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785A -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785A
KR20100134785A KR1020107026299A KR20107026299A KR20100134785A KR 20100134785 A KR20100134785 A KR 20100134785A KR 1020107026299 A KR1020107026299 A KR 1020107026299A KR 20107026299 A KR20107026299 A KR 20107026299A KR 20100134785 A KR20100134785 A KR 20100134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engaging
engagement
decorative member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2129B1 (ko
Inventor
나오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2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2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05Manufacturers' emblems, name plates, bonnet ornaments, mascots or the like; 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 및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백 커버(1)의 장착부(3)에 장식 부재(10)를 배치하고 장식 부재(10)의 계합 돌출부(13)를 에어백 커버(1)의 관통구멍에 이면(1B)까지 관통시킨다. 유지 부재(20)를 굴곡 변형시키고 그 계합편(21)이 서로 접근해 계합 돌출부(13)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부터, 에어백 커버(1) 측에 눌러 계합편(21)을 서로 이반 하는 방향에 이동시키고, 계합편 (21)을 계합 구멍(13K) 내에 삽입해 계합 돌출부(13)에 계합시킨다. 유지 부재(20)에 의해 계합 돌출부(13)를 개재시켜 장식 부재(10)를 에어백 커버(1)에 장착하여 유지하는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에 장식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 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AIR BAG COVER AND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등에 탑재되는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에 관하여, 특히, 장식 부재가 장착된 에어백 커버 및 이 에어백 커버를 구비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충돌시나 긴급시 등에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승차원 등을 보호하기 위해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을 구비한 에어백 장치를, 예를 들면 핸들이나 인스톨먼트 패널부에 탑재한 자동차가 넓게 보급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일반적으로, 에어백을 덮는 에어백 커버가 승차원과 대향하는 정면부나 측벽부 등의 차내 측에 장착 되기 때문에, 승차원의 눈에 띄기 쉽고 승차원의 보호 기능에 부가하여 미관이나 장식성도 요구된다. 거기에서, 종래, 로고 마크나 차명(車名) 등의 장식 모양을 가지는 장식 부재를 에어백 커버에 장착하고, 그 장식성을 높여 미관등을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식 부재를 가지는 에어백 커버에서는 에어백 장치의 작동시에 있어도, 장식 부재를 확실히 유지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 장식체에 커버체(에어백 커버)를 이면까지 관통하는 다리부(脚部)를 형성하고 커버체의 이면측에서, 계합체의 발지부(拔止部)를 다리부에 계합시켜 발지하고 장식체를 커버체에 견고하게 장착한 에어백 장치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렇지만, 이 종래의 에어백 장치는 환형상의 장식체의 주위 방향에 따라 복수의 다리부를 장착 하고, 각 다리부의 발지부를 가지는 원환판 형상의 계합(係合)체를 커버체의 이면에 배치해 각 발지부에 다리부를 삽입한 후, 계합체를 주위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리부를 발지부에 계합시킨다. 그 때문에, 이 에어백 장치에서는, 계합체를 장식체의 복수의 다리부의 배치 범위를 포함해 회전 가능한 크기나 형상에 형성할 필요가 있고, 그 형상이 링 모양이나 원반 형상 등에 제한된다. 동시에, 다리부의 배치 위치나 수에 따라 계합체가 비교적 커져 계합체의 배치 스페이스나 계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장식체도 복수의 다리부를 주위 방향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똑같이 환형상이나 원형상 등의 원형을 기준으로 한 형상에 한정되는 등 그 형상이 제한되어 설계의 자유도가 낮아진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 종래의 에어백 장치에서는 계합체를 한방향에 회전시키고, 발지부와 다리부를 계합시켜 장식체를 커버체에 장착하기 때문에 계합체에 역방향의 회전력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계합이 해제되어 장식체가 커버체로부터 이탈하는 사태가 발생 할 우려가 있다. 또한, 장식체의 장착 후에는 장식체와 계합체로 커버체를 압축하도록 협지(狹持)하기 때문에, 장착 작업시에 장식체를 커버체에 강하게 누르면서 계합체를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그 사이에 장식체의 표면이나 커버체측의 이면이 손상할 우려도 있다. 아울러, 이 장착시에는 장식체를 누르면서 계합체를 전용의 치구에 의해 강한 힘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장착 작업이 곤란해 작업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9-1183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에 장식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고, 장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장식 부재를 에어백 커버에 확실하게 장착하여 유지함과 동시에 장식 부재의 형상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식 부재가 장착된 에어백 커버로서 장식 부재가 에어백 커버 측에 대향해 설치 되고 에어백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해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계합 돌출부와 에어백 커버 이면 측의 각 계합 돌출부에 형성된 계합 구멍을 갖고, 에어백 커버의 이면측에서 각 계합구멍에 삽입되어 계합 돌출부에 계합하는 계합편이 설치 되고, 계합편을 계합 돌출부와 계합시켜 장식 부재를 에어백 커버로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는 계합편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변형해 계합편을 이반시키고, 각 계합편이 계합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에어백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에 장식 부재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가 있고 장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장식 부재를 에어백 커버에 확실히 장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장식 부재의 형상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장식 부재로부터 오너먼트 링을 발출하여 나타내는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는 본 실시 형태의 장식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장식 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에어백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장식 부재의 계지 부재를 에어백 커버에 계지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Y-Y 시선에서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유지 부재에 의해 에어백 커버에 유지된 상태의 장식 부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유지 부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는 유지 부재의 계합편을 계합 구멍에 삽입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이나 조수석용, 또는 측면용 등의 에어백 장치이며, 팽창 전개 가능한 에어백과 차량 긴급시나 충격 검지시 등에 가스를 발생해 에어백에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 에어백 장치는 장식 부재가 표면 측에 장착된 에어백 커버를 구비하고 에어백 커버내에 접어 포갠 에어백이나 인플레이터 등을 수납해 차량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에어백 등의 차내측이 에어백 커버에 의해 덮여진다.
