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577A - 에어백용 직물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577A
KR20100105577A KR1020107012184A KR20107012184A KR20100105577A KR 20100105577 A KR20100105577 A KR 20100105577A KR 1020107012184 A KR1020107012184 A KR 1020107012184A KR 20107012184 A KR20107012184 A KR 20107012184A KR 20100105577 A KR20100105577 A KR 20100105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sin
acid
polyamid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4051B1 (ko
Inventor
겐이치로 가노
다카시 츠루타
마모루 기타무라
히데오 이소다
히로아키 하기와라
가쿠 마루야마
다카히로 핫토리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26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Salts or ester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06M15/568Reaction products of isocyanates with 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N3/042Acrylic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1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esters, polycarbonates, alky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2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139Coating or impregnation specified as porous or permeable to a specific substance [e.g., water vapor, ai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62Coated or impregnated natural fiber fabric [e.g., cotton, wool, silk, linen, etc.]
    • Y10T442/277Coated or impregnated cellulosic fiber fabric
    • Y10T442/2811Coating or impregnation contains polyimide or polyam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는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어백용 직물은, 커버 팩터가 2000~2500인 합성섬유제 직물에 합성수지가 적어도 편면에 도포되어 되는 직물로서, 직물의 100 kPa 차압하에서의 통기도가 0.01~1.00 L/㎠/min이고, 직사부(織絲部)의 중앙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單絲) 상부에 2 ㎛ 이하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 상부에 2~30 ㎛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용 직물{Fabric for air bag}
본 발명은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는 에어백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안전부품의 하나로서 급속히 장착률이 향상하고 있는 에어백은,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충격을 센서가 감지하여, 인플레이터로부터 고온, 고압의 가스를 발생시키고, 이 가스에 의해 에어백을 급격히 전개시켜서, 운전자나 동승자의 신체가 충돌한 방향으로 튀어나갔을 때, 특히 두부가 핸들, 프론트 글래스, 도어 글래스 등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호하는 것이다. 종래, 에어백에는 클로로프렌, 클로로설폰화 올레핀, 실리콘 등의 합성고무를 피복한 코팅직물이, 내열성, 공기 차단성(저통기도), 난연성이 높다는 이유로 사용되어 오고 있고, 현재는 실리콘 코팅직물이 주류가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고무를 코팅한 직물은 직물의 질량이 증가하고, 또한 유연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제조비용도 높기 때문에, 에어백용 직물로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많았다.
직물의 코팅 도포량을 변경하여, 개량하는 것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에어백 전개성능 등에 관한 기술은 없다. 또한, 통기성·연소성 등에 관해서는 만족할 수 있는 레벨이 아니기에,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경량화, 저비용화 등을 목적으로 하여, 직물에 가교 엘라스토머를 코팅하는 발명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2에 있어서의 실시형태에서의 부착량은 높고, 또한 가교에 열량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비용 상승 요인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정면충돌용 에어백에서는, 경량이고, 수납성이 우수한, 코팅을 실시하지 않는 직물을 사용한 논코트 에어백이 주류가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을 참조). 그러나, 측면충돌용 에어백과 같이 탑승자와의 거리가 가까운 에어백에서는, 보다 고속의 전개성능이 필요하다. 그 때문에 높은 압력의 인플레이터에 견딜 수 있는 에어백용 직물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논코트 직물의 특성인 경량, 양호한 수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에어백용 직물로서, 합성수지 희석액으로의 함침처리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를 참조). 그러나, 이 방법에서 얻어지는 에어백용 직물의 통기성능은,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직물에 있어서의 수지 존재상태를 제어하고, 경량화를 도모하는 방법도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를 참조). 특허문헌 5의 방법에서는 「목합부(目合部)」에 많은 수지를 존재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직사부(織絲部)」에도 수지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량이 증가하고 있는 점이나, 특히 수지량을 저하시킨 경우에는, 통기도 제어에 필요한 부분이 「목합부」뿐 아니라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경계부도 있기 때문에 통기도가 높은 점 등의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5-1675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표 제2001-524624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평4-28106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11-22277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6-877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현재 상황을 감안하여,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는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1) 식 1로 나타내는 커버 팩터가 2000~2500인 합성섬유제 직물에 합성수지가 적어도 편면에 도포되어 되는 직물로서, 직물의 100 kPa 차압하에서의 통기도가 0.01~1.00 L/㎠/min이고, 직사부의 중앙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單絲) 상부에 2 ㎛ 이하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 상부에 2~30 ㎛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Figure pct00001
(2) 합성수지의 도포량이, 건조 후의 질량으로 0.1~1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에어백용 직물.
