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384A - 트래버스 장치 - Google Patents

트래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384A
KR20100134384A KR1020090052987A KR20090052987A KR20100134384A KR 20100134384 A KR20100134384 A KR 20100134384A KR 1020090052987 A KR1020090052987 A KR 1020090052987A KR 20090052987 A KR20090052987 A KR 20090052987A KR 20100134384 A KR20100134384 A KR 20100134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ogie
unit
frame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495B1 (ko
Inventor
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2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95B1/ko
Priority to US12/616,228 priority patent/US8397900B2/en
Priority to CN200910224359.6A priority patent/CN101920734B/zh
Publication of KR2010013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의 이송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대차를 셔틀유닛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하고,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대차를 이송하도록
차체 프레임이 안착되는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송 및 투입하기 위한 트래버스 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에서 상기 대차의 이송경로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들의 상부가 돌출되게 감싼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셔틀유닛; 및 상기 셔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차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트래버스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52987
트래버스, 대차, 셔틀유닛, 이송유닛, 이송 실린더

Description

트래버스 장치{TRAVERSE APPARATUS}
본 발명은 트래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프레임이나 차량부품이 안착되는 대차를 이송 시, 실린더 구동방식으로 이송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하고,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대차의 이송을 가능케 하는 트래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 모든 양산라인 내에서 2만 내지 3만여 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양산라인에서 차체 프레임이나 차량 부품들은 대차를 통하여 이송되는데, 상기한 대차는 최초 스토리지 상에 저장되었다가 트래버스 장치를 통하여 취출 및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트래버스 장치는 각 양산라인을 따라 설치되는 셔틀 상에 기어박스와 구동모터 및 이를 통해 회전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구동수단을 통해 대차를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구동수단은 셔틀 상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상기 대차를 각 공정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는 상기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수개의 구동수단을 설치해야 함에 따라 초기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상기 대차를 회전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간접 구동하여 이송시키므로 대차의 고속이동이 불가능하여 이송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는 대차의 이송 시, 대차의 이송정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드 장치를 따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트래버스 장치의 크기 비대 및 설치공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다수개의 구동수단 중 하나의 구동수단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전체 라인이 정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정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의 이송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대차를 셔틀유닛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하고,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대차를 이송하도록 하는 트래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는 차체 프레임이 안착되는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송 및 투입하기 위한 트래버스 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에서 상기 대차의 이송경로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들의 상부가 돌출되게 감싼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셔틀유닛; 및 상기 셔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차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셔틀유닛 상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 양단에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폭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이송 실린더; 및 상기 대차의 하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대차를 셔틀유닛 상에 진입 및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 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대차 클램핑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블록;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장착블록의 하부에 장착되는 클램핑 실린더; 상기 각 장착블록의 상부 양측에 각각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각 하단은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제2 링크의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되는 대차 클램퍼; 및 상기 각 대차 클램퍼의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 장착되는 클램핑 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틀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대차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플로팅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 플로팅 스토퍼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블록; 상기 각 고정블록의 일측 상부에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선단 양측에는 상기 대차와 구름 접촉되는 접촉롤러가 각각 장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각 고정블록의 타측과 상기 스토퍼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틀유닛과 이송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빔의 상부와 구름 접촉되는 상부 가이드 롤러; 및 상 기 가이드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빔의 양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측부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셔틀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게 장착되어 각각 상기 대차를 상기 셔틀유닛으로 진입시키고, 셔틀유닛을 통해 이송이 완료된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는 제1, 제2 이젝팅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 제2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제1, 제2 구동모터와 제1, 제2 구동롤러로 구성되어 대차를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 상에서 정위치로 진입 또는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는 제1, 제2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은 상기 대차를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은 상기 각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로케이터;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로케이터의 후단에 장착되는 제1, 제2 고정 실린더; 및 상기 각 로케이터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각 