  또한 이하에서는 차량의 핸들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를 예로 들어 그 장식 부재가 장착된 에어백 커버에 대해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에어백측이 되는 면을 이면 그 반대 측면이고, 승차원(차내) 측이 되는 면을 표면으로서 에어백 커버 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를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그 전체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에어백 커버 (1)은 도시와 같이 수지 등에 의해, 이면측이 함몰한 대략 완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이면측에 벽부 (2)가 대략 통 형상에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벽부 (2)등을 개재하여, 고정 수단에 의해 핸들(도시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백 커버 (1, 에어백 장치)는, 핸들에 조립되어 넣어지고, 그 대략 중앙부, 예를 들면 환형상의 림(조타부)과 중앙부의 보스를 연결하는 복수의 스포크 사이에 배치된다. 또, 에어백 커버 (1)은 이면측의 내부에 에어백 등이 수납되고 또한, 이면의 소정 위치에 홈 형상의 티어라인(미도시)이 형성되고 에어백이 팽창 전개할 경우에, 그 팽창 전개력에 의해 티어라인이 눌리어 나누어져 할렬(割裂)하고 에어백을 핸들의 전방으로 향해 팽창 전개시킨다.
또한 이 에어백 커버 (1)에는, 표면 측에 장식이 실시된 장식 부재 (10)이,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측에 배치되는 후술 하는 유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유지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장식 부재 (10)은 대략 타원 형상의 오너먼트(장식체, 11)과 오너먼트 (11)을 중앙 구멍부에 유지하는 대략 환형상의 오너먼트 링 (12)로 이루어지고 오너먼트 (11)에, 로고 마크나 장식 모양이 설치 되고 또는 장식용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일한 장식이 실시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오너먼트 링 (12)의 이면에는 유지 부재에 의해 계합·유지되어 에어백 커버 (1)에의 장착에 사용되는 계합 돌출부나, 에어백 커버 (1)에 대한 계지부재가 형성되고 있다.
도 2는, 장식 부재 (10)으로부터 오너먼트 링 (12)를 발출하여 나타내는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장식 부재 (10)은 도시와 같이 환형상의 오너먼트 링 (12)의 주변부에 따라 에어백 커버 (1)측의 당접면(도에서는 지면안쪽 측면)에 계합 돌출부 (13)과 계지부재 (14)가 각각 소정수(여기에서는, 각각 4개와 2개) 씩, 이면 측에 향해 동일 방향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지고 있다. 이들 계합 돌출부 (13)과 계지부재 (14)는 모두 각각 에어백 커버 (1)에 대응해 설치되어진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관통하고 그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길이에 형성되지만 서로 형상이 상위하고 계지 부재 (14)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한편 각 계합 돌출부 (13)은 오너먼트 링 (12)의 주변부에 따르는 길이가 비교적 긴 대략 구형 판 형상의 돌출편에 형성되고, 그 내외면을 관통하는 대략 구형 모양의 계합구멍 (13K)가 대략 중앙부에, 한편 오너먼트 링 (12)측인 기초단부로부터,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측에 배치되는 돌출단 근방까지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계합 돌출부 (13)은 적어도 에어백 커버 (1)의 이면측이 되는 부분에 계합구멍 (13K)가 형성되고 각각 계합구멍 (13K)에 의해 에어백 커버 (1)의 이면측에서 발지되어, 에어백 커버 (1)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이 오너먼트 링 (12)를 가지는 장식 부재 (10)이나, 상기 에어백 커버 (1)에의 장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하에서는 오너먼트 (11)이나 오너먼트 링 (12) 및 그 각 구성을 포함해 장식 부재 (10)으로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장식 부재 (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3A는 장식 부재 (10)을 이면측에서 본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화살표 X방향으로부터 본 장식 부재 (10)의 측면도이다.
