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798A -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798A
KR20100115798A KR1020107020199A KR20107020199A KR20100115798A KR 20100115798 A KR20100115798 A KR 20100115798A KR 1020107020199 A KR1020107020199 A KR 1020107020199A KR 20107020199 A KR20107020199 A KR 20107020199A KR 20100115798 A KR20100115798 A KR 20100115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motor
stator side
ring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385B1 (ko
Inventor
신야 구로사와
가즈히꼬 아라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전동기 하우징(4)과 트랜스미션 케이스(2) 사이에 개재되고, 전동기 하우징(4)과 연결하는 복수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와,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상기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의 중심인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에 의해 끼워지는 각도 영역 내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갖는 중간 부재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MOTOR, SUPPORTING MEMBER OF MOTOR AND METHOD OF SUPPORTING MOTOR}
본 발명은, 전동기의 고정자측 부재를 전동기 설치부에 고정하는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04742호 공보는, 회전 전기 기기의 원환 진동 모드의 마디(節)가 되는 부분에 스프링 막대를 배치하고, 이 스프링 막대를 통해 고정자 철심과 외주판을 접속하도록 한 지지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지지 구조에서는, 진동의 마디가 생기지 않는 원환 0차 모드 진동의 경우에는, 스프링 막대에 진동이 전달되어 버린다. 또한, 진동의 마디와 배(腹)의 수가 다수가 되는 원환 고차 모드 진동의 경우에는, 진동의 마디와 배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스프링 막대가 진동의 진폭이 큰 부분에도 위치하게 되어 진동이 전달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원환 모드 진동의 차수에 관계없이, 고정자측 부재로부터 전동기 설치 부재측으로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정자측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자측 지지 부재와 회전자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고정자측 지지선과, 인접하는 다른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형성되는 협각을 등분하는 중심선을 설정하고, 이 중심선과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끼워지는 중간 부재의 각도 영역 내에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배치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전동기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링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전동기 하우징에 발생하는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링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링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전동기 하우징 및 링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의 링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의 전동기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에 관한 링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예에 관한 링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제3 실시예에 관한 링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제4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제5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제6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을 실현하는 최량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편의상, 도 1, 도 2, 도 8, 도 10, 도 11, 도 15 내지 도 17의 도면상 좌측을 전동기의 전방 또는 전방측, 우측을 전동기의 후방 또는 후방측이라 칭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되는 전동기이며, 전동기(1)를 차량측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케이스(2)와, 내주면에 고정자(6)를 갖는 전동기 하우징(4)과, 고정자(6)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5)와, 전동기 하우징(4)과 트랜스미션 케이스(2) 사이에 개재되는, 전동기 하우징(4)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고정하기 위한 링(3)으로 형성된다.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2)는 본 발명의 전동기 설치 부재, 전동기 하우징(4) 및 고정자(6)는 본 발명의 고정자측 부재, 회전자(5)는 본 발명의 회전자측 부재, 링(3)은 본 발명의 중간 부재에 상당한다.
전동기 하우징(4)은, 전동기(1)의 전방측에 저벽 부분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동기 하우징(4)의 저벽 부분에는, 회전자(5)의 축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46)이 형성되어 있다. 전동기 하우징(4)의 내주면 상에는, 고정자(6)가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6)의 내측에는, 회전자(5)가 수납 장착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는, 전동기(1)의 전방측에 저벽 부분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저벽 부분에는, 회전자(5)의 축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내측에는, 링(3) 및 전동기 하우징(4)이 수납 장착되어 있다.