고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고정 클램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은 상기 대차를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대차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대차 고정수단은 상기 각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로케이터;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로케이터의 후단에 장착되는 고정 실린더; 및 상기 로케이터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 실린더의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고정 클램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유닛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이송 실린더로부터 이송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하중 저감을 위해 장착되는 댐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홀을 통해 양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상기 하우징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격막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댐핑 유닛의 로드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로드의 일단 또는 타단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설정간격으로 접촉 브라켓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의하면, 대차의 이송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유닛을 통해 대차를 셔틀유닛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정확하게 해당라인으로 대차를 이송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는 종래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던 다수개의 기어박스 및 구동요소를 제거하고, 2개의 이송 실린더를 이용해 대차의 이송을 실현함으로써,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를 실현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셔틀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플로팅 스토퍼 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제1, 제2 이젝팅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 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1)는 차체 프레임이나 차량의 부품이 안착되는 대차(3)를 해당라인으로 이송 및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대차(3)의 이송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유닛(200)을 통해 대차를 셔틀유닛(100)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하고,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대차를 이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상기 대차(3)를 해당라인으로 이송시키는 셔틀유닛(100)과, 대차(3)를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셔틀유닛(1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 롤러(111), 및 커버 플레이트(113)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작업장의 바닥에서 상기 대차(3)의 이송경로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111)가 다수개로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13)는 상기 각 롤러(111)들의 상부가 돌출되게 감싼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셔틀유닛(100)은 상기 이송유닛(200)을 통해 상기 셔틀유닛(100)으로 이송된 대차(3)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의 설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다수개의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각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블록(121), 스토퍼(123), 및 탄성부재(12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블록(121)는 상기 이송유닛(200)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대차(3)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각 고정블록(121)의 일측 상부에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선단 양측에는 상기 대차(3)와 구름 접촉되는 접촉롤러(124)가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스토퍼(12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13)의 상부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롤러(124)는 상기 대차(3)와 접촉 시,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각 고정블록(121)의 내부 타측과, 상기 스토퍼(123)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123)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5)는 일단이 상기 스토퍼(123)의 하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블록(121)의 내부 타단과 연결되는 인장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은 상기 이송유닛(100)을 통해 이송된 대차(3)가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 안착되면, 상기 대차(3)를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은 상기 대차의 이동 시, 상기 스토퍼(123)의 접촉롤러(124)가 상기 대차(3)와 구름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어 상기 대차(3)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고, 상기 대차(3)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25)로부터 탄발력을 제공받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대차(3)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유닛(20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셔틀유닛(100)이 상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차(3)를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유닛(200)은 이송 프레임(210), 이송 실린더(220), 및 다수개의 대차 클램핑 수단(230)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송 프레임(210)은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양단에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폭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작동압에 의해 상기 각 작동로드가 이송 실린더(220)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각각 전, 후진 작동을 하는 양로드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대차(3)를 셔틀유닛(100) 상에 진임 및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장착 프레임(231), 장착블록(233), 클램핑 실린더(235), 대차 클램퍼(237) 및 클램핑 패드(239)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장착 프레임(231)는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장착 프레임(231)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장착블록(233)이 각각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핑 실린더(235)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장착블록(233)의 하부에 각각 장착된다.
상기 대차 클램퍼(237)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각 장착블록(233)의 상부 양측에 각각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각 하단은 제1 링크(234)를 통해 상기 클램핑 실린더(235)의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제2 링크(236)의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패드(239)는 상기 각 대차 클램퍼(237)의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대차(3)의 클램핑 시,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클램핑 실린더(235)의 전, 후진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제2 링크(234, 236)를 통해 힌지 연결되어 회동되는 상기 대차 클램퍼(237)를 이용하여 상기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 하게 된 다.
