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984A -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984A
KR20090039984A KR1020070105513A KR20070105513A KR20090039984A KR 20090039984 A KR20090039984 A KR 20090039984A KR 1020070105513 A KR1020070105513 A KR 1020070105513A KR 20070105513 A KR20070105513 A KR 20070105513A KR 20090039984 A KR20090039984 A KR 20090039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panel
rail block
guide r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171B1 (ko
Inventor
최광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1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와의 간섭 없이 패널을 취출한 후, 이송 중에 패널의 위치결정을 이루어 정확한 로딩위치에 패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70105513
파렛트, 판넬, 클램프 유닛, 흡착수단, 이송장치

Description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PANEL MOVING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렛트 상에 무단으로 적재되어 취출 위치산포가 발생된 다수매의 패널을 그 적재상태에서 그대로 하나씩 취출한 후, 이송과정에서 위치결정을 이루어 패널의 정확한 로딩 위치에 로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 등과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패널을 일정 형상으로 절단·절곡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패널을 일정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프레스 공정을 통하여 성형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스 공정에서 성형된 패널은 파렛트에 적재된 상태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데, 파렛트 상에 적재된 패널을 해당 공정으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로봇을 이용한 패널 이송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패널 이송장치는 파렛트 상의 패널을 정확한 취출 위치에서 취출해야만 해당공정의 로딩 위치에 정확하게 패널을 로딩하게 되며, 이를 위해서는 파렛트 상에 적재되는 패널이 랫치 등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정위치 적재되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렛트를 이용하여 패널을 적재하는 경우, 패널 이송장치와 파렛트 상의 랫치가 간섭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상기 파렛트 상에 적재되는 패널의 매수가 한정적이어서 상기 파렛트를 자주 교체해야 하며, 이에 따라, 상기 파렛트의 물류 이동량이 많아지는 문제점 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파렛트 상에 적재되는 패널의 매수를 늘리고, 동시에 파렛트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패널 이송장치 자체가 파렛트로부터 취출한 패널의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하면, 해당 공정의 로딩위치에 정확하게 패널을 공급할 수 있다는 기술적 배경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파렛트와의 간섭 없이 패널을 취출한 후, 이송 중에 패널의 위치결정을 이루어 정확한 로딩위치에 패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있어서, 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그 폭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를 1조로 하여 2조의 제1가이드 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제1브라켓을 통하여 제1가이드 봉이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제1가이드 레일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 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1레일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각 제1레일블록 양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 봉에 끼워져 상기 제1레일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가이드수단; 상기 각 조의 제1레일블록 하부를 연결하여 제2가이드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제2브라켓을 통하여 제2가이드 봉이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각 제2가이드 레일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레일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각 제2레일블록의 일측에서 상기 제2가이드 봉에 끼워져 제2레일블록을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각각의 제2레일블록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양단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케이터; 상기 로케이터의 하부 일측에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로케이터에 힌지 체결되는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퍼는, 그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1스프링은 상기 각 제1가이드 봉의 양측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1레일블록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은 각 제1브라켓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각 제2가이드 봉의 일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2레일블록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일측 제2브라켓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제2레일 블록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진공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의하면, 렛치나 클램퍼 등을 적용하지 않은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어 파렛트와의 간섭을 배제하며, 패널을 취출한 후에도 이송 중에 패널의 위치결정을 이루어 해당공정의 정확한 로딩위치에 패널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파렛트 상에 다량의 패널을 무단으로 적재하여 취출위치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여 파렛트를 통한 패널공급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로봇의 아암(1) 선단에 장착 프레임(3)이 장착된다.
상기 장착 프레임(3)의 양단에는 클램핑 유닛(5)이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 유닛(5)은 상기 장착 프레임(3)의 양단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로케이터(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케이터(7)의 하부 일측에는 작동 실린더(9)의 일측이 힌지 체결된다.
상기 작동 실린더(9)의 작동로드(11) 선단에는 클램퍼(13)의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상기 클램퍼(13)의 타측은 상기 로케이터(7)에 힌지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퍼(13)는 그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 프레임(3)의 하부에는, 도 1과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폭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를 1조로 하여 2조의 제1가이드 레일(15)이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레일(15)의 양단에는 제1브라켓(17)을 통하여 제1가이드 봉(19)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봉(19)에는 제1레일블록(21)이 끼워진다.
