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9980A -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 Google Patents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9980A
KR20100109980A KR1020107019969A KR20107019969A KR20100109980A KR 20100109980 A KR20100109980 A KR 20100109980A KR 1020107019969 A KR1020107019969 A KR 1020107019969A KR 20107019969 A KR20107019969 A KR 20107019969A KR 20100109980 A KR20100109980 A KR 20100109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ranches
diverging
fla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940B1 (ko
Inventor
마르셀 아르떼옹
Original Assignee
마르셀 아르떼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셀 아르떼옹 filed Critical 마르셀 아르떼옹
Publication of KR20100109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66C1/6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for connection to anchor inserts embedded in concret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with anchoring or fastening elements for the shaped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콘크리트 패널들과 같은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주평면(P)을 따라 연장하는 조종 엔진 상의 조종을 위한 상부 부분(1) 및 건축 요소 내에 앵커(11)를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하부 부분(17)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분(17)은 앵커(11)의 하단부(17)의 방향으로 발산하고 주평면(P)의 외측으로 연장하며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γ)을 형성하는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11)는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γ)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을 서로에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14a, 14b)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패널들, 슬랩들 또는 블럭들의 조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된 발산 암들을 포함하는 건축 요소들을 조종하는 앵커{ANCHOR FOR HANDLING CONSTRUCTION ELEMENTS COMPRISING FIXED DIVERGENT ARMS}
본 발명은 건축 요소를 이동하는 목적을 위해서, 건축 요소의 조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축 요소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특히, 콘크리트 또는 혼합 재료인 미리 제조된 블럭들 및 패널들과 같은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러한 형태의 앵커 중 하나는 열장이음 앵커(dovetail anchor)이다.
열장이음 앵커는 평평한 부분으로 구성되고, 평평한 부분의 상부 부분은 건축 요소 및 건축 요소를 이동하도록 설계된 조종 엔진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하는 파지 헤드를 구획하고, 중앙 부분은 몸체, 하부 부분은 발을 구획한다.
몸체 및 발은 건축 패널을 구성하는 재료 내에 숨겨지도록 그리고 이 건축 요소에 부착하도록 설계되어서, 앵커 및 건축 요소는 수송 가능한 단일의 조립체를 형성한다.
열장이음 형상은 인양 방향의 반대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서 발산하는 두 개의 브렌치들을 포함하고, 두 개의 브렌치들은 이 브렌치들 위에 위치된 패널의 부분들을 위한 두 개의 지지 표면들을 구획해서, 일정한 고정 능력(anchoring capacity)을 한정한다.
따라서, 인양 동안에, 이 브렌치들은 패널의 무게의 대부분을 지지하고, 이 브렌치들 사이로 들어간 패널의 부분은 상당한 압축력들의 영역이 된다.
이러한 조건들 하에, 평평한 부분의 주평면에 대한 이 브렌치들의 각이 감소할 수 있고, 그것은 이러한 브렌치들에 의해 발생된 고정 능력에 변화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축방향 인장력 하에 어떠한 보충 프레임도 추가하지 않고 높은 성능들 및 안전도를 경제적으로 보장하면서, 상기 결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으로 형성되며, 주평면(P)을 따라 연장하고 조종 엔진에 걸기 위한 상부 부분, 앵커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 및 건축 요소 내에 앵커를 확보하도록 설계된 앵커의 발을 형성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발은 앵커의 하단부의 방향으로 발산하고 주평면(P)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브렌치들을 포함하며, 두 개의 브렌치들은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γ)을 형성하고, 상기 발산하는 브렌치들은 건축 요소의 인양 동안에 압축 콘(compression cone)을 한정하는 콘크리트 패널들과 같은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는 두 개의 브렌치들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γ)유지를 보장하고 발산 브렌치들과 함께 앵커의 발에 배치된 강화 틀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브렌치들을 서로에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는 하나의 발산 브렌치의 하단부와 각각 일체인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은 앵커의 하단부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고,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의 하부 모서리들을 따라 서로 접하며, 미리 결정된 각(γ)을 유지하기 위한 수렴 브렌치들을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두 개의 수렴 브렌치들은 하부 모서리들에 의해 서로 일체로 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로 형성되고,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 각각은 헤드 부분, 발산 브렌치 및 유지 브렌치를 한정하며, 제 1 및 제 2 평평한 부분들은 서로 마주하고 배치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앵커는 굽힘 라인들에 의해서 둘씩 짝을 이루어 분리된 연속적인 부분들을 포함하고, 제 1 헤드 부분, 제 1 발산 브렌치, 제 1 유지 브렌치, 제 2 유지 브렌치, 제 2 발산 브렌치 및 제 2 헤드 부분을 한정하는 단일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는, 헤드 및 발산 브렌치들 사이로 들어가며, 앵커가 건축 요소에 고정되면 건축 재료에 상기 앵커의 접촉력을 확보하는 작동 면들을 형성하고 앵커의 단부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발산하는 두 개의 마주하는 평평한 부분들을 포함한다.
또한, 앵커는, 작동 면들과 발산 브렌치들(13a, 13b) 사이로 들어가며, 앵커의 단부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거나 또는 서로 평행인 중간 면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산 브렌치들은 45°와 80° 사이의 각에 의해 주평면(P)에 대해서 비스듬히 있다.
발산 브렌치들이 실질적으로 45°와 동일한 각으로 주평면(P)에 대해서 기울어지면, 두 개의 작동 브렌치들 및 두 개의 유지 브렌치들은 직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윤곽을 구획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 브렌치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70°와 동일한 각으로 주평면(P)에 대해서 비스듬한 부분을 포함하고, 수직 부분은 주평면(P)에 평행이고 비스듬한 부분에 연속이며, 유지 브렌치들 각각은 수직 부분으로부터 각각 연장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헤드를 형성하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서 부착되고, 인양 링의 관통을 위한 구멍을 포함한다.
