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1947A - X선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X선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947A
KR20100131947A KR1020100053737A KR20100053737A KR20100131947A KR 20100131947 A KR20100131947 A KR 20100131947A KR 1020100053737 A KR1020100053737 A KR 1020100053737A KR 20100053737 A KR20100053737 A KR 20100053737A KR 20100131947 A KR20100131947 A KR 20100131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ray
article
ray inspec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4001B1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이시다
Publication of KR20100131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3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object on convey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2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impurities, foreign matter, trace amou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이물의 존재를 판단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X선 검사 장치(100)에 있어서, X선 조사 장치(200)와 라인 센서(300)는 물품(600)의 상태를 검출하고, 제어부(350)는 레벨 1 내지 5의 대응하는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물품(600)의 상태를 판단하고, 출력부(355)는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제어부(350)에 의하여 판단 기준으로 이용되는 제1 역치(771a)와 제2 역치(771b)는 레벨 1의 검출 레벨에 제공된다.

Description

X선 검사 장치{X-RAY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물품에 X선을 조사하여, 물품 내의 이물을 검출하는 X선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X선 검사 장치 또는 유사한 기구가 물품 내의 이물을 검출하기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X선 검사 장치에 관해서, 나날이 연구 개발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물품을 검사하기 위한 X선 검사 장치이고, 검사 결과가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X선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물품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X선 검사 장치이고, X선 검사 장치는, X선을 이용하여 물품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X선 검출 수단과,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물품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하여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역치를 기억하기 위한 메모리와,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을, 그 값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와, 제1 표시부가 역치와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을 표시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98653호
특허 문헌 1의 X선 검사 장치에 따르면, 판단 대상으로 되는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과, 판단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역치가 제1 표시부에 표시된다. 제1 표시부는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을, 그 값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표시한다. 그 때문에, 장치의 이용자는,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이 역치에 가까운 것인지 먼 것인지를 비교적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표시부가 검출 레벨에 기초하는 값을 대응하는 면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수치를 읽어내는 것 없이 판단의 여유도 또는 유사한 파라미터를 감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X선 검사 장치 또는 유사한 장치들은, 이물이 물품 내에 존재하고 있을 때에, 이물이 분진인 경우와 이물이 제조 라인으로부터의 일 부품인 경우의 사이에서 처리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여, 이물이 분진 또는 유사한 물체인 경우에는, 물품은 제조 라인으로부터 배출되어야만 하고, 이물이 제조 라인으로부터의 일 부품인 경우에는, 생산 라인을 정지하고, 상류(전 공정)에서 이용되는 장치를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제조 라인에 있어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물품에 대하여, 이물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만약 생산 라인이 항상 정지된다면, 생산 효율이 저하될 것이다. 또한, 이물이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가능하였다고 하여도, 이물이 분진 또는 조립 라인으로부터의 일 부품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항상 판단하는 것은 이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이물을 판단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이물이 생산 라인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서는, 판단 기준에 기초하여 이물을 판단할 수 있는 X선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는, X선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물품의 상태를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이고, X선 검사 장치는, X선을 이용하여 물품의 상태를 검출하는 X선 검출 수단과,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물품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수단과,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판단 수단에 의하여 판단 기준으로 이용되는 복수의 역치가 동일한 판단 수단에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X선 검출 수단은 물품의 상태를 검출하고, 판단 수단은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물품의 상태를 판단하며, 출력 수단은 판단 결과를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에, 복수의 역치가 동일한 판단 수단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 상태의 검출 레벨에 따라, 판단 수단이 복수의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물품의 상태가 판단 기준으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는 경우, 크게 벗어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판단 기준으로부터 적게 벗어나 있는 경우, 적게 벗어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판단 기준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의 각각에 따라 출력 수단이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2)
판단 수단은, 물품에 있어서 불량을 판단하기 위한 불량 판단 수단이고, 그러한 판단 수단이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판단 수단은 불량 판단 수단을 가진다. 또한, 복수의 판단 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의 상태에 대하여, 작은 이물에 대한 불량 판단 및 큰 이물에 대한 불량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물이 생산 라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의 비율로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타방의 역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일방의 역치가 자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역치를 설정할 수 있다.