링(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 박판 부재이다. 링(3)에는, 도 3[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 방향 전방으로부터 링(3)의 정면을 본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3)에 대해 전동기 하우징(4)을 고정하기 위한 전동기 하우징 볼트(40)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링(3)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 볼트(40)가 설치되는 위치[관통 구멍(30)]를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라 칭한다. 또한 링(3)에는, 링(3)에 대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고정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링(3)에 있어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가 설치되는 위치[관통 구멍(31)]를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라 칭한다. 또한, 전동기 하우징 볼트(40) 및 관통 구멍(30)은 본 발명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 및 관통 구멍(31)은 본 발명의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링(3)에는, 관통 구멍(30)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관통 구멍(31)은 링(3)의 정면에서 볼 때(도 3)에 있어서, 회전자(5)의 회전 중심축(O)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를 연결하는 반직선을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으로 하고,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의 중심선[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을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으로 하면,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그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링(3)의 주위 방향의 일측(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에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에 의해 끼워진 각도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링(3)에는 관통 구멍(30)[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이 3개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30)은, 링(3)의 주위 방향을 따라 120°마다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각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은, 120°마다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 또한, 링(3)에는 관통 구멍(31)[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이 3개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31)은, 도 3에 있어서, 각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30°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은, 본 발명의 고정자측 지지선,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은, 본 발명의 고정자측 지지 중심선에 상당한다.
여기서,「각도 영역 내에 관통 구멍(31)이 형성된다」라 함은, 도 3에 예시한 관통 구멍(31a)과 같이, 상술한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에 의해 끼워진 각도 영역 내에 관통 구멍(31a) 전체가 들어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각도 영역 내에 관통 구멍(31)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라 함은, 상술한 각도 영역으로부터 관통 구멍(31b) 전체가 벗어나 있는 상태 외에, 도 3에 예시한 관통 구멍(31b)과 같이, 상술한 각도 영역 내에 관통 구멍(31b)의 일부가 들어가 있는 상태[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이 관통 구멍(31b)을 통과하는 것과 같은 상태]를 포함한다.
[전동기 하우징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
전동기(1)가 구동하여 회전자(5)가 회전하면, 전동기 하우징(4)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도 4는 전동기 하우징(4)에 발생하는, 전형적인 진동 모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전동기 하우징(4)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선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실선, 가는 점선, 가는 1점 쇄선은 각각 위상 0°, 180°, -180°일 때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4의 (a)는, 원환 2차 모드 진동의 모습을 도시한다. 원환 2차 모드 진동에서는, 차수의 2배의 수, 즉 4개의 배(10)와 4개의 마디(11)가 발생한다. 마디(11)에서는, 진폭이 제로이므로, 전동기 하우징(4)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접속(체결 고정)함으로써,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로의 진동 변위의 입력을 억제할 수 있어,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하는 원환 0차 모드 진동이나 원환 고차 모드 진동에서는,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로 진동 변위가 입력되어 버린다.
도 4의 (b)는, 원환 0차 모드 진동의 모습을 도시한다. 원환 0차 모드 진동에서는, 원환 2차 모드 진동과 같은 마디(11)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동기 하우징(4)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접속할 수 없다. 따라서,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진동 변위가 입력되어 버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없다.
도 4의 (c)는, 원환 고차 모드 진동의 예로서 원환 8차 모드 진동의 모습을 도시한다. 원환 8차 모드 진동에서는, 원환 2차 모드 진동과 마찬가지로 차수의 2배의 수, 즉 16개의 배(10)와 16개의 마디(11)가 발생한다. 전동기 하우징(4)은, 볼트 등에 의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체결 고정된다. 당해 볼트는, 전동기 하우징(4)을 지지하는 데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 소정의 단면적을 갖는다. 원환 8차 모드 진동과 같이, 각 16개의 배(10) 및 마디(11)가 발생하면, 배(10)와 마디(11) 사이의 주위 방향의 간격이 좁아진다. 그로 인해, 전동기 하우징(4)을 볼트 등에 의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체결 고정할 때, 전동기 하우징(4)의 배(10)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동기 하우징(4)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체결 고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4)과 트랜스미션 케이스(2) 사이에 링(3)을 개재시킴으로써,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의 진동 변위를 우선 링(3)에 입력시키고, 링(3)에 그 진동 변위의 입력 위치에 따른 모드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또한 발생시킨 진동의 최대 진폭 위치를 제외한 위치에 있어서 링(3)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지지시켰다.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과 링에 발생하는 진동 모드의 관계]
다음에,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 즉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링(3)에 그 진동 변위가 입력되는 위치와, 이 입력 위치에 따라서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원환 0차 모드로 진동하고 있는 전동기 하우징(4)의 진동 변위가,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로부터 링(3)에 입력되었을 때에, 링(3)에 발생하는 진동 모드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전동기 하우징(4) 및 링(3)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 내지 (c)에 있어서, 가는 실선, 가는 점선, 가는 1점 쇄선은, 각각 위상 0°, 180°, -180°일 때의 전동기 하우징(4)의 형상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 굵은 점선, 굵은 1점 쇄선은, 각각 위상 0°, 180°, -180°일 때의 링(3)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위상 0°일 때의 전동기 하우징(4)의 형상을 나타내는 원과 링(3)의 형상을 나타내는 원은 서로 겹쳐져 있다.
