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236A -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236A
KR20100102236A KR1020107019276A KR20107019276A KR20100102236A KR 20100102236 A KR20100102236 A KR 20100102236A KR 1020107019276 A KR1020107019276 A KR 1020107019276A KR 20107019276 A KR20107019276 A KR 20107019276A KR 20100102236 A KR20100102236 A KR 20100102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display
state
cam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549B1 (ko
Inventor
마코토 나이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08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vertical axis, e.g. panoramic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는,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고, 제 2 박스체(2)에 의하여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을 노출시킨 폐쇄 상태와,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와의 사이에서,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에는 접촉면(12, 22)이 각각 형성되고, 개방 상태에서 양 접촉면(12, 22)이 서로 압접됨으로써,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자세가 유지된다.

Description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OPEN-CLOSE TYPE COMPACT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에서는, 점점 다기능화가 진행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야 할 정보도 다종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가 도모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의 화면 크기는, 박스체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에도 한계가 있다.
그런데, 휴대용 표시장치에서, 2개의 박스체를 접기 가능하게 연결하여, 양 박스체의 내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2화면에 의하여 많은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평11-167354호).
그래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를 접기 가능하게 연결한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의 내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구성이나,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의 표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의 내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양 박스체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가 가려지기 때문에, 양 박스체를 폐쇄한 상태로 전화통신을 행할 때의 정보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양 박스체를 폐쇄한 상태에서 노출되는 면에, 제 3 디스플레이를 더 구비할 필요가 있어,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의 표면에 각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 전화기에서는, 양 박스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2개의 디스플레이에는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2개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걸쳐 화상의 표시를 행한 경우, 화상이 크게 2개로 분단되고, 특히 연속되는 화상의 경우에 위화감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 박스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양 박스체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flush)시킬 수 있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 박스체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3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일 없이 정보표시가 가능하고, 또한, 양 박스체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2개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걸쳐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화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는,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가 연결기구에 의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박스체(2)에 의해 제 1 박스체(1)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폐쇄 상태와, 양 박스체(1, 2)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또,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가세수단의 가세에 의해 서로 접촉해야 할 접촉면(12,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양 접촉면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자세가 유지된다.
여기서, 양 박스체(1, 2)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상태란, 양 박스체(1, 2)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양 박스체(1, 2)의 표면이 허용되는 소정 범위 내의 단차를 가지고 나란히 늘어선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박스체(1)의 접촉면(12)과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22)은,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면압으로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제 2 박스체(2)의 이면이 겹쳐져, 제 1 박스체(1)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가려지게 된다.
제 2 박스체(2)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까지 개방하면, 제 1 박스체(1)의 표면과 제 2 박스체(2)의 표면이 함께 노출되게 된다. 이 개방 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의 접촉면(12)에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22)이 접촉하여, 양 박스체(1, 2)가 양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상으로 일치시킨 일정한 상대위치에 유지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는,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가 연결기구에 의해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는, 제 2 박스체(2)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을 노출시킨 폐쇄 상태와,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가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또,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가세수단의 가세에 의해 서로 접촉해야 할 접촉면(12, 2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양 접촉면(12, 22)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자세가 유지된다.
여기서,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란, 양 디스플레이(11, 21)의 표면이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양 디스플레이(11, 21)의 표면이 허용되는 소정 범위 내의 단차를 가지고 나란히 늘어선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제 1 박스체(1)의 접촉면(12)과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22)은, 상기 가세수단의 가세에 의해, 일정값 이상의 면압으로 서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의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제 2 박스체(2)의 이면이 겹쳐져, 제 1 디스플레이(11)는 가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는 제 2 디스플레이(21)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디스플레이(21)를 사용하여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다.
