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7113A - 코팅 직물 - Google Patents

코팅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7113A
KR20160027113A KR1020167002611A KR20167002611A KR20160027113A KR 20160027113 A KR20160027113 A KR 20160027113A KR 1020167002611 A KR1020167002611 A KR 1020167002611A KR 20167002611 A KR20167002611 A KR 20167002611A KR 20160027113 A KR20160027113 A KR 20160027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esin
fabric according
less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3663B1 (ko
Inventor
후미아키 이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4683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2711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셍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5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organometallic compounds;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boron, silicon, selenium or tellurium atoms
    • D06M13/51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 D06M13/513Compounds with at least one carbon-metal or carbon-boron, carbon-silicon, carbon-selenium, or carbon-tellurium bond with at least one carbon-silicon bon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B60R2021/23514Fabric coated fabr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 Air Bag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용 직물로서 수지 피막량이 적은 경량의 직물로서, 시간 경과 후의 고압 통기도를 억제하여, 봉제 가공 후의 특성 안정성이 우수하며, 봉제부의 가스 누설 억제에 우수한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에어백용 직물은, 수지가 배치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그 직물의 승온 DSC 흡열 곡선에 있어서, 직물 구성사의 승온 DSC 흡열 곡선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에 대하여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비율이 45%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이다.

Description

코팅 직물{COATED WOVEN FABRIC}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 보호 장치인 에어백 장치의 주머니체로서 이용되는 에어백 용도 등에 적합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봉제 가공에 의한 특성 안정성이 우수한, 에어백 용도 등에 우수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 탈것의 충돌 사고에 있어서 인체에 대한 충격 완화를 위한 장치로서, 탈것에 대해 에어백 장착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충돌시, 가스에 의해 팽창하여, 인체의 충격을 흡수 완화하는 에어백으로서, 운전석용 및 조수석용 에어백에 더하여, 커튼 에어백이나 사이드 에어백, 무릎 에어백, 후방 에어백 등의 차량 중의 장착이, 탑승자 보호를 위해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보행자 보호를 위해, 차량의 객실의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장착되는 에어백도 제안되어 오고 있다.
이들 에어백은, 평상시는 작게 접혀 수납되어 있다. 사고의 충격을 센서가 검출하여, 에어백이 전개 팽창할 때는,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해 접힘 부위가 펼쳐지면서, 수납 부분의 커버 부분을 부수고 에어백이 튀어나와, 충분히 팽창되었을 때 인체를 받아내게 된다.
최근, 에어백은 광범위한 충돌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다 고속으로 전개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보다 고출력의 추진제를 이용한 인플레이터에 의해, 고온 고압 가스로 전개되도록 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안정성이 높은 에어백으로 하기 위해서는, 주머니체의 내열 내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간으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 경과 후의 고압 통기도를 억제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전개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여, 보다 장시간 내압을 유지함으로써, 인체 구속의 타이밍을 폭넓게 취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벤트 홀에서 가스압 제어하는 에어백 이외에, 벤트 홀을 마련하지 않는 커튼 에어백 등에서는, 특히 전개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시 된다. 코팅 직물에 있어서의 봉제 에어백에 있어서는, 가스 누설 부위는 봉제부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하는 것이 과제로 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수지 피막을 갖는 에어백 직물에 있어서, 특정한 수지조성물의 도포에 의해,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한 융점이 상승하기 때문에, 에어백의 고온 전개 시의 손상이 회피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시간 경과 후의 고압 통기도를 억제하는 것이나, 봉제부의 가스 누설 억제에 관해서는 해결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코팅 수지를 포백 중에 어느 정도 침투시키는 도포 방법에 의해, 피막 접착성을 개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시간 경과 후의 고압 통기도를 억제하는 것이나, 봉제부의 가스 누설 억제에 관해서는 해결되어 있지 않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4999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4321호 공보
본 발명은, 에어백용 직물로서 수지 피막량이 적은 경량의 직물로, 시간 경과 후의 고압 통기도를 억제하여, 봉제 가공 후의 특성 안정성이 우수하며, 봉제부의 가스 누설 억제에 우수한 에어백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직물의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력을 잠시 완화하고, 수지의 침투를 촉진하는 코팅을 실시한 후, 열 수축으로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력을 재차 높임으로써,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한 용융 거동이 보다 고온이 되는 것 같은 직물 구조로 함으로써, 고압 통기 억제나 봉제부의 통기 억제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이루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발명을 제공한다.
(1) 수지가 배치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그 직물의 승온 DSC 흡열 곡선에 있어서, 직물 구성사의 승온 DSC 흡열 곡선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에 대하여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비율이 45%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직물 구성사의 승온 DSC 흡열 곡선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에 대하여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상기 비율이 5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직물.
(3) 직물에 수지가 피막으로서 배치되며, 수지 양이 10 ∼ 5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직물.
(4) 유분 부착률이 0.005 ∼ 0.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5)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편평도(평면 방향의 단사의 폭/두께 방향의 단사의 폭)의 차가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6) 95% RH 및 85℃의 환경 하에 100시간 폭로 후의 스크럽 러빙 시험에 의한 박리 내성이 200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7) 95% RH 및 85℃의 환경 하에 100시간 폭로 후의 스티치 통기도 증분이 1,000 mm3/㎜/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8) 합성 섬유가 폴리아미드 66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9) 제직에 이용하는 합성 섬유의 에어 교락이 5 ∼ 30회/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10) 꼬임 없고 풀질 없는 합성 섬유를 워터 제트 직기로 제직하고, 이어서 70℃ 이하의 정련을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11) 수지가 실리콘 수지이고, 점도가 2만 cP 초과 50만 cP 미만인 무용매의 실리콘 수지 함유 코팅액에 의해 수지 피막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3)∼(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12) 코팅액이 분자량 500 이하의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을 1 중량%∼1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직물.
