보약, 안덕균 해설, 열린책들, p110, 1990).
연육은 연의 종자로서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이고 어린 꽃잎 역시 식용으로 쓰인다. 근경은 채소에 속하며 생식 등 다양한 조리법이 있다. 연육의 효능은 가슴이 두근거리고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도와 정신을 안정시키고 잠을 잘 오게 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연육을 잘 쪄서 으깬 다음 쌀과 함께 죽을 쑨 것을 연자죽이라고 하며 내장기능을 강화시켜주고 마음을 안정시켜주며 정신력을 강화시켜주고 눈과 귀를 밝게 해주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한방식품재료학, 이영은, 홍성흔 저, 교문사, p278-279, 2003).
숙취해소 음료의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대부분 천연 식물류를 소재로 한 연구가 많으며 출원된 특허로는 한약재를 주원료로 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10-2000-0059964), 느타리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원료 제조방법(10-2001-0015031), 보이차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10-2001-0026947),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10-2001-0040143), 음주전후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10-2001-0074770), 급속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10-2002-0006903), 숙취해소음료의 제조 및 그의 제조방법(10-2002-0040515), 프로폴리스 과즙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숙취 해소음료의 제조방법(10-2003-0058470), 연잎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 및 그의 제조방법(10-2003-0065134), 숙취제거용 한방음료(10-2003-0069294), 이스트와 아스파라긴산 및 주정중독의 해소 효과를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법(10-2003-0083374), 산소가 다량 함유된 숙취해소용 음료 제조방법(10-2005-0094740),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10-2005-0002171), 프로폴리스 과즙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10-2005-0096799), 각종 영양소와 천연항산화제 및 기능성이 뛰어난 식품의 제조방법(10-2004-0046815),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10-2005-0064061),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방법(10-2006-0010437), 숙취해소능이 있는 심층수-키토산동치미음료의 제조방법(10-2007-0078387) 등이 있다. 등록된 특허 현황 역시 천연식물 소재의 연구가 많으며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0378830), 야생식물류와 두류 및 과채류를 주성분으로 한 숙취해소음료식품의 제조방법(0381620), 헛개나무를 이용한 숙취해소음료의 제조방법(0385844),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숙취음료의 제법(0502742),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0514442), 실크 피브로인을 주재료로 한 항숙취음료의 제조(0528740), 미나리를 주재료로 한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0813338) 등이 있다.
한편 전복류를 이용한 음료 제조에 관한 특허로는 전복을 주제로 하는 전복즙 제조방법(출원, 10-2006-0090642), 인삼 성분이 함유된 전복엑기스 및 그 제조방법(등록, 0571057), 전복음료(등록, 0716241) 등이 있다.
이처럼 숙취해소 음료의 종류는 다양하나 보다 간편하게 전복의 영양분을 섭취하기 위하여 열수추출물을 이용한 특허자료 이외의 전복을 이용한 직접적인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해서는 아직 제품개발이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개발로서 천연 식물류 재료 위주의 숙취해소 음료시장에 어패류 등을 활용하여 제품다양성을 줌과 동시에 효과까지 뛰어난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배경기술의 특허자료를 통한 기존의 전복을 이용한 음료 제조로는 추출기를 통하여 단순 열수추출 하거나 여러 가지 부재료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하는 방법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복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한 후 음료에 첨가함으로 추출액에 비해 평균 3-5배 높은 아미노산 섭취로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혈액순환 촉진 등의 체내 생리활성 기능의 증가는 물론 전복 양식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식 3 - 4년째, 길이 3cm 이하의 열성종을 활용한 전복 양식 농가의 소득증대 및 원활한 원료 공급으로서 낮은 제조단가를 통한 소비 촉진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을 겨냥하였으며 부재료 역시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감초, 계피, 홍삼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등을 