제 2 박스체(2)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까지 개방하면, 제 1 디스플레이(11)가 노출되어,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이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게 된다. 이 개방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의 접촉면(12)에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22)이 접촉하여,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자세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양 디스플레이(11, 21)의 화면은 확실하게 일정한 위치관계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11)의 화면과 제 2 디스플레이(21)의 화면이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걸쳐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화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 형태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상대이동은, 제 2 박스체(2)가 폐쇄 상태로부터 제 1 박스체(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중간 상태에 도달하는 슬라이드 행정과, 제 2 박스체(2)가 중간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개방 상태에 도달하는 회동 행정에 의하여 실행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구는, 슬라이드 행정에서는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를 안내함과 동시에, 회동 행정에서는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를 회동시키는 힌지기구(3)를 구비하고, 해당 힌지기구(3)에는, 적어도 회동 행정의 최종 단계에서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를 폐쇄 상태를 향하여 가세하는 스프링(35)이 내장되고, 해당 스프링(35)에 의해 상기 가세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기구(3)는, 제 1 박스체(1)에 연계(linked)하여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1 캠편(31)과, 선단부가 제 2 박스체(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계됨과 동시에 기초 끝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과는 직교하는 축 주위로 회전이 가능한 아암(37)과, 해당 아암(37)의 기초 끝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되는 제 2 캠편(32)을 구비하고, 제 1 캠편(31)의 캠면과 제 2 캠편(32)의 캠면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35)에 의해 양 캠편(31, 32)이 캠면끼리를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세되고, 양 캠면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박스체(2)가 폐쇄 상태를 향하여 구동된다.
또는, 상기 힌지기구(3)는, 제 1 박스체(1)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되는 제 1 캠편(31)과, 선단부가 제 2 박스체(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연계됨과 동시에, 기초 끝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방향과는 직교하는 축 주위로 회전이 가능한 아암(37)과, 해당 아암(37)의 기초 끝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되는 제 2 캠편(32)을 구비하고, 제 1 캠편(31)의 캠면과 제 2 캠편(32)의 캠면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양 캠편(31, 32)이 캠면끼리를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세되고, 양 캠면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박스체(2)가 폐쇄 상태를 향하여 구동된다.
더욱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제 1 박스체(1) 및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12, 22)은 제 1 디스플레이(11) 및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박스체(1) 및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12, 22)을 가급적 넓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양 박스체(1, 2)의 접촉면(12, 22)이 서로 압접된 상태에서의 양 디스플레이(11, 21)의 자세가 더욱 안정된 것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양 박스체를 개방한 상태에서, 양 박스체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상으로 일치시킨 일정한 상대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양 박스체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에 의해 정보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 박스체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와 제 2 디스플레이의 양쪽에 의해 정보표시가 가능하고, 양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걸쳐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화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의 힌지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의 힌지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에서의 힌지기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오른쪽 힌지기구의 사시도,
도 18은 오른쪽 힌지기구의 정면도,
도 19는 오른쪽 힌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0(a)는 오른쪽 힌지기구의 캠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사시도,
도 20(b)는 오른쪽 힌지기구의 캠동작을 나타내는 일련의 정면도,
도 21은 왼쪽 힌지기구의 사시도,
도 22는 왼쪽 힌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우측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 2 박스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상태의 좌측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의 힌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련의 우측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제 1 힌지기구의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제 2 힌지기구의 정면도,
도 38은 제 2 힌지기구의 우측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0은 도 39의 A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41은 1쌍의 접촉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2는 1쌍의 접촉면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단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제 1 박스체(1)와, 편평한 단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제 2 박스체(2)를 구비하고, 양 박스체(1, 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6과 같이,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가 구비되고,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된다.
