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7178A -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7178A
KR20100127178A KR1020100045234A KR20100045234A KR20100127178A KR 20100127178 A KR20100127178 A KR 20100127178A KR 1020100045234 A KR1020100045234 A KR 1020100045234A KR 20100045234 A KR20100045234 A KR 20100045234A KR 20100127178 A KR20100127178 A KR 20100127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head
sealing tape
ink jet
inkjet recording
je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6460B1 (ko
Inventor
미쯔또시 노구찌
다다요시 이나모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05Caps, spittoons or covers for cleaning or preventing drying 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36Protection of cartridges or parts thereof, e.g.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J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7Block-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08L2666/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hydrocarbo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3/00Presence of block co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61Adhesive compositions having readily strippable combined with readily readhearable properties [e.g., stick-ons,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 Tapes (AREA)
  • Ink Jet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헤드 상에 설치되고,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칩의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이며,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1) 불포화 탄소 결합을 갖지 않고,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 및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A)-(B)-(A) 블록 공중합체 70 내지 100 중량%[여기서, (A)는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고, (B)는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임] 및 (2) 폴리올레핀 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고, 상기 (1) (A)-(B)-(A) 블록 공중합체 중의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함유율이 10 내지 30 중량%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SEALING TAPE FOR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HEA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헤드 상에 설치되고,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칩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박리가능하게(detachably) 점착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시일링 테이프를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는, 사용시에 잉크가 토출되기 때문에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한편, 비사용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가 배열되는 표면을 캐핑하여, 토출구를 통한 잉크 용제의 증발에 의해 발생하는 토출구의 막힘 및 접촉에 의한(contact-related) 손상을 방지한다.
토출구는 잉크젯 기록 헤드가 프린터와 같은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캐핑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잉크젯 기록 헤드가 장치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특히 수송될 때, 다른 수단에 의해 잉크 용제의 증발 및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미국 특허 제5,262,802호, 제5,781,208호, 제5,850,238호 또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03-24884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잉크 토출구를 포함하는 칩 표면은 통상 점착성을 갖는 시일링 테이프에 의해 보호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326965호에는,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층으로서 아크릴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계, 재생 고무, 열경화성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을 포함하는 점착제), 및 페트롤레이텀계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잉크젯 기록 헤드에 점착되는 시일링 테이프는 점착력이 지나치게 강하면, 시일링 테이프의 박리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가 손상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2007/263034호에는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력을 토출구 표면에서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최근, 보다 고해상도의 화상 기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로부터의 잉크 토출량을 적게 하여, 해상도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의 잉크젯 기록 헤드에서, 히터 또는 압전 소자와 같은 토출 에너지 발생 소자가 형성된 기판 상에 수지 막을 형성하고, 이 수지 내에 소정 개수의 토출 에너지 발생 소자에 대응하도록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각각의 유로를 수지 표면에 연통시킴으로써 토출구가 형성된다. 이러한 잉크젯 기록 헤드는, 토출구 주변 내부에 유로 및 히터와 같은 토출 에너지 발생 소자가 형성되는 중공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재된 구조를 갖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서, 히터와 같은 토출 에너지 발생 소자와 토출구와의 거리가 잉크 토출량에 영향을 미치고, 이 거리는 수지 막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토출구로부터의 잉크 토출량을 감소시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수지 막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토출구가 서로 더 근접하게 형성되는 경우에, 토출구 주변의 중공 구조는 중공률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그 결과, 토출구를 형성하는 수지 막은 외부 응력에 대하여 취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수지 막에 점착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력은, 박리시에 수지 막에 손상을 끼치지 않을 정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지나치게 큰 점착력은, 시일링 테이프의 박리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점착물에 점착된 직후로부터 경시적으로 유동하고 넓게 퍼져 점착물에 침투하여,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그의 점착력이 증가한다. 마찬가지로, 점착제를 사용한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력은 칩 표면에 점착된 직후로부터 수송을 위한 저장 동안에 경시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토출구를 통한 잉크 용제의 증발에 의해 발생하는 토출구의 막힘 및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로 인해, 점착 직후로부터 사용 전까지의 동안에, 점착력 부족으로 인해 시일링 테이프가 박리되지 않도록, 일정하게 충분한 점착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점착력은 박리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에 손상을 끼치지 않을 정도로 조정되어야 한다.
