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450A - 조습 장치 - Google Patents

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450A
KR20100095450A KR1020107013559A KR20107013559A KR20100095450A KR 20100095450 A KR20100095450 A KR 20100095450A KR 1020107013559 A KR1020107013559 A KR 1020107013559A KR 20107013559 A KR20107013559 A KR 20107013559A KR 20100095450 A KR20100095450 A KR 20100095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humidification
purification
pur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끼찌 가가와
도시오 다나까
쯔나히로 오오도우
간지 모떼기
사나에 가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9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24F2203/106Electrical r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Abstract

제습 로터는 공기 중의 물을 포착하여 공기의 제습을 행한다. 제습 로터로 포착된 물은 물 탱크 내에 회수된다. 물 탱크 내에 회수되는 물은 물 정화 수단에 의해 정화된다. 가습 로터는 정화된 물을 공기 중으로 부여하여 공기의 가습을 행한다.

Description

조습 장치{HUMIDIT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수단과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습 수단으로 포착한 물을 물 용기 내에 회수하고, 이 물을 가습 수단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는 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실내 등의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습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한 조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습 장치는, 가습수가 보급되는 가습용 탱크와, 공기 통로에 걸쳐 배치되는 원판 형상의 가습 로터(즉, 가습 수단)를 구비하고 있다. 가습 로터는 그 하부가 가습용 탱크 내의 수중에 침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조습 장치의 운전시에는 가습 로터가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가습 로터에서는 가습용 탱크 내에서 수분을 포함한 부위가 상기 공기 통로까지 변위된다. 이 부위를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가습 로터 중의 수분이 공기로 부여된다. 그리고, 가습된 공기는 공기 통로를 흘러나와 실내 등으로 공급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수단을 구비한 조습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습 장치는, 흡착제가 담지된 원판 형상의 제습 로터(즉, 제습 수단)와, 제습 로터를 가열하여 수분을 탈리시키는 히터와, 탈리한 수분을 회수하는 제습용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의 조습 장치의 운전시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제습 로터의 흡착제에 흡착된다. 그리고, 제습된 공기는 공기 통로를 흘러나와 실내 등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습 로터에서는, 소정 부위가 상기 히터로 가열되고, 이 부위의 흡착제로부터 공기로 수분이 탈리(탈착)된다. 수분이 방출된 공기는, 열 교환기에 의해 냉각되고, 이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응축 후의 수분은 소정의 경로를 통해 제습용 탱크에 회수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3925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2344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각 특허문헌의 가습 수단과 제습 수단을 하나의 장치에 탑재하는 것이 고려된다. 즉, 장치 내의 공기 통로에 가습 로터와 제습 로터 모두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를 단순히 조합한 구성으로는 가습 로터에 수분을 부여하기 위한 가습용의 탱크와, 제습 로터로 포착한 수분을 회수하기 위한 제습용의 탱크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장치의 대형화나 복잡화를 초래함과 함께, 각각의 탱크에서의 물의 보급이나 배수도 번잡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공기의 제습과 가습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조습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제1 발명의 조습 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포착하여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수단(31)과, 상기 제습 수단(31)으로 포착한 물이 회수되는 물 용기(41)와, 상기 물 용기(41) 내에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성분을 발생시키는 물 정화 수단(51, 70, 80)과, 물 용기(41) 내에 회수된 물을 공기 중으로 부여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43)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정화 성분」이라 함은, 수분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이나 악취 물질을 분해 제거하는 효능이나, 수분 중에 생식하는 균류 등을 사멸시키는 살균의 효능을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제1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 수단(31)과,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 수단(43)이 설치된다. 조습 장치의 제습 운전시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제습 수단(31)에 포착된다. 수분이 포착되어 제습된 공기는 예를 들어, 실내 공간 등으로 공급된다. 또한, 제습 수단(31)으로 포착된 물은 물 용기(41)에 회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습 수단(31)으로부터 물 용기(41)에 회수된 물이 공기의 가습에 이용된다. 즉, 물 용기(41)에 회수된 물은 가습 수단(43)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가습된 공기는 실내 공간 등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습 수단(31)으로 포착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물 용기(41)와, 가습 수단(43)의 가습수를 저류하는 물 용기(41)가 겸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습 수단(31)으로 포착한 물을 가습 수단(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면, 가습수의 수질의 악화가 문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실내의 공기 중의 수분이 제습 수단(31)에 포착될 때에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이나 악취 물질(예를 들어, 암모니아나 포름알데히드 등)이나 균류 등이 물과 함께 물 용기(41)에 회수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수가 가습 수단(43)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부여되면, 실내 공간 등의 청정도가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물 정화 수단(51, 70, 80)이 설치된다. 즉, 물 정화 수단(51, 70, 80)은 소정의 정화 성분을 발생시키며, 이 정화 성분에 의해 물 용기(41)로 회수되는 물이 정화된다. 구체적으로, 물 용기(41)로 회수되는 수중에서는 정화 성분에 의해 유해 성분 등이 제거되거나, 혹은 정화 성분에 의해 살균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하여 정화된 물을 상기 가습 수단(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여도, 이 공기의 청정도가 유지된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방전부(5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방전」이라 함은, 스트리머 방전, 연면 방전, 코로나 방전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제2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상기 물 정화 수단으로서의 방전부(51)가 설치된다. 방전부(51)에서는, 전극 사이에서 소정의 방전이 행하여짐으로써,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라디칼, 오존, 고속 전자, 여기 분자 등)이 생성된다. 제습 수단(31)으로 포착되어 물 용기(41)에 회수되는 물은 상기 활성종에 의해 정화된다. 