또,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의 설치영역의 안쪽에,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평행한 접촉면(12)이 형성되고, 제 2 박스체(2)의 이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의 설치영역과 겹치는 위치에,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과 평행한 접촉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 상에 제 2 박스체(2)가 겹쳐져 제 1 디스플레이(11)가 제 2 박스체(2)에 의해 덮여 가려진 폐쇄 상태와,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박스체(2)가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제 1 디스플레이(11)가 노출된 중간 상태와,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가 회동하고,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가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된 개방 상태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그 오른쪽부에서 힌지기구(3)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그 왼쪽부에서 힌지기구(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오른쪽의 힌지기구(3)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과, 제 1 캠편(3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안쪽 걸어맞춤편(33)과, 제 l 캠편(31)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될 제 2 캠편(32)과, 제 2 캠편(32)에 대하여 샤프트(36)를 거쳐 직각의 자세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아암(37)과, 해당 아암(37)의 선단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바깥쪽 걸어맞춤편(38)과, 제 1 캠편(31)에 대하여 제 2 캠편(32)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35)과, 해당 코일 스프링(35)을 수용하는 원통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오른쪽 끝부에는,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홈(13)이 형성되고, 해당 홈(13)에 오른쪽의 힌지기구(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상기 안쪽 걸어맞춤편(33)은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홈(13)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오른쪽 힌지기구(3)의 바깥쪽 걸어맞춤편(38)은 제 2 박스체(2)에 대하여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왼쪽의 힌지기구(4)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쌍의 원통부(44, 44)를 일체로 구비한 아암(43)과, 해당 아암(43)을 수용하는 커버(41)로 구성되고, 아암(43)의 한쪽의 원통부(44)로부터 다른쪽 원통부(44)를 향하여 U자 형상으로 뒤에서 설명하는 케이블(8)이 관통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왼쪽 끝부에는,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신장하는 홈(14)이 형성되고, 해당 홈(14)에 왼쪽의 힌지기구(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지고, 상기 1쌍의 원통부(44, 44) 중, 아래쪽 원통부(44)는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홈(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왼쪽 힌지기구(4)의 위쪽의 원통부(44)는 제 2 박스체(2)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는, 케이블(8)을 거쳐 서로 전기 접속되어 있고, 해당 케이블(8)의 한쪽 끝부가 제 1 박스체(1) 상의 커넥터(5)에 연결됨과 동시에, 해당 케이블(8)의 다른쪽 끝부가 제 2 박스체(2) 상의 커넥터(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박스체(1) 상의 커넥터(5)로부터 신장되는 케이블(8)은, 왼쪽 힌지기구(4)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 2 박스체(2) 상의 커넥터(6)에 이르고 있다.
왼쪽의 힌지기구(4)는, 제 2 박스체(2) 상의 커넥터(6)와의 상대위치가 불변인 것에 대하여, 제 1 박스체(1) 상의 커넥터(5)와의 상대위치는,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힌지기구(4)와 커넥터(5) 사이를 신장하는 케이블(8)의 길이에는 미리 여유가 주어져 있고, 그 여유에 의한 느슨해짐(slack)을 흡수하도록, 제 1 박스체(1) 상에는 텐션 레버(7)가 구비되어 있다.
텐션 레버(7)는, 그 기초 끝부가 제 1 박스체(1) 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는 제 1 박스체(1) 상을 좌우로 신장하는 가이드홈(도시 생략)을 따라 가이드되고 있고, 제 1 박스체(1)의 슬라이드에 연동하여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요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 상에 제 2 박스체(2)가 겹쳐져 있고, 제 1 디스플레이(11)는 제 2 박스체(2)에 의해 덮여 가려져 있으나, 제 2 디스플레이(21)는 노출되어 있다.
양쪽의 힌지기구(3, 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자세로 제 1 박스체(1)의 홈(13, 14)의 시단(始端)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오른쪽 힌지기구(3)는, 도 20(a), 도 20(b)의 상태(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과 제 2 캠편(32)이 각각의 캠면(31a, 32a)에서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또한, 양 캠면(31a, 32a)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캠편(32)에는 시계방향의 회전 토오크가 발생하고, 이 회전 토오크는, 힌지기구(3)의 아암(37)을 거쳐, 제 2 박스체(2)에 구동력으로서 전해지나, 이 구동력은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의해 받아지기 때문에, 제 2 박스체(2)가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션 레버(7)는, 힌지기구(4)의 근방위치로부터 커넥터(5)의 위쪽위치까지 신장한 자세로, 케이블(8)의 느슨해짐을 흡수하고 있다.
폐쇄 상태로부터 제 2 박스체(2)를 슬라이드방향으로 가압하면, 제 2 박스체(2)가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도 6∼도 9에 나타내는 중간 상태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 행정에서, 양쪽의 힌지기구(3, 4)는, 수직 자세 그대로 제 1 박스체(1)의 홈(13, 14)을 따라 이동하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홈(13, 14)의 종단위치에 도달한다.
도 6∼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박스체(2)가 중간 상태에 도달하면,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가 노출되게 되나,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 사이에는 단차가 생겨 있다.
또, 제 2 박스체(2)가 중간 상태에 도달하면, 제 2 박스체(2)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의한 받아냄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오른쪽 힌지기구(3)에서는, 도 20(a), 도 20(b)의 상태(S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과 제 2 캠편(32)이 각각의 캠면(31a, 32a)으로서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양 캠면(31a, 32a)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캠편(32)에는 시계방향의 회전 토오크가 발생하고, 이 회전 토오크는, 힌지기구(3)의 아암(37)을 거쳐, 제 2 박스체(2)에 구동력으로서 전해진다.