(3) 합성수지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에 수용성 증점제를 함유해서 되는 수지 조성물이고, 점도가 5~200 dPa·s인,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계 분산액을 상기 합성섬유제 직물에 도포, 건조해서 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에어백용 직물.
(4) 합성수지가, 수평균 분자량 100~5000의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어백용 직물.
(5) 소프트 세그먼트가 아미노 변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에어백용 직물.
(6)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이고,
소프트 세그먼트가 하기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 구성되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로 되며,
하드 세그먼트가 하기 화학식 III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및/또는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락탐 화합물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에어백용 직물.
[화학식 I]
Figure pct00002
[단, R은 탄소수 2~3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렌기를, n은 13~26의 수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03
[단, R1은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04
[단, R2는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05
[단, R3는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7) 수용성 증점제가 셀룰로오스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에어백용 포백.
본 발명의 에어백용 직물은, 도포되는 합성수지가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존재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합성수지 도포 전 합성섬유 직물의 일례의 표면 SEM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 B의 SEM 사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A의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합성섬유로서는 특별히 소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나일론66, 나일론6, 나일론46, 나일론12 등의 지방족 폴리아미드 섬유, 아라미드 섬유와 같은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사용된다. 다른 예로서는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섬유,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파라페닐렌·벤조비스·옥사졸 섬유(PBO 섬유),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섬유, 폴리에테르케톤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단, 경제성을 감안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의 섬유는 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재이용된 원재료로부터 얻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의 합성섬유에는 원사제조공정이나 후가공공정에서의 공정 통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전혀 문제는 없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평활제, 대전방지제, 증점제, 난연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합성섬유는 원착사(原着絲)나 제사(製絲) 후 염색한 것이어도 전혀 문제는 없다. 또한, 합성섬유의 단사(單絲)의 단면은 통상의 둥근 단면 외에, 이형단면이어도 전혀 지장 없다. 합성섬유는, 멀티필라멘트사로서 사용되어 제직(製織)되는 것이 파단강도, 파단신도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직물 물성의 균일성을 감안하면 평직이 좋다. 사용하는 실은, 경사·위사는 단일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두께나 실 가닥(本) 수, 섬유의 종류가 상이해도 전혀 지장은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직물은, 공지의 방법으로 제직한 합성섬유제 직물의 적어도 편면에, 합성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제조된다. 도포의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비용면이나 도공 후의 직물 유연성을 감안하면 나이프 코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물에 도포하는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도, 수평균 분자량 100~5000의 아미노 변성된 폴리올을 포함하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통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폴리올의 분자량은 300~3000이다. 분자량이 100보다 작으면, 인열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분자량이 5000보다 크면, 활탈저항력(滑脫抵抗力)이 부족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수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였다.
·GPC법
장치: TOSOH HLC-8220GPC
칼럼: TSKgel SuperHM-H×2+TSKgel SuperH2000(TOSOH)
용매: HFIP/트리플루오로초산나트륨 10 mM
유속: 0.25 ㎖/min 농도: 0.05%
온도: 40℃, 검출기: RI
표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환산으로 분자량 계산.
여기서 소프트 세그먼트로서는, 폴리올 전체를 가리키나, 선상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아미노 변성체가 열가소성 수지의 성능면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또는 폴리부틸렌글리콜의 아미노 변성체이다. 폴리올은 폴리머 중의 질량비로 10~9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질량% 미만에서는 도포 후의 직물의 유연성이 상실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90 질량%를 초과하면 엘라스토머로서의 성질이 얻어지지 않고, 통기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물에 도포하는 합성수지의 융점은, 120~18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16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145℃의 범위이다. 그 합성수지가 적어도 편면에 도포되어 있는 에어백용 직물에 있어서, 내열 노화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 합성수지의 융점을 1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합성수지의 수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융점을 18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상기의 합성수지는,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 상기 화학식 II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아미드 형성성 모노머, 즉, 상기 화학식 III의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및/또는 상기 화학식 IV의 락탐 화합물을 중합해서 얻어지는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는, 수지의 총량에 대한 소프트 세그먼트의 비율이 70~85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73~83 질량%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7~81 질량%의 범위이다.