(4)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와는 독립하여 설정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에,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와 독립하여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개의 역치를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제한을 받지 않는다.
(5)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 결과는, X선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레벨이 역치의 일방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와,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이 역치의 타방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의 사이에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판단 수단이,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이 역치의 일방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와,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이 역치의 타방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를 구별하기 때문에, 출력 수단에 의하여 출력되는 결과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장치에 있어서, 판단 수단은, 물품 상태의 검출 레벨에 따라 복수의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물품의 상태가 판단 기준으로부터 크게 벗어나 있는 경우, 크게 벗어나 있는 것을 인식할 수 하다. 구체적으로, 이물이 생산 라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의 판단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수단이,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의 각각에 따라 결과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검사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X선 검사 장치의 내부 제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블록도이다.
도 5는 X선 검사 장치의 전 공정과 후 공정을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터치 패널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역치를 설정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의 예의 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레벨 바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레벨 바의 표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레벨 바의 표시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의 다른 예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1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X선 검사 장치(100)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선 조사 장치(200)가 X선 검사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검사되는 물품(600)은 컨베이어 벨트(800) 상에 놓이고 X선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반송되고, 그것에 의하여, 물품이 이물을 함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도록 X선 검사가 수행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00)의 컨베이어 벨트(800)는 X선 검사 장치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X선 누설 방지 커튼(850)이 돌출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자는 X선 검사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터치 패널(700)을 조작한다. 터치 패널(700)은 이하에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이하, X선 검사 장치(100)의 내부 구조에 관하여 설명을 행할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X선 검사 장치(100)는, 주로, X선 조사 장치(200), 라인 센서(300), 컨베이어 벨트(80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컨베이어 벨트(800)는, 한 쌍의 롤러(810, 811) 둘레에 감겨져 있는 무단(endless, 끝나는 지점이 없음)의 벨트를 포함하고 있다. 왕로(forward route)를 따라 이동하는 벨트의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801)로 나타내지고, 귀로(return route)를 따라 이동하는 벨트의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802)로 나타내진다. 라인 센서(30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포토다이오드 어레이(photodiode array; PDA)를 포함하고 있다. 라인 센서(300)는 컨베이어 벨트(801)와 컨베이어 벨트(80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X선 조사 장치(200)은 컨베이어 벨트(801)의 상방에 구비되어 있다.
컨베이어 벨트(801)는, 화살표 L1의 방향으로 물품(600)을 반송하고, 컨베이어 벨트(802)는 화살표 L1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시 말하여, 본 실시예에 있어서, X선 검사 장치(100)는, X선(S1)의 감쇠가 컨베이어 벨트(801)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고 컨베이어 벨트(802)에는 의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검사의 원리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세로축은 라인 센서(300)(PDA 출력)로부터의 전기 신호 출력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 경과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800)가 물품(600)을 반송 하는 것에 의하여, X선(S1)이 전체의 물품(600)을 조사한다. 라인 센서(300)로부터의 전기 신호 출력의 레벨에 기초하여, X선(S1)이 물품(600)을 통과한 경우의 X선 투과상(AR9)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600)이 이물(610)을 함유하는 경우에, 이물상(AR1)이 X선 투과상(AR9)에 나타난다. 물품(600)이 이물(610)을 함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 이물상(AR1)은 나타나지 않고, 대신에 X선 투과상(AR9)만이 나타난다.