여기서, 상기 셔틀유닛(100)과 이송유닛(200)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24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수단(240)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빔(241), 상부 가이드 롤러(243), 및 측부 가이드 롤러(245)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 빔(241)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롤러(243)는 상기 각 장착 프레임(231)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빔(241)의 상부와 구름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측부 가이드 롤러(245)는 상기 가이드 롤러(243)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장착 프레임(231)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빔(241)의 양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가이드 수단(240)은 상기 이송유닛(200)의 왕복 이동 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이송 프레임(210)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이송유닛(200)의 단계별 작동을 도 6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유닛(200)은, 도 6의 (S1)과 같이, 상기 이송 실린더(220)가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 중에서 도면상에서 좌측으로 첫 번째 대차 클램핑 수단(230)이 상기 대차(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클램핑 실린더(235)가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대차(3)의 하부를 각 대차 클램퍼(237)를 통해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대차(3)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상기 각 이송 실린더(220)는, 도 6의 (S2)와 같이,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도 6의 (S1)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차 클램핑 수단(230)에 의해 클램핑된 상기 대차(3)는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대차(3)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대차(3)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되고, 상기 대차(3)는 상기 이송 프레임(210)이 이동된 위치에서 상기 셔틀유닛(100)의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정위치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도 6의 (S3)과 같이, 다시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각 대차 클램퍼(237)가 클램핑 실린더(235)의 전진작동에 의해 클램핑이 해제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 프레임(210) 상에 설치된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 중, 도면상의 좌측으로부터 두 번째 대차 클램핑 수단(230)이 상기한 (S2) 단계에서 이송된 대차(3)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클램핑 실린더(235)를 후진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대차(3)에 대응하는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각 클램퍼(237)를 통해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다시 상기 (S2)단계와 같이, 이송 실린더(220)가 후진 작동을 하면, 상기 대차(3)는 셔틀유닛(100) 상에서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이송유닛(200)은 상기와 같이 이송 실린더(220)의 전, 후진 왕복 작동을 계속해서 반복 수행함으로써, 상기 대차(3)을 셔틀유닛(100) 상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셔틀유닛(10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게 장착되어 각각 상기 대차(3)를 상기 셔틀유닛(100)으로 진입시키고, 셔틀유닛(100)을 통해 이송이 완료된 대차(3)를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는 제1, 제2 이젝팅 유닛(300, 4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제2 이젝팅 유닛(300, 4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제2 고정 프레임(310, 410), 및 제1, 제2 구동수단(320, 42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310, 41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구동수단(320, 420)은 제1, 제2 구동모터(321, 421)와 제1, 제2 구동롤러(323, 423)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310, 4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대차(3)를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310, 410) 상에서 정위치로 진입 또는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300, 400)은 상기 대차(3)를 상기 제1, 고정 프레임(310), 또는 제2 고정 프레임(410) 상에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310, 4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330, 43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330, 430)은 제1, 제2 로케이터(331, 431), 제1, 제2 고정 실리더(333, 433) 및 제1, 제2 고정 클램퍼(335, 435)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제2 로케이터(331, 431)는 상기 각 고정 프레임(310, 41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제2 고정 실린더(333, 433)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로케이터(331, 431)의 후단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고정 클램퍼(335, 435)는 상기 각 로케이터(331, 431)의 선단에 일단이 각각 힌지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각 고정 실린더(333, 433)의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각 고정 실린더(333, 433)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회동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유닛(200)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이송 실린더(220)로부터 이송 프레임(210)에 전달되는 충격하중 저감을 위해 장착되는 댐핑유닛(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댐핑유닛(500)은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510), 로드(520), 및 완충부재(53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하우징(510)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공간(511)을 가지며, 중앙에 삽입홀(513)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510)은 일단부에 상기 하우징(51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515)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511)을 구획하는 격막(517)이 형성된다.
상기 격막(517)은 중앙에 상기 로드(520)가 삽입되는 관통홀(51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드(520)는 상기 하우징(510)의 삽입홀(513)과 격막(517)의 관통홀(519)을 통해 양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홀(513)과 관통홀(519)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 상에서 상기 로드(5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530)는 그 재질이 강력 스폰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 프레임(210)에는 상기 댐핑유닛(500)의 로드(520)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로드(520)의 일단 또는 타단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로드(520)를 이동시키도록 설정간격으로 접촉 브라켓(540)이 각각 장착된다.