시일링 테이프가 점착 직후에 충분한 점착력을 갖도록 설계하는 경우, 경시 변화 후에는 점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박리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에의 손상이 걱정된다. 반대로, 경시 변화 후의 증가된 점착력을 잉크젯 기록 헤드에 손상을 끼치지 않을 정도로 조정했을 경우에, 점착 후에 점착력 부족이 걱정된다. 더욱 고해상도 화상 기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서, 토출구 주변에서의 중공 구조의 중공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런 경향은 보다 현저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특허 공보 제2007/263034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는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력을 토출구 표면에서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기술이 대책으로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대책은 제조 공정 수를 증가시켜 공정이 복잡해지고, 보다 고가인 설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한층 더한 개선이 요망된다.
이들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다양한 점착제가 검토되었으나,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의 경우에는, 상기 기재된 점착력의 조정 이외에도, 사용되는 잉크 성분과의 반응(어택(attack))에 의해 발생하는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용되는 잉크의 특성을 유지하는데 예를 들어, 점착제로부터의 용출 성분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다양한 제약이 있다. 따라서, 잉크젯 기록 헤드에 사용되는 점착제에 대해서, 특유한 점착제 조성이 필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젯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밀봉하기에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경시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점착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되는 잉크 성분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잉크 특성을 유지하도록 점착제로부터의 용출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헤드 상에 설치되고,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칩의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이며,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1) 불포화 탄소 결합을 갖지 않고,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 및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A)-(B)-(A) 블록 공중합체 70 내지 100 중량%[여기서, (A)는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고, (B)는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임] 및
(2) 폴리올레핀 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고,
(1) (A)-(B)-(A) 블록 공중합체 중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함유율이 10 내지 30 중량%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한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은 가교성 관능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한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일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2)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가 120℃ 이상일 수 있고, 상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가 0℃ 이하일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기재층의 기재 수지로서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시일링 테이프는 상기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2층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2층 공압출 성형시에, 상기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동적 가교될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 상기 기재층의 기재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칩 표면에 상술한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가 박리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를 밀봉하기에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경시 변화에 의한 점착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사용되는 잉크 성분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잉크 특성을 유지하도록 점착제로부터의 용출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하기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경시 변화에 의한 점착력의 증대를 억제하고, 잉크 성분의 어택에 의한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하고, 점착제로부터의 용출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점착제로 점착한 잉크젯 기록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의 형태, 점착제의 유동성 및 환경 온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그래프.
(잉크젯 기록 헤드)
이하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적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의 일례를 나타낸다. 잉크젯 기록 헤드는 잉크 탱크가 잉크로 충전되어있는 잉크 탱크 일체식 헤드이다. 또한, 토출구 표면에 토출구 또는 토출구들의 보호용 시일링 테이프(H1401)가 적어도 토출구를 덮도록 점착제로 점착된다. 즉, 도 1은 시일링 테이프(H1401)에 의해 토출구가 밀봉되는 수송 동안에 잉크젯 기록 헤드의 형태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은 잉크 탱크 분리식 잉크젯 기록 헤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 각 구성 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잉크젯 기록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록 소자 기판(칩)(H1101) 상에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잉크 유로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배선 테이프(H1301)는 예를 들어, 잉크 토출을 위한 전기 신호를 기록 소자 기판(H1101)에 인가하는 경로를 형성하도록 폴리이미드 필름 상에 구리 배선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전기 신호는 외부 신호 입력 단자(H1302)를 통해 프린터 본체로부터 전달된다. 잉크젯 기록 헤드는,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기록 소자 기판(H1101) 및 전기 배선 테이프(H1301)가 장착된 케이싱을 갖는다. 기록 소자 기판(H1101)은 밀봉재(H1307 및 H1308)에 의해 밀봉된다.
수송 동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를 보호하기 위해서 토출구가 형성된 칩(H1101)의 표면에 시일링 테이프(H1401)가 박리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다. 또한, 시일링 테이프(H1401)를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해 태그 테이프(H1402)가 점착된다. 시일링 테이프(H1401)에 의해 토출구가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구는 보호될 수 있고, 수송 동안에 온도 또는 압력 변동에 의해 초래되는 토출구로부터의 잉크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칩 표면과 점착하는 점착층을 갖는다. 상기 점착층은 (1) (A)-(B)-(A) 블록 공중합체 및 (2)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A)-(B)-(A) 블록 공중합체를 사용한 점착제는, 통상적으로 점착 부여제(tackifier) 및 연화제(flexibilizer)를 함유한다. 이것은, (A)-(B)-(A) 블록 공중합체 단독으로는 점착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며, 점착력은 테르펜계 수지와 같은 점착 부여제에 의해 제공된다. 또한,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파라핀과 같은 연화제의 첨가가 필요하다. 그 결과로서, 일반적인 조성의 점착제를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층에 사용한 경우에, 점착 부여제 또는 연화제와 같은 첨가제가 잉크 중으로 용출해서 잉크의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또는 첨가제가 잉크 토출구의 근방에 잔류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 (A)-(B)-(A) 블록 공중합체와 (2) 폴리올레핀만으로 점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층에서 사용가능하게 한 것이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이다.
