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969Y1 -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 Google Patents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969Y1
KR200425969Y1 KR2020060016615U KR20060016615U KR200425969Y1 KR 200425969 Y1 KR200425969 Y1 KR 200425969Y1 KR 2020060016615 U KR2020060016615 U KR 2020060016615U KR 20060016615 U KR20060016615 U KR 20060016615U KR 200425969 Y1 KR200425969 Y1 KR 200425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ing unit
rotation block
location
vehicle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병하
Original Assignee
(주)우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신시스템
Priority to KR2020060016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9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9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체 용접 등에서 차종 대응을 위하여 설치되는 차종절환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로테이션 블럭에 로케이션 홀을 가공하고, 록킹 플레이트에 상기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로케이션 핀을 설치하여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회전된 후 로케이션 핀이 로테이션 블럭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차종절환유니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에서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분할각도 90°마다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로케이션 핀 및 로케이션 홀에 의해 정확한 위치 결정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 차종 생산라인, 차종절환유니트, 로테이션 블럭, 로케이션 핀, 샤프트, 리턴 스프링, 외부 구동장치

Description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Automotive sort converting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에 의해 차체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에서 주요 구성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와 외부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주요 구성부의 록킹해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1a : 홀
100 : 다 차종 생산장치 101 : 받침 플레이트
102 : 지지대 103 : 지지 브라켓
104 : 고정 플레이트 104 : 관통홀
105 : 체결 플레이트 105a : 볼트
105b : 관통홀 106 : 지그 조립체
107 : 클램핑 핀 110 : 차종절환유니트
111 : 로테이션 블럭 111a : 관통홀
112 : 록킹 플레이트 113 : 샤프트
113a : 스프링 지지단 113b : 누름단부
113c : 볼트 114 : 리턴 스프링
115 : 로케이션 핀 115a : 볼트형상부
115b : 너트 116 : 로케이션 홀
117 : 고정 블럭 117a : 내부공간
118 : 베어링 120 : 외부 구동장치
121 : 지지 프레임 122 : 레일
123 : 본체 프레임 124 : 하부 플레이트
125 : 수직 플레이트 126 : 지지 플레이트
127 : 전후구동수단 128 : 공압 실린더
129 : 피스톤 133 : 전동모터
136 : 인덱스 138 : 로케이션 핀
본 고안은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체 용접 등에서 차종 대응을 위하여 설치되는 차종절환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조립라인과 같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부품들을 로보트 등에 의해 용접하기 위하여 부품들을 클램프로 파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부품들을 지그에 셋팅하여 조립 또는 가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 또는 지그 등의 공구는 인너 패널 또는 아우터 패널 등의 차체가 차종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자동차 제조회사는 단일의 차종만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층과 취향에 따라 다양한 차종을 생산하는 바, 이러한 차종을 모두 충족시키는 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인 부담이 생긴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차종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차종절환유니트는 상기 일환의 하나로 하나 이상의 차종에 대응 및 적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클램프 또는 지그 등의 공구는 생산라인의 작업위치에 설치된 차종절환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는 차종절환유니트마다 대차 또는 셔틀(shuttle)의 각 공정에 차종절환을 위한 실린더를 구비하였으며, 이 차종절환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복잡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종래의 다 차종 생산장치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였는 바, 설계, 제작 및 조립, 운용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설비비 및 보전경비 등 운영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차종절환유니트의 차동절환작동이 수행되도록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특히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개발이 절실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로테이션 블럭에 로케이션 홀을 가공하고, 록킹 플레이트에 상기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로케이션 핀을 설치하여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회전된 후 로케이션 핀이 로테이션 블럭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분할각도 90°마다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로케이션 핀 및 로케이션 홀에 의해 정확한 위치 결정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차종절환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차체 지지 및 결합을 위한 차종별 복수개의 지그 조립체를 포함하면서 외부 구동장치의 푸시앤로테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지그 조립체가 요구된 위치로 회전되도록 차종절환작동을 수행하는 차종절환유니트에 있어서,
