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212A -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212A
KR20100130212A KR1020107022894A KR20107022894A KR20100130212A KR 20100130212 A KR20100130212 A KR 20100130212A KR 1020107022894 A KR1020107022894 A KR 1020107022894A KR 20107022894 A KR20107022894 A KR 20107022894A KR 20100130212 A KR20100130212 A KR 20100130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inner ring
elastomer
ring
elas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카 베커
페터 프로스
마이크 마르신코스키
미카엘 홀자펠
미카엘 바흐만
미카엘 야로스
Original Assignee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이트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130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8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ade of rubber or similar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shaped as an elastic ring centered on the axis, surrounding a portion of one coupling part and surrounded by a sleeve of the other coupling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 Y10T29/4987Elastic joining of parts
    • Y10T29/49872Confining elastic part in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85Assembling or joining with coating before or during assemb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2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링과, 환형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둘레 주위로 내측 링을 둘러싸는 외측 링이 구비되는 회전 탄성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환형 슬릿에, 경화되거나 내측 링 및 외측 링에 접착되며 환형 슬릿을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우는 엘라스토머가 형성되고, 상기 환형 슬릿은 커플링의 둘레 주위로 사행 형상(meander shape)을 가져, 내측 링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가 외측 링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 아래 부분을 잘라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커플링의 둘레 주위로, 내측 링의 돌출부 양쪽 측면과 외측 링의 돌출부 양쪽 측면 상의 엘라스토머에 릴리프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COUPLING HAVING A HIGH TORSIONAL FLEXI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 탄성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랙 차량용 구동 트레인, 예컨대 구동 모터와 트랜스미션 사이 또는 트랜스미션과 구동 휠, 특히 휠 세트 샤프트 사이의 구동 연결체에서의 회전 탄성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트랙 차량용 구동 트레인, 특히 트랜스미션 출력 샤프트와 휠 세트 샤프트 사이의 구동 연결체에는 소위 웨지 팩 커플링(wedge pack coupling)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웨지 팩 커플링은 예컨대 다음의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독일공개특허공보 DE 34 03 910 A1 독일특허공보 DE 196 39 304 B4 독일공개특허공보 DE 199 58 367 A1
이러한 웨지 팩 커플링은 수백 내지 천 뉴턴 미터(Newton meter) 초과의 매우 높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고, 구성 요소들, 특히 커플링에 고정 연결되는 샤프트들 사이의 특정 축 방향, 반경 방향, 또는 각도 방향 오프셋(offset)을 보상할 수 있다. 이것은 높은 비틀림 저항을 가짐과 동시에 축 방향,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angular)으로 만족스러운 변위 용량을 갖는 조합이다. 동시에, 이 커플링은, 양쪽으로 연결된 구성 요소들 또는 샤프트들을 스스로 중심에 오도록 조정시키기 위한 비교적 높은 중심 조정력(centering force)을 제공해야 한다.
웨지 팩 커플링은 2개의 성형(star) 커플링을 포함하고, 이들 성형 커플링 사이에는 힘을 둘레 주위로 전달하기 위해 웨지형 고무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언더컷 아암(undercutting arm)과 일체로 되어 있다. 높은 힘, 상세하게는 높은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무 부재는 또한 양쪽 포위 아암 사이에서 종종 미리 가압된다.
