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940B1 -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940B1
KR101235940B1 KR1020110026640A KR20110026640A KR101235940B1 KR 101235940 B1 KR101235940 B1 KR 101235940B1 KR 1020110026640 A KR1020110026640 A KR 1020110026640A KR 20110026640 A KR20110026640 A KR 20110026640A KR 101235940 B1 KR101235940 B1 KR 101235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ever
housing
slide
small electronic
sl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294A (ko
Inventor
카토 히데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크기구를 사용함으로서, 강도를 올려, 소형전자기기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개방 시에 제1 하우징의 상면의 노출량을 증가시키고, 키(key)를 크게 하거나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할 수 있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소형전자기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소형전자기기의 제1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와, 제2 하우징의 하면에 부착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자유단 측과 걸어 맞추어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선회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일측 혹은 양측과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곳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Opening-closing device of small electronic apparatus and small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휴대전화기, PC 등의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개폐 장치 및 이 개폐 장치를 이용한 소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소형전자기기에 있어서, 상면에 키보드 부를 가지는 제1 하우징과 같이 상면에 디스플레이 부를 가지는 제2 하우징을 서로 겹쳐진 폐쇄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제1 하우징을 노출시킨 개방상태를 만들어 내는 슬라이드식의 개폐장치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공지이다.
이 종래 공지의 슬라이드식 개폐장치는, 제2 하우징의 하면 측에 한 쌍의 레일을 설치하여 제1 하우징의 상면 후방 측에 상기 각 레일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슬라이더를 설치하고 있어, 스무즈(smooth)한 슬라이드 동작을 행하기 위해 슬라이드 양에 한계가 있고, 그 개방 조작 시에 제1 하우징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양에 한도가 있기 때문에, 키(key)의 크기나 개수에 한계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낸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손에서 가까운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방식의 것에 있어서는 더욱 증폭되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9-117958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링크기구를 사용함으로서, 강도를 올려, 소형전자기기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제2 하우징의 개방 시에 제1 하우징의 상면의 노출량을 증가시키고, 키(key)를 크게 하거나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브 모니터를 설계할 수 있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소형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겹친 폐쇄상태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제1 하우징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어 내는 개폐 장치로서, 제1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와, 제2 하우징의 하면에 부착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자유단 측과 걸어 맞추어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선회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일측 혹은 양측과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곳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가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의 케이블 삽입통과공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 삽입통과공을 개폐하는 셔터판이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동작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을,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자유단 측을 연결하는 링크레버 가이드 핀에 부착 설치된 스프링 링크레버와, 이 스프링 링크레버의 자유단 측에 그 일단부를 부착설치하고, 타단부를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일측의 것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된 만곡 가이드홈과 걸어 맞추고 있는 가이드 핀에 부착 설치된 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개폐장치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으로서,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에 의해, 제2 하우징의 제1 하우징에 대한 슬라이드 폭이 넓어지기 때문에, 제1 하우징의 상면의 노출 폭을 크게 하여 키보드부의 조작키의 개수를 늘리거나 혹은 조작키를 조작하기 쉽도록 크게 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를 올리고, 서브 모니터도 설치할 수가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소형전자기기의 폐쇄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폐쇄상태에서,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제2 하우징을 열었을 때의 중간개방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상태에서 한층 더 제1 하우징을 제2 하우징에 대하여 전체 개방상태로 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중간개방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개폐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와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일측의 제1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른측의 제2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프링 링크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소형전자기기의 일예인 포켓형 컴퓨터에 실시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소형전자기기는, 포켓형 컴퓨터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휴대전화기, 소형 게임기, PDA 그 외의 휴대단말기 등에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의하면, 도1 내지 도3에 있어서, 지시기호 1로 나타낸 것이, 포켓형컴퓨터이며, 지시기호 2와 3에서 나타낸 것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다.
제1 하우징(2)의 상면에는 키보드부(2a)가 설치되어 제2 하우징(3)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3a)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장치(4)는,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4)는,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의 상면 후단부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와, 제2 하우징(3)의 하면에 부착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의 자유단 측과 걸어 맞추어서 상기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의 선회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드 플레이트(7)와, 상기 제1 링크레버(5)에 작용하여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7)를 그의 소정 슬라이드 위치로부터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7)를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슬라이드 힘 가함 수단(8)을 가지고 있다.
