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512B1 -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 Google Patents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512B1
KR101867512B1 KR1020160133378A KR20160133378A KR101867512B1 KR 101867512 B1 KR101867512 B1 KR 101867512B1 KR 1020160133378 A KR1020160133378 A KR 1020160133378A KR 20160133378 A KR20160133378 A KR 20160133378A KR 101867512 B1 KR101867512 B1 KR 10186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body
column
shear reinforcement
shea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787A (ko
Inventor
노영숙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근되는 전단 보강 철근은,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1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1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1 기둥체;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2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2 기둥체; 및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둥체 및 상기 제 2 기둥체는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SHEA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에 관한 것이다.
철근 콘크리트는 인장력이 약한 콘크리트를 보강하기 위하여 철근을 배치한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하중이 재하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부분에 압축과 인장 및 전단 응력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하중에 대한 저항력 특히 전단파괴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전단 보강구조가 적용된다.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 1,596,259호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슬래브를 보강하는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보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슬래브 보강을 위한 상부근과 상기 상부근의 하측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하부근을 갖는 슬래브 철근 그리고 슬래브의 전단에 저항하도록,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 사이를 가로질러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는 전단 보강 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서, 상기 전단 보강 철근이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에 거치되어서 상하방향으로 정착되도록, 상기 전단 보강 철근의 상부는 상기 상부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전단 보강 철근의 하부는 상기 하부근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시공이 간편하고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하고자 한다. 끼움 방식을 통해 시공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형태로 전단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부근 및 하부근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됨으로써 전단 보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근되는 전단 보강 철근에 있어서,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1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1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1 기둥체;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2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2 기둥체; 및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둥체 및 상기 제 2 기둥체는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3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3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3 기둥체; 및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3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3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단 보강 철근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자재를 구부려 제조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연결부가 상기 제 1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고, 상기 전단 보강 철근은,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는 후크 형상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의 후크의 깊이는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의 후크의 깊이와 상이한 것인,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시공이 간편하고 다양한 적용이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끼움 방식을 통해 시공성을 확보하고, 다양한 형태로 전단 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근 및 하부근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됨으로써 전단 보강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철근 콘크리트의 전단 보강 철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이 상부근 및 하부근에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이 상부근 및 하부근에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전단 보강 철근(100)는 일단에 제 1 상부근 끼움체(11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1 하부근 끼움체(114)가 형성된 제 1 기둥체(110), 일단에 제 2 상부근 끼움체(12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하부근 끼움체(124)가 형성된 제 2 기둥체(120), 및 제 1 상부근 끼움체(112)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둥체(110), 제 2 기둥체(120) 및 제 1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전단 보강 철근(1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자재를 구부림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제 1 기둥체(110), 제 2 기둥체(120) 및 제 1 연결부(130)를 용접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도 있다.
