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920Y1 -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920Y1
KR200425920Y1 KR2020060015150U KR20060015150U KR200425920Y1 KR 200425920 Y1 KR200425920 Y1 KR 200425920Y1 KR 2020060015150 U KR2020060015150 U KR 2020060015150U KR 20060015150 U KR20060015150 U KR 20060015150U KR 200425920 Y1 KR200425920 Y1 KR 200425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n
side member
perforated plate
plat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구
오태헌
Original Assignee
지엘기술 (주)
오태헌
윤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엘기술 (주), 오태헌, 윤인구 filed Critical 지엘기술 (주)
Priority to KR2020060015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E01C9/086Temporary pavings made of concrete, wood, bitumen, rubber or synthetic material or a combination thereof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등이 통행하는 상부면을 아스콘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차 발생을 방지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그 크기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의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개의 횡방향 빔 부재(10)와,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 사이에 보강용 종방향 리브부재(20)가 수직하게 교차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격자형 뼈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3)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상부에 배치되어 아스콘이 타설되는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30)과;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전, 후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ㄷ" 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제1측면 부재(40)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좌, 우 측면에서 상기 전, 후의 제1측면 부재(40) 사이의 측면을 막도록 설치되는 제2측면 부재(50)와; 상기 바닥판(30), 상기 제1측면 부재(40) 및 제2측면 부재(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아스콘이 타설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아스콘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복공판은, 종래의 복공판과 달리 노면을 아스콘 처리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격화된 종래의 복공판에서 탈피하여 복공판을 임의로 크기와 높이를 갖도록 설계할 수 있어서, 받침보위에 배치할 때, 복공판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할 경우 서로 다른 높이의 복공판을 받침보위에 배치함으로써 단차를 극복할 수 있다.
복공판, 브레이싱, 아스콘, 받침보, 프레임