따라서, 제 2 박스체(2)는 상기 구동력을 받아 회동하고, 도 11∼도 14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까지 회동하게 된다.
중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회동 행정에서는, 오른쪽 힌지기구(3)는, 도 20(a), 도 20(b)의 단계(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의 캠면(31a)과 제 2 캠편(32)의 캠면(32a)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진행되고, 이 과정에서도, 양 캠면(31a, 32a)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캠편(32)에는 시계방향의 회전 토오크가 발생하고, 이 회전 토오크에 의해 제 2 박스체(2)에 대한 구동력이 유지된다.
그후, 제 2 박스체(2)가 개방 상태에 도달하면, 양쪽의 힌지기구(3, 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홈(13, 14)의 종단 위치에서 소정의 경사 자세까지 회동하게 되나, 오른쪽 힌지기구(3)에서는, 도 20(a), 도 20(b)의 상태(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의 캠면(31a)과 제 2 캠편(32)의 캠면(32a)은, 캠 곡선의 종단 직전에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캠작용이 발휘되고, 제 2 캠편(32)에 대한 시계방향의 회전 토오크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제 2 박스체(2)에 대한 구동력은 계속되고, 이것에 의해, 제 2 박스체(2)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면(22)이,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면(12)에 압접되고, 이 압접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 결과, 제 2 박스체(2)의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박스체(2)의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이,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
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션 레버(7)는, 힌지기구(4)의 근방 위치로부터 커넥터(5)의 위쪽 위치까지 신장한 자세로, 케이블(8)의 느슨해짐을 흡수한다.
제 2 박스체(2)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까지 폐쇄할 때는, 제 2 박스체(2)에 대하여 역방향의 힘을 인가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 2 박스체(2)는, 도 11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중간 상태를 거쳐 도 1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는,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평한 단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제 1 박스체(1)와, 편평한 단이 있는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제 2 박스체(2)를 구비하고, 양 박스체(1, 2)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가 구비되고,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된다.
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11)의 설치영역의 안쪽에,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평행한 접촉면(12)이 형성되고, 제 2 박스체(2)의 이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21)의 설치영역과 겹치는 위치에,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과 평행한 접촉면(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도 23∼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 상에 제 2 박스체(2)가 겹쳐 제 1 디스플레이(11)가 제 2 박스체(2)에 의해 덮여 가려진 폐쇄 상태와, 도 27∼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박스체(2)가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제 1 디스플레이(11)의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된 중간 상태와, 도 31∼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제 2 박스체(2)가 회동하고,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가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된 개방 상태 사이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그 오른쪽부에서 제 1 힌지기구(301)와 제 2 힌지기구(302)에 의해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는, 그 왼쪽부에서 제 1 힌지기구(301)와 제 2 힌지기구(30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의 양쪽에 구비되어 있는 좌우 1쌍의 제 1 힌지기구(301, 301)와 좌우 1쌍의 제 2 힌지기구(302, 302)는 각각, 좌우 대칭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제 1 힌지기구(301)는,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힌지기구(3)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편(31)과, 제 1 캠편(3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안쪽 걸어맞춤편(300)과, 제 1 캠편(31)과 슬라이딩 접촉하게 될 제 2 캠편(32)과, 제 2 캠편(32)에 대하여 샤프트(36)를 거쳐 직각의 자세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아암(37)과, 해당 아암(37)의 선단부에 대하여 샤프트(304)를 거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바깥쪽 걸어맞춤편(303)과, 제 1 캠편(31)에 대하여 제 2 캠편(32)을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도시 생략)과, 해당 코일 스프링을 수용하는 원통부재(34)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힌지기구(302)는,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304)와, 해당 샤프트(304)의 한쪽의 끝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안쪽 걸어맞춤편(306)과, 샤프트(304)의 다른쪽 끝부에 직각의 자세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아암(307)과, 해당 아암(307)의 선단부에 대하여 샤프트(309)를 거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바깥쪽 걸어맞춤편(30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박스체(2)의 측벽의 내면에는, 제 2 박스체(2)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1쌍의 돌출줄(23, 23)이 형성되고, 돌출줄(23, 23)의 사이에 형성된 홈(24)에, 제 1 힌지기구(301)의 바깥쪽 걸어맞춤편(30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또, 도 36에 나타내는 제 1 힌지기구(301)의 안쪽 걸어맞춤편(300)은,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제 2 힌지기구(30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바깥쪽 걸어맞춤편(308)은, 제 2 박스체(2)에 형성된 홈(도시 생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어맞춤과 동시에, 안쪽 걸어맞춤편(306)은 제 1 박스체(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도 23∼도 26에 나타내는 폐쇄 상태에서는, 제 1 박스체(1) 상에 제 2 박스체(2)가 겹쳐져 있고, 제 1 디스플레이(11)는 제 2 박스체(2)에 의해 덮여 가려져 있으나, 제 2 디스플레이(21)는 노출되어 있다.
