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5128A -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5128A
KR20170035128A KR1020150133815A KR20150133815A KR20170035128A KR 20170035128 A KR20170035128 A KR 20170035128A KR 1020150133815 A KR1020150133815 A KR 1020150133815A KR 20150133815 A KR20150133815 A KR 20150133815A KR 20170035128 A KR20170035128 A KR 2017003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girder
reinforcing
flang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9959B1 (ko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위드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주식회사 길교이앤씨, 위드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15013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인 제1보강부재, "ㅠ"자 형상인 제2보강부재와 개방면측이 하부플랜지(120)를 향하여 고정된 "ㄷ"자 형상인 제3보강부재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Steel box girder maintained height and reinforced rigid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본 발명은 강상자형 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부재를 하부플랜지에 기본으로 설치하면서 상부플랜지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복부의 형고 변화없이 거더의 단면강성을 증대시키도록 된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강이나 바다 또는 계곡 등에서 차량 등이 보다 편리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시공되는 것으로, 교각, 교대, 거더 및 바닥판 슬래브 등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량 중 강상자형 거더를 구비한 교량은 폐합단면의 강상자형 거더가 교각과 바닥판의 사이에 위치하여 시공된다. 여기서 강상자형 거더는 주형이 폐합단면을 이루고 있어 외관이 미려하고, 휨에 대한 저항능력이 뛰어나며 비틀림 강성이 큰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곡선교나 도심의 고가차도, 주위의 조형물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미관이 중요시되는 교량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강상자형 거더는 주로 세장비가 큰 얇은 강판을 이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압축을 받는 플랜지나 복부판은 국부좌굴(local buckling)에 의해서 파괴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강상자형 거더가 발휘할 수 있는 휨강도(bending strength)에 도달하기 전에 얇은 판 요소에 발생할 수 있는 국부좌굴을 방지하는 것이 강상자형 거더의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강상자형 거더에서의 각 플랜지의 국부좌굴에 대항하는 강도, 즉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주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례로, 도 1에서와 같이 강상자형 거더의 구성은 강판으로 제작된 하부플랜지(10), 양 웨브(11) 및 상부플랜지(12)를 조립하여 상자형 단면을 구성하고, 그 상자형 내면에 종방향 보강부재(14) 및 횡방향 보강부재(13)를 교차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종방향 보강부재(14)와 횡방향 보강부재(13)는 각 플랜지(10,11,12)의 내면에 교차 배치되기 때문에, 횡방향 보강부재(13)에 종방향 보강부재(14)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홀(15)을 가공한다.
하지만, 이 관통홀(15)은 대략 중규모 교량(일례로, 교량길이 100m 정도의 2주형 연속 강상자형 거더가 설치된 교량)의 경우에 대략 1,000여 개 정도를 가공해야하고, 관통홀(15)을 가공함에 따라 강상자형 거더 제작 시간이 길어짐은 물론 잘라낸 폐기 강판으로 인한 막대한 제작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강상자형 거더에 발생하는 국부좌굴에 대한 대응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예로, 하부플랜지의 단면강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6545호(2011.01.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3823호(2010.02.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306호(2010.03.1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0158(1906.11.3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5490호(1906.01.24. 공고)
상기된 문제점 및 요구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상자형 거더에서 보강부재를 하부 플랜지에 설치하여 강상자형 거더의 도심축을 형고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제작하고, 교량 제작시 도심축이 대략 형고의 중심 부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형고의 변화없이 강상자형 거더의 단면강성은 물론 일체 거동이 향상되도록 한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와 이웃한 제1보강부재들 사이에 개재되어 보강부재에 맞닿아 고정된 보조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인 제1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보조보강부재는 정면상 철(凸)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이고, 보강부재가 상부플랜지 또는 하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조보강부재는 보강부재와 복부 사이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제2보조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보조보강부재는 정면상 "ㄴ"자 형상 또는 판 형상이고, 보강부재가 하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의 설치로 생성된 개별공간들이 통하도록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부재, 제1보조보강부재와 제2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플랜지의 상면에 배치되면 바닥판 슬래브에 매설된 종철근 또는 횡철근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보강부재들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보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이 제1보강플레이트는 보강부재들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보강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설공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부플랜지의 폭은 상부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플랜지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부플랜지는 폭 방향에서 바라보면 양측 복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1개의 일체형이거나, 양측 복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호 분리된 한 쌍의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플랜지의 상면이면서 복부의 상측 연장선상에 각각 "T"자형 보조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 또는 "ㅠ"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와, 제3a보강부재를 수용하면서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이거나,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2a보강부재, 제2a보강부재를 수용하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에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2b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보강부재와, 이 제3보강부재의 내부이면서 하부플랜지의 일면에 고정된 "T"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1보강부재이거나,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보강부재와, 이 제3보강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면서 하부플랜지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판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c보강부재이고, 여기서 제3보강부재의 양측부는 수직이거나 일정 경사로 벌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때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인 제1보강부재, "ㅠ"자 형상인 제2보강부재와, 개방면측이 하부플랜지를 향하여 고정된 "ㄷ"자 형상인 제3보강부재,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 및 제3a보강부재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 및 제3a보강부재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와, 판형상의 제3c보강부재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하부플랜지, 복부와 상부플랜지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부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플랜지의 폭 방향 길이보다 상부플랜지의 폭 방향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이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부플랜지는 폭 방향의 길이가 하부플랜지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긴 구조, 폭 방향에서 바라보면 