도 4는 X선 검사 장치(100)의 내부 제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블록도이고, 도 5는 X선 검사 장치(100)의 전 공정과 후 공정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선 검사 장치(100)는, 주로, X선 조사 장치(200), 라인 센서(300), 제어부(350), ROM(read-only memory, 351), RAM(random-access memory, 352), HDD(hard disk drive, 353), FDD(Floppy® disk drive, 354), 출력부(I/F, 355), 한 쌍의 롤러(810, 811)를 구동하기 위한 컨베이어 구동부(356), 인자부(printing part, 357), 램프(358), 터치 패널(700)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350)는 터치 패널(700)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각종 설정 정보를, ROM(351), RAM(352), HDD(353), FDD(3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록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50)는, ROM(351), RAM(352), HDD(3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록된 설정 정보 및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각의 제어 구성에 지시를 준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컨베이어 구동부(356)가 한 쌍의 롤러(810, 811)를 구동하도록 지시하고, X선 조사 장치(200)가 X선(S1)을 조사하거나 또는 조사를 정지하도록 지시하며, 라인 센서(300)로부터의 출력을 검지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350)는, ROM(351), RAM(352), HDD(353), FDD(354) 중 하나 또는 복수에 X선 검사 이력을 기록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인자부(357)가 X선 검사 이력을 하드카피(hardcopy)로서 인자 출력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출력부(인터페이스:I/F, 355)가 X선 검사의 결과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도록 지시하고, X선 검사 장치(100)의 외부의 소팅 장치(370)에 지시를 준다. 그러므로, 제어부(350)는, 바람직하게, 결정 유닛에 의하여 행하여진 결정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 출력 유닛이 된다. 소팅 장치(370)에 준 지시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제어부(350)는, 운전 상황 및 X선 검사의 결과에 따라 램프(358)에 신호를 주고, 램프(358)가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켜지게 한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생산 라인이 정지를 요구하는 것과 같은 경우, 적색 램프가 깜박거리게 되어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X선 검사 장치는 전 공정 컨베이어 벨트(950)와, 후 공정 컨베이어 벨트(951)를 포함하고 있다. 분기 컨베이어 벨트(960)가 후 공정 컨베이어 벨트(951)에 접속되고, 소팅 장치(370)가 컨베이어 벨트(951)와 분기 컨베이어 벨트(960)의 사이의 분기점에 구비되어 있다.
축(373)과 칸막이판(372)이 소팅 장치(370)에 구비되어 있고, 칸막이판(372)은 화살표 R372의 방향으로 축(373)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컨베이어 벨트(951) 및 분기 컨베이어 벨트(960) 중 어느 일방으로 물품(600)을 반송한다.
제어부(350)는, 바람직하게, 단일 결정 기준에 대하여 제1 역치 및 제2 역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역치를 이용하는 X선 검출 유닛에 의하여 검출된 X선의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물품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이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제어부(350)에 의하여 X선 투과상의 그레이값이 소정의 역치(즉, 후술하는 제1 역치 이상, 제2 역치 이하)에 의하여 한정된 범위 내에 있다고 결정되는 경우에, 이물(610)(미소 이물)이 물품(600)에 존재한다고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신호가 출력부(I/F, 355)로부터 소팅 장치(370)로 나오고, 칸막이판(372)은, 물품(600)을 분기 컨베이어 벨트(960)로 반송하도록 화살표 R372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면에, 도 4의 제어부(350)에 의하여 X선 투과상의 그레이값이 후술하는 제1 역치보다 작다고 결정된 경우에, 이물(610)이 물품(600)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어, 신호가 출력부(I/F, 355)로부터 소팅 장치(370)로 출력되고, 칸막이판(372)이 화살표 R372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물품(600)이 컨베이어 벨트(951)로 반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50)가 각 레벨(각 결정 기준)에 있어서 복수의 역치를 설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을 행할 것이다.
도 6은 터치 패널(700)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고, 도 7은 역치를 설정하는 일례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의 예의 개요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에 있어서의 레벨 바(771)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700)은 표시 영역(710), 표시부(721, 722, 730, 731), 운전 종료 버튼(740), 테스트 버튼(750), 예약 버튼(751), 감도 버튼(752), 설정 버튼(753), 데이터 버튼(754), X선 버튼(755), 컨베이어 벨트 버튼(756), 확대 버튼(757), 화상 프린트 버튼(758), 및 역치 표시부(770)를 포함하고 있다. 표시 영역(710)은, X선 조사 동안 물품(600)의 X선 투과상을 표시시킨다. 표시부(721)는 예약 번호를 표시시킨다. 표시부(722)는 상태를 표시시킨다. 표시부(730)는 검사가 통과하였는지 여부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부(730)는 검사가 "OK" 또는 "NG"인지를 표시한다. 표시부(731)는 물품(600)이 "양품" 또는 "불량품"인지를 표시시킨다. 운전 종료 버튼(740)은 운전을 종료시킨다. 테스트 버튼(750)은 X선 조사의 시험을 행한다. 예약 버튼(751)은 물품(600)의 종별마다의 설정을 예약한다. 감도 버튼(752)은 라인 센서(300)의 감도를 조정한다. 설정 버튼(753)은 물품(600)의 종별을 설정한다. 데이터 버튼(754)은 데이터를 출력한다.