가습 운전에서는 이와 같이 정화된 물 용기(41) 내의 물이 가습 수단(43)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부여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이,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광촉매 부재(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3 발명에서는, 상기 물 정화 수단으로서의 광촉매 부재(70)가 설치된다. 광촉매 부재(70)에서는 소정의 광 환경 조건 하에 있어서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OH 라디칼이나 H2O2 등)이 발생한다. 제습 수단(31)으로 포착되어 물 용기(41)에 회수되는 물은 상기 활성종에 의해 정화된다. 가습 운전에서는, 이와 같이 정화된 물 용기(41) 내의 물이 가습 수단(43)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부여된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금속 부재(8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4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상기 물 정화 수단으로서의 금속 부재(80)가 설치된다. 금속 부재(80)에서는 회수되는 물과 반응함으로써 금속 이온(예를 들어, 구리 이온)이 석출된다. 이 금속 이온에 의해, 수중의 세균의 증식이 억제된다. 따라서, 가습 운전에서는 가습 수단(43)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세균 등이 방출되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5 발명은,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51, 70, 80)은 물 용기(41) 내의 물로 정화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5 발명에서는, 물 정화 수단(51, 70, 80)으로부터 물 용기(41) 내의 물로 정화 성분이 부여된다. 따라서, 물 용기(41) 내에서는 회수된 수중의 유해 물질 등의 제거나 살균이 직접적으로 행하여지므로, 물의 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제6 발명은,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내부를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됨과 함께, 유출 단부가 상기 물 용기(41) 내에 개구하는 도입 유로(6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 정화 수단(51, 70)은 상기 도입 유로(60)의 내부에 정화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6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공기가 흐르는 도입 유로(60)가 설치된다. 물 정화 수단(51, 70)이 도입 유로(60) 내로 정화 성분(활성종 등)을 부여하면, 이 정화 성분이 공기와 함께 도입 유로(60)를 흘러나와, 물 용기(41) 내로 공급된다. 물 용기(41) 내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공급된 정화 성분에 의해, 물의 정화가 행하여진다.
제7 발명은,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조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51, 70, 80)은 상기 물 용기(41)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7 발명에서는, 상기 물 정화 수단(51, 70, 80)이 물 용기(41)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정화 성분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물 용기(41) 내의 물과 정화 성분이 효율적으로 반응하므로 물의 정화 효율이 향상된다.
제8 발명은, 제1 내지 제7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 수단(21, 22, 23, 24, 25)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8 발명의 조습 장치에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 수단(21, 22, 23, 24, 25)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조습 장치는 제습 기능이나 가습 기능에 부가하여, 공기 정화 기능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이 조습 장치를 공기 정화의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 피처리 공기 중에는 다량의 유해 물질이나 악취 물질이 포함되게 된다. 따라서, 제습 수단(31)으로부터 물 용기(41)에 회수되는 수중에도, 다량의 유해 물질이나 세균이 포함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도, 물 용기(41)로 회수되는 물을 정화 성분에 의해 정화하고 있으므로, 이 물을 상기 가습 수단(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여도 이 공기의 청정도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습 수단(31)으로 포착한 물을 물 용기(41)에 회수하고, 물 용기(41) 내에 회수한 물을 가습 수단(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 수단(31)과 가습 수단(43)으로 물 용기(41)를 겸용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습 수단(31)으로 포착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 구조도 생략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가습 수단(43)으로 사용하는 가습수의 보급량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간단한 구성으로 가습 운전과 제습 운전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조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습 수단(31)으로부터 물 용기(41)로 회수되는 물을 물 정화 수단(51, 70, 80)에 의해 정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가습 수단(43)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부여되는 물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고, 가습수에 의해 실내 공간 등이 오염되어 버리는 것을 미연에 피할 수 있다.
특히 제2 발명이나 제3 발명에서는, 물 정화 수단(51, 70)으로 발생시킨 활성종을 이용함으로써, 물 용기(41)로 회수되는 수중의 유해 물질 등의 제거나, 살균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4 발명에서는, 금속 부재(80)로부터 석출시키는 금속 이온에 의해, 회수되는 수중의 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5 발명에서는, 물 용기(41) 내로 정화 성분을 부여함으로써, 물 용기(41) 내에서 유해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고, 또한 물 용기(41) 내에서의 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6 발명에서는, 물 정화 수단(51, 70)으로 발생시킨 정화 성분을 도입 유로(60)를 통해 공기와 함께 물 용기(41) 내로 보내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 용기(41) 내의 수중으로 다량의 정화 성분을 공급할 수 있고, 물 용기(41) 내의 물을 정화 성분에 의해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물 정화 수단(51, 70)을 물 용기(41)의 외부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물 정화 수단(51, 70)의 설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7 발명에 따르면, 물 정화 수단(51, 70, 80)을 물 용기(41) 내에 배치함으로써, 물 정화 수단(51, 70, 80)으로부터 발생한 정화 성분을 확실히 물 용기(41)의 수중으로 보낼 수 있으므로, 물 용기(41)의 물을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제8 발명에 따르면, 공기의 제습이나 가습에 부가하여, 공기를 청정화할 수 있는 조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물 탱크를 케이싱으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조습 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의 종단면도.
도 3은 조습 장치의 전방측 근방의 내부를 나타낸 개략의 종단면도.
도 4는 제습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가습 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물 정화 유닛의 개략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변형예 2의 물 정화 유닛의 개략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변형예 3의 물 정화 유닛의 개략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10)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운전과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운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조습 장치(10)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공기 정화 수단을 갖고 있다.