양측 복부를 연결하여 설치된 1개의 일체형인 구조, 양측 복부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호 분리된 한 쌍의 분리형인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플랜지의 상면이면서 복부의 상측 연장선상에 각각 "T"자형 보조플랜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변형 예들은 보조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정면상 이웃한 보강부재들 사이에 가로질러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정면상 철(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와 정면상 양측 복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보강부재가 관통하는 결합홀을 구비한 제1`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이들 제1보조보강부재와 제1`보조보강부재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부재와 복부 사이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제2보조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보조보강부재는 정면상 "ㄴ"자 형상 또는 판 형상이고, 보강부재가 하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의 설치로 생성된 개별공간들이 통하도록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콘크리트에 매설된 종철근 또는 횡철근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강부재들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보강플레이트를 더 구비하고, 이 제1보강플레이트는 보강부재들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보강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설공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부플랜지의 하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되거나, 하부플랜지의 상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의 하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2보강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강상자형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의 제4보강부재;와 제4보강부재들 사이 또는, 제4보강부재와 복부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제5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방법은 강상자형 거더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플랜지, 하부플랜지와 복부를 설치하는 제S10단계(S10);와 하부플랜지 또는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20단계(S20);를 포함하고, 이때 보강부재 설치는 "T"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 "ㅠ"자 형상의 제2보강부재와 개방면측이 하부플랜지를 향하여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 및 제3a보강부재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 및 제3a보강부재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와 판형상의 제3c보강부재들 중 어느 하나를 단독 또는 혼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강부재들 사이를 가로질러 "철(凸)"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30단계(S30); 보강부재가 통과하는 결합홀을 구비한 제1`보조보강부재를 정면상 양측 복부를 가로질러 설치하는 제30`단계(S30`); 보강부재와 복부 사이 또는, 최외측 보강부재의 외측면에 제2보조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S31단계(S31);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보강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부플랜지의 하면에 판 형상의 제4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32단계(S32); 제4보강부재들 사이 또는, 제4보강부재와 복부 사이에 판 형상의 제5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33단계(S33); 보강부재의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공을 구비한 제1보강플레이트를 올려놓고 고정하는 제34단계(S34); 복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양측 복부를 가로질러 제2보강플레이트를 고정하는 제35단계(S35);와 보강부재를 매설하는 정도의 높이로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제40단계(S40);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제1,2보강부재 또는, 제1보강부재와 제1,2보조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복부의 형고를 유지하면서 도심축을 높이 중심보다 더 낮게 할 수 있고, 교량 제작시 도심축이 대략 형고의 중심부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형고의 변화없이 거더의 단면강성을 증대함은 물론 일체 거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보강부재에 제1보조보강부재 또는 제2보조보강부재를 단순히 용접으로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관통홀을 가공하거나 그로 인한 폐기 강재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 제작이 쉽고 간단해지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제1보강부재와 제1,2보조보강부재를 선택적으로 상부플랜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함으로써, 거더의 하부는 물론 상부의 단면 강성 및 일체 거동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동일한 강재량에 대해 종래보다 더 큰 단면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종래의 종철근 또는 횡철근 등을 배제할 수 있어 자재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보강부재와 제1,2보조보강부재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해 보강콘크리트가 이웃한 개별공간으로도 유동됨으로써, 타설시 개별공간에 공기가 유입되어 빈공간이 발생할 수 있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종래의 강상자형 거더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와 제1,2보조보강부재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보조보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보조보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에 보강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7은 도 2의 제2 내지 제11실시 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4는 도 2에 도시된 제1,2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9은 도 21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0은 도 19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와 도 20의 제3보강부재를 조합 및 변형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의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와 제1,2보조보강부재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보조보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보조보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에 보강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랜지(100), 복부(110), 하부플랜지(120),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강부재는 후술된 제1보강부재(130), 제2보강부재(131)와 제3보강부재(132)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보조보강부재는 보강부재의 고정력을 상승시키면서 단면강성을 추가 향상 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부재로, 후술된 제1보조보강부재(140)와 제2보조보강부재(150)들 중 하나를 단독으로 설치하거나 둘을 혼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보강부재를 배제한 채 단독으로 설치하여 보강부재의 기능을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인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는 상호 간의 결합구조를 통해 강상자형 거더의 하부 단면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부재들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하기로 하고, 기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은 도 2에서의 강상자형 거더의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한다.
상부플랜지(100)는 상측에 타설되는 바닥판 슬래브(10,도 10 참조)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부플랜지(100)는 판 형상으로, 하면 양측부에 각각 하방으로 배치된 복부(110)가 설치된다. 이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는 복부(110)의 상측 연장선상에 각각 도 12에 도시된 "T"자형 보조플랜지(10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보조플랜지(101)는 상부플랜지(100)가 도 6에서와 같이 하나의 판 형상인 경우에도 설치될 수 있고, 도 12에서와 같이 복부(110)의 일부위에만 존재하도록 한 쌍으로 제작된 경우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 보조플랜지(101)는 제1보강부재(130)에 동일하거나 다른 크기일 수 있다.
복부(110)는 패널 형상으로, 상호 대면하여 위치한 상부플랜지(100)와 하부플랜지(120)의 양측부에 각각 개재되어 고정된다.
