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701B1 -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701B1
KR101163701B1 KR20100082608A KR20100082608A KR101163701B1 KR 101163701 B1 KR101163701 B1 KR 101163701B1 KR 20100082608 A KR20100082608 A KR 20100082608A KR 20100082608 A KR20100082608 A KR 20100082608A KR 101163701 B1 KR101163701 B1 KR 10116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door
mounting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2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281A (ko
Inventor
왕희준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82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70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70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일측을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과, 각 도어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HANGER APPARATUS FOR DOOR MOVING}
본 발명은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다차종의 도어에 공용으로 적용 가능한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는 모든 양산 공정 내에서 2만 내지 3만 여개의 부품을 수 차례의 조립공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차체는 자동차 제조과정의 첫 단계로서, 프레스 공정에서 차체 패널을 생산한 후, 차체 공장으로 옮겨와서 차체 각 부분이 조립되어 화이트 보디(B.I.W)상태의 차체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차체는 플로워,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휀더의 장착과정을 거치게 되고, 도장공정으로 이동하여 도색작업을 이룬 후, 의장공장에서 엔진, 트랜스미션, 내, 외장제의 조립을 통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체공장 중 도장공정이 완료된 차체는 엔진, 트랜스미션, 및 내, 외장제의 조립을 위해 상기 차체에 장착된 프론트 및 리어 도어를 분리해야 하며, 분리된 각 도어는 다시 차체에 조립하도록 도어 서브라인으로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를 통해 도어 서브라인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각 도어는 무빙라인에서 EMS(Eclectic Mono Rail System)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를 통해 각 조립공정을 지나 도어 서브라인으로 이송된 후, 차체에 조립이 완료되며, 도어의 이송을 완료한 행거장치는 다시 초기위치로 복귀되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행거장치는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른 형상을 갖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각 도어를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의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해야 함에 따라, 개조공사로 인한 작업공수 및 제작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어테치먼트는 구속력이 없이 각 도어의 하부를 받치고 있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도어가 흔들릴 경우, 상기 행거장치로부터 도어가 이탈되어 바닥면으로 추락됨에 따라, 도어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일측을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과, 각 도어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는 차체공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프론트 및 리어 도어를 거치 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있어서, 상, 하부 및 좌,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는 롤러유닛을 통해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좌측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상,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일측을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 상기 지지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 클램핑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각 도어의 타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측부 지지유닛;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각 클램핑 유닛은 상기 좌측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빔; 및 상기 각 가이드 빔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힌지 장착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핀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핀 클램프는 상기 각 가이드 빔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홀더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로드; 상기 홀더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가 관통되는 제1 장착블록; 상기 제1 장착블록의 일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로드; 상기 각 지지로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와 함께 이동되는 작동 플레이트;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지지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2 장착블록; 상기 제2 장착블록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힌지 장착홀로 삽입되어 상기 각 도어에 고정되는 로킹수단; 및 상기 홀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제2 장착블록의 양측에 일단부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각 힌지 장착홀에 삽입되는 일단부 양측에 각각 볼홀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하우징과 삽입파이프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상기 삽입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어 상기 각 볼홀을 통해 상기 삽입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스틸볼; 상기 삽입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볼이 상기 삽입 파이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홈;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와의 접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언로킹 스위치; 및 상기 언로킹 스위치와 삽입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언로킹 스위치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의 타측에서 그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타단과 연결되는 작동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로드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 스위치와 장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 스위치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 측부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 측부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측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블록;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어태치;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제1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부가 형성되는 제1 랙바; 및 상기 제1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레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레일블록;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어태치;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제2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부가 형성되는 제2 랙바; 및 상기 제2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측면을 가이드 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각 일측에 상기 좌, 우측 프레임을 각각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측면과 구름 접촉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하부 지지유닛;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하부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각 클램핑 유닛 측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호 볼트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양측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각 이동 플레이트 중,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이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의하면,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일측을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과, 각 도어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는 다차종의 도어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초기 투자비를 절감하여 전체적인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D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핑 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의 정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X-X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의 C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의 D부분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는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일측을 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20)과, 각 도어(3, 5)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공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를 거치 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 지지프레임(19), 클램핑 유닛(20), 측부 지지유닛,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 하부 및 좌, 우측 프레임(11, 13, 15, 17)으로 구성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15)의 양측에 장착되는 롤러유닛(7)을 통해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상, 하부 및 좌, 우측 프레임(11, 13, 15,1 7)이 상호 연결되어 사각 형상 틀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프레임(19)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11)과 하부 프레임(13)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며,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프론트 도어(3)와 리어 도어(5)가 각각 장착되도록 형성하는 장착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 유닛(20)은 상기 좌측 프레임(15)과 지지프레임(19)에 상,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일측을 상기 프레임(10)에 각각 고정시킨다.