<조습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습 장치(10)는 케이싱(11)을 갖고 있다. 케이싱(11)은 전후로 편평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11)에는 그 전방측(도 1에 있어서의 좌측 근방)에 전방면 패널(11a)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면 패널(11a)에는 공기를 케이싱(11) 내에 도입하기 위한 흡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도 2를 참조). 흡입구(12)는 예를 들어, 전방면 패널(11a)의 좌우 측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11)에는 그 상부 후방 근방의 부위에 케이싱(11) 내의 공기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구(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2)로부터 분출구(13)에 걸쳐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 통로(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통로(14)에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해 차례로, 프리필터(21), 이온화부(22), 플리츠 필터(23), 탈취 부재(24), 제습 유닛(30) 및 가습 유닛(40) 및 원심 팬(2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심 팬(20)의 상방이며 또한 분출구(13)의 하측에는 반송 통로(15)의 유입 단부가 개구하고 있다. 즉, 반송 통로(15)에는 공기 통로(14)로부터 분출구(13)로 흘러나오는 공기의 일부가 분류된다. 반송 통로(15)는 상기 공기 통로(14)와 구획되도록 전후로 연장되는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반송 통로(15)의 유출 단부는 상기 프리필터(21)의 상류측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반송 통로(15)의 유출 단부 근방에는 공기 정화용 방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필터(21)의 전방측에는 상기 반송 통로(15)와 연통하는 안내 통로(16)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통로(16)는 예를 들어, 상기 전방면 패널(11a)의 배면측에 형성되는 구획 부재 등에 의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안내 통로(16)는 반송 통로(15)를 흘러나온 공기를 프리필터(21)의 폭 방향의 중간부까지 안내하고, 이 공기를 좌우 측방으로 흘러나오게 하여 프리필터(21)측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3의 화살표를 참조).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조습 장치(10)는 공기 통로(14)의 유출측의 공기의 일부를 상기 공기 정화용 방전부(25)를 통해 공기 통로(14)의 유입측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1)의 전방면 패널(11a)측에는 실내의 습도를 검출하기 위한 습도 센서(19)가 설치되어 있다. 습도 센서(19)는, 실내 공기의 절대 습도 또는 상대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11) 내에는 습도 센서(19)의 검출 습도에 기초하여,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제습 운전과 가습 운전을 전환하는 제어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 정화 수단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습 장치(10)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 수단으로서, 상술한 프리필터(21), 이온화부(22), 플리츠 필터(23), 탈취 부재(24) 및 공기 정화용 방전부(25)를 갖고 있다.
프리필터(21)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비교적 큰 먼지를 물리적으로 포착하는 집진용의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이온화부(22)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먼지 하전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온화부(22)에는 예를 들어, 선 형상의 전극과, 이 선 형상의 전극에 대향하는 판 형상의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온화부(22)에서는 양자의 전극에 전원(18)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양쪽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행하여진다. 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가 소정의 전하(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전하)로 대전된다.
플리츠 필터(23)는, 물결판 형상의 정전 필터를 구성하고 있다. 즉, 플리츠 필터(23)에서는 상기 이온화부(22)에서 대전된 먼지가 전기적으로 유인되어 포착된다. 또한, 플리츠 필터(23)에 광촉매 등의 탈취용의 재료를 담지시켜도 된다.
탈취 부재(24)는, 벌집 구조의 기재의 표면에 공기를 탈취하기 위한 탈취제가 담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탈취제는 공기 중의 피처리 성분(악취 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제나 상기 피처리 성분을 산화 분해하기 위한 촉매 등이 사용된다.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에서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스트리머 방전이 행하여진다.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에는 막대 형상 혹은 선 형상의 전극(26)과, 평판 형상의 전극(27)이 설치되어 있다. 양자의 전극(26, 27)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전원(18)으로부터 양쪽 전극(26, 27)에 전압이 인가되면, 막대 형상의 전극(26)의 선단으로부터 평판 형상의 전극(27)을 향해 스트리머 방전이 발생된다. 이 스트리머 방전에 의해, 공기 중에는 활성종(라디칼, 오존, 고속 전자, 여기 분자 등)이 발생한다. 이 활성종이 공기 중의 피처리 성분과 반응함으로써, 이 피처리 성분이 산화 분해되어 제거된다.
<제습 유닛의 구성>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습 유닛(30)은 제습 로터(31)와 커버 부재(32)와 순환 팬(33)과 히터(34)를 구비하고 있다.
제습 로터(31)는 공기 중의 수분을 포착하여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 수단이며, 소위 회전식의 흡착 로터를 구성하고 있다. 즉, 제습 로터(31)는 전후로 공기가 유통 가능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심의 회전축(31a)이 소정의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회전축(31a)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습 로터(31)는 벌집 구조의 기재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제로서는 입상의 제올라이트 등, 수분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한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흡착제를 기재에 담지시키기 위한 바인더로서는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스티렌, ABS 수지(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합성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커버 부재(32)는 그 내부에 상기 제습 로터(31)를 유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32)는 전후로 편평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 근방에 원형 개구(32a)가 형성되어 있다. 원형 개구(32a)는 커버 부재(32)를 전후로 관통하고 있고, 그 내부에 상기 제습 로터(31)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통로(14)를 흐르는 공기는 원형 개구(32a)를 통해 제습 로터(31)를 통과한다.
또한, 커버 부재(32)에는 제습 로터(31)의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한 공기(재생용 공기)가 흐르는 순환 통로(3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부재(32)에는 제습 로터(31)의 외부 주위에 상기 순환 통로(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순환 통로(35)에 걸치도록 상기 순환 팬(33) 및 히터(34)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커버 부재(32)에서는 제1 내지 제4까지의 커버 통로부(35a, 35b, 35c, 35d) 및 순환 팬(33)이 폐쇄 루프 형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기 순환 통로(35)가 구성되어 있다.
순환 팬(33)과 제1 커버 통로부(35a)는 커버 부재(32)의 상단부 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커버 통로부(35a)는 그 유입 단부가 순환 팬(33)의 분출측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1 커버 통로부(35a)의 유출 단부에는 상기 히터(34)가 수납되어 있다. 즉, 히터(34)는 제습 로터(31)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도 2를 참조). 히터(34)는 순환 통로(35)에 있어서의 제습 로터(31)의 상류측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2 커버 통로부(35b)는 제습 로터(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커버 통로부(35a)와 대략 반대측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커버 통로부(35a)와 제2 커버 통로부(35b)는 제습 로터(31)를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커버 통로부(35b)는 그 외형이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습 로터(31)의 측면의 약 6분의 1 정도의 부위를 덮고 있다.
