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970Y1 -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970Y1
KR200425970Y1 KR2020060016616U KR20060016616U KR200425970Y1 KR 200425970 Y1 KR200425970 Y1 KR 200425970Y1 KR 2020060016616 U KR2020060016616 U KR 2020060016616U KR 20060016616 U KR20060016616 U KR 20060016616U KR 200425970 Y1 KR200425970 Y1 KR 200425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witching unit
model switching
vehicle model
rot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병하
Original Assignee
(주)우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시스템 filed Critical (주)우신시스템
Priority to KR2020060016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Abstract

본 고안은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체 용접 등에서 차종 대응을 위하여 설치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차종절환유니트의 차동절환작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차 또는 장비의 각 공정에 설치되었던 복잡한 차종절환용 실린더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삭제할 수 있고, 부품 삭제에 따라 전체 다 차종 생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 발생의 최소화 및 정도 향상, 설비비, 보전경비의 절감 및 그에 따른 운영유지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 차종 생산라인, 차종절환유니트, 로테이션 블럭, 구동장치, 실린더, 전동모터, 인덱스, 푸시앤로테이터

Description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automotive sort converting unit}
도 1은 본 고안의 외부 구동장치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차종절환유니트와 외부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차종절환유니트의 주요 구성부와 외부 구동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상세도로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와 도 3c는 각각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로테이션 블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 차종 생산장치 101 : 받침 플레이트
110 : 차종절환유니트 111 : 로테이션 블럭
112 : 록킹 플레이트 113 : 샤프트
114 : 리턴 스프링 115 : 로케이션 핀
116a, 116b : 로케이션 홀 120 : 외부 구동장치
121 : 지지 프레임 122 : 레일
123 : 본체 프레임 124 : 하부 플레이트
125 : 수직 플레이트 126 : 지지 플레이트
127 : 전후구동수단 128 : 공압 실린더
129 : 피스톤 133 : 전동모터
134 : 회전축 136 : 인덱스
137 : 푸시앤로테이터 138 : 로케이션 핀
본 고안은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체 용접 등에서 차종 대응을 위하여 설치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조립라인과 같은 자동차 생산라인에서는 부품들을 로보트 등에 의해 용접하기 위하여 부품들을 클램프로 파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부품 들을 지그에 셋팅하여 조립 또는 가공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 또는 지그 등의 공구는 인너 패널 또는 아우터 패널 등의 차체가 차종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부합되는 형상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자동차 제조회사는 단일의 차종만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층과 취향에 따라 다양한 차종을 생산하는 바, 이러한 차종을 모두 충족시키는 설비를 갖추는 것이 필요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경제적인 부담이 생긴다.
따라서, 가능한 한 많은 차종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설비를 갖추는 것이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차종절환유니트는 상기한 일환의 하나로 하나 이상의 차종에 대응 및 적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다 차종 생산라인의 클램프 또는 지그 등의 공구는 생산라인의 작업위치에 설치된 차종절환유니트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왔다.
통상적으로 다 차종 생산라인에서는 차종절환유니트마다 대차 또는 장비의 각 공정에 설치되는 차종절환용 실린더를 구비하였으며, 이 차종절환용 실린더를 구동하기 위하여 복잡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종래의 다 차종 생산장치는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또한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였는 바, 설계, 제작 및 조립, 운용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설비비 및 보전경비 등 운영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차종절환유니트의 차동절환작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차 또는 장비의 각 공정에 설치되었던 복잡한 차종절환용 실린더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삭제할 수 있고, 부품 삭제에 따라 전체 다 차종 생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 발생의 최소화 및 정도 향상, 설비비, 보전경비의 절감 및 그에 따른 운영유지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다수의 차종절환유니트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각 차종절환유니트의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켜 차종절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종절환유니트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면서,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본체 프레임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 전면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동모터의 회전축이 입력측에 결합되어,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각도 분할하여 출력하는 인덱스와; 상기 인덱스의 전면에서 그 출력측에 장착되며, 본체 프레임의 전진 이동시에 로테이션 블럭 내의 샤프트를 눌러주어 로테이션 블럭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로테이션 블럭에 일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인덱스를 통해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키는 푸시앤로테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후구동수단은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고 피스톤 선단이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동모터와 인덱스가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선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선단이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수직으로 