체계적으로 혼합하여 현대인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가공제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복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한 후 음료에 첨가함으로 추출액에 비해 평균 3-5배 높은 아미노산 섭취로 숙취해소, 간기 능 개선, 혈액순환 촉진 등의 체내 생리활성 기능의 증가는 물론 전복 양식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식 3 - 4년째, 길이 3cm 이하의 열성종을 활용한 전복 양식 농가의 소득증대 및 원활한 원료 공급으로서 낮은 제조단가를 통한 소비 촉진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을 겨냥하였으며 부재료 역시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감초, 계피, 홍삼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등을 체계적으로 혼합하여 현대인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복 동결 건조 육을 준비하는 단계(10),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분쇄입자 0.1mm 이하로 분말하는 단계(2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 5 - 10 중량 %와 함께 전복 내장 0 - 10 중량 %,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15 - 10 중량 %, 갈근 15 - 10 중량 %, 인진 5 중량 %),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5 - 3 중량 %, 계피 5 - 3 중량%, 홍삼 5 - 3 중량 %),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20 - 26 중량 %, 대추 15 - 10 중량 %, 산약 10 - 5 중량 %, 연육 10 - 5 중량 %) 등을 준비하는 단계(3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을 제외한 (30)의 혼합 재료를 열수 추출기를 통한 진액(엑기스) 열수 추출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1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2 - 3)(40), 열수추출된 진액(엑기스)에 분쇄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첨가하여 2차 가열 혼합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2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50), (50)의 혼합액 97 - 95 중량 %에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5 - 3 중량 %를 첨가하여 3차 가열살균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3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60), 혼합 열수 추출액을 자동포장기를 통한 진공포장단계(70)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주재료인 전복은 전남 등 국내에서 손쉽게 구입 할 수 있으며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계피, 홍삼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등의 부재료 그리고 단맛을 위해 가미되는 꿀과 올리고당(물엿형태) 역시 제조업체 관계없이 시중에서 판매되는 기존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복의 동결건조를 위해 사용되는 동결건조기는 시중 기존제품을 사용하여 어패류 동결건조 조건과 동일하게 동결건조하여도 무방하며 분쇄방법은 분쇄효율 및 분쇄입자의 고른 산포율을 높이기 위하여 동결건조육을 그대로 분쇄할 수 있는 시중의 냉동 파쇄 및 분쇄방식의 식품분쇄기 사용(분쇄단위가 0.1mm 이하 권장)을 추천한다.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추출기 역시 시중 기존제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대조예, 실시예, 실험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 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대조예, 실시예,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과 함께 전복 내장,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갈근, 인진),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계피, 홍삼),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을 혼합하여 다음의 실시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헛개나무 15 중량%, 갈근 15 중량%, 인진 5 중량%, 감초 5 중량%, 계피 5 중량%, 홍삼 5 중량%, 구기자 30 중량 %, 산약 10 중량%, 연육 10 중량%과 함께 물 1,300ml를 혼합하여 열수추출을 통해 진액(엑기스) 1,050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4
) 1.8, 온도(℃) 120 - 130, 추출시간(hr) 2 - 3).
(실시예 1-2)
전복내장 5 중량%, 헛개나무 15 중량%, 갈근 15 중량%, 인진 5 중량%, 감초 5 중량%, 계피 5 중량%, 홍삼 5 중량%, 구기자 25 중량 %, 산약 10 중량%, 연육 10 중량%과 함께 1,300ml를 혼합하여 열수추출을 통해 진액(엑기스) 1,040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5
) 1.8, 온도(℃) 120 - 130, 추출시간(hr) 2 - 3).