(a)지지대 상측의 지지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b)상기 고정 플레이트 후방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하기 로테이션 블럭과의 록킹을 위한 복수개의 로케이션 핀이 고정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와; (c)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로케이션 핀이 회전력 전달을 위해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전방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 블럭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의 록킹을 위해 측면부에는 상기 로케이션 핀이 후방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로케이션 홀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상기 지그 조립체들이 일체로 설치되는 로테이션 블럭과; (d)상기 고정블럭의 내부공간에 길게 삽입 설치되고, 선단부가 로테이션 블럭을 관통하여 전방 돌출된 상태로 록킹 플레이트와 로테이션 블럭간의 록킹해제를 위해 상기 푸시앤로테이터가 눌러주는 누름단부로 되어 있고, 후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조립되는 샤프트와; (e)상기 고정 블럭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를 전방으로 리턴 이동시켜 주기 위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로케이션 홀은 전방에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로케이션 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에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로케이션 핀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로테이션 블럭의 측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테이션 블럭은 상기 고정블럭의 외주면상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로케이션 핀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로테이션 블럭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샤프트 상에 장착되되, 상기 샤프트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후단에 조립된 체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본 고안의 특징을 나타내지만,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특정 세부 사항에만 제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에 의해 차체가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그리고, 첨부한 도 3a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에서 주요 구성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와 외부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주요 구성부의 록킹해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 차종 생산장치(100)에는 차종 대응을 위한 차종절환작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차종절환유니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각 차종절환유니트(110)의 후방으로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 구동장치(12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 차종 생산장치(100)에서는 복수개의 차종절환유니트(110)에 의해 차체(1)가 지지된 상태에서 용접 등 각종 차체 작업을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 111은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110)에서 로테이션 블럭을 나타내 는 것으로, 차종절환작동을 위하여 상기 로테이션 블럭(111)은 외부 구동장치(120)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부 구동장치(120)는 각 차종절환유니트(110)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되며, 해당 차종절환유니트(110)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면서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종절환유니트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02) 상면에 지지 브라켓(103)이 볼팅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지지 브라켓(103)의 상단부에는 고정 플레이트(104)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104)는 로케이션 핀(115)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관통홀(104a)이 90°간격으로 4곳에 관통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 후방으로는 록킹 플레이트(112)가 배치되는 바, 상기 록킹 플레이트(112)의 전면에는 90°간격으로 4곳에 로케이션 핀(115)이 돌출 설치된다.
상기 로케이션 핀(115)은 후단부가 록킹 플레이트(112)에 끼워진 뒤 록킹 플레이트(112)를 관통하여 반대쪽으로 돌출된 볼트형상부(115a)에 너트(115b)가 체결됨으로써 록킹 플레이트(112)에 고정 설치되는 바, 도 3b에서 볼트형상부(115a) 및 이에 체결된 너트(115b)의 위치가 로케이션 핀(115)의 설치위치를 나타낸다.
요약컨대, 상기 고정 플레이트(104)의 후방에 록킹 플레이트(112)가 위치되 고, 이때 상기 록킹 플레이트(11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4개의 로케이션 핀(115)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104)의 관통홀(104a)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된다.
한편, 상기 록킹 플레이트(112)의 전면 중앙에는 샤프트(113)가 볼트(113c)로 체결되어 일체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113)는 고정 플레이트(104)의 중앙에 체결 플레이트(105) 및 볼트(105a)에 의하여 고정 조립된 고정 블럭(117)의 내부공간(117a)을 통과하도록 삽입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113)의 길이상 일측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단(11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113)의 리턴 이동을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114)이 고정 블럭(117)의 내부공간(117a)에서 샤프트(113) 상에 장착되되, 상기 샤프트(113)의 스프링 지지단(113a)과 체결 플레이트(105)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13)의 선단부가 되는 누름단부(113b)는 로테이션 블럭(111)의 관통홀(111a)을 통과하여 로테이션 블럭 전방으로 돌출되는 바, 상기 누름단부(113b)는 외부 구동장치(120)의 푸시앤로테이터(137)가 눌러주는 부분이 된다.
결국, 상기 샤프트(113)는 로테이션 블럭(111) 및 고정 블럭(117) 내측에 전후로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후단부가 체결 플레이트(105)의 중앙 관통홀(105b)을 통과한 상태로 록킹 플레이트(112)의 중앙부에 볼트(113c)로 체결되어 일체 조립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푸시앤로테이터(137)가 눌러주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록킹 플레이트(112)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샤프트(113)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 블럭(117) 내측의 리턴 스프링(114)이 압축되어지며, 록킹 플레이트(11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될 때 로케이션 핀(115) 역시 고정 플레이트(104)의 관통홀(104a) 내에서 후방으로 일체 이동하게 되므로, 각 로케이션 핀(115)은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로부터 빠져나와 분리되게 된다.