이와 달리, 헤드를 형성하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앵커는 예를 들어,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 사이로 들어간 원통형 헤드를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강화 틀의 두 개의 연이은 평평한 부분들은 둘씩 짝을 이루어 90°보다 크거나 같은 각을 한정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평평한 부분은 강철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는 평평한 부분의 몸체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연장하는 두 개의 올림 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은 평평한 부분의 몸체와 기울기 각을 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한정된 것과 같은 앵커 및 앵커의 발산 브렌치들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마주하는 면들을 구비하고 앵커의 강화 틀에 의해 구획된 구멍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그리고 대응하는 발산 브렌치와 동일한 기울기를 따라 연장하는 두 개의 기울어진 면들의 각각을 가지는 상기 틀의 어느 측면으로 연장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형상의 윤곽을 구비한 연장 요소를 포함하는 건축 요소들을 인양 및/또는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렴 강화 브렌치들에 의해 형성된 발산 브렌치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때문에, 인양하면서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발산 작동 브렌치들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패널들 또는 네트들(nets)의 인양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콘크리트 패널을 인양하면서, 수평면에 대해 10°와 45° 사이로 기울어진 브렌치들에 의해 발생된 고정 능력은 수평 브렌치들, 즉, 앵커의 몸체에 수직이고 수평면에 대해 0° 기울기를 구비하는 브렌치들에 의해 발생된 고정 능력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앵커의 발이 더 작은 크기의 고정 능력을 발생시키는 공지된 형태의 앵커들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므로, 얇은 패널 또는 시트(sheet)의 폭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발산 브렌치들에 의해서 한정된 압축력은 도 1에 화살표(F)로 나타낸 것과 같은 브렌치의 작동 표면에 바람직한 정방향을 따라 향하게 되어서, 콘크리트 슬랩 또는 패널(19)의 평면(D) 내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앵커들에 반하여 앵커들의 발은 디스크 형상이고, 그석의 원형 형상으로 인해 디스크의 360° 모두 상에 힘들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가장 큰 크기를 구비하는 슬랩의 방향으로 압축력을 발생시키고, 더 작은 크기의 방향을 따라 압축력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이 방향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런 형태의 앵커는 단지 한 개 또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의 구부림에 기초한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평평한 부분의 두 개의 연이은 면들 사이의 어떠한 각들도 예각을 한정하지 않고, 그 각들은 구부림에 기인한 어떠한 재료 약화도 방지하고 구부림 재작업을 방지한다.
단지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서,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되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상세한 사항들 및 이점들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앵커의 인양의 목적을 위해 건축물 패널 내의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앵커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앵커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앵커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앵커의 투시도이다.
도 7, 8 및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실시예의 세 번째 가능한 변형의 정면도, 측면도 및 투시도이다.
도 10, 11 및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실시예의 네 번째 가능한 변형의 정면도, 측면도 및 투시도이다.
도 13 및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가능한 변형을 나타낸다.
도 15 내지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변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장치들은 미리 제조된 콘크리트 블럭들 또는 패널들과 같은 건축 요소들의 조종, 특히 인양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었다.
도 1은 도면부호 11로 일반적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앵커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앵커(11)는 헤드 부분(1), 앵커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16) 및 발을 형성하는 부분(17)을 포함한다.
앵커(11)는, 조종을 용이하게 하도록, 건축물 요소의 재료 외측에 남아서 조종 엔진에 걸리도록 설계된 헤드(1)를 제외하고, 건축물 요소를 형성하는 재료 내에 박히도록 설계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건축물 요소는 콘크리트 슬랩(slap) 또는 패널(panel)(19)이 될 수 있고, 앵커의 헤드(1)는 내부에 헤드가 앵커를 지나가게 하도록 오목부(22) 또는 "레저베이션(reservation)"이 형성된 패널(19)의 자유 부분(21)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며, 앵커의 몸체(16) 및 발(17)은 콘크리트 내에 박힌다.
도 1에 따른 앵커(11)는 예를 들어, 금속인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12a, 12b), 즉, 두 개의 견고한 스트립들로 이루어지고, 그것의 두께는 폭에 비해서 작으며, 평평한 부분들(12a, 12b)은 평평한 부분의 주평면(principal plane)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 브랜치(active branch)를 한정하도록 각각 구부러진다.
각각의 평평한 부분은 그것의 폭이 패널의 두께의 방향으로 되도록 패널 내에 배치된다.
발산 브랜치들은, 평평한 부분의 전개 표면과 결합되는 작동 표면들(15a, 15b)을 한정하고, 면들에 의해 만들어진 앵커들의 직각으로 접착력 및 전단력 모두로 콘크리트를 강하게 잡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수평면에 대한 발산 브랜치들의 기울기 및 앵커의 헤드에 대한 콘크리트 내의 브랜치들의 깊이로 인해, 발산 브랜치들이 앵커의 발에 위치되기 때문에, 브랜치들을 인양할 때, 이 브랜치들(13a, 13b)은 앵커의 주평면 상에 중심이 맞춰진 압축 콘을 구획하며, 압축 원뿔체의 상단부는 앵커의 발을 향하여 위치되고, 압축 원뿔체의 하단부는 앵커의 헤드 둘레로 확장한다. 압축 원뿔체의 하단의 넓이는 하나의 브랜치(13a, 13b)의 기울기(α)가 45°에 가까울 때 더욱 크고, 이 기울기가 수평면, 즉, 0°에 가까울 때 더 작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을 인양할 때, 평평한 부분의 길이방향 평면(P)에 대해서 고정된 발산 브랜치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해서, 앵커(11)는 수평으로 또는 두 개의 교차하는 평면들을 따라서 서로(14a, 14b)를 향하여 수렴하고, 앵커의 발의 방향으로 발산 브랜치(13a, 13b)의 연장으로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브랜치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수렴하는 브랜치들(14a, 14b)은 브랜치들(14a, 14b)이 연장하는 발산 브랜치들(13a, 13b)에 대해서, 발산 브랜치들(13a, 13b)의 기울기를 유지하는 수단을 한정한다.
또한, 접하고 있는 수렴 브랜치들(14a, 14b)은, 콘크리트 패널의 인양 동안에 브랜치들(13a, 13b)에 충만한 콘크리트에 의해서 가해지는 무게의 영향 하에 이 브랜치들(13a, 13b)이 구부러지는 것을 피하기 위한 강화 부재들(stiffening members)과 같은 발산 브랜치들(13a, 13b)에 영향을 준다.