(13) 실리콘 수지가 1만 cP 이하인 저점성 실리콘을 45 중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직물.
(14) 수지의 가교로 1.5% 이상 열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
(15) 상기 (1)∼(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이용한 에어백.
본 발명의 직물은, 수지가 배치된 경량의 직물로서, 직물부나 그 봉제부에 있어서의 습열 경시 후의 고압 통기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에어백을 구성할 수 있는 직물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물의 DSC 흡열 곡선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물의 구성사(경사)의 DSC 흡열 곡선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물의 구성사(위사)의 DSC 흡열 곡선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직물의 정련 후의 DSC 흡열 곡선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직물은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며, 직물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로서, 예컨대,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에서 선택할 수 있다.
직물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 섬유로서는,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폴리아미드 11, 폴리아미드 12,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12, 폴리아미드 4·6, 이들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 6·6 섬유로서는, 주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수지란 100%의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아디프산으로 구성되는 융점이 250℃ 이상인 폴리아미드 수지를 가리키지만,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폴리아미드 6·6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는, 수지의 융점이 250℃ 미만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에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I, 폴리아미드 6·10, 폴리아미드 6·T 등을 공중합, 혹은 블렌드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합성 섬유에는, 원사의 제조 공정이나 가공 공정에서의 생산성 혹은 특성 개선을 위해 통상 사용되는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컨대 열 안정제,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평활제, 대전 방지제, 가소제, 난연제 등을 함유시킬 수 있다.
직물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의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dtex 내지 800 dtex이다. 또한, 직물을 구성하는 합성 섬유는 다수의 단사로 이루어지는 멀티 필라멘트 섬유이며, 단사의 섬도는 1 dtex 내지 8 dtex가 바람직하다. 단사 섬도는 8 dtex 이하로 작은 편이 직사끼리가 서로 죄어든 직물 형태를 취하기 쉬워진다. 단사 섬도가 1 dtex 이상이면 가공 공정 중에 필라멘트 손상을 받는 일이 없어, 직물의 기계 특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단사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환단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사 단면 형상이 편평형이 될수록 직물의 동적인 고압 통기도를 억제하기 어렵다.
합성 섬유는, 정경 시에 풀을 먹이지 않고 고밀도 제직이 가능하게 되도록, 필라멘트 절단에 의한 보풀이 108 m당에 10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멀티 필라멘트의 집속성을 얻기 위해 에어 교락이 5회/m 내지 30회/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 교락이 30회/m 이하이면, 직물 중에서의 단사군의 집속이 적절하여, 도포 수지의 직물에의 침투를 지나치게 억제하는 일없이, 수지 피막의 접착이나 강도에 기여한다. 에어 교락이 5회/m 이상이면, 고밀도 제직 공정에서의 단사 불균일이나 단사 절단에 의한 직기 정지 등을 피할 수 있다.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사는, 바람직하게는 풀을 먹이는 일 없이 정경 공정에 보내져, 러프 와인딩을 거친 후, 경사용으로서 정경 빔에 언와인딩된다. 또한, 일부는 위사로서 공급되어, 제직이 실시된다.
본 발명의 직물은, 승온 DSC(시차 주사 열량계)로 계측되는 용융 흡열 곡선에 있어서,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비율이 45% 초과인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초과인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초과인 것이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60% 초과인 것이다. 직물 시료를 실온으로부터 5℃/분으로 승온시켜, 용융에 의한 흡열 곡선을 관측하고, 이 용융 거동을 기준 온도의 저온도측 용융과 고온도 측 용융으로 나누어, 고온도 측 용융의 흡열량의 비율을 구한다. 기준 온도는, 직물을 해체하여 얻어진 구성사를 동일한 승온 조건으로 DSC 관측하였을 때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이다. 이 극대 흡열 온도는, 통상, 구성사의 융점으로서 관측되는 것이다.
직물의 용융에 있어서, 구성사의 융점보다 고온에서 직물이 용융하는 비율이 높은 것은, 직사끼리의 구속이 강하며, 또한, 직사끼리나 직사 중의 단사끼리가 그 사이에 침투한 수지로 고정된 구조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양자의 고정 구조에 의해, 직사의 고분자쇄가 배향 완화에 의한 흡열을 하는 일없이 결정 용융하기 때문에 고온 융해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직사 구속이나 수지 고정에 의한 고온 융해 피크가 관측된다.
한편, 저온 흡열 부분은, 구성사가 나타내는 융점보다 저온측에 미세한 피크를 나타내는 것이 많이 보여지며, 직물의 직사 크림프 구조 중에서 구속되지 않고 있는 것이 열 배향 완화하여, 흡열해 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비구속의 흡열 성분이 적은 구조이면, 고정 구조가 충분히 발달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비율이 높은 편이 바람직하지만, 직물 구조에 의한 직사 구속에 한정이 있으며, 80% 정도까지이다.
고온측 흡열량의 비율이 높은 구조이면, 직물에 배치되는 수지에 의한 침투 고정 구조가 강고하여, 응력 부하가 가해진 후의 통기성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봉제 시의 바늘 구멍에 있어서, 직물에 배치되는 수지에 의한 섬유 고정에 의한 단사 절단 억제와 함께, 직사 구속에 의한 죔에 의해, 통기성 억제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물에 배치되는 수지가 직물에 충분히 침투한 뒤에, 최소량으로 비통기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직물에 배치되는 수지가 비통기성의 피막을 형성하면서도 직물에 침투해 가기 위해서는, 직물의 정련 공정에 의해 고밀도 직물의 생지 구조를 정리하여, 직사끼리의 구속 구조를 일단 느슨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직물의 승온 DSC에 의한 용융 흡열 곡선은, 구성사의 승온 DSC에 의한 용융 흡열 곡선에 한없이 근사하며,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이 느슨해져 있는 것이 관측된다. 이 구조인 채로, 수지를 직물에 배치하면, 수지가 양호하게 침투한 직물이 얻어진다. 이때, 수지를 직물에 배치하기 전에는 열 셋트 등으로 직물 구조를 지나치게 죄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침투한 직물로, 수지 고정에 의한 고온 융해 구조가 얻어진다.
