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476B1 -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476B1
KR101170476B1 KR1020100075567A KR20100075567A KR101170476B1 KR 101170476 B1 KR101170476 B1 KR 101170476B1 KR 1020100075567 A KR1020100075567 A KR 1020100075567A KR 20100075567 A KR20100075567 A KR 20100075567A KR 101170476 B1 KR101170476 B1 KR 101170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ub
portable terminal
sl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406A (ko
Inventor
강성덕
Original Assignee
(주) 유원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원컴텍 filed Critical (주) 유원컴텍
Priority to KR102010007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로써,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는, 일측면으로 개방되는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메인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수납공간부에 슬라이드 되게 삽입되고 상부에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서브바디를 상승시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의 상면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 SLIDE-UP TYPE MOBILE PHONE }
본 발명은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로써,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확장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거 통신 용도로만 이용되던 휴대단말기는 통신 용도로 이용될 뿐만아니라, 인터넷 접속, 디지털방송 수신 등의 기능 등이 추가되어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휴대 단말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가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메인바디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는 커버가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메인바디에 대한 커버의 개폐 구조에 따라 폴더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스윙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키패드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로만 이루어져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에 따라 작동되는 터치 방식이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고정되어 있고 그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인터넷 웹 브라우징, 동영상 재생 및 디지털방송 수신 등의 기능을 이용하기에는 시각적으로 많은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고자 넓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하는 경우, 그에 따라 휴대단말기 자체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고 가벼운 사이즈를 지향하면서도, 동시에 디스플레부의 크기를 동영상 및 디지털방송 시청, 3D 게임, 인터넷 웹 브라우징 등의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더욱 크게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의 메인바디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서브디스플레이부를 메인디스플레이부의 측면에 배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확장할 수 있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는, 일측면으로 개방되는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메인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수납공간부에 슬라이드 되게 삽입되고 상부에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서브바디를 상승시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의 상면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힌지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모듈은,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모듈과;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서브바디가 장착되는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제3링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탄성모듈에 의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링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된다.
상기 제1탄성모듈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에 회전력을 부가하며,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힌지모듈에 장착된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킨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부에 상기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단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링크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모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홈의 높이는 상기 제1링크 및 제3링크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가 삽입 배치되는 상부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는 하부안착홈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서브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캠프로파일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일단에 롤러가 장착된 제2탄성모듈이 장착되되, 상기 캠프로파일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서브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캠프로파일을 탄성지지하며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서브디스플레이부를 메인바디의 외부로 인출시켜 메인디스플레이부와 같은 높이에 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확장하여 더 큰 화면에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시 힌지모듈에 의해 서브바디를 메인바디의 외부로 슬라이딩시킨 후 상승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휴대가 편리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쉽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서브바디는 메인바디의 외부로 인출된 후 제1탄성모듈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확장이 쉽고 편리하다.
또한, 고정플레이트에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이동프레임에 가이드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됨으로써, 서브바디를 쉽게 메인바디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의 수용홈에 힌지모듈이 삽입 배치됨으로써, 힌지모듈이 회전하기 위한 작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상부안착홈과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하부안착홈에 회전프레임이 삽입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탄성모듈의 일단에 장착된 롤러는 캠프로파일의 내측면을 탄성지지하며 이동함으로써, 서브바디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제2탄성모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에서 커버 및 상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도 1에서 서브바디를 슬라이딩시킨 상태의 상태도,
도 13은 도 1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4는 도 12에서 서브바디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상태도,
도 15는 도 14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서브바디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제2탄성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에서 커버 및 상부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에서 서브바디를 슬라이딩시킨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서 서브바디를 상부로 이동시킨 상태의 상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디(100), 힌지모듈(200) 및 서브바디(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바디(100)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부에 메인디스플레이부(121)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메인바디(100)는 하우징(110)과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와 전방이 개방된다.
전방은 도 2에서 우측 방향이며 후술할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슬라이딩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부(111)에는 상기 서브바디(300)가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는 캠프로파일(113)이 장착된다.
상기 캠프로파일(11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캠프로파일(113)을 따라 상기 서브바디(30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캠프로파일(113)의 후방에는 외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정지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정지홈(114)에는 후술할 롤러(353)가 삽입되어 상기 서브바디(30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 전단에는 후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인출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홈(112)은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바디(300)의 하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상기 서브바디(300)를 잡아당겨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120)는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에 메인디스플레이부(121)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120)의 하부에는 고정플레이트(122)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우 폭은 상기 커버(120)의 좌우 폭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의 양측에는 가이드편(1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123)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힌지모듈(2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210), 제1링크(220), 제1탄성모듈(230), 제2링크(240) 및 제3링크(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프레임(210)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힌지결합부(211)가 하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210)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21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1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후술할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의 상부가 상기 관통공(212)을 관통한다.