(실시예 1-3)
동결 건조된 전복 육 5 중량%, 헛개나무 15 중량%, 갈근 15 중량%, 인진 5 중량%, 감초 5 중량%, 계피 5 중량%, 홍삼 5 중량%, 구기자 20 중량 %, 대추 10 중량%, 산약 10 중량%, 연육 10 중량%과 함께 물 1,300ml를 준비하고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제외한 재료를 혼합하여 열수추출을 통해 진액(엑기스)을 제조(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6
) 1.8, 온도(℃) 120 - 130, 추출시간(hr) 2 - 3)하였으며, 여기에 동결 건조된 전복 육 5 중량%를 혼합하여 2차 가열 혼합액 1,065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7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
(실시예 1-4)
동결 건조된 전복 육 5 중량%, 전복내장 10 중량%, 헛개나무 10 중량%, 갈근 10 중량%, 인진 5 중량%, 감초 3 중량%, 계피 3 중량%, 홍삼 3 중량%, 구기자 26 중량 %, 대추 15 중량%, 산약 5 중량%, 연육 5 중량%과 함께 물 1,300ml를 준비하고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제외한 재료를 혼합하여 열수추출을 통해 진액(엑기스)을 제조(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8
) 1.8, 온도(℃) 120 - 130, 추출시간(hr) 2 - 3)하였으며, 여기에 동결 건조된 전복 육 5 중량%를 혼합하여 2차 가열 혼합액 1,060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09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
(실시예 1-5)
동결 건조된 전복 육 10 중량%, 전복내장 10 중량%, 헛개나무 10 중량%, 갈근 10 중량%, 인진 5 중량%, 감초 3 중량%, 계피 3 중량%, 홍삼 3 중량%, 구기자 26 중량 %, 대추 10 중량%, 산약 5 중량%, 연육 5 중량%과 함께 물 1,300ml를 준비 하고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제외한 재료를 혼합하여 열수추출을 통해 진액(엑기스)을 제조(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0
) 1.8, 온도(℃) 120 - 130, 추출시간(hr) 2 - 3)하였으며, 여기에 동결 건조된 전복 육 5 중량%를 혼합하여 2차 가열 혼합액 1,055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1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
(실시예 2-1)
실시예 1-5의 조건으로 제조한 가열 혼합액 990 ml%(v/v)와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10 ml%(v/v)를 혼합하여 3차 가열 혼합액 997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2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
(실시예 2-2)
실시예 1-5의 조건으로 제조한 가열 혼합액 970 ml%(v/v)와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30 %(v/v)를 혼합하여 3차 가열 혼합액 999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3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
(실시예 2-3)
실시예 1-5의 조건으로 제조한 가열 혼합액 950 ml%(v/v)와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50 ml%(v/v)를 혼합하여 3차 가열 혼합액 996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4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
(실시예 2-4)
실시예 1-5의 조건으로 제조한 가열 혼합액 930 ml%(v/v)와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70 ml%(v/v)를 혼합하여 3차 가열 혼합액 998ml를 제조하였다(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5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은 천연 식물류 재료 위주의 숙취해소 음료 시장에 어패류 등을 활용하여 제품다양성을 줌과 동시에 효과까지 뛰어난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경기술의 특허자료를 통한 기존의 전복을 이용한 음료 제조로는 추출기를 통하여 단순 열수추출 하거나 여러 가지 부재료를 혼합하여 열수추출하는 방법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복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한 후 음료에 첨가함으로 추출액에 비해 평균 3-5배 높은 아미노산 섭취로 숙취해소, 간기능 개선, 혈액순환 촉진 등의 체내 생리활성 기능의 증가는 물론 전복 양식 생산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양식 3 - 4년째, 길이 3cm 이하의 열성종을 활용한 전복 양식 농가의 소득증대 및 원활한 원료 공급으로서 낮은 제조단가를 통한 소비 촉진 등의 고부가가치 가공제품을 겨냥하였으며 부재료 역시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헛개나무, 갈근, 인진 등),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감초, 계피, 홍삼 등),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구기자, 대추, 산약, 연육 등) 등을 체계적으로 혼합하여 현대인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을 고려한 전 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가공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예로서 음주 후 숙취해소 음료를 마신 효과에 대한 음주수치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숙취해소 음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7명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하여 열개 그룹을 조직하여 그룹별로 실시하는 참여자 모두에게 소주 1병을 30분 이내에 마시게 하였다. 다음으로 음주 후 30분경과 후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은 그룹(대조예 1), 물 100cc를 마시게 한 그룹(대조예 2), 실시예 1-1의 음료 100cc 섭취한 그룹, 실시예 1-2의 음료 100cc 섭취한 그룹, 실시예 1-3의 음료 100cc 섭취한 그룹, 실시예 1-4의 음료 100cc 섭취한 그룹, 실시예 1-5의 음료 100cc 섭취한 그룹 등 그룹당 총 일곱 명의 참여자에게 조치를 취하고서 음주 한 시간 경과 후 시판 음주측정기(제조사 : 안전정보시스템, 모델명 : AL-6000)를 사용하여 그룹별로 각각의 참여자에 대한 음주수치를 측정하였다. 한편 관능검사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숙취해소 음료 효과 측정
