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62B1 - 대차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대차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62B1
KR100969462B1 KR1020080030847A KR20080030847A KR100969462B1 KR 100969462 B1 KR100969462 B1 KR 100969462B1 KR 1020080030847 A KR1020080030847 A KR 1020080030847A KR 20080030847 A KR20080030847 A KR 20080030847A KR 100969462 B1 KR100969462 B1 KR 100969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nner rail
bogie
friction beam
out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411A (ko
Inventor
장철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62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가 주행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과, 상기 대차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 레일과 상기 외측 레일 사이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프릭션 빔과, 상기 프릭션 빔을 이동시키는 롤러장치와, 상기 롤러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 향상 및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차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차, 레일, 프릭션 빔, 롤러장치, 모터

Description

대차 이동장치{A device for carrying trolley}
본 발명은 대차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차의 하면에 프릭션 빔을 설치하고,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장치가 상기 프릭션 빔을 가압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대차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은, 대차가 로딩 라인(1)에 위치하면 로봇이 파트를 상기 대차 위에 로딩하게 되고, 상기 파트를 클램핑한 상기 대차는 턴테이블 라인(2)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턴테이블 라인(2)에는 상기 대차가 로딩되기 위한 턴테이블이 복수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턴테이블은 상기 대차가 로딩되면 회전하는 장치이다. 이하, 상기 복수개의 턴테이블을 제1 턴테이블과 제2 턴테이블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 상기 대차는 제1 턴테이블에 로딩되어 상기 제1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하여 용접 라인(3)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대차가 용접 라인(3)에 도착하면 상기 파트는 주변에 위치한 로봇에 의해 각각의 부품이 용접되고, 용접이 완료되면 상기 대차는 턴테이블 라인(2)으로 다시 이동하여 상기 제1 턴테이블에 의해 다시 180도 회전한 후, 차종에 따라 각각 마련된 대기 라인(4)으로 이동된다.
한편, 용접을 마친 상기 파트를 로딩한 상기 대차가 상기 제1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할 때, 다음 번 파트를 로딩한 대차는 제2 턴테이블에 로딩되어 상기 제2 턴테이블에 의해 180도 회전하여 용접 라인(3)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술한 공정을 반복하면서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은 대차가 용접을 마치고 리턴되어 되돌아올 수 있도록 설비해야 하므로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가 저하되고, 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구간에 걸쳐 모터 등의 부품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투자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 향상 및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차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차가 주행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과, 상기 대차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 레일과 상기 외측 레일 사이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프릭션 빔과, 상기 프릭션 빔을 이동시키는 롤러장치와, 상기 롤러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대차 이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과 상기 프릭션 빔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상기 프릭션 빔을 이동시키는 보조롤러와,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브래킷에 배치되어 상기 프릭션 빔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릭션 빔이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은 상기 대차를 정렬시키는 대차정렬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차정렬시트는, 상기 대차의 전륜을 정렬시키는 전방시트와, 상기 대차의 후륜을 정렬시키는 후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시트 및 상기 후방시트는,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경우에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는 대차의 하면에 프릭션 빔을 설치하고,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롤러장치가 상기 프릭션 빔을 가압하면서 마찰력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 향상 및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릭션 빔(30)을 생략하였으며, 대차(50)도 차륜(52)만을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은, 원형을 이루는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과, 내측 레 일(10) 및 외측 레일(20) 사이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된 프릭션 빔(30)을 포함한다.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브래킷(4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프릭션 빔(30)은 소정의 호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셀(31,32,33,34,35)로 나뉘어져 구성되며,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 사이에서 이동 가능토록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과 마찬가지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을 이룬다.
물론,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과 프릭션 빔(30)은 직선형상인 것도 가능하고, 원형이 아닌 다른 곡률을 가지는 형상도 가능하다. 하지만,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 향상 및 설비투자비 절감을 위해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프릭션 빔(30)의 상면은 대차(50)의 하면과 연결핀(55)에 의해 고정되고, 프릭션 빔(30)의 하면은 보조브래킷(40)의 상면에 고정된 가이드롤러(45)에 안착된다.
한편, 차종에 따라 사용되는 대차(50)도 달라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는 프릭션 빔(30)이 복수개의 셀(31,32,33,34,35)로 나뉘어져 구성되고, 프릭션 빔(30)에 대차(50)를 연결핀(55)으로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에 따라 대차(50)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의 주변에는 대차(50)에 로딩된 파트(미도시)를 용접하기 위한 로봇(60)들이 복수개 배치된다. 도 2에서는 로봇(60)을 하나만 도시하였다.