특히, 트랙 차량 구동 트레인 또는 다른 모터 차량 구동 트레인에서의 공지된 웨지 팩 커플링은 신뢰성 높게 작동하지만, 상대적으로 제조 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트랙 차량 구동 트레인에 적용되지만 웨지 팩 커플링과는 다른 기술들을 설명하기 위해 독일공개특허공보 DE 195 15 103 A1을 참조하면, 이 공보에는 2개의 관(tube)을 갖는 멀티-웨지 샤프트 연결체가 예시되어 있으며, 이 2개의 관은 축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또한 엘라스토머에 의해 서로에 대해 탄성 지지된다. 또한, 독일공개특허공보 DE 1 575 892 A 는 개개의 고무 부재가 내측부 상의 돌출부와 외측부상의 돌출부 사이에 끼워 넣어진 탄성 커플링에 관한 것일 뿐만 아니라, 독일특허문헌 DE 38 22 637 C2 에는 탄성의 비회전 샤프트 허브 연결체가 기재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독일공개특허공보 DE 10 2004 051 340 A1에는, 소정의 영역에서 특성이 상당히 증가하기 전에, 양쪽 관이 상대적으로 비틀려지는 제1 각도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편평한 특성을 얻도록, 2개의 관 사이에 와이어 쿠션이 삽입된 구동 트레인, 특히 차량용 구동 트레인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차량 구동 트레인, 예컨대 트랙 차량 구동 트레인용 회전 탄성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종래의 웨지 팩 커플링과 동일하게 높은 토크 저항성을 가짐과 동시에 양쪽 커플링 부분의 축 방향, 반경 방향 및, 각도 방향으로 만족스러운 변위 용량을 포함하지만, 상당히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회전 탄성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러한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 및 방법에 따라 충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 및 특히 적절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은 내측 링 및 외측 링을 포함한다. 외측 링은 둘레 주위로 내측 링을 포위하여, 내측 링과 외측 링 사이에, 더욱 정확하게는 내측 링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 둘레와 외측 링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 둘레 사이에 환형 슬릿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환형 슬릿은 360도에 걸쳐 연장하며, 이는 내측 링과 외측 링이 그들의 둘레를 따라 서로 접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상기 환형 슬릿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가 형성되고, 이 엘라스토머는 경화되거나 내측 링 및 외측 링에 접착되며, 환형 슬릿을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히 채운다. 환형 슬릿은 사행 형상(meander-shaped)으로 형성되어, 내측 링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가 외측 링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 아래 부분을 잘라내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내측 링 또는 외측 링에 토크가 가해질 때, 상기 토크가, 엘라스토머 내부에서의 탄성 전단 응력, 그리고 엘라스토머와 내측 링 사이 및 엘라스토머와 외측 링 사이에서의 탄성 전단 응력을 통해, 그리고 어느 정도 내측 링과 외측 링 사이의 탄성 인장력을 통해 전달될 뿐만 아니라, 내측 링 및 외측 링의 돌출부를 둘레 주위로 서로에 대해 움직이는, 결과적인 탄성 압축력을 통해 전달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 링의 돌출부 양쪽 측면 상의 엘라스토모 및 외측 링의 돌출부 양쪽 측면 상의 엘라스토모에는 적어도 1 이상의 릴리프 개구부(relief opening)가 커플링의 둘레 주위로 형성된다. 릴리프 개구부라고 하는 것은 릴리프 오목부의 개념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오목부들, 상세하게는 개구부들은, 예컨대 완전히 엘라스토머 내부로 도달하는 통로 개구부나, 또는 일 면상에 단지 하나의 개방 단부를 갖는 블라인드(blind) 구멍과 같은 다수의 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원형 단면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릴리프 개구부는, 한편으로는 내측 링 및 외측 링의 돌출부 선단(tip)에 있는 엘라스토머에서의 임의의 노치(notch) 효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엘라스토머가 돌출부들 사이의 가압 영역에서부터 돌출부 위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내측 링과 아래 부분이 잘려진 돌출부를 갖는 외측 링 사이에 돌출부의 양쪽 측면 상으로 릴리프 개구부가 없는 엘라스토머가 구비되는 커플링과는 반대로, 본 커플링은 특히 높은 토크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매우 낮은 피로뿐만 아니라 아주 최소한의 마모로 인해 긴 수명을 제공할 수 있다.