이 때, 제 1 힌지기구(301)는, 도 36에 나타내는 제 1 캠편(31)과 제 2 캠편(32)이 캠 곡선의 경사영역에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고, 그 캠작용에 의하여, 도 3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회전 토오크(T1)를 발생한다. 이 회전 토오크는, 도 25에 나타내는 제 2 박스체(2)에 구동력으로서 전해지고, 이것에 의해 제 2 박스체(2)의 이면은 제 1 박스체(1)의 표면에 압접되고, 제 2 박스체(2)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폐쇄 상태로부터 제 2 박스체(2)를 슬라이드방향으로 가압하면, 제 2 박스체(2)가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도 27∼도 30에 나타내는 중간 상태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 행정에서, 제 1 및 제 2 힌지기구(301, 302)는 동일한 자세를 유지하고, 양 힌지기구(301, 302)의 바깥쪽걸어맞춤편(303, 308)이 제 2 박스체(2)의 홈(2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박스체(2)는 폐쇄 상태로부터 중간 상태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 1 힌지기구(301)의 제 1 캠편(31)과 제 2 캠편(32)의 슬라이딩 접촉 위치가, 캠 곡선의 경사영역에서 평탄영역을 지나 반대측 경사영역으로 이행함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한 가세방향이 반전하게 된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박스체(2)가 중간 상태에 도달하면, 제 1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일부 또는 전체가 노출되게 되나,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 사이에는 단차가 생겨 있다.
또, 제 2 박스체(2)가 중간 상태에 도달하면, 제 1 힌지기구(301)에서는, 제 1 캠편(31)과 제 2 캠편(32)이 캠 곡선의 경사영역에서 서로 슬라이딩 접촉하고, 그 캠 작용에 의해, 도 3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계방향의 회전 토오크(T2)를 발생한다. 이 회전 토오크는, 도 33에 나타내는 제 2 박스체(2)에 구동력으로서 전해지고, 이것에 의해 제 2 박스체(2)는, 도 31∼도 34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까지 회동하고, 최종적으로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22)이 제 1 박스체(1)의 접촉면(12)에 압접되어, 제 2 박스체(2)는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제 2 박스체(2)의 개방 상태에서는, 제 2 박스체(2)의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이, 제 1 박스체(1)의 제 1 디스플레이(11)의 표면과 동일 평면 상으로 일치하고, 이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21)에 의해 정보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양 박스체(1, 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제 1 디스플레이(11)와 제 2 디스플레이(21)의 양쪽에 의해 정보 표시가 가능하고, 양 디스플레이(11, 21)의 화면에 걸쳐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화상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제 1 박스체(1) 및 제 2 박스체(2)의 접촉면(12, 22)은 각각 제 1 디스플레이(11) 및 제 2 디스플레이(2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양 접촉면(12, 22)이 서로 압접된 상태에서의 양 디스플레이(11, 21)의 자세가 더욱 안정된 것이 된다.