제3 커버 통로부(35c)는 커버 부재(32)에 있어서, 제습 로터(31)의 하측 대략 절반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커버 통로부(35c)의 유입 단부는 제2 커버 통로부(35b)의 하단부와 접속하고 있다. 또한, 제3 커버 통로부(35c)의 유출 단부는 제4 커버 통로부(35d)를 통해 순환 팬(33)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있다.
제3 커버 통로부(35c)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복수의 연통 구멍부(3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연통 구멍부(37)는 그 통로 단면이 상하로 세로로 긴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공기 통로(14)를 흐르는 공기(피처리 공기)가 내부를 유통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연통 구멍부(37)는 제습 로터(31)의 직경 방향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는 상기한 재생용 공기와 피처리 공기가 열 교환 함으로써, 재생용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된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또한,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 응축한 물은 도시하지 않은 유로를 통해 후술하는 물 탱크(41)로 회수된다.
<가습 유닛의 구성>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은 물을 저류하기 위한 물 탱크(41)와, 물 탱크(41)의 물을 퍼올리는 수차(42)와, 수차(42)에 의해 퍼올려진 물을 공기 중으로 부여하는 가습 수단을 구성하는 가습 로터(43)와, 가습 로터(4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44)를 구비하고 있다.
물 탱크(41)는 상측이 개구하는 가로로 긴 물 용기를 구성하고 있다. 물 탱크(41)는 케이싱(11) 내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고, 케이싱(11)의 인출구(11b)를 통해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1을 참조). 이에 의해, 유저 등은 물 탱크(41) 내에 가습용의 물을 적절히 보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물 탱크(41)에는 제습 로터(31)에 포착된 물이 회수된다. 따라서, 물 탱크(41)로의 가습수의 보충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물 탱크(41)의 저면에는 수차(42)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베어링 부재(41a)가 세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수차(42)는 전후로 편평한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축심부에 회전축(42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42a)은 상기 베어링 부재(41a)의 상단부에 피봇 지지되어 있다. 수차(42)는 물 탱크(41)의 가습수 중에 일부(하단부를 포함하는 소정 부위)가 침지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수차(42)에는 그 후방측의 측면[상기 가습 로터(43)에 면하는 측면]의 축 주위에 복수의 오목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42b)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확대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개구를 갖고 있다. 또한, 오목부(42b)의 개구의 둘레 방향의 폭은 상기 오목부(42b)의 내부 공간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2b)의 직경 방향 내측의 내벽은 개구 단부를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축심측으로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각 오목부(42b)는 수차(42)의 직경 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회전 동작 중인 수차(42)에서는 오목부(42b)가 물 탱크(41)의 수중에 침지되는 위치와, 수중으로부터 인출되는 위치를 교대로 변위한다.
또한, 수차(42)의 후방측의 측면에는 그 축심 근방의 부위에 기어(42c)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42c)는 후술하는 가습 로터(43)의 종동 기어(43a)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습 로터(43)는 환형의 종동 기어(43a)와, 이 종동 기어(43a)에 내측 끼움하여 유지되는 원판 형상의 흡습 부재(43b)를 갖고 있다. 흡습 부재(43b)는 흡수성을 갖는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습 로터(43)는 상기 물 탱크(41)의 만수시의 수위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어서,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또한, 가습 로터(43)는 그 하단부를 포함하는 소정 부위가 상기 수차(42)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가습 로터(43)는 수차(42)의 오목부(42b)와 축 방향으로 일치하는 부위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가습 로터(43)에는 수차(42)의 오목부(42b)에 의해 퍼올려진 가습수가 흡습 부재(43b)에 흡수된다.
구동 모터(44)는 구동 기어(44a)를 갖고 있다. 구동 기어(44a)는 피니언(45)을 개재하여 가습 로터(43)의 종동 기어(43a)와 맞물려 있다. 즉, 구동 모터(44)가 구동 기어(44a)를 회전 구동시키면, 피니언(45) 및 종동 기어(43a)가 회전하고, 또한 종동 기어(43a)와 맞물리는 수차(42)가 회전한다.
<물 정화 유닛의 구성>
조습 장치(10)는 상술한 제습 로터(31)로 포착되어 물 탱크(41)로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물 정화 유닛(50)을 더 구비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정화 유닛(50)은 물 정화 수단으로서의 물 정화용 방전부(51)와, 도입 유로를 구성하는 배관 유닛(60)을 구비하고 있다.
배관 유닛(60)은 유입측 배관(61)과 방전 유닛 수용부(62)와 유출측 배관(63)이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유입측 배관(61)은 그 유입 단부가 상기 공기 통로(14)에 개구하고 있고, 그 유출 단부가 방전 유닛 수용부(62) 내에 연통하고 있다. 유입측 배관(61)은 수평한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유출측 배관(63)은 그 유입 단부가 상기 방전 유닛 수용부(62)에 연통하고, 그 유출 단부가 물 탱크(41) 내에 개구하고 있다. 유출측 배관(63)은 연직인 자세로 되면서, 그 유출 단부가 물 탱크(41) 내의 수위보다도 낮아지도록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 유닛(60)에서는 유입측 배관(61), 방전 유닛 수용부(62) 및 유출측 배관(63)의 각 내부 공간이 차례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입 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관 유닛(60)은 공기 통로(14)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분기하여 도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 정화용 방전부(51)는 방전 유닛 수용부(6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물 정화용 방전부(51)는 방전에 수반하여 배관 유닛(60) 내에서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방전부를 구성하고 있다. 물 정화용 방전부(51)는 막대 형상 전극(52)과 평판 전극(53)을 갖고 있다. 막대 형상 전극(52)은 기판(52a)에 지지판(52b)을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막대 형상 전극(52)은 가늘고 긴 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략 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고 있다. 평판 전극(53)은 막대 형상 전극(52)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막대 형상 전극(52)과 평판 전극(53)은 서로 평행한 자세로 되어 있고, 막대 형상 전극(52)의 선단이 평판 전극(53)과 대향하고 있다.