상기 장식 부재 (10)에는 적어도 2개의 계합 돌출부 (13)이 그들의 중앙 위치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 설치 되고, 각 계합구멍 (13K)를 동일한 중앙 위치 측에 향하여 개구부를 대향시켜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장식 부재 (10)은 좌우의 중심선 (CL)을 사이에 둔 양측의 각각에 대향하는 한 쌍의 계합 돌출부 (13)을 갖고, 각 측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계합 돌출부 (13)이, 상하의 주변부에 따라 내측면을 서로 대향시키고, 또한 각 계합구멍 (13K)를 동일한 측에 향하여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식 부재 (10)에는 서로 대향 하는 적어도 한 쌍의 계합 돌출부 (13)이 설치 되고, 여기에서는 2쌍(합계 4개)의 계합 돌출부 (13)이 중심선 (CL)을 사이에 두고 대략 대칭에 장식 부재 (10)의 주변부에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있다.
또, 장식 부재 (10)은 계합 돌출부 (13)간의 소정 위치에 하나 이상의 계지부재 (14)를 갖고, 여기에서는, 장식 부재 (10)의 좌우의 주변부(도 3A에서는 주변부 중앙 위치)에 각각 1개씩, 합계 2개가 장식 부재 (10)의 주변부에 따르는 가장 떨어진 좌우 위치에 대략 대칭에 형성되고 있다. 계지부재 (14)는 장식 부재 (10)의 계합 돌출부 (13)이 에어백 커버 (1)의 관통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 (1)에 설치된 계지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지 하여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계지 하는 수단이고, 계합 돌출부 (13)의 관통에 맞추어 에어백 커버 (1)에 계지된다.
도 4는, 장식 부재 (10)을 분리한 상태의 에어백 커버 (1)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그 표면측에서 본 형상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는 장식 부재 (10)의 계지부재 (14)를 에어백 커버 (1)에 계지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Y-Y 시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에어백 커버 (1)에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표면에 장식 부재 (10)이 끼워 넣어져 장착되는 장착부 (3)이 장식 부재 (10)의 두께나 외형 형상 등에 따라 그 전체를 수용해 장착 가능한 오목한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또, 장착부 (3)의 바닥부에는 장식 부재 (10)의 계합 돌출부 (13)과 계지부재 (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이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 (4)와 상기한 계지부재 (14)의 계지부인 계지구멍 (5)가 각각에 따른 형상에 표면으로부터 이면까지 관통해 주변부를 따라 형성되고 있다.
장식 부재 (10)은 이면을 에어백 커버 (1)측에 향하여 장착부 (3)에 끼워 넣어지고 계합 돌출부 (13)과 계지부재 (14)가 각각 대응하는 관통구멍 (4)와 계지구멍 (5)에 에어백 커버 (1)의 표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이면측까지 관통해, 장착부 (3)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장식 부재 (10)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계지부재 (14)가 에어백 커버 (1)의 계지구멍 (5)의 주변부에 계지되어 이것에 의해 가고정 되고, 장착부 (3)내에 수용된 상태에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계지부재 (14)는 장식 부재 (10)의 이면측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계지구멍 (5)에 삽입 가능한 돌출부 (14A)와, 그 돌출단측에 일체에 형성된 횡방향에 돌출하는 계지고리(후크, 14B)로 이루어지고,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서 계지고리 (14B)가 이면 (1B)에 걸려 계지된다. 또, 장식 부재 (10)은 각 계합 돌출부 (13)도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로부터 돌출하여, 각각의 계합구멍 (13K)의 적어도 일부가 에어백 커버 (1)내에 위치하고 그 부분이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서 유지 부재에 의해 계합·유지된다.
도 6은, 유지 부재 (20)에 의해 에어백 커버 (1)에 유지된 상태의 장식 부재 (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서 본 주요부 평면도이다. 또, 도 7은 유지 부재 (20)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이면 (1B)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유지 부재 (20)은 도시와 같이,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서 장식 부재 (10)의 돌출하는 계합 돌출부 (13)의 각 계합구멍 (13K)에 삽입되는 계합편 (21)과 복수의 계합편 (21) 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22)를 가진다.
계합편 (21)은 계합구멍 (13K)를 통하여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단측 내면부와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해, 그 관통구멍 (4)로부터의 발지 부재나 이동(변위)의 규제 부재, 및 에어백 커버 (1)에의 장착부재(장착편)로서 기능한다. 또, 계합편 (21)은 장식 부재 (10)에 장착 되는 복수의 계합 돌출부 (13)의 위치나 형상에 응해 서로 역방향으로 연장하는 방향이나 방사 형상 등 대응하는 계합 돌출부 (13)의 계합구멍 (13K)에 향하여연결부 (22)와 일체에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상기한 4개의 계합 돌출부 (13)의 배치에 응해 중심선 (CL)을 사이에 둔 양측의 각각 서로 역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계합편 (21)이 설치 되고 각각 상반하는 방향(도에서는 상하 방향)을 향해 소정 길이에 형성되고 있다. 그 결과, 유지 부재 (20)에서는 계합편 (21)이 4개의 다리부에 설치 되고 또한 위 주변측에서는 위쪽에 아래 주변측에서는 아래쪽에 향하여 각각 2개씩 형성되고 있다.