일체 조립되어, 전면 상단부에 인덱스가, 전면 하측에 전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 면에 걸쳐 횡방향으로 일체 조립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는 그 전면이 상기 로테이션 블럭 내의 샤프트를 눌러주는 부분이 되면서 상기 전면에 로테이션 블럭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로케이션 핀이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가지고 본 고안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형태가 본 고안의 특징을 나타내지만,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특정 세부 사항에만 제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의 외부 구동장치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차종절환유니트와 외부 구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차종절환유니트의 주요 구성부와 외부 구동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 차종 생산장치(100)에는 차종 대응을 위한 차종절환작동이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차종절환유니트(110)가 구비되고, 상기 각 차종절환유니트(110)의 후방으로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본 고안의 구동장치(120)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도면부호 111은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을 나타내는 것으로, 차종절환작동을 위하여 상기 로테이션 블럭(111)은 구동장치(120)의 회전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120)는 각 차종절환유니트(110)에 대하여 하나씩 설치되며, 해당 차종절환유니트(110)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면서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상세도로서, 도 3a는 정면도이고, 도 3b와 도 3c는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첨부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의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로테이션 블럭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동장치(120)는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테이션 블럭(111)의 록킹상태를 해제시키면서 록킹이 해제된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외부 구동장치(120)의 구성을 살펴보면, 각 구성부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이면서 차종절환유니트(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21)과; 상기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123)과; 상기 지지 프레임(121)에 장착되어 본체 프레임(123)을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구동수단(127)과; 상기 본체 프레임(123)에 장착되어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133)와; 상기 본체 프레임(123) 전면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동모터(133)의 회전축(134)이 입력측에 결합되어, 전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각도 분할하여 출력하는 인덱스(136)와; 상기 인덱스(136)의 전면에서 그 출력측에 장착되며, 본체 프레임(123)의 전진 이동시에 로테이션 블럭(111) 내의 샤프트(113)를 눌러주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로테이션 블럭(111)에 일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인덱스(136)를 통해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키는 푸시앤로테이터(1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1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 차종 생산장치(100)의 받침 프레임(101) 상측에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 차종 생산장치(100)에 포함된 여러 대의 외부 구동장치(120)가 상기 받침 프레임(101) 상측에 고정 장착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각 외부 구동장치(120)는 지지 프레임(121)이 받침 프레임(101)의 상측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 레일(122) 상에 본체 프레임(123)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장착되는데, 상기 본체 프레임(123)은 그 하단에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124)가 지지 프레임(121)의 레일(122) 상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123)의 전후 직선구동을 위하여 상기 지지 프레 임(121)의 상측 후방으로는 전후구동수단(127)이 장착된다.
상기 전후구동수단(127)은 레일(122) 상의 본체 프레임(123)을 전후로 동작시키기 위한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전후구동수단(127)이 본체 프레임(123)을 전진시켰을 때 푸시앤로테이터(137)의 전면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에 내장된 샤프트(113)를 눌러주는 부분이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상기 전후구동수단(127)은 로테이션 블럭(111) 내의 샤프트(113)를 눌러주기 위해서 구비되는 구동부가 된다.
또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137)가 로테이션 블럭(111) 내의 샤프트(113)를 눌러주게 되면, 차종절환유니트(110)에서 회전은 구속된 채 전후 이동은 가능한 록킹 플레이트(112)가 상기 샤프트(113)와 일체로 전방 이동되면서, 상기 로테이션 블럭(111)과 록킹 플레이트(112)의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전후구동수단(127)은 로테이션 블럭(111)의 회전 가능한 상태(록킹해제상태)를 만들어주기 위한 구동부가 된다.
상기 전후구동수단(127)은 실린더 장치로 실시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공압 실린더(128)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공압 실린더(128)는 지지 브라켓(131)에 의해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 고정 장착되며, 수평으로 전후진 동작하는 피스톤(129)을 가진다.
상기 공압 실린더(128)에서 피스톤(129)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 프레임(123)의 하부 플레이트(124) 상면에 고정된 브라켓(132)에 결합되는 바, 공압 실린더(128)의 피스톤(129)이 전후로 작동함과 동시에 본체 프레임(123) 전체가 전후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프레임(123)의 수직 플레이트(125) 전면 하측에는 지지 브라켓(135)에 의해 전동모터(133)가 고정 장착되며, 이 전동모터(133)의 회전축(134)이 인덱스(136)의 입력측에 연결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125)는 본체 프레임(123)에서 하부 플레이트(124)의 상측에 일체로 조립 장착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전동모터(133)는 푸시앤로테이터(137)를 통해 차종절환유니트(110)의 차종절환작동을 위한 회전력, 즉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을 회전시켜주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 된다.