릴리프 개구부는 돌출부의 각 측면 상에서 둘레 주위로 모든 돌출부의 각 자유 단부의 바로 근접부에 배열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고, 특히 각 측면 상에 단일의 릴리프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릴리프 개구부를 돌출부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함으로써, 돌출부 상에서 엘라스토머의 임의의 변형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릴리프 개구부는, 돌출부의 자유 단부 바로 근접부, 예컨대 삼각형의 선단 영역에 위치결정될 수 있지만,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그리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의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선단 양쪽 측면 상에 위치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릴리프 개구부는 대응 반지름의 위치, 즉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는 돌출부의 내측 반지름 및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돌출부의 외측 반지름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측 링 및 외측 링은 엘라스토머를 통해서만 서로 접착되고, 그 결과, 내측 링과 외측 링 사이에 각도 변위 능력을 부여하도록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있어서 둘레 주위로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엘라스토머는 어떠한 와이어 메쉬도 포함하지 않고, 특히 내측 링과 외측 링 사이에 특히 단일 재료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릴리프 개구부는, 내측 링의 재료 또는 외측 링의 재료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에지-개방형 개구부와 반대로, 엘라스토머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릴리프 개구부는 돌출부의 양쪽 측면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는 내측 링 및/또는 외측 링 상에서, 특히 각각이 예컨대 직선 변을 갖는 예각 삼각형 형태로 옴폭 들어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삼각형, 특히 이등변 삼각형의 대칭선은 회전 탄성 커플링의 반경 방향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예각 삼각형은 회전 탄성 커플링의 반경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통상적으로는 서로 동일한 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변의 길이로 대체된다.
내측 링 및/또는 외측 링은 엘라스토머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는 측에 원형 둘레, 특히 원통형 둘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외측 링의 원통형 외주 및/또는 내측 링의 원통형 내주는 일정한 직경 또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다.
외측 링 뿐만 아니라 내측 링은 단일 부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측 링 및/또는 외측 링은 또한 독립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링 조각(segment)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외측 링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경우, 제조시에 상기 조각화가 유리하다는 점이 입증될 수 있다.
링크되는 양쪽 부품들에 연결면이 형성되고, 연결면이 회전 탄성 커플링의 한쪽 전방측 또는 양쪽 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 탄성 커플링의 중심축,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연결면이 특히 수직으로 신장하도록, 회전 탄성 커플링을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1 전방측이 제1 샤프트 또는 다른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토크에 견디는 연결체를 형성하고, 반대쪽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2 전방측은 제2 샤프트 또는 다른 연결 부재에 있어서의 토크에 견디는 연결체를 형성하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연결면에 커넥팅 보어(connecting bores)를 형성하여, 회전 탄성 커플링에 연결되는 샤프트 또는 다른 연결 부재들을 축방향으로 플랜지 결합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보어는 회전축, 상세하게는 회전 탄성 커플링의 중심축에 특히 평행하게 이어지고, 전방측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에 의하면, 먼저 내측 링 및 외측 링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고, 또는 조각화한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다양한 링 조각들을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조"한다는 것은, 내측 링 및 외측 링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독립적인 부품들로서 제공됨을 의미한다.
제조 후, 내측 링 및 외측 링은, 환형 슬릿을 형성하며 돌출부들이 내측 링에서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그리고 외측 링에서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서로의 하부를 잘라내도록, 서로에 대해 동일한 중심을 갖게 위치 결정된다. 내측 링 및 외측 링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위치결정 전에, 외측 링에는 그의 반경 방향 내주상에, 상세하게는 반경 방향 내면상에 접착제가 형성되고, 내측 링에는 그의 반경 방향 외주상에, 상세하게는 반경 방향 외면상에 접착제가 형성된다. 접착제는 구체적으로 프라이머, 표준 페인트, 코팅, 또는 표면에 도포되는 유사한 물질들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가 표면으로 접착되는 것은 표면 상에 구조적인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도 있다.
소정 개수의 핀들, 특히 원통형 핀들이 제공되며, 이들 핀들의 외면에는 어떠한 접착제도 없도록, 즉 원통형 핀 표면에 대해 내측 링의 표면 및 외측 링의 표면으로 엘라스토머가 접착하지 않도록(또는 적어도 거의 접착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핀은 적절한 형태의 유지(retaining) 장치를 의미한다.