하부플랜지(120)는 패널 형상으로 상부플랜지(100)와 대면하여 위치하면서 양측부에 각각 복부(110)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보강부재가 제1보강부재(130)인 경우, 제1보강부재(130)는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적어도 1개가 설치된다. 이 제1보강부재(130)는 "T"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l(일)"자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1보강부재(130)는 길이 방향으로 1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2개 이상 상호 이음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호 이웃한 제1보강부재(130)들로 구획된 공간이 통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1보강부재(130)의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제1관통홀(130a)을 가공할 수 있다. 이 제1관통홀(130a)은 교량 제작시 교각지점부에서의 강상자형 거더에 제1보강부재(130)를 매립하기 위해 보강콘크리트(160,도 6 참조)를 타설하는 경우,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향상시키면서 제1보강부재(130)로 구획된 이웃한 공간들로도 콘크리트가 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강콘크리트(160)의 높이는 보강부재 및 보조보강부재 보다 낮거나 동일할 수도 있고, 더 높게 하여 매설할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보강콘크리트(160)에는 단면강성 향상을 위한 횡철근(12)이 매설될 수 있고, 제1보강부재(130) 및 후술된 실시 예를 포함한 보강부재에 횡철근(12)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콘크리트(160)의 타설로 인해 제1보강부재(130), 하부플랜지(120)와 복부(110) 간의 일체 거동을 향상시키면서 강상자형 거더의 하부 단면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보조보강부재는 최대 높이를 보강부재 보다 더 낮거나 동일하거나 더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조보강부재인 제1보조보강부재(140)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한 적어도 2개의 제1보강부재(130)들 사이에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적어도 1개가 설치된다. 이때, 제1보조보강부재(140)는 양단부가 각각 이웃한 제1보강부재(130)의 대면한 양측면에 이음 결합된다. 이 제1보조보강부재(140)의 형상은 정면에서 보면 대략 철(凸)자 형상일 수도 있고, 판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음 결합은 용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보조보강부재(140)가 길이 방향이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이로 인해 제1보조보강부재(140)들과 제1보강부재(130)들로 구획된 다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된다. 이 개별공간들이 상호 통할 수 있도록 제1보조보강부재(140)에 적어도 1개의 제2관통홀(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제2관통홀은 대략 원형 또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반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제2관통홀은 제1관통홀(130a)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보조보강부재인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이웃한 제1보강부재(130)와 복부(110) 사이에 배치되면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적어도 1개가 설치된다. 이때,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양단부가 각각 이웃한 제1보강부재(130)와 복부(110)의 대면한 양측면에 이음 결합된다. 따라서,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판형상일 수도 있고, 대략 판형상에서 제1보강부재(130)측 상부가 타측 상부보다 낮은 단(段)을 이룬 대략 "ㄴ"형상일 수도 있고, 판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음 결합은 용접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보조보강부재(150)가 길이 방향이면서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고, 이로 인해 제2보조보강부재(150)들과 복부(110)들로 구획된 다수의 개별공간이 마련된다. 이 개별공간들이 상호 통할 수 있도록 제2보조보강부재(150)에 적어도 1개의 제3관통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제3관통홀은 대략 원형 또는, 하면이 개방된 대략 반타원형일 수도 있으며, 기타 다른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제3관통홀은 제1관통홀(130a) 또는 제2관통홀과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고,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다수의 개별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제1관통홀(130a), 제2관통홀과 제3관통홀을 통해 이웃한 개별공간들로 콘크리트가 쉽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개별공간에 보강콘크리트(160)를 타설할 때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개별공간 내의 일부에 보강콘크리트(160)가 채워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상자형 거더의 하부 단면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제1보강부재(130), 제1보조보강부재(140) 및 제2보조보강부재(150)가 하부플랜지(1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보강부재(130)와 제1보조보강부재(140)만 설치될 수도 있고, 제1보강부재(130)와 제2보조보강부재(150)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보강부재(130)와 제1보조보강부재(140) 및 제2보조보강부재(150)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보강콘크리트(160)가 타설되는 경우, 타설되는 구역의 양측단에 격벽(미도시)이 설치되고, 이 구역에 제1보강부재(130)가 매설되는 정도의 높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는 물론 보강콘크리트(160)의 추가로 인해 강상자형 거더의 도심축이 제작시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하부 단면강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강상자형 거더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부의 높이를 높이거나 상부플랜지(100) 또는 하부플랜지(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방식을 탈피하여 하부플랜지(120)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를 설치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인해 복부의 높이, 즉 형고를 높이거나 상부플랜지(100) 또는 하부플랜지(120)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서 두껍게 하는 방식보다 더 큰 단면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면강성을 동일하게 하여 강상자형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강상자형 거더에 소요되는 강재량이 절감된다. 또, 강재량을 동일하게 하여 강상자형 거더를 제작하는 경우, 본 발명의 강상자형 거더의 단면강성이 더 크기 때문에 지간장을 더 멀리하여 장경간화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는 단경간의 교량인 경우 정모멘트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위에 설치할 수 있고, 장견간의 교량인 경우, 부모멘트 구간의 전체 또는 일부위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단경간과 장견간에 무관하게 단면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모멘트 구간과 부모멘트 구간 중 어느 부위라도 1곳 이상에 설치할 수도 있다.