상기 힌지결합부(211)의 하단 후방에는 외측 상방향으로 절곡된 수직지지대(213)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대(213)는 상기 힌지결합부(211)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가이드편(12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레일(214)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편(123)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에 상기 가이드편(12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210)에 상기 가이드편(12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이드레일(2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300)를 쉽게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쉽게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213)의 내측면에는 수평지지대(215)가 장착된다.
상기 수평지지대(215)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지지대(213)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수직지지대(213)가 상호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결합부(211)의 하단 전방에는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지지편(21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216)의 하부에는 스토퍼(217)가 장착된다.
상기 스토퍼(217)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할 상기 제3링크(260)와 접하여 상기 제3링크(260)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스토퍼(2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지지편(216) 중 하나에만 장착될 수도 있고, 2개가 상기 지지대(216)에 각각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링크(220)는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21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링크(24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22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타단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일단에 상기 제1탄성모듈(230)이 삽입된다.
상기 제1링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1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관통공(212)을 관통한다.
상기 제1탄성모듈(230)은 내부에 삽입된 2개의 캠의 접촉 상태에 따라 회전력을 부가하는 일반적인 탄성모듈로써, 일단이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결합부(211)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제1링크(220)에 회전력을 부가한다.
상기 제2링크(240)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제1힌지축(250)에 의해 상기 제1링크(22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3링크(260)에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2링크(24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의 좌우 폭이 타단의 좌우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서브바디(300)가 장착된다.
상기 제3링크(260)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과 이격되어 상기 힌지결합부(211)의 전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제2회전축(270)에 의해 상기 제2링크(240)의 타단과 힌지결합한다.
상기 제3링크(260)는 일측면에 링크홈(261)이 형성된다.
상기 링크홈(261)에는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부로 이동할 때 회전하는 상기 제2링크(24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홈(261)의 좌우 폭은 상기 제2링크(240)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서브바디(300)는 상기 수납공간부(111)에 삽입되고, 상부에 서브디스플레이부(321)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서브바디(30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10), 상부플레이트(320) 및 회전프레임(3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1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모듈(200)의 하부에 장착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의 상부 후방에는 하부안착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안착홈(311)에는 상기 회전프레임(330)의 하부가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안착홈(311)의 하면에는 양측에 하부회전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회전홈(312)에는 상기 제2회전축(270)의 끝단의 하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결합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13)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의 하부 전방에는 인출손잡이(314)가 형성된다.
상기 인출손잡이(314)는 상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고 상기 인출홈(112)과 상하로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손잡이(314)를 잡아당겨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20)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부에 서브디스플레이부(321)가 장착된다.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20)의 하부 후방에는 상부안착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안착홈(322)에는 상기 회전프레임(330)의 상부가 삽입 배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320)의 하부에는 결합돌기(32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323)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313)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30)은 하부가 상기 하부안착홈(311)에 삽입 배치되고 상부가 상기 상부안착홈(322)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330)은 상기 하부안착홈(311)과 상부안착홈(322)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330)은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수용홈(33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331)에는 상기 힌지모듈(200)이 수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331)의 높이는 상기 제1링크(220) 및 제3링크(26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홈(331)이 높이는 상기 제1링크(220) 및 제3링크(26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홈(331)의 내부에 상기 힌지모듈(200)이 작동되는 공간을 확보하여 상기 힌지모듈(200)이 상기 서브바디(300)를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330)의 하부에는 상부회전홈(33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회전홈(332)은 상기 하부회전홈(312)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축(270)의 끝단의 상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회전축(270)은 양단이 상기 하부회전홈(312)과 상부회전홈(332)에 삽입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힌지모듈(200)과 서브바디(300)는 더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와 상부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슬라이딩홈(34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홈(340)은 상기 서브바디(300)의 양측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캠프로파일(113)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홈(340)의 후방에는 하방향으로 경사진 확장부(341)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341)는 하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슬라이딩홈(340)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확장부(341)가 상기 슬라이딩홈(340)의 후방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확장됨으로써,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기 서브바디(300)가 회전하며 상승시 상기 캠프로파일(113)의 전단에 걸리지 않고 회전하여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와 서브디스플레이부(321)를 더 가까이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310)와 상부플레이트(320)의 사이에는 제2탄성모듈(35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모듈(35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2탄성모듈(3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51), 제2플레이트(352), 스프링(미도시) 및 롤러(3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플레이트(35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20)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2플레이트(352)는 상기 제1플레이트(351)에 상기 서브바디(300)의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351)와 제2플레이트(352)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이 배치되어 상기 제2플레이트(352)에 탄성력을 부가한다.