X선 버튼(755)은 X선 조사를 개시한다. 컨베이어 벨트 버튼(756)은 컨베이어 벨트(800)를 구동시킨다. 확대 버튼(757)은 표시 영역(710)의 표시를 확대시킨다.
화상 프린트 버튼(758)은 인자부(357)가 인쇄를 하게 한다. 역치 표시부(770)는 다양한 역치를 표시시킨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5개의 검사 방법, 즉, "레벨 1", "레벨 2", "레벨 3", "레벨 4", "레벨 5"가 X선 검사 장치(100)에 구비되어 있고, 검사 방법의 각각은 다른 결정 기준을 나타낸다. 이 5개의 검사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레벨 1 내지 레벨 5의 검사 방법은, 화상 농담 변화점에 기초하여 이물 검출을 행하는 방법과, 화상 이치화에 기초하여 이물 검출을 행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다른 검사 방법은, 명도 마스크, 주위 마스크, 또는 패턴 마스크를 더 채용할 수 있다. 명도 마스크는, 검사에 의하여 얻어진 화상의 밝기에 기초하여 검사물의 검출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주위 마스크는, 검사물의 주위를 마스크하여 검사되는 범위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패턴 마스크는, 이물이 검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부분을 마스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마스크 등은, 다른 결정 기준을 정의하도록 검출 감도를 조정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있어서, 감도 버튼(752)을 누르는 것에 의하여, 도 7에 도시하는 역치 표시부(770)가 터치 패널(700) 상에 표시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치 표시부(770)는, 레벨 바(771, 772, 773, 774, 775), 감도값 박스(776), 마진 박스(777), 절대값 버튼(778), 배수 버튼(779), 기타 버튼(780), 설정 완료 버튼(781), 숫자 입력 버튼(782)을 가지고 있다. 레벨 바(771)는 레벨 1의 역치를 나타낸다. 레벨 바(772)는 레벨 2의 역치를 나타낸다. 레벨 바(773)는 레벨 3의 역치를 나타낸다. 레벨 바(774)는 레벨 4의 역치를 나타낸다. 레벨 바(775)는 레벨 5의 역치를 나타낸다. 감도값 박스(776)는 감도값을 입력한다. 마진 박스(777)는 마진값을 입력한다. 절대값 버튼(778)은 기준으로서 절대값을 이용하는 설정을 선택한다. 배수 버튼(779)은 기준으로서 배수를 이용하는 설정을 선택한다. 기타 버튼(780)은 다른 기준을 이용하는 설정을 선택한다. 설정 완료 버튼(781)은 설정이 완료된 것을 확정한다. 숫자 입력 버튼(782)은 감도값 박스(776) 및 마진 박스(777)에 값을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역치(771a) 및 제2 역치(771b)는 레벨 1의 레벨 바(771) 있어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절대값 버튼(778)이 눌린 경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도값 박스(776)에 입력되는 값은 제1 역치(771a)로서 입력되고, 감도값 박스(776)에 입력되는 값과 마진 박스(777)에 입력되는 값과의 합은, 제2 역치(771b)로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역치(771a)는, 물품(600)에 존재하는 이물(610)을 검출하기 위한 값이고, 제2 역치(771b)는, 생산 라인에 있어서의 부품 또는 유사한 물질이 물품(600)에 존재하거나, 또는 생산 라인에 있어서의 부품만이 컨베이어 벨트(801) 상에서 별도로 검출된 경우의 값이다.