일측의 제1 링크레버(5)는, 특히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초단부 측에 연결공(5a)을, 타단부 측에 가이드장공(5b)을, 대략 중앙부에 가이드핀 취부공 (5c)을 가지고, 연결공(5a)측에 제1 절곡부(5d)가, 가이드 핀 취부공(5c)측에 제 2 절곡부(5e)가 설치되고 있다.
타측의 제2 링크레버(6)도, 특히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초단부 측에 제 1 연결공(6a)을, 타단부 측에 제 2 연결공(6b)을, 대략 중앙부에 가이드 핀 취부공 (6c)을 가지고, 제1 연결공(6a)측에 제 1 절곡부(6d)가, 가이드핀 취부공(6c)을 사이에 두고 제2 절곡부(6e)와 제3 절곡부(6f)가 설치됨과 동시에, 연결핀 취부공( 6g)이 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는, 그 연결공(5a)과 제1 연결공(6a)을 각각 취부나사(9)와 컬러(10)를 통하여, 제1 하우징(2)의 상면 후단부 양측에 설치한 취부공(2b, 2b)에 수평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축착(軸着)시키고 있다.
슬라이드 플레이트(7)는, 평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것으로, 그의 양측에 위치하고 상하방향으로 한 쌍의 평면이 대략 く자 형상을 나타낸 만곡 가이드홈(7a)과 원호 형상의 만곡 가이드홈(7b)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의 바로 앞측에 제 1 케이블 삽입통과공(7c)이 설치되고, 이 제1 케이블 삽입통과공(7c)의 상측에 위치하여 수평방향으로 연결레버 가이드홈(7d)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한 쌍의 만곡가이드홈(7a, 7b)과 제1 케이블 삽입통과공(7c) 사이에 스트레이트 형상의 한 쌍의 셔터판 가이드홈(7e, 7e)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만곡가이드홈(7a, 7b)은,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 (6)의 각 가이드핀 취부공(5c)와 (6c)에 설치된 가이드핀(11a, 11b)이 삽입되어 걸어 맞추어지는 동시에, 링크레버 가이드홈(7d)에, 제2 링크레버(6)의 제2 연결공 (6b)에 부착 설치된 링크레버 가이드핀(12)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 링크레버 가이드핀(12)은 또한, 제1 링크레버(5)의 가이드 장공(5b)과 걸어 맞추어지는 동시에,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의 스프링 링크레버(13)의 일단부에 설치한 연결공 (13a)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셔터판(14)은, 슬라이드 플레이트(7)의 하측에 위치하고 그 양단부에 설치한 취부공(14a, 14a)에 부착 설치된 셔터판 가이드핀(15, 16)을 셔터판 가이드홈(7e, 7e)과 걸어 맞추어지는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셔터판 가이드홈(14b)을 제2 링크레버(6)의 가이드 핀 취부공(6c)에 부착 설치된 셔터판 밀어누름핀(14c)과 걸어 맞추어져 있다.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은, 스프링 링크레버(13)와 이 스프링 링크레버(13)에 설치한 취부돌기(13b)에 일단부에 설치한 걸어맞춤부(17a)를 걸어 맞추어 고정시키고, 타단부에 설치한 연결부(17b)를 제1 링크레버(5)의 가이드 핀(11a)에 부착 설치된 스프링(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시기호 18로 나타낸 것이,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낸 커버 플레이트이고, 이 커버 플레이트(18)는, 제2 케이블 삽입통과공(18a)을 가지고, 슬라이드 플레이트(7)의 하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부착 설치되며, 이 커버 플레이트(18)와 슬라이드 플레이트(7) 사이에,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나,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 및 셔터판(14)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눈가림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은, 가이드 핀(11a, 11b)과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의 도피 홈(3c, 3c)과 (3d)이다.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18)와 슬라이드 플레이트(7) 사이에 스페이서(20)를 개재시켜, 제2 하우징(3)에 4개의 취부나사(19)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금, 도 1과 도 4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서로 겹친 폐쇄상태에 있어서는, 개폐장치(4)의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 (6)는 모두 가까운 측으로 선회하여 폐쇄 위치에 있고,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 8)의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 링크레버(13)를 개재하여 제1 링크레버( 5) 및 제2 링크레버(6)가 모두 가까운 측으로 선회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을 폐쇄상태에서 로크 시키고 있다.