상기의 특정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양의 수지가 직물에 피복된 코팅 포백(布帛)이어도 통기도를 추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수지에 있어서,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폴리아미드 형성성 모노머에 포함되는 말단의 아미노기와, 말단의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기가 거의 등몰이 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아미드 형성성 모노머의 한쪽 말단이 아미노기이고, 다른 쪽 말단이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기인 경우,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 및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은,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의 아미노기와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카르복실기가 거의 등몰이 되는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1,2-폴리옥시프로필렌, 1,3-폴리옥시프로필렌 및 그들의 공중합물의 아미노 변성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에 있어서, R은 복수 종의 알킬렌기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n은 13~26의 수치이다.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V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하기 화학식 V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미국 HUNTSMAN사제의 제파민 ED900(화학식 V에 있어서, (x+z)가 대략 6.0, y가 대략 12.5)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V]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식 V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에 있어서, y는 9.2~19.4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6.7,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14.4이다. 또한, (x+z)는 3.8~6.0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5.5~6.0이다.
상기 화학식 I의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700~12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1100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1000의 범위이다.
상기 화학식 II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지환족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II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에 있어서, R1은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5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1~15의 알킬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12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2~12의 알킬렌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4~10의 알킬렌기이다.
그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옥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등의 탄소수 2~25의 직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별증류에 의해 얻어지는 불포화지방산을 이량화한 탄소수 14~48의 이량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다이머산) 및 이들의 수소 첨가물(수소 첨가 다이머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및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 있다. 다이머산 및 수소 첨가 다이머산으로서는, 유니케마사제 상품명 「프리폴 1004」, 「프리폴 1006」, 「프리폴 1009」, 「프리폴 101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학식 III의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IV의 락탐 화합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III의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에 있어서, R2는 탄소수 2~2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2~20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8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3~18의 알킬렌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5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4~15의 알킬렌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4~10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화학식 IV의 락탐 화합물에 있어서, R3는 탄소수 3~2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3~20의 알킬렌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18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3~18의 알킬렌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5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4~15의 알킬렌기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4~10의 탄화수소의 분자쇄 또는 탄소수 4~10의 알킬렌기이다.
그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및 그 락탐 화합물로서는, ω-아미노카르복실산, 락탐, 또는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합성되는 것 및 그들의 염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지방족,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형성성 모노머가 사용된다.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합성되는 것 및 그들의 염에 있어서, 디아민으로서는, 지방족 디아민, 지환식 디아민 및 방향족 디아민,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지환식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의 몰비(디아민/디카르복실산)는, 0.9~1.1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이 0.93~1.07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0.95~1.05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고, 0.97~1.03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벗어나면 분자량을 높게 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ω-아미노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6-아미노카프론산, 7-아미노헵탄산, 8-아미노옥탄산, 10-아미노카프린산, 11-아미노운데칸산, 12-아미노도데칸산 등의 탄소수 5~20의 지방족 ω-아미노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락탐의 구체예로서는, ε-카프로락탐, ω-에난토락탐, ω-운데카락탐, ω-도데카락탐, 2-피롤리돈 등의 탄소수 5~20의 지방족 락탐 등을 들 수 있다.
디아민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합성되는 것 및 그들의 염에 있어서, 디아민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헵타메틸렌디아민, 옥타메틸렌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운데카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3-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 등의 탄소수 2~20의 지방족 디아민 등의 디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의 구체예로서는, 옥살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과 같은 탄소수 2~2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수지는, 공지의 축합반응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촉매로서, 인산, 피로인산, 폴리인산 등의 인산 화합물, 디메틸포스핀산, 페닐메틸포스핀산, 차아인산,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에틸 등의 포스핀산 화합물, 페닐아포스폰산, 페닐아포스폰산나트륨, 페닐아포스폰산에틸 등의 아포스폰산 화합물, 페닐포스폰산, 에틸포스폰산, 페닐포스폰산나트륨, 페닐포스폰산디에틸, 에틸포스폰산나트륨 등의 포스폰산 화합물, 아인산, 아인산수소나트륨, 아인산나트륨, 아인산트리에틸, 아인산트리페닐, 피로아인산 등의 아인산 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에어백용 직물에 부착시키는 상기 합성수지에는,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증점제, 착색제, 가교제, 열화(劣化)방지제, 무기필러, 내열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슬립제, 결정핵제, 점착성 부여제, 실링성 개량제, 방담제, 이형제, 가소제, 안료, 염료, 향료, 난연제, 보강재, 금속 불활성화제, 중화제, 제산제, 방균제, 형광증백제, 충전제 등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혼합해도 된다.