구 분 M±SD
대조예 1 0.0954±0.0076
대조예 2 0.0825±0.0056
실시예 1 0.0777±0.0040
실시예 2 0.0722±0.0054
실시예 3 0.0635±0.0071
실시예 4 0.0592±0.0074
실시예 5 0.0578±0.0063
F 46.999
p .000***
Post hoc ⑦=⑥=⑤<④=③<②<①
*** p<.001
※ Post hoc: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표 1에서와 같이 시판 음주측정기를 사용하여 숙취해소 음료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대조예 1 및 대조예 2와 비교하여 모든 실시예에서 유의수준 있게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5, 실시예 4 및 실시예 3의 순으로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예 3부터 실시예 5까지의 재료배합 비율 즉,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 5 - 10 중량 %와 함께 전복 내장 0 - 10 중량 %,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15 - 10 중량 %, 갈근 15 - 10 중량 %, 인진 5 중량 %),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5 - 3 중량 %, 계피 5 - 3 중량%, 홍삼 5 - 3 중량 %),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20 - 26 중량 %, 대추 15 - 10 중량 %, 산약 10 - 5 중량 %, 연육 10 - 5 중량 %)을 최종 재료 배합비율로 선정하였다.
한편 가장 숙취해소 효과가 뛰어난 실시예 5를 기본으로 하여 혼합액 99 - 93 %(v/v)에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1 - 7 %(v/v)를 첨가하여 가당하고서 3차 가열살균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혼합액을 10인의 훈련된 관능검사 요원을 구성하여 평가요인(당도, 냄새, 전체조화)의 강도를 7점 척도법에 의거하여 각종 맛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5 샘플에 대한 가당 관능 검사
구 분 단맛
a
냄새
b
전체 조화
c
F p Post hoc
1% 2.40±0.70 2.50±0.71 2.10±0.99 -.657 .526
3% 4.40±0.97 3.20±0.63 5.80±0.79 25.977 .000*** b<c<a
5% 4.50±0.71 3.30±0.95 5.30±0.82 14.631 .000*** b<c<a
7% 5.90±1.52 3.00±0.67 2.40±1.17 25.359 .000*** b=c<a
F 19.539 2.257 40.218
p .000*** .098 .000***
Post
hoc
①<②=③
<④
①=④
<②=③
***p<.001
※ Post hoc: Duncan's Multiple Range test
표 2에서와 같이 단맛의 강도는 7%가 가장 높았으며 3%와 5%는 같은 수준을 나타냈고 냄새는 가당 농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체적인 조화는 3%와 5%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숙취해소 음료의 가당 조건은 당도의 세기가 적당하며 전체적인 조화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낸 3%에서 5%의 가당이 가장 적절할 것을 조사되었다.

Claims (2)

  1. 전복 동결 건조 육을 준비하는 단계(10),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분쇄입자 0.1mm 이하로 분말하는 단계(2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 5 - 10 중량 %와 함께 전복 내장 0 - 10 중량 %,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15 - 10 중량 %, 갈근 15 - 10 중량 %, 인진 5 중량 %),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5 - 3 중량 %, 계피 5 - 3 중량%, 홍삼 5 - 3 중량 %),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20 - 26 중량 %, 대추 15 - 10 중량 %, 산약 10 - 5 중량 %, 연육 10 - 5 중량 %) 등을 준비하는 단계(3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을 제외한 (30)의 혼합 재료를 열수 추출기를 통한 진액(엑기스) 열수 추출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6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2 - 3)(40), 열수추출된 진액(엑기스)에 분쇄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첨가하여 2차 가열 혼합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7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50), (50)의 혼합액 97 - 95 중량 %에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3 - 5 중량 %를 첨가하여 3차 가열살균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8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60), 혼합 열수 추출액을 자동포장기를 통한 진공포장단계(70)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복 동결 건조 육을 준비하는 단계(10),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분쇄입자 0.1mm 이하로 분말하는 단계(2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 5 - 10 중량 %와 함께 전복 내장 0 - 10 중량 %, 숙취해소 및 간 보호 