한편, 연결부 (22)는 상하의 계합편 (21)측의 양단부 (22A)가, 각 측의 계합편 (21) 끼리의 간격에 응해 대폭에 형성되어 동일한 측의 계합편 (21) 끼리를 연결해, 그들을 연결하는 중간부 (22B)가 상대적으로 좁은폭에 형성되고 있다. 그 결과 연결부 (22)는 전체적으로 횡방향의 대략 H자 형상으로 또한 중심선 (CL) 및, 그 방향과 교차하는 상하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어 대략 대칭을 이루는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여기서, 유지 부재 (20)은 주로 연결부 (22)가 변형하여, 상기한 대향하는 계합 돌출부 (13)에 계합하는 계합편 (21) 끼리가 서로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도 6에서는 상하 방향)에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변형에 의해 계합편 (21)이 계합 돌출부 (13)의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다. 또, 유지 부재 (20)에서는 연결부 (22)의 중앙부를 횡단해 다른 부분보다 얇은 육박(肉薄)부(오목홈, 23)을 형성하고, 그 부분의 변형에 대한 강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해, 육박부 (23)을 중심으로 연결부 (22)가 탄성 또는 소성(여기에서는, 탄성) 변형해 굴곡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 부재 (20)은 굴곡 변형해 계합편 (21)을 서로 접근 및 이반 시키는 굴곡부가 계합편 (21) 사이에 장착 되어 있고 굴곡 한 형상으로부터 복원하여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다.
도 8은, 유지 부재 (20)의 계합편 (21)을 계합구멍 (13K)에 삽입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삽입 순서를, 도 6의 Z-Z 시선에 대응하는 단면도에서 차례로 나타내고 있다.
삽입시에는 우선, 육박부 (23, 도 8A참조)을 중심으로, 연결부 (22)를 탄성변형시켜 굴곡시키고, 계합편 (21)을 에어백 커버 (1)측에 향하여, 유지 부재 (20)을 대략 중앙부에서 2개 접는다. 그 때, 각 계합편 (21)을 대향하는 계합 돌출부 (13)을 연결선에 따라 변위시키고, 서로 접근시켜 계합 돌출부 (13)간에 위치시킨다. 다음에, 유지 부재 (20)의 굴곡부를 에어백 커버 (1)측에 누르면서 연결부 (22)를 계합편 (21)이 이반하는 방향(도에서는 상하 방향)에 변형시켜, 본래의 단면 직선 형상을 향해 점차 복원시킨다. 이것에 의해, 각 계합편 (21, 도 8B참조)을 대응하는 계합 돌출부 (13)에 향하여 여기에서는 서로 역방향에 이동시키고, 유지 부재 (20)의 각 계합편 (21)을 계합구멍 (13K)안에 진입시킨다. 이어서, 연결부 (22)를 굴곡 변형한 형상으로부터 복원시켜(도 8C참조) 계합편 (21)을 연결부 (22)측인 기초단부까지 계합구멍 (13K)에 삽입해 계합시킨다.
이와 같이, 유지 부재 (20)은 계합편 (21)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변형해 계합편 (21)을 이반하는 방향에 이동시키고, 이 이동에 수반해 각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에 삽입되어, 대응하는 각 계합 돌출부 (13)과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서 계합한다. 이것에 의해 계합 돌출부 (13)을 관통구멍 (4)에 발지해,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의 장착부 (3)에 유지하고,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장착하여 동일상태에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20)은 비교적 용이하게 굴곡 및 복원하는 합성 수지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일체 형성되고, 상기한 삽입 작업시에 계합편 (21)을 포함해 전체적으로 변형한다. 또, 유지 부재 (20)은 계합편 (21)의 계합구멍 (13K)에의 삽입 선단부 (21S)측이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으로부터 선단부 (21S)를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선단부 (21S)측이 육박의 테이퍼상(쐐기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다만, 여기에서는, 계합편 (21)은, 에어백 커버 (1)측의 면이, 선단부 (21S)로부터 기초단부측에 향하여 두께가 차례로 두꺼워지는 경사면(테이퍼면)에 형성되고 있다.