또한, 두 개의 수렴 브랜치들(14a, 14b,)은 이 발산 브랜치들(13a, 13b)과 예를 들어, 정사각형 모양의 가로지르는 단면을 구비하는 변형 저항의 틀(deformation-resestant case)을 구획하기 위해서, 발산 브랜치들(13a, 13b) 맞은편에 수렴 브랜치들(14a, 14b)의 모서리들(18a, 18b)에 의해 서로 접하고 있다
앵커의 수렴 부분들(14a, 14b)의 접한 모서리들(18a, 18b)은 서로에 유리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예를 들어, 돌출부(lug)를 통한 용접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앵커가 단일의 평평한 부분으로 구성되는 경우 굽힘(bending)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전술한 딱 들어맞는 앵커의 경우와 반대로, 발산 브랜치들(13a, 13b)의 기울기는 평평한 부분의 주평면(P)에 대해서 변하기 쉽지 않고, 두 개의 맞은편의 브랜치들(13a, 13b) 사이로 들어간 콘크리트는 과압되지 않는다.
또한, 수렴 브랜치들(14a, 14b)의 내부 표면들(17a, 17b)은 콘크리트 및 본 앵커 사이의 접착에 관여한다.
발산 브랜치들(13a, 13b)의 기울기의 유지를 보장하는 브랜치들(14a, 14b)의 존재로 인해서, 이 발산 브랜치들(13a, 13b)에 의해 구획되는 고정 원뿔체(anchoring cone)가 변함없이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지 브랜치들(14a, 14b)로 인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45° 기울어진 브랜치들에 의해 구획되는 큰 넓이(Cmax)를 가진 고정 원뿔체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넓이(Cmax)의 원뿔체는 가능한 한 (원뿔체(Cmax)에 의해 구획된 부피만큼) 큰 콘크리트의 부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큰 고정 또는 인양 능력을 한정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앵커는 예를 들어, 5톤 내지 10톤의 주문품의 매우 무거운 요소들의 인양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그러한 앵커들은, 도 6에 도시된 수평에 대해서 단지 20° 기울어진 발산 브랜치들(13a, 13b)로 얻어진 더 작은 넓이로 원뿔체를 변함없이 유지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20° 기울어진 브랜치들에 의해 발생된 콘크리트의 부피가 45° 기울어진 브랜치들에 의해 발생된 콘크리트의 부피보다 작기 때문에, 이러한 원뿔체의 고정 능력은 도 1의 앵커의 원뿔체의 고정 능력보다 낮다.
그러나, 두 경우들 모두에서, 수렴 브랜치들(14a, 14b)의 존재로 인해 원뿔체의 넓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앵커 인양력(anchor lifting force)이 건축 요소를 인양 및/또는 그 다음의 연속적인 인양들 동안에 일정하게 유지된다.
형상에 관계없이, 강화 틀(stiffening case)은 인양할 때 압축 면적들을 발생시키면서 콘크리트 내의 작동 요소인 앵커의 발을 구획한다.
앵커 깊이, 즉, 상기 틀이 콘크리트 건축 요소의 상부에 대해 설치되는 깊이는 콘크리트 내의 앵커의 저항을 결정한다.
사실, 기계적 강도 수치와 앵커 깊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들의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 및 7 내지 12에 따른 앵커들은 앵커의 발, 즉, 앵커의 헤드로부터 적어도 120㎜에 배치되고(아래 테이블 1 참조) 건축 요소 내의 적어도 130㎜ 깊이로 연장하도록 의도된 발산 브랜치들(13a, 13b)을 포함한다.
이 브랜치들(13a, 13b)은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 각으로 기울어지고, 수렴 브랜치들(14a, 14b)은 발산 브랜치들(13a, 13b)과 직각으로 구획한다.
그러므로, 발산 브랜치들(13a, 13b) 및 수렴 브랜치들(14a, 14b)에 의해 형성된 틀(case)은 상대적으로 짧은 측면들을 가진 정사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이 정사각형 틀은 인양 방향에 평행인 그 틀의 대각선으로 인양되도록 건축 요소 내로 연장한다. 이러한 정사각형 단면 때문에, 그 틀은 매우 견고하고, 특히, 변형 저항력이 있다. 그리고, 45° 각에 기인하여, 발생된 압축 콘은 상당하다.
반면에, 도 4 내지 6의 앵커는 앵커의 발에 언제나 배치되나 20°의 각(α)을 한정하는 두 개의 발산 브랜치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앵커는 앵커의 접착 표면을 증가시키는 중간 면들(31a, 31b, 32a, 32b)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발산 브랜치들(14a, 14b)의 기울기 각을 유지하기 위한 브랜치들은, 도 1 내지 3 및 7 내지 12의 브랜치들(14a, 14b)을 위한 틀과 같은 45° 기울어진 평면이 아닌 수평면을 따라 연장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평 브랜치들(14a, 14b)은 도 1의 45° 기울어진 브랜치들의 수렴 브랜치들(14a, 14b)보다 도 4의 20°로 기울어진 발산 브랜치들에 더 가까워서, 작은 높이를 구비하지만 여전히 변형 저항력이 있는 틀을 구획한다. 이러한 틀의 작은 높이로 인해, 앵커 몸체의 동일한 길이에 대해서, 도 4의 앵커는 도 7의 앵커보다 더 작은 전체 길이를 구비하며, 이러한 경우에, 앵커는 슬랩의 가장 작은 치수, 즉, 두께를 따라 연장하기 때문에(도 6 참조), 수평면을 따른 콘크리트 슬랩들의 이송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동일한 전체 앵커 길이에 대해서, 발산 브랜치들(13a, 13b)의 20° 기울기 및 유지 브랜치들(14a, 14b)의 수평상태에 기인한 짧은 틀 때문에, 20° 기울기의 발산 브랜치들(13a, 13b)은, 발산 브랜치들이 45° 기울기로 있고 유지 브랜치들은 수평이 아니라 앵커의 하부 모서리를 향하는 두 개의 교차하는 평면들을 따라 수렴하는 도 7의 틀에서보다 앵커의 하단에 더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의 앵커의 20° 기울어진 브랜치들은 도 7의 앵커의 발산 브랜치들(13a, 13b)보다 슬랩 또는 패널 내에 더욱 깊게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도 7의 45° 기울어진 브랜치들이 더욱 큰 고정 콘을 발생시킬지라도, 콘크리트 내에 더욱 깊게 고정된 20° 기울어진 이러한 브랜치들(13a, 13b)은 도 7의 45° 기울어진 브랜치들의 고정 능력에 상응하거나 훨씬 더 큰 고정 능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제, 실시예의 각각의 변화가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는, 도시된 것과 같이 부드러운 금속 스트립에서 나오는, 또는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른 골이 지게 짜여진(ribbed)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12a, 12b)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된다.
