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174Y1 -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174Y1
KR200486174Y1 KR2020160007333U KR20160007333U KR200486174Y1 KR 200486174 Y1 KR200486174 Y1 KR 200486174Y1 KR 2020160007333 U KR2020160007333 U KR 2020160007333U KR 20160007333 U KR20160007333 U KR 20160007333U KR 200486174 Y1 KR200486174 Y1 KR 2004861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ck
attachment
bloc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규
최원혁
Original Assignee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후쿠코리아 (주) filed Critical 다이후쿠코리아 (주)
Priority to KR2020160007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1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1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생산 라인의 도어 행거(door hanger)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door attachment lock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도어 행거에 도어(FD, RD)가 탑재된 후 이동하여 도어(FD, RD)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이동어태치먼트(49);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를 필요한 높이로 부양하여 지지하는 어태치먼트 브라켓(47);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켓(47)의 바닥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블록(7);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LM가이드(5); 상기 LM가이드(5)가 도어(FD, RD)의 일측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3); 상기 레일(3)의 하부에서 레일(3)을 지지하는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에 상기 레일(3)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사각봉이고, 사각봉의 레일(3) 반대 방향 표면에는 제1랙기어치(25a)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 랙빔(27);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 설치된 레버 브라켓(11); 상기 레버 브라켓(11)에 제1핀(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핸들(45)이 부착된 록킹레버(19); 상기 록킹레버(19) 타단에 부착되고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와 결합하는 제2랙기어치(25b)가 형성되어 록킹레버(19)를 상기 랙빔(27)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랙빔(27)과 제2랙기어치(25b)에 의하여 맞물리는 랙블록(23); 상기 제1핀(13)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19)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되어 상기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가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5); 말굽형상으로 상기 록킹레버(19)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단에 제1단턱(28)을 형성하는 단턱블록(29); 상기 단턱블록(29) 상부에 제2핀(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 하부에 조립되는 제2단턱(24)을 형성하여 제2핀(31)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제1단턱(28)과 제2단턱(24)에 의하여 제약되게 한 키플레이트(33); 일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플레이트(33)에 연결되어 상기 키플레이트(33)에 레일(3)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하는 인장스프링(35); 및 상기 레일(3)과 랙빔(27) 사이에 레일(3) 진행 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키플레이트(33)가 상기 레일(3)을 따라 이동한 후 이동어태치먼트(49)가 도어(FD, RD)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의 하부가 상기 코일스프링(15) 및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43a, 43b)이 차종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DOOR ATTACHMENT LOCKING DEVICE FOR DOOR HANGER IN AUTOMOTIVE ASSEMBLING LINE}
본 고안은 자동차 생산 라인의 도어 행거(door hanger)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door attachment lock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크기나 형상이 다른 다차종의 도어에 적용할 수 있고 일단 록킹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의하자 않은 우발적 움직임에 의하여 록킹이 해제 되지 않은 채 도어의 측면을 이탈 없이 고정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조립 라인의 도어 행거에서 도어 행거 내에 도어를 잡아주기 위하여 도어의 하부 또는 측부에 직접 접촉시키는 파지부를 어태치먼트(attachment)라 한다. 도어 어태치먼트는 도어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레탄 소재 등 탄성이 큰 쿠션소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운반을 위하여 도어 행거에 도어를 적재할 때, 이동 중 도어 행거의 흔들림이나 컨베이어에서 발생하는 충격 등에 의하여 도어가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어태치먼트와 측부 어태치먼트 중 하나는 고정형을 사용하지만, 다른 측부 어태치먼트는 포지션 브라켓에 의하여 움직여 도어에 어태치먼트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차종별 도어 위치결정은 포지션 브라켓에 의해서만 가능했으나 다차종 적용시 도어 크기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기존 포지션 브라켓만으로는 정확한 위치 결정이 되지 않아 운반 중 도어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701호에는 차종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지닌 도어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론트 및 리어도어의 일측을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유닛과, 