Description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Assembly Type Complex Temporary Bridge Deck}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하부 프레임부 위에 아스콘 타설용 바닥판(30)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후속하여 아스콘 타설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측면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후속하여 아스콘 타설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측면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부 아스콘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아스콘을 타설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아스콘이 타설, 양생되어 상부 아스콘부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b는 복공판의 아스콘 표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6c는 복공판이 완성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 6b의 선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2 : 상부 아스콘부
10 : 횡방향 빔 부재
20 : 종방향 리브부재
30 : 바닥판
40 : 제1측면 부재
50 : 제2측면 부재
본 고안의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 등이 통행하는 상부면을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미끄럼을 방지하고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며, 조립 및 제작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차 발생을 방지하고 현장 상황에 맞게 그 크기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의 복공판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과 같은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거나 또는 가교 등을 시공할 때, 차량 또는 중장비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복공판이 사용된다. 종래의 복공판은 강재로 제작되며 그 표면 역시 강재판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동절기에 결빙이 발생되거나 또는 눈, 비 등이 올 경우 매우 미끄럽게 된다. 이에 대한 대비로서 복공판의 표면에 무늬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무늬만으로는 미끄럼 방지가 충분하지 않다.
종래의 복공판은 일정한 규격에 맞추어 제작되었다. 따라서 받침보에 복공판을 설치함에 있어서, 받침보의 배치가 하부의 구조물에 맞추어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히려 복공판의 규격에 맞추어 배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공판의 규격에 맞추어 받침보를 배치하다 보니 받침보 배치에 대한 설계가 자유롭지 못하고 받침보는 필요 이상으로 많이 배치하는 과다 설계가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공사비의 증가, 공기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규격화된 복수개의 복공판이 받침보 위에 조립되어 배치될 때, 인접한 복공판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차량 또는 중장비가 받침보 위에 복수개로 나란하게 놓인 복공판위에서 이동할 때, 이 단차에 걸려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또는 복공판이 해체되면서 차량 등이 아래로 추락하게 되는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크며, 단차를 지나가면서 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복공판 표면에서의 미끄럼 현상 및 소음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복공판을 다양한 크기로 자유롭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공판의 규격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받침보의 과다설계 문제를 해결하고, 복공판 배치 시의 단차 발생으로 인한 위험성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복공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개의 횡방향 빔 부재와, 상기 횡방향 빔 부재 사이에 보강용 종방향 리브부재가 수직하게 교차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격자형 뼈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아스콘이 타설되는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과;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전, 후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ㄷ" 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제1측면 부재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의 좌, 우 측면에서 상기 전, 후의 제1측면 부재 사이의 측면을 막도록 설치되는 제2측면 부재와; 상기 바닥판, 상기 제1측면 부재 및 제2측면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아스콘이 타설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아스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부재의 수직 높이를 상기 제1측면 부재의 수직 높이보다 더 크게 하여, 제1측면 부재의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 제2측면 부재의 부분이, 복공판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 는 스톱퍼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고안의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부재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제2측면 부재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횡방향 빔 부재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아스콘부의 표면에는 미끄럼 저항을 증가시키는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에 의하면, 아스콘부가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요소는 조립식으로 이루어져서 복공판의 크기를 다양화할 수 있어서, 받침보를 경제적으로 설계하여 시공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1)(이하 "복공판"으로 표기함)은, 하부의 뼈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3)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상부, 그리고 전, 후 측면과 좌, 후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아스콘이 타설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판(30), 제1측면 부재(40) 및 제2측면 부재(50)와; 상기 아스콘 타설 공간에 아스콘이 타설되어 형성되는 상부 아스콘부(2)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인데, 이를 참조하여 상기 복공판(1)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횡방향(도 1의 화살표 B-B 방향)으로 후방 부분은 생략하고 전방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 1에는 복공판(1)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3)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부(1)는 복수개의 횡방향 빔 부재(10)와 종방향 리브부재(20)가 서로 교차되어 조립된 구조를 가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는 수평 플랜지와 수직한 웨브로 이루어진 "T" 자형 강재 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횡방향 빔 부재(10)의 배치 간격 또는 배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복공판(1)의 종방향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 사이에는 종방향(도 1의 화살표 A-A 방향)으로 보강용 종방향 리브부재(20)가 수직하게 교차하여 일체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격자형 하부 프레임부(3)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부(3) 위에는 상부 아스콘부(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프레임부(3) 위에는, 상부 아스콘부(2)를 형성할 수 있도록 아스콘 타설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후속하여 하부 프레임부(3) 위에 아스콘 타설용 바닥판(30)이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하부 프레임부(3) 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콘 타설을 위한 바닥판(30)이 설치된다.
도 3에는 도 2에 후속하여 아스콘 타설 공간(30a)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측면 부재(4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공판(1)의 종방향으로 전, 후 측면을 막도록 제1측면 부재(40)를 각각 설치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전, 후 측면 및 복공판(1)의 상부 일부와 하부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ㄷ"자 단면 형상의 빔으로 상기 제1측면 부재(40)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 후 측면에 배치된 제1측면 부재(40)의 내부에 상기 하부 프레임부(3)가 위치한다.
도 4에는 도 3에 후속하여 아스콘 타설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측면 부재(50)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내부에 하부 프레임부(3)가 위치한 상태로 전, 후 측면을 제1측면 부재(40)가 감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복공판(1)의 좌, 우 측면을 막도록 제2측면 부재(50)가 설치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 후의 제1측면 부재(40) 사이에서 좌, 우측으로 아스콘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측면 부재(50)가 상기 전, 후의 제1측면 부재(40) 사이의 측면 공간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2측면 부재(50)의 수직 높이를 상기 제1측면 부재(40)의 수직 높이 보다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측면 부재(40)의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 상기 제2측면 부재(50)의 돌출부분은, 복공판(1)이 받침보에 설치되었을 때, 복공판(1)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50a)로서 기능하게 된다.
한편, 하부 프레임부(3)의 횡방향 빔 부재(10)의 단부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50a)을 상기 제2측면 부재(50)에 형성하여, 제2측면 부재(5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50a)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제2측면 부재(50)와 횡방향 빔 부재(10)를 삽입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 결합할 수 있게 되며, 용접에 의하여 결합 하는 경우에도 외부에서 횡방향 빔 부재(10)와 제2측면 부재(50)를 용접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2측면 부재(5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복공판(1)의 횡방향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하부 프레임부(3)를 비롯하여, 바닥판(30), 제1측면 부재(40) 및 제2측면 부재(50)가 조립 및 간단한 용접을 통하여 결합되어 복공판(1)을 형성하게 되므로, 복공판의 조립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를 현장의 받침보 배치 간격에 맞추어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 부재의 수직 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복공판(1)의 두께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받침보가 불규칙하거나 또는 경사진 경우에도 복공판(1)의 두께를 쉽게 변경함으로써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음 발생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판(30)과, 제1측면 부재(40) 및 제2측면 부재(50)에 의하여 아스콘의 타설 공간(30a)이 형성된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아스콘을 타설하여 상부 아스콘부(2)를 형성한다. 도 6a는 도 5에 후속한 상태로서 아스콘이 타설되어 상부 아스콘부(2)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필요하다면 표면 마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부 아스콘부(2)의 표면에 그루브(6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b는 복공판의 아스콘 표면에 그루브(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복공판(1)이 완성된 상태에서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 6b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횡방향 빔 부재(10) 및 제1측면 부 재(40)에는 각각 복공판(1)이 놓이게 될 받침보에 형성된 결합 볼트 홀에 맞추어 볼트결합용 관통공을 형성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제1측면 부재(40)의 경우에는 제1측면 부재(40)의 수직한 벽체부에는 이웃하는 복공판(1)과의 결합 또는 난간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용 관통공을 형성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복공판(1)에서는 하부는 하부 프레임부(3)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상부 아스콘부(2)로 구성되므로, 차량 등이 통행하는 복공판(1)의 노출면이, 종래의 복공판보다 더 큰 미끄럼 저항을 가지게 되어, 눈, 비, 결빙 등과 같이 열악한 조건에서도 노면의 미끄러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식 등의 우려도 없으므로 복공판(1)의 내구성도 증가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은 종래의 복공판과는 달리, 복공판의 노면을 아스콘으로 형성하여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프레임부(3) 위의 타설 공간(30a)에 형성된 상부 아스콘부(2)의 노면에 그루브(60)를 추가로 형성함에 의해, 미끄럼 방지를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강재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복공판(1)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복공판(1)은 상부가 상부 아스콘부(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소음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복공판(1)은 간단한 조립 구조로 제작되므로, 각각의 부재 들의 크기, 개수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현장 상황 즉, 받침보의 배치 상황에 맞추어 복공판(1)의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복공판(1)의 규격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받침보 설계의 종속화 및 그에 따른 과대설계, 공사비 증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복공판(1)을 이루는 각 부재의 수직 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복공판(1)의 두께도 임의로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받침보가 불규칙하거나 또는 경사진 경우에도 복공판(1)의 두께를 쉽게 변경함으로써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소음 발생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아스콘부(2)에 결함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복구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사용성이 우수하다.