이러한 각 클램핑 유닛(2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빔(21)과 핀 클램프(23)로 이루어지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각 가이드 빔(21)은 상기 좌측 프레임(15)과 지지프레임(19)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22)을 통하여 상호 이격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핀 클램프(23)는 상기 각 가이드 빔(21)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힌지 장착홀(9)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핀 클램프(23)는 홀더(25), 슬라이드 로드(27), 제1 장착블록(29), 지지로드(31), 작동 플레이트(33), 제2 장착블록(35), 로킹수단(37), 및 작동부(39)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홀더(25)는 상기 각 가이드 빔(21)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2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가이드 빔(21)의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힌지 장착홀(9)의 위치에 맞게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로드(27) 는 상기 홀더(2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홀더(25)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장착블록(29)은 상기 홀더(25)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홀더(25)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27)가 관통된다.
이러한 제1 장착블록(29)의 일면 양측에는 상기 지지로드(31)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플레이트(33)는 상기 각 지지로드(3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면이 상기 제1 장착블록(29)을 관통한 상기 슬라이드 로드(27)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27)와 함께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장착블록(35)은 상기 작동 플레이트(33)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지지로드(31)의 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제2 장착블록(35)의 양측에는 상기 로킹수단(37)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로킹수단(37)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힌지 장착홀(9)로 삽입되어 상기 각 도어(3, 5)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3, 5)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로킹수단(37)은, 하우징(41), 삽입 파이프(43), 피스톤(45), 스틸볼(47), 볼홈(49), 언로킹 스위치(51), 및 제1 탄성부재(53)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우징(41)은 상기 제2 장착블록(35)의 양측에 일단부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은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 파이프(43)는 상기 각 힌지 장착홀(9)에 삽입되는 일단부 양측에 각가 볼홀(44)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41)의 타단에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45)은 상기 하우징(41)과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틸볼(47)은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45)의 외주면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각 볼홀(44)을 통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외주면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이러한 스틸볼(47)은 상기 삽입 파이프(43)가 상기 힌지 장착홀(9)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45)의 후진 이동에 의해 삽입 파이프(43)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됨으로써, 상기 삽입 파이프(43)를 상기 각 도어(3, 5)에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볼홈(49)은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볼(47)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피스톤(45)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볼홈(49)은 상기 피스톤(45)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45)의 전진 이동하여 상기 각 스틸볼(47)이 상기 볼홈(49)에 위치되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서 상기 볼홈(49)과의 사이에 상기 각 스틸볼(47)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스틸볼(47)은 상기 삽입 파이프(4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힌지 장착홀(9)에 고정된 상기 삽입 파이프(42)의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언로킹 스위치(51)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33)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4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45)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33)와의 접촉 시, 작용하는 가압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41)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언로킹 스위치(51)는 슬라이드 로드(27)의 전진 이동 시, 함께 이동되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33)에 눌려져 가압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41)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45)은 상기 볼홈(49)이 상기 각 볼홀(44)에 위치되도록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의해 전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53)는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와 삽입 파이프(43)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탄성부재(53)는 일단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타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탄성부재(53)는 상기 작동 플레이트(33)로부터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될 경우,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상기 언로킹 스위치(51)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언로킹 스위치(51)가 초기위치로 복원되면, 상기 피스톤(45)은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각 스틸볼(47)을 상기 각 볼홀(44)로 삽입시켜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외주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부(39)는 상기 홀더(25)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27)의 타단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 로드(27)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39)는 장착홈(55), 작동 스위치(57), 및 제2 탄성부재(59)로 이루어지며, 하기에서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장착홈(55)은 상기 홀더(25)의 타측에서 그 내부에 상기 홀더(25)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작동 스위치(57)는 