내측 링 및 외측 링의 위치결정 후에, 그리고 내측 링 및 외측 링 상의 접착제로 도포된 표면의 결합 전에, 환형 슬릿에 엘라스토머가 충전, 즉 상세하게는 환형 슬릿에 엘라스토머가 사출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삽입되고, 엘라스토머가 경화하거나 굳어지기 전에 엘라스토머에 핀이 도입된다. 핀은 주조 전에, 상세하게는 사출 공정 또는 다른 삽입 공정 전에, 주조/사출/삽입 공정 동안, 또는 주조/사출/삽입 후에, 특히 주조/사출/삽입 바로 후에 삽입될 수 있다.
엘라스토머는 유리하게는 당해 엘라스토머를 가열, 특히 베이크(bake)함으로써 경화될(굳어질) 수 있다. 통상, 핀뿐만 아니라, 내측 링, 외측 링, 엘라스토머도 가열, 구체적으로는 함께 베이크된다.
가열 후에, 그리고 통상적으로 연속적인 냉각 후에, 중심 조정용 보어가 내측 링 및/또는 외측 링에 배치될 수 있고, 이 중심 조정용 보어에는 중심 조정용 핀이 삽입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중심 조정용 핀은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내측 링 및/또는 외측 링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중심 조정용 보어, 상세하게는 중심 조정용 핀은, 회전 탄성 커플링을 통해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들 또는 연결 부재들 상에서 회전 탄성 커플링의 중심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엘라스토머를 고정하기 위해 회전 탄성 커플링을 가열한 후에만 중심 조정용 보어를 삽입, 상세하게는 중심 조정용 핀을 결합하는 장점은, 가열 공정 동안, 상세하게는 연속적인 냉각 공정 동안 회전 탄성 커플링에 밸런스 무너짐(out-of-balacne)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에 있다. 회전 대칭 구성 요소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에 대해서 중심 조정은, 통상적으로 연결 부재 상에서, 구성 요소, 상세하게는 커플링을, 예컨대 선반을 돌려(돌리지 않고) 절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 중심조정용 칼라(collar)에 끼워맞춤하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어떠한 중심 조정용 칼라도 없는 회전 탄성 커플링 또는 적어도 외측 링이나 내측 링이 제공되며, 중심 조정은 단지 상기 중심조정용 핀에 의해서만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탄성 커플링을 축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 탄성 커플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내측 링 조각, 외측 링 조각 및, 이 부재들 사이에 일체화된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의 일 조각의 축방향 정면도와 조각을 축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외측 링(2)뿐만 아니라 내측 링(1)을 포함하고, 이 내측 링(1) 및 외측 링(2)이 둘레 주위로 조각화된 회전 탄성 커플링(9)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둘레 주위로 7개의 조각들이 존재한다. 다른 개수의 조각들이 가능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내측 링(1)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5)가 형성되고, 외측 링(3)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6)가 형성된다. 돌출부(5, 6)는 반경 방향 외측 단부 상에 선단(tip)을 가지면서 옴폭 들어가게 형성된다. 내측 링(1) 및 외측 링(3)은 함께 사행 형상의 환형 슬릿(2) 윤곽을 나타내고, 이 환형 슬릿(2)에는, 엘라스토머(4)에 일체로 형성된 릴리프 개구부(7)를 제외하고는, 엘라스토머(4)가 완전히 충전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돌출부(5, 6)의 모든 측면 상에서 둘레 주위로 각 자유 단부, 상세하게는 모든 돌출부(5, 6)의 각 선단의 바로 근접부에 원통형 개구부 형태의 단일 릴리프 개구부(7)가 형성된다. 이러한 릴리프 개구부(7)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외측 링(3)의 전체 내주 및 내측 링(1)의 전체 외주는 적어도 미리 조절된 축방향 부분을 통해 엘라스토머(4)와 연결된다.