((1) (A)-(B)-(A) 블록 공중합체)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 및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는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며, (B)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예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4-아세틸스티렌, 3-(4-디페닐)스티렌, 4-(4-디페닐)스티렌, 4-브로모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4-클로로-2-메틸스티렌, 4-클로로-3-메틸스티렌, 2-클로로스티렌, 3-클로로스티렌, 4-클로로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5-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3,4-디클로로스티렌, 2-에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2,4-디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3,4-디메틸스티렌, 3,5-디메틸스티렌, 4-페닐스티렌, 1-나프틸에틸렌 및 2-나프틸에틸렌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블록 (A)는 이들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예 중에서 1종류만, 또는 복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은 스티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서, 단결합만을 함유하고 탄소수 10 이하의 올레핀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소 첨가의 수단에 의해 이중 결합을 단결합으로 개질시킨 디엔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첨가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의 구체적인 구조 유닛 및 수소 첨가 전의 구조 유닛의 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펜텐, 헥센, 옥텐,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및 페닐-1,3-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블록 (B)는 이들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의 예 중에서 1종류만, 또는 복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불포화 탄소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층은 수송 저장 중에 잉크와 때때로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잉크 성분의 어택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A)-(B)-(A) 블록 공중합체가 불포화 탄소 결합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구체예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완전하게 수소 첨가한 것을 들 수 있다. 그의 구체예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PS), 스티렌-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공중합체(SEEPS), 및 스티렌-이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IBS)를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4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 있어서, k, l, m 및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1) (A)-(B)-(A) 블록 공중합체 중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은 10 내지 30 중량%이다.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점착제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점착력의 경시 변화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함유율이 30 중량%를 넘으면, 점착제가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지 않는 한 충분한 점착력을 얻기가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이다.
또한,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교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일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서, 수소 첨가에 의해 이중 결합을 일부 단결합으로 개질되고, 또한 에폭시화에 의해 에폭시기로 개질되는 디엔 탄화수소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첨가 또는 에폭시화 이전의 구체적인 구조 유닛의 예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1,3-펜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및 페닐-1,3-부타디엔을 들 수 있다.
디엔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블록 공중합체를 부분적으로 수소 첨가하여 얻어지는 수소 첨가 블록 중합체 성분에서, 그의 수소 첨가율은 70% 이상일 수 있다. 수소 첨가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수소 첨가된 디엔 탄화수소 유닛을 부분적으로 에폭시화함으로써, 원하는 에폭시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를 얻을 수 있다. 에폭시화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의 구체예는 하기 화학식 5 내지 9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5 내지 9에 있어서, k, l, m 및 n은 임의의 양의 정수이다.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점착층은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가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인 경우에, 종래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산 무수물계 가교제 및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첨가량은,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에 따라서 소정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는 성형시에 가교될 수 있다.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점착제와 함께 용융 및 혼합하는 동적 가교에서, 성형과 동시에 가교 반응이 일어나므로, 공정 수의 증가가 없고 간편한 방법에 의해 가교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제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 기인하는 점착력을 갖는다. 특히, (B) 성분은 점착성에 관여하고 있고, (A) 성분은 결정화에 의해 의사의(pseudo) 가교 성분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잉크가 점착제와 접촉했을 경우에도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결정 구조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점착층은 잉크와 장시간 접촉할 수 있고, (A) 성분 만에 의한 구조 유지 기능이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점착층이 열화할 경우가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점착제의 유동성을 충분히 억제하기가 곤란하고,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로 인해, 가교성 관능기를 도입하여 (1) (A)-(B)-(A) 블록 공중합체를 화학 결합시킴으로써, 결정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블록 (B)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을 0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유량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특정한 잉크 종류를 사용한 경우에도 잉크의 어택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층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유동성과 경시에 의한 점착력의 증가도 억제할 수 있어, 적당한 점착성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은 (1) (A)-(B)-(A) 블록 공중합체를 70 내지 100 중량% 포함한다. 즉, (1) (A)-(B)-(A) 블록 공중합체와 (2) 폴리올레핀의 총 함유율은 10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함유율은 85 중량% 내지 99 중량%이다.