산화방지제는, 열산화 열화의 주 요인인 퍼옥시라디칼 및 히드로퍼옥시드를 포착, 분해하여 수지의 취약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안정제와 병용하면 광열화방지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는 첨가제이다. 대표적인 산화방지제로서는, 힌더드페놀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가 있다.
힌더드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3,5-디-t-부틸-4-히드록시-톨루엔, n-옥타데실-β-(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칼슘(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모노에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5-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키스[3-(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3,9-비스[1,1-디메틸-2-{β-(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비스[3,3-비스(4'-히드록시-3'-t-부틸페닐)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트리페놀, 2,2'-에틸리덴 비스(4,6-디-t-부틸페놀), N,N'-비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2,2'-옥사미드 비스[에틸-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1,3-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S-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1,3,5-트리스(4-t-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믹애시드트리에스테르위즈-1,3,5-트리스(2-히드록시에틸)-S-트리아진-2,4,6(1H,3H,5H),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마미드), 3,9-비스[2-{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이 나타내어진다.
황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디미리스틸-3,3'-티오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라우릴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온산에스테르,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옥타데실설파이드, 펜타에리스토릴-테트라(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에스테르 등이 나타내어진다.
인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스(믹스드, 모노 및 디놀릴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3-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1,1,3-트리스(2-메틸-4-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5-t-부틸페닐)부탄,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포스파나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스리톨-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데실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틸포스파이트, 트리도데실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도데실트리티오포스파이트 등이 나타내어진다.
아민계 산화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N,N-디페닐에틸렌디아민, N,N-디페닐아세트아미딘, N,N-디페닐포름아미딘, N-페닐피페리딘, 디벤질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탄올아민, 페노티아진, N,N'-디-sec-부틸-p-페닐렌디아민, 4,4'-테트라메틸-디아미노디페닐메탄, P,P'-디옥틸-디페닐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4,4'-비스(4-α,α-디메틸-벤질)디페닐아민 등의 아민류 및 그의 유도체나 아민과 알데히드의 반응생성물, 아민과 케톤의 반응생성물 등이 나타내어진다.
광안정제로는, 광에너지를 무해한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자외선흡수제(UVA)와 광산화로 생성되는 라디칼을 포착하는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HALS)가 있다.
힌더드아민계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 디메틸과 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중축합물, 폴리[[6-(1,1,3,3-테트라부틸)이미노-1,3,5-트리아진-2,4-디일]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밀]], 2-n-부틸말론산의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에스테르,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1,2-디브로모에탄의 중축합물, 폴리[(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4-모노폴리노-1,3,5-트리아진-2,6-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도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트리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도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1,6,11-트리스[{4,6-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1,3,5-트리아진-2-일)아미노}운데칸, 1-[2-(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2,2,6,6-테트로메틸피페리딘, 8-벤질-7,7,9,9-테트라메틸-3-옥틸-1,3,8-트리아자스피로[4,5]운데칸-2,4-디온, 4-벤조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 등이 나타내어진다.
자외선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졸계, 니켈계, 살리실계의 자외선흡수제를 들 수 있다. 그 자외선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n-옥톡시벤조페논,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5-비스-[5'-t-부틸벤족사졸릴-(2)]-티오펜, 비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 모노에틸에스테르)니켈염, 2-에톡시-5-t-부틸-2'-에틸옥살릭애시드-비스-아닐리드; 85~90%와 2-에톡시-5-t-부틸-2'-에틸-4'-t-부틸옥살릭애시드-비스-아닐리드; 10~15%의 혼합물,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에톡시-2'-에틸옥사잘릭애시드비스아닐리드, 2-[2'-히드록시-5'-메틸-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비스(5-벤조일-4-히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히드록시-4-i-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도데실옥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타데실옥시벤조페논, 살리실산페닐 등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합성수지에 수용성 증점제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증점제로서는, 수용성이고 증점효과가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크산탄검, 카라기난, 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증점제의 비율은, 건조 후 질량으로 합성수지의 부착량의 30 질량% 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질량%를 초과하면 인열강력의 저하와 통기도의 상승으로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를 도포해서 되는 포백의 100 kPa 차압하에서의 통기도는 0.01~1.00 L/㎠/min인 것이 필요하다. 