제직은, 워터 제트 직기, 에어 제트 직기, 래피아 직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워터 제트 직기를 이용하면, 이후의 정련 공정을 강화하는 일 없이 유분 부착량을 적게 제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직물의 조직은, 기본적으로 경위 모두 동일 섬유이며 단일 섬유에 의한 평직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밀도의 평직물을 얻기 위해, 경위 모두 2개의 사자직의 방법으로 짜서 평직물을 얻어도 좋다.
직물의 커버 팩터는 1900 내지 2600이 바람직하다. 커버 팩터(CF)는 이하의 계산에 따른다.
CF = 경사 밀도(개/2.54 ㎝)×√경사 섬도(dtex) + 위사 밀도(개/2.54 ㎝)×√위사 섬도(dtex)
커버 팩터는, 직물 평면 방향에 있어서의 섬유의 충전 정도이며, 1900 이상이면, 에어백에 요구되는 기계 강도를 만족시킬 갈 수 있다. 커버 팩터가 2600 이하이면, 제직 공정에서의 곤란을 회피할 수 있다.
직사는 꼬임 없고 풀질 없이 제직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먹임 없이 제직하면, 정련 공정의 온도 조건 등을 강화하는 일 없이 마무리된다. 직사를 연사하여 제직한 경우는, 직사의 편평도가 2.5 미만이 되는 등 단사군의 집속성이 지나치게 좋아져, 직물에 있어서의 경위사의 상호 구속이 강고해지지 않는다. 또한, 직사 내에서의 수지 침투가 저하한다.
제직 후의 정련 공정에서는, 제직 공정에서 형성된 직사가 충분히 맞물린 굴곡 형태가, 온수 중의 합성 섬유의 수축 작용으로 해소된다. 한편으로, 직물 가공의 최종 공정인 가류 공정에 있어서 합성 섬유의 수축을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제직 후의 정련 공정에서는 합성 섬유의 수축을 최소한으로 한정시켜 두고자 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의 온도에서, 확대 상태인 채로, 러빙 등의 기계적 변형의 자극을 부여하지 않는 정련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시클로헥산으로 추출되는 유분(유분 부착률)이 직물 중량에 대하여 0.005 중량%∼0.2 중량%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0.15 중량%이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0.1 중량%이다. 시클로헥산 추출 유분이 0.005 중량% 이상이면, 직사 섬유의 표면을 저마찰로 하여, 직물의 인열 강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의 내파괴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0.2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수지의 접착성을 높여, 직물에 부하가 부여된 후도 통기 저항을 유지할 수 있다.
추출되는 유분이 0.005 중량% 이상이며 0.2 중량% 이하이기 위해서는, 직사의 제조 공정에 유래하는 방사 유분이나 직사의 경사 정경 공정에서의 정경 유분을, 직물을 만드는 워터 제트 직기 공정에서 탈유시켜, 더욱, 제직 후의 정련 공정에서의 조건을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건조 공정에서도 제직 후에 정련 공정에서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이 완화된 상태를, 직물에 수지를 배치하는 코팅 공정까지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에서 건조 처리한다.
본 발명의 직물에 배치되는 수지 부착량은, 10 g/m2∼50 g/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g/m2∼45 g/m2이다. 10 g/m2 이상인 경우, 도포량이 많을수록 직물 통기도는 억제되며, 내압 유지성은 양호하다. 50 g/m2 이하로, 도포량이 적을수록 에어백이 경량이며 전개 시간의 단축(조기 전개)에 기여한다.
직물에 배치하는 코팅 수지는, 직물 표면을 비통기로 하기 위한 것이며, 실리콘,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실리콘은 바람직하며, 한냉 조건 하에서도 유연하며 코팅 깨짐 박리의 발생이 없고, 비교적 연소하기 어려워 직물의 난연성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실리콘의 경우, 부가 반응형으로 열 가교하는 수지 조성이 바람직하고, 말단 알케닐폴리오르가노실록산에 하이드로젠 실리콘을 가교제로 하여, 부가 반응 촉매를 부가한 조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직물에 수지를 배치하기 위해 이용하는 코팅액은 실질적으로 무용매의 코팅액이 바람직하고, 점도는 2만 cP 초과 50만 cP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만 cP 이상 30만 cP 미만이다. 코팅액 점도는 낮을수록 코팅액의 직물에의 스밈이 많아지지만, 코팅 나이프의 접압을 높게 함으로써 저도포량의 코팅이 가능하게 되어 간다. 코팅액의 직물에의 스밈이 많아지면, 저도포량으로 완전히 제어할 수 없거나, 저통기성을 균일하게 확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2만 cP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0만 cP 미만이면,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어, 코팅 얼룩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코팅액의 직물에의 스밈이 거의 없는 채로 도막층을 형성하여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코팅액 점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유기 용매를 더하여 코팅액의 점성을 저감하는 방법이 있지만, 생산 환경의 악화 때문에 이것은 피하고자 한다. 즉, 무용매의 코팅액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코팅할 때에, 수지의 직물에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지의 침투에 의해 수지에 의한 직사 구속을 재촉할 수 있다. 수지의 침투촉진에는, 전술한 코팅액의 점도 저감을 위해, 수지 자체의 점도를 내려, 예컨대 저분자량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저분자량 수지의 경우는, 가교한 수지의 응력 추종성이 나빠, 에어백 전개 시의 응력 가스 누설로 이어진다. 