((2) 폴리올레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은 (2) 폴리올레핀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보다 견고한 결정 구조를 유지할 수 있고, 점착층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2) 폴리올레핀을 점착층 중에 포함시킴으로써, 시일링 테이프의 기재층의 기재 수지로서 폴리올레핀을 사용한 경우에 기재층과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2) 폴리올레핀으로서, 탄소수 10 이하의 올레핀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은 (2) 폴리올레핀을 0 내지 30 중량%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1) (A)-(B)-(A) 블록 공중합체와 (2) 폴리올레핀의 총 함유율은 100 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2) 폴리올레핀의 함유율은 1 내지 15 중량%이다. (2) 폴리올레핀의 함유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점착층은 점착성이 발현되지 않을 수 있고, 시일링 테이프에 사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층이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하지 않고, (1) (A)-(B)-(A) 블록 공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얻어질 수 있지만, 결정 구조의 유지의 관점에서 점착층은 상기 함유율 범위 내에서 (2) 폴리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가 70℃ 이상이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가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중합체 블록 (A)가 방향환에 유래하는 결정성을 발현하고, 중합체 블록 (B)가 올레핀 탄화수소에 유래하는 점착성을 발현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에서 충분한 점착성을 발현할 필요가 있다. 점착제는 Tg 이상의 온도에서 점착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중합체 블록 (B)는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 이하인 Tg를 갖고, 점착성에 관여하는 유동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중합체 블록 (B)의 Tg는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는 점착물에 점착 직후로부터 경시적으로 유동하고 넓게 퍼져 점착물에 침투하여,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그의 점착력이 증가한다. 유사하게, 점착제를 사용한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력은 칩 표면에의 점착 직후로부터 수송 저장 중에 경시적으로 증가한다. 점착력의 증가가 지나치게 클 경우, 시일링 테이프 박리시에 잉크젯 기록 헤드가 손상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는 점착제 성분의 유동성에 기인하고 있다. 점착제의 Tg를 사용 온도 범위 이하로 설정하면, 점착제는 유동성이 높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점착제는 경시적으로 유동하고, 점착물의 표면에 용이하게 넓게 퍼질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점착제와 점착물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고, 점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에서는,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점착제의 유동성을 적절한 정도로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로 인해,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는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 이상인 Tg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합체 블록 (A)의 Tg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가 0℃ 이하이기 때문에 점착성을 발현한다. 또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가 70℃ 이상이기 때문에,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에서 유동성은 적절한 정도로 억제된다. 또한, 중합체 블록 (A)는 결정화에 의해 의사의 가교 성분으로서 작용하여, 결정 구조를 유지한다. 그로 인해,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과도한 유동이 억제된다.
(1) (A)-(B)-(A) 블록 공중합체의 과도한 유동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 중합체 블록 (B)의 함유율 및 (2) 폴리올레핀의 함유율이 중요한 요인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을 10 중량% 이상 30 중량% 이하로 설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블록 (A)의 함유율은 10 중량% 이상 25 중량% 이하이다. 또한, (2) 폴리올레핀의 함유율은 0 내지 3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이다. 또한, 중합체 블록 (B)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중합체 블록 (B)는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을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는 120℃ 이상이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는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는 120℃ 이상 300℃ 이하이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는 -50℃ 이상 0℃ 이하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경우에 Tg 부근에서 유동성의 변화는 완만하게 나타나고, Tg가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라도, 상기 온도 범위 이하의 온도에서 서서히 유동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그로 인해, 사용 온도 범위 및 수송 동안의 온도 범위에서 유동성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는, Tg를 더 높은 온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가 120℃ 이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수송 저장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시일링 테이프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예로는, 3-(4-디페닐)스티렌, 4-(4-디페닐)스티렌, 4-tert-부틸스티렌, 4-클로로-2-메틸스티렌, 2,4-디클로로스티렌, 2,6-디클로로스티렌, 3,4-디클로로스티렌, 2-메틸스티렌, 2,5-디메틸스티렌, 4-페닐스티렌, 1-나프틸에틸렌, 2-나프틸에틸렌을 들 수 있다. 