<실시 예>
도 7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11실시 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먼저, 도 7과 도 8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2실시 예는, 제1보강부재(130)의 상면에 얹혀지면서 양측단부가 각각의 복부(110)에 고정되는 대략 판형상의 제1보강플레이트(170)가 추가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보강플레이트(170)는 설치된 상태에서 제1보강부재(130)와 제1보조보강부재(140), 제1보강부재와 제2보조보강부재(150)에 의해 구획된 개별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설공(17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강플레이트(170)는 양측단부가 각각의 복부(110)에 용접될 수도 있고, 제1보강부재(130)에 나사체결되도록 다수의 체결홀(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제1보강플레이트(170)로 인해 제1보강부재(130), 제1보조보강부재(140), 제2보조보강부재(150)와 복부(110)들 상호 간의 결합력은 물론 이들 간의 일체 거동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강상자형 거더의 하부의 단면강성을 역시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3실시 예는, 하부플랜지(120)의 상면과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물론,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는 제1보강부재(130)와 제1보조보강부재(140)만 설치될 수도 있고, 제1보강부재(130)와 제3보조보강부재(150)만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도 10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4실시 예는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설치되고,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이면서 복부(110)의 상측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제1보강부재(130)가 설치된다. 이때, 상부플랜지(100)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30)는 종철근(11) 및 횡철근(12)과 함께 바닥판 슬래브(10)에 매설된다. 이때, 상부플랜지(100)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30)는 바닥판 슬래브(10)의 타설 높이에 따라 하부플랜지(120)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30)보다 더 높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5실시 예는,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부플랜지(100)의 형상은 복부(110)와 결합된 일부위에만 존재하는 형상이다. 즉, 도 2와 비교하여 보면, 상부플랜지(100)의 형상 변경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부플랜지(100)의 강재량을 줄이면서도 거더 상부의 단면강성은 유지 또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6실시 예는 도 11의 제5실시 예에서 형상 변경된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이면서 복부(110)의 상측 연장선상에 "T"자 형상의 보조플랜지(101)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플랜지(100)의 형상이 복부(110)와 결합된 일부위에만 존재하도록 한 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부플랜지(100)의 강재량을 줄이면서 제5실시 예보다 더 큰 거더 상부의 단면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도 13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7실시 예는 도 2의 제1실시 예에서 상부플랜지(100)의 하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110)의 상부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되도록 제2보강플레이트(18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에 의해 하부의 단면강성이 향상되고, 제2보강플레이트(180)에 의해 하부의 단면강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8실시 예는 도 13의 실시 예에서의 제2보강플레이트(180)가 하부플랜지(120)의 상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110)의 하부에 각각 양단부를 고정하여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의 단면강성이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와 제2보강플레이트(180)에 의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9실시 예는 상부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플랜지(100)의 폭 방향 길이를 하부플랜지(120)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하도록 제작된다. 물론, 상부플랜지(100)의 단면강성의 향상과 더불어 하부플랜지(120)에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를 설치하여 하부플랜지(120)의 단면강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제9실시 예는 기타 다른 모든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10실시 예는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하부플랜지(120)의 하면과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2곳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는 양측 복부(110)의 연장선상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다수 설치된다. 물론, 제2,3보강부재(140,150)는 종철근(11)과 횡철근(12)이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1보강부재(130) 또는 제1,2보강부재(130,140) 또는 제1,3보강부재(130,150)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 고정된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 역시 양측 복부(110)의 연장선상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다수 설치되고, 제2,3보강부재(140,15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제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11실시 예는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하부플랜지(120)의 상면과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이면서 양측 복부(110) 사이에 별도의 보강부재가 더 추가 설치된다. 여기서, 별도의 보강부재는 대략 평판형상이면서 종방향으로 고정되면서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제4보강부재(190)와, 제4보강부재(190)들 사이를 연결하여 고정되면서 종방향으로 상호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제5보강부재(200)이다. 이 제4보강부재(190)와 제5보강부재(200)는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
<변형 예>
도 18 내지 도 22는 도 2에 도시된 제1,2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9은 도 21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0은 도 19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의 변형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4는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와 도 20의 제3보강부재를 조합 및 변형한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물론,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이 도 18 내지 도 30의 변형 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에서는, 보강부재가 제2보강부재(131) 또는 제3보강부재(132)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131)는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130)의 변형 예로, 대략 "ㅠ"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 제2보강부재(131) 역시 제1보강부재(130)와 마찬가지로 제1관통홀(130a)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제1관통홀(130a)은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어느 1곳에 가공되어 보강콘크리트(160)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강부재(131)의 상부의 수평패널 두께가 하부의 수직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동일하거나 더 얇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태가 변형된 제2보강부재(131)는 제1보강부재(130)보다 더 큰 하부 단면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132)는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130)의 다른 변형 예로, 대략 'ㄷ"자 형상이면서 개방된 면이 하부플랜지(120)를 향하도록 제작된다. 이 제3보강부재(132) 역시 제1보강부재(130)와 마찬가지로 제1관통홀(130a)을 구비할 수 있고, 이때, 제1관통홀(130a)은 측면과 상면에 가공되어 보강콘크리트(160)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보강부재(132)의 상부의 수평패널 두께가 하부의 수직패널의 두께보다 더 두껍거나 동일하거나 더 얇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태가 변형된 제3보강부재(132)는 제1보강부재(130)보다 더 큰 하부 단면강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보강부재(131) 또는 제3보강부재(132)는 제1보강부재(130)를 대체하는 것으로, 제1보강부재(130)가 설치되는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제1`보조보강부재(141)는 도 2에 도시된 제2,3보강부재(140,150)를 대체할 수 있도록 변형된 형태이다. 이 제1`보조보강부재(141)는 대략 판 형상이면서 정면상 제2보강부재(131) 또는 제3보강부재(132)가 통과할 수 있는 결합홀(142)을 구비한다. 이때, 결합홀(142)은 정면상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고, 제2보강부재(131)의 상면과 하부의 양측 외면에 접촉하여 고정하는 끼워 맞춤되도록 상단측 부위의 폭이 그 아래의 폭 보다 더 긴 형상일 수도 있다. 물론, 제1`보조보강부재(141)는 측면상 강상자형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가 설치되고, 제1보조보강부재(140)와 마찬가지로 제2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보조보강부재(141) 대신 제1보조보강부재(140)와 제2보조보강부재(15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보조보강부재(141)는 제2보강부재(131)가 결합홀(142)을 통과하도록 배치시켜 고정한 후 양단부를 정면상 양측에 위치한 복부(110)에 각각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3과 도 24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130)에 제1`보조보강부재(141)가 설치된 형태이다. 이때, 제1보강부재(130)이 정면상 "T"자 형상이므로, 제1`보조보강부재(141)의 결합홀(142) 역시 정면상 대략 "T"자 형상으로 가공된다.