이때에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의 각 가이드 핀(11a, 11b)은, 슬라이드 플레이트(7)의 만곡 가이드홈(7a, 7b)의 상부 측의 시작단부(a, a)에 위치하고 있고,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은, 링크레버 가이드홈(7d)의 우측의 시작단부(d)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셔터판(14)의 셔터판 가이드 핀(15, 16)을 셔터판 가이드홈(7e, 7e)의 상단부 측의 시작단부(f, f)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폐쇄상태에서, 제2 하우징(3)을 개방방향으로 밀어 주면, 최초는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의 스프링(17)의 밀어 누르는 힘에 저항하는 저항으로 만나지만,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가 모두 후방으로 선회하는 것이어서,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을 개재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7)가 커버 플레이트(18)와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드 하여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열린다.
즉, 도 2,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이 폐쇄위치에서 꼭 중간위치까지 열리면,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는, 모두 후방으로 선회하여 거의 직선상태가 되고,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은 만곡가이드홈(7a, 7b)의 중간 위치(b, b)로 이동하고,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은, 링크레버 가이드홈( 7d)의 좌측으로 이동하여, 그 종단부(e)에 도달한다.
또한, 셔터판 가이드 핀(15, 16)은, 셔터판 가이드홈(7e, 7e)의 중간위치에 있고, 셔터판(14)은 제1및 제2 케이블 삽입통과공(7c)과 (18a)의 대략 절반을 덮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그 중간 개방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의 스프링(17)은 좌측방향으로 선회하여 휜 상태로 있다.
이 중간 개방상태에서 제2 하우징(3)을 더욱 개방방향으로 밀면,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는 모두 후방으로 선회하여 도 3,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플레이트(7)가 후방으로 자동적으로 슬라이드 하여 제2 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전체 개방상태가 되어, 키보드부(2a)의 조작키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 가이드 핀911a, 11b)은, 만곡가이드홈(7a, 7b)의 가까운 측의 종단부(c, c)에 도달하고, 링크레버 가이드 핀(12)은, 링크레버 가이드홈(7d0의 시작단부(d)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셔터판(14)의 셔터판 가이드 핀(15, 16)은, 셔터판 가이드홈(7e, 7e)의 가까운 측의 종단부(g, g)에 도달하여, 제1및 제2 케이블 삽입통과공(7c)과 (18a)를 덮고 있다.
그리고, 이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의 스프링(17)이 스프링 링크레버(13)를 개재하여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를 후방으로 누르고 있으므로, 이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어 로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 커버 플레이트(18)에 의해,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나 셔터판(14)이나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 등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되어 있다.
더욱이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도 셔터판(14)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은폐되어 있다.
이 전체 개방상태에서, 제2 하우징(3)을 가까운 측으로 밀면, 위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의 작용에 의해, 제2 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중간개방상태에서 자동적으로 닫혀져 폐쇄상태에서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로크상태가 된다.
일측의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측의 만곡가이드홈(7a)이, 평면이 대략 く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8)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4)는, 제2 하우징(3)의 제1 하우징(2)에 대한 슬라이드 기구에 제1 하우징(2)의 상면 뒤쪽 양단부에 축착한 제1 링크레버(5) 및 제2 링크레버(6)를 채용한 것이어서, 제2 하우징(3)에 부착 설치한 슬라이드 플레이트 (7)와 걸어 맞추는 종래공지의 레일부재를 제1 하우징(2) 측에 남길 필요가 없으므로, 제2 하우징(3)의 제1 하우징(2)에 대한 전체 개방상태에 있어서, 제1 하우징( 2)이 노출하는 상면의 양(면적)을 종래공지의 것보다 넓게 취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점에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기구에 비해 강도를 올려 서브 모니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에도 특징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개폐장치(4)는, 제1 하우징(2)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부(2a)의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크게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여, 기능 향상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한 것이어서, 포켓형 컴퓨터 또는 소형게임기, PDA, 휴대전화기 등의 키보드 부를 상부에 설치한 제1 하우징과, 상면에 디스플레이 부를 설치한 제2 하우징을 가지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1: 포켓형 컴퓨터 2: 제1 하우징
2a: 키보드부 2b: 취부공
3: 제2 하우징 3a: 디스플레이부
3c: 홈 3d; 홈
4: 개폐장치
5: 제1 링크레버 5a: 연결공
5b: 가이드 장공 5c: 가이드핀 취부공
5d: 제1 절곡부 5e: 제2 절곡부
6: 제2 링크레버 6a: 제1 연결공
6b: 제2 연결공 6c: 가이드핀 취부공
6d: 제1 절곡부 6e: 제2 절곡부
6f: 제3 절곡부 6g: 연결핀 취부공
7: 슬라이드 플레이트 7a: 만곡 가이드홈
7b: 만곡 가이드홈 7c: 제1 케이블 삽입통과공
7d: 링크레버 가이드홈 7e: 셔터판 가이드홈
8: 슬라이드 힘 가함 수단 9: 취부나사
10: 컬러 11a: 가이드핀
11b: 가이드핀 12: 링크레버 가이드핀
13: 스프링 링크레버 13a: 연결공
14: 셔터판 14a: 취부공
14b: 셔터판 가이드홈 14c: 셔터판 밀어누름핀
15: 셔터판 가이드핀 16: 셔터판 가이드핀
17: 스프링 17a: 걸어맞춤부
17b: 연결부
18: 커버 플레이트 18a: 제2 케이블 삽입통과공
19: 취부나사 20: 스페이서

Claims (5)

  1.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되고,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겹친 폐쇄상태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제1 하우징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들어 내는 개폐 장치로서,