기능 천연식물류(헛개나무 15 - 10 중량 %, 갈근 15 - 10 중량 %, 인진 5 중량 %), 소화촉진 및 건강기능성 고려 천연식물류(감초 5 - 3 중량 %, 계피 5 - 3 중량%, 홍삼 5 - 3 중량 %), 심신 안정 및 자양강장 기능 고려 천연 식물류(구기자 20 - 26 중량 %, 대추 15 - 10 중량 %, 산약 10 - 5 중량 %, 연육 10 - 5 중량 %) 등을 준비하는 단계(30), 분쇄 동결건조 전복 육을 제외한 (30)의 혼합 재료를 열수 추출기를 통한 진액(엑기스) 열수 추출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19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2 - 3)(40), 열수추출된 진액(엑기스)에 분쇄된 동결 건조된 전복 육을 첨가하여 2차 가열 혼합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20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hr) 0.5 - 1)(50), (50)의 혼합액 97 - 95 중량 %에 올리고당과 벌꿀이 등량 혼합된 당액체 3 - 5 중량 %를 첨가하여 3차 가열살균하는 단계(제조조건 : 압력(MPa/kgf/
    Figure 112009037522574-PAT00021
    ) 1.8, 온도(℃) 120 - 130, 혼합시간(mim) 5 - 10)(60), 혼합 열수 추출액을 자동포장기를 통한 진공포장단계(70)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KR1020090055344A 2009-06-22 2009-06-22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44A KR101122586B1 (ko) 2009-06-22 2009-06-22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344A KR101122586B1 (ko) 2009-06-22 2009-06-22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100A true KR20100137100A (ko) 2010-12-30
KR101122586B1 KR101122586B1 (ko) 2012-03-21

Family

ID=4351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344A KR101122586B1 (ko) 2009-06-22 2009-06-22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5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9950A (zh) * 2011-10-20 2012-02-15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2579641A (zh) * 2011-01-11 2012-07-18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一种保护肝脏并具醒酒功能的组合物
CN104305454A (zh) * 2014-11-04 2015-01-28 山东微山湖经贸实业有限公司 纯天然功能性荷叶茶饮料及其生产工艺
CN104921226A (zh) * 2015-07-05 2015-09-23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延缓衰老功效的鲍贝保健饮料
CN104997118A (zh) * 2015-07-05 2015-10-28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血脂功效的鲍贝保健饮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41B1 (ko) 2005-11-18 2007-05-08 박철완 전복음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9641A (zh) * 2011-01-11 2012-07-18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一种保护肝脏并具醒酒功能的组合物
CN102579641B (zh) * 2011-01-11 2014-04-09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一种保护肝脏并具醒酒功能的组合物
CN102349950A (zh) * 2011-10-20 2012-02-15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305454A (zh) * 2014-11-04 2015-01-28 山东微山湖经贸实业有限公司 纯天然功能性荷叶茶饮料及其生产工艺
CN104921226A (zh) * 2015-07-05 2015-09-23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延缓衰老功效的鲍贝保健饮料
CN104997118A (zh) * 2015-07-05 2015-10-28 青岛浩大海洋保健食品有限公司 一种具有调节血脂功效的鲍贝保健饮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586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6889233A (zh) 一种袋泡参苓白术茶及其制备方法
KR101445097B1 (ko) 민물고기 어죽(魚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민물고기 어죽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30133946A (ko) 한약재를 포함하는 된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0780552B1 (ko) 한약재를 포함한 영·유아용 기능성 분유 및 그 제조방법
CN109287919A (zh) 一种赤豆薏仁草本膏的配方及制备方法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KR101773250B1 (ko) 비파나무 발효 추출물과 전복의 한방 복합 열수 추출물이 혼합 조성된 건강 기능성 복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13180243A (zh) 一种人参葛根膏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3444930B (zh) 一种秋季养身下午茶袋泡茶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91732B1 (ko) 홍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홍시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CN104905032A (zh) 防治黄沙鳖肝炎的饲料添加剂
CN110679935A (zh) 一种牛蒡人参精华膏及其制备方法
KR20210041387A (ko) 갈화 추출물 및 차전자피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CN103981072B (zh) 一种有黄粉虫制剂的祛风健脾保健酒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