이러한 각 접촉 브라켓(540)은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왕복 이동시, 상기 로드(520)의 일단 또는 타단과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510) 내부에서 상기 로드(5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로드(520)는 상기 삽입홀(513)과 관통홀(519)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1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1차 마찰력은 상기 이송 실린더(220)의 작동 시에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1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에서 상기 로드(520)와 함께 이동되며, 격막(517) 또는 하우징(510)의 내벽면에 맞닿게 되면 고정되어 상기 로드(520)만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로드(520)는 완충부재(5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2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2차 마찰력은 상기 이송 실린더(220)에서 발생된 충격하중을 2차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즉, 상기 댐핑유닛(500)은 이송 실린더(220)의 작동 시에 발생되는 충격하중을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 상에서 로드(52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이중으로 발생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저감시킴으로써, 이송 프레임(210)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며, 이송 실린더(2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댐핑유닛(200)의 단계별 작동을 도 10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송 실린더(220)가 전진 작동을 하여 이송 프레임(510)이 도면상에서 우측방향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로드(520)는 타단이 상기 이송 프레임(510)에 장착된 접촉 브라켓(540) 중 우측에 장착된 접촉 브라켓(540)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로드(520)는, 도 10의 (S10)과 같이,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에서 상기 접촉 브라켓(540)의 반대방향을 향하여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520)는 삽입홀(513)과 관통홀(519)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1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로드(520)와 같은 방향으로 내부공간(511)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로드(520)가 계속해서 이동되면, 상기 완충부재(530)는 격막(517)과 맞닿아 이동을 멈추게 되고, 상기 로드(520)는 상기 완충부재(530)와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계속해서 이동하여 2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이송 실린더(220)가 후진 작동을 하여 이송 프레임(210)이 도면상에서 좌측 방향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로드(520)는 일단이 상기 이송 프레임(210)에 장착된 접촉 브라켓(540) 중 좌측에 장착된 접촉 브라켓(540)과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로드(520)는, 도 10의 (S20)과 같이, 상기 하우징(510)의 내부공간(511)에서 상기 접촉 브라켓(540)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520)는 삽입홀(513)과 관통홀(519)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1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동시에,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로드(52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로드(520)가 계속해서 이동되면, 상기 완충부재(530)는 상기 하우징(510)의 내벽면과 맞닿아 이동을 멈추게 되고, 상기 로드(520)는 상기 완충부재(530) 상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계속해서 이동하여 2차 마찰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1)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상기 대차(3)는, 도 11의 (S100)과 같이, 제1 이젝팅 유닛(300)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321)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롤러(323)를 통하여 상기 제1 고정 프레임(310) 상으로 진입된다.
상기 대차(3)가 진입되면, 상기 제1 대차 고정수단(330)의 제1 고정 실린더(333)가 후진 작동을 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클램퍼(335)는 제1 로케이터(3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대차(3)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을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대차(3)를 상기 제1 고정 프레임(310) 상에서 정위치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유닛(200)의 이송 실린더(220)는, 도 11의 (S200)과 같이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상기 대차(3)를 향해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이송 프레임(210)은 상기 제1 이젝팅 유닛(300)에 안착된 대차(3)의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 중 상기 대차(3)에 대응하는 첫 번째 대차 클램핑 수단(230)이 상기 대차(3)의 하부에 정위치되면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작동을 중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각 대차 클램퍼(237)가 상기 대차(3)와 간섭되지 않도록 각 클램핑 실린더(235)가 전진 작동한 상태를 유지하여 클램핑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대차 클램핑 수단(230)이 상기 대차(3)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각 클램핑 실린더(235)는 후진 작동을 하게된다.
그러면, 상기 각 대차 클램퍼(237)는 제1, 제2 링크(234, 236)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대차 클램퍼(237)는 상기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 시, 상기 각 클램핑 패드(239)에 의해 마찰을 최소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도 11의 (S300)과 같이,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대차 클램핑 수단(230)을 통해 클램핑된 상기 대차(3)는 상기 이송 프레임(210)과 함께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수단(240)은 상기 가이드 빔(241)과 구름 접촉되는 상부 가이드 롤러(243)와 측부 가이드 롤러(245)를 통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200)의 작동을 통해 이송되는 대차(3)는 하부 양측이 상기 셔틀유닛(100)의 각 롤러(11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대차(3)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 실린더(220)의 후진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대차(3)는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 위치되는데, 이 경우, 상기 대차(3)는 상기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에 의해 상기 셔틀유닛(100)의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서 설정위치에 정위 치된다.
그런 후, 상기 제1 이젝팅 유닛(300)에 두 번째 대차(3)가 진입되면, 상기한 (S100)의 단계와 같은 작동을 통해 두 번째 대차(3)를 정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클램핑을 해제하게 되고,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도 11의 (S500)과 같이, 다시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 중 첫 번째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 제1 이젝팅 유닛(300) 상에 안착된 두 번째 대차(3)의 하부에 정위치되고, 두 번째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상기한 단계를 통해 셔틀유닛(100) 상에 정위치된 첫 번째 대차(3)의 하부에 정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은 다시 상기 각 대차(3)의 하부를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각 대차(3)의 클램핑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 실린더(220)는, 도 11의 (S600)과 같이, 다시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이송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230)을 통해 클램핑된 두 대의 대차(3)는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서 제2 이젝팅 유닛(400) 측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은 상기 첫 번째 대차(3)의 이동 시, 상기 스토퍼(123)의 접촉롤러(124)가 대차(3)와 구름 접촉된 상태로, 회동되어 상기 대차(3)의 고정을 해제하여 대차(3)의 이송을 완료시키게 된다.