여기서는, 전동기 하우징(4)에 원환 0차 모드 진동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링(3)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 모드는, 전동기 하우징(4)에서 발생하는 진동 모드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의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의 개수가 동일한 한, 전동기 하우징(4)에 원환 0차 모드 진동 이외의 모드의 진동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이 얻어진다.
전동기 하우징(4)은,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있어서 링(3)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3)의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각도(θ)마다 3개소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입력된 진동을 링(3)에 있어서 원환 3차 모드 진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를 3개소 설치하였다.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변환 후의 진동 모드의 차수의 개수만큼 배치하면 된다.
전동기 하우징(4)에 발생한 원환 0차 모드 진동의 위상이 180°가 되면, 전동기 하우징(4)은 도 5의 (b)에 가는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때 링(3)에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의 변위가 입력되어, 링(3)은 도 5의 (b)에 굵은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이 된다.
또한, 전동기 하우징(4)에 발생한 원환 0차 모드 진동의 위상이 -180°가 되면, 전동기 하우징(4)은 도 5의 (c)에 가는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경 방향으로 축소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때 링(3)에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변위가 입력되어, 링(3)은 도 5의 (c)에 굵은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도 6은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한 링(3)의 형상을 겹쳐 표시한 것이다. 링(3)에는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환 3차 모드 진동이 발생한다. 이 진동의 배(10)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상의 위치와,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1/2)θ 어긋난 위치[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상의 위치]에 발생한다. 또한, 이 진동의 마디(11)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1/4)θ 어긋난 위치 및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3/4)θ 어긋난 위치에 발생한다.
그로 인해, 링(3)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체결 고정할 때, 링(3)의 진동의 배(10)를 제외한 위치에서 링(3)과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접속하면, 링(3)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로 입력되는 변위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링(3)의 진동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접속(체결 고정)하면, 링(3)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로의 진동 변위의 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링(3)의 진동의 배(10)를 제외한 위치라 함은, 환언하면 배(10)가 발생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인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에 의해 끼워진 각도 영역 내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링(3)의 진동의 마디(11)의 위치라 함은, 환언하면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의 중심선 상[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당해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구성에 기초하는 작용]
제1 실시예에서는, 각 관통 구멍(30)[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을,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의 각도가 120°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또한, 각 관통 구멍(31)[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을,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각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30°[즉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의 각도 120°의 1/4의 각도] 어긋난 위치에 배치하였다. 이하, 이 구성에 기초하는 작용에 대해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와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한 제1 실시예의 전동기 하우징(4) 및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을 나타낸다.