각각의 평평한 부분(12a, 12b)은 주평면(P)을 따라 연장하는 주요 부분을 가지는 평평한 부분(12a, 12b), 주평면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 브랜치(13a, 13b) 및 작동 브랜치를 연장하고 주평면을 향하여 되돌아가는 유지 브랜치(14a, 14b)를 제공하기 위해, 두 개의 굽힘 라인들(bending lines)을 따라 구부러진다.
도 2의 오른쪽 평평한 부분(12b)의 다른 부분들이 왼쪽 평평한 부분(12a)의 다른 부분들보다 더욱 잘 보이기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것은 오른쪽 평평한 부분(12b)이며, 물론 이 설명은 왼쪽 평평한 부분(12a)을 위해서 역시 적용된다.
제 1 굽힘 라인(22b)은 주 평면(P)을 따라 연장하고 제 2 평평한 부분(12a)의 대응하는 부분(21a)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설계된 평평한 부분(12b)에 대한 주부분(21b)을 구획한다. 이러한 주부분(21b)은 상단에 조종 고리(handling hook)가 맞물리도록 설계된 구멍(23b)을 가진다.
주평면(P) 외측으로 굽힘 라인(22b)으로부터 연장하는 작동 브랜치(13b)는 평평한 부분(12b)의 주부분(21b)과 대략 135°의 각을 한정한다.
그러므로, 수평면에 대해서, 발산 브랜치(15b)의 작동 표면은 45°로 기울어진다.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발산 브랜치들(15a, 15b)은 발산 브랜치들의 수평면에 대한 45° 기울기 때문에, 인양 동안에 콘크리트 내에 상당한 넓이의 압축 콘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작동 발산 브랜치들 및 수렴 강화 브랜치들에 의해서 형성된 변형 저항력이 있는 틀(17)은 수평면에 대해서 고정된 발산 브랜치들의 기울기를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앵커는 앵커의 발에 변형 저항력 있는 단부 틀(17)을 여전히 포함하나, 그것은 스스로 구부러진 단일의 평평한 부분(12)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단일의 평평한 부분은 직선 부분(21b), 전술한 작동 브랜치(13b) 및 수렴 브랜치(14b)를 구획하기 위해 굽힘 라인들(22b, 23b)을 따라 구부러지며, 그리고나서, 변형 저항력 있는 틀(17)의 하부 수직 코너를 구획하기 위해 도 10의 만곡(25)을 따라 90°로 구부러진다. 그리고나서, 평평한 부분(12)은 수렴 브랜치들(14a), 발산 브랜치들(13a) 및 맞은편의 직선 부분(21a)을 구획하기 위해서 라인들(23a, 22a)을 따라 구부러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평평한 부분인 직선 부분들(21a, 21b)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예를 들어, 스크류를 구비하거나 하지 않은 원통형 또는 어떤 파지 수단에 적용할 수 있는 어떤 다른 형상의 그립 헤드(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획한다. 또한, 이러한 이격은 앵커의 발 및 콘크리트의 더 큰 부피를 초래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11)는 여전히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지나, 이러한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은 앵커(11)의 몸체(16) 및 제 1 틀(17) 사이로 들어간 도 2의 실시예와 관련된 추가적인 틀을 구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각각의 평평한 부분(12a, 12b)은 직선 부분(21b), 직선 부분에 의해서 구획된 주평면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부 블레이드(31b), 주평면을 향하여 평평한 부분을 되돌리는 하부 블레이드(32b), 상기 작동 브랜치(13) 및 상기 강화 브랜치(14b)로 각각의 평평한 부분(12a, 12b)을 분리하는 네 개의 굽힘 라인들을 포함한다.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의 상부 블레이드들(31a, 31b)은 앵커(11)의 발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발산하고, 대략 15°의 각이 진 개구부를 구획한다. 하부 블레이드들(32a, 32b)은 서로 거의 접하도록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하부 블레이드들(32a, 32b)은 인양하면서 발산 블레이드들(31a, 31b) 사이로 들어간 콘크리트 부분을 위한 지지 표면들을 구획한다.
상부 블레이드들(31a, 31b)은 앵커와 콘크리트 사이의 중간 작동 접착 부분들을 구획하고, 수평면에 대해서 상부 블레이드들(31a, 31b)의 대략 80°의 기울기로 제공되는 매우 작은 압축 콘을 발생시킨다.
앵커는 조종 고리의 관통을 위한 구멍(23) 및 금속 강화재(metallic reinforcement)를 위한 관통 슬릿(34)을 포함한다.
블레이드들(31a, 31b) 및 평평한 부분의 전개 표면과 결합된 발산 브랜치들(13a, 13b)과 수렴 브랜치들(14a, 14b)은 면들에 의해 형성된 앵커들의 직각으로 접착력 및 전단력 모두를 위하여 콘크리트를 편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앵커는 정사각형 모양의 가로지르는 단면을 구비하는 끝단 틀(17)을 구획하는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 및 상부 작동 블레이드들(31a, 31b)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나, 하부 블레이드들(32a, 32b)은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지 않는다. 반대로, 하부 블레이드들(32a, 32b)은 서로에 평행이다. 그러므로, 하부 블레이드들(32a, 32b)은 발산 블레이드들(31a, 31b) 사이로 들어간 콘크리트 부분을 위한 지지 표면을 구획하지 않으나, 단지 내부의 길이방향 부피가 끝단 틀(17)의 정사각형 모양의 내부 부피로 통한다.
도 4 내지 6은 금속인 두 개의 동일한 평평한 부분들로 형성된 앵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특히, 작동 발산 브렌치들(13a, 13b)이 도 1 내지 3 및 7 내지 12의 45°에서 발산 브렌치들의 압축 콘보다 선험적으로 더 작은 압축 콘을 발생시키는 수평면에 대한 대략 20°의 기울기 각을 구획한다는 사실에 있다.
이 경우에, 각각의 발산 브렌치들(13a, 13b)은 수평면을 따라 연장하는 전술한 강화 브렌치(14a, 14b)에 의해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평한 부분(36a, 36b)에 의해서 연장된다.