상기 각 제1레일블록(21)은 상기 제1가이드 봉(19)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제1가이드 레일(15)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각 제1레일블록(21)의 양측에는 상기 각 제1가이드 봉(19)에 끼워져 상기 제1레일블록(21)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23)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프링(23)은 상기 각 제1가이드 봉(19)의 양측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1레일블록(21)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은 각 브라켓(17)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 조의 제1레일블록(21)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연결하여 제2가이드 레일(25)이 장착된다.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레일(25)의 양단에는 제2브라켓(27)을 통하여 제2가이드 봉(29)이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봉(29)에는 제2레일블록(31)이 장착된다.
상기 제2레일블록(31)은 상기 제2가이드 봉(29)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각 제2가이드 레일(25)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각 제2레일블록(31)의 일측에는 상기 제2가이드 봉(29)에 끼워져 상기 제2레일블록(31)을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33)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스프링(33)은 상기 각 제2가이드 봉(29)의 일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2레일블록(31)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일측 브라켓(27)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제2레일블록(31)의 하부 일측에는 흡착수단(35)이 장착된다.
상기 흡착수단(35)은 먼저, 상기 제2레일 블록(31)의 하부 일측에는 연결 브라켓(37)이 장착된다.
상기 연결 브라켓(37)의 측면에는 장착 브라켓(39)이 장착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39)을 통하여 진공컵(41)이 장착되어 상기 흡착수단(35)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 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패널 이송장치는 로봇에 의해 취출 할 패널(50)이 적재된 파렛트 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각 클램핑 유닛(5)은, 도 3의 (S1)과 같이, 각 작동실린더(9)의 작동로드(11)가 작동압에 의해 후진 작동을 하여 상기 각 클램퍼(13)를 언클램핑 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이송장치가 상기 패널(50)을 취출하기 위한 위치까지의 이동이 완료되면, 로봇이 상기 패널(50)까지 패널 이송장치를 하강시켜, 도 3의 (S2)와 같이, 상기 각 흡착수단(35)의 진공컵(41)이 상기 패널(50)에 맞닿게 되고, 이때, 상기 각 진공컵(41)이 작동하여 상기 패널(50)을 흡착하게 된다.
상기 흡착수단(35)을 통하여 상기 패널(50)의 흡착이 완료되면 상기 패널 이송장치는 로봇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패널(50)의 로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클램핑 유닛(5)은, 도 3의 (S3)과 같이, 상기 각 작동실린더(9)의 작동로드(11)가 작동압에 의해 전진 작동을 하여 상기 클램퍼(13)를 클램핑 시키게 되고, 상기 흡착수단(35)에 의해 흡착된 상기 패널(50)은 상기 클램핑 유닛(5)의 클램퍼(13)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각 제2가이드 레일(25) 상에 제2레일블록(31)을 통하여 장착된 상기 흡착수단(35)은, 상기 제2가이드 레일(25) 상에서 상기 제2레일블록(31)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각 제2가이드 봉(29)은 상기 제2레일블록(31)을 가이드 하게 되면서 상기 패널(50)의 위치결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 이송장치가 상기 패널(50)의 로딩 위치로의 이동을 완료하 게 되면, 상기 각 클램핑 유닛(5)의 작동실린더(9)가 상기 클램퍼(13)를 언클램핑 상태로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각 흡착수단(35)의 진공컵(41)에서 상기 패널(50)이 탈착되어 상기 패널(50)의 로딩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50)이 탈착되면, 상기 각 제2레일블록(31)은 상기 제2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되고, 동시에 상기 흡착수단(35)도 초기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도 3의 (S1)과 같이, 초기 상태로 셋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를 적용하면, 렛치나 클램퍼 등을 적용하지 않은 파렛트를 적용할 수 있어 파렛트와의 간섭을 배제하며, 상기 패널(50)을 취출한 후에도 이송 중에 상기 클램핑 유닛(5)을 통하여 상기 패널(50)의 위치결정이 가능하여 해당공정의 정확한 로딩위치에 상기 패널(50)을 공급하게 된다.