한편, 수지를 고점도로 한 고분자량 수지에서는, 경량 코팅을 위해 지나치게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직물 섬유에 대한 수지의 접착 사이트 밀도가 낮아, 직물 섬유와 수지 피막 사이의 습열 경시 후의 접착 불량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 무용매의 고분자량(고점성) 수지 주제에,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을 부가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이란, 분자량 500 이하이며 120 이상의 기본적으로 단분자, 또는, 저중합도 골격을 포함하는 분자로 이루어지는 실란 화합물로, 규소에 대하여 알콕실기가 2개 이상 치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은, 코팅액에 1 중량%∼10 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이상의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의 첨가로 희석 효과에 의한 스밈이 촉진된다.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은, 실리콘 수지의 열 가교의 완료까지 수지와 직물 섬유의 접착 반응을 촉진해 가기 때문에, 접착성을 강화할 수 있어, 저도포량에도 불구하고 고압 부하 시의 국소 박리가 없어, 내압 유지성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반응하여 도포액을 희석하는 효과를 잃어 가기 때문에, 수지 침투를 지나치게 촉진하여 과중한 도포량이 되거나, 직물이 딱딱하며 수납성이 뒤떨어지는 것 같은 일이 없다. 10 중량% 이하의 첨가량이면, 반응에 따르는 분해 가스로 수지층에 기포 결함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침투 촉진의 방법으로서, 가교 경화하는 수지 주제에 대하여 동종의 가교 경화하는 저점성 수지 주제를 첨가하여 점성 조절하는 방법도 있다. 예컨대, 수지 주제를 고점성 즉 고중합도물과 저점성 즉 저중합도물의 혼합물로 하고, 배치 전체로서 코팅량을 원하는 값으로 하기 위해 알맞은 상기 코팅액 점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점성 수지 주제의 효과로 직사의 단사 노출을 재촉할 수 있다. 저점성 수지 주제의 점성은, 수지의 침투에 의해 단사 노출을 재촉하기 위해 10,000 cP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저점성 수지 주제의 점성은 500 cP 이상이 바람직하며, 전자 부품에 유해한 실리콘 휘발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조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저점성 수지 주제는 그 자신이 경화 가류 반응을 받음으로써 내압 유지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저점성 수지 주제는, 전체 수지 양의 45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중량% 이하이다. 저점성 수지 주제를 45 중량% 이하로 함으로써, 고점성 수지 주제에 의한 수지의 가교 물성을 크게 손상시키는 일없이 밸런스가 잡힌다. 또한, 저점성 수지 주제는, 전체 수지 양의 5 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의 코팅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나이프 코터에 의한 코팅이 바람직하다. 특히 플로우팅 나이프 코팅이 바람직하다. 나이프 코터에 의하면, 직물 표면에 수지 피막을 형성하여, 비통기의 상태을 만들면서, 직물 중에 수지를 일부 침투시킴으로써, 직물 섬유를 수지로 구속하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직물을 코팅할 때의 나이프와 직물의 접압은, 0.5 N/㎝∼20 N/㎝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 이상이며 10 N/㎝ 이하이다. 0.5 N/㎝ 이상인 경우, 접압이 높을수록 코팅량이 적어 저도포량이 된다. 20 N/㎝ 이하에서 직물에 손상을 부여하지 않고, 직물 물성의 저하나 가공 품위의 저하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으로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이 발현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코팅 공정의 후의 가류 공정에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사에 충분히 열 수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직사 구속에 의한 고온 융해 구조가 얻어진다.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량은, 경위 방향의 수축률의 합산으로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이다. 될 수 있는 한 가류 공정에서 크게 수축 발현시킴으로써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이 형성된다.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에 의해, 봉제 시에 바늘 구멍의 관통의 영향이 억제되어, 수지 침투와 더불어 바늘 구멍에서의 통기성이 억제된다. 수축을 억제한 정련 공정을 거치면, 가류 공정의 수축률을 올릴 수 있다. 직사 원사로서 사용하는 합성 섬유의 수축의 성질에 의해, 가류 공정의 수축률은 4% 이하가 된다.
가류 온도는, 코팅 수지의 가교 반응의 설계에 따르지만, 150℃ 이상으로 함으로써 가류할 수 있다. 그러나, 합성 섬유의 수축을 충분히 발현시키기 위해, 1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류 공정을 다단계로 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1차 가류 공정을 150℃ 내지 180℃에서 실시하고, 2차 가류 공정을 180℃ 내지 200℃에서 실시하며, 3차 가류 공정을 200℃ 내지 220℃에서 실시한다. 최종 도달 온도가 190℃ 내지 220℃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류 시간은, 가류 공정의 체류 시간으로서 30초 내지 3분 사이에서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수지의 가교와 섬유에의 접착의 반응을 발달시켜 균일하게 도달하는 시간을 취하면 좋다.
본 발명의 직물은, 구성하는 직사의 경위가 서로, 구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사의 단사의 집속 상태로서, 직물 두께 방향의 단사의 폭에 대한, 직물 평면 방향의 단사의 폭의 비율(평면 방향/두께 방향)을, 직사의 편평도로 하면, 경사 편평도 및 위사 편평도는 같은 정도이며, 이들의 차는 1.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경사 편평도 및 위사 편평도의 차가 1.8 이하이면, 수지가 직물에 침투하고 있는 구조가 강고한 고정 구조가 되기 쉽다. 또한, 재봉틀 바늘에 의해 확대되는 경위사의 간극에 있어서의, 코팅 수지의 접착력이 높게 유지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경사 편평도 및 위사 편평도의 각각이, 2.5 이상의 넓어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사의 편평도가 2.5 이상이면, 직사끼리가 상호 구속된 구조가 강고해지기 쉽다.