설명된 앵커들의 치수들
적절한 치수를 나타내는 문자 도 2의 앵커 도 4의 앵커 도 7의 앵커 도 10의 앵커
a 200 185 160 160
b
155
85
160
90
118
40
121
-
c 35 35
78
-
d 35 35 -
e 20 9 42 -
f 20 16 -
g 4 3 3 -
h 20 20 20 20
i 14 14 14 14
j - - 18 -
k - - 25 25
l - - 30 30
m - - - 121
또한, 도 13 또는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화에 따르면, 도 1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은 정사각형 모양의 강화 틀 앵커는 올림 핀들(41a, 41b)을 구비한다.
이 핀들(41a, 41b)은 앵커의 몸체(21a)의 길이방향 모서리(43a)를 측면으로 지나서 연장하는 평평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고, 약 20°의 각을 형성하기 위해 몸체(21a)의 갈이방향 모서리(43a)와 일치하는 라인(43a)을 따라 구부러진다.
두 개의 핀들(41a, 41b)은 P 평면에 대해서 대칭이다.
이러한 핀들(41a, 41b)은 도 13 또는 14에 표시된 화살표(R)에 의해서 설명된 방향으로 건축 요소의 인양 동안에 콘크리트 압축 표면들을 구획한다.
도 13 및 14에 라인들의 세트들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리브들(60)은 핀들(41a, 41b)의 접힌 부분들 내에 압인(押印)되고, 굽힘 저항(resistance to unfolding)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구비하며, 리브들(60)은 핀들의 모퉁이(angle) 내에 위치된다.
도 13의 실시예 또한 강화 틀 및 올림 핀들(41a, 41b)을 구비하는 앵커이지만, 앵커의 몸체(21a, 21b)에 올림 핀들(41a, 41b)을 연결하는 라인들은 앵커의 중간축(M)을 통해 지나가고, (도 15에서 볼 수 있는 구성 중 하나인) 가로지르는 슬롯들(slots)이 길이방향 모서리(43a)에서 중간축(M)까지 앵커의 몸체에 만들어진다.
평평한 부분의 실제 몸체에 핀들(41a, 41b)을 만드는 것에 의해서, 추가적인 재료를 필요로하는 도 14의 앵커의 핀들에 비해 재료를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평평한 부분의 몸체에 슬롯들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 14의 앵커의 핀들을 만드는 것이 더 간단하다.
핀들(41a, 41b)은 도 13 및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20°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축 인장(axial tension) 하의 접착력에 일부 작용하고 대부분 압축 콘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앵커를 올리는 작용을 한다.
도 15 내지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해결책은 20° 기울어진 발산 브렌치들(13a, 13b)을 구비한 앵커에 의해 발생된 고정 콘(anchoring cone)의 선험적인 작은 넓이를 위해서, 앵커의 강화 틀 내로 도입되고, 발산 브렌치들(13a, 13b)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즉, 수평면에 대해서 20°로 기울어진 두 개의 면들(52a, 52b)을 구비하는 연장 요소(51)로 이 브렌치들을 연장하는 것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기울어진 면들(52a, 52b)은 강화 틀의 어느 측면으로 앵커의 고정 능력을 증가시키는 강화 틀에 의해 발생된 콘(Cinf)과 동일한 넓이의 고정 콘들을 발생시킨다.
도 18의 연장 요소(51)는 강도를 증가시키는 두 개의 리브들(70)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71)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 요소(51)는 예를 들어, 120㎜의 길이(L)를 구비할 수 있고, 강화 틀의 어느 측면 상으로 45㎜(n) 돌출할 수 있다. 강화 틀은 앵커의 평평한 부분(21a)의 몸체의 폭(p)과 같은 30㎜의 폭(o)을 구비할 수 있다.
아래 표 2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수치 해석(numerical simulation)에 의해 수행된 비교를 통한 연구들은 연장 요소(51)를 추가하는 것이 인장 테스트들에 대해 33% 인장 강도의 면에서 앵커의 성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어떤 연장 요소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은 앵커들의 성능의 비교
도 6의
어떠한 연장요소도 없는 앵커
도 19의
연장 요소를 구비한 앵커
콘크리트의 종류 15 MPa 25 MPa 15 MPa 25 MPa
인장 강도 62 kN 62 kN 83 kN 83 kN
재료의 종류 steel steel steel steel
이러한 형태의 연장 요소는 접착력으로 작용하는 도 4에 도시된 중간의 기울어진 평면들(31a, 31b)을 위한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이러한 형태의 연장 요소는 주로 얇은 슬랩들을 위한 그리고, 압축 콘 및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20°에서 45°까지 기울기 각들을 가지는 도 1 내지 12의 앵커들에 부가 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8 내지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20° 기울어진 발산 브렌치들(13a, 13b)을 가진 앵커는 어떠한 작동 면들도 없이 주 평면(P)을 따라서만 연장하는 평평한 부분의 몸체들(21a, 21b)을 가지고, 도 19에 대해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연장 요소(51)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 요소는 앵커의 어느 측면 상으로 120㎜의 길이 이상 연장한다.
앵커 및 연장 요소(51)는 건축 요소의 주물(casting) 동안에 미리 결정된 위치들 내에 유지된다.
연장 요소(51)는 압축 콘을 증가시키고, 그것에 의해서, 더 많이 실행할 수 있는 그리고 더 짧은 앵커가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러므로, 매우 얇은 슬랩들에 사용될 수 있다.
앵커 및 연장 요소가 별개의 부분들로 있을 때보다 더욱 경제적인 제조를 제공하면서, 헤드, 몸체, 강화 틀 및 연장 요소를 구획하는 금속 시트의 굽힘에 의해서 일체형 앵커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인양될 건축 요소에 의존하는 최적의 앵커를 한정하기 위해, 틀의 정사각형 모양의 단면 형상, 수렴 브렌치들의 수평 연장, 발산 브렌치들의 10, 20,… 45° 기울기, 중간 면들(31)의 존재 또는 부재, 그것들의 개수와 같은 상기 설명된 앵커의 실시예들의 특징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들은 상기 특징들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결합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즉:
- 가변적인 길이 및 기울기들을 가진 중간 면들(31a ,31b)
- 발산 브렌치들(13a, 13b)이 45° 기울어지고, 상당한 고정 콘을 발생시키는 강화 틀
- 20° 기울어진 발산 브렌치들(13a, 13b)을 가지는 틀(다른 도면들)
- 앵커의 발산 브렌치들(13a, 13b)의 기울기 각을 유지하는 기능을 보장하는 평평한 부분(14a, 14b)은 수평 부분을 포함하고, 이 평평한 부분(14a, 14b)은 앵커가 단일의 평평한 부분에 의해서 형성될 경우 단일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앵커가 두 개의 결합된 평평한 부분들에 의해서 형성될 경우 두 개의 별개의 평평한 부분들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 앵커
- 또는, 발산 브렌치들(13a, 13b)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둘씩 짝을 이룬 다양한 기울어진 면들을 가진 부분을 포함하는 앵커
- 연장 요소를 추가로 구비하는 앵커
- 또는, 특히,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올림 핀들을 더 구비하는 앵커.