전단 보강 철근(100)은 탄성력을 가지는 보강 자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보강 자재는 예를 들어, 두께 10mm, 13mm 또는 16mm의 이형 철근일 수 있다. 보강 자재의 종류 및 치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의 높이는 250mm 또는 300m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의 간격은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의 높이의 1/2 이하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12, 122)와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114, 124)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후크의 너비는 상부근 또는 하부근의 지름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후크가 상부근 또는 하부근을 고정 지지하기에 적절한 사이즈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12, 122)와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114, 124)의 형상은 후크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부근 및 하부근을 끼울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연결부(130)는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부(130)는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연결부(130)와 제 1 및 제 2 기둥체(110, 120)는 45°각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를 갖는 경우, 전단 보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이 상부근 및 하부근에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이 상부근 및 하부근에 배근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단 보강 철근(100)은 상부근(10)과 하부근(20)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근될 수 있다.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는 상부근(10)과 하부근(20)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제 1 연결부(130)는 상부근(10) 및 하부근(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단 보강 철근(100)은 제 1 기둥체(110) 및 제 2 기둥체(120)가 상부근(10) 및 하부근(20)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기둥체(110, 120)가 상부근(10) 및 하부근(20)에 대하여 45°각도의 경사를 갖도록 배근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전단 보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전단 보강 철근(100)은 기설치되어 있는 상부근(10)과 하부근(20)에 끼우는 방식을 통해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114, 124)에 하부근(20)을 먼저 끼운 후, 탄성을 가진 상부근(10)을 아래쪽으로 당겨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12, 122)에 상부근(10)을 끼워 전단 보강 철근(100)을 배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단 보강 철근(600)은 도 1에 도시된 전단 보강 철근(100)이 연속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예를 들어, 전단 보강 철근(600)은 도 1에 도시된 전단 보강 철근(100)이 복수개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개수의 전단 보강 철근(100)을 연속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단 보강 철근(600)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자재를 구부림 공정을 통해 또는 용접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단 보강 철근(100)이 2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전단 보강 철근(100)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단 보강 철근(600)은 도 1에 도시된 전단 보강 철근(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추가 구성으로서, 일단에 제 3 상부근 끼움체(142)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3 하부근 끼움체(144)가 형성된 제 3 기둥체(140),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22)와 제 3 상부근 끼움체(142)를 연결하거나 또는 제 2 하부근 끼움체(124)와 제 3 하부근 끼움체(144)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제 1 연결부(130)가 제 1 상부근 끼움체(112)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를 연결하고, 제 2 연결부(150)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와 제 3 하부근 끼움체(144)를 연결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 1 연결부(130)가 제 1 하부근 끼움체(114)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를 연결하고, 제 2 연결부(150)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와 제 3 상부근 끼움체(142)를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는, 제 1 연결부(130)가 제 1 상부근 끼움체(112)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를 연결하고, 제 2 연결부(150)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와 제 3 상부근 끼움체(142)를 연결하는 구성, 및 제 1 연결부(130)가 제 1 하부근 끼움체(114)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를 연결하고, 제 2 연결부(150)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와 제 3 하부근 끼움체(144)를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원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600)은 기둥체를 복수개 연결하여 연속된 전단 보강 철근을 구성함으로써 작업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단 보강 철근(700)은 도 1에 도시된 전단 보강 철근(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추가 구성으로, 제 1 하부근 끼움체(114)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700)은 제 1 상부근 끼움체(112)와 제 2 상부근 끼움체(122)가 제 1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하부근 끼움체(114)와 제 2 하부근 끼움체(124)가 제 3 연결부(160)에 의해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단 보강 철근(800)은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12, 122)의 깊이, 예컨대 후크의 깊이가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114, 124)의 깊이와 상이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제 1 연결부(130)와 제 3 연결부(160) 사이의 간격은 상부근 또는 하부근의 지름보다 넓은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도 8에는 제 1 연결부(130) 및 제 3 연결부(160)를 포함하는 전단 보강 철근(800)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112, 122)와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114, 124)의 깊이가 다른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전단 보강 철근(800)에서 제 3 연결부(160)가 없는 구성도 가능하며, 또는 도 6에 도시된 전단 보강 철근(600)에서 상부 끼움체와 하부 끼움체의 깊이를 상이하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끼움체의 깊이를 깊게 하는 경우 전단 보강 철근 제조에 들어가는 보강 자재량이 증가하므로 전단 보강 철근의 전단 보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근 끼움체 및 하부근 끼움체 중 어느 하나는 깊이를 깊게 하고, 나머지 하나는 깊이를 얕게함으로써, 전단 보강 철근을 상부근 및 하부근에 배근시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 변형예, 다른 변형예 및 또 다른 변형예에서 설명한 전단 보강 철근의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있어서 중공재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며, 중공 슬래브의 전단내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 슬래브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부재의 단면 2차 모멘트를 극대화시켜 휨 저항에 유리하게 개발된 중공 슬래브의 경우, 콘크리트 단면 손실로 인하여 전단 내력이 감소되는 특성을 가지며, 전단 내력이 부족한 부재의 단부에서는 중공재를 제거하기 때문에 중공 슬래브의 장점이 발휘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단 보강 철근은 중공 슬래브에서 중공재 사용에 따른 콘크리트 단면손실로 인한 전단내력이 부족한 부분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층고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플랫플레이트 슬래브 구조는 기둥 주위로 뚫림전단에 의한 전단내력이 부족한 단점이 있으므로 플랫플레이트 슬래브 구조의 전단내력이 부족한 부분에 전단 보강 철근을 적용할 수 있다. 중공률 감소를 전단 보강 철근을 사용하여 보완함으로서 콘크리트 물량 감소에 의한 CO2 발생을 억제하고, 전단 내력 확보를 통해 중공 슬래브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전단 보강 철근