한편, 도 25 내지 도 29에서와 같이 도 21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132)를 적어도 2개, 즉 크기가 작은 제3a보강부재(132a)와 크기가 큰 제3b보강부재(132b)를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도 25에서와 같이 작은 제3a보강부재(132a)를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를 설치하고, 이 제3a보강부재(132a)가 수용되도록 제3b보강부재(132b)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26에서와 같이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폭 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제3a보강부재(132a)가 설치되고, 각각의 제3a보강부재(132a)가 수용되도록 제3b보강부재(132b)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7와 도 28에서와 같이 하부플랜지(120)와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부플랜지(120)의 상면과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제3a보강부재(132a)를 설치하고, 제3a보강부재(132a)가 수용되도록 제3b보강부재(132b)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9에서와 같이 제3a,제3b보강부재(132b)의 양측면을 하향으로 넓어지도록 제작하고, 제3b보강부재(132b)에 제3a보강부재(132a)가 수용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물론, 제3a,3b보강부재(132a,132b)는 상부플랜지(100)의 상/하면과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a,3b보강부재(132a,132b)에 제1보강플레이트(170) 또는 제`1보조보강부재(141)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0에서와 같이 도 19에 도시된 제2보강부재(131)를 적어도 2개, 즉 크기가 작은 제2a보강부재(131a)와 크기가 큰 제2b보강부재(131b)를 마련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작은 제2a보강부재(131a)를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를 설치하고, 제2a보강부재(131a)가 수용되도록 제2b보강부재(131b)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제2a,2b보강부재(131a,131b)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도 설치할 수 있고, 하부플랜지(120)와 상부플랜지(100)에 함께 또는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플랜지(100) 및/또는 하부플랜지(120)의 폭 방향으로 다수 설치할 수 있고,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a,2b보강부재(131a,131b)에 제1보강플레이트(170) 또는 제1`보조보강부재(141)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도 31에서와 같이 도 20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132)와 도 2에 도시된 제1보강부재(130)를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즉,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제1보강부재(130)를 폭 방향으로 적어도 1개를 설치하고, 제1보강부재(130)가 수용되도록 제3보강부재(132)를 적어도 1개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이들 제1보강부재(130)와 제3보강부재(132)를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도 설치할 수 있고, 하부플랜지(120)와 상부플랜지(100)에 함께 또는 단독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부플랜지(100) 및/또는 하부플랜지(120)의 폭 방향으로 다수 설치할 수 있고,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3부강부재(132)의 내부에 보강콘크리트(160)가 타설될 수 있도록 제3보강부재(132)와 제1보강부재(130)의 적어도 1면에 관통홀을 가공할 수 있고,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가 제3보강부재(132)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2에서와 같이,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에 도 20에 도시된 제3보강부재(132)가 설치되고, 제3보강부재(132)의 외부 양측 또는 일측에 판형상의 제3c보강부재(132c)가 입상으로 적어도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3에서와 같이, 도 32에서의 제3보강부재(132)를 도 29에 도시된 제3a보강부재(132a)가 대체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 도 34에서와 같이, 도 32의 제3보강부재(132)와 제3c보강부재(132c) 또는, 도 33의 제3a보강부재(132a)와 제3c보강부재(132c)가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설치될 수 있고,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된 여러 종류의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는 보강콘크리트(160) 또는 슬래브(10)의 콘크리트에 매설된 종철근(11) 또는 횡철근(12)이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의 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이웃한 공간 및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가공함은 당연하다. 또, 상술된 여러 종류의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는 하부플랜지(120)의 상/하면과 상부플랜지(100)의 상/하면 중 적어도 1곳에 설치될 수 있다.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 방법>
도 35는 도 1의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방법이 도시된 공정도이다.
먼저, 상부플랜지(100), 하부플랜지(120) 및 복부(110)를 설치한다. 이때, 통상의 강상자형 거더의 형상으로 제작한다(S10).