제공된 상세한 설명들 및 도면들에 의해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종래의 앵커들에 비해 주요한 이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렴 강화 브렌치들에 의해 형성된 발산 브렌치들의 기울기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 때문에, 인양하면서 콘크리트의 무게로 인해 발산 작동 브렌치들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패널들 또는 네트들(nets)의 인양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콘크리트 패널을 인양하면서, 수평면에 대해 10°와 45° 사이로 기울어진 브렌치들에 의해 발생된 고정 능력은 수평 브렌치들, 즉, 앵커의 몸체에 수직이고 수평면에 대해 0° 기울기를 구비하는 브렌치들에 의해 발생된 고정 능력보다 더 크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앵커의 발이 더 작은 크기의 고정 능력을 발생시키는 공지된 형태의 앵커들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므로, 얇은 패널 또는 시트(sheet)의 폭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발산 브렌치들에 의해서 한정된 압축력은 도 1에 화살표(F1)로 나타낸 것과 같은 브렌치의 작동 표면에 바람직한 정방향을 따라 향하게 되고, 그러므로, 콘크리트 슬랩 또는 패널(19)의 평면(D) 내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앵커들에 반하여 앵커들의 발은 디스크 형상이고, 그석의 원형 형상으로 인해 디스크의 360° 모두 상에 힘들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 따른 앵커는 가장 큰 크기를 구비하는 슬랩의 방향으로 압축력을 발생시키고, 더 작은 크기의 방향을 따라 압축력을 발생시키지 않아서, 이 방향으로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런 형태의 앵커는 단지 한 개 또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의 구부림에 기초한 간단하고 저렴한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또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평평한 부분의 두 개의 연이은 면들 사이의 어떠한 각들도 예각을 한정하지 않고, 그 각들은 구부림에 기인한 어떠한 재료 약화도 방지하고 구부림 재작업을 방지한다.
또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발산 브렌치들(13a, 13b) 및 수렴 브렌치들(14a, 14b) 사이의 각들은 90°보다 크거나 같다.
또한, 사용되는 앵커가 20 내지 50 톤의 적재 능력을 구비하도록 선택되면, 밀리미터의 단위로 되도록 그리고 도시된 예시적인 앵커들 내에서는 적어도 3㎜로 되도록 선택되는(표 1의 라인 <c> 참조) 사용되는 평평한 부분의 두께는 발산 브렌치(13a ,13b)와 그 다음의 수평 또는 수렴 브렌치(14a, 14b) 사이의 예각을 한정하는 것과 심지어 두 개의 조립된 평평한 부분들을 가진 앵커를 제조하는 것을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게 한다.
사실상, 평평한 부분의 두께(3, 4, 5, 8 ㎜ 또는 그 이상)는 앵커가 조종될 건축 요소들의 무게와 관련될 수 있는 1, 3, 5 톤 또는 그 이상의 기계적 강도(mechanical strength)를 한정한다.

Claims (16)

  1. 주평면(P)을 따라 연장하고 조종 엔진 상에 걸기 위한 상부 부분(1), 앵커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 및 앵커의 발을 형성하고 건축 요소 내에 앵커(11)를 확보하기 위해 설계된 부분(17)을 포함하고, 상기 발(17)은 앵커(11)의 하단부의 방향으로 발산하고 주평면(P) 외측으로 연장하며 그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Y)을 형성하는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을 포함하고, 상기 발산 브렌치들은 건축 요소를 인양하면서 압축 콘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으로부터 형성된 콘크리트 패널들과 같은 건축 요소들을 인양하고 들어올리기 위한 앵커로서,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 모두 사이에 미리 결정된 각(Y)을 유지하고 발산 브렌치들과 함께 앵커의 발에 배치된 강화 틀을 형성하기 위해 두 개의 브렌치들(13a, 13b)을 서로에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부분(14a, 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발산 브렌치(13a, 13b)의 하단부와 각각 일체인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14a, 14b)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은 앵커(11)의 하단부(17)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고, 상기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의 하부 모서리들(18a, 18b)을 따라 서로 접하고 있으며, 미리 결정된 각(Y)을 유지하기 위해 수렴 브렌치들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수렴 브렌치들(14a, 14b)은 하부 모서리들(18a 18b)에 의해 서로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굽힘 라인들(22a, 23a)에 의해서 둘씩 짝을 이루어 분리된 연속적인 부분들을 각각 포함하고, 헤드 부분(1), 발산 브렌치(13a) 및 유지 브렌치(14a)를 한정하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로부터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평평한 부분(12a, 12b)은 서로 마주하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굽힘 라인들(22a, 23a, 25, 23b, 22b)에 의해서 둘씩 짝을 이루어 분리된 연속적인 부분들을 포함하고, 제 1 헤드 부분(21a), 제 1 발산 브렌치(13a), 제 1 유지 브렌치(14a), 제 2 유지 브렌치(14b), 제 2 발산 브렌치(13b) 및 제 2 헤드 부분(21b)을 한정하는 단일의 평평한 부분(12)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1)와 발산 브렌치들(13a, 13b) 사이로 들어가고,
    앵커가 건축 요소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건축 재료에 접착력을 확보하는 작동 면들을 형성하고 앵커(11)의 단부(17)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서 발산하는 두 개의 마주하는 평평한 부분들(31a, 3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7. 제 6 항에 있어서,
    작동 면들(31a, 31b)과 발산 브렌치들(13a, 13b) 사이로 들어가고,
    앵커의 단부의 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수렴하거나 또는 서로 평행인 중간 면들(32a, 32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산 브렌치들(13a, 13b)은 45°와 80° 사이의 각(γ/2)에 의해 주평면(P)에 대해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9. 제 8 항에 있어서,