각 도어의 타측과 하부를 지지하는 측부 및 하부 지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종별 도어에 대응하도록 하여 공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원가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701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측부 지지유닛을 제안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701호 고안에 제안된 측부 지지유닛은, 우측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1 측부 지지유닛과, 중간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제2 측부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우측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레일블록과, 상기 리어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어태치와, 상기 제1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1 손잡이와, 상기 제1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제1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1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수단은 상기 제1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랙부가 형성되는 제1 랙바와, 상기 제1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1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측부 지지유닛은 상기 지지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장착되는 보조 프레임과, 상기 보조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2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레일블록과, 상기 프론트 도어의 측부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제2 어태치와, 상기 제2 레일블록의 상부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장착되는 제2 손잡이와, 상기 제2 손잡이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제2 가이드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제2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수단은 상기 제2 가이드 레일에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장착 플레이트에 장착되며, 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랙부가 형성되는 제2 랙바과, 상기 제2 랙바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손잡이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랙부에 치합되어 상기 제2 레일블록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제10-1163701호 특허는 랙바와 고정블럭의 치합 깊이가 낮아, 손잡이가 조금만 움직여도 랙바와 고정블럭간의 치합 상태가 해제 된다. 따라서, 도어 행거에 의한 도어의 이송 중, 도어 행거가 흔들리거나 도어 행거를 견인하는 컨베이어 등에서 작은 충격이 가해 지는 경우에도 손잡이가 움직여 랙바와 고정블록간의 결합이 해제 되고, 도어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63701호(등록일자 : 2012.07.02)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랙바와 고정블럭을 이용한 도어 측부 지지유닛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도어 행거에 의한 도어의 이송 중, 도어 행거가 흔들리거나 도어 행거를 견인하는 컨베이어 등에서 충격이 가해 지는 경우에도 도어가 추락하지 않는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과제는, 도어 행거에 도어가 탑재된 후 이동하여 도어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이동어태치먼트와, 상기 이동어태치먼트를 필요한 높이로 부양하여 지지하는 어태치먼트 브라켓과,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켓의 바닥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블록과,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LM가이드와, 상기 LM가이드가 도어의 일측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과, 상기 레일의 하부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상기 레일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사각봉이고, 사각봉의 레일 반대 방향 표면에는 제1랙기어치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 랙빔과,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에 고정 설치된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에 제1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핸들이 부착된 록킹레버와, 상기 록킹레버 타단에 부착되고 상기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결합하는 제2랙기어치가 형성되어 록킹레버를 상기 랙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랙빔과 제2랙기어치에 의하여 맞물리는 랙블록과, 상기 제1핀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에 고정되어 상기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상기 랙빔의 제1랙기어치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말굽형상으로 상기 록킹레버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단에 제1단턱을 형성하는 단턱블록과, 상기 단턱블록 상부에 제2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단턱블록의 제1단턱 하부에 조립되는 제2단턱을 형성하여 제2핀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제1단턱과 제2단턱에 의하여 제약되게 한 키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키플레이트에 레일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하는 인장스프링과, 상기 레일과 랙빔 사이에 레일 진행 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기 이동어태치먼트와 키플레이트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한 후 이동어태치먼트가 도어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록킹레버와 키플레이트의 하부가 상기 코일스프링 및 인장스프링에 의하여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이 