상기 장착홈(5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27)의 타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재(59)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27)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 스위치(57)와 장착홈(5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 스위치(57)에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탄성부재(59)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27) 측을 향하는 상기 장착홈(55)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작동 스위치(57)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탄성부재(59)는 작업자가 상기 작동 스위치(57)의 누름을 해제할 경우, 상기 작동 스위치(57)에 탄발력을 제공하여 상기 작동 스위치(57)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부 지지유닛은,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9)과 우측 프레임(17)에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클램핑 유닛(20)에 대응하여 상기 각 도어(3, 5)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10) 상에서 유동이 없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17)에서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어 도어(5)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 측부 지지유닛(60)과, 상기 지지프레임(19)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3)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 측부 지지유닛(8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측부 지지유닛(60)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장착 플레이트(61), 제1 가이드 레일(63), 제1 레일블록(65), 제1 어태치(67), 제1 손잡이(69) 및 제1 고정수단(70)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61)는 상기 우측 프레임(17)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제1 가이드 레일(63)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61)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레일블록(65)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6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어태치(67)는 상기 클램핑 유닛(20)이 고정되는 상기 리어 도어(5)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일블록(65)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어태치(67)는 차종별 각기 다른 도어의 형상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재질은 도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손잡이(69)는 상기 제1 레일블록(65)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 가이드 레일(63) 상에서 상기 제1 레일블록(65)을 쉽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수단(70)은 상기 제1 손잡이(69)의 단부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 레일블록(65)을 상기 제1 가이드 레일(63)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수단(70)은 제1 랙바(71)와 제1 고정블록(7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 랙바(71)는 상기 제1 가이드 레일(63)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61)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부(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블록(75)은 상기 제1 랙바(71)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손잡이(69)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손잡이(6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랙부(73)에 치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65)을 제1 가이드 레일(63)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블록(75)은 상기 제1 랙부(75)에 대응하는 일면에 상기 제1 랙부(75)에 치합되도록 랙부(7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측부 지지유닛(8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프레임(81), 제2 장착 플레이트(82), 제2 가이드 레일(83), 제2 레일블록(85), 제2 어태치(87), 제2 손잡이(89), 및 제2 고정수단(90)으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보조 프레임(81)은 상기 지지프레임(19)과 하부 프레임(13)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 프레임(81)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82)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3)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3)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82)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레일블록(85)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어태치(87)는 상기 클램핑 유닛(20)이 고정되는 상기 프론트 도어(3)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레일블록(85)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어태치(87)는 차종별 각기 다른 도어의 형상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재질은 도어와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손잡이(89)는 상기 제2 레일블록(85)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며,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3) 상에서 상기 제2 레일블록(85)을 쉽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수단(90)은 상기 제2 손잡이(89)의 단부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2 레일블록(85)을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3)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수단(90)은 제2 랙바(91)와 제2 고정블록(9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랙바(91)는 상기 제2 가이드 레일(83)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82)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부(9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블록(95)은 상기 제2 랙바(91)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손잡이(89)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손잡이(8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랙부(93)에 치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85)을 제2 가이드 레일(83)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블록(95)은 상기 제2 랙부(93)에 대응하는 일면에 상기 제2 랙부(93)에 치합되도록 랙부(9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측부 지지유닛은 작업자가 상기 각 손잡이(69, 89)를 회전시켜 상기 각 고정수단(70, 90)의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레일블록(65, 