다음으로, 하부플랜지(120)의 상면 또는 하면이면서 복부(110)들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제1보강부재(130) 또는 제2보강부재(131) 또는 제3보강부재(132)를 설치한다(S20). 이하에서는 제1보강부재(130) 또는 제2보강부재(131) 또는 제3보강부재(132)에 대해 설명의 편의상 제1보강부재(130)만 통칭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이때, 제1보강부재(130)는 하부플랜지(12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1보강부재(130)가 2개 이상 고정된 경우, 이들은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갖는다. 또한, 제1보강부재(130)는 강상자형 거더의 길이 또는 하부플랜지(120)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1개가 고정되고, 2개 이상인 경우 상호 잇대어 고정한다. 여기서, 제1보강부재(130)의 고정은 용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이웃한 제1보강부재(130)들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제1보조보강부재(140)를 설치(S30)하거나 제1`보조보강부재(141)를 설치한다(S30`). 제1보조보강부재(140) 또는 제1`보조보강부재(141)가 2개 이상인 경우 하부플랜지(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한 후 용접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제1보조보강부재(140)를 설치한 경우, 최외측 제1보강부재(130)의 외측면과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에 접촉시켜 제2보조보강부재(150)를 설치한다(S31). 여기서, 제1`보조보강부재(141)가 설치되는 경우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배제된다. 이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하부플랜지(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한 후 용접으로 고정한다. 각 실시 예에 따라 좀 더 자세하게는,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일례로,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이면서 하부플랜지(120)와 복부(110) 사이에 제1보강부재(130)가 고정된 경우 하부플랜지(120)의 상면, 제1보강부재(130)의 측면 및 복부(110)의 측면과 맞닿아 고정된다. 다른 예로,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 제1보강부재(130)가 고정된 경우 최외측 제1보강부재(130)의 외측면과 하부플랜지(120)의 하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또 다른 예로,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 제1보강부재(130)가 고정된 경우 최외측 제1보강부재(130)의 외측면과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 맞닿아 고정된다. 또 다른 예로,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이면서 복부(110)들 사이에 제1보강부재(130)가 고정된 경우 상부플랜지(100)의 하면, 제1보강부재(130)의 측면 및 복부(110)의 측면과 맞닿아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제1보강부재(13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제4보강부재(S32)를 설치한다. 좀 더 자세하게는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이면서 복부(110)들 사이에 상부플랜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1개의 제4보강부재(190)를 설치한다. 이 제4보강부재(190)는 상부플랜지(100)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적어도 1개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4보강부재(190)들 사이 및 제4보강부재(190)와 복부(110) 사이에 제5보강부재(200)를 설치한다(S33). 이 제5보강부재(200)는 상부플랜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적어도 1개를 설치한다.
끝으로, 하부플랜지(120)의 상면이면서 제1보강부재(130)를 매설하는 정도의 높이로 보강콘크리트(160)를 타설한다(S40). 이 보강콘크리트(160)는 교량 제작시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얹혀지는 강상자형 거더의 일부위 즉, 부지점부에서의 강상자형 거더의 일부위에 타설된다. 물론, 보강콘크리트(160)의 타설을 위해 타설 구역의 양측부에 격벽이 설치된다. 또한, 제1보강부재(130)들 상면에 얹혀지면서 양측단부가 복부에 고정되도록 제1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제1보강플레이트는 보강콘크리트 타설 전에 설치될 경우 제1보강플레이트에 가공된 타설공을 통해 외부에서 제1보강부재(130)와 제1,2보조보강부재(140,150)에 의해 구획된 개별공간으로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술된 다양한 보강부재 또는 보조보강부재에는 콘크리트가 이웃한 공간 또는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가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바닥판 슬래브
11:종철근
12:횡철근
100:상부플랜지
101:보조플랜지
110:복부
120:하부플랜지
130:제1보강부재
130a:제1관통홀
131:제2보강부재
131a:제2a보강부재
131b:제2b보강부재
132:제3보강부재
132a:제3a보강부재
132b:제3b보강부재
132c:제3c보강부재
140:제1보조보강부재
141:제1`보조보강부재
142:결합홀
150:제2보조보강부재
160:보강콘크리트
170:제1보강플레이트
171:타설공
180:제2보강플레이트
190:제4보강부재
200:제5보강부재.