통상의 에어백의 전개시에는 30~50 kPa의 힘이 가해지고 있으나, 또한 인플레이터의 화약에 의한 열의 영향도 있기 때문에, 직물을 표준상태에서 측정할 때에는 100 kPa 차압하에서의 통기도를 의논하는 것이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통기도는 0.80 L/㎠/min 이하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0.50 L/㎠/min 이하이다. 1.00 L/㎠/min보다 크면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0.01 L/㎠/min보다 작은 경우, 초기 구속성능은 만족하나, 본 범위의 통기도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통기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수지량이 증가하는 것에 따른 비용면이나 유연성면에서의 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JIS L1096에 있어서의 통기도에서는, 합성수지를 도포해서 되는 합성섬유제 직물은, 0.1 cc/㎠/sec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되는 합성수지를 직사부 상에는 존재시키지 않거나 또는 존재시켜도 최대한 소량으로 하여, 직사부 간의 경계부(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교차선부)에 선택적으로 존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직물 상에 도포된 합성수지의 피막은, 직사부의 중앙단면(도 1의 단면 A 및 도 2 참조)에 있어서 단사 상부에 존재시키지 않거나 또는 2 ㎛ 이하의 두께로 존재시키고,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도 1의 단면 B 및 도 3 참조)에 있어서 단사 상부에 2~30 ㎛의 두께로 존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직사부의 중앙단면 A의 단사 상에 있어서도 수지가 많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저통기도는 얻어지나, 수지량 증가에 따른 비용면에서의 손실과 유연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었다. 한편, 수지량을 저하시키면, 필요한 통기도가 얻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적은 수지량으로 필요한 통기도를 얻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피막을 직사부 간의 경계부에 선택적으로 존재시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지피막의 존재상태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직물의 커버 팩터나 도포되는 코팅제의 점도, 도포량 등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먼저, 합성섬유제 직물의 커버 팩터를 2000~2500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0보다 작으면 섬유 교점부가 커져, 이 교점부에 의해 많은 수지가 존재하여, 선택적으로 수지를 존재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500보다 큰 경우,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직물의 커버 팩터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ct00007
직물에 도포되는 코팅제(수계 분산액)로서는, 합성수지와 상기 수용성 증점제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제의 점도를 5~200 dPa·s(B형 점도계로 측정)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는 10~150 dPa·s이다. 5 dPa·s보다 작으면 침투성이 높아져, 목적하는 수지 존재상태가 얻어지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통기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200 dPa·s보다 크면, 필요부 이외에도 수지가 부착되어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여기서 분자량이 큰 수용성 증점제를 사용하면, 구조점성이 커지기 때문에, 코팅공정에서의 쉐어 발생시의 점도 저하가 많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수지가 기포(基布) 내로 침투해버리기 때문에, 분자량이 작은 증점제가 바람직하다. 증점제로서는 1 질량% 수용액에서 100 dPa·s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시의 접압(接壓)/장력은 상기의 수지 피막 존재상태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도포량은, 건조 후의 질량으로 0.1~15 g/㎡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8.0 g/㎡이다. 건조 후의 질량이란, 합성수지를 도포하여 건조한 후의 에어백용 직물의 질량을 JIS L1096 8.4.2에 의해 측정한 값에서, 도포 전의 직물의 질량을 마찬가지로 JIS L1096 8.4.2에 의해 측정한 값을 감산함으로써 구한 것이다. 건조 후의 질량이 0.1 g/㎡보다 적으면 통기도를 달성하기 어려워지고, 15 g/㎡보다 많으면 유연성이 손상되고, 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 전의 직물이란, 바로 수지를 도공하기 전 단계의 수지의 도공 이외의 공정을 마친 직물을 의미하고, 통상은, 열처리에 의한 수축가공과 열세트 등이 실시되어 있는 것인 경우가 많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중에 있어서의 각종 평가는, 하기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계 분산액의 점도)
리온 주식회사제의 점도계(비스코테스터 VT-04F)를 사용하여, 수계 분산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통기도)
100 kPa 압력하에서의 통기도를 고압 통기도 측정기(OEM 시스템(주)제)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수지피막 존재상태)
도 1에 있어서의 직사부의 중앙단면(단면 A) 및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단면 B)을 주사형 전자현미경(SEM)에 의해 촬영하여, 단사 상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단면 A 및 단면 B의 두께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멀티필라멘트폭을 4분할하는 3점의 위치에 있는 단사 정점부에 존재하는 수지의 섬유와 수직방향의 두께를 각각 측정하여, 이들 두께의 평균을 취하였다.