85)을 상기 각 도어(3, 5)의 측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런 후, 상기 각 어태치(67, 87)가 상기 각 도어(3, 5)의 측부와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각 손잡이(69, 89)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각 고정수단(70, 90)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각 레일블록(65, 85)이 고정되어 상기 각 도어(3, 5)의 측부를 상기 각 어태치(67, 87)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하부 양측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10) 상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13)에 각각 고정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하부 지지유닛(100)과, 상기 하부 프레임(13)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하부 지지유닛(11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 하부 지지유닛(100)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13) 상에서 상기 각 클램핑 유닛(20) 측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패드(10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하부 지지유닛(11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이동 플레이트(111)와 제2 지지패드(113)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각 이동 플레이트(111)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13)을 사이에 두고 상호 볼트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13)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패드(113)는 상기 각 이동 플레이트(111) 중,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이동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지지패드(101, 111)는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가 지지되는 위치에 V자형 안착홈(103, 115)이 형성되며, 상기 각 안착홈(103, 115)을 통해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제2 지지패드(101, 111)는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양측과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그 재질이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제2 하부 지지유닛(110)은 작업자가 상기 각 이동 플레이트(111)를 체결하는 볼트를 가체결 시킨 상태로, 상기 하부 프레임(13) 상에서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볼트를 완전히 체결함에 따라,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9)과 보조 프레임(81)은 일측에 상기 프론트 도어(3)와 리어 도어(5)의 측면을 가이드 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수단(120)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각 일측에 상기 좌, 우측 프레임(15, 17)을 각각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 프레임(121)과, 상기 연결 프레임(121)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3)와 리어 도어(5)의 측면과 구름 접촉되는 롤러(123)로 이루어진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가이드 수단(120)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측면을 상기 각 롤러(123)와의 구름 접촉을 통해 지지하면서 가이드 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적용되는 클램핑 유닛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를 상기 지지프레임(19)의 의해 장착공간이 구획된 상기 프레임(10) 상에서 상기 각 하부 지지유닛(100, 110)을 통해 하부 양측을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프론트 도어(3)와 리어 도어(5)의 하부 일측을 각각 상기 제1 하부 지지유닛(100)의 제1 지지패드(101)를 통해 지지시킨 상태로, 상기 각 제2 하부 지지유닛(110)을 상기 하부 프레임(13) 상에서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타측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2 하부 지지유닛(110)은 상기 제2 지지패드(113)를 통해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타측을 각각 지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각 도어(3, 5)의 하부 양측은 상기 제1, 제2 지지패드(101, 113)의 각 안착홈(103, 115)에 안착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각 클램핑 유닛(20)을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각 힌지 장착홀(9)에 삽입시켜 상기 각 도어(3, 5)를 상기 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각 클램핑 유닛(20)은, 도 10의 (S1)과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각 도어(3, 5)의 힌지 장착홀(9)에 상기 각 로킹수단(37)이 위치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 빔(21) 사이에서 상, 하부로 이동된다.
그런 후, 상기 각 로킹수단(37)이 상기 각 힌지 장착홀(9)에 정위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작동부(39)의 작동 스위치(57)를 누른 상태로, 상기 각 로킹수단(37)의 삽입 파이프(43)를, 도 10의 (S2)와 같이, 상기 각 힌지 장착홀(9)로 삽입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작동부(39)의 작동 스위치(57)를 누르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 로드(27)가 전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작동 플레이트(33)가 전진되면서, 상기 각 로킹수단(37)의 언로킹 스위치(51)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로킹수단(37)의 피스톤(45)은, 도 11의 (S10)과 같이, 상기 하우징(41)과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서 전진되며, 이 경우, 상기 각 스틸볼(47)은 상기 볼홈(49)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각 스틸볼(47)은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각 볼홀(44)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서 상기 볼홈(49)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각 로킹수단(37)의 삽입 파이프(43)를, 도 10의 (S2)와 같이, 상기 각 힌지 장착홀(9)로 삽입시킨 후, 상기 작동 스위치(57)의 누름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 스위치(57)는, 도 11의 (S20)와 같이, 상기 제2 탄성부재(59)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로드(27)가 후진되면서 상기 작동 플레이트(33)도 후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 플레이트(33)를 통해 상기 언로킹 스위치(51)에 가해지던 가압력은 해제되면서, 상기 제1 탄성부재(5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언로킹 스위치(51)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상기 피스톤(45)은 후진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내부에서 상기 볼홈(49)에 위치되던 상기 스틸볼(47)은 후진 이동되는 상기 피스톤(45)의 일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각 볼홀(44)로 삽입되어 일정부분이 상기 삽입 파이프(43)의 외주면 상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로킹수단(37)은 