내측 링(1), 외측 링(3) 및, 엘라스토머(4) 사이의 연결은 탈착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즉 이러한 연결은 단지 상기 엘라스토머(4)를 뜯어내거나 파괴시킴으로써만 끊어질 수 있다.
회전 탄성 커플링(9)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구성 요소들에 플랜지 결합을 하기 위해, 외측 링(3)뿐만 아니라 내측 링(1)에는 회전축(13)에 평행하게 다수의 커넥팅 보어(8)가 형성된다.
도 2는, 앞서 설명한 부재들뿐만 아니라 회전 탄성 커플링(9)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샤프트(10) 및 제2 샤프트(11)를 나타낸다. 제1 샤프트(10)는 플랜지 볼트 연결체(14)를 통해 조립되며, 여기서 나사는 외측 링(3) 상에서 전방으로 커넥팅 보어(8)를 통하여 이어진다. 또한, 도 1에도 나타낸 것처럼, 외측 링(3)은 다수의 중심조정용 핀(12)을 이용하여 제1 샤프트(11)와 중심 조정되며,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각 조각마다 단일의 중심조정용 핀(12)이 형성된다.
제2 샤프트(11)는 내측 링(1) 상에서 전방으로 플랜지 볼트 연결체를 통해 고정되며, 도시된 것처럼 내측 링(1)의 나사산이 형성된 커넥팅 보어(8)에 나사(15)가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제2 샤프트(11)는 회전 탄성 커플링(9) 상의 전방으로 장착된다. 실제로, 제2 샤프트(11)의 칼라는 축방향으로 내측 링(1) 내부로 도달하여 외주 상에서 내측 링(1)을 지탱한다. 이로 인해, 제2 샤프트(11)와 내측 링(1) 사이에 중심조정용 핀 없이, 내측 링(1)과 제2 샤프트(11) 사이의 중심 조정이 행해질 수 있다.
내측 링(1)과 제2 샤프트(11) 사이의 연결에, 도시된 중심조정용 칼라와 다른 방법으로 또는 이에 부가적으로 중심조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3은 양쪽 샤프트(10, 11)와 이에 연결되는 회전 탄성 커플링(9)의 또 다른 사시도이다.
도 4는, 내측 링(1)의 조각과, 외측 링(3)의 조각과, 내측 링(1)과 외측 링(3) 사이에서 릴리프 개구부(7)를 갖고 형성되는 엘라스트모(4)를 포함하는, 샤프트에 연결하기 전 상태의 회전 탄성 커플링의 조각을 나타낸다. 또한, 커넥팅 보어(8)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측 링(1)에 그리고 나사산이 없는 외측 링(3)에서 확인될 수 있다. 중심조정용 핀을 삽입하기 위해, 중심조정용 보어는 외측 링(3)의 모든 조각들 중심에서 둘레 주위로 형성된다.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릴리프 개구부(7)의 직경은 상대적으로 작은, 즉 커넥팅 보어(8) 및 중심조정용 보어(16)의 직경 보다도 작다. 이들은 각각 엘라스토머(4)로 완전히 포위된다.