또한, 도 23∼도 40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박스체(1, 2)의 좌우에는 각각, 동시에 회동하는 제 1 힌지기구(301)와 제 2링크기구(302)가 구비되어, 4절 링크기구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행정 및 회동 행정에서는 제 1 박스체(1)에 대한 제 2 박스체(2)의 자세가 안정되고,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에서도, 제 2 박스체(2)의 위치 및 자세는 확실한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각 부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1(a), 도 4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를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게 될 걸어맞춤면(15, 25)을, 디스플레이면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斜面)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42(a), 도 4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를 개방한 상태에서 서로 압접하게 될 접촉면(16, 26)을, 디스플레이면에 대하여 경사진 사면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 각각 디스플레이(11, 21)를 배치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박스체(1)와 제 2 박스체(2)의 표면에, 각각 디스플레이(11, 21) 대신, 또는 디스플레이(11, 21)와 함께, 입력을 위한 키조작부 등의 그 밖의 기능부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2개의 디스플레이(11, 21)의 한쪽 또는 양쪽이, 손가락이나 펜 등의 입력 조작수단으로 터치함으로써 기기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패널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터치 패널로서, 예를 들면, 표면형 정전용량방식, 투영형 정전용량방식, 전자유도방식, 적외선방식, 저항막방식, 표면 탄성 파방식 등, 적당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1 : 제 1 박스체 11 : 제 1 디스플레이
12 : 접촉면 13 : 홈
14 : 홈 2 : 제 2 박스체
21 : 제 2 디스플레이 22 : 접촉면
24 : 홈 3 : 힌지기구
31 : 제 1 캠편 32 : 제 2 캠편
35 : 코일 스프링 37 : 아암
301 : 제 1 힌지기구 302 : 제 2 힌지기구
5 : 커넥터 6 : 커넥터
7 : 텐션 레버 8 : 케이블

Claims (7)

  1.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가 연결기구에 의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 박스체에 의해 제 1 박스체의 표면을 덮는 폐쇄 상태와, 양 박스체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 사이에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가 상대 이동 가능하고,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가세수단에 가세되어 서로 접촉하게 될 접촉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2.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가 연결기구에 의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박스체의 표면에는 제 1 디스플레이가 설치됨과 동시에, 제 2 박스체의 표면에는 제 2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제 2 박스체에 의해 제 1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덮음과 동시에 제 2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노출시킨 폐쇄 상태와, 제 1 디스플레이의 표면과 제 2 디스플레이의 표면을 대략 동일 평면 상으로 배열하여 노출시킨 개방 상태와의 사이에서,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가 상대 이동 가능하고, 제 1 박스체와 제 2 박스체에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가세수단에 가세되어 서로 접촉하게 될 접촉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제 1 박스체 및 제 2 박스체의 접촉면은 제 1 디스플레이 및 제 2 디스플레이의 표면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의 상대 이동은,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로부터 제 1 박스체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중간 상태에 도달하는 슬라이드 행정과, 제 2 박스체가 중간 상태로부터 회동하여 개방 상태에 도달하는 회동 행정에 의하여 실행되고, 상기 연결기구는, 슬라이드 행정에서는 제 1 박스체에 대한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를 안내함과 동시에, 회동 행정에서는 제 1 박스체에 대하여 제 2 박스체를 회동시키는 힌지기구를 구비하고, 해당 힌지기구에는, 적어도 회동 행정의 최종 단계에서 제 1 박스체에 대하여 제 2 박스체를 폐쇄 상태를 향하여 가세하는 스프링이 내장되고, 해당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가세수단이 구성되어 있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제 1 박스체에 연계하여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한 제 1 캠편과,
    선단부가 제 2 박스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계됨과 동시에 기초 끝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방향과는 직교하는 축 주위로 회전이 가능한 아암과,
    해당 아암의 기초 끝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되는 제 2 캠편을 구비하고, 제 1 캠편의 캠면과 제 2 캠편의 캠면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양 캠편이 캠면끼리를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세되고, 양 캠면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를 향하여 구동되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제 1 박스체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하는 제 1 캠편과,
    선단부가 제 2 박스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연계됨과 동시에, 기초 끝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2 박스체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직교하는 축 주위로 회전이 가능한 아암과,
    해당 아암의 기초 끝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연계하는 제 2 캠편을 구비하고, 제 1 캠편의 캠면과 제 2 캠편의 캠면이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양 캠편이 캠면끼리를 압접시키는 방향으로 가세되고, 양 캠면의 캠작용에 의해 제 2 박스체가 폐쇄 상태를 향하여 구동되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양 박스체와 함께 4절 링크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KR1020107019276A 2008-03-05 2009-03-03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KR101211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4196 2008-03-05
JPJP-P-2008-054196 2008-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236A true KR20100102236A (ko) 2010-09-20
KR101211549B1 KR101211549B1 (ko) 2012-12-12

Family

ID=4105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276A KR101211549B1 (ko) 2008-03-05 2009-03-03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1421B2 (ko)
JP (2) JP5085725B2 (ko)