상기 각 힌지 장착홀(9)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각 도어(3, 5)에 고정되며,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상기 클램핑 유닛(20)이 상기 각 도어(3, 5)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 후, 작업자는 상기 제1, 제2 측부 지지유닛(60, 80)을 상기 각 도어(3, 5)의 타측 측면으로 각각 이동시켜 상기 제1, 제2 어태치(67, 87)를 통해 각각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는 상기 각 손잡이(69, 89)를 각각 회전시켜 상기 제1, 제2 고정수단(70, 90)의 고정을 해제시킨 상태로, 상기 제1, 제2 레일블록(65, 85)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어태치(67, 87)가 상기 각 도어(3, 5)의 측부에 지지되면, 작업자는 상기 각 손잡이(69, 89)를 반대로 회전시켜, 상기 각 고정블록(75, 95)을 상기 각 랙바(71, 91)의 제1, 제2 랙부(73, 93)에 치합시킴으로써, 상기 각 레일블록(65, 85)을 상기 각 가이드 레일(63, 83) 상에서 고정시켜 상기 각 도어(3, 5)의 측부를 상기 각 어태치(67, 87)를 통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을 통해, 상기 프레임(10)에 거치가 완료된 상기 각 도어(3, 5)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장착된 상기 롤러유닛(7)을 통해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레일을 따라 이송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각 도어(3, 5)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대로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10) 상에 고정된 각 도어(3, 5)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각 도어(3, 5)를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 및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 하, 좌, 우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좌, 우측, 및 상, 하부의 기준은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를 적용하면,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 도어(3, 5)의 일측을 프레임(10)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20)과, 각 도어(3, 5)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1)는 다차종의 도어에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초기 투자비를 절감하여 전체적인 제작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프레임 11, 13...상, 하부 프레임
15, 17...좌, 우측 프레임 19...지지프레임
20...클램핑 유닛 21...가이드 빔
23...핀 클램프 25...홀더
27...슬라이드 로드 29...제1 장착블록
31...지지로드 33...작동 플레이트
35...제2 장착블록 37...로킹수단
39...작동부 41...하우징
43...삽입 파이프 44...볼홀
45...피스톤 47...스틸볼
49...볼홈 51...언로킹 스위치
53...제1 탄성부재 55...장착홈
57...작동 스위치 59...제2 탄성부재
60, 80...제1 측부 지지유닛 81...보조 프레임
61, 82...제1, 제2 장착 플레이트 63, 83...제1, 제2 가이드레일
65, 85...제1, 제2 레일블록 67, 87...제1, 제2 어태치
69, 89...제1, 제2 손잡이 70, 90...제1, 제2 고정수단
71, 91...제1, 제2 랙바 73, 93...제1, 제2 랙부
75, 95...제1, 제2 고정블록
100, 110...제1, 제2 하부 지지유닛 101, 113...제1 지지패드
111...이동 플레이트 120...가이드 수단
121...연결 프레임 123...롤러

Claims (14)

  1. 차체공장에 설치되어 차량의 프론트 및 리어 도어를 거치 시킨 상태로, 이동시키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에 있어서,
    상, 하부 및 좌, 우측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장착되는 롤러유닛을 통해 작업장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좌측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상,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각각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일측을 상기 프레임에 각각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
    상기 지지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각 클램핑 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각 도어의 타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측부 지지유닛;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하부 지지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각 클램핑 유닛은
    상기 좌측 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상호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빔; 및
    상기 각 가이드 빔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차체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힌지 장착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핀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클램프는
    상기 각 가이드 빔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홀더;
    상기 홀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부가 상기 홀더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드 로드;
    상기 홀더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가 관통되는 제1 장착블록;
    상기 제1 장착블록의 일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지지로드;
    상기 각 지지로드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면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와 함께 이동되는 작동 플레이트;
    상기 작동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각 지지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제2 장착블록;
    상기 제2 장착블록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각 힌지 장착홀로 삽입되어 상기 각 도어에 고정되는 로킹수단; 및
    상기 홀더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 로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수단은
    상기 제2 장착블록의 양측에 일단부가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각 힌지 장착홀에 삽입되는 일단부 양측에 각각 볼홀이 형성되며, 타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장착되는 삽입 파이프;
    상기 하우징과 삽입파이프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
    상기 삽입 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과 접촉되어 상기 각 볼홀을 통해 상기 삽입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스틸볼;
    상기 삽입 파이프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기 스틸볼이 상기 삽입 파이프의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피스톤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볼홈;
    상기 작동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피스톤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작동 플레이트와의 접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되는 언로킹 스위치; 및