또, 유지 부재 (20)은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 계합편 (21)이 계합 돌출부 (13)의 계합구멍 (13K)를 사이에 둔 돌출단측(계합구멍 (13K)측의 내면부)과 계합 돌출부 (13)을 사이에 둔 양측의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협지 된다. 즉, 계합 돌출부 (13)이 에어백 커버 (1)을 관통한 상태에서도, 계합구멍 (13K)는 전체가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측에 배치되지 않고 일부가 관통구멍 (4)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계합편 (21)은 적어도 계합 돌출부 (13)에 계합 하는 부분이 삽입되는 계합 돌출부 (13)의 선단부측과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의 사이의 간격보다 어느 정도 두껍게 형성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계합구멍 (13K)에 계합편 (21)이 삽입되면 계합편 (21)의 표리면이 각각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와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단측 내면부와 당접하고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단측에 에어백 커버 (1)로부터 이반하는 방향(도 8C의 화살표 H)의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계합편 (2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협지 되어 견고하게 계합 및 고정되고 또한, 계합 돌출부 (13)을 개재시켜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눌리어 확실하고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 부재 (20, 도 6, 도 7 참조)은 계합편 (21)의 삽입 선단부 (21S)측에 삽입된 계합구멍 (13K)로부터의 발지가 되는 발지부 (24)를 갖고, 이것에 의해, 각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계합 돌출부 (13)과의 계합 상태에 유지되고 있다. 발지부 (24)는 계합구멍 (13K)의 주위의 계합 돌출부 (13)에 당접 하기 위한 당접 부재이며, 계합편 (21)의 한쪽측(여기에서는, 이면측)에 돌출하고, 한편 다른쪽측에 변위 가능하게 계합편 (21)으로 일체에 형성되어 계합편 (21)과 함께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다. 삽입 후, 발지부 (24)는, 계합구멍 (13K)를 빠진 위치에서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편 (21)의 선단부 (21S)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로부터 인발(引拔)되는 방향에 변위하면 계합 돌출부 (13)에 당접해 계합편 (21)을 발지한다.
부가하여, 유지 부재 (20, 도 6, 도 8C 참조)는 각 계합 돌출부 (13)과 대향하도록 형성된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육후(肉厚)부 (25)를 갖고, 이것에 의해 계합 돌출부 (13)을 보호하고 있다. 육후부 (25)는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 상태에서 계합편 (21)측의 연결부 (22)에 계합 돌출부 (13)의 계합구멍 (13K)를 사이에 둔 돌출단측에 인접하거나 다소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웃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계합 돌출부 (13)의 형상이나 길이에 맞추어 그 대략 전체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육후부 (25)는 유지 부재 (20, 단부 (22A))의 계합편 (21)과의 경계부 근방에 적어도 계합 돌출부 (13)측의 부분이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 단면과 같은면(근방 위치를 포함한다)이 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육후부 (25)는 계합 돌출부 (13) 근방의 소정 위치로부터 계합 돌출부 (13)측에 향하여 점차 두꺼워지는 테이퍼 형상(경사면 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 (1)에서는 유지 부재 (20)을 계합편 (21)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이반 하는 방향으로 변형시키는 것으로 계합편 (21)을 계합구멍 (13K)에 삽입해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시키고 이것에 의해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장착하여 유지한다. 그로 인하여 유지 부재 (20)의 형상이, 종래와 같이 원 고리 형상이나 원반 형상 등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 변형 방향으로 늘어나는 구형 형상이나 가늘고 긴 형상 등의 변형 가능한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유지 부재 (20)을 비교적 작게 할 수가 있다. 동시에, 유지 부재 (20)의 배치 스페이스나 계합 작업에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도 가늘고 길어져 공간절약화가 가능해지고, 그 형상에 부가하여 배치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수반해 장식 부재 (10)도 계합 돌출부 (13)을 대향해 형성할 수 있으면 좋기 때문에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타원 형상이나 구형 형상 등에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의 제한이 완화되어 설계의 자유도를 큰 폭으로 높일 수가 있다.