막대 형상 전극(52)은 상기 전원(18)의 정극측에 접속되고, 평판 전극(53)은 상기 전원(18)의 부극측(또는 접지측)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18)으로부터 양자의 전극(52, 53)에 전위차가 부여되면, 막대 형상 전극(52)의 선단으로부터 평판 전극(53)을 향해 스트리머 방전이 발생한다. 그 결과, 물 정화용 방전부(51)에서는 스트리머 방전에 수반하는 활성종(라디칼, 오존, 고속 전자, 여기 분자 등)이 발생하고, 이 활성종이 공기 중으로 부여된다. 또한, 전원(18)으로부터 물 정화용 방전부(51)에는 직류의 고압 전압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물 정화용 방전부(51)의 방전 전류가 일정해지는 소위 정전류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 동작-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10)는 실내를 제습하는 제습 운전과,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 운전을 전환하여 행한다. 또한, 제습 운전이나 가습 운전에서는 상술한 각종의 공기 정화 수단에 의해 공기의 정화가 동시에 행하여진다.
<제습 운전>
제습 운전에서는 제습 로터(31)가 회전함과 함께, 히터(34)가 통전 상태로 된다. 한편, 가습 로터(43)는 회전 구동되지 않고, 따라서 가습 로터(43)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수차(42)도 정지 상태로 된다. 또한, 원심 팬(20)이 운전됨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12)를 통해 공기 통로(14) 내에 도입되고, 순환 팬(33)이 운전됨으로써 순환 통로(35) 내를 재생용 공기가 순환한다. 또한, 전원(18)으로부터는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의 전극(26, 27)에 고압의 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전원(18)으로부터는 이온화부(22)의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통로(14)에 유입된 공기는, 프리필터(21)를 통과하여 먼지가 포착된 후, 이온화부(22)를 통과한다. 이온화부(22)에서는 전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행하여지고 있어, 공기 중의 먼지가 대전된다. 이온화부(22)를 흘러나온 공기는 플리츠 필터(23)를 통과한다. 플리츠 필터(23)에서는 대전된 먼지가 전기적으로 유인되어 포착된다. 플리츠 필터(23)를 흘러나온 공기는 탈취 부재(24)를 통과한다. 탈취 부재(24)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피처리 성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거나, 혹은 촉매에 의해 산화 분해된다.
그런데, 공기 통로(14)의 유출 단부에서는 원심 팬(20)의 분출측(양압측)의 공기의 일부가 반송 통로(15)에 유입되어 있다. 반송 통로(15)를 흐르는 공기는 전방으로 보내져 공기 정화용 방전부(25)를 흐른다.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전극(26, 27) 사이에서 스트리머 방전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 결과,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에서는 스트리머 방전에 수반하여 상술한 활성종이 발생한다. 이 활성종을 포함한 공기는 반송 통로(15) 및 안내 통로(16)를 통해, 프리필터(21)의 상류측을 흐르는 공기와 합류한다. 따라서, 공기 통로(14)에서는 그 유입 단부로부터 유출 단부에 걸쳐 상기 활성종이 흐르게 되고, 공기 중의 피처리 성분과 활성종의 반응 시간이 확보되어 탈취 성능이 향상된다.
제습 운전시에는 탈취 부재(24)를 통과한 공기가, 제습 로터(31)를 통과한다. 제습 로터(31)에서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 공기가 제습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청정화 및 제습된 공기는 분출구(1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순차 회전하는 제습 로터(31)에서는 공기의 수분이 흡착된 부위(흡습 부위)가 순환 통로(35) 내에 면하는 위치까지 변위된다. 여기서, 순환 통로(35)에서는 순환 팬(33)으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제1 커버 통로부(35a)를 흘러나와 히터(34)에 가열된다. 그리고, 가열 후의 공기가 제습 로터(31)의 상기 흡습 부위를통과한다. 그 결과, 흡습 부위의 흡착제가 가열되고,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탈착)한다. 제습 로터(31)의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되고, 고습으로 된 공기는 제2 커버 통로부(35b)를 통해 제3 커버 통로부(35c)에 유입된다.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는 공기 통로(14)측의 공기가 각 연통 구멍부(37)를 유통하고 있다. 따라서, 순환 통로(35)측의 재생용 공기는 연통 구멍부(37)의 측벽을 통해 공기 통로(14)측의 피처리 공기와 열 교환한다. 여기서, 재생용 공기는 피처리 공기와 비교하여 고온이며, 또한 포화 상태에 가까운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는 재생용 공기가 냉각됨과 함께, 이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가 응축한다.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 응축한 물은 자중에 의해 소정의 유로를 흘러내려 물 탱크(41)에 회수된다.
제3 커버 통로부(35c)에서 저습으로 된 공기는, 제4 커버 통로부(35d)를 통해 순환 팬(33)에 흡입되고, 다시 제1 커버 통로부(35a)로 보내져 제습 로터(31)의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된다.
<가습 운전>
가습 운전에서는 구동 모터(44)에 의해 가습 로터(43) 및 수차(42)가 회전 구동된다. 한편, 제습 로터(31)는 회전 구동되지 않고, 히터(34) 및 순환 팬(33)은 정지 상태로 된다. 또한, 원심 팬(20)이 운전됨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흡입구(12)를 통해 공기 통로(14) 내에 도입됨과 함께, 전원(18)으로부터는 공기 정화용 방전부(25) 및 이온화부(22)의 각 전극으로 전압이 인가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통로(14)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 운전과 마찬가지로, 각종의 공기 정화 수단에 의해 청정화된다. 청정화된 공기는, 실질적으로 제습 동작을 행하지 않는 제습 로터(31)를 통과한 후, 가습 로터(43)로 유입된다.