전동기 하우징(4)을, 링(3)에 대해 3개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있어서 고정하였으므로, 링(3)에서는 원환 3차 모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링(3)에 대해 3개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있어서 고정하고, 이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각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30°어긋난 위치로 하였다. 이 위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사이의 각도 120°의 1/4의 각도 어긋난 위치이며 마디(11)의 위치에 해당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링(3)의 마디(11)의 위치에서 링(3)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측으로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효과에 대해 서술한다.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는, 전동기 하우징(4)에 수납 장착된 고정자(6)와 회전자(5)를 갖는 전동기(1)이며, 전동기(1)를 지지하는 트랜스미션 케이스(2)와 전동기 하우징(4) 사이에 개재되는 링(3)과, 전동기 하우징(4)과 링(3)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동기 하우징 볼트(40) 및 당해 전동기 하우징 볼트(40)가 설치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30)과, 링(3)과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연결하는 복수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 및 당해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가 설치되는 복수의 관통 구멍(31)을 갖고,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복수의 전동기 하우징 볼트(40) 및 관통 구멍(30)[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 중 1개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의 중심점과 회전자(5)의 회전 중심축(O)을 연결하는 반직선을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으로서 설정하고,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의해 형성된 협각을 등분하는 직선을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으로서 설정한 경우,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의해 끼워진 링(3)의 각도 영역 내에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 및 관통 구멍(31)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전동기 하우징(4)에 발생하는 진동 모드에 관계없이,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전동기 하우징(4)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보다도 작은 변위가 입력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 및 관통 구멍(31)[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은,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의해 끼워진 링(3)의 각도 영역의 중앙부[상기 각도 영역 내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의해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근방]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는, 링(3)의 진동의 마디(11)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링(3)의 진동 변위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볼트(40)에 의해 전동기 하우징(4)을 링(3)에 고정하고,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에 의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를 링(3)에 고정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제2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핀(41)에 의해 전동기 하우징(4)을 링(3)에 결합시키고,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에 의해 링(3)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결합시킨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전동기 하우징(4)의 저벽 부분에는, 상기 저벽 부분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동기 하우징 핀(4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전동기 하우징 핀(41)은, 상기 저벽 부분의 전방측면에 있어서의, 링(3)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링(3)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형성된 관통 구멍(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링(3)에는, 링(3)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은, 링(3)의 전방측면에 있어서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설치되어 있고, 링(3)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관통 구멍(2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29) 및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은, 본 발명의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진동의 마디에 있어서의 회전 변위]
링(3)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11)에는,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전 변위가 발생한다. 이하, 마디(11)에 있어서 발생하는 회전 변위에 대해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전동기 하우징(4)으로부터 링(3)에 입력되는 변위에 의해, 링(3)에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b)는,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전동기 하우징(4) 및 링(3)의 형상을 모식적으로 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b)에 있어서, 가는 실선, 가는 점선, 가는 1점 쇄선은, 각각 위상 0°, 180°, -180°일 때의 전동기 하우징(4)의 형상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 굵은 점선, 굵은 1점 쇄선은, 각각 위상 0°, 180°, -180°일 때의 링(3)의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양 도면에 있어서, 위상 0°일 때의 전동기 하우징(4)의 형상을 나타내는 원과 링(3)의 형상을 나타내는 원은 서로 겹쳐져 있다.
링(3)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진동의 위상이 변화되어도 직경 방향으로 변위하지 않지만[마디(11)의 직경 방향 위치는 변화되지 않지만], 당해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중심으로 한 회전 방향으로 변위한다[각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의 중심을 지나는,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에 평행한 축 주위로 회전 변위한다]. 이 회전 방향 변위가 가령 당해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입력되면,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 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형성된 관통 구멍(2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였다. 즉, 각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은, 링(3)의 전방측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에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관통 구멍(29)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각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은, 관통 구멍(29)에 대해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34)의 축 주위[또는 관통 구멍(29)의 중심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링(3)의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의 회전 방향 변위가, 링(3)으로부터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입력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로 인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진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링(3)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와 전동기 하우징(4) 사이에 배치하였다. 이에 대해 제3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4)의 내주측에 링(3)을 수납 장착한 점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당해 전동기(1)의 회전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링(3)은, 전동기 하우징(4)에 고정된 고정자(6)의 내주측에 삽입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링(3)은 고정자(6)의 내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전동기 하우징(4)의 저벽 부분의 내측면(후방측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링(3)에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복수의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고, 전동기 하우징(4)의 저벽 부분에는, 이 돌출부(35)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부(35)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5)의 전방측 선단부면에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가 결합되는 결합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결합 구멍(33)에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를 결합시킴으로써, 링(3)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고정하고 있다.