중합체 블록 (A)는 이들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예 중 1종류만을, 또는 복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 블록 (A)를 사용하고, 중합체 블록 (B)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1) (A)-(B)-(A) 블록 공중합체간에 화학 결합이 생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다 높은 온도에서 유동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수송 저장 시간이 증가하더라도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 시일링 테이프의 신뢰성이 증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의 형태, 점착제의 유동성 및 환경 온도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통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링 테이프는 0 내지 70℃의 범위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1) (A)-(B)-(A) 블록 공중합체에서,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는 통상 90℃ 정도이고, 도 3에서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70℃ 이상에서 유동성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또한, 중합체 블록 (A)의 Tg가 120℃ 이상으로 설정되는 경우, 도 3에서 (2)로 나타낸 바와 같이 120℃ 이상에서 유동성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또한, 중합체 블록 (A)의 Tg가 120℃ 이상으로 설정되고, 중합체 블록 (B)가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을 포함하는 경우에, 도 3에서 (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200℃ 이상에서 유동성이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송 저장 시간이 증가되더라도 점착제의 유동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즉, 경시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시일링 테이프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도 3에서, 그래프 (1)은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의 Tg가 90℃인 경우에 유동성을 도시하고, 그래프 (2)는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의 Tg가 140℃인 경우에 유동성을 도시하고, 그래프 (3)은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 가교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 유동성을 도시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X"는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 유동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Y"는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 유동하는 범위를 나타내고, "Z"는 가교 구조를 갖고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 유동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Tg는 샘플의 동적 점탄성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동적 점탄성 측정에서는, 샘플에 정주기의 순환 정현파 응력을 부가하고, 그때에 관찰되는 왜곡 및 위상 시프트를 측정한다. 이에 의해, 탄성 성분에 상당하는 저장 탄성률(E'), 점성 성분에 상당하는 손실 탄성률(E''), 및 진동 흡수성을 반영하는 tanδ(=E''/E')의 온도 의존성 및 주파수 의존성이 구해진다. 통상적으로는, Tg 근방의 온도에서 tanδ는 극대값을 나타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tanδ가 극대값이 되는 온도를 Tg라고 한다. 또한, tanδ는 주파수 의존성을 갖지만, 본 발명에서 1 내지 10Hz의 범위에서 측정이 이루어진다.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점착층과 기재층의 2층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압출 성형은 복수의 재료를 한번에 압출하여 적층 필름으로 성형하는 용융 압출 성형법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실린더 내에서 가열 및 용융하고, 용융된 수지를 슬릿 다이로부터 동시에 압출 및 적층한 후에, 냉각 공정을 거쳐 성형한다. 또한, 성형법은 다이 형상 및 냉각 방법에 따라 구분된다.
인플레이션법에서, 압출기의 선단에 링 다이라고 불리는 환상의 립을 갖는 다이를 설치하고, 튜브 형상으로 재료를 압출하고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인플레이션법으로는, 용융 수지를 다이 앞의 피드 블록 내에서 서로 접촉시키는 다이 전(front-die) 적층법, 용융 수지를 다이 내부의 경로에서 서로 접촉시키는 다이 내(in-die) 적층법, 및 용융 수지를 복수의 동심원 립으로부터 압출한 후에 서로 접촉시키는 다이 외(out-die) 적층법을 들 수 있다. 링 다이 중앙에는 에어 덕트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압축 공기를 불어 넣어 튜브를 팽창시킨다. 다이의 일단부를 개방하여 편평한 필름을 얻고, 이를 핀치 롤러에 의해 잡아당기면서 냉각하고, 필름을 롤로 권취한다.
T-다이법에서, 압출기의 선단에 T-다이라고 불리는 선형 립을 갖는 다이를 설치하고, 재료를 편평한 형상으로 압출하고 연속적으로 성형한다. T-다이는 다이 편면의 한면에 새겨진 T자형 슬롯을 서로 마주 대하도록 2장의 다이편을 서로 중첩시키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T자형 세로줄에 상응하는 부분으로부터 용융 수지를 투입하고, T자형 가로줄에 상응하는 매니폴드를 통해서 수지가 다이의 양단부까지 넓게 퍼지고, 립의 공극을 통해 필름 형상으로 토출된다. 싱글 매니폴드법에서, 다이의 직전에 피드 블록을 설치하고, 거기에 어댑터를 통해서 복수의 압출기를 접속하고, 피드 블록 내에서 수지를 서로 접촉시킨 후에, 다이를 통해서 필름으로 성형한다. 멀티 매니폴드법에서, 내부에 복수의 매니폴드를 갖는 T-다이를 사용하고, 복수의 압출기로부터 공급된 수지를 립부의 직전에서 서로 접촉시켜 적층 필름을 얻는다. 필름은 경면 처리된 냉각 롤러를 통해서 냉각하고 필름으로 권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상기 기재된 일반적인 공압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제조 장치 및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기재층과 점착층과의 밀착 강도가 높은 시일링 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기재층의 기재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에 포함되는 (2) 폴리올레핀과 동일한 재료를 기재층의 기재 수지로서 사용함으로써, 기재층과 점착층과의 밀착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점착제를 유기 용제 중에 용해하여 코팅액을 제조할 수 있고 기재층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재층에 사용가능한 재료의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이미드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점착제와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코팅액을 도포하는 수지 필름 표면 상에,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즈마 처리 또는 코로나 방전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표 1에 주어진 조성에 따라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점착제와 기재 수지의 2층 공압출 성형을 수행하여 점착층 및 기재층을 형성하고, 실시예 1 내지 18의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내지 18의 점착제는 가교제를 포함하였다. 기재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30μm, 기재층의 두께는 80μm이었다.