그런 후, 대차(3)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스토퍼(123)는 탄성부재(125)로 부터 탄발력을 제공받아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셔틀유닛(100) 상으로 진입된 두 번째 대차(3)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플로팅 스토퍼 수단(120)은 상기 대차(3)의 이동 시,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대차(3)를 정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유닛(200)의 작동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상기 이송유닛(200)의 구성 설명과 함께 전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면, 다시 상기 제1 이젝팅 유닛(300)으로 세 번째 대차(3)가 진입되어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대차(3)는 상기 셔틀유닛(100) 상에서 이송되어 제2 이젝틱 유닛(400)으로 진입되고, 제2 대차 고정수단(430)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프레임(410) 상에서 정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제2 이젝팅 유닛(400)은 제2 구동수단(420)을 작동시켜 제2 고정 프레임(410) 상에 정위치된 상기 대차(3)를 해당 라인으로 투입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1)는 상기 이송 실린더(220)의 전, 후진 작동을 통해 상기 대차(3)를 보다 안정적이며 신속하게 해당라인으로 이송 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 실린더(220)의 전, 후진 왕복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하중은 상기 댐핑유닛(500)의 이중 마찰력을 통해 저감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댐핑유닛(500)의 이중 마찰력 발생에 대한 설명은 댐핑유닛(500)의 구성 설명과 함께 전 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 그 작동원리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를 적용하면, 대차(3)의 이송 시, 실린더 구동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유닛(200)을 통해 대차(3)를 셔틀유닛(100)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이며 고속으로 정확하게 해당라인으로 대차(3)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1)는 종래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던 다수개의 기어박스 및 구동요소를 제거하고, 2개의 이송 실린더(220)를 이용해 대차(3)의 이송을 실현함으로써, 구성요소를 간소화하여 초기 설비 투자비를 절감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고, 전체적인 장치의 슬림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셔틀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핑 스토퍼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이송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에 적용되는 제1, 제2 이젝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래버스 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10)

  1. 차체 프레임이 안착되는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송 및 투입하기 위한 트래버스 장치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에서 상기 대차의 이송경로 상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들의 상부가 돌출되게 감싼 상태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는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셔틀유닛; 및
    상기 셔틀유닛의 상부에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을 통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대차를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셔틀유닛 상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 프레임;
    양단에 상기 이송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폭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이송 실린더; 및
    상기 대차의 하부를 클램핑한 상태로, 대차를 셔틀유닛 상에 진입 및 이송시 키도록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대차 클램핑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차 클램핑 수단은
    상기 이송 프레임의 상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장착블록;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장착블록의 하부에 장착되는 클램핑 실린더;
    상기 각 장착블록의 상부 양측에 각각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각 하단은 제1 링크를 통해 상기 클램핑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장착되는 제2 링크의 양측에 각각 힌지 체결되는 대차 클램퍼; 및
    상기 각 대차 클램퍼의 마주하는 양측 선단에 장착되는 클램핑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대차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플로팅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각 플로팅 스토퍼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설정간격으로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블 록;
    상기 각 고정블록의 일측 상부에 하부 일측이 힌지 체결되며, 선단 양측에는 상기 대차와 구름 접촉되는 접촉롤러가 각각 장착되는 스토퍼; 및
    상기 각 고정블록의 타측과 상기 스토퍼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스토퍼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과 이송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이송 프레임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 빔;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빔의 상부와 구름 접촉되는 상부 가이드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장착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빔의 양측면에 각각 구름 접촉되는 측부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게 장착되어 각각 상기 대차를 상기 셔틀유닛으로 진입시키고, 셔틀유닛을 통해 이 송이 완료된 대차를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는 제1, 제2 이젝팅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의 양측에 각각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 제2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제1, 제2 구동모터와 제1, 제2 구동롤러로 구성되어 대차를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 상에서 정위치로 진입 또는 해당라인으로 이탈시키는 제1, 제2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이젝팅 유닛은 상기 대차를 정위치시키도록 상기 제1, 제2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대차 고정수단은
    상기 각 고정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제2 로케이터;
    작동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 로케이터의 후단에 장착되는 제1, 제2 고정 실린더; 및
    상기 각 로케이터의 선단에 일단이 힌지 체결되고, 일측이 상기 각 고정 실 린더의 작동로드와 각각 연결되는 제1, 제2 고정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유닛의 왕복 이동 시, 상기 이송 실린더로부터 이송 프레임에 전달되는 충격하중 저감을 위해 장착되는 댐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댐핑유닛은
    원통 형상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삽입홀을 통해 양단부가 돌출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로드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단부에 상기 하우징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격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댐핑 유닛의 로드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로드의 일단 또는 타단과 각각 접촉되어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도록 설정간격으로 접촉 브라켓이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버스 장치.