실시예 1
총섬도가 40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沸水)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經)밀도 58 가닥/2.54 ㎝, 위(緯)밀도 56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아민 부가물(수평균 분자량 600)과 아디핀산이 몰비로 2.5: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6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다이셀화학제, 1105)을 그 수계 수지에 대해 10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25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4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총섬도가 35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64 가닥/2.54 ㎝, 위밀도 61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폴리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아민 부가물(수평균 분자량 1000)과 아디핀산이 몰비로 2.0: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다이셀화학제 SP200)를 그 수계 수지에 대해 8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20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10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총섬도가 35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64 가닥/2.54 ㎝, 위밀도 61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아디핀산, 폴리에틸렌글리콜(수평균 분자량 600)이 몰비로 1.8: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6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나칼라이 테스크제, 07326-95)를 그 수계 수지에 대해 2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105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8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총섬도가 35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64 가닥/2.54 ㎝, 위밀도 61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프로필아민 부가물(수평균 분자량 1000)과 아디핀산이 몰비로 2.0: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10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나칼라이 테스크제, 07326-95)를 그 수계 수지에 대해 1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15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2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교반기, 온도조절계, 압력계, 질소가스 도입구, 축합수(縮合水) 배출구 및 압력 조정장치를 구비한 용적 약 5 L의 반응용기에, 폴리에테르디아민(HUNTSMAN사제의 제파민 ED900, 전체 아민: 2.16 meq/g 수평균 분자량 900) 1005.45 g, 아디핀산(AA) 158.68 g, ε-카프로락탐(ε-CL) 375.00 g, 및 인산수용액(63.2 g/L) 22.5 mL를 첨가하고, 용기 내를 충분히 질소치환한 후, 0.5시간에 걸쳐서 230℃까지 승온하고, 추가적으로 230℃에서 4.0시간 중합을 행하였다. 그 후, 감압하에서 1.5시간 중합을 행하고, 계속해서 230℃의 상태 그대로 압력 조정장치에 의해 1.0시간에 걸쳐서 용기 내를 감압하고, 추가적으로 230℃에서 0.5시간 중합을 행하여, 폴리머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20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다이셀화학제, 1105)를 그 수계 수지에 대해 5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25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직물의 편면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4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총섬도가 40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58 가닥/2.54 ㎝, 위밀도 56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아민 부가물(수평균 분자량 600)과 아디핀산이 몰비로 2.5: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6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다이셀화학제, 1105)을 그 수계 수지에 대해 2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4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6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총섬도가 350 dtex, 108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필라멘트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63 가닥/2.54 ㎝, 위밀도 61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이 직물에 무용제 실리콘 수지(점도: 300 dPa·s)를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25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총섬도가 470 dtex, 72 필라멘트의 폴리아미드66 섬유를 평직으로 워터제트룸에서 제직 후, 비수로 수축가공하고, 110℃에서 건조 마무리를 하여, 경밀도 46 가닥/2.54 ㎝, 위밀도 46 가닥/2.54 ㎝의 직물을 얻었다. 폴리아미드6와 폴리에틸렌글리콜-프로필아민 부가물(수평균 분자량 600)과 아디핀산이 몰비로 2.5:1:1이 되도록 중합한 폴리머를 사용하여, 고형분 농도가 6 질량%인 수계 수지 분산액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그 수계 분산액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다이셀화학제1105)을 그 수계 수지에 대해 10 질량% 추가하여, 점도를 25 dPa·s로 조정하였다. 이 수지 조성물의 수계 분산액을 상기 직물에 나이프 코트로 도포하여, 건조 후의 수지량을 4 g/㎡로 하였다. 이 직물의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8
실시예 1~5에서는, 본 발명의 수지피막 존재상태로 함으로써, 소량의 부착량으로 저통기성을 달성할 수 있었다. 특히, 직물에 부착시키는 수지의 종류만이 상이한, 실시예 1과 실시예 5를 비교한 경우,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소량의 수지의 부착량으로도, 통기도가 대폭으로 낮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서는 수지피막 존재상태가 나빠 저통기도를 달성하지 못하고 않다. 또한,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저통기도는 달성되어 있으나 수지량이 매우 많아, 수납성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떨어졌다.