도면부호 126은 본체 프레임(123)에서 수직 플레이트(125)의 후면과 하부 플레이트(124)의 상면에 걸쳐 횡방향으로 일체 조립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126)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인덱스(136)는 전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전면에 설치된 푸시앤로테이터(137)를 회전시키는 구성부로서, 밀링머신 등의 공작기계나 기타 가공기와 같은 통상의 산업기계에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동모터(13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그 회전방향을 푸시앤로테이터(137)의 회전방향으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각도 분할을 수행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인덱스는 주지된 바와 같이 로라기어 캠기구가 내장되어 있는 할출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덱스에는 그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내부의 주요 구성요소 및 그 특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덱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요 구성부로서, 로라기어 캠기구는 원절의 로라기어 캠과 캠 팔로워가 방사상으로 조립된 종절인 타렛과 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 기구의 특징은 로라기어 캠의 테파리브에 2개의 캠 팔로워가 결속되기 때문에 정역의 부하에 대해서도 백래쉬가 없어 정확한 운동전달이 가능하고, 로라기어 캠과 타렛의 구성이 역학적으로 볼 때 밸런스를 얻을 수 있으면서 이상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강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하의 전달이 전부 구름접촉에 의해 전달되므로 마찰손실이 적고, 운동손실도 최소화될 수 있으며, 또한 고속성, 위치 결정도가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푸시앤로테이터(137)는 인덱스(136)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인덱스(136)의 출력측에 연결 조립되어 있는 바, 전동모터(133)로부터 인덱스(136)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고, 그 축 방향은 수직축인 전동모터 회전축(134) 방향과 90°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137)는 본체 프레임(123)의 전진 작동시에 인덱스(136)와 일체로 전진 이동되면서 로테이션 블럭(111)에 내장된 샤프트(113)를 눌러주는 구성부가 되며, 또한 전면에는 전진 이동시에 푸시앤로테이터(137)가 로테이션 블럭(111)과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복수개의 로케이션 핀(138)이 돌출 설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로케이션 핀(13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케이션 핀(138)은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a)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렇게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a)에 결합된 상태에서 푸시앤로테이터(137)와 로테이션 블럭(111)은 일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록킹된 상태가 되고, 이에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전동모터(133)의 회전력으로 회전하게 될 경우 로테이션 블럭(111)이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외부 구동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외부 구동장치(120)에서 공압 실린더(128)가 작동하여 피스톤(129)이 전진 동작하는 경우, 피스톤(129)의 선단이 결합된 본체 프레임(123)은 피스톤(129)의 작동력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서 레일(122)을 따라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 프레임(123)이 전진 이동하게 되면서 푸시앤로테이터(137)의 전면이 로테이션 블럭(111) 내 샤프트(113)의 후단(도 5a의 좌측단)를 눌러주게 되고, 이때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113)가 전방으로(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그 힘에 의해 리턴 스프링(114)은 압축되게 된다.
또한, 샤프트(113)의 전방 이동 및 리턴 스프링(114)의 압축과 동시에 샤프트(113) 전단부에 일체 연결 조립된 록킹 플레이트(112)가 전방으로(도면상의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록킹 플레이트(112)에 장착된 로케이션 핀(115)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b)에서 빠지게 되는 바, 이에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 테이션 블럭(111)이 서로 이격되는 동시에 록킹상태가 해제된다(도 5a 참조).
이와 함께 푸시앤로테이터(137)의 전면에 돌출 설치된 로케이션 핀(138)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a)에 결합되어 푸시앤로테이터(137)와 로테이션 블럭(111)이 서로 록킹되고, 결국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후, 전동모터(133)가 회전되면서 인덱스(136)를 구동하고, 상기 인덱스(136)에 조립된 푸시앤로테이터(137)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결국 로테이션 블럭(111)을 요구되는 위치, 예컨대 푸시앤로테이터(137)와 로테이션 블럭(111)을 90°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로테이션 블럭(111)을 요구된 차형의 차종절환이 이루어지도록 회전구동시켜준 뒤에는 다시 공압 실린더(128)가 작동하여 피스톤(129)이 반대로 후진 동작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129)의 선단이 결합된 본체 프레임(123)이 피스톤(129)의 작동력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121)의 상측에서 레일(122)을 따라 후진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23)이 후진 이동하게 되면, 인덱스(136)와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일체로 후진 이동하게 되는 바, 이에 푸시앤로테이터(137)가 차종절환유니트(110)의 로테이션 블럭(111)과 분리되고, 결국 로테이션 블럭(111) 내 샤프트(113)의 누름상태가 해제되는 동시에 로케이션 핀(138) 역시 로테이션 블럭(111)과 분리된다.