따라서, 이물(610)을 함유하고 있지 않는 물품(600)이 X선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반송되는 경우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제1 역치(771a)보다 낮은 레벨을 나타내도록 터치 패널(700) 상에 레벨 1의 레벨 바(771)를 표시하고, 물품(600)을 컨베이어 벨트(951)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물(610)을 함유하고 있는 물품(600)이 X선 검사 장치(100)를 통하여 반송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제1 역치(771a)보다 더 높은 레벨 및 제2 역치(771b)보다 더 낮은 레벨을 나타내도록 터치 패널(700) 상에 레벨 1의 레벨 바(771)를 표시한다. 제어부(350)는, 나아가, 표시부(730) 및 표시부(731)에 "NG" 및 "이물"을 표시시킨다. 나아가, 제어부(350)는, 분기 컨베이어 벨트(960)를 통하여 물품(600)을 배출시키도록 출력부(I/F, 355)를 통하여 소팅 장치(370)에 신호를 출력한다. 이 공정은, 생산 라인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이물(610)이 함유되어 있는 물품(600)을 정상인 물품(600)과는 다른 장소로 반송할 수 있다
볼트, 너트, 또는 생산 라인으로부터의 다른 부품을 포함하는 물품(600)이 X선 검사 장치(100)을 통하여 반송되는 경우, 또는, 볼트, 너트, 또는 생산 라인으로부터의 부품이 X선 검사 장치를 통하여 자신에 의하여 반송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350)는, 제1 역치(771a) 및 제2 역치(771b)보다 더 높은 레벨을 나타내도록 터치 패널(700) 상에 레벨 1의 레벨 바(771)를 표시한다. 제어부(350)는, 나아가, 표시부(730) 및 표시부(731)를 "에러" 및 "정지"를 표시시키고, 컨베이어 구동부(356)에 컨베이어 벨트(80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지시를 내린다. 이것은, 작업자가 생산 라인에 영향을 주는 부품의 검사를 행할 수 있고, 생산 라인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른 예)
도 12는 도 7에 도시되는 설정의 다른 예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역치(771a)와 제2 역치(771b)는, 레벨 1의 레벨 바(771)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배수 버튼(779)이 눌리는 경우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도값 박스(776) 내에 입력된 값이 제1 역치(771a)로서 입력되고, 마진 박스(777) 내에 입력된 값과 감도값 박스(776) 내에 입력된 값의 곱이, 제2 역치(771b)로서 설정된다. 그것에 의하여, 제1 역치(771a)와 제2 역치(771b)는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 내지 11에 레벨 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역치(771c)가 제1 역치(771a)와 제2 역치(771b)에 더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7의 기타 버튼(780)을 누르면, 제1 감도값 박스와 제2 감도값 박스가 형성된다. 제1 감도값 박스에 들어가는 수치값이 제1 역치로서 설정된다. 제2 감도값 박스에 들어가는 수치값이 제2 역치로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역치와 제2 역치와의 합이 제3 역치로서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역치는, 제1 감도값과 제2 감도값과의 합에 마진을 더하는 것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역치는, 제1 감도값과 마진의 곱 또는 제2 감도값과 마진의 곱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업/다운 버튼은, 감도값 박스(776) 및 마진 박스(777)에 값을 입력하기 위한 수치 입력 버튼(782)을 대신하여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역치(771a), 제2 역치(771b) 및 제3 역치(771c)는 미조정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제1 역치(771a)와 제2 역치(771b)가 레벨 1, 레벨 2, 레벨 3, 레벨 4 및 레벨 5의 각각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350)는, 물품(600)의 상태의 검출 레벨에 따라 복수의 판단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가 물품(600)의 상태의 검출 레벨에 따라 생산 라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생산 라인은 정지될 수 있어, 검사 및 점검 정비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가 물품(600)의 상태의 검출 레벨에 따라 물품(600)만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소팅 장치(370)는, 정상인 물품(600)이 반송되는 곳과는 다른 장소로 물품(600)을 이동시키는 데 이용될 수 있다.