차종에 따라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된 홈포지션 플레이트을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어태치먼트에 의하여 도어를 고정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어태치먼트와 록킹레버를 후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키플레이트가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안착 되는 단차절개부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 행거에 도어를 탑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록킹레버의 핸들을 작업자측으로 돌리면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가 분리될 뿐만 아니라 단턱블럭의 제1단턱이 키플레이트의 제2단턱을 밀어 키플레이트가 홈포지션 플레이트 위로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로, 이동어태치먼트 및 록킹레버를 도어 측면을 파지할 수 있는 위치인 차종에 맞는 록킹홈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록킹레버의 핸들을 반대방향으로 돌려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결합되면, 상기 키플레이트는 상기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홈에 안착하고, 그 결과 도어의 이송 중 도어 행거가 흔들리거나 도어 행거를 견인하는 컨베이어 등에서 충격이 가해져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일시적으로 분리되어도 이동어태치먼트는 후진하지 않고 도어를 파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 이동 중 도어의 추락 위험이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생산 라인의 도어 행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생산 라인의 도어 행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생산 라인의 도어 행거에 도어를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를 지지판 및 지주와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를 지지판 및 지주와 함께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록킹레버와 여기에 결합된 핸들, 랙블록 및 키플레이트 부분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에 의하여 도어 파지를 안할 때,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의 가동 부분이 홈포지션 플레이트의 후단 단차절개부로 이동하여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록킹레버의 핸들을 회전시켜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의 가동부분을 도어측으로 이동시킬 때,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단턱블록이 키플레이트를 홈포지션 플레이트 위로 밀어 올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의 가동부분이 홈포지션 플레이트의 제2록킹홈에 도달한 후, 록킹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다시 결합되고, 록킹레버와 키플레이트의 하부가 제2록킹홈 안으로 안착되어 록킹된 상태를 우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의 가동부분이 홈포지션 플레이트의 제2록킹홈에 도달한 후, 록킹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다시 결합되고, 록킹레버와 키플레이트의 하부가 제2록킹홈 안으로 안착되어 록킹된 상태를 좌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의 가동부분이 홈포지션 플레이트의 제1록킹홈에 도달한 후, 록킹 레버의 회전에 의하여 랙빔의 제1랙기어치와 랙블록의 제2랙기어치가 다시 결합되고, 록킹레버와 키플레이트의 하부가 제1록킹홈 안으로 안착되어 록킹된 상태를 우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행거는 콘베이어 진행 방향으로 배열된 상부프레임(111) 및 하부프레임(1119)과, 상부프레임(111) 및 하부프레임(119)을 연결하는 제1수직프레임(113), 제2수직프레임(115) 및 제3수직프레임(117)으로 이루어진다. 제1수직프레임(113)과 제2수직프레임(115) 사이에는 좌우측 프론트도어(FD)를 탑재할 수 있는 도어 거치대가 하부프레임(119)을 중심으로 전후방에 대칭으로 마련되고, 제2수직프레임(115)과 제3수직프레임(117)사이에는 좌우측 리어도어(RD)를 탑재할 수 있는 도어 거치대가 하부프레임(119)을 중심으로 전후방에 대칭으로 마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거치대는 상기 하부프레임에 의하여 받쳐지는 하부지지대(110)와, 상기 하부지지대(110)에 세워진 지지기둥(107a,107b)과, 상기 지지기둥(107a,107b) 상부에 수평하게 고정된 상부지지대(109)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거치대의 타측 지지기둥(107a)과 하부지지대(110)에는 각각 측부고정 어태치먼트(121a,121b)와 하부고정 어태치먼트(123a,123b)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FD,RD) 탑재시, 도어(FD,RD)의 타측부와 도어(FD,RD)의 하부는 각각 상기 측부고정 어태치먼트(121a, 121b) 및 하부고정 어태치먼트(123a, 123b)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100a, 100b)는 상기 도어 거치대의 상부지지대(109)에 설치되어 도어 거치대에 탑재된 도어(FD,RD)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데 사용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100a, 100b)는, 도어 행거에 도어(FD, RD)가 탑재된 후 이동하여 도어(FD, RD)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이동어태치먼트(49)와,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를 필요한 높이로 부양하여 지지하는 어태치먼트 브라켓(47)과,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켓(47)의 바닥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블록(7)과,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LM가이드(5)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종 및 차량에서 도어의 설치 위치에 따라 도어의 일측부 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어태치먼트 브라켓(47)의 크기, 형상 및 구조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도어의 직접 접촉 지점에는 흠집 방지를 위해 라이너(liner)를 덧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100a, 100b)는, 상기 LM가이드(5)가 도어(FD, RD)의 일측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3)과, 상기 레일(3)의 하부에서 레일(3)을 지지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에 상기 레일(3)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사각봉 형상의 랙빔(27)을 포함한다. 