여기서, 가습 유닛(40)에서는, 수차(42)가 회전함으로써, 물 탱크(41) 내의 가습수가 가습 로터(43)의 흡습 부재(43b)에 적절히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수차(42)에서는 물 탱크(41)에 저류된 가습수 중에 오목부(42b)가 침지된다. 이에 의해, 가습수 중에서는, 오목부(42b) 내에 가습수가 침입하여 유지된다. 가습수를 유지한 상태의 오목부(42b)는 가습수 중으로부터 끌어올려져 더 상방으로 변위된다. 이 오목부(42b)가 가습 로터(43)에 서서히 근접해 가면, 오목부(42b) 내에 유지된 가습수도 자중에 의해 서서히 오목부(42b) 내로부터 흘러나온다. 그리고, 오목부(42b)가 최상단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오목부(42b) 내의 가습수가 대략 전량 흘러나오게 된다.
오목부(42b)로부터 흘러나온 가습수는 상기 오목부(42b)와 근접하는 가습 로터(43)와 접촉하고, 흡습 부재(43b)에 흡수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가습 유닛(40)에서는 가습 로터(43)에 연속적으로 가습수가 공급된다.
가습 로터(43)에서는 수분이 보급된 부위를 공기가 유통한다. 그 결과, 흡습 부재(43b)에 포함된 가습수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고, 이에 의해 공기의 가습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청정화 및 가습된 공기는 분출구(13)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그 밖의 운전 동작>
상기 가습 운전이나 제습 운전에서는 전원(18)으로부터 이온화부(22)나 공기 정화용 방전부(25)로의 전압의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공기의 정화를 적극적으로 행하지 않는 운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습 유닛(30)의 제습 동작이나 가습 유닛(40)의 가습 동작을 실질적으로 정지시키는 한편, 이온화부(22)나 공기 정화용 방전부(25)에서 상기한 방전을 행함으로써, 공기의 조습을 행하지 않고 공기의 정화를 행하는 공기 청정 운전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 운전 모드>
조습 장치(10)에서는 상술한 제습 운전과 가습 운전을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자동 운전 모드도 가능해지고 있다. 이 자동 운전 모드에서는 습도 센서(19)로 검출한 실내 공기의 습도에 기초하여 제습 운전과 가습 운전이 자동적으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자동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습도 센서(19)로 검출한 습도가 목표 습도(예를 들어, 유저가 설정하는 설정 습도)보다도 높은 경우, 상기 제습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제습 유닛(30)에 의해 공기가 제습되고, 실내의 습도가 목표 습도로 수렴해 간다. 또한, 이때, 제습 로터(31)로 포착된 물은 물 탱크(41)로 회수된다.
한편, 자동 운전 모드시에 있어서, 습도 센서(19)로 검출한 습도가 목표 습도 이하인 경우, 상기 가습 운전이 행하여진다.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 유닛(40)에 의해 공기가 가습되고, 실내의 습도가 목표 습도로 수렴해 간다.
여기서, 이 가습 운전시에는 상기 제습 로터(31)로 포착되어 물 탱크(41)로 회수된 물이 수차(42)를 통해 가습 로터(43)로 공급된다. 즉, 이 조습 장치(10)에서는 제습 운전시에 물 탱크(41)로 회수된 물이, 가습 운전시의 가습수로서 이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물 탱크(41)는 제습 운전시에 제습 로터(31)로 포착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물 용기와, 가습 운전시에 가습수로서 이용되는 물을 회수하기 위한 물 용기 모두에 겸용된다.
<물 정화 동작>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제습 로터(31)로 포착한 물을 가습 로터(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는 경우, 가습 로터(43)로부터 공기로 부여하는 물의 수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습 운전시에는 제습 로터(31)의 흡착제에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이나 악취 물질(예를 들어,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담배 냄새 등)이 흡착되는 일이 있다. 따라서, 흡착제로부터 탈리한 수분과 함께 이들의 유해 물질 등이 물 탱크(41)에 회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습 로터(31)에 포착된 공기 중의 균류가 물 탱크(41)에 회수될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이, 제습 로터(31)로 포착한 물의 수질은 반드시 청정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물을 가습 운전시의 공기의 가습수로서 이용하면, 실내의 청정도가 손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조습 장치(10)에서는 제습 로터(31)로 포착하여 물 탱크(41)로 회수되는 물을 상기 물 정화 유닛(50)에 의해 정화하는 물 정화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습 운전으로부터 가습 운전으로 운전이 전환될 때에는, 배관 유닛(60) 내로 공기가 도입된다(도 6을 참조). 또한, 전원(18)으로부터 물 정화용 방전부(51)로 전압이 인가된다. 그 결과, 물 정화용 방전부(51)에서는, 상기 스트리머 방전이 행하여지고, 방전 유닛 수용부(62) 내에서 활성종이 발생한다. 이 활성종은 방전 유닛 수용부(62)를 흐르는 공기와 함께 유출측 배관(63)으로 흘러나온다. 그 결과, 물 탱크(41) 내에는 활성종을 포함하는 공기가 기포로 되어 수중으로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공기 중의 활성종이 물과 접촉하고, 수중의 유해 물질 등이 제거됨과 함께, 수중의 살균이 행하여진다. 이상과 같이, 물 정화 동작에서는 물 정화용 방전부(51)에서 발생한 활성종이 물 탱크(41) 내로 부여되므로, 물 탱크(41) 내의 물의 청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그 후에 상기 가습 운전이 행하여져도 가습 로터(43)로부터는 청정한 물이 공기로 부여된다. 따라서, 가습 운전시에는 가습수에 의해 실내의 청정도가 손상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실시 형태의 효과-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습 로터(31)로 포착한 물을 물 탱크(41)에 회수하고, 이 물 탱크(41) 내에 회수한 물을 가습 로터(43)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습 로터(31)로 포착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물 용기와, 가습 로터(43)로 공급하는 가습수를 저류하기 위한 물 용기를 겸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양쪽 로터(31, 43)에 대응하는 물 용기를 따로따로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의 삭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습 로터(31)에서 회수한 물을 가습에 이용함으로써, 제습 로터(31)에서 회수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구조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가습 로터(43)의 가습수의 보급량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간단한 장치 구조로 하면서, 제습 운전과 가습 운전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는 조습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습 운전시에 물 탱크(41)에 회수한 물을 물 정화용 방전부(51)에 의해 정화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가습 운전시에 있어서, 오염된 물이 공기 중으로 부여되어 실내의 청정도가 손상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히 피할 수 있다. 또한, 이 물 정화용 방전부(51)에서는 전력 소비가 비교적 작게 활성종을 고밀도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리머 방전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조습 장치(10)의 에너지 절약성을 확보하면서, 물 탱크(41)에 회수되는 물을 고효율로 정화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물 탱크(41)로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는 물 정화 수단으로서, 이하와 같은 각 변형예의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 1>
도 6에 도시한 물 정화용 방전부(51)에서는 스트리머 방전을 행함으로써, 공기 중으로 활성종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물 정화용 방전부(51)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연면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 등의 다른 방전에 의해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물 정화용 방전부(51)를 물 탱크(41) 내에 설치하고, 방전에 수반하는 활성종을 물 탱크(41) 내에서 발생시켜도 된다.