X선 투과상의 그레이값이 소정의 역치에 의하여 한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는, 그레이값이 제1 역치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경우, 및 그레이값이 제2 역치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경우, 나아가 그레이값이 제1 역치 이상 제2 역치 이하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물(610)은, 그레이값이 제1 역치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경우, 나아가 그레이값이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X선(S1)이 X선에 상당하고, 물품(600)이 반송되는 물품에 상당하고, X선 검사 장치(100)가 X선 검사 장치에 상당하고, 라인 센서(300)가 X선 검출 수단에 상당하고, 레벨 1 내지 5가 검출 레벨에 상당하고, 제어부(350)가 판단 수단에 상당하고, 출력부(355)가 출력 수단에 상당하고, 제1 역치(771a) 및 제2 역치(771b)가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을 위한 기준을 나타내는 역치에 상당하고, 레벨 1에 대한 제어부(350)가 동일한 판단 수단에 상당하고, 레벨 2 내지 5의 각각에 대한 제어부(350)가 동일한 판단 수단에 상당하고, 제어부(350)가 불량 판단 수단에 대응하고, 제어부(350)가 생산 라인을 정지시키는 경우 및 제어부(350)가 소팅 장치(370)에 지시를 내리는 경우가 다른 판단 결과에 상당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와 같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이 없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용 및 구성의 유리한 효과를 서술하고 있지만, 이들 작용 및 유리한 효과는 일례이고, 본 별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0 : X선 검사 장치
300 : 라인 센서
350 : 제어부
370 : 소팅 장치
700 : 터치 패널
771a : 제1 역치
771b : 제2 역치
800 : 컨베이어 벨트

Claims (5)

  1. X선을 이용하여 반송되는 물품의 상태를 검사하는 X선 검사 장치이고,
    X선을 이용하여 상기 물품의 상태를 검출하는 X선 검출 수단과,
    상기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물품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하여 판단 기준으로 이용되는 복수의 역치가 동일한 상기 판단 수단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은, 상기 물품 내의 불량을 판단하기 위한 불량 판단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판단 수단이 복수 구비되어 있는,
    X선 검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의 비율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치의 일방은, 타방의 역치와 독립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하여 행하여진 판단 결과는, 상기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검출 레벨이 상기 역치의 일방을 초과하는 경우와, 상기 X선 검출 수단에 의한 상기 검출 레벨이 상기 역치의 타방을 초과하는 경우와의 사이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검사 장치.
KR1020100053737A 2009-06-08 2010-06-08 X선 검사 장치 KR101194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7207 2009-06-08
JP2009137207 2009-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47A true KR20100131947A (ko) 2010-12-16
KR101194001B1 KR101194001B1 (ko) 2012-10-25

Family

ID=4227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737A KR101194001B1 (ko) 2009-06-08 2010-06-08 X선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69481B2 (ko)
EP (1) EP2261645B1 (ko)
JP (1) JP5468470B2 (ko)
KR (1) KR101194001B1 (ko)
CN (1) CN101907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6546B2 (ja) * 2008-08-28 2013-03-06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6225002B2 (ja) * 2013-11-27 2017-11-01 株式会社イシダ 検査装置
CN105445290A (zh) 2014-09-02 2016-03-30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X射线产品质量在线检测装置
CN105372269B (zh) 2014-09-02 2019-01-15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X射线产品质量自动检测装置
CN107407647A (zh) * 2015-03-20 2017-11-28 株式会社石田 检查装置
JPWO2017017745A1 (ja) * 2015-07-27 2018-03-2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欠陥判定方法、及びx線検査装置
JP6930926B2 (ja) * 2016-01-29 2021-09-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欠陥検査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33871B2 (ja) * 2016-02-25 2018-05-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入力画像から検出した対象物を表示する画像処理装置