고정자(6)에 회전자(5)를 세트시키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자(6)의 내주면의 축 방향 양단부는 회전자(5)의 외주면에 대면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의 전동기(1)에서는, 고정자(6)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회전자(5)의 외주면이 대면하고 있지 않은 부분, 즉 고정자(6)의 내주면보다도 직경 방향 내측에서 전동기 하우징(4)의 저벽 부분과 회전자(5)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링(3)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동기(1)의 축 방향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다른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제1 실시예)
도 12는, 다른 제1 실시예에 관한 링(3)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를 링(3)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하였지만,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의 간격이 등간격으로 되지 않도록 배치해도 좋다. 다른 제1 실시예의 링(3)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의 주위 방향의 간격을, 링(3)의 정면에서 볼 때(도 1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의 순으로, 각각 100°, 120°, 140°로 하고 있다. 이때 각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25°[=100°×(1/4)], 30°[=120°×(1/4)], 35°[=140°×(1/4)]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른 제1 실시예의 링(3)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의 중심선 상[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11)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변위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제2 실시예)
도 13은 다른 제2 실시예에 관한 링(3)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를 3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3개 형성하였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를 4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8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즉,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2개 이상이며,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의 직경에 대해,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배(10)와 마디(11)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커지도록 배치하면, 개수는 몇 개라도 좋다.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2개 이상이며,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배(10)를 제외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또는 마디(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하면 개수는 몇 개라도 좋다.
다른 제2 실시예의 링(3)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링(3)의 주위 방향을 따라 90°마다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22.5°[=90°×(1/4)] 어긋난 위치 및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67.5°[=90°×(3/4)]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른 제2 실시예의 링(3)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의 중심선 상[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 및 당해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11)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변위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제3 실시예)
도 14는 다른 제3 실시예에 관한 링(3)의 정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와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를 동심원 상에 형성하였지만,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와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의 직경 방향 위치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르게 해도 좋다.
다른 제3 실시예의 링(3)에서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는, 링(3)의 주위 방향을 따라 120°마다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30°[=120°×(1/4)] 어긋난 위치 및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120°×(3/4)]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다른 제3 실시예의 링(3)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의 중심선 상[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 및 당해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이것에 링(3)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시계 방향에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 사이에 끼워진 각의 이등분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링(3)에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11)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변위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제4 실시예)
도 15는, 다른 제4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의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 볼트(20)에 의해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링(3)을 고정하고, 전동기 하우징 볼트(40)에 의해 전동기 하우징(4)을 링(3)에 고정하고 있었지만,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3) 대신에 중간 부재(7)를 설치하고, 이 중간 부재(7)를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키에 의해 고정하고, 전동기 하우징(4)을 중간 부재(7)에 키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중간 부재(7)는, 전방측에 저벽 부분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 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7)의 저벽 부분에는, 회전자(5)의 축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중간 부재(7)의 내주면 상에는, 중간 부재(7)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평행한 키 홈(70)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상에는, 중간 부재(7)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축 방향으로 평행한 키(71)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키 홈(70)은, 제1 실시예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와 동일한 주위 방향 위치, 즉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 상에 형성된다. 또한, 각 키(71)는, 제1 실시예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와 동일한 주위 방향 위치, 즉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그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에 대해 주위 방향의 일측(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에 인접하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에 의해 끼워진 각도 영역 내에 형성된다.
전동기 하우징(4)의 외주면 상에는, 중간 부재(7)의 키 홈(70)에 대응하는 위치에 키(42)가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내주면 상에는, 중간 부재(7)의 키(71)에 대응하는 위치에 키 홈(21)이 형성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내부에 중간 부재(7)가 삽입되어, 키 홈(21)과 키(71)가 결합된다. 또한, 중간 부재(7)의 내부에 전동기 하우징(4)이 삽입되어, 키 홈(70)과 키(42)가 결합된다.
즉, 중간 부재(7)에 있어서, 전동기 하우징(4)의 키(42)와 중간 부재(7)의 키 홈(70)은,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있어서 결합되고, 중간 부재(7)의 키(71)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키 홈(21)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있어서 결합되게 된다. 그로 인해, 다른 제4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에 있어서도,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전동기 하우징 지지선(C)과 전동기 하우징 지지 중심선(D)의 중심선 상에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는, 중간 부재(7)에 발생하는 진동의 마디(11)의 위치에 배치되므로,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변위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 있어서의 진동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제5 실시예)
도 16은 다른 제5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전동기 하우징(4)을 바닥이 있는 원통 컵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저벽 부분에 관통 구멍(46)을 형성하여, 그 내주면 상에 고정자(6)를 고정하고 있었지만, 전동기 하우징(4)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43)와 이 원통부(43) 측면의 일단부에 설치된 플랜지(44)를 갖는 형상으로 해도 좋다.