KR (1) KR101211549B1 (ko)
WO (1) WO2009110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4459B2 (ja) * 2009-10-29 2014-02-12 加藤電機株式会社 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US20110143769A1 (en) * 2009-12-16 2011-06-16 Microsoft Corporation Dual displ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154592B2 (en) * 2010-02-05 2015-10-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veable housing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5407946B2 (ja) * 2010-03-10 2014-02-05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JP5551970B2 (ja) 2010-05-27 2014-07-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5420486B2 (ja) * 2010-07-09 2014-02-19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JP5944095B2 (ja) * 2010-07-26 2016-07-05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1170476B1 (ko) 2010-08-05 2012-08-02 (주) 유원컴텍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JP5611743B2 (ja) * 2010-09-22 2014-10-22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用カバー機構
WO2012049968A1 (ja) * 2010-10-13 2012-04-19 ナガシマ工芸株式会社 情報端末用表示装置
JP5566273B2 (ja) * 2010-11-26 2014-08-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5214812B1 (ja) * 2012-01-10 2013-06-19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3369887A (zh) * 2012-03-28 2013-10-23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连接机构的装置
CN102724838A (zh) * 2012-06-29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连接装置
US8738101B1 (en) 2013-02-06 2014-05-27 Makor Issues And Rights Ltd. Smartphone-tablet hybrid device
WO2014178123A1 (ja) * 2013-04-30 2014-11-06 富士通株式会社 多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該結合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WO2014178126A1 (ja) * 2013-04-30 2014-11-06 富士通株式会社 多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該結合装置を備えた電子装置
JP2015180113A (ja) * 2015-06-30 2015-10-08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
JP6321702B2 (ja) * 2016-03-02 2018-05-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ヒンジ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737524B1 (ja) * 2019-11-27 2020-08-12 株式会社デジメット 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5259A (ja) * 1996-05-13 1997-11-28 Hitachi Ltd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0225264Y1 (ko) 1997-10-01 2001-06-01 김순택 휴대용 표시장치
JPH11341121A (ja) 1998-05-28 1999-12-10 Nec Corp 移動無線機
JP2000010655A (ja) * 1998-06-22 2000-01-14 Toshiba Corp 携帯型情報装置
JP2000184026A (ja) * 1998-12-14 2000-06-30 Samsung Sdi Co Ltd 携帯用通信装置
JP4397225B2 (ja) * 2003-12-04 2010-01-13 日本発條株式会社 ヒンジ装置
KR100617673B1 (ko) * 2004-12-06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EP1713264A3 (en) * 2005-04-12 2009-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channel information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receiver
EP1796351B1 (en) * 2005-12-12 2016-10-19 LG Electronics Inc. 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8131B1 (ko) 2006-04-10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7627337B2 (en) * 2006-04-17 2009-12-01 Nokia Corporation Dual lever slide mechanism for extendible device housings
JP5201568B2 (ja) 2007-04-18 2013-06-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US7986983B2 (en) 2007-12-28 2011-07-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nguous surfaces when op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27839B2 (en) 2011-05-03 2018-03-27 DISH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device with extendable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07465A1 (en) 2011-01-13
JPWO2009110454A1 (ja) 2011-07-14
WO2009110454A1 (ja) 2009-09-11
KR101211549B1 (ko) 2012-12-12
JP5085725B2 (ja) 2012-11-28
JP2013009395A (ja) 2013-01-10
US8411421B2 (en)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549B1 (ko) 개폐식 소형 전자기기
JP5961400B2 (ja) 電子機器
CN113228602B (zh) 折叠式显示装置
EP2600594B1 (en) Opening/closing apparatus
JP2006203842A (ja) 傾斜開閉式移動通信端末機
KR20050012922A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US2012027509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98131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N102160364A (zh) 滑动式电子设备
US883819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liding and rotating hinge apparatus thereof
US8183459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rising mechanism
JP4899193B2 (ja) 電子機器
JP4899190B2 (ja) 携帯電子機器
JP3157566U (ja) チルト機構
KR20220115380A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09052581A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4899191B2 (ja) 携帯電子機器
JP470832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5112214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JP5135241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JP2010147831A (ja) 携帯端末用平面型ヒンジ装置
JP2012093955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1235940B1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JP5466931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130079720A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