<변형예 2>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정화 수단으로서 광촉매 부재(70)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광촉매 부재(70)는, 기재의 표면에 예를 들어 이산화티타늄 등의 광촉매가 담지되어 구성되어 있다. 광촉매 부재(70)는 물 탱크(41) 내에 배치되어 수중에 침지되어 있다. 또한, 변형예 2에서는 광촉매 부재(70)와 대향하도록 자외선 램프(71)가 설치되어 있다. 자외선 램프(71)는 광촉매 부재(7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물 탱크(41)의 커버(72)의 하면에 유지되어 있다.
변형예 2에서는, 자외선 램프(71)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 환경 하에 있어서, 광촉매 부재(70)로부터 OH 라디칼이나 H2O2 등의 활성종(정화 성분)이 발생한다. 이 활성종에 의해, 물 탱크(41)의 수중의 유해 물질 등이 분해 제거되고, 또한 수중의 살균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이 변형예 2에 있어서도 제습 로터(31)로부터 포착되어 물 탱크(41)에 회수된 물을 확실히 정화할 수 있으므로, 이 물을 가습 로터(43)의 가습수로서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촉매 부재(70)를 상기 실시 형태의 배관 유닛(60) 내에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광촉매 부재(70)로부터 발생한 활성종을 공기와 함께 물 탱크(41) 내로 보냄으로써, 물 탱크(41) 내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변형예 3>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정화 수단으로서 소정의 금속 이온(정화 성분)을 발생시키는 금속 부재(80)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예에서는, 금속 부재(80)가 구리 이온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금속 부재(80)는 물 탱크(41) 내에 배치되어 수중에 침지되어 있다.
변형예 3에서는, 금속 부재(80)로부터 물 탱크(41) 내의 수중으로 구리 이온이 석출된다. 이 구리 이온에 의해, 수중에서의 세균의 번식이 억제/저해되어, 물의 정화가 행하여진다. 또한, 금속 부재(80)로서, 다른 이온(예를 들어, 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금속 부재(80) 대신에,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다른 기능 재료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 기능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카테킨 등의 식물 유래 정유(정화 성분)를 발생시키는 재료를 들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식물 유래 정유를 용해성의 마이크로 캡슐 내에 주입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나 각 변형예에 관한 발명을 적절히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혹은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수단과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습 수단으로 포착한 물을 물 용기 내에 회수하고, 이 물을 가습 수단에 의한 공기의 가습에 이용하는 조습 장치에 대하여 유용하다.
31: 제습 로터(제습 수단)
41: 물 탱크(물 용기)
43: 가습 로터(가습 수단)
51: 물 정화용 방전부(방전부, 물 정화 수단)
60: 배관 유닛(도입 유로)
70: 광촉매 부재(물 정화 수단)
80: 금속 부재(물 정화 수단)

Claims (8)

  1. 공기 중의 수분을 포착하여 공기를 제습하는 제습 수단과,
    상기 제습 수단으로 포착한 물이 회수되는 물 용기와,
    상기 물 용기 내에 회수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성분을 발생시키는 물 정화 수단과,
    상기 물 용기 내에 회수된 물을 공기 중으로 부여하여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방전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방전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활성종을 발생시키는 광촉매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상기 정화 성분으로서의 금속 이온을 발생시키는 금속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물 용기 내의 물에 정화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를 공기가 흐르도록 구성됨과 함께, 유출 단부가 상기 물 용기 내에 개구하는 도입 유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 정화 수단은 상기 도입 유로의 내부에 상기 정화 성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정화 수단은 상기 물 용기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공기 정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KR1020107013559A 2007-12-18 2008-12-09 조습 장치 KR20100095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5621A JP2009145022A (ja) 2007-12-18 2007-12-18 調湿装置
JPJP-P-2007-325621 2007-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450A true KR20100095450A (ko) 2010-08-30

Family

ID=40795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559A KR20100095450A (ko) 2007-12-18 2008-12-09 조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26863A1 (ko)
JP (1) JP2009145022A (ko)
KR (1) KR20100095450A (ko)
CN (1) CN101903708B (ko)
WO (1) WO2009078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2971B2 (ja) * 2010-07-26 2012-08-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
JP5617484B2 (ja) * 2010-09-27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水溶性成分除去装置
WO2012125813A1 (en) * 2011-03-16 2012-09-20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Humidifier with ultraviolet disinfection
KR101370259B1 (ko) * 2011-08-02 2014-03-0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CN102705916B (zh) * 2012-06-28 2014-04-09 张晓卉 库房专用净化消毒加湿除湿恒温一体机
CN102788390B (zh) * 2012-07-20 2014-05-21 李玉营 一种空气加湿和吸收空气水分一体机