상기 랙빔(27)의 레일(3) 반대 방향 표면에는 제1랙기어치(25a)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는 지지판(101)을 매개로 상기 도어거치대의 상부지지대(109)에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100a, 100b)는,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 설치된 레버 브라켓(11)과, 상기 레버 브라켓(11)에 제1핀(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핸들(45)이 부착된 록킹레버(19)과, 상기 록킹레버(19) 타단에 부착되고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와 결합하는 제2랙기어치(25b)가 형성되어 록킹레버(19)를 상기 랙빔(27)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랙빔(27)과 제2랙기어치(25b)에 의하여 맞물리는 랙블록(23)과, 상기 제1핀(13)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19)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되어 상기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가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5)과, 말굽형상으로 상기 록킹레버(19)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단에 제1단턱(28)을 형성하는 단턱블록(29)과, 상기 단턱블록(29) 상부에 제2핀(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 하부에 조립되는 제2단턱(24)을 형성하여 제2핀(31)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제1단턱(28)과 제2단턱(24)에 의하여 제약되게 한 키플레이트(33)과, 일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플레이트(33)에 연결되어 상기 키플레이트(33)에 레일(3)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하는 인장스프링(35)을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핸들(45)을 잡고 작업자 측으로 당기면, 록킹레버(19)와 이에 부착된 랙블록(23)은 제1핀(도 6의 c선)을 중심으로 핸들(45) 움직임 방향으로 회전하고 코일스프링(15)은 감긴다. 작업자가 핸들(45)을 놓거나 반대방향으로 밀면, 록킹레버(19)와 이에 부착된 랙블록(23)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고 코일스프링(15)에 의한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한다. 작업자가 핸들(45)을 잡고 작업자 측으로 당길 때, 초기에는 키플레이트(33)가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인장스프링 제2고정단(39) 측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제2핀(31)을 중심으로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간의 상대 회전이 발생하지만,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이 키플레이트(33)의 제2단턱(24)에 걸리면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이 키플레이트(33)의 제2단턱(24)을 밀어, 일정 구간 키플레이트(33)가 록킹레버(19)와 함께 회전한다. 작업자가 핸들(45)을 놓거나 반대 방향으로 밀면 록킹레버(19)와 함께 단턱블록(29)도 제1핀(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키플레이트(33)는 회전하는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에 밀려서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레버(19)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록킹레버(19)의 일정 범위 이내에서의 작업자측 회전에 대해서는 키플레이트(33)가 회전하지 않다가, 록킹레버(19)의 회전량이 일정 범위를 넘어갈 때만 록킹레버(19)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100a, 100b)는, 상기 레일(3)과 랙빔(27) 사이에 레일(3) 진행 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키플레이트(33)가 상기 레일(3)을 따라 이동한 후 이동어태치먼트(49)가 도어(FD, RD)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의 하부가 상기 코일스프링(15) 및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43a, 43b)이 차종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을 포함한다.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록킹홈(43a, 43b)의 위치는 도어의 폭에 따라 달라진다. 본 고안의 도면에는 2차종의 도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2개의 록킹홈(43a,43b)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3차종 또는 4차종의 도어 고정을 위하여 3개 또는 4개의 록킹홈(43a, 43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록킹홈(43a,43b)의 폭은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가 동시에 약간의 공차로 삽입될 수 있는 폭으로 한다.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에 의하여 도어(FD, RD)를 고정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록킹레버(19)를 후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키플레이트(33)가 상기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안착 되는 단차절개부(6)를 더 형성한다.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록킹홈(43a, 43b)은 제2핀(31)을 중심으로 록킹레버(19)와 상대회전하는 상기 키프레이트(33)와 결합하여 도어 추락 방지 기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발휘한다.
도 4와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록킹홈(43a, 43b)이 상기 키플레이트(33)와 결합하여 어떻게 도어 추락 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행거에 도어를 탑재하기 전에는 이동어태치먼트(49)와 록킹레버(19)를 이동시켜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가 각각 코일스프링(15) 및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단차절개부(6)에 안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와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는 서로 맞물려 있다.