Claims (16)

  1. 내측 링(1)과, 환형 슬릿(2)을 형성함으로써 둘레 주위로 내측 링(1)을 둘러싸는 외측 링(3)이 구비되는 회전 탄성 커플링으로서,
    상기 환형 슬릿(2)에 엘라스토머(4)가 형성되고, 상기 엘라스토머(4)는 경화되거나 내측 링(1) 및 외측 링(3)에 접착되며 상기 환형 슬릿(2)을 실질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채우고,
    상기 환형 슬릿(2)은 커플링의 둘레 주위로 사행 형상(meander shape)을 가져, 내측 링(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5)가 외측 링(3)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6) 아래 부분을 잘라내는 회전 탄성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둘레 주위로, 내측 링(1)의 돌출부(5) 양쪽 측면과 외측 링(3)의 돌출부(6) 양쪽 측면 상의 엘라스토머(3)에 릴리프 개구부(relief opening; 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5, 6)의 각 측면 상에서 둘레 주위로 모든 돌출부(5, 6)의 각 자유 단부의 바로 근접부에 특히 단일의 릴리프 개구부(7)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개구부(7)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6)의 반경 방향 내측의 위치 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부(6)의 내경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5)의 반경 방향 외측의 위치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의 돌출부(6)의 외경에 해당하는 위치에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1) 및 외측 링(3)은 서로에 대해 엘라스토머(4)를 통해서만 접착되어, 결과적으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에 있어서 둘레 주위로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개구부(7)는 상기 엘라스토머(4)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개구부(7)는 원형 단면을 가지며, 특히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측 링(1) 및/또는 외측 링(3)의 돌출부(5, 5)는 옴폭 들어가게 형성되고, 옴폭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특히 반경 방향으로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예각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원형 또는 원통형 외주를 형성하는 외측 링(3) 및/또는 특히 원형 또는 원통형 내주를 형성하는 내측 링(1)은, 독립적인, 특히 동일한 크기를 같거나 동일한 링 조각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측 링(3) 및/또는 내측 링(1)은, 샤프트(10, 11) 또는 다른 연결 부재의 연결이 토크에 견디도록 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배향된 전방에서 끝나는 다수의 커넥팅 보어(8)를 포함하고, 회전 탄성 커플링의 회전축(13)에 대해 특히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9)을 통해 축 방향, 반경 방향 및, 둘레 주위로 서로에 대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제1 샤프트(10) 및 제2 샤프트(11)를 포함하는 샤프트 연결체로서,
    상기 제1 샤프트(10)는 상기 외측 링(3)과 포지티브 결합(positive engagement)으로 연결, 특히 상기 부재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2 샤프트(11)는 상기 내측 링(1)과 포지티브 결합으로 연결, 특히 상기 부재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연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샤프트(10)의 전방측은 외측 링(3)에 플랜지 결합되고, 상기 제2 샤프트(11)의 전방측은 상기 내측 링(1)에 플랜지 결합, 특히 상기 제1 샤프트(10)에 축방향으로 반대측인 전방측상에 플랜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 연결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양 샤프트(10, 11)의 적어도 하나가, 어떠한 중심조정용 칼라(collar)도 없이 회전 탄성 커플링에, 그리고 특히 중심조정용 핀(12)을 통하여 중심조정되는 대응 링(외측 링(3) 또는 내측 링(1))에 플랜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트연결체.
  13. 구동 트레인, 특히, 구동 장치 및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휠을 포함하는, 예컨대 트랙 차량 구동 트레인인 차량 구동 트레인으로서,
    구동 연결체가 상기 구동 장치 및 구동 휠 사이에 상기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샤프트 연결체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트레인.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내측 링(1), 상기 외측 링(3), 또는 이들의 링 조각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측 링(1) 및 상기 외측 링(3)을 환형 슬릿(2)을 형성하도록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concentrically)으로 위치결정하는 단계,
    상기 외측 링(3)의 반경 방향 내주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내측 링(1)의 반경 방향 외주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외면 상에 어떠한 접착제도 없는 소정 개수의 원통형 핀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환형 슬릿(2)에 엘라스토머(4)를 충전하되, 상기 핀을 상기 엘라스토머(4)가 경화하기 전에 상기 엘라스토머(4)에, 주조 공정 전에, 주조 공정 동안, 또는 주조 공정 후에 배치하고, 그 후 상기 엘라스토머(4)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굳어지고, 상기 엘라스토머가 경화한 후에 상기 핀을 상기 엘라스토머(4)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1), 상기 외측 링(3), 상기 엘라스토머(4) 및, 상기 핀이 가열, 특히 베이크(bake)되고, 상기 엘라스토머(4)가 굳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구동 트레인에서의 조립 동안, 특히 2개의 샤프트(10, 11) 사이에서의 조립 동안 회전 탄성 커플링(9)의 중심을 조정하기 위해, 가열 및, 특히 연속적인 냉각 후에만, 상기 내측 링(1) 및/또는 외측 링(3)에 중심조정용 보어(16)를 배치하고/배치하거나 상기 외측 링(1) 및/또는 외측 링(3)에 중심조정용 핀(12)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탄성 커플링의 제조 방법.