    발산 브렌치들(13a, 13b)은 실질적으로 45°와 동일한 각으로 주평면(P)에 대해서 기울어지며, 두 개의 발산 브렌치들(13a, 13b) 및 두 개의 유지 브렌치들(14a, 14b)은 직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윤곽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0. 제 8 항에 있어서,
    발산 브렌치들(13a, 13b) 각각은 실질적으로 70°와 동일한 각으로 주평면(P)에 대해서 기울어진 부분을 포함하고, 수직 배치(36a, 36b)는 주평면(P)에 평행이고 기울어진 부분(13a, 13b)에 연속되며, 유지 브렌치들(14a, 14b)은 수직 부분(36a, 36b)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1)를 형성하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21a, 21b)은 서로에 대해서 부착되고, 인양 링 또는 추가 프레임의 관통을 위한 구멍(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2.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1)를 형성하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21a, 21b)은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앵커는 두 개의 평평한 부분들(21a, 21b) 사이로 들어간 헤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화 틀의 두 개의 연이은 평평한 부분들(13a, 14a, 14b, 13b)은 둘씩 짝을 이루어 90°보다 크거나 같은 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4. 제 13 항에 있어서,
    평평한 부분은 강철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평한 부분(21a, 21b)의 몸체의 길이방향 모서리를 따라 연장하는 두 개의 올림 핀들(41a, 41b)을 포함하고, 각각의 핀(41a, 41b)은 평평한 부분(21a, 21b)의 몸체와 기울기 각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앵커 및 앵커의 발산 브렌치들(13a, 13b)과 동일한 기울기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마주하는 면들(52a, 52b)을 구비하고 앵커의 강화 틀에 의해 구획된 구멍을 가로지를 수 있도록 그리고 대응하는 발산 브렌치(13a, 13b)와 동일한 기울기를 따라 연장하는 두 개의 기울어진 면들의 각각을 가지는 상기 틀의 어느 측면으로 연장하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형상의 윤곽을 구비한 연장 요소(51)를 포함하는 건축 요소들을 인양 및/또는 들어올리기 위한 장치.
KR1020107019969A 2008-02-08 2009-02-09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KR101580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300079A EP2088112A1 (fr) 2008-02-08 2008-02-08 Ancre de manutention d'éléments de construction aux branches divergentes maintenues
EP08300079.4 2008-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980A true KR20100109980A (ko) 2010-10-11
KR101580940B1 KR101580940B1 (ko) 2015-12-30

Family

ID=3949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969A KR101580940B1 (ko) 2008-02-08 2009-02-09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353133B2 (ko)
EP (2) EP2088112A1 (ko)
JP (1) JP5504448B2 (ko)
KR (1) KR101580940B1 (ko)
CN (1) CN101939245B (ko)
AU (1) AU2009213917B2 (ko)
BR (1) BRPI0905954A2 (ko)
CA (1) CA2714270C (ko)
DK (1) DK2252539T3 (ko)
ES (1) ES2388989T3 (ko)
MX (1) MX2010008705A (ko)
NZ (1) NZ587346A (ko)
PL (1) PL2252539T3 (ko)
PT (1) PT2252539E (ko)
RU (1) RU2500607C2 (ko)
WO (1) WO20091013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2B1 (ko) * 2012-11-14 2013-08-09 주식회사 삼안 인양용 연결판을 이용한 마찰증대용 아스팔트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22165A2 (pt) 2006-12-22 2011-12-27 Marcel Arteon Âncora para manusear elementos da construÇço, em particular um painel de concreto
KR101042026B1 (ko) 2009-11-19 201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의 양중고리 장치 및 이러한 양중고리 장치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WO2015006825A1 (en) * 2013-07-19 2015-01-22 Casne Verige Pty Ltd Concrete lifting anchor
FR3040053A1 (fr) * 2015-08-14 2017-02-17 Marcel Arteon Ancre dynamique de levage d'un element de construction, renforcee
CN105156843A (zh) * 2015-10-28 2015-12-16 苏州道众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地脚螺栓
WO2017093948A1 (en) * 2015-12-03 2017-06-08 Fraser Maurice Andrew Void former
AU2016421469A1 (en) * 2016-09-02 2019-04-11 Marcel Arteon Reinforced dynamic lifting anchor for lifting, turning over a building element.
US10968645B2 (en) 2018-03-20 2021-04-06 Meadow Burke, Llc Anchor and clutch assembly
DE202018102682U1 (de) * 2018-05-14 2019-08-19 Philipp Gmbh Vorrichtung zur Positionierung eines Transportankers
CN111039152B (zh) * 2019-12-31 2021-01-26 烟台腾泰环保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预制构件
CN112095863B (zh) * 2020-09-27 2021-11-09 婺江装饰集团有限公司 一种双层隔音防水幕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53A (en) * 1909-12-15 1910-12-06 August C Schumann Bonding-tie for concrete-floor construction.