    상기 언로킹 스위치와 삽입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언로킹 스위치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홀더의 타측에서 그 내부에 형성되는 장착홈;
    상기 장착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슬라이드 로드의 타단과 연결되는 작동 스위치;
    상기 슬라이드 로드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작동 스위치와 장착홈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작동 스위치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 측부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 측부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블록;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어태치;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1 손잡이; 및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제1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랙부가 형성되는 제1 랙바; 및
    상기 제1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
    상기 보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레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레일블록;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어태치;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제2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부가 형성되는 제2 랙바; 및
    상기 제2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은
    일측에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측면을 가이드 하기 위해 장착되는 가이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보조 프레임의 각 일측에 상기 좌, 우측 프레임을 각각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의 측면과 구름 접촉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고정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하부 지지유닛;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하부 지지유닛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하부 프레임 상에서 상기 각 클램핑 유닛 측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 지지유닛은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상호 볼트 체결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을 따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양측 이동 플레이트; 및
    상기 각 이동 플레이트 중,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에 대응하는 이동 플레이트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도어의 각 하부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KR20100082608A 2010-08-25 2010-08-25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KR101163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608A KR101163701B1 (ko) 2010-08-25 2010-08-25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608A KR101163701B1 (ko) 2010-08-25 2010-08-25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81A KR20120019281A (ko) 2012-03-06
KR101163701B1 true KR101163701B1 (ko) 2012-07-09

Family

ID=4612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82608A KR101163701B1 (ko) 2010-08-25 2010-08-25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74Y1 (ko) 2016-12-16 2018-04-10 다이후쿠코리아 (주)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KR20240000255U (ko) 2022-08-03 2024-02-14 다이후쿠코리아 (주)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8430B (zh) * 2013-12-23 2016-04-13 柳州正菱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副车架转运吊具
CN110816714B (zh) * 2019-10-31 2023-11-14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盖铰链装具及其装配方法
CN112828801B (zh) * 2021-01-04 2022-12-06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尾门外置装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747B1 (ko) 2004-06-0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행거장치
KR100802744B1 (ko)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장착용 행거장치
JP2009248734A (ja) 2008-04-04 2009-10-29 Sakura:Kk 自動車用ドアの脱着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747B1 (ko) 2004-06-09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행거장치
KR100802744B1 (ko)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장착용 행거장치
JP2009248734A (ja) 2008-04-04 2009-10-29 Sakura:Kk 自動車用ドアの脱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174Y1 (ko) 2016-12-16 2018-04-10 다이후쿠코리아 (주)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KR20240000255U (ko) 2022-08-03 2024-02-14 다이후쿠코리아 (주) 자동차 생산라인 운반행거의 멀티 핑거 푸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81A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701B1 (ko)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KR101063495B1 (ko) 트래버스 장치
US8256811B2 (en) Door gripper for a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s using such a door gripper
CN102806939B (zh) 转向装置
WO2014104096A1 (ja) 車体の組立方法及び同組立装置
JP2008006866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フェンダの組付装置
US8215624B2 (en) Jig pallet
KR102009355B1 (ko) 루프랙 사이드 바 가공 지그
CN107081590B (zh) 一种行李架铝管三段式纵梁自动组立工装
KR20100054529A (ko) 차량용 휠 로딩장치
JP5836926B2 (ja) 自動車車体の組立装置
WO2015133042A1 (ja) 自動車車体の組立方法
KR100747266B1 (ko) 차량의 휠너트 체결장치
KR101237032B1 (ko) 너트 런너를 이용한 지그
KR200425969Y1 (ko)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JP2014129030A (ja) 自動車車体の組立装置
JP2001025929A (ja) 車体のパネル用ジグロケート装置
KR200465149Y1 (ko) 차체 용접지그의 차종 절환장치
KR101246302B1 (ko) 용접피더기의 고정장치
CN218343449U (zh) 一种新型快速搭建洗车平台
JP3893044B2 (ja) ワーク搬送台車の治具プレート固定用バリクランプのための作動装置
US20230182837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vehicle body during assembly
CN215697243U (zh) 一种汽车零部件加工用压孔机
JPH0715832Y2 (ja) ドア取付けおよび取外し工程におけるドア保持装置
CN210358940U (zh) 一种冲压线传送杆的停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