내측 레일(10)의 소정 부위에는 로봇(60)이 파트를 용접할 수 있도록 대차(50)를 정위치에 정렬하기 위한 대차정렬장치(15)가 배치되고,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의 상면에는 대차(50)가 이동되어 대차(50)의 소정부위가 대차정렬장치(15)에 안착되면 대차(50)가 정렬될 수 있도록 대차정렬시트(70)가 부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는 대차(50)가 주행하는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과, 대차(50)에 고정되고 내측 레일(10)과 외측 레일(20) 사이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프릭션 빔(30)과, 프릭션 빔(30)을 이동시키는 롤러장치(45,85,95)와, 상기 롤러장치(45,85,95)를 구동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한다.
롤러장치(45,85,95)는, 모터(8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85)와, 구동롤러(85)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동롤러(85)와 함께 프릭션 빔(30)을 가압하여 마찰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보조롤러(95)와,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브래킷(40)에 배치되어 프릭션 빔(30)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45)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과 프릭션 빔(3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의 상면에는 대차(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대차(50)의 차륜(52)이 접촉된다.
내측 레일(10)의 소정 부위에는 대차정렬장치(15)가 배치되고, 외측 레일(20)의 소정 부위에는 모터(8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급전급기장치(25)가 배치된다. 물론, 대차정렬장치(15)는 외측 레일(20)의 소정 부위에 배치될 수도 있고, 급전급기장치(25)는 내측 레일(10)의 소정 부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급전급기장치(25)는 대차(50)를 이동시킬 경우에는 모터(80)에 전원을 공급하고, 대차(50)가 소정 위치로 이동되면 모터(80)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대차(50)를 정지시킨다.
또한,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은 복수개의 보조브래킷(4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보조브래킷(40)의 상면에는 프릭션 빔(30)이 이동될 수 있도록 안착되는 가이드롤러(45)가 고정된다.
또한, 내측 레일(10) 및 외측 레일(20)의 상면에는 대차(50)의 소정 부위가 소정위치로 이동되어 대차정렬장치(15)에 안착되면, 대차(50)의 차륜(52)을 정렬시키는 대차정렬시트(70)가 부착된다.
보조브래킷(40)과 이웃하는 보조브래킷(40) 사이에는, 모터(8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용 브래킷(90)의 양단이 가이드롤러(45)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고, 설치용 브래킷(90)의 일측에는 모터(80) 및 구동롤러(85)와 결합된 제1 연결부재(82)가 배치되며, 타측에는 보조롤러(95)와 결합된 제2 연결부재(92)가 배치된다. 제1 연결부재(82) 및 제2 연결부재(92)는 고정브래킷(94) 및 힌지볼트(96)에 의해 설치용 브래킷(90)에 장착된다.
또한, 제1 연결부재(82)와 제2 연결부재(92) 사이에는 프릭션 빔(30)이 구동롤러(85) 및 보조롤러(95)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탄성부재(100)가 결합된다. 탄성부재(10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압착된 상태로 제1 연결부재(82) 및 제2 연결부재(92)의 일단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00)의 복원력에 의해 제1 연결부재(82) 및 제2 연결부재(92)가 힌지볼트(96)를 중심으로 회동하게끔 함으로써, 구동롤러(85) 및 보조롤러(95)가 프릭션 빔(30)의 측면을 가압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 중 대차정렬시트의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는 내측 레일(10)에 부착되는 대차정렬시트(70)만을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대차(50)의 차륜(52)은 대차(50)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륜(52a)과 대차(50)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륜(52b)으로 구성되고, 전륜(52a)은 내측 레일(10)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52c)와, 대차정렬시트(70)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52d)와, 제1 접촉부(52c)와 제2 접촉부(52d)와의 사이에 형성된 비접촉부(52e)로 이루어지고, 후륜(52b)은 내측 레일(10)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52f)와, 대차정렬시트(70)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52g)와, 제2 접촉부(52g)의 일측에 형성된 비접촉부(52h)로 이루어진다.
또한, 대차정렬시트(70)는, 대차(50)의 전륜(52a)을 정렬시키는 전방시트(72)와, 대차(50)의 후륜(52b)을 정렬시키는 후방시트(74)로 구성되고, 전방시트 (72)및 후방시트(74)를 대차(50)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경우에, 전방시트(72)는 전륜(52a)의 제2 접촉부(52d)와 접촉되는 부위가 단턱(75)이 돌출 형성되고, 후방시트(74)는 후륜(52b)의 제2 접촉부(52f)와 접촉되는 부위가 단턱(75)이 돌출 형성된다. 즉, 전방시트(72) 및 후방시트(74)는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단턱(75)이 형성된다.
전방시트(72) 및 후방시트(74)는, 대차(50)의 소정부위가 대차정렬장치(15)에 안착되면, 대차(50)의 전륜(52a) 및 후륜(52b)을 정렬시키고,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된 단턱(75)을 통하여 대차(5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여, 로봇(60)이 파트를 안정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전급기장치(25)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모터(80)가 회전하면 구동롤러(85)가 회전되고, 구동롤러(85) 및 보조롤러(95)에 의해 양측이 가압되는 프릭션 빔(30)이 마찰력에 의해 가이드롤러(45)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된다. 이때, 프릭션 빔(30)에 고정된 대차(50)도 따라서 이동된다.
대차(50)가 소정위치 즉, 로봇(60)이 파트를 용접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면, 대차(50)는 대차정렬장치(15)에 안착되고, 이때 대차(50)의 차륜(52)은 대차정렬시트(70)에 의해 정렬되어, 로봇(60)이 파트를 안정적으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급전급기장치(25)는 대차(50)가 대차정렬장치(15)에 안착되면 모터(80)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대차(50)를 정지시킨다.
로봇(60)이 파트의 용접을 완료하면, 급전급기장치(25)는 모터(80)에 전원을 다시 공급하고 대차(50)는 다음 라인으로 이동된다.
본원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를 사용하면,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의 공간활용도 향상 및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라인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 이동장치 중 대차정렬시트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내측 레일 15:대차정렬장치
20:외측 레일 25:급전급기장치
30:프릭션 빔 40:보조브래킷
45:가이드롤러 50:대차
52:차륜 52a:전륜
52b:후륜 55:연결핀
60:로봇 70:대차정렬시트
72:전방시트 74:후방시트
75:단턱 80:모터
82:제1 연결부재 85:구동롤러
90:설치용 브래킷 92:제2 연결부재
94:고정브래킷 95:보조롤러
96:힌지볼트 100:탄성부재