실시예 1~5, 비교예 1~3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것에 비해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는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어백용 직물은, 저비용이고 수납성이 우수하며, 인체의 초기 구속성능을 만족하는 통기도를 갖기 때문에 자동차 안전장치의 하나인 에어백용도에 이용할 수 있어, 산업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Claims (7)

  1. 식 1로 나타내는 커버 팩터가 2000~2500인 합성섬유제 직물에 합성수지가 적어도 편면에 도포되어 되는 직물로서, 직물의 100 kPa 차압하에서의 통기도가 0.01~1.00 L/㎠/min이고, 직사부(織絲部)의 중앙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單絲) 상부에 2 ㎛ 이하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해, 직사부 간의 경계부의 단면에 있어서 수지피막이 단사 상부에 2~30 ㎛의 두께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Figure pc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도포량이 건조 후의 질량으로 0.1~15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합성수지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에 수용성 증점제를 함유해서 되는 수지 조성물이고, 점도가 5~200 dPa·s인, 상기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계 분산액을 상기 합성섬유제 직물에 도포, 건조해서 되는 에어백용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엇어,
    합성수지가,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수평균 분자량 100~5000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갖는 폴리아미드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5. 제4항에 있어서,
    합성수지 중의 폴리에테르 화합물이 아미노 변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6. 제4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계 수지가, 소프트 세그먼트와 하드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이고,
    소프트 세그먼트가 하기 화학식 I으로 표시되는 폴리에테르디아민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II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실산 화합물로 구성되는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로 되며,
    하드 세그먼트가 하기 화학식 III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실산 화합물, 및/또는 하기 화학식 IV로 표시되는 락탐 화합물로 구성되는 폴리아미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직물.
    [화학식 I]
    Figure pct00010

    [단, R은 탄소수 2~3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렌기를, n은 13~26의 수치를 나타낸다]
    [화학식 II]
    Figure pct00011

    [단, R1은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III]
    Figure pct00012

    [단, R2는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IV]
    Figure pct00013

    [단, R3는 탄화수소 사슬을 포함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7. 제3항에 있어서,
    수용성 증점제가 셀룰로오스계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포백.
KR1020107012184A 2007-12-07 2008-10-16 에어백용 직물 KR101474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6508 2007-12-07
JPJP-P-2007-316508 2007-12-07
JP2008181103 2008-07-11
JPJP-P-2008-181103 2008-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577A true KR20100105577A (ko) 2010-09-29
KR101474051B1 KR101474051B1 (ko) 2014-12-17

Family

ID=4071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184A KR101474051B1 (ko) 2007-12-07 2008-10-16 에어백용 직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85702B2 (ko)
EP (1) EP2218818B1 (ko)
JP (1) JP5435328B2 (ko)
KR (1) KR101474051B1 (ko)
CN (1) CN101883890B (ko)
WO (1) WO200907235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537B1 (ko) * 2018-07-27 2019-07-17 송사랑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이용한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조필름
US10655248B2 (en) 2014-06-24 2020-05-19 Kolon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polyester fabric for airba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353A1 (ja) * 2007-12-07 2009-06-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エアバッグ用布帛
US7985702B2 (en) * 2007-12-07 2011-07-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Woven fabric for airbag
WO2009113325A1 (ja) * 2008-03-10 2009-09-17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ならびにエアバッグ用原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284311B1 (en) * 2008-05-15 2014-01-08 Toyobo Co., Ltd. copolymerized polyether polyamide resin
JP5177085B2 (ja) * 2009-06-10 2013-04-03 東洋紡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
EP2374923B1 (en) * 2010-04-09 2013-12-25 Autoliv Development AB Method of making an inflatable air-bag
WO2011162273A1 (ja) * 2010-06-25 2011-12-29 住商エアバッ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5728889B2 (ja) * 2010-10-29 2015-06-03 東洋紡株式会社 低通気度織物の製造方法
EP2500454B1 (en) 2011-03-16 2015-05-13 Autoliv Development AB A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an inflatable air-bag
US20140113516A1 (en) * 2011-09-28 2014-04-24 Toyota Gosei Co., Ltd Coating material for airbag base fabric, and airbag base fabric
CN103485018A (zh) * 2013-09-05 2014-01-01 吴江秦邦纺织有限公司 一种多功能气囊用布