또, 유지 부재 (20)에서는 전용의 치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계합편 (21)을 계합구멍 (13K)에 삽입할 수 있고 장식 부재 (10)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해 작업성을 높일 수가 있다. 그 때,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눌러 붙여 강하게 누를 필요가 없고, 또한 장식 부재 (10)에 회전력 등의 불필요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장착 작업시에 장식 부재 (10)의 표면이나 에어백 커버 (1)측의 이면(당접면)에 이지러짐이나 상처 등의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여기에서는 굴곡 변형시킨 유지 부재 (20)의 굴곡부를 에어백 커버 (1)측에 누르는 것만으로 계합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 부재 (10)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장착 후의 유지 부재 (20)은 고의로 에어백 커버 (1)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이끌리지 않는 이상 장착 후의 형상에 유지되기 때문에 계합편 (21)에, 계합구멍 (13K)로부터 인발되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로부터 빠져 계합 돌출부 (13)과의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식 부재 (10)이 에어백 커버 (1)로부터 빗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장착된 상태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더구나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에는 접어 포갠 에어백이 배치되기 때문에 유지 부재 (20)은 에어백에 의해 에어백 커버 (1) 측에 눌려져 역방향의 변형이 방지되고 장착 후의 형상에 유지된다. 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공급되었을 때는 에어백은 유지 부재 (20)을 에어백 커버 (1) 측에 눌러 붙이면서 에어백 커버 (1)을 할렬시켜 팽창 전개하기 때문에, 유지 부재 (20)을 눌러 팽창 전개전과 동일한 상태에 유지할 수 있고 계합 위치에 머물게 할 수가 있다. 그 결과, 팽창 전개시에 유지 부재 (20)이나 장식 부재 (10)이 에어백 커버 (1)로부터 이탈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커버 (1)에 장식 부재 (1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확실히 장착하여 유지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장식 부재 (10)의 형상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가 있다. 부가하여, 여기에서는 유지 부재 (20)의 계합편 (21)에 삽입된 계합구멍 (13K)로부터의 발지부 (24)를 마련했기 때문에 계합편 (21)이 계합구멍 (13K)로부터 빠지는 경우가 없고, 에어백의 전개시를 포함해 계합편 (21)을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한 상태에 유지해, 장식 부재 (10)이 이탈하는 것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 (20)은 계합편 (21)의 선단부 (21S)측이 선단부 (21S)를 향해 점차 얇아지고 있으므로 계합편 (21)의 계합구멍 (13K)에의 삽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동시에, 계합편 (21)이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계합구멍 (13K)에 삽입할 때의 저항이 낮아지고, 또한 걸림 등도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작업성이나 작업 효율을 보다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계합구멍 (13K)에 삽입된 유지 부재 (20)의 계합편 (21)은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단측 내면부와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협지 된다. 그 결과, 계합편 (21)을 계합 돌출부 (13)에 강하게 계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상기한 바와 같이 계합 돌출부 (13)을 개재하여 장식 부재 (10)을 끌어당겨 에어백 커버 (1)에 눌러 붙일 수가 있고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견고하게 고정해 장착된 상태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수반해, 에어백 커버 (1)에 대한 장식 부재 (10)의 덜걱거림을 없게 해, 어긋남이나 이음(異音)의 발생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20)에 계합 돌출부 (13)의 돌출단측에 서로 이웃이 되는 육후부 (25)를 마련했기 때문에,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의 부재가 유지 부재 (20)에 접촉해도 그 부재가 계합 돌출부 (13)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혹은, 계합 돌출부 (13)에 작용하는 힘을 저감 할 수가 있다. 아울러, 유지 부재 (20)에 접촉하는 부재가 계합 돌출부 (13) 측에 슬라이드나 이동해도 육후부 (25)에 방해되거나 또는 다른 방향에 일탈되어 계합 돌출부 (13)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의 계합 돌출부 (13)에의 이끌림도 방지할 수 있고 계합 돌출부 (13)의 파손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육후부 (25)를 계합 돌출부 (13) 측에 향하여 점차 두껍게 형성하는 것으로 에어백 커버 (1)의 이면 (1B)측의 부재가 육후부 (25)의 경사면을 따라 매끄럽게 변위해 계합 돌출부 (13)으로부터 일탈 되어지고, 육후부 (25)나 계합 돌출부 (13)에의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다. 동시에, 육후부 (25)의 강성, 계합 돌출부 (13)측에서 높고, 다른쪽 측에 향해 차례로 낮아지기 때문에, 유지 부재 (20)의 육후부 (25) 부근의 강성이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계합편 (21)의 계합구멍 (13K)에의 삽입시에 그 부근의 변형을 확보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장식 부재 (10)에 에어백 커버 (1)의 계지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부재 (14)를 설치하였으므로 장식 부재 (10)의 장착 작업시에 장식 부재 (10)을 에어백 커버 (1)에 가고정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유지 부재 (20)에 의한 장식 부재 (10)의 장착을 용이하게, 또한, 장식 부재 (10)의 장식된 표면을 강하게 누르지 않고 또는 만지지 않고 행해지고, 장착의 작업성을 높이면서 장식 부재 (10)이 손상하는 것이나 더러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 등, 에어백 커버 (1)에 변형시키는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장식 부재 (10)의 계합 돌출부 (13)이 형성된 위치 이외의 부분을 눌러, 에어백 커버 (1)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식 부재 (10)을 장착부 (3)내에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장식 부재 (10)의 장착시에, 유지 부재 (20)은 굴곡 변형시키는 것 외에 계합편 (21)간의 연결부 (22)를 압축 및 신장 변형시키는 등 다른 모양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탄성변형에 의해 계합편 (21)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이반 하는 방향으로 복원시켜 각 계합편 (21)을 서로 이반시켜 계합구멍 (13K)에 삽입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유지 부재 (20)은, 예를 들면 굴곡한 형상(도 8 참조)으로부터 직선 형상에 소성 변형 시켜 각 계합편 (21)을 장식 부재 (10)의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 시키고, 또는, 열가소성 수지로 굴곡 형상에 형성하고 가열해 직선 모양에 변형시켜도 좋다. 동일하게 유지 부재 (20)은 연결부 (22)의 중앙부에 경첩이나 회동 기구등을 설치해 대향하는 계합편 (21)이 서로 접근 및 이반 하는 방향으로, 기계적으로 변형하도록 해도 괜찮다. 다만, 유지 부재 (20)을 탄성 변형 시키는 경우에는 장식 부재 (10)의 장착 시에 유지 부재 (20)에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장착하기 쉽고, 장착 후도 그 형상에 유지되어 계합 상태를 안정시킬 수가 있어 장식 부재 (10)을 보다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장식 부재 (10)에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계합 돌출부 (13)을 대향시켜 주변부에 따라 배치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유지 부재 (20)에 예를 들면 계합 돌출부 (13)에 응하여 복수의 계합편 (21)을 방사 형상에 형성하고 유지 부재 (20)을 변형시켜 계합편 (21)을 서로 접근하는 상태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에 방사 형상에 이동시켜, 각 계합 돌출부 (13)의 계합구멍 (13K)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계합 돌출부 (13)과 계합편 (21)은 장식 부재 (10)과 유지 부재 (20)에 서로 삽입 및 계합 가능히 대응시켜, 대향 한 상태에 2개 이상 형성하면 좋고 그들을 2조 이상 설치해도 좋다.