KR1020107022894A 2008-04-11 2009-04-09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302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8349A DE102008018349A1 (de) 2008-04-11 2008-04-11 Drehelastische Kuppl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DE102008018349.0 2008-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212A true KR20100130212A (ko) 2010-12-10

Family

ID=4083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894A KR20100130212A (ko) 2008-04-11 2009-04-09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60114B2 (ko)
EP (1) EP2242938B1 (ko)
JP (1) JP2011516803A (ko)
KR (1) KR20100130212A (ko)
CN (1) CN101999048B (ko)
DE (1) DE102008018349A1 (ko)
PL (1) PL2242938T3 (ko)
RU (1) RU2493449C2 (ko)
WO (1) WO20091247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144C1 (ru) * 2021-02-25 2021-09-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мпенсационная муфта тягового привода локомотив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0178A1 (de) * 2010-06-16 2011-12-22 Man Diesel & Turbo Se Rotationskupplung und damit versehene Antriebsanordnung
EP2835560A1 (en) * 2012-04-04 2015-02-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rque fluctuation absorbing device and transmission
CN106168259B (zh) * 2016-07-19 2019-03-1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具有常值刚度的柔性并联万向节
CN106763264B (zh) * 2016-12-27 2023-06-06 无锡创明传动工程有限公司 一种金属叠盘挠性联轴器
DE102020111442B3 (de) * 2020-04-27 2021-04-22 Kwd Kupplungswerk Dresden Gmbh Kupplungssystem für Antrieb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892C (ko) *
SU32265A1 (ru) * 1932-07-13 1933-09-30 Н.А. Калашников Гибка муфта
GB538625A (en) 1939-02-08 1941-08-11 Maurice Francois Alexandre Jul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silient couplings
US2363469A (en) * 1942-09-01 1944-11-21 Metalastik Ltd Flexible coupling, flexible mounting, and the like
US2466218A (en) * 1944-03-22 1949-04-05 Sydney T Farrell Gearing
FR1128208A (fr) * 1954-07-28 1957-01-03 Gomma Antivibranti Applic Joint élastique pour transmission de force motrice
US2891394A (en) * 1957-04-17 1959-06-23 Caterpillar Tractor Co Flexible and vibration damping coupling
FR1416203A (fr) * 1964-11-30 1965-10-29 Beteiligungs & Patentverw Gmbh Accouplement mobile élastiquement
DE1575892A1 (de) 1967-02-16 1970-07-16 Goedel Gerta Elastische Kupplung
DE2532845C3 (de) * 1975-07-23 1980-01-10 Goetze Ag, 5093 Burscheid Elastische Wellenkupplung
DE2733880A1 (de) 1976-07-30 1978-02-02 Dba Sa Kupplungsscheibe
DE3403910A1 (de) 1984-02-04 1985-08-08 Thyssen Industrie Ag, 4300 Essen Kardanische doppelkupplung
ZA863782B (en) * 1986-05-21 1988-01-27 Ludwig Maier Coupling
SU1368527A2 (ru) * 1986-06-27 1988-01-23 Харьковский Тракторный Завод Им.С.Орджоникидзе Соединительна муфта
JPH054581Y2 (ko) * 1986-08-01 1993-02-04
DE3822637A1 (de) 1988-07-05 1990-01-18 Daimler Benz Ag Elastische verdrehsichere wellen-nabenverbindung