JP6210327B2 (ja) * 2013-09-27 2017-10-11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基布用塗料並びにエアバッグ基布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74445B (zh) * 2014-01-20 2016-04-27 南通全技纺织涂层有限公司 一种气囊用涂层织物
CN106164350B (zh) * 2014-02-26 2018-09-18 英威达纺织(英国)有限公司 制造安全气囊的织物和制造所述织物的方法
JP6130804B2 (ja) * 2014-03-28 2017-05-17 住商エアバッ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袋織基布
EP3127759B1 (en) * 2014-03-31 2019-02-06 Toyobo Co., Ltd. Coated fabric for airbag
US9909240B2 (en) 2014-11-04 2018-03-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UHMWPE fiber and method to produce
WO2017057299A1 (ja) * 2015-09-30 2017-04-06 セーレン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
WO2017079499A1 (en) 2015-11-06 2017-05-11 Invista North America S.Ar.L.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3517667B1 (en) * 2016-09-28 2024-05-22 Seiren Co., Ltd. Non-coated airbag fabric and airbag
US11634841B2 (en) 2017-05-02 2023-04-25 Inv Performance Materials, Llc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woven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10130989A1 (en) * 2017-07-19 2021-05-06 Teijin Frontier Co., Ltd. Woven fabric for airbags
CN110997995B (zh) * 2017-08-21 2022-05-31 东洋纺株式会社 安全气囊用织物、安全气囊用涂层织物和使用其的安全气囊
CA3076011C (en) 2017-09-29 2023-04-18 Invista Textiles (U.K.) Limited Airbags and methods for production of airbags
CN114746604A (zh) * 2019-12-27 2022-07-12 可隆工业株式会社 改善了耐久性的安全气囊用织物及其制备方法
WO2024053715A1 (ja) * 2022-09-07 2024-03-14 東洋紡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2982A5 (de) * 1979-02-26 1984-05-15 Inventa Ag Polyaetherpolyamide.
JPS59133224A (ja) * 1983-01-20 1984-07-31 Ube Ind Ltd ブロツクポリエ−テルアミドの製法
DE4000740A1 (de) 1990-01-12 1991-07-18 Akz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unbeschichteten airbag-gewebes
JP3206758B2 (ja) 1991-07-05 2001-09-10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
JP2853936B2 (ja) 1992-06-26 1999-02-03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
EP0763621B1 (en) * 1995-09-18 2002-11-27 Toray Industries, Inc. A base fabric for air bags, a process for producing it and an air bag comprising it
US5945186A (en) 1997-12-01 1999-08-31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Airbag fabric coated with a porosity blocking cross-linked elastomeric resin
JPH11222776A (ja) 1998-02-06 1999-08-17 Toyo Tire & Rubber Co Ltd エアバッグ用布帛およびエアバッグ
JP3397182B2 (ja) 1999-09-14 2003-04-14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
JP4106067B2 (ja) * 2000-04-07 2008-06-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布帛およびエアバッグ
EP1270800B1 (en) * 2000-04-07 2004-06-3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ated fabric and air bag
US8211813B2 (en) * 2002-10-04 2012-07-03 Toray Industries, Inc. Coated base fabric for air bags and air bags
JP4419378B2 (ja) * 2002-10-04 2010-02-24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654622C (en) * 2006-06-09 2012-06-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Fabric for airbags
US7985702B2 (en) * 2007-12-07 2011-07-26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Woven fabric for airbag
WO2009072353A1 (ja) * 2007-12-07 2009-06-11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エアバッグ用布帛
EP2284311B1 (en) * 2008-05-15 2014-01-08 Toyobo Co., Ltd. copolymerized polyether polyamide res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55248B2 (en) 2014-06-24 2020-05-19 Kolon Industries, Inc. Method of preparing polyester fabric for airbag
KR102000537B1 (ko) * 2018-07-27 2019-07-17 송사랑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이용한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조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072354A1 (ja) 2011-04-21
EP2218818A1 (en) 2010-08-18
EP2218818B1 (en) 2013-09-25
US20100260976A1 (en) 2010-10-14
WO2009072354A1 (ja) 2009-06-11
US7985702B2 (en) 2011-07-26
JP5435328B2 (ja) 2014-03-05
CN101883890A (zh) 2010-11-10
US20110097955A1 (en) 2011-04-28
CN101883890B (zh) 2012-11-21
EP2218818A4 (en) 2011-10-19
KR101474051B1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5328B2 (ja) エアバッグ用織物
JP5532377B2 (ja) エアバッグ用布帛
JP5440497B2 (ja) 共重合ポリエーテルポリアミド樹脂
JP6164086B2 (ja) 共重合ポリエーテル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5440967B1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
KR20090015132A (ko) 에어백용 직물
US10132030B2 (en) Fabric for airbag
JP5177085B2 (ja) エアバッグ用織物
KR20160027113A (ko) 코팅 직물
JP5505552B1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用織物
JP4019635B2 (ja) 低通気織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