KR1020090052987A 2009-06-15 2009-06-15 트래버스 장치 KR10106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87A KR101063495B1 (ko) 2009-06-15 2009-06-15 트래버스 장치
US12/616,228 US8397900B2 (en) 2009-06-15 2009-11-11 Traverse system
CN200910224359.6A CN101920734B (zh) 2009-06-15 2009-12-02 横动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987A KR101063495B1 (ko) 2009-06-15 2009-06-15 트래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384A true KR20100134384A (ko) 2010-12-23
KR101063495B1 KR101063495B1 (ko) 2011-09-07

Family

ID=4330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987A KR101063495B1 (ko) 2009-06-15 2009-06-15 트래버스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7900B2 (ko)
KR (1) KR101063495B1 (ko)
CN (1) CN10192073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87B1 (ko) * 2013-05-22 2013-10-29 신한테크(주)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CN111514453A (zh) * 2020-04-30 2020-08-11 浙江荣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成型效果好的双排纽扣型理疗电极片成型机
CN111879468A (zh) * 2020-08-03 2020-11-03 深圳市欧盛自动化有限公司 检测腔体模块和漏液检测机
KR20220111939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조립 주택의 스터드와 리브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클램핑지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969B1 (ko) * 2008-08-25 2011-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송 대차 순환 시스템
CN103603098B (zh) * 2013-10-09 2016-03-02 江阴艾泰克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流纺纱机的横动机构
CN103879738B (zh) * 2014-03-31 2016-03-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自动化物料随线输送系统
CN104773498B (zh) * 2015-03-11 2017-01-18 安徽科达机电有限公司 一种鞍架摆渡车
CN104960918B (zh) * 2015-05-29 2016-09-07 广州瑞松北斗汽车装备有限公司 适应于多车型搬运装备的托块机构
KR102406119B1 (ko) * 2016-12-07 2022-06-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어태치먼트,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장치
CN107020470B (zh) * 2017-06-20 2018-10-3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身焊接零部件的流转系统
CN110861893B (zh) * 2018-08-28 2021-05-14 精诚工科汽车系统有限公司 制件上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40797A (en) * 1967-02-17 1969-01-22 Steel Equipment Company Ltd Live storage structures
US3888366A (en) * 1973-08-30 1975-06-10 Heil Co Self-unloading vehicle
US4037714A (en) * 1976-07-21 1977-07-26 Centri-Spray Corporation Reciprocating conveyor
US4505380A (en) * 1983-08-24 1985-03-19 Central Mfg., Inc. Fluid pressure operated reciprocating conveyor
US4633784A (en) * 1984-09-19 1987-01-06 Lico, Inc. Clamping device for high speed indexing
US4768646A (en) * 1987-01-12 1988-09-06 Devins Theodore R Accumulator conveyor
JPH0569919A (ja) 1991-09-06 1993-03-23 Daifuku Co Ltd コンベア装置
US5483876A (en) * 1993-12-21 1996-01-16 Trantek, Incorporated Workpart transfer mechanism for stamping press
US5465827A (en) * 1994-04-26 1995-11-14 Daifuku Co., Ltd. Transport arrangement for movable members
IT1286461B1 (it) 1996-12-09 1998-07-08 Cima Comp It Molle Acciaio Ammortizzatore a frizione,particolarmente studiato per macchine lavabiancheria o simili
CA2256968C (en) * 1997-12-24 2006-10-24 Lawson Automotive Inc. Pallet retention and release system
US6986417B2 (en) * 1998-11-04 2006-01-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ransfer system
JP3819653B2 (ja) * 1998-11-04 2006-09-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搬送装置