Figure pat00010
또한, 이하 표 2에 주어진 조성에 따라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그 후, 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점착제와 기재 수지의 2층 공압출 성형을 수행하여 점착층 및 기재층을 형성하고, 비교예 1 내지 8, 11 및 12의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내지 8의 점착제는 가교제를 포함하였다. 기재 수지로서, 모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점착층의 두께는 30μm, 기재층의 두께는 80μm이었다. 비교예 1, 3, 4, 6, 7 및 8의 경우에, 연화제로서 파라핀을 포함하였다. 또한, 비교예 4 및 8의 경우에, 점착 부여제로서 테르펜계 수지를 포함하였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에, (A)-(B)-(A) 블록 공중합체의 구조 중에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포함하였다.
Figure pat00011
또한, 비교예 9의 경우, 점착제로서 아크릴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이 점착제를 두께 25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한 후, 가열 및 건조시켜, 점착층의 두께가 30μm인 시일링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0의 경우, 점착제로서 디메틸실록산의 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실리콘계 점착제를 사용하였다. 이 점착제를 두께 25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도포한 후에, 가열 및 건조시켜, 점착층의 두께가 30μm인 시일링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하 방법에 의해 시일링 테이프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시일링 테이프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고, 잉크젯 기록 헤드의 토출구 표면(칩 표면)에 점착하였다. 이 잉크젯 기록 헤드는 2pl의 잉크 방울을 토출하도록 설계하고, 그 토출구의 직경 Φ은 10μm이었다. 그 후에, 이 토출구를 시일링 테이프에 의해 밀봉한 잉크젯 기록 헤드를 패키징하였다. 그 직후에, 0.1 내지 10m/min의 속도로 90° 방향으로 시일링 테이프를 박리하고,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 강도는 박리 속도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박리 속도를 변화시키면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고, 최대값을 박리 강도로 사용하였다.
또한, 패키징한 잉크젯 기록 헤드에 대하여 70℃에서 1개월간 가열 시험을 행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복귀시킨 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저장 중에 시일링 테이프의 박리의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시일링 테이프의 점착층과 접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잉크에의 용출된 성분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또한, 금속 현미경 분석에 의해, 칩 표면의 오염 유무 및 시일링 테이프 박리시에 칩 표면의 손상 유무를 확인하였다.
표 3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평가 결과의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저장 중에 박리 유무)
A: 시일링 테이프의 박리 및 잉크 누설이 확인되지 않았다.
B: 시일링 테이프는 박리되지 않지만, 일부 부상이 있고 잉크가 스며들었다.
C: 시일링 테이프가 박리되었다.
(박리시의 손상 유무)
A: 칩 표면은 손상되지 않았다.
C: 토출구를 형성하는 수지층에 균열과 같은 손상이 확인되었다.
(잉크에의 용출 유무)
A: 잉크에의 용출 성분을 확인할 수 없었다.
C: 잉크에의 용출 성분이 확인되었다.
(칩 표면의 오염 유무)
A: 칩 표면에 잔류하는 점착물을 확인할 수 없었다.