통기도는, 125 ㎩ 차압에서의 FRAZIER법에 따라, 0.3 ㏄/㎠/sec 이하로, 될 수 있는 한 통기가 검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재봉틀 걸이(재봉틀 바늘이 #21번수, 운침수가 50회/10 ㎝, 재봉사 없음)에 의한 스티치 라인을 마련하였을 때에, 동적 통기도 평가에 의한 50 ㎪ 인가압에서의 스티치 통기도가 8,000 mm3/㎜/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mm3/㎜/sec 이하이며,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3,500 mm3/㎜/sec 이하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러빙 시험에서 박리가 없는 횟수가 200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으로 박리가 없는 횟수가 200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직물은, 95% RH로 85℃에 100시간 폭로 후의 스티치 통기도 증분이 1,000 mm3/㎜/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 mm3/㎜/sec 이하이다. 습열 경시 후의 스티치 통기도 증분이 적기 때문에, 에어백의 내환경성이 향상하여, 전개 작동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증분은 없는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물은, 봉제하여 에어백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본 발명의 직물로 이루어지는 봉제 에어백을 편입하여, 에어백 모듈, 에어백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 본 명세서에서 이용한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직사의 교락수: 교락수는, 수침법으로 구한 값이다. 교락수 측정용의 수욕 배스는, 표선간 길이 1.0 m, 폭 10 ㎝, 높이(수심) 5 ㎝의 크기이며, 수욕의 표선 외 부분에 공급구로부터 공급된 물은 오버 플로우하여 배수된다. 즉, 항상 새로운 물을 약 500 ㏄/분의 유량으로 공급함으로써 측정 배스 내의 물을 갱신시킨다. 이것은, 실 가닥을 침지하면 실 가닥에 부착하고 있는 유분이 수면으로 퍼져, 다음에 새로운 실 가닥을 침지하였을 때에 그 실 가닥이 열리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 따라서, 항상 새로운 물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배스 내에 퍼진 유분막의 제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침한 실 가닥의 교락수를 계측하는 데 있어서, 배스 내부는 흑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배스 내에 실 가닥을 이완상태로 침지시켜, 교락 상태를 관찰하여, 길이 1 m당의 교락수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판독한다. 이들 측정을 10회 반복하여, 그 평균값을 평가한다.
(2) 직물 시료의 준비: JIS L0105(2006)의 표준 상태로 조정하여, 각종 측정 및 평가에 제공하였다.
(3) 도포량: 수지 도포 공정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의 직물 중량의 증분을 도포량으로 하고 있다. 한편으로, 이하와 같이 직물의 분석으로부터 도포량을 알 수 있다. 직물로부터 정확하게 한 변이 10 ㎝인 정사각형의 시험편을 채취하고, 대략 한 변이 5 ㎜인 정사각형 이하로 잘라, 시클로헥산을 이용하여, 25℃에서 5분간 세정을 2회 반복하여, 풍건 후에 열풍 건조기로 105℃에서 12시간 건조한다. 용매로 합성 섬유를 용해한다. 직물을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아미드 섬유이면, 90% 포름산 250 ㎖를 이용하여 상온의 하룻밤으로 섬유를 용해하여, 용해되지 않은 가교 실리콘막을 여과 분별한다. 여과 분별한 실리콘막을 용매로 잘 씻어, 수세한 후, 105℃에서 열풍 건조하여, 절건 질량[w(g)]을 측정하여, 도포량(g/m2)을 산출한다.
(4) 유분 부착률: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물을 약 20 g 채취하고, 105℃의 열풍 건조기 내에 1시간 30분 방치한 후의 질량(S)을 전자 천평으로 측정하였다. 시클로헥산 약 500 ㎖로 속슬레 추출기를 이용하여 직물의 유분을 8시간 용매 추출하고, 여과 후에 용매 증류 제거하여 유분을 회수하였다. 회수 유분을 5 ㎜Hg, 25℃의 진공 건조기 내에서 1시간 건조하였다. 그 후, 데시케이터에 옮겨 15분간 방냉한 후, 회수 유분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이것을 수회분 처리하여, 직물 시료 약 100 g분의 회수 유분량을 측정하였다.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물의 건조 중량에 대한 회수 유분량으로부터 유분 부착률을 산출하였다.
(5) 편평도차: 직물의 직사 중심을 절단하고, 단면으로부터 경위 각각에 대해 직사의 단사속의 집속 외형을 관찰하였다. 직물 두께 방향의 단사의 폭에 대한, 직물 평면 방향의 단사의 폭의 비율(평면 방향/두께 방향)을 편평도로 하였다. 이어서, 경위사에 있어서의 편평도의 차의 절대값을 편평도차로 하였다.
(6) DSC 흡열 곡선의 고온도 측 흡열 비율: 직물 시료는, 직물의 직조 상태를 무너뜨리지 않고 샘플링 팬에 투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잘라, 약 5 ㎎ 투입하였다. 직물 구성사는, 직물을 경위사로 풀어, 샘플링 팬(형식 번호 346-66963-91)에 투입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잘라, 약 5 ㎎ 투입하였다.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DSC-60으로, 공기의 흐름 100 ㎖/분의 분위기 하에서 5℃/분의 승온 속도로 용융시켜 흡열 곡선을 얻었다. 230℃ 내지 280℃ 사이에서 베이스 라인을 그어, 흡열량을 분석하였다. 직물을 해체하여 얻어진 구성사에 있어서의 흡열 피크 온도의 경위 평균을 기준 온도로 하였다. 직물의 흡열 곡선을, 기준 온도의 저온도측과 고온도 측으로 나누어, 흡열 곡선 중의 고온도 측의 흡열량 비율(%)을 구하였다.