이때, 회전은 구속된 채로 전후 이동만 가능한 록킹 플레이트(112)에 대하여 로테이션 블럭(111)은 회전 가능한 상태, 즉 록킹해제상태로 록킹 플레이트(112)와는 분리되며, 이러한 작동상태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로테이션 블럭(111)은 고정 블럭(104) 외측으로 베어링(118)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면 중앙에는 샤프트(113)의 누름단부(113b)가 통과하도록 된 관통홀(111a)이 형성되고, 특히 고정 블럭(117)을 둘러싸고 있는 측면부에 각 로케이션 핀(115)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90°간격으로 4개의 로케이션 홀(116)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로케이션 홀(116)은 전방에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137)의 로케이션 핀(138)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에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112)의 로케이션 핀(115)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로테이션 블럭(111)의 측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로테이션 블럭(111)의 외측면에는 차종에 따른 복수개의 지그 조립체(106)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각 지그 조립체(106)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로 조립 구성되어 그 일측에는 차체(1)의 홀(1a)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램핑 핀(107)이 볼트(107a)로 체결되어 고정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 구동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는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테이션 블럭(111)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면서 록킹이 해제된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종절환유니트의 작동상태를 외부 구동장치의 작동상태와 함께 상술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의 외부 구동장치(120)에서 공압 실린더(128)가 작동하여 피스톤(129)이 전진 동작하는 경우, 피스톤(129)의 선단이 결합된 본체 프레임(123)은 피스톤(129)의 작동력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서 레일(122)을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 프레임(123)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푸시앤로테이터(137)의 전면이 로테이션 블럭(111) 내 샤프트(113)의 후단(도 4의 좌측단)를 눌러주게 되고, 이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113)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힘에 의해 리턴 스프링(114)은 압축되게 된다.
또한, 샤프트(113)의 전방 이동 및 리턴 스프링(114)의 압축과 동시에 샤프트(113) 후단부에 일체 연결 조립된 록킹 플레이트(112)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록킹 플레이트(112)에 장착된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에서 빠지게 되는 바, 이에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테이션 블럭(111)이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록킹상태가 해제된다(도 7 참조, 도 4는 록킹상태 임).
이와 함께 푸시앤로테이터(137)의 전면에 돌출 설치된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에 결합되어 푸시앤로테이터(137)와 로테이션 블럭(111)이 서로 록킹되고, 결국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은 외부 구동장치(120)의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에 일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록킹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압 실린더(128)의 작동으로 피스톤(129)이 전진 동작하게 되면 본체 프레임(123)이 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푸시앤로테이터(137)의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에 삽입 결합되면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상기 두 구성부간 록킹이 이루어진다.
이후, 전동모터(133)가 회전되면서 인덱스(136)를 구동하고, 상기 인덱스(136)에 조립된 푸시앤로테이터(137)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결국 로테이션 블럭(111)을 요구되는 위치, 예컨대 푸시앤로테이터(137)와 로테이션 블럭(111)을 90°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인덱스(136)는 전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푸시앤로테이터를(137) 분할각도 90°로 회전시켜주고, 이에 로테이션 블럭(111) 역시 분할각도 90°로 정확히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테이션 블럭(111)을 요구된 차형의 차종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회전구동시켜준 뒤에는 다시 공압 실린더(128)가 작동하여 피스톤(129)이 반대로 후 진 동작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129)의 선단이 결합된 본체 프레임(123)이 피스톤(129)의 작동력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서 레일(122)을 따라 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23)이 후진 이동하게 되면, 인덱스(136)와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일체로 후진 이동하게 되는 바, 이에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과 분리되고, 결국 로테이션 블럭(111) 내 샤프트(113)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로케이션 핀(138) 역시 로테이션 블럭(111)과 분리된다.
이후, 압축되어 있던 리턴 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113)가 후방으로 리턴 이동하게 되고, 샤프트(113)에 일체로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112) 역시 후방으로 리턴 이동되면서 록킹 플레이트(112)의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에 다시 결합되고, 결국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테이션 블럭(111)이 로케이션 핀(138)에 의해 다시 록킹되면서 일체화된다(도 4의 상태가 됨).