이후, 압축되어 있던 리턴 스프링(114)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113)가 후방으로 리턴 이동하게 되고, 샤프트(113)에 일체로 연결된 록킹 플레이트(112) 역시 후방으로 리턴 이동되면서 록킹 플레이트(112)의 로케이션 핀(115)이 로테이션 블럭(111)의 로케이션 홀(116b)에 결합되고, 결국 록킹 플레이트(112)와 로테이션 블럭(111)이 로케이션 핀(115)에 의해 다시 록킹되면서 일체화된다(도 5b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차종절환유니트의 차종절환작동, 즉 로테이션 블럭의 회전작동을 위한 본 고안의 구동장치는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에 구성되면서 매우 간단한 구조 및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간단한 구조 및 구성의 외부 구동장치에 의해 종래와 같은 복잡한 차종절환용 실린더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전 및 급기 장치가 삭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에 의하면,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외부에 설치하여 그 구동력에 의해 차종절환유니트의 차동절환작 동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대차 또는 장비의 각 공정에 설치되었던 복잡한 차종절환용 실린더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급전 및 급기 장치를 삭제할 수 있고, 부품 삭제에 따라 전체 다 차종 생산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제 발생의 최소화 및 정도 향상, 설비비, 보전경비의 절감 및 그에 따른 운영유지비의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의 차종절환 구동을 통해 기존의 차종절환 구동방식에 비하여 다 차종 생산장치의 부품 축소가 가능하므로 설비 제작단계의 가공, 조립공수의 축소가 가능하고, 재료비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차종절환을 위해 사용되던 압축공기 및 전력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라인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다수의 차종절환유니트가 설치된 다 차종 생산장치에서 각 차종절환유니트의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켜 차종절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차종절환유니트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면서, 상기 차종절환유니트의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본체 프레임을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구동수단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장착되어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본체 프레임 전면 상단부에 장착되고, 전동모터의 회전축이 입력측에 결합되어,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입력받아 각도 분할하여 출력하는 인덱스와;
    상기 인덱스의 전면에서 그 출력측에 장착되며, 본체 프레임의 전진 이동시에 로테이션 블럭 내의 샤프트를 눌러주어 로테이션 블럭의 록킹상태를 해제하는 동시에 로테이션 블럭에 일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인덱스를 통해 출력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로테이션 블럭을 회전시키는 푸시앤로테이터;를 포함하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구동수단은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장착되고 피스톤 선단이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본체 프레임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전동모터와 인덱스가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 선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 전후로 길게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피스톤 선단이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수직으로 일체 조립되어, 전면 상단부에 인덱스가, 전면 하측에 전동모터가 장착되는 수직 플레이트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후면과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걸쳐 횡방향으로 일체 조립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앤로테이터는 그 전면이 상기 로테이션 블럭 내의 샤프트를 눌러주는 부분이 되면서 상기 전면에 로테이션 블럭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개의 로케이션 핀이 돌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KR2020060016616U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KR200425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16U KR200425970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616U KR200425970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970Y1 true KR200425970Y1 (ko) 2006-09-12

Family

ID=4177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616U KR200425970Y1 (ko) 2006-06-20 2006-06-20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9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658B1 (ko) 2007-10-12 201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CN114248046A (zh) * 2021-11-11 2022-03-29 安徽瑞祥工业有限公司 一种多车型共线生产的切换系统
CN114749862A (zh) * 2022-05-11 2022-07-15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工装切换装置及包括该工装切换装置的工装切换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658B1 (ko) 2007-10-12 201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CN114248046A (zh) * 2021-11-11 2022-03-29 安徽瑞祥工业有限公司 一种多车型共线生产的切换系统
CN114749862A (zh) * 2022-05-11 2022-07-15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工装切换装置及包括该工装切换装置的工装切换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189B1 (ko) 차량용 패널 클램핑 장치
CA2117819C (en) Hemming press
CN204430896U (zh) 高精度同步自动定心机动夹具
US20070273108A1 (en) Wheel Chuck
CN105128023A (zh) 一种机械手
KR102359936B1 (ko) 대차를 이용한 차체 이송 시스템
KR200425970Y1 (ko)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용 외부 구동장치
CN111015316A (zh) 一种气压夹紧装置
CN107127595A (zh) 一种回旋状工件的定心夹紧装置
CN107052780B (zh) 一种汽车前大灯装配生产线
US6745608B2 (en) Hemming units and apparatus
KR100747046B1 (ko) 조향장치조립용 클램핑 회전장치
KR100905079B1 (ko) 씨엔씨 선반용 인덱스 척
CN109571524A (zh) 一种设有蜗轮锁的机械手
KR200425969Y1 (ko) 다 차종 생산라인의 차종절환유니트
CN214868668U (zh) 稳定性强的龙门加工中心
CN214490122U (zh) 轮毂内抛光机
CN102574229A (zh) 用于制造齿轮的机器
CN102427995B (zh) 用于装配车辆乘员室的侧部的设备和方法
US6698740B1 (en) Power-actuated vise jaw
CN114227574A (zh) 一种紧固件生产加工用定位工装
CN200974199Y (zh) 汽车车门夹紧装置
CN108465748B (zh) 汽车轮罩包边装置
CN111451685A (zh) 一种焊装夹具滑移自锁装置
CN208179063U (zh) 一种用于车铣复合机床的主轴刹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