다른 제5 실시예에 관한 트랜스미션 케이스(2)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에는, 전동기 하우징(4)의 원통부(43)가 삽입되는 소직경부(22)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일단부측에 설치되고, 전동기 하우징(4)의 플랜지(44)가 삽입되는 대직경부(23)와, 대직경부(23)와 소직경부(22)를 연결하는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부(22)는 전동기 하우징(4)의 원통부(43)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다. 대직경부(23)는 전동기 하우징(4)의 플랜지(44)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다.
링(3)의 외경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대직경부(23)의 내경보다도 작다. 또한 링(3)의 내경은, 전동기 하우징(4)의 원통부(43)의 외경보다도 크다. 링(3)의 내부에는 전동기 하우징(4)의 원통부(43)가 삽입된다. 링(3)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대직경부(23)의 내주면과 전동기 하우징(4)의 원통부(43)의 외주면 사이이며, 또한 전동기 하우징(4)의 플랜지(44)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단차부(25)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수용된다.
전동기 하우징(4)의 플랜지(44)에는, 플랜지(44)의 후방측면으로부터 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45)는, 플랜지(44)의 후방측면 상에 있어서의, 링(3)의 전동기 하우징 지지점 위치(A)에 형성된 관통 구멍(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45)와 관통 구멍(36)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단차부(25)에는, 단차부(25)의 표면으로부터 축 방향 전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24)는, 단차부(25)의 표면 상에 있어서의, 링(3)의 트랜스미션 케이스 지지점 위치(B)에 형성된 관통 구멍(37)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4)와 관통 구멍(37)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 제5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트랜스미션 케이스(2), 링(3) 및 전동기 하우징(4)과, 회전자(5) 및 고정자(6)가 축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으므로[트랜스미션 케이스(2), 링(3) 및 전동기 하우징(4)의 축 방향 투영은, 회전자(5) 및 고정자(6)의 축 방향 투영에 겹쳐지지 않으므로], 전동기(1)의 축 방향 길이를 축소할 수 있다.
(다른 제6 실시예)
도 17은 다른 제6 실시예에 관한 전동기(1)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고정자(6)를 전동기 하우징(4)에 고정하고, 이 전동기 하우징(4) 및 고정자(6)를 링(3)에 고정하고 있었지만, 고정자(6)는 직접 링(3)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 케이스(2)는 바닥이 있는 원통 컵 형상으로 형성된 컵부(26)와, 이 컵부(26)의 개구부측을 봉쇄하는 덮개부(27)로 형성된다. 컵부(26)의 저벽 부분에는, 회전자(5) 축의 일단부측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6a)이 형성되고, 덮개부(27)에는 회전자(5) 축의 타단부측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링(3)은 트랜스미션 케이스(2)의 컵부(26)의 내측에 2매 삽입된다. 2매의 링(3) 중 한쪽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26b)에 의해 컵부(26)의 저면에 결합되고, 다른 쪽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핀(27b)에 의해 덮개부(27)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고정자(6)는 상기 2매의 링(3) 사이에 끼워져 있고, 고정자(6)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자 핀(60)에 의해 양 링(3)에 결합되어 있다.
다른 제6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전동기 하우징(4)을 설치하는 일 없이 고정자(6)를 링(3)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의 억제, 전동기(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 및 다른 제1 내지 제6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재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각 요소,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조합한 것,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본 출원은, 2008년 3월 1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061486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있고, 이들 출원의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전동기에서는, 고정자측 부재를 지지하는 고정자측 지지 부재와 회전자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고정자측 지지선과, 인접하는 다른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형성되는 협각을 등분하는 중심선을 설정하고, 이 중심선과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끼워지는 중간 부재의 각도 영역 내에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고정자측 부재에 발생하는 진동 모드에 관계없이, 전동기 설치 부재에서는, 고정자측 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보다도 작은 변위가 입력되므로, 전동기 설치 부재에 있어서 발생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동기, 그 지지 부재 및 그 지지 방법은, 산업상 이용 가능하다.