도어 행거에 도어가 탑재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19)의 핸들(45)을 작업자 방향으로 당겨 랙빔(27)의 제1랙키어치(25a)와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상기 록킹레버(19)의 하부와 키플레이트(33)의 하부가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벽 위에 위치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일측부 방향으로 어태치먼트 브라켓(47)을 밀면 록킹레버(19)도 함께 이동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레버(19)가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제2록킹홈(43b) 위치에 도달하면 핸들을 놓거나 반대 방향으로 민다. 작업자가 핸들(45)을 놓거나 반대 방향으로 밀면 록킹레버(19)와 함께 단턱블록(29)도 제1핀(P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데, 이때 키플레이트(33) 하부는 회전하는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에 밀려서 뿐만 아니라,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록킹레버(19)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록킹레버(19)의 하부와 함께, 제2록킹홈(43b) 내부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의 이송 중 도어 행거가 흔들리거나 도어 행거를 견인하는 컨베이어 등에서 충격이 가해져 록킹레버(19)가 흔들리면,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와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가 해제되는 경우에도, 키플레이트(33)는 록킹레버(19)의 일정 범위 이내에서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제2핀(3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만 일어나고,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제2록킹홈(43b) 내부에 안착되어 있게 되므로, 이동어태치먼트(49)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록킹홈(43a, 43b)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를 이용하면, 여러차종의 도어에 대하여 동일한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1 : 베이스 3 : 레일
5 : LM가이드 7 : 브라켓 지지블록
9 : 가이드 플레이트 11 : 레버 브라켓
13 : 제1핀 15 : 코일스프링
17 : 코일스프링 제1고정단 19 : 록킹레버
21 : 코일스프링제2고정단 23 : 랙블록
25a,25b : 랙기어치 27 : 랙빔
29 : 단차블록 31 : 제2핀
33 : 키플레이트 35 : 인장스프링
37 : 인장스프링 제1고정단 39 : 인장스프링 제2고정단
41 : 홈포지션 플레이트 43a, 43b : 록킹홈
45 : 핸들 47 : 어태치먼트 브라켓
49 : 이동어태치먼트 100a, 100b :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101 : 지지판 103, 105 : 스톱퍼
107a, 107b : 지지기둥 109, 110 : 지지대
111 : 상부프레임 113 : 제1수직프레임
115 : 제2수직프레임 117 : 제3수직프레임
119 : 하부프레임 121a, 121b : 측부고정 어태치먼트
123a, 123b : 하부고정 어태치먼트

Claims (2)

  1. 도어 행거에 도어(FD, RD)가 탑재된 후 이동하여 도어(FD, RD)의 일측부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이동어태치먼트(49);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를 필요한 높이로 부양하여 지지하는 어태치먼트 브라켓(47);
    상기 어태치먼트 브라켓(47)의 바닥이 고정 설치되는 브라켓 지지블록(7);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LM가이드(5);
    상기 LM가이드(5)가 도어(FD, RD)의 일측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일(3);
    상기 레일(3)의 하부에서 레일(3)을 지지하는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에 상기 레일(3)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고정 설치되는 사각봉이고, 사각봉의 레일(3) 반대 방향 표면에는 제1랙기어치(25a)가 수직방향으로 연속으로 형성된 랙빔(27);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 설치된 레버 브라켓(11);
    상기 레버 브라켓(11)에 제1핀(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핸들(45)이 부착된 록킹레버(19);
    상기 록킹레버(19) 타단에 부착되고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와 결합하는 제2랙기어치(25b)가 형성되어 록킹레버(19)를 상기 랙빔(27)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랙빔(27)과 제2랙기어치(25b)에 의하여 맞물리는 랙블록(23);
    상기 제1핀(13) 외측에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록킹레버(19)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고정되어 상기 랙블록(23)의 제2랙기어치(25b)가 상기 랙빔(27)의 제1랙기어치(25a) 방향으로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15);
    말굽형상으로 상기 록킹레버(19)의 상부에 삽입되어 하단에 제1단턱(28)을 형성하는 단턱블록(29);
    상기 단턱블록(29) 상부에 제2핀(3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상기 단턱블록(29)의 제1단턱(28) 하부에 조립되는 제2단턱(24)을 형성하여 제2핀(31)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상기 제1단턱(28)과 제2단턱(24)에 의하여 제약되게 한 키플레이트(33);