상기 롤러(353)는 상기 제2플레이트(35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서브바디(300)의 슬라이딩시 상기 캠프로파일(113)을 탄성지지하며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탄성모듈(350)의 일단에 장착된 상기 롤러(353)는 상기 캠프로파일(113)의 내측면을 탄성지지하며 이동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300)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321)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면의 높이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를 확장하여 더 큰 화면에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시 상기 힌지모듈(200)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슬라이딩시킨 후 상승시킴으로써, 휴대단말기의 휴대가 편리하고 디스플레이부를 쉽게 확장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11은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200) 및 서브바디(3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수납공간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의 후방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220), 제2링크(240) 및 제3링크(260)는 상기 수용홈(331)에 수용된다.
상기 이동프레임(210)에 형성된 상기 힌지결합부(211)에는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이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링크(220)는 일단과 타단이 상하로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250)에 의해 상기 제2링크(240)의 일단에 힌지결합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250)에 의해 힌지결합된 상기 제1링크(220)와 제2링크(240)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탄성모듈(230)은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에 삽입되어 상기 제1링크(220)에 회전력을 부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탄성모듈(230)은 상기 제1링크(220)의 일단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220)는 회전하지 못한다.
일단이 상기 제1링크(220)에 힌지결합된 상기 제2링크(240)는 상기 커버(120)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링크(240)는 상기 제2회전축(270)에 의해 상기 제3링크(260)의 타단에 힌지결합된다.
상호 힌지결합된 상기 제2링크(240)와 제3링크(260)는 상호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링크(260)의 일단과 타단은 상하로 배치된다.
상기 제3링크(260)는 측부가 상기 스토퍼(217)에 접하여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링크(260)가 상기 스토퍼(217)에 의해 회전이 저지됨으로써,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기 수납공간부(111)에 삽입할 때 상기 힌지모듈(200)의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서브바디(300)가 후방으로 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모듈(350)은 상기 서브바디(300)의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롤러(353)가 상기 캠프로파일(113)을 외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또한, 도 1과 같이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롤러(353)가 상기 정지홈(114)에 삽입되어 상기 서브바디가 임의로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에서 상기 인출손잡이(314)를 잡아당겨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상기 가이드편(123)을 따라 전방 즉, 도 10에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모듈(350)은 상기 캠프로파일(113)을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며 슬라이딩하고, 상기 롤러(353)는 상기 정지홈(114)을 벗어나게 된다.
상기 정지홈(114)을 벗어난 상기 롤러(353)는 상기 캠프로파일(113)에 접하여 회전하며 이동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352)는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캠프로파일(113)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롤러(353)가 상기 캠프로파일(113)의 최대돌출점(P)을 지나게 되면 압축된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300)는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서브바디(300)가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3은 도 12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14)은 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고정플레이트(122)의 전방 끝단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힌지모듈(200)은 도 11에 도시된 상기 힌지모듈(200)의 상태와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탄성모듈(230)에 의해 상기 제1링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링크(24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링크(240)는 상기 제3링크(26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링크(2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2링크(240)는 상기 서브바디(300)와 함께 수평을 유지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서브바디(300)를 상승시킨다.
상기 서브바디(300)가 회전하며 상승하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321)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의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서브바디(300)는 상기 메인바디(100)의 외부로 인출된 후 상기 제1탄성모듈(23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의 확장이 쉽고 편리하다.
도 14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321)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의 측면에 배치되면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321)의 상부 높이와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의 상부 높이와 일치하게 되어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를 확장할 수 있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20)는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단과 타단은 같은 높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링크(240)는 상기 제1링크(22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링크(260)에 형성된 상기 링크홈(261)에 삽입된다.
상기 제2링크(24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제3링크(260)는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일단과 타단이 같은 높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220), 제2링크(240) 및 제3링크(260)는 전후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모듈(200)에 의해 상기 서브바디(300)가 상승하여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321)를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와 같은 높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121)를 확장하여 사용자가 더 큰 화면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브바디(300)를 다시 상기 메인바디(100)에 삽입시킬 때는 상기 서브바디(300)를 하방향으로 눌러 회전시킨 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수납공간부(111)에 삽입한다.
상기 서브바디(3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도 상기 서브바디(30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롤러(353)가 상기 캠프로파일(113)의 최대돌출점(P)을 지나면 압축된 상기 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반자동으로 슬라이딩하는 상기 서브바디(300)는 상기 롤러(353)가 상기 정지홈(114)에 삽입되며 슬라이딩이 멈추게 된다.