PL234550B1 (pl) 2016-06-03 2020-03-31 Int Tobacco Machinery Poland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Urządzenie do identyfikacji parametrów fizycznych artykułów prętopodobnych przemysłu tytoniowego
JP6861990B2 (ja) * 2017-03-14 2021-04-21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6717784B2 (ja) * 2017-06-30 2020-07-08 アンリツインフィビス株式会社 物品検査装置およびその校正方法
US11175245B1 (en) * 2020-06-15 2021-11-16 American Science And Engineering, Inc. Scatter X-ray imaging with adaptive scanning beam intensi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8078A (en) * 1974-08-30 1976-05-18 Ithaco, Inc. X-ray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4926452A (en) 1987-10-30 1990-05-15 Four Pi Systems Corporation Automated laminography system for inspection of electronics
JPH02126143A (ja) * 1988-11-04 1990-05-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透過写真の等級判定方法及びその装置
US5615244A (en) * 1995-05-25 1997-03-25 Morton International, Inc. Real time radiographic inspection system
AU3401099A (en) 1998-04-17 1999-11-08 Cae Electronic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probable defects in a workpiece
JP3356056B2 (ja) * 1998-05-15 2002-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配線不良検出回路、配線不良検出用半導体ウェハ及びこれらを用いた配線不良検出方法
JP4211092B2 (ja) * 1998-08-27 2009-01-21 株式会社Ihi 放射線透過検査における溶接欠陥自動検出法
JP2000321220A (ja) * 1999-05-14 2000-11-24 Shimadzu Corp X線異物検出方法
JP3494977B2 (ja) 2000-09-26 2004-02-09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
JP2002365368A (ja) * 2001-06-04 2002-12-18 Anritsu Corp X線検出器及び該検出器を用いたx線異物検出装置
JP3618701B2 (ja) 2001-08-29 2005-02-09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US7366282B2 (en) * 2003-09-15 2008-04-29 Rapiscan Security Product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apid detection of concealed objects using fluorescence
JP2006267067A (ja) * 2005-03-25 2006-10-05 Nippon Petroleum Refining Co Ltd 異物検出装置及び検出方法、並びに異物除去装置及び除去方法
JP4230473B2 (ja) * 2005-04-26 2009-02-25 アンリツ産機システム株式会社 X線異物検出装置
JP5131730B2 (ja) * 2007-03-12 2013-01-30 株式会社イシダ X線検査装置および生産システム
JP5789083B2 (ja) * 2007-09-26 2015-10-07 株式会社イシダ 検査装置
JP2009137207A (ja) 2007-12-07 2009-06-25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の加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1645B1 (en) 2017-12-06
JP2011017694A (ja) 2011-01-27
US20100310043A1 (en) 2010-12-09
CN101907580A (zh) 2010-12-08
KR101194001B1 (ko) 2012-10-25
JP5468470B2 (ja) 2014-04-09
CN101907580B (zh) 2012-09-05
EP2261645A1 (en) 2010-12-15
US8369481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001B1 (ko) X선 검사 장치
JP6022860B2 (ja) 物品検査装置及び物品検査方法
JP5156546B2 (ja) X線検査装置
JP5876116B1 (ja) X線検査装置
US49520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laws in fabric
JP4849805B2 (ja) 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14522988A (ja) 透明材料の材料欠陥の信頼できる検出を行う検出装置及び方法
JP6574797B2 (ja) X線検査装置
US8358406B2 (en)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defect inspection system
JP2007322344A (ja) X線検査装置
JP2011047692A (ja) 色彩選別機及び色彩選別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5003481A (ja) X線検査装置
JP7239960B2 (ja) 検査装置
JP4331130B2 (ja) 物品検査装置
JP2009183799A (ja) 物品検査装置
JP6616598B2 (ja) 物品検査装置
JP3979872B2 (ja) X線異物検出装置
JP2001013081A (ja) タイヤ検査方法および装置
JP6978637B2 (ja) 金属検出器
JP7250301B2 (ja) 検査装置、検査システム、検査方法、検査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2142036B1 (ko) 다중 연속 엑스레이 검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08232810A (ja) X線検査装置
JP6527094B2 (ja) 物品検査装置
JP2011085498A (ja) X線検査装置およびx線検査装置用検査プログラム
JP2010071790A (ja) 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