    제1 하우징의 상면 후단부 양측에 선회 가능하게 부착 설치된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면에 부착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각 자유단측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연결공과 타측(다른방향)에 설치된 가이드장공을 연결하고, 그 위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설치된 링크레버가이드 구를 연결시킨 링크레버 가이드편,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만곡 가이드 구와 상기 제1링크레버 및 제 2링크레버를 각 각 계합시킨 한쌍의 가이드핀과,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어느 것이든 일측 혹은 양측과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된 곳의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를 소정의 슬라이드 위치에서 개방방향과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힘을 가하는 슬라이드 힘 가함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가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의 케이블 삽입통과공이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케이블 삽입통과공을 개폐하는 셔터판이 상기 제1 링크레버 및 제2 링크레버의 동작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가함 수단은, 상기 링크레버 가이드핀에 그 일단부를 고착한 스프링 링크레버와, 이 스프링 링크레버의 자유단측에 그 일단부를 부착설치하고, 동시에 타단부를 상기 가이드핀의 일측의 것에 설치하고, 상기 일측의 가이드핀을 부착한 상기 제1 링크레버 혹은 제2 링크레버의 선회동작에 따라 신축동작을 행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의 개폐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개폐장치를,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전자기기.
KR1020110026640A 2010-03-26 2011-03-25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KR101235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2117A JP2011205503A (ja) 2010-03-26 2010-03-26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JPJP-P-2010-072117 2010-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294A KR20110108294A (ko) 2011-10-05
KR101235940B1 true KR101235940B1 (ko) 2013-02-28

Family

ID=4466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6640A KR101235940B1 (ko) 2010-03-26 2011-03-25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205503A (ko)
KR (1) KR101235940B1 (ko)
CN (1) CN102202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7763B2 (ja) * 2013-08-28 2017-07-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88Y1 (ko) 2006-08-31 2006-11-13 알티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39609Y1 (ko) * 2006-11-22 2008-04-22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27966B1 (ko) 2009-04-01 2009-11-24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777B1 (ko) * 2003-08-25 2006-01-23 주식회사 엠투시스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JP5085343B2 (ja) * 2008-01-11 2012-11-28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JP5102688B2 (ja) * 2008-04-23 2012-12-19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携帯機器
JP2010011149A (ja) * 2008-06-27 2010-01-14 Panasonic Corp スライド式携帯端末
JP5129686B2 (ja) * 2008-08-06 2013-01-30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並びにこの携帯機器の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88Y1 (ko) 2006-08-31 2006-11-13 알티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200439609Y1 (ko) * 2006-11-22 2008-04-22 (주) 프렉코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0927966B1 (ko) 2009-04-01 2009-11-24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및 이에 사용되는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02479A (zh) 2011-09-28
KR20110108294A (ko) 2011-10-05
CN102202479B (zh) 2014-06-04
JP2011205503A (ja)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7186B2 (en) Sliding module f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JP2005210649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EP1944951A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8060166B2 (en) Slide mechanism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equipment
JP2008196525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101101073B1 (ko) 단말기
KR101235940B1 (ko) 소형 전자기기의 개폐 장치 및 소형 전자기기
KR20120075062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회전 힌지 장치
TWI384834B (zh) Mobile machine sliding mechanism and action machine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018349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1094164B1 (ko) 단말기
JP5112214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KR100981116B1 (ko)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장치에 사용되는슬라이드 장치
KR20080097894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997242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TWI418201B (zh)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KR101156268B1 (ko) 개폐장치 및 이 개폐장치를 이용한 휴대기기
KR101185826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KR101008708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휴대용 기기
KR20120003131A (ko)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KR1011071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200350570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6002086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JP2010068314A (ja) スライド式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