JPH0560147A (ja) * 1991-08-30 1993-03-09 Koyo Seiko Co Ltd フレキシブルカツプリング
DE4329735A1 (de) * 1993-09-03 1995-03-09 Daimler Benz Ag Lenkspindel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515103C2 (de) 1995-04-25 1997-07-03 Freudenberg Carl Fa Vielkeilwellenverbindung
DE19639304B4 (de) 1996-09-25 2006-12-21 Voith Turbo Gmbh & Co. Kg Elastische Gelenkkupplung
EP0939238A3 (de) * 1998-02-26 2000-09-13 Stromag Aktiengesellschaft Elastische Wellenkupplung
DE19958367A1 (de) 1999-12-03 2001-06-13 Voith Turbo Kg Elastische Kupplung, insbesondere Lagerpaket-Gelenkkupplung
JP2002039330A (ja) * 2000-07-19 2002-02-06 Ricoh Co Ltd ギヤユニット
JP4256849B2 (ja) * 2004-05-31 2009-04-22 ゲイツ・ユニッタ・アジア株式会社 カップリング
DE102004051340A1 (de) 2004-10-21 2006-06-2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Antriebsstrang,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2007113763A (ja) * 2005-10-24 2007-05-10 Denso Corp 動力伝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6144C1 (ru) * 2021-02-25 2021-09-2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Бря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мпенсационная муфта тягового привода локомотив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8349A1 (de) 2009-10-15
US20110165950A1 (en) 2011-07-07
EP2242938A1 (de) 2010-10-27
WO2009124758A1 (de) 2009-10-15
US8460114B2 (en) 2013-06-11
RU2493449C2 (ru) 2013-09-20
JP2011516803A (ja) 2011-05-26
PL2242938T3 (pl) 2012-09-28
CN101999048B (zh) 2013-12-04
RU2010146004A (ru) 2012-05-20
EP2242938B1 (de) 2012-06-20
CN101999048A (zh)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0212A (ko) 높은 비틀림 가요성을 갖는 커플링 및 그의 제조 방법
US9446660B2 (en) Vehicle grill shutter, vehicle flap member, and actuator
EP2514986B1 (en) Rotational Assembly
KR930004567B1 (ko) 마찰 라이닝 지지판과 허브를 결합시키는 스프링 콜릿을 갖는 마찰요소
CN101410663B (zh) 管路的镶嵌连接附件
US20120243930A1 (en) Connection arrangement of a shaft/hub connection
CN108691909B (zh) 叠片式联接器
JP2005273790A (ja) 撓み軸継手
KR101020660B1 (ko) 가요성 디스크, 그러한 가요성 디스크가 제공된 가요성커플링, 그러한 가요성 커플링이 제공된 장착 플랜지, 및그러한 장착 플랜지가 설치된 전동 샤프트
JP6427602B2 (ja) トルク伝達装置
JP6517669B2 (ja) トルクを伝達する装置
JPH02240413A (ja) 粘性緩衝装置を有するねじり緩衝装置
KR20160101014A (ko) 날개형 엘라스토머 커플링 및 클램프 링
JP4385679B2 (ja) 送風機
KR20100107719A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JP4013495B2 (ja) 接合部材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駆動力伝達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470710A (en) Hub spider for a flexible shaft coupling
KR20090074069A (ko) 클러치 마찰 디스크
EP2758682B1 (de) Anordnung mit einer welle-nabe-verbindung und verfahren zum klebeverbinden einer nabe mit einer welle
JPS5870094A (ja) プラスチツク製フアン
KR20030011795A (ko) 반경방향 플레이트의 회전 및 병진 운동 방지 방법, 및 그방법에 의한 허브 및 반경방향 플레이트의 조립체
KR101073093B1 (ko) 자동차 프로펠러 샤프트 연결구조
CN210240342U (zh) 立式加工中心专用波纹管联轴器
CN118043574A (zh) 传动装置
US20200400195A1 (en) Rotary coup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