C: 칩 표면에 점착물과 같은 잔존물이 확인되었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실시예 1 내지 18의 시일링 테이프의 경우, 보존 중에 시일링 테이프는 박리되지 않고, 잉크 누설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잉크 토출구의 밀봉 성능이 충분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일링 테이프 박리시의 칩 표면은 손상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잉크에의 용출된 성분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칩 표면의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18의 시일링 테이프는, 저장 시험 후의 박리 강도가 35 내지 110N/m의 범위 내이며, 저장 시험 후에도 바람직한 박리 강도를 유지하였다. 또한, 점착 직후와 저장 시험 후의 박리 강도의 차이, 즉 점착력의 증가는 25 내지 75N/m의 범위 내이었다. 다시 말해서, 저장 시험 전후에 있어서 박리 강도의 변화는 작았다. 그 결과로서, 실시예 1 내지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일링 테이프는 잉크젯 기록 헤드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2, 8 및 9의 경우, 저장 중에 시일링 테이프가 박리되었다. 비교예 1, 4 및 10의 경우, 시일링 테이프의 일부에 부상이 있고, 잉크가 스며들었다. 또한, 비교예 7의 경우, 토출구를 형성하는 수지층에 균열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 3, 4, 8, 9 및 10의 경우, 잉크에의 파라핀의 용출이 확인되었다. 또한, 칩 표면에 파라핀에 의한 오염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 및 8의 경우, 테르펜계 수지에 의한 오염도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5의 경우, 칩 표면에 점착제의 잔류물이 확인되었다. 이는 잉크 어택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제의 열화로 인해, 박리시에 응집 파괴를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결함이 없는 비교예 6의 시일링 테이프의 경우, 저장 시험 후의 박리 강도는 210N/m이며, 점착 직후와 저장 시험 후의 박리 강도의 차이는 180N/m이었다. 저장 시험 전후의 박리 강도의 경시 변화가 상당히 컸고,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로서 부적합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잉크젯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밀봉하기에 충분한 점착력을 갖고, 경시 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력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되는 잉크 성분의 어택에 의해 초래되는 점착제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점착제로부터의 용출되는 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잉크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로 하여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등가 구조물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대한 넓은 범위로 해석되어야 한다.
H1101: 기록 소자 기판(칩)
H1301: 전기 배선 테이프
H1302: 외부 신호 입력 단자
H1307: 밀봉재
H1308: 밀봉재
H1401: 시일링 테이프
H1402: 태그 테이프

Claims (9)

  1. 잉크젯 기록 헤드 상에 설치되고, 잉크를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칩의 표면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이며,
    상기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1) 불포화 탄소 결합을 갖지 않고,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 및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A)-(B)-(A) 블록 공중합체 70 내지 100 중량%[여기서, (A)는 (a)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이고, (B)는 (b)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임] 및
    (2) 폴리올레핀 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고,
    (1) (A)-(B)-(A) 블록 공중합체 중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의 함유율이 10 내지 30 중량%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은 가교성 관능기를 갖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는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폴리올레핀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비닐 방향족 화합물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A)의 Tg가 120℃ 이상이고,
    상기 (b) 올레핀 탄화수소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중합체 블록 (B)의 Tg가 0℃ 이하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기재 수지로서 폴리올레핀이 사용되고, 상기 시일링 테이프는 상기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2층 공압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2층 공압출 성형시에, 상기 (1) (A)-(B)-(A) 블록 공중합체는 동적 가교되는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기재 수지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9. 칩 표면에 제1항에 따른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가 박리가능하게 점착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헤드.
KR1020100045234A 2009-05-25 2010-05-14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 KR101366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5327 2009-05-25
JP2009125327A JP4790046B2 (ja) 2009-05-25 2009-05-25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用シール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7178A true KR20100127178A (ko) 2010-12-03
KR101366460B1 KR101366460B1 (ko) 2014-02-25

Family

ID=4312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34A KR101366460B1 (ko) 2009-05-25 2010-05-14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44981B2 (ko)
JP (1) JP4790046B2 (ko)
KR (1) KR101366460B1 (ko)
CN (1) CN1018992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6650A (ja) * 2010-12-01 2016-11-24 東洋紡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JP5858813B2 (ja) 2012-02-06 2016-0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343900B (zh) 2015-09-16 2019-04-02 中国海洋大学 褐藻多糖为载体的淋巴靶向核磁造影剂及制备方法和应用
US9878554B1 (en) * 2016-10-13 2018-01-30 Funai Electric Co., Ltd. Packaging system for fluidic ejection cartridge with controlled protective tape removal
US10975188B2 (en) 2017-01-20 2021-04-13 Fudan University Rapid self-assembled small-sized block polymer material with low quenching temperature and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N107245133B (zh) * 2017-06-05 2020-04-17 复旦大学 一种低淬火温度快速组装的小尺寸嵌段高分子材料及其制备和应用
US10384458B1 (en) * 2018-05-08 2019-08-20 Funai Electric Co., Ltd. Fluidic ejection cartridge for improved protective tape removal