Claims (6)

  1. 고정자측 부재와, 회전자측 부재를 갖는 전동기이며,
    상기 전동기를 지지하는 전동기 설치 부재와 상기 고정자측 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부재와,
    상기 고정자측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와,
    상기 중간 부재와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 중, 1개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의 중심과, 상기 회전자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고정자측 지지선을 설정하고,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인접하는 다른 고정자측 지지선과,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형성되는 협각을 등분하는 중심선을 설정한 경우,
    상기 중심선과,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끼워지는 상기 중간 부재의 각도 영역 내에,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는, 상기 각도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는, 상기 중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고정자측 부재와 상기 회전자측 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기.
  5. 고정자측 부재와 회전자측 부재를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가 설치되는 전동기 설치 부재 사이에 설치한 중간 부재이며,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고정자측 부재와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와,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와 연결하는 복수의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 중, 1개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의 중심과, 상기 회전자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고정자측 지지선을 설정하고,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인접하는 다른 고정자측 지지선과,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형성되는 협각을 등분하는 중심선을 설정하고,
    상기 중심선과, 상기 고정자측 지지선에 의해 끼워지는 각도 영역 내에,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6. 고정자측 부재를 갖는 전동기와, 상기 전동기가 설치되는 전동기 설치 부재 사이에 설치한 중간 부재이며,
    상기 중간 부재는,
    상기 고정자측 부재와 연결하는 복수의 고정자측 지지 부재와,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와 연결하는 복수의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를 갖고,
    원환 0차 모드로 진동하는 상기 고정자측 부재의 진동은, 상기 고정자측 지지 부재를 통해 상기 중간 부재에 전파되고,
    상기 전파에 의해, 상기 중간 부재에는 복수의 진폭이 큰 부분과, 복수의 진폭이 작은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전동기 설치 부재측 지지 부재는, 상기 진폭이 작은 부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 부재.
KR1020107020199A 2008-03-11 2009-03-10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 KR101087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61486 2008-03-11
JP2008061486A JP5007693B2 (ja) 2008-03-11 2008-03-11 電動機、電動機支持部材および電動機支持方法
PCT/JP2009/054525 WO2009113527A1 (ja) 2008-03-11 2009-03-10 電動機、電動機支持部材および電動機支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798A true KR20100115798A (ko) 2010-10-28
KR101087385B1 KR101087385B1 (ko) 2011-11-25

Family

ID=4106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0199A KR101087385B1 (ko) 2008-03-11 2009-03-10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7173B2 (ko)
EP (1) EP2270959B1 (ko)
JP (1) JP5007693B2 (ko)
KR (1) KR101087385B1 (ko)
CN (1) CN101971463B (ko)
WO (1) WO20091135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9506B2 (ja) * 2010-07-27 2014-11-05 ミネベア株式会社 モータ取り付けプレート
EP2456047B1 (de) * 2010-11-22 2015-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 Maschine mit mehreren Momentenstützelementen
JP5742570B2 (ja) * 2011-08-09 2015-07-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駆動装置
US9347509B2 (en) * 2013-01-16 2016-05-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bration isolation system
EP2958214B1 (en) * 2013-02-12 2017-06-07 Nissan Motor Co., Ltd Rotating electrical machine
US20160149467A1 (en) 2014-11-25 2016-05-26 Black & Decker Inc. Brushless Motor for a Power Tool
US10500708B2 (en) 2015-10-14 2019-12-10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JP6377104B2 (ja) * 2016-07-15 2018-08-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モータ搭載機器