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차종절환유니트에서는 외부 구동장치(120)를 구성하고 있는 본체 프레임(123)의 전후진 동작, 전동모터(133)의 회전구동에 따른 푸시앤로테이터(137)의 회전동작이 반복되면서, 차종절환작동, 즉 로테이션 블럭(111)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고, 이때 록킹 플레이트(112)의 로케이션 핀(115) 및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에 의해 분할각도 90°(인덱스에 의한 분할각도임)마다 정확한 위치 결정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에 의하면,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로테이션 블럭에 로케이션 홀을 가공하고, 록킹 플레이트에 상기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로케이션 핀을 설치하여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회전된 후 로케이션 핀이 로테이션 블럭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되어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차종절환유니트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에서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분할각도 90°마다 상기 로테이션 블럭이 로케이션 핀 및 로케이션 홀에 의해 정확한 위치 결정 및 고정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종래 차종절환유니트마다 설치되었던 실린더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삭제할 수 있고, 부품 삭제에 따라 전체 다 차종 생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 발생의 최소화 및 정도 향상, 설비비, 보전경비의 절감 및 그에 따른 운영유지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구동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다 차종 생산장치의 부품 축소가 가능하므로 설비 제작단계의 가공, 조립공수의 축소가 가능하고, 재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차종절환을 위해 사용되던 압축공기 및 전력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라인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차체 지지 및 결합을 위한 차종별 복수개의 지그 조립체를 포함하면서 외부 구동장치의 푸시앤로테이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지그 조립체가 요구된 위치로 회전되도록 차종절환작동을 수행하는 차종절환유니트에 있어서,
    (a)지지대 상측의 지지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b)상기 고정 플레이트 후방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전면에 하기 로테이션 블럭과의 록킹을 위한 복수개의 로케이션 핀이 고정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와; (c)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로케이션 핀이 회전력 전달을 위해 결합되는 부분이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 전방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 블럭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와의 록킹을 위해 측면부에는 상기 로케이션 핀이 후방에서 결합되는 복수개의 로케이션 홀이 형성되며, 외측으로 상기 지그 조립체들이 일체로 설치되는 로테이션 블럭과; (d)상기 고정블럭의 내부공간에 길게 삽입 설치되고, 선단부가 로테이션 블럭을 관통하여 전방 돌출된 상태로 록킹 플레이트와 로테이션 블럭간의 록킹해제를 위해 상기 푸시앤로테이터가 눌러주는 누름단부로 되어 있고, 후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에 일체로 조립되는 샤프트와; (e)상기 고정 블럭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샤프트를 전방으로 리턴 이동시켜 주기 위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장치의 차종절환유니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션 홀은 전방에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의 로케이션 핀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후방에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로케이션 핀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로테이션 블럭의 측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장치의 차종절환유니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션 블럭은 상기 고정블럭의 외주면상에 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장치의 차종절환유니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로케이션 핀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홀에 관통 결합된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기 로테이션 블럭의 로케이션 홀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장치의 차종절환유니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고정블럭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샤프트 상에 장착되되, 상기 샤프트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스프링 지지단과, 상기 고정블럭의 후단에 조립된 체결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장치의 차종절환유니트.
KR2020060016615U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KR200425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15U KR200425969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15U KR200425969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969Y1 true KR200425969Y1 (ko) 2006-09-12

Family

ID=4177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15U KR200425969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9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62B1 (ko) * 2014-12-29 2015-05-14 주식회사 씨지와이이앤씨 회전형 차종절환장치
CN114248046A (zh) * 2021-11-11 2022-03-29 安徽瑞祥工业有限公司 一种多车型共线生产的切换系统
CN117049357A (zh) * 2023-08-19 2023-11-14 江苏同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汽车总装车间吊具支撑自动切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962B1 (ko) * 2014-12-29 2015-05-14 주식회사 씨지와이이앤씨 회전형 차종절환장치
CN114248046A (zh) * 2021-11-11 2022-03-29 安徽瑞祥工业有限公司 一种多车型共线生产的切换系统
CN117049357A (zh) * 2023-08-19 2023-11-14 江苏同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汽车总装车间吊具支撑自动切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54880B2 (en) Complete body assembling apparatus for various vehicle models
KR101219400B1 (ko) 다차종 공용 펜더 장착 지그 장치
KR101427975B1 (ko) 다 차종 공용 도어 탈거장치
KR200425969Y1 (ko)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CN104308440B (zh) 气室座定位焊接机器人设备
CN110815142B (zh) 一种汽车车门装配夹具
CN209078780U (zh) 用于齿轮搬运的机械臂双面夹具
CN202571689U (zh) 多车型车身焊装夹具
CN210451813U (zh) 一种用于汽车侧板制造的可旋转工作台
KR200465149Y1 (ko) 차체 용접지그의 차종 절환장치
KR200425970Y1 (ko)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CN109623411B (zh) 一种应用于板簧吊耳支座的工装及设备
CN102427995B (zh) 用于装配车辆乘员室的侧部的设备和方法
CN108907440B (zh) 一种用于冲焊蹄铁面板上焊接套管和加强销的组合夹具
CN211680734U (zh) 一种改进的夹具气动翻转变位装置
JP2012139759A (ja) 自動組み付け装置
JP3563208B2 (ja) マルチナットランナー
KR20130000289U (ko) 토글러를 이용한 차종 절환 장치
CN217800414U (zh) Led箱体弧形锁加工装置
CN200974199Y (zh) 汽车车门夹紧装置
CN220281314U (zh) 一种具有调节功能的汽车架驶室线束支架
CN218745811U (zh) 一种简易集成式汽车生产线焊装夹具工作平台
CN216097619U (zh) 一种高低压配电柜加工用钻孔设备
CN219582040U (zh) 一种汽车后保险杆焊接用夹持定位工装
CN220950094U (zh) 一种垫片夹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