1···에어백 커버, 2···벽부, 3···장착부, 4···관통구멍, 5···계지구멍, 10···장식 부재, 11···오너먼트, 12···오너먼트 링, 13···계합 돌출부, 13K···계합구멍, 14···계지부재, 20···유지 부재, 21···계합편, 22···연결부, 23···육박(肉薄)부, 24···발지부, 25···육후(肉厚)부

Claims (10)

  1. 장식 부재가 장착된 에어백 커버로서,
    장식 부재가 에어백 커버 측에 대향해 설치되고 에어백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해 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계합 돌출부와, 에어백 커버 이면측의 각 계합 돌출부에 형성된 계합 구멍을 갖고,
    에어백 커버의 이면측에서 각 계합구멍에 삽입되어 계합 돌출부에 계합하는 계합편이 설치되고, 계합편을 계합 돌출부와 계합시켜 장식 부재를 에어백 커버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유지 부재는 계합편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변형해 계합편을 이반시켜 각 계합편이 계합 구멍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2. 청구항 1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탄성변형에 의해 계합편이 서로 접근한 상태로부터 복원해 계합편을 이반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3.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굴곡 변형해 계합편을 서로 접근 및 이반 시키는 계합편 사이에 설치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삽입된 계합구멍으로부터의 발지부를 계합편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계합구멍에 삽입된 유지 부재의 계합편이 계합 돌출부의 돌출단측 내면부와 에어백 커버의 이면과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협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계합편의 계합구멍에의 삽입 선단부측이 선단부에 향하여 점차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장식 부재는, 계합 돌출부가 에어백 커버의 관통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의 계지부에 계탈 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가 계합구멍에 삽입된 계합편측에 계합 돌출부의 계합 구멍을 사이에 둔 돌출단측에 서로 이웃이 되는 육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9. 청구항 8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육후부가 계합 돌출부측에 향하여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어백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07026299A 2008-05-21 2009-05-12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 KR101242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33514A JP5133132B2 (ja) 2008-05-21 2008-05-21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8-133514 2008-05-21
PCT/JP2009/058859 WO2009142128A1 (ja) 2008-05-21 2009-05-12 エアバッグカバー及び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785A true KR20100134785A (ko) 2010-12-23
KR101242129B1 KR101242129B1 (ko) 2013-03-11

Family

ID=4134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299A KR101242129B1 (ko) 2008-05-21 2009-05-12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0565B2 (ko)
EP (1) EP2292476B1 (ko)
JP (1) JP5133132B2 (ko)
KR (1) KR101242129B1 (ko)
CN (1) CN102036858B (ko)
WO (1) WO2009142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9713B2 (en) * 2010-08-09 2013-06-11 Autoliv Asp, Inc. Assembly for attaching an emblem onto an airbag storage compartment cover
JP5823892B2 (ja) * 2012-02-29 2015-11-25 タカタ株式会社 締結部材及びハンドルカバー部締結構造
JP5921372B2 (ja) * 2012-03-27 2016-05-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締結構造及び締結部材
JP5705809B2 (ja) 2012-09-28 2015-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係止構造、装着部材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6026249B2 (ja) * 2012-11-29 2016-11-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CN105189213B (zh) * 2013-01-29 2017-12-08 Tk控股公司 用于连接至气囊盖的照明式标志组件
JP6533161B2 (ja) * 2013-01-29 2019-06-19 ジョイソン セイフティ システムズ アクイジション エルエルシー エアバッグカバーに接続するための照明エンブレムアセンブリ
JP6224917B2 (ja) * 2013-05-30 2017-11-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DE202014002912U1 (de) * 2014-04-04 2015-07-07 Dalphi Metal Espana, S.A. Emblembaugruppe zur Verbindung mit einer Gassackabdeckung, Abdeckung für ein Gassackmodul, Gassackmodul und Lenkrad mit einer derartigen Emblembaugruppe
CN104118572B (zh) * 2014-08-08 2017-03-29 广州科易光电技术有限公司 快速安装盘
JP1530584S (ko) * 2014-09-24 2018-07-30