DE102016224262A1 (de) * 2016-12-06 2018-06-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Elektromotor
CN111769685A (zh) * 2020-06-30 2020-10-13 精进电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机壳体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0221A (en) * 1965-05-28 1966-08-30 Paul B Shaffer Motor vibration suppression mounting
US3787014A (en) * 1973-04-30 1974-01-22 R Story Replacement motor mounting
US3941339A (en) * 1975-04-25 1976-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Mounting arrangement for fan motor
US4425813A (en) * 1981-06-04 1984-01-17 Wadensten Theodore S Vibration dampening apparatus for motor actuated eccentric forces
US4587863A (en) * 1980-10-14 1986-05-13 Wadensten Theodore S Vibration dampening apparatus for motor actuated eccentric forces
US4452417A (en) * 1981-09-14 1984-06-05 Honeywell Inc. Vibration isolating motor mount
JPS58198142A (ja) * 1982-05-14 1983-11-18 Hitachi Ltd 電動機の防振装置
JPH0717243Y2 (ja) * 1987-10-30 1995-04-19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タの防振取付構造
JP2552610Y2 (ja) * 1989-10-20 1997-10-29 ソニー 株式会社 表示装置
JPH05304742A (ja) * 1992-04-24 1993-11-16 Toshiba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US5364062A (en) * 1993-08-02 1994-11-15 Controlair, Inc. Mounting apparatus for a railroad air brake cylinder
JPH09317824A (ja) * 1996-03-29 1997-12-12 Nok Megurasutikku Kk 防振マウント
US6045112A (en) * 1997-08-20 2000-04-04 Calsonic North America, Inc.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an electric motor
US5945756A (en) * 1997-10-07 1999-08-31 Siemens Canada Limited Ultra quiet electric mot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US5969447A (en) * 1997-10-08 1999-10-19 Simens Canada Limited End cap for an ultra quiet electric motor
JP3061775U (ja) 1999-03-01 1999-09-24 株式会社よこやま 着脱取手
DE19942840A1 (de) * 1999-09-08 2001-03-15 Bosch Gmbh Robert Entkopplungsvorrichtung für Aktuatoren
JP4492933B2 (ja) 2004-02-23 2010-06-30 梶原 正和 振動モータの回転部材
US6963153B1 (en) * 2004-06-01 2005-11-08 Wei-Chung Su Housing of motor
US7301253B2 (en) * 2005-05-16 2007-11-27 S&S Marketing, Inc. Vehicle electric fan motor with universal mount
JP4497148B2 (ja) 2005-10-24 2010-07-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ンバータ装置
JP2008099365A (ja) 2006-10-06 2008-04-24 Calsonic Kansei Corp 電動機ステータの固定構造
JP2012241755A (ja) * 2011-05-17 2012-12-10 Honda Motor Co Ltd 回転電機のハウジ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1463A (zh) 2011-02-09
WO2009113527A1 (ja) 2009-09-17
CN101971463B (zh) 2013-09-25
EP2270959B1 (en) 2020-01-22
US8587173B2 (en) 2013-11-19
JP2009219278A (ja) 2009-09-24
KR101087385B1 (ko) 2011-11-25
US20110025155A1 (en) 2011-02-03
EP2270959A1 (en) 2011-01-05
JP5007693B2 (ja) 2012-08-22
EP2270959A4 (en)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385B1 (ko) 전동기, 전동기 지지 부재 및 전동기 지지 방법
JP2795576B2 (ja) 同期電動機のロータ
JP5651371B2 (ja) 回転電機
JP5251014B2 (ja) 電動機
JP2010011681A (ja) 永久磁石式回転機の回転子構造
JP2007244163A (ja) 支持構造及び回転電機の回転子
US7083521B2 (en) Mounting structure of shaft to be tested on a balancer
JP2008064305A (ja) 膜補償継手およびホールアンカー接続部
JP2010141946A (ja) 回転電機
JP2019198190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6563124B2 (ja) 波動歯車減速機を備えた回転アクチュエータ
JP2015154623A (ja) 駆動装置のケース構造
CN106464044A (zh) 开关磁阻电机
JP5245359B2 (ja) 固定子取付構造
JP6023938B2 (ja) レゾルバ構造
KR102652082B1 (ko) 모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07318055A (ja) ロータリートランス
JP2019215068A (ja) リング部材
JP2019071764A (ja) ロータ、モータ及びロータの製造方法
JP2018129937A (ja) 回転電機
JP5736771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4289261B2 (ja) マグネットカップリング
IL83008A (en) Precision transducer placement system
JP2013064425A (ja) 波動歯車減速機
KR200233791Y1 (ko) 동력전달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