Claims (4)

  1.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1)으로서,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복수개의 횡방향 빔 부재(10)와,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 사이에 보강용 종방향 리브부재(20)가 수직하게 교차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격자형 뼈대를 이루는 하부 프레임부(3)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상부에 배치되어 아스콘이 타설되는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30)과;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전, 후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ㄷ" 자 형강으로 이루어진 제1측면 부재(40)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의 좌, 우 측면에서 상기 전, 후의 제1측면 부재(40) 사이의 측면을 막도록 설치되는 제2측면 부재(50)와;
    상기 바닥판(30), 상기 제1측면 부재(40) 및 제2측면 부재(5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아스콘이 타설됨으로써 형성되는 상부 아스콘부(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부재(50)의 수직 높이를 상기 제1측면 부재(40)의 수직 높이 보다 더 크게 하여 제1측면 부재(40)의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으로 복공판(1) 의 횡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스톱퍼(50a)를 형성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 부재(50)에는 관통공(50a)이 형성되어 있어, 제2측면 부재(50)를 설치하였을 때 상기 횡방향 빔 부재(10)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50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아스콘부(2)의 표면에는 미끄럼 저항을 증가시키는 그루브(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2020060015150U 2006-06-07 2006-06-07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200425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150U KR200425920Y1 (ko) 2006-06-07 2006-06-07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150U KR200425920Y1 (ko) 2006-06-07 2006-06-07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698A Division KR20070117039A (ko) 2006-06-07 2006-06-07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920Y1 true KR200425920Y1 (ko) 2006-09-12

Family

ID=4177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150U KR200425920Y1 (ko) 2006-06-07 2006-06-07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9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58B1 (ko) 2009-05-01 2009-12-21 대현테크(주) 합성 복공판
KR100954154B1 (ko) 2009-06-11 2010-04-21 (주)리튼브릿지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58B1 (ko) 2009-05-01 2009-12-21 대현테크(주) 합성 복공판
KR100954154B1 (ko) 2009-06-11 2010-04-21 (주)리튼브릿지 강합성 콘크리트 복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847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공 및 가교 구조체
KR101509505B1 (ko) 슬래브거더교 시공방법 및 그 교량
JP2007138467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装置とその施工法
KR100812132B1 (ko) 콘크리트 슬래브 조립체
KR101545640B1 (ko) 횡방향 돌출 접합강판을 이용하여 구조적 합성효과를 향상시킨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25920Y1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200438042Y1 (ko) 복공판
KR102202618B1 (ko)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0986232B1 (ko) 다목적 가림블럭
KR101330177B1 (ko) 강선인장을 이용하는 복공판
KR20070117039A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20050080092A (ko) 구멍강판을 전단연결재로 사용하는 부분매입형 합성바닥판시스템
KR102108237B1 (ko) 상부체, 상부체와 하부체가 일체로 거동하는 합성 거더, 그 합성 거더를 구비한 가설 구조물 및 그 가설 구조물의 시공 방법
JP4757902B2 (ja) トンネル通路構築用壁面板
JP3125931U (ja) 側溝の道路横断構造
KR100696910B1 (ko) 조립식옹벽블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옹벽블록제작방법
KR100417487B1 (ko) 쇄석 채움 옹벽
JP4415838B2 (ja) トンネル内部の構築工法
JP3125818U (ja) 側溝ユニット及びグレーチング蓋の構造
JP6235509B2 (ja) シェッドとその施工方法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102111979B1 (ko) 시공이 용이한 바닥 배수판
JP3228283U (ja) 排水溝ユニット
JP5843550B2 (ja) 補強土擁壁及びそ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