Claims (27)

  1.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와
    이웃한 상기 제1보강부재(130)들 사이에 개재되어 보강부재에 맞닿아 고정된 보조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정면상 철(凸)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140)이고, 보강부재가 상부플랜지(100) 또는 하부플랜지(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보강부재와 복부(110) 사이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제2보조보강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정면상 "ㄴ"자 형상 또는 판 형상이고, 보강부재가 하부플랜지(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의 설치로 생성된 개별공간들이 통하도록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제1보조보강부재(140)와 제2보조보강부재(1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에 배치되면 바닥판 슬래브(10)에 매설되는 종철근(11) 또는 횡철근(12)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보강플레이트(1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170)는 보강부재들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보강콘크리트(160)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설공(171)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폭은 상부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플랜지(120)의 폭과 동일하거나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는 폭 방향에서 바라보면 양측 복부(110)를 연결하여 설치된 1개의 일체형이거나, 양측 복부(110)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호 분리된 한 쌍의 분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이면서 복부(110)의 상측 연장선상에 각각 "T"자형 보조플랜지(10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1.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131) 또는 "ㅠ"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1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2.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132a)와, 제3a보강부재(132a)를 수용하면서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132b)이거나,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2a보강부재(131a), 제2a보강부재(131a)를 수용하면서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에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2b보강부재(131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3.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보강부재(132)와, 이 제3보강부재(132)의 내부이면서 하부플랜지(120)의 일면에 고정된 "T"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1보강부재(103)이거나,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보강부재(132)와, 이 제3보강부재(132)의 일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면서 하부플랜지(120)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판형상의 적어도 1개인 제3c보강부재(132c)이고,
    상기 제3보강부재(132)의 양측부는 수직이거나 일정 경사로 벌어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4.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인 제1보강부재(130),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인 제2보강부재(131),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인 제3보강부재(132),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132a) 및 이 제3a보강부재(132a)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132b),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132a) 및 제3a보강부재(132a)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132b)와, 판형상의 제3c보강부재(132c)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용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5. 하부플랜지(120), 복부(110)와 상부플랜지(100)를 구비한 강상자형 거더에 있어서,
    상부의 단면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부플랜지(120)의 폭 방향 길이보다 상부플랜지(100)의 폭 방향 길이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상/하 양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된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T"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1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는 폭 방향의 길이가 하부플랜지(120)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긴 구조, 폭 방향에서 바라보면 양측 복부(110)를 연결하여 설치된 1개의 일체형인 구조와, 양측 복부(110)에 각각 고정되면서 상호 분리된 한 쌍의 분리형인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상면이면서 복부(110)의 상측 연장선상에 각각 "T"자형 보조플랜지(10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19.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정면상 이웃한 보강부재들 사이에 가로질러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정면상 철(凸) 형상 또는 판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140) 또는, 정면상 양측 복부(110)를 가로질러 배치되면서 보강부재가 관통하는 결합홀(142)을 구비한 제1`보조보강부재(141)이고,
    상기 제1보조보강부재(140)와 제1`보조보강부재(141)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강부재는 보강부재와 복부(110) 사이에 가로질러 배치되어 보강부재와 맞닿아 고정된 제2보조보강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보강부재(150)는 정면상 "ㄴ"자 형상 또는 판 형상이고, 보강부재가 하부플랜지(12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부착된 위치에 따라 고정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보강부재와 보조보강부재의 설치로 생성된 개별공간들이 통하도록 측면과 상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관통홀을 구비하고, 콘크리트에 매설된 종철근(11) 또는 횡철근(12)이 관통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3.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의 상면 또는 하면을 연결하여 고정된 제1보강플레이트(1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170)는 보강부재들의 상면에 고정되면서 보강콘크리트(160)가 타설되면 콘크리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의 타설공(171)이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4.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하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110)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되거나, 하부플랜지(130)의 상측이면서 정면상 양측 복부(110)의 하부에 양단부가 고정된 제2보강플레이트(18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5.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강상자형 거더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판 형상의 제4보강부재(190);와 상기 제4보강부재(190)들 사이 또는, 제4보강부재(190)와 복부(11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 제5보강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26. 강상자형 거더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부플랜지(100), 하부플랜지(120)와 복부를 설치하는 제S10단계(S10);와
    상기 하부플랜지(120) 또는 상부플랜지(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보강부재를 설치하는 제20단계(S2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 설치는 "T"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130), "ㅠ"자 형상의 제2보강부재(131), 개방면측이 하부플랜지(120)를 향하여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132),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132a) 및 제3a보강부재(132a)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ㄷ"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132b),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a보강부재(132a) 및 제3a보강부재(132a)를 수용하도록 개방면측이 고정된 "ㅠ"자 형상의 제3b보강부재(132b)와, 판형상의 제3c보강부재(132c)들 중 어느 하나를 단독 또는 혼용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들 사이를 가로질러 "철(凸)" 형상의 제1보조보강부재(140)를 설치하는 제30단계(S30);
    상기 보강부재가 통과하는 결합홀(142)을 구비한 제1`보조보강부재(141)를 정면상 양측 복부(110)를 가로질러 설치하는 제30`단계(S30`);
    상기 보강부재와 복부(110) 사이 또는, 최외측 보강부재의 외측면에 제2보조보강부재(150)를 설치하는 제S31단계(S31);
    상기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보강부재가 설치되지 않으면, 상부플랜지(100)의 하면에 판 형상의 제4보강부재(190)를 설치하는 제32단계(S32);
    상기 제4보강부재(190)들 사이 또는, 제4보강부재(190)와 복부(110) 사이에 판 형상의 제5보강부재(200)를 설치하는 제33단계(S33);
    상기 보강부재의 상면에 콘크리트 타설용 타설공(171)을 구비한 제1보강플레이트(170)를 올려놓고 고정하는 제34단계(S34);
    상기 복부(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양측 복부(110)를 가로질러 제2보강플레이트(180)를 고정하는 제35단계(S35);와
    상기 보강부재를 매설하는 정도의 높이로 보강콘크리트(160)를 타설하는 제40단계(S40);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의 제작방법.