(7) 프레이저 통기도: JIS L 1096(2010): 8.26.1A 규정의 FRAZIER법으로 평가하였다.
(8) 스크럽 횟수: ISO5981에서 규정되는 스크럽 러빙 시험을 실시. 러빙 횟수 50회마다 수지 피복면의 박리의 유무를 관찰하고, 박리가 없었던 최대 러빙 횟수를 스크럽 횟수로 하였다.
(9) 습열 경시 후 스크럽 횟수: 직물 시료를 95% RH로 85℃의 항온 항습조 중에 100시간 두고, 표준 상태로 복귀시킨 후에 상기 (8)에 기재된 스크럽 횟수를 평가하였다.
(10) 스티치 통기도:
1) 스티치 처리: 직물 시료를 수지 피막면을 하측으로 재봉사를 달지 않고 재봉틀에 걸었다. 즉, 바늘은 직물로부터 수지 피막면측을 향하여 찌르고 있다. 재봉틀 바늘이 #21번수, 운침 50회/10 ㎝의 10 ㎝ 길이의 스티치로 직물의 직사 방향을 따라 1 ㎝ 간격으로 평행하게 4라인 마련하였다.
2) 스티치 통기도: TEXTEST사 제조 FX3350의 동적 통기도 측정기를 이용하였다. 직물 시료의 수지 피복면을 충전 탱크의 반대측으로 하고, 직물 시료를 사이에 두는 통기 개구(81 ㎜φ)에, 스티치 라인이 전부 걸리도록 사이에 끼웠다. 즉, 직물로부터 수지 피복면측을 항한 가압 통기의 계측으로 하였다. 충전압 100 ㎪, 충전 용량 404 ㏄의 충전 탱크를 이용하여, 통기도-압력 곡선으로부터 50 ㎪ 시의 동적 통기도(㎜/sec)를 측정하였다. 통기도 계측 후에, 개구부 내직경에 들어가 있는 스티치 길이를 측정하여 합계하여, 대략 300 ㎜ 정도가 되는 통기 길이(㎜)를 구하였다. 측정기의 동적 통기도(㎜/sec)의 값은, 개구 면적(5,026 ㎟)당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이것을 통기 길이(㎜)당으로 환산하여, 스티치 통기도(mm3/㎜/sec)를 구하였다.
충전 탱크로 축압된 압력 공기가 방출되지 않고 계측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는, 실질적으로 통기가 없는 것으로 하여, 통기도는 0 ㎜/sec라고 판정하였다.
(11)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 증분: 직물 시료를 95% RH로 85℃의 항온 항습조 중에 100시간 두고, 표준 상태로 복귀시킨 후에, (10)에 기재된 스티치 처리하여, 스티치 통기도(mm3/㎜/sec)를 평가하였다. (10)에서 평가한 스티치 통기도로부터의 증분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 증분(mm3/㎜/sec)으로 하였다.
[실시예 1]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로, 강도 8.5 cN/dtex의 섬유를 직사로서 이용하였다. 섬유에는 구리 원소가 50 ppm 함유되고, 옥소가 1500 ppm 함유되어 있었다. 이 섬유는, 섬도가 470 dtex, 단사가 136개인 환단면사, 비수 수축률이 7.5%이며, 수침법의 교락수는 15개/m였다. 이 섬유를 경사용으로 꼬임 없고 풀질 없이 가지런히 하여, 정경 빔으로 하고, 위사용에는 꼬임 없고 풀질 없이 권취 패키지로부터 그대로 직기에 공급하였다. 워터 제트 직기로 직기 상에서의 경사 장력을 0.25 cN/dtex로 설정하여, 400회전/분으로 평직물을 얻었다.
이 직물을 확폭 상태로 50℃에서 1분간의 세정을 하고, 110℃에서 건조하였다. 이어서 이 직물에, 점도 6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 반응 가교 실리콘액에 테트라에톡시실란(TES)을 2 중량% 첨가한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한 후, 210℃에서 2분간 가류 처리를 행하여, 에어백용 직물을 얻었다. 가류 처리에서의 직물 수축은 경위 방향의 합산으로 2.6%였다.
직물을 해체하여 얻어진 구성사의 DSC 분석에서는 융점이 경위 모두 259.0℃이며, 흡열 곡선은 구성사 융점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이 경위 모두 32%였다(도 2 및 도 3). 직물의 DSC 분석에서는,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67%였다(도 1). 덧붙여 말하면, 가공 도중의 정련 후의 직물의 DSC 분석에서는,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13%였다(도 4). 피막 박리는 러빙 횟수 400회까지 확인할 수 없고, 수지의 접착성은 양호하였다.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에서도 400회까지 피막 박리는 확인할 수 없었다. 수지의 접착성이 직물에의 수지의 침투에 의해 유지되고 있었다. 스티치 통기도는, 에어백의 봉제부의 통기도 억제의 정도를, 재봉사가 없는 재봉틀 바늘 구멍으로 모델 평가한 것이지만, 수지의 직물에의 침투에 의한 접착성 강화에 더하여, 직사끼리의 상호 구속의 발달에 의해, 바늘 구멍에서의 가스 누설이 억제되고 있다. 습열 경시 후의 스티치 통기도도 억제되어 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제직 후의 정련을 60℃로 하고, 가류 온도를 20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높고,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3]
제직 후의 정련을 70℃로 하고, 가류 온도를 19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높고,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4]
제직 후의 정련을 70℃로 하고, 가류 온도를 15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높고,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와,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는 약간 증가하지만, 잘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5]
폴리헥사메틸렌아디파미드 섬유의 수침법의 교락수를 25개/m의 것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수지의 침투가 조금 억제되어,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이 약간 내려가지만,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와,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는 약간 증가하지만, 잘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6]
점도 6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 반응 가교 실리콘액에 테트라에톡시실란(TES)을 8 중량% 첨가한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고, 도포량을 35 g/m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직물의 중량이 증가하여,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억제되어 있었다.