110: 제 1 기둥체
112: 제 1 상부근 끼움체
114: 제 1 하부근 끼움체
120: 제 2 기둥체
122: 제 2 상부근 끼움체
124: 제 2 하부근 끼움체
130: 제 1 연결부

Claims (5)

  1.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질러 배근되는 전단 보강 철근에 있어서,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1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1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1 기둥체;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2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2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2 기둥체; 및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 1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둥체 및 상기 제 2 기둥체는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에 대하여 경사를 갖도록 배근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상부근 끼움체는 제 1 깊이를 가지는 후크 형상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하부근 끼움체는 상기 제 1 깊이의 2배 이상 깊은 제 2 깊이를 가지는 후크 형상이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1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고,
    상기 전단 보강 철근은,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둥체, 상기 제 2 기둥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3 연결부는 경사를 갖는 평행 사변형 형상을 이루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근과 하부근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며, 일단에 제 3 상부근 끼움체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 3 하부근 끼움체가 형성된 제 3 기둥체; 및
    상기 상부근 및 하부근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3 상부근 끼움체를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하부근 끼움체와 상기 제 3 하부근 끼움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둥체, 제 2 기둥체 및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단 보강 철근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보강자재를 구부려 제조하는 것인, 전단 보강 철근.
  5. 삭제
KR1020160133378A 2016-10-14 2016-10-14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KR10186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78A KR101867512B1 (ko) 2016-10-14 2016-10-14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378A KR101867512B1 (ko) 2016-10-14 2016-10-14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787A KR20180041787A (ko) 2018-04-25
KR101867512B1 true KR101867512B1 (ko) 2018-06-15

Family

ID=6208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378A KR101867512B1 (ko) 2016-10-14 2016-10-14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15A (ko) * 2019-09-24 2021-04-01 현대건설주식회사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구조물용 띠철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445B1 (ko) * 2021-09-17 2022-08-30 류승일 확대머리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509A (ja) * 1999-10-12 2001-04-17 Kajima Corp フラットスラブのせん断補強筋及びせん断補強構造
JP2010168740A (ja) 2009-01-20 2010-08-05 Kyoei Steel Ltd 開口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626B1 (ko) * 2013-12-09 2015-06-24 주식회사 네비엔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7509A (ja) * 1999-10-12 2001-04-17 Kajima Corp フラットスラブのせん断補強筋及びせん断補強構造
JP2010168740A (ja) 2009-01-20 2010-08-05 Kyoei Steel Ltd 開口補強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15A (ko) * 2019-09-24 2021-04-01 현대건설주식회사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구조물용 띠철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9493B1 (ko) * 2019-09-24 2021-04-12 현대건설(주) 철근 콘크리트의 철근 구조물용 띠철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787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940B1 (ko) 유지되는 발산 브렌치들을 구비하는 건축 요소들을 위한 조종 앵커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036088B1 (ko) 수평부재
KR20170035128A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EP3118377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867512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1638093B1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JP2016023440A (ja) 鉄骨梁
KR102027813B1 (ko) 탑u형 래티스 합성보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2173275B1 (ko) 장스팬 합성보
KR101763033B1 (ko) 합성보용 거푸집
KR102320411B1 (ko) 망상형 전단보강대를 이용한 무량판 구조물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전단 보강구조
JP3774892B2 (ja) ガードレール用の基礎ブロック
JP6280324B2 (ja) 配筋支持具及び当該配筋支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組積方法
KR20090023796A (ko) 춤이 깊은 데크 플레이트
KR20170031336A (ko) 래티스 철근이 구비된 전단보강형 벽체 철근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철근 모듈
JP3654879B2 (ja) 中空材ユニット、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およびコンクリートスラブ
CN217054038U (zh) 一种钢筋笼以及框架填充墙
KR102624202B1 (ko) 강관말뚝용 두부보강 구조물
KR102113825B1 (ko) 철근
KR101476733B1 (ko) 콘크리트 건물의 증층공법
JP5921882B2 (ja) 合成床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