KR1020150133815A 2015-09-22 2015-09-22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779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15A KR101779959B1 (ko) 2015-09-22 2015-09-22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815A KR101779959B1 (ko) 2015-09-22 2015-09-22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128A true KR20170035128A (ko) 2017-03-30
KR101779959B1 KR101779959B1 (ko) 2017-10-23

Family

ID=5850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815A KR101779959B1 (ko) 2015-09-22 2015-09-22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95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1752A (zh) * 2018-02-12 2018-08-10 浙江八达隧道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钢筋绑扎模具及其安装方法
CN110170799A (zh) * 2019-06-04 2019-08-27 上海绿地建筑钢结构有限公司 钢箱梁制作工艺
KR102151567B1 (ko) * 2019-11-19 2020-09-03 산이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교량
KR102151576B1 (ko) * 2019-11-19 2020-09-03 산이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교량
CN111705676A (zh) * 2020-07-06 2020-09-25 丁西焘 一种用于桥梁t钢的灵活组装设备及其实施方法
CN112112077A (zh) * 2020-09-15 2020-12-2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箱梁的施工方法
KR102292294B1 (ko) * 2020-11-30 2021-08-20 김정 공용중 교량 거더의 휨저항 성능 향상을 위한 강박스 거더 내부 보강방법
KR102355916B1 (ko)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CN115158576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舶的防撞组件及包含其的船舶
CN115288025A (zh) * 2022-08-16 2022-11-04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箱梁用便拆可调临时撑座辅助安装结构及其施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158B1 (ko) 2020-11-30 2021-07-08 한우물중공업 주식회사 강상자형 거더교
KR102453222B1 (ko) * 2021-04-08 2022-10-12 텔루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강판보강부를 구비한 보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490B1 (ko) 2003-04-08 2006-01-24 공강주 충전재를 이용한 2중 강상자형교
KR100650158B1 (ko) 2006-01-05 2006-11-30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43823B1 (ko) 2009-10-09 2010-02-25 한우물중공업(주)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더
KR100947306B1 (ko) 2007-12-04 2010-03-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1006545B1 (ko) 2009-12-22 2011-01-07 (주)유니트엔지니어링 외측 종방향 리브부재 및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2839B2 (ja) * 2005-12-22 2011-05-11 株式会社大林組 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鋼床版の補強方法
CA2639701C (en) * 2007-09-21 2016-01-05 Groupe Canam Inc. Bridge deck panel
JP5535440B2 (ja) * 2008-02-05 2014-07-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ひび割れを抑止した複合鋼床版
KR101257941B1 (ko) * 2012-02-06 2013-04-24 삼표건설 주식회사 강 박스 거더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1221419B1 (ko) * 2012-05-08 2013-01-21 박상현 층상구조의 상부플랜지를 갖는 강박스거더, 이를 포함한 교량 및 교량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490B1 (ko) 2003-04-08 2006-01-24 공강주 충전재를 이용한 2중 강상자형교
KR100650158B1 (ko) 2006-01-05 2006-11-30 주식회사 스틸코리아 중공복부, 축소된 상자형 하현재 및 개방된 상부플랜지로구성된 조립강재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947306B1 (ko) 2007-12-04 2010-03-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0943823B1 (ko) 2009-10-09 2010-02-25 한우물중공업(주) 강재와 콘크리트가 합성된 거더
KR101006545B1 (ko) 2009-12-22 2011-01-07 (주)유니트엔지니어링 외측 종방향 리브부재 및 내부보강판을 이용한 강박스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1752A (zh) * 2018-02-12 2018-08-10 浙江八达隧道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钢筋绑扎模具及其安装方法
CN108381752B (zh) * 2018-02-12 2019-10-08 浙江八达隧道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箱梁钢筋绑扎模具及其安装方法
CN110170799A (zh) * 2019-06-04 2019-08-27 上海绿地建筑钢结构有限公司 钢箱梁制作工艺
KR102151567B1 (ko) * 2019-11-19 2020-09-03 산이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교량
KR102151576B1 (ko) * 2019-11-19 2020-09-03 산이건설 주식회사 강합성 교량
CN111705676B (zh) * 2020-07-06 2022-02-22 江苏致信桥梁检测与维修加固有限公司 一种用于桥梁t钢的灵活组装设备及其实施方法
CN111705676A (zh) * 2020-07-06 2020-09-25 丁西焘 一种用于桥梁t钢的灵活组装设备及其实施方法
CN112112077A (zh) * 2020-09-15 2020-12-22 中交第三航务工程局有限公司 一种钢箱梁的施工方法
KR102292294B1 (ko) * 2020-11-30 2021-08-20 김정 공용중 교량 거더의 휨저항 성능 향상을 위한 강박스 거더 내부 보강방법
KR102355916B1 (ko) * 2021-04-28 2022-02-08 주식회사 최선트레이 케이블 트레이 슬리브용 강화 커버
CN115288025A (zh) * 2022-08-16 2022-11-04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箱梁用便拆可调临时撑座辅助安装结构及其施工工艺
CN115288025B (zh) * 2022-08-16 2023-09-19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箱梁用便拆可调临时撑座辅助安装结构及其施工工艺
CN115158576A (zh) * 2022-08-18 2022-10-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船舶的防撞组件及包含其的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959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959B1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CN101021057B (zh) 基板桥结构
US20130263392A1 (en) Upper Structure for Bridge
KR101880490B1 (ko) 딥데크 슬래브용 합성 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구조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0694805B1 (ko) 다공성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및 분절형 다공성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160763B1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JP5901675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床版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704291B1 (ko) 교량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거더
KR10110540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101562603B1 (ko) Pc보도육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482977B1 (ko) 내부 돌출부가 형성된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KR20120018028A (ko)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KR101085213B1 (ko) 복공판
KR20150071957A (ko) 중공슬래브에 사용되는 부력방지형 모듈
KR101929885B1 (ko) 강재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20180041787A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전단 보강 철근
KR200425920Y1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100997450B1 (ko) 엇물림 복공판을 이용한 가설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04355B1 (ko) 복합 교량용 거더
KR20080004752U (ko) 초간편시공이 가능한 강합성 교량
KR101740004B1 (ko) 교량 시공용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조립체
KR20150084468A (ko) 상부강합성 덮개판을 이용한 거더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