본 발명인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메인바디, 110 : 하우징, 111 : 수납공간부, 112 : 인출홈, 113 : 캠프로파일, 114 : 정지홈, 120 : 커버, 121 : 메인디스플레이부, 122 : 고정플레이트, 123 : 가이드편, 200 : 힌지모듈, 210 : 이동프레임, 211 : 힌지결합부, 212 : 관통공, 213 : 수직지지대, 214 : 가이드레일, 215 : 수평지지대, 216 : 지지편, 217 : 스토퍼, 220 : 제1링크, 230 : 제1탄성모듈, 240 : 제2링크, 250 : 제1회전축, 260 : 제3링크, 261 : 링크홈, 270 : 제2회전축, 300 : 서브바디, 310 : 하부플레이트, 311 : 하부안착홈, 312 : 하부회전홈, 313 : 결합홈, 314 : 인출손잡이, 320 : 상부플레이트, 321 : 서브디스플레이부, 322 : 상부안착홈, 323 : 결합돌기, 330 : 회전프레임, 331 : 수용홈, 332 : 상부회전홈, 340 : 슬라이딩홈, 341 : 확장부, 350 : 제2탄성모듈, 351 : 제1플레이트, 352 : 제2플레이트, 353 : 롤러

Claims (7)

  1. 삭제
  2. 일측면으로 개방되는 수납공간부가 내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메인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메인바디와;
    상기 수납공간부에 슬라이드 되게 삽입되고 상부에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수납공간부로부터 인출될 때, 상기 서브바디를 상승시켜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서브디스플레이부의 상면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한 힌지모듈;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힌지모듈은,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이동프레임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1탄성모듈과;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서브바디가 장착되는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일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프레임의 타단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2링크의 타단과 힌지결합하는 제3링크; 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탄성모듈에 의한 상기 제2링크의 회전시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링크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모듈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수납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링크에 회전력을 부가하며,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의 외부로 인출되면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힌지모듈에 장착된 상기 서브바디를 회전시키면서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부에 상기 수납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에 고정플레이트가 장착되는 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는 가이드편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단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편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바디는,
    상기 제2링크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에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모듈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용홈의 높이는 상기 제1링크 및 제3링크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가 삽입 배치되는 상부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부가 삽입 배치되는 하부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서브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길게 캠프로파일이 장착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일단에 롤러가 장착된 제2탄성모듈이 장착되되,
    상기 캠프로파일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서브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캠프로파일을 탄성지지하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KR1020100075567A 2010-08-05 2010-08-05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KR101170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67A KR101170476B1 (ko) 2010-08-05 2010-08-05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567A KR101170476B1 (ko) 2010-08-05 2010-08-05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06A KR20120015406A (ko) 2012-02-21
KR101170476B1 true KR101170476B1 (ko) 2012-08-02

Family

ID=4583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567A KR101170476B1 (ko) 2010-08-05 2010-08-05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7516B1 (en) 2020-10-30 2022-01-1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2030668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42B1 (ko) * 2013-05-21 2015-01-26 주식회사 베프스 2단 접이식 구조의 다중 디스플레이형 통신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04618A (ko) * 2017-07-04 2019-01-14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92B1 (ko) 2007-06-30 2008-06-13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WO2009110454A1 (ja) 2008-03-05 2009-09-11 京セラ株式会社 開閉式小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92B1 (ko) 2007-06-30 2008-06-13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WO2009110454A1 (ja) 2008-03-05 2009-09-11 京セラ株式会社 開閉式小型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0668A1 (ko) * 2020-08-07 2022-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27516B1 (en) 2020-10-30 2022-01-18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06A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436B2 (en) Slide module having dual movemen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98937B1 (ko) 슬라이딩 및 로테이션 복합 메커니즘과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KR101170476B1 (ko)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JP2007116709A (ja) スライドモジュール及びそのスライド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端末機
EP2145396A1 (en) Bendable mechanism and bendable sliding opening type apparatus
KR20100049035A (ko) 전자기기용 스탠드 힌지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554801B1 (ko) 디스플레이패널 회전 휴대폰
KR200430930Y1 (ko) 슬라이딩 핸드폰의 디스플레이부 스윙 작동용 힌지 조립체
KR101221342B1 (ko) 휴대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
KR101170481B1 (ko) 슬라이드 다운 휴대단말기
KR101170477B1 (ko) 슬라이드 업 휴대단말기
KR100690863B1 (ko) 휴대 단말기
JP2012029238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本体の不安定化防止方法
KR101046656B1 (ko) 휴대단말기용 롱스트로크 틸팅 힌지모듈
KR101106145B1 (ko) 오토 틸트 힌지모듈
KR101051410B1 (ko)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970250B1 (ko) 슬라이드식 휴대 단말기용 키패드 승강장치
KR20070074318A (ko) 디스플레이 화면의 확장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
KR101000000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700241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30004815U (ko) 태블릿 컴퓨터 거치대
KR101013332B1 (ko) 휴대기기 접속 거치대
KR20070099340A (ko) 투웨이 폴딩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휴대단말기
KR20110079436A (ko) 오토틸트형 휴대폰 슬라이딩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