    일단은 상기 브라켓 지지블록(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키플레이트(33)에 연결되어 상기 키플레이트(33)에 레일(3) 방향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하는 인장스프링(35); 및
    상기 레일(3)과 랙빔(27) 사이에 레일(3) 진행 방향으로 세워서 고정되고,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키플레이트(33)가 상기 레일(3)을 따라 이동한 후 이동어태치먼트(49)가 도어(FD, RD)를 파지할 수 있는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록킹레버(19)와 키플레이트(33)의 하부가 상기 코일스프링(15) 및 인장스프링(35)에 의하여 회전하여 삽입될 수 있는 록킹홈(43a, 43b)이 차종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을 포함하는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포지션 플레이트(41)의 후단에는,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에 의하여 도어(FD, RD)를 고정하지 않을 때 상기 이동어태치먼트(49)와 록킹레버(19)를 후단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키플레이트(33)가 상기 인장스프링(35)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하여 안착 되는 단차절개부(6)를 더 형성한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KR2020160007333U 2016-12-16 2016-12-16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KR200486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33U KR200486174Y1 (ko) 2016-12-16 2016-12-16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333U KR200486174Y1 (ko) 2016-12-16 2016-12-16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174Y1 true KR200486174Y1 (ko) 2018-04-10

Family

ID=61969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333U KR200486174Y1 (ko) 2016-12-16 2016-12-16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1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614A (zh) * 2019-08-05 2019-10-11 浙江颢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模型侧门自动机械锁止门锁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522A (ko) * 2004-07-06 200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행거의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764712B1 (ko) * 2006-05-25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100802744B1 (ko) *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장착용 행거장치
KR20120019281A (ko) * 2010-08-25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522A (ko) * 2004-07-06 200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행거의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764712B1 (ko) * 2006-05-25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장착장치
KR100802744B1 (ko) *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장착용 행거장치
KR20120019281A (ko) * 2010-08-25 2012-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KR101163701B1 (ko) 2010-08-25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이송용 행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614A (zh) * 2019-08-05 2019-10-11 浙江颢屹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汽车模型侧门自动机械锁止门锁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2755B2 (ja) インパネ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方法
KR200486174Y1 (ko) 자동차 생산 라인 도어 행거의 도어 어태치먼트 록킹 장치
WO2021190747A1 (en) Formwork apparatus
CN213165339U (zh) 一种模具架
KR101491126B1 (ko) 차량용 시트의 힌지 체결 장치
JP6384312B2 (ja) 運搬用台車及びそのキャスターの取付け構造
WO2015040844A1 (ja) ヒッチキャリア固定装置
KR102262134B1 (ko) 러기지 박스를 이용한 차량의 화물 보관장치
JP2007030805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883165B1 (ko) 자동차용 그립 핸들 어셈블리의 브라켓 마운팅 구조
JP4515621B2 (ja) 移動ラック装置
KR101922163B1 (ko) 콘솔박스
JP4013299B2 (ja) 車両用シートの取付構造
CN216942897U (zh) 一种工具盒及车辆
JP6100921B2 (ja) ラックマウント用治具
JPH0715832Y2 (ja) ドア取付けおよび取外し工程におけるドア保持装置
JPH07349Y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スライド機構
DE102008017199A1 (de) Kindersitzsystem
JP2016007869A (ja) シート装置
KR101021392B1 (ko)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101055104B1 (ko) 스티어링 휠 봉 위치가변 장치
KR100811760B1 (ko) 차량용 후드 스테이 록킹 장치
JP4480593B2 (ja) 車両用サンバイザ
JPS6034494Y2 (ja) 座席支持装置
JP2021041825A (ja) バイク駐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