[실시예 7]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로, 섬도가 550 dtex, 단사수가 144개, 강도가 7 cN/dtex, 비수 수축률이 2.2%, 교락수가 15개/m인 섬유를 직사로서 이용하였다. 워터 제트 직기로 평직하고, 그 후, 가류 온도를 22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높고, 러빙 시험도,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도 양호하다. 또한, 스티치 통기도와,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는 약간 증가하지만, 잘 억제되어 있었다.
[비교예 1]
제직 후의 정련을 90℃로 하고, 정련 후의 건조 대신에 190℃의 열 셋트를 실시하여, 가류 온도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련시에 폴리아미드 섬유의 수축이 많고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정련에 의한 직물 구조 완화로 수지의 직물 섬유에의 침투가 있어, 러빙 시험은 양호하지만,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적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는 저하한다.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2]
제직 후의 정련을 80℃로 하고, 정련 후의 건조 대신에 190℃의 열 셋트를 실시하여, 가류 온도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련시에 폴리아미드 섬유의 수축이 많고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정련에 의한 직물 구조 완화로 수지의 직물 섬유에의 침투가 있어, 러빙 시험은 양호하지만,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적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는 저하한다.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3]
제직 후의 정련을 90℃로 하고, 가류 온도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련시에 폴리아미드 섬유의 수축이 많고,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정련에 의한 직물 구조 완화로 수지의 직물 섬유에의 침투가 있어, 러빙 시험은 양호하지만,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적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가 저하한다.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4]
제직 후의 정련을 80℃로 하고, 가류 온도를 18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련시에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사 구속의 완화가 없으며, 코팅 수지의 내부 침투가 방해되고 있다.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정련에 의한 직물 구조 완화로 수지의 직물 섬유에의 침투가 있어, 러빙 시험은 양호하지만,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적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가 저하한다.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직 후의 정련을 80℃로 하고, 정련 후의 건조 대신에 190℃의 열 셋트를 실시하여, 가류 온도를 190℃로 변경하였다. 또한, 코팅으로 점도 1.2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 반응 가교 실리콘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고, 도포량을 23 g/m2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정련시에 폴리아미드 섬유의 수축이 많으며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이 코팅 수지는 러빙 시험의 응력에 약간 약한 것이지만, 정련에 의한 직물 구조 완화로 수지의 직물 섬유에의 침투가 있어, 러빙 시험 평가는 양호하다. 그 한편,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없고, 수지의 접착 촉진 성분도 없기 때문에,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의 저하가 크다. 수지 침투 후에 직물 섬유끼리의 구속이 발달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직 후의 정련을 실시하지 않고, 190℃의 열 셋트를 실시하였다. 또한, 코팅으로 점도 1.5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 반응 가교 실리콘액의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고, 도포량을 18 g/m2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무정련으로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사 구속의 완화가 없어, 코팅 수지의 내부침투가 억제되어 있다.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적기 때문에, 직사 구속의 발달을 기대할 수 없으며,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현저히 낮다. 잔류 유분의 영향도 있어, 러빙 시험 평가는 약간 낮다. 또한,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 후의 죔 구속이 없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가 현저히 나쁘다. 수지 침투가 적고,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직 후의 정련을 실시하지 않고, 가류 온도를 180℃로 변경하였다. 또한, 코팅으로 점도 1.2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가 반응 가교 실리콘액의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고, 도포량을 25 g/m2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무정련으로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사 구속의 완화가 없어, 코팅 수지의 내부침투가 억제되어 있다.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있어 직사 구속이 되지만, 수지 침투가 적기 때문에,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잔류 유분의 영향도 있어, 러빙 시험 평가는 약간 낮다. 또한,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를 수반한 죔 구속이 없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가 현저히 나쁘다. 수지 침투가 적고,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대하여, 제직 후의 정련을 실시하지 않고, 가류 온도를 180℃로 변경하였다. 또한, 코팅 공정에서 점도 50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 18 중량부, 점도 2만 cP의 무용제계 메틸비닐실리콘 수지 43 중량부, 톨루엔 용매 39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코팅액을, 플로우팅 나이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을 행하여, 도포량을 30 g/m2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무정련으로 폴리아미드 섬유의 직사 구속의 완화가 없어, 용매 희석에서 저점성이면서 침투는 억제되어, 불충분하다. 가류 공정에서의 수축이 있어 직사 구속이 되지만, 수지 침투가 적기 때문에, DSC 분석의 고온측 흡열량 비율은 낮다. 잔류 유분의 영향도 있어, 러빙 시험 평가는 약간 낮다. 또한, 직물 섬유끼리의 수지 침투를 수반한 죔 구속이 없어, 습열 경시 후의 러빙 시험 평가가 현저히 나쁘다. 수지 침투가 적고, 섬유끼리의 구속이 적기 때문에, 스티치 통기도도, 습열 경시 후 스티치 통기도도 많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직물은, 에어백용 직물로서 적합하다. 특히, 통기도 억제에 우수한 코팅 봉제 에어백에 이용하는 에어백용 직물로서 적합하다.