Claims (6)

  1. 대차가 주행하는 내측 레일 및 외측 레일과;
    상기 대차에 고정되고, 상기 내측 레일과 상기 외측 레일 사이에 이동 가능토록 배치되는 프릭션 빔과;
    상기 프릭션 빔을 이동시키는 롤러장치와;
    상기 롤러장치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구동롤러와 함께 상기 프릭션 빔을 이동시키는 보조롤러와,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브래킷에 배치되어 상기 프릭션 빔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대차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과 상기 프릭션 빔은 원형인 대차 이동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결합된 제1 연결부재와, 상기 보조롤러와 결합된 제2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롤러 및 상기 보조롤러가 상기 프릭션 빔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사이에 결합된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대차 이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레일 및 상기 외측 레일은 상기 대차를 정렬시키는 대차정렬시트를 더 포함하는 대차 이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대차정렬시트는,
    상기 대차의 전륜을 정렬시키는 전방시트와, 상기 대차의 후륜을 정렬시키는 후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시트 및 상기 후방시트는, 상기 대차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경우에 서로 상반되는 위치에 단턱이 형성된 대차 이동장치.
KR1020080030847A 2008-04-02 2008-04-02 대차 이동장치 KR100969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47A KR100969462B1 (ko) 2008-04-02 2008-04-02 대차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847A KR100969462B1 (ko) 2008-04-02 2008-04-02 대차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411A KR20090105411A (ko) 2009-10-07
KR100969462B1 true KR100969462B1 (ko) 2010-07-15

Family

ID=4153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847A KR100969462B1 (ko) 2008-04-02 2008-04-02 대차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930B2 (ja) * 1998-12-09 2000-12-11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494233B2 (ja) * 1994-03-31 2004-02-09 三機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キャリア型仕分装置
JP3637820B2 (ja) * 1999-09-28 2005-04-13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
JP4052173B2 (ja) * 2003-05-01 2008-02-27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4233B2 (ja) * 1994-03-31 2004-02-09 三機工業株式会社 ベルトキャリア型仕分装置
JP3116930B2 (ja) * 1998-12-09 2000-12-11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JP3637820B2 (ja) * 1999-09-28 2005-04-13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
JP4052173B2 (ja) * 2003-05-01 2008-02-27 株式会社ダイフク 移動体使用の搬送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411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838B1 (ko) 이송장치
KR101198662B1 (ko) 자동차용 사이드패널 생산시스템
US20110225798A1 (en) Carrier apparatus for drive-train component part assembly and vehicle assembly method
JPS6361689A (ja) 溶接ライン装置
KR101063495B1 (ko) 트래버스 장치
JP2013032113A (ja) コンベア装置
JP5862224B2 (ja) コンベア装置
JP7148597B2 (ja) 自動化生産ラインのためのコンベヤ装置、コンベヤ装置用部品搬送台車、およびコンベヤ装置の操作方法
JP2013100078A (ja) 多車種共用crp台車
KR101514887B1 (ko) 차체 용접 장치
KR100969462B1 (ko) 대차 이동장치
JP2007119145A (ja) 搬送台車
JP4799521B2 (ja) 車体組立設備及び車体の生産方法
KR101371447B1 (ko) 차량 부품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JPH0733242A (ja) ターンテーブルに固定された旋回レールと固定レールとの接合離反装置
JP2007061938A (ja) セル生産設備
JPWO2004037635A1 (ja) 車体組立て方法
JP2012030712A (ja) リボン体の連結構造
JP2017024151A (ja) ワーク搬送装置
KR101824720B1 (ko) 경동(傾動)식 콘베이어 행거
KR20150072769A (ko) 이송대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적재 방법
JP3327672B2 (ja) 車体の組立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5944618U (zh) 一种用于汽车中通道的运输装置
JP2002293277A (ja) サイドパネル組立ライン
CN210943542U (zh) 一种轨道小车限位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