US6302261B1 (en) * 1999-02-22 2001-10-16 Joseph J. Gilberti Safety coupling for in-line indexer
US6253907B1 (en) * 1999-05-07 2001-07-03 Eisenmann Corporation Conveying system for work pieces
SE515980C2 (sv) * 1999-07-13 2001-11-05 Binar Ab En metod för snabb förflyttning av ett arbetsobjekt i både horisontalled och vertikalled från en arbetsstation till en annan
US20020070099A1 (en) * 2000-12-13 2002-06-13 Neely Phillip K. Automated process buffer shuttle
JP3994711B2 (ja) * 2001-10-01 2007-10-24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CA2389436A1 (en) * 2002-06-06 2003-12-06 Serguei Goussev Multi-level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DE102004060239A1 (de) * 2004-12-15 2006-07-06 Sms Demag Ag Vorrichtung zum Verschieben von metallischem Gut
DE102005047530A1 (de) * 2005-10-04 2007-04-05 Eisenmann Maschinenbau Gmbh & Co. Kg Rollenbahnförderer sowie Rollenbahnsystem zum Aufbau eines solchen
WO2007054901A1 (en) * 2005-11-10 2007-05-18 Rene Wegkamp A drive beam
JP2008195503A (ja) * 2007-02-14 2008-08-28 Daifuku Co Ltd 物品搬送装置
JP5278724B2 (ja) * 2007-07-26 2013-09-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5282971B2 (ja) * 2009-07-14 2013-09-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
US8500383B2 (en) * 2010-08-03 2013-08-06 Hartzell H. Schmidgall Trailer and unload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487B1 (ko) * 2013-05-22 2013-10-29 신한테크(주) 볼 캐스터가 구비된 이송장치
CN111514453A (zh) * 2020-04-30 2020-08-11 浙江荣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成型效果好的双排纽扣型理疗电极片成型机
CN111514453B (zh) * 2020-04-30 2021-05-04 浙江荣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双排纽扣型理疗电极片成型机
CN111879468A (zh) * 2020-08-03 2020-11-03 深圳市欧盛自动化有限公司 检测腔体模块和漏液检测机
KR20220111939A (ko) * 2021-02-03 2022-08-10 송과모빌리티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조립 주택의 스터드와 리브 용접용 위치조정가능한 클램핑지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20734A (zh) 2010-12-22
CN101920734B (zh) 2015-06-10
US8397900B2 (en) 2013-03-19
KR101063495B1 (ko) 2011-09-07
US20100316477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495B1 (ko) 트래버스 장치
KR101251497B1 (ko) 차량의 루프 용접용 지그장치
US6293454B1 (en) Installation for positioning and welding body parts of different types of motor vehicles
KR101028550B1 (ko) 차량용 휠 로딩장치
KR101163701B1 (ko)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KR101654864B1 (ko) 차체 용접 장치
JP5836926B2 (ja) 自動車車体の組立装置
KR101371447B1 (ko) 차량 부품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KR100666248B1 (ko) 차량 바디의 셔틀라인 시스템
JP5836924B2 (ja)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
JP2016141550A (ja) 台車搬送コンベア
CA1337862C (en) Method for transporting vehicle bodies in vehicle body welding line
KR101503232B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0249699B1 (ko) 자동차의 차체 용접용 레이저 빔 용접기
WO2014119504A1 (ja) 板状部材運搬装置
KR20090039984A (ko)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JP3508268B2 (ja) 治具交換装置
CN215944618U (zh) 一种用于汽车中通道的运输装置
KR100969462B1 (ko) 대차 이동장치
KR101225034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JP2001276936A (ja) 工具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KR100610830B1 (ko) 차량 사이드 패널 작업대차
JP2002293277A (ja) サイドパネル組立ライン
JPH0469120A (ja) 搬送装置
KR20200131514A (ko) 자동차 범퍼 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