USD795766S1 (en) * 2014-10-24 2017-08-29 Toyoda Gosei Co., Ltd. Cover of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USD768550S1 (en) * 2015-02-11 2016-10-11 Honda Motor Co., Ltd. Airbag cover
JP6626702B2 (ja) * 2015-12-10 2019-12-2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2017222331A (ja) * 2016-06-17 2017-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乗員拘束装置
FR3068318B1 (fr) * 2017-06-30 2019-08-02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Element de decor
US10679524B1 (en) * 2017-08-10 2020-06-09 Guy Mouton Motorcycle engine adornment
DE102017123063B3 (de) * 2017-10-05 2019-03-14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modul
JP7088098B2 (ja) * 2019-03-22 2022-06-21 住友電装株式会社 弾性取付部材及び弾性取付部材付自動車用配線部材
US20230391278A1 (en) * 2022-06-02 2023-12-07 Autoliv Asp, Inc. Coupling elements for emblem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1975Y1 (ko) * 1969-10-21 1973-12-06
US5851022A (en) * 1995-03-31 1998-12-22 Toyoda Gosei Co., Ltd. Air bag pad with decorative device
GB9508470D0 (en) 1995-04-26 1995-06-14 Alliedsignal Deutschland Gmbh Fastener
JPH0911833A (ja) * 1995-06-28 1997-01-14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US5678851A (en) * 1995-04-28 1997-10-21 Nihon Plast Co., Ltd. Airbag module cover
JPH0948315A (ja) 1995-08-09 1997-02-18 Nippon Name Plate Kogyo Kk エアバッグ用ハンドルのエンブレム
JPH106903A (ja) * 1996-06-24 1998-01-13 Nippon Name Plate Kogyo Kk エアバッグ用パッドのオ−ナメント
JPH10119683A (ja) * 1996-10-17 1998-05-12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DE19838603A1 (de) * 1998-08-25 2000-03-09 Eldra Kunststofftechnik Gmbh Dekorschicht für Airbagabdeckungen
JP2001225703A (ja) * 1999-12-07 2001-08-21 Tokai Rika Co Ltd プレート体のパッドカバーへの取付構造
JP3833428B2 (ja) * 1999-12-14 2006-10-11 豊田合成株式会社 成形品に対する加飾品の取付構造
US7097199B2 (en) * 2003-09-25 2006-08-29 Autoliv Asp, Inc. Airbag cover emblem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05073035A1 (ja) * 2004-01-30 2005-08-11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WO2006132266A1 (ja) * 2005-06-08 2006-12-14 Ashimori Industry Co., Ltd. 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921563B2 (en) * 2007-12-03 2011-04-12 Guardian Industries Corp. Method of making grille ba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128A1 (ja) 2009-11-26
US20110062688A1 (en) 2011-03-17
CN102036858B (zh) 2013-03-20
EP2292476B1 (en) 2013-03-27
EP2292476A1 (en) 2011-03-09
CN102036858A (zh) 2011-04-27
EP2292476A4 (en) 2011-11-30
JP5133132B2 (ja) 2013-01-30
US8210565B2 (en) 2012-07-03
JP2009280059A (ja) 2009-12-03
KR101242129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129B1 (ko) 에어백 커버 및 에어백 장치
US7097199B2 (en) Airbag cover emblem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7232151B2 (en) Airbag device
KR20130016202A (ko) 에어백 장치의 장착부 구조
US8297645B2 (en) Vehicle interior trim panel
KR20120079484A (ko) 클립
US7922189B1 (en) Vehicle grip assist handle
JP2010132035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11301335B (zh) 装饰部件及气囊装置的罩体
KR20210135303A (ko)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JP2001165134A (ja) 被固定部材の固定構造
JP2008110737A (ja) エアバッグ装置
US8702124B2 (en) Side airbag deployment arrangement
US8651524B2 (en) Airbag trajectory control envelope
US20050046153A1 (en) Airbag inflator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JP3937308B2 (ja) 車両内装部材
WO2013094338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EP0785111A2 (en) Air bag module with combined assembly and mounting hardware
KR100754107B1 (ko) 엠블럼이 구비되는 운전석 에어백 커버 구조
JP2010116060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1109146A (ja) エアーバッグカバーとリテーナとの連結構造
US11390233B2 (en) Driver seat airbag apparatus
JPWO2004113115A1 (ja) 車両用のシートクッションばね保持構造及びシートクッション装置
KR102454736B1 (ko) 동승석 에어백장치
KR100452846B1 (ko) 차량용 에어백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