US10814638B2 (en) 2018-05-08 2020-10-27 Funai Electric Co. Ltd Fluidic ejection cartridge for improved protective tape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6945A (en) * 1984-06-06 1988-01-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instrument ink-path treatment process
US4688054A (en) * 1985-07-09 1987-08-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US4688053A (en) * 1985-07-13 1987-08-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having a layer of a resin composition curable with an active energy ray
US4688052A (en) * 1985-07-13 1987-08-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having a layer of a resin composition curable with an active energy ray
US4792584A (en) * 1986-05-02 1988-12-20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dhesive compositions
US5578417A (en) * 1989-01-10 1996-1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same
JP2810472B2 (ja) 1990-02-13 199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US5262802A (en) * 1989-09-18 1993-11-16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head assembly with single sealing member for ejection outlets and for an air vent
ATE199737T1 (de) * 1989-12-06 2001-03-15 Canon Kk Druckempfindliches klebeband, tintenstrahlaufzeichnungskopf und speicherverfahren
JPH03248849A (ja) 1990-02-28 1991-11-06 Canon Inc 記録ヘッド、その保管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キャップと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の収納容器
US5086307A (en) * 1990-03-21 1992-02-0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US5578418A (en) * 1990-03-21 1996-1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same
US5571659A (en) * 1990-03-21 1996-11-0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using same
EP0447588B1 (en) * 1990-03-22 1994-08-31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and recording apparatus having same
JP3334899B2 (ja) 1991-09-26 2002-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ヘッド
JP3346906B2 (ja) 1994-09-05 2002-11-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粘接着剤用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
US5777039A (en) 1996-02-09 1998-07-07 Shell Oil Company Vinyl aromatic block copolyme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4146484B2 (ja) 1997-05-19 2008-09-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弾性部材、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160096B2 (ja) 1997-05-19 2008-10-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弾性部材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130696A (en) * 1997-05-19 2000-10-10 Bridgestone Corporation Elastic member for ink-jet recording apparatus, ink tank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JP4944302B2 (ja) 2001-01-31 2012-05-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の製造方法
EP1729043A1 (en) * 2001-01-31 2006-12-06 Bridgestone Corporation Gasket integrated with cover
US6634732B2 (en) * 2001-09-11 2003-10-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ermoplastic polymer film sealing of nozzles on fluid ejection devices and method
CN100341910C (zh) 2004-01-17 2007-10-10 中国石化北京燕化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苯乙烯-异戊二烯/丁二烯-苯乙烯三元嵌段共聚物混合物、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8157347B2 (en) * 2005-07-08 2012-04-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and ink jet recording head cartridge
JP4926537B2 (ja) * 2006-05-09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液体吐出ヘッド用保護テープの接着方法及び液体吐出ヘッド用保護テープ
JP2007326965A (ja) 2006-06-08 2007-12-20 Seiko Epson Corp 粘着テープ
DE102007021504A1 (de) * 2007-05-04 2008-11-06 Tesa Ag Haftklebemasse und daraus gebildeter ablösbarer Haftklebestrei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90046B2 (ja) 2011-10-12
US20100295888A1 (en) 2010-11-25
CN101899270B (zh) 2013-11-27
KR101366460B1 (ko) 2014-02-25
US8544981B2 (en) 2013-10-01
JP2010269567A (ja) 2010-12-02
CN101899270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460B1 (ko) 잉크젯 기록 헤드용 시일링 테이프 및 이것을 사용한 잉크젯 기록 헤드
JP3887402B2 (ja) 表面保護シート
RU2277477C2 (ru)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е полимерное пленочное уплотнение сопловых отверстий устройств для эжекции жидкостей и способ
JP5101919B2 (ja) 配線回路基板用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両面粘着テープ付き配線回路基板
KR20060048622A (ko) 전자 부품 및 도체 트랙을 결합시키기 위한 열활성가능하고 가교가능한 접착 테이프
JP5749981B2 (ja) ラベル
CN101370661B (zh) 涂有耐油墨保护层的柔性电路
JP7300052B2 (ja) 紙キャリアテープ用カバーテープ、電子部品搬送用包装体および電子部品包装体
WO2015068610A1 (ja) タイヤ用粘着シートおよびタイヤ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9191106A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KR20180034415A (ko) 압력 감응 접착 필름 및 표면 보호를 위한 그것의 용도
JP2003119441A (ja) メッキ用マスキングテープ
JP2004066803A (ja) 接着性樹脂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法
JP5365087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5102226B2 (ja) 表面保護シート
JP6282500B2 (ja) 油面貼付用粘着シートおよび油面貼付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CN104112393A (zh) 用于橡胶制品的标签和底涂组合物
JP2020139099A (ja) 加飾成形用両面粘着シート、加飾成形用積層粘着シート及び加飾成形積層体
JP2003113354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201418030A (zh) 積層構件的製造方法及其所使用之熱熔樹脂組成物
JP4280552B2 (ja) 接着性樹脂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3931525B2 (ja) 粘着シート
JPWO2004028829A1 (ja) バリアチューブ
EP2998125A1 (en) Printing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1172588A (ja) 塗膜保護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