즉, 파렛트 상에 다량의 패널을 무단으로 적재하여 취출 위치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여 파렛트를 통한 상기 패널공급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6)

  1.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에 있어서,
    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양단에 설치되는 클램핑유닛;
    상기 장착 프레임의 하부에 그 폭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2개를 1조로 하여 2조의 제1가이드 레일이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제1브라켓을 통하여 제1가이드 봉이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제1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제1가이드 레일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1레일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각 제1레일블록 양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 봉에 끼워져 상기 제1레일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제1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1가이드수단;
    상기 각 조의 제1레일블록 하부를 연결하여 제2가이드 레일이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레일의 양단에서 제2브라켓을 통하여 제2가이드 봉이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제2가이드 봉에 끼워진 상태로 각 제2가이드 레일 상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제2레일블록이 장착되고, 상기 각 제2레일블록의 일측에서 상기 제2가이드 봉에 끼워져 제2레일블록을 일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제2가이드수단;
    상기 각각의 제2레일블록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양단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로케이터;
    상기 로케이터의 하부 일측에 힌지 체결되는 작동 실린더;
    상기 작동 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에 일측이 힌지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로케이터에 힌지 체결되는 클램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는,
    그 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1스프링은
    상기 각 제1가이드 봉의 양측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1레일블록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지지되고, 타단은 각 제1브라켓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상기 각 제2가이드 봉의 일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그 일단이 상기 제2레일블록의 일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일측 제2브라켓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수단은,
    상기 제2레일 블록의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연결 브라켓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
    상기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장착되는 진공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KR1020070105513A 2007-10-19 2007-10-19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KR10130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13A KR101305171B1 (ko) 2007-10-19 2007-10-19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513A KR101305171B1 (ko) 2007-10-19 2007-10-19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984A true KR20090039984A (ko) 2009-04-23
KR101305171B1 KR101305171B1 (ko) 2013-09-12

Family

ID=4076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513A KR101305171B1 (ko) 2007-10-19 2007-10-19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95A (ko) * 2017-03-22 2018-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부품 장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2060118A (zh) * 2020-09-11 2020-12-11 苏州菲丽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取料传送系统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847A (ja) * 1996-10-24 1998-05-12 Daikyo Webasto Co Ltd カバーパネルの組付方法及び組付装置、並びに、サンルーフユニット
KR100494938B1 (ko) 2003-07-07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램핑 장치
KR20060064374A (ko) * 2004-12-08 2006-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패널 이송 그립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95A (ko) * 2017-03-22 2018-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부품 장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622231A (zh) * 2017-03-22 2018-10-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部件安装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060118A (zh) * 2020-09-11 2020-12-11 苏州菲丽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取料传送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5171B1 (ko) 201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495B1 (ko) 트래버스 장치
TWI520890B (zh) 搬送裝置及轉移壓機裝置
CN102601561A (zh) 自动切换柔性夹紧装置
KR101066100B1 (ko) 물류 이송용 핸드 지그
KR20090004119A (ko) 랙 하우징 조립체의 밸브 조립체 조립용 볼트 공급 장치
CN109108629B (zh) 高铁轨枕套管螺旋筋自动安装系统
KR101305171B1 (ko) 차량용 패널 이송장치
CN105437109A (zh) 一种底盘二次定位装置
CN105129396A (zh) 移动运载平台
CN204938353U (zh) 用于移动运载平台的工件夹具定位机构
KR101371447B1 (ko) 차량 부품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CN104741861B (zh) 一种机器人用多功能抓手
JP5041475B2 (ja) 板材ワークの搬送装置
CN112707127B (zh) 定位机构
KR101055008B1 (ko) 펜더 조립용 지그 장치
CN208929556U (zh) 一种制动底板组对工装
JP5424969B2 (ja) 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CN110614463A (zh) 一种焊线夹具
JP2543617B2 (ja) 搬送装置
KR20170025282A (ko) 윙바디 차량용 일괄 하역 장치
CN107726981A (zh) 一种继电器衔铁位移量自动检测机
JP6568765B2 (ja) ワークの連続加工システム
CN210937779U (zh) 一种焊线夹具
CN217453594U (zh) 一种定位机构
CN212793543U (zh) 焊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