Claims (15)

  1. 수지가 배치된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로서, 그 직물의 승온 DSC 흡열 곡선에 있어서, 직물 구성사의 승온 DSC 흡열 곡선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에 대하여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비율이 45%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직물 구성사의 승온 DSC 흡열 곡선의 용융 흡열 극대 온도에 대하여 고온도 측의 흡열량의, 전체 흡열량에 대한 상기 비율이 5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물에 수지가 피막으로서 배치되고, 수지 양이 10 ∼ 50 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분 부착률이 0.005 ∼ 0.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을 구성하는 경사와 위사의 편평도(평면 방향의 단사의 폭/두께 방향의 단사의 폭)의 차가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5% RH 및 85℃의 환경 하에 100시간 폭로 후의 스크럽 러빙 시험에 의한 박리 내성이 200회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5% RH 및 85℃의 환경 하에 100시간 폭로 후의 스티치 통기도 증분이 1,000 mm3/㎜/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 섬유가 폴리아미드 66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직에 이용하는 합성 섬유의 에어 교락이 5 ∼ 30 회/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꼬임 없고 풀질 없는 합성 섬유를 워터 제트 직기로 제직하고, 이어서 70℃ 이하의 정련을 포함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1.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가 실리콘 수지이고, 점도가 2만 cP 초과 50만 cP 미만인 무용매의 실리콘 수지 함유 코팅액에 의해 수지 피막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코팅액이 분자량 500 이하의 저분자량 알콕시실란을 1 중량%∼10 중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가 1만 cP 이하의 저점성 실리콘을 45 중량% 이하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지의 가교로 1.5% 이상 열 수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물을 이용한 에어백.
KR1020167002611A 2013-08-13 2014-08-13 코팅 직물 KR101843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8150 2013-08-13
JP2013168150 2013-08-13
PCT/JP2014/071405 WO2015022981A1 (ja) 2013-08-13 2014-08-13 コーティング織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113A true KR20160027113A (ko) 2016-03-09
KR101843663B1 KR101843663B1 (ko) 2018-05-14

Family

ID=5246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611A KR101843663B1 (ko) 2013-08-13 2014-08-13 코팅 직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193979A1 (ko)
EP (1) EP3034686B1 (ko)
JP (1) JP5848856B2 (ko)
KR (1) KR101843663B1 (ko)
CN (1) CN105452558B (ko)
MX (1) MX368062B (ko)
TR (1) TR201909696T4 (ko)
WO (1) WO20150229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2954A1 (ja) 2013-08-13 2015-02-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織物
US10920342B2 (en) * 2016-10-21 2021-02-16 Jiaxing Deyong Textiles Co., Ltd. Loom, method for producing textile, and ultrahigh-density textile
JPWO2021132575A1 (ko) 2019-12-25 2021-07-01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21A (ja) 2002-10-04 2004-04-22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9992A (ja) 2002-11-01 2004-05-27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ク用基布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9837A (en) * 1994-02-28 1996-06-25 Shin-Etsu Chemical Co., Ltd. Silicone coated base material and air bag base material
JP3457739B2 (ja) * 1994-06-29 2003-10-20 帝人株式会社 ノンコートサイドエアーバッグ用織物
JP2947179B2 (ja) * 1995-09-18 1999-09-13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
US6569788B1 (en) * 2000-06-16 2003-05-27 Milliken & Company Low permeability airbag cushions having extremely low silicone-based coating levels
US6502853B2 (en) * 2001-04-17 2003-01-07 Milliken & Company Low permeability airbag and method
JP4207637B2 (ja) * 2003-04-10 2009-01-14 東レ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084334A1 (ja) 2007-12-28 2009-07-0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エアバッグ用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9714B2 (ja) * 2009-09-09 2013-12-04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基布
JP5549172B2 (ja) 2009-09-30 2014-07-16 東洋紡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コート布
JP2013514465A (ja) * 2009-12-24 2013-04-25 ヒョスン コーポレーション エアバッグ用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繊維及びこれを利用した織物
JP6013710B2 (ja) 2010-08-02 2016-10-25 旭化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およびエアバッグ
CN103189563B (zh) 2010-10-26 2015-04-01 东洋纺株式会社 一种安全气囊用涂层基布
JP6105192B2 (ja) 2011-02-01 2017-03-29 旭化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織物
JP2013023784A (ja) 2011-07-21 2013-02-04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グ用基布
CN103132333B (zh) * 2011-11-29 2016-03-02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气囊用涂层织物
JP5614512B1 (ja) * 2013-01-28 2014-10-29 東レ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織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4321A (ja) 2002-10-04 2004-04-22 Toray Ind Inc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49992A (ja) 2002-11-01 2004-05-27 Asahi Kasei Fibers Corp エアバック用基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4686A1 (en) 2016-06-22
EP3034686B1 (en) 2019-06-05
WO2015022981A1 (ja) 2015-02-19
CN105452558B (zh) 2018-02-13
TR201909696T4 (tr) 2019-07-22
KR101843663B1 (ko) 2018-05-14
EP3034686A4 (en) 2016-08-24
CN105452558A (zh) 2016-03-30
JP5848856B2 (ja) 2016-01-27
MX368062B (es) 2019-09-18
US20160193979A1 (en) 2016-07-07
MX2016001968A (es) 2016-06-02
JPWO2015022981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047B1 (ko) 리본 얀
EP2042649B1 (en) Coated base fabric for airbags
JP5711803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
KR20030074769A (ko) 실리콘 코팅 포백 및 에어백
US8722550B2 (en) Base fabric for air bag,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air bag
CN106029452B (zh) 气囊用涂层基布
JP2020518733A (ja) 低い透過性及び高い強度の織布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843663B1 (ko) 코팅 직물
JP2019173262A (ja) エアバッグ用コート布
KR101902660B1 (ko) 직물
CN108699763B (zh) 气囊用涂层基底织物及其制造方法
KR102124508B1 (ko)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6105192B2 (ja) エアバッグ織物
JP7300994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KR20160080212A (ko) 에어백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WO2021132575A1 (ja) エアバッグ用ポリエステル基布
KR20200088992A (ko) 에어백 원단 제조방법
JP5728889B2 (ja) 低通気度織物の製造方法
KR101802475B1 (ko)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680202B1 (ko)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31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introduced on 1 march 2017]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