JP6271028B2 (ja) * 2014-10-03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5737311B (zh) * 2016-03-17 2019-01-25 水爱电器科技(上海)有限公司 湿度增加装置
WO2019039446A1 (ja) * 2017-08-22 2019-02-28 水谷 慎吾 水生成装置
JP6334792B1 (ja) * 2017-08-22 2018-05-30 水谷 慎吾 水生成装置
CN108434947B (zh) * 2018-03-15 2020-12-04 浙江祥泰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废气净化设备
JP7066001B2 (ja) 2018-10-29 2022-05-12 京セラ株式会社 計測装置
JP7382846B2 (ja) 2020-02-17 2023-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9801A (en) * 1967-10-09 1969-11-25 Shohachiro Yamasaki Rotary transmitting apparatus of purified and humidified air
JPS5341043A (en) * 1976-09-25 1978-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humidifier-humidifier
JPS5358149A (en) * 1976-11-04 1978-05-25 Hitachi Ltd Moisture conditioner
US4145384A (en) * 1977-07-13 1979-03-20 Carrier Corporation Humidifier
JPS60128241U (ja) * 1984-02-07 1985-08-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オゾナイザ付加湿器
JPS61285327A (ja) * 1985-06-13 1986-12-16 Matsushita Seiko Co Ltd 除・加湿装置
JPH0293629U (ko) * 1989-01-10 1990-07-25
JP3001604B2 (ja) * 1990-03-31 2000-01-24 株式会社シェブレストジャパン 空気清浄気化静電気防止装置
JPH05272787A (ja) * 1991-03-12 1993-10-19 Nippon Zeusu Kogyo Kk 空気加湿装置
JPH04340039A (ja) * 1991-05-16 1992-11-26 Matsushita Seiko Co Ltd 超音波加湿機
CN2135123Y (zh) * 1992-08-04 1993-06-02 彭元成 空气滤清及湿度保持器
JPH10246474A (ja) * 1997-03-05 1998-09-14 Berubitsuku:Kk 加湿器
JPH11248203A (ja) * 1998-02-26 1999-09-14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53421A (ja) * 1999-11-29 2001-06-08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1153412A (ja) * 1999-11-29 2001-06-08 Lf Laboratory Kk 超音波加湿器
JP2001221470A (ja) * 2000-02-09 2001-08-17 Denso Corp 加湿方法および加湿装置
JP4507145B2 (ja) * 2000-07-13 2010-07-21 ユーキャン株式会社 超音波加湿器の制御方法
CN2446432Y (zh) * 2000-08-08 2001-09-05 亚翔工程股份有限公司 空调箱的水洗及加湿设备
CN2506907Y (zh) * 2000-12-22 2002-08-21 顺德市格兰仕电器实业有限公司 自动调湿空调器
AUPR861401A0 (en) * 2001-11-02 2001-11-29 Ozone Manufacturing Pty Ltd Ice machine purifier
US6758345B2 (en) * 2002-02-08 2004-07-06 Aquatune, Inc. Treatment media for water purification
JP4340039B2 (ja) * 2002-03-20 2009-10-07 パナソニック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複写機及び複合機
JP3799605B2 (ja) * 2002-04-01 2006-07-19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3799606B2 (ja) * 2002-05-01 2006-07-19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4237993B2 (ja) * 2002-09-11 2009-03-11 京セラ株式会社 放電用電極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オゾン発生器
JP2005147473A (ja) * 2003-11-13 2005-06-09 Hitachi Hometec Ltd 加湿器
JP2005224457A (ja) * 2004-02-16 2005-08-25 Daikin Ind Ltd オゾン脱臭機構
JP2005282980A (ja) * 2004-03-30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湿装置
JP2006220390A (ja) * 2005-02-14 2006-08-24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100707440B1 (ko) * 2005-03-08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JP2006281025A (ja) * 2005-03-31 2006-10-19 I Quark Kk 空気清浄器
JP2007278632A (ja) * 2006-04-10 2007-10-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加湿機
JP4816267B2 (ja) * 2006-06-09 2011-11-16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湿度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8141A1 (ja) 2009-06-25
CN101903708B (zh) 2013-11-20
CN101903708A (zh) 2010-12-01
US20110226863A1 (en) 2011-09-22
JP2009145022A (ja)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5450A (ko) 조습 장치
US20100258644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4737338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JP4023512B1 (ja) 液処理装置、空気調和装置、及び加湿器
KR101347405B1 (ko) 액 처리용 방전유닛, 조습장치, 및 급탕기
JP4656138B2 (ja) 空気処理装置
JP4687081B2 (ja) 空気調和機
JP2009133505A (ja) 調湿装置
JP2002286250A (ja)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JP4737330B2 (ja) 液処理用放電ユニット、調湿装置、及び給湯器
JP4656137B2 (ja) 空気浄化装置
JP2010025384A (ja) 調湿装置
JP2020141887A (ja) 脱臭装置及び空気清浄機
US20110114740A1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2012037170A (ja) 加湿機能付脱臭装置
JP2002253656A (ja) 空気清浄機
JP4985353B2 (ja) 調湿装置
JP2009198067A (ja) 加湿装置
JP2009133502A (ja) 調湿装置
JP2009154118A (ja) 調湿装置
WO2015098127A1 (ja) 空気清浄ユニット及び空気処理装置
JP5245469B2 (ja) 調湿装置
JP2010121850A (ja) 調湿装置
JP5239575B2 (ja) 調湿装置
JP2014124494A (ja) 放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