JPH0558584A (ja) * 1991-02-21 1993-03-09 Siegfried Fricker コンクリート建材用の平鋼コンクリートアンカー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4165A (en) 1955-11-22 williams
US1989811A (en) 1932-12-03 1935-02-05 K D Mfg Co Concrete insert anchor
US2588631A (en) 1949-03-29 1952-03-11 James Robert Maxwell Wall anchoring device
GB800302A (en) 1954-11-20 1958-08-27 Chester Irving William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choring means particularly for use in the pouring of successive lifts of concrete
DE1215870B (de) * 1959-11-05 1966-05-05 Veitscher Magnesitwerke Ag Aufhaengeeinrichtung an einem feuerfesten, gebrannten Haengestein
US3095672A (en) 1960-11-01 1963-07-02 Tullio Alfred Di Anchorage bolt and block for concrete structures
US3290983A (en) 1962-03-28 1966-12-13 Drinko John D Helical penetrating fastening device
US3234703A (en) * 1963-01-31 1966-02-15 Kaiser Aluminium Chem Corp Suspendable refractory unit
GB1063256A (en) 1963-11-07 1967-03-30 Morgan Refractor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furnace linings
FR2177488B1 (ko) * 1972-03-27 1974-02-15 Foucault Pierre
US4086014A (en) 1976-05-24 1978-04-25 Societe Nationale Industrielle Aerospatiale Quick locking and unlocking connector
US4756136A (en) 1986-03-03 1988-07-12 Hodges Philip R Interlocking spacer apparatus for masonry construction
DE3611072A1 (de) 1986-04-03 1987-10-08 Siegfried Fricker Vorrichtung zur verankerung von platten
SU1490238A1 (ru) * 1987-05-06 1989-06-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Бетона И Железобетона Госстроя Ссср Закладна строповочна деталь
NZ221730A (en) 1987-09-09 1992-03-26 Gang Nails Nz Timber to concrete anchor
WO1990010764A1 (en) 1989-03-07 1990-09-20 Ramset Fasteners (Aust.) Pty. Limited Lifting anchors and clutches for lifting anchors
AU642641B2 (en) * 1989-03-07 1993-10-28 Ramset Fasteners (Aust.) Pty. Limited Anchors
US4924648A (en) * 1989-03-09 1990-05-15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Standoff timber base connection
US5011440A (en) 1990-09-10 1991-04-30 Lee Chun Te Wire connector
US5096444A (en) 1991-01-03 1992-03-17 Regal Technologies, Ltd. Flat F-port connector
US5743062A (en) * 1994-02-15 1998-04-28 Halfe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nchoring device for housing/building construction
US5625993A (en) 1995-01-06 1997-05-06 The Burke Group Concrete structure having load transferring inser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596846A (en) 1995-10-13 1997-01-28 The Burke Group Lifting anchor for embedment in concrete members
FR2749603B1 (fr) 1996-06-11 1999-11-26 Arteon Marcel Ancre de levage et de manutention
AU751863B2 (en) 1997-12-04 2002-08-29 Illinois Tool Works Inc. Lifting anchors
US6125604A (en) 1998-01-29 2000-10-03 Holmes; S. D. Corner lock for mitered corner of a door or window frame
US6071144A (en) 1998-09-09 2000-06-06 Tang; Danny Q. Hermetically sealed F-connector
US6334284B1 (en) 1999-03-26 2002-01-01 Anthony Italo Provitola Structural system of torsion element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with
AU752353B2 (en) 1999-04-20 2002-09-19 Hilbert Superannuation Management Pty Ltd Lifting system
US6393789B1 (en) 2000-07-12 2002-05-28 Christopher P. Lanclos Refractory anchor
US7237368B2 (en) * 2002-05-24 2007-07-03 Richard B. Richardson Adjustable anchoring system for a wall
US7111432B2 (en) * 2003-02-19 2006-09-26 Universal Form Clamp Of Chicago, Inc. Passthrough concrete anchor
US20050055958A1 (en) 2003-08-27 2005-03-17 Universal Form Clamp Co., Inc. W foot anchor
CN2682136Y (zh) * 2003-12-31 2005-03-02 郭镇义 具有锚固件的石板材
NZ546304A (en) * 2005-04-07 2007-11-30 Cetram Pty Ltd Cast-in anchors with profiling along an inner edge of a leg such that load forces acting on the edge do not deflect the leg laterally outwardly
BRPI0622165A2 (pt) 2006-12-22 2011-12-27 Marcel Arteon Âncora para manusear elementos da construÇço, em particular um painel de concret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53A (en) * 1909-12-15 1910-12-06 August C Schumann Bonding-tie for concrete-floor construction.
JPH0558584A (ja) * 1991-02-21 1993-03-09 Siegfried Fricker コンクリート建材用の平鋼コンクリートアンカ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412B1 (ko) * 2012-11-14 2013-08-09 주식회사 삼안 인양용 연결판을 이용한 마찰증대용 아스팔트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0136358A (ru) 2012-03-20
ES2388989T3 (es) 2012-10-22
RU2500607C2 (ru) 2013-12-10
NZ587346A (en) 2013-03-28
US8353133B2 (en) 2013-01-15
PT2252539E (pt) 2012-09-04
DK2252539T3 (da) 2012-09-03
EP2088112A1 (fr) 2009-08-12
US20110000148A1 (en) 2011-01-06
AU2009213917A1 (en) 2009-08-20
JP5504448B2 (ja) 2014-05-28
CA2714270A1 (fr) 2009-08-20
EP2252539A1 (fr) 2010-11-24
CN101939245B (zh) 2014-06-25
CA2714270C (fr) 2015-10-06
PL2252539T3 (pl) 2013-02-28
CN101939245A (zh) 2011-01-05
KR101580940B1 (ko) 2015-12-30
AU2009213917B2 (en) 2014-08-28
BRPI0905954A2 (pt) 2015-06-30
WO2009101353A1 (fr) 2009-08-20
JP2011511193A (ja) 2011-04-07
MX2010008705A (es) 2010-08-30
EP2252539B1 (fr)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09980A (ko)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US4621468A (en) Concrete metal-backed access floor panel
US5913794A (en) Ductile steel beam-to-column connection
KR100969235B1 (ko) 층고 절감형 철골보 및 그 제조 방법
JP7196886B2 (ja) 床スラブ付鉄骨梁
CN207794355U (zh) 一种采用x型钢板加强的连梁结构
KR101186273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프리플렉스 합성형교 거더의 시공방법
US20090249742A1 (en) Composite construction beam
CN107829505A (zh) 一种采用x型钢板加强的连梁结构及其设计方法
US20010015044A1 (en) Reinforcement for prefabricated concrete panels with improved bonding to concrete
KR10186751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JP3197734U (ja) 鉄骨架構の補強構造
US2479475A (en) Composite structure with triangular shear connectors
JP2009002042A (ja) 耐震板壁の構造
JP7067870B2 (ja) 床構造
KR101572211B1 (ko) 헌치 보
KR101461805B1 (ko) 고연성 심재를 구비한 비좌굴가새
US9487954B2 (en) Laced composite system
JP6936033B2 (ja) 床構造の開口幅設定方法および床構造
JP6771882B2 (ja) 梁の補強材及び梁の補強構造
JP6792338B2 (ja) 木質構造材補強構造
US20080072505A1 (en) Building seismic structure
KR101605010B1 (ko) 강성보강 거더
KR200454372Y1 (ko) 거푸집용 목재빔
KR102384305B1 (ko) 파이형 합성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