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1495A -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 - Google Patents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1495A
KR20100061495A KR1020107006017A KR20107006017A KR20100061495A KR 20100061495 A KR20100061495 A KR 20100061495A KR 1020107006017 A KR1020107006017 A KR 1020107006017A KR 20107006017 A KR20107006017 A KR 20107006017A KR 20100061495 A KR20100061495 A KR 2010006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suction
fiber material
pipe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볼프강 바우어
악첼 프라트
Original Assignee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6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1Spinning by false-twisting
    • D01H1/115Spinning by false-twist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1/00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 D01H11/005Arrangements for confining or removing dust, fly or the like with blowing and/or suct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4/00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 D01H4/02Open-end spinning machines or arrangements for imparting twist to independently moving fibres separated from slivers; Piecing arrangements therefor; Covering endless core threads with fibres by open-end spinning techniques imparting twist by a fluid, e.g. air vortex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loose fibres, e.g. in high-p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인장프레임(9)과 루프 형성기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섬유재료의 전달장치가 설명된다. 섬유재료의 전달장치는, 이송방향(v)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각각 한 개의 유입단부(29, 37)와 한 개의 유출단부(28, 38)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니트들은 각 한 개의 비틀림부재(16a, 16b, 16c, 35a, 35b)와 비틀림부재에 연결된 한 개의 이송파이프(17a, 17b, 17c, 36a, 36b)로 구성되며, 전방에 위치한 이송유니트의 유출단부(28, 37)와 연속해서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유입단부(29, 38)사이에 공기제거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방상태의 간격(27a, 27b, 39)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간격을 향해 개방된 흡인장치(31a, 31b, 40)가 상기 간격(27a, 27b, 39)의 영역에 배열된다.

Description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Apparatus for transporting fibre material between a drafting device and a loop-forming machine and a circular knitting machine equipped with said apparatu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서두에 제시된 형태를 가지는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태의 장치들이 특히, 소위 스핀 편직기(spin-knitting machine)과 관련하여 공지되고, 예를 들어 일반적인 얀 (yarn)대신에 전체적으로 비틀림이 없는 섬유재료로 작동되는 환편기( PCT WO 2004/079 068 A2, DE 10 2006 006 502 A1)들과 관련하여 공개되어 있다. 편직(knitting)공정에 이용되는 섬유재료는, 소위 비틀림(twisting) 부재를 가진 스핀닝 또는 이송(trnasport)장치에 의해 인장프레임으로부터 유출된 직후에, 임시 실(temporary yarn)로 변환되고, 전체 이송과정동안 상기 섬유재료는 일시적인 비틀림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비틀림부재와 연결된 이송파이프내에서 상기 임시 실이 이송되는 것이 선호된다.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상대적으로 긴 이송경로에서, 상기 인장프레임을 루프(loop)형성기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거리를 두고 배열하기 위하여, 한 개의 비틀림부재와 한 개의 이송파이프로 구성된 복수 개의 이송유니트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섬유재료를 균일한 상태로 이송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형태를 가진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사이에 간격을 남겨 두는 것이 일반적이며, 비틀림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은 압축상태의 공기유동을 분산시킨다. 한편으로, 임시 실로 성형되는 섬유재료가 이송경로에 관한 강도요건을 만족하고 탈락되거나 절단되는 위험이 없기 때문에, 섬유재료가 일반 실(yarn)에 비해 낮은 강도를 가지지만, 인장프레임으로부터 루프 형성기 특히, 환편기의 해당 시스템까지 상당히 긴 거리에 걸쳐 섬유재료를 전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루프로 성형되는 섬유재료가 비틀림상태의 실을 구성하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비틀림상태가 없는 단섬유(staple fiber)들을 구성하도록 임시 실내에서 섬유재료에 대해 제공되는 비틀림이, 이송장치 출력부의 단부로부터 루프 형성기의 관련 시스템까지 짧은 거리에 걸쳐 영으로 감소된다(임시 비틀림 원리: false twist principle). 결과적으로, 매우 유연한 편직물이 최종제품으로서 구해진다.
상기 이송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에 의하면, 상기 섬유재료에 느슨한 상태로 부착되고 섬유재료내에 구속된 오염입자들, 버(burl), 외부의 짧은 섬유들과 다른 이물질들이 편직물내에 불량부분을 만들고 루프 형성부재들을 오염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스핀닝(spinning)작업과 다르게, 섬유재료내부의 오염물들과 다른 불량을 인식하고 임시 실의 절단작업과 계속되는 절단작업에 의해 오염물들을 제거할 수 있는 스풀러(spooler)가 제공되지 않는다.
(DE 10 2007 018 369에서) 제안되고 서두에 설명한 형태의 장치들은, 연속적으로 배열된 이송유니트들사이의 간격에서 공기공급 부재를 가지고, 상기 공기 공급부재는 상기 간격들에서 서로 근접한 이송유니트들의 유출 및 유입 개구부들과 함께 밀폐시스템을 형성하고 공기제거 이외에 섬유재료를 청소하고 날려보내기 위해 이용된다. 그 결과, 이물질들이 상기 간격내에 걸리고 섬유유동으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시스템에 관한 시험에 의하면, 가벼운 입자들만 상기 섬유유동으로부터 제거되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들, 특히 소위 각질(shell)입자들은 섬유유동에 잔류하여 궁극적으로 편직물의 섬유재료내에 붙잡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형태의 청소작업이 가지는 문제점에 의하면, 인장프레임으로부터 루프 형성기까지 형성된 전체 이송경로는 밀폐시스템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경직되어 유연성(flexible)이 없는 시스템을 형성하여, 상기 시스템은 추가로 수집(collecting) 라인과 연결되지만 루프 형성기에서 작업을 방해할 수 있다.
상기 문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작동되고 각 경우의 요건들에 더욱 용이하게 적응하며 섬유유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형태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간격을 향해 개방된 흡인장치가 상기 간격의 영역에 배열된다.
흡인장치가 개방시스템으로 작동되고, 예를 들어,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사이에 형성된 간격아래에 배열되고, 결과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오염입자들의 중력작용을 이용하면, 상기 흡인장치는 섬유유동 또는 임시 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청소하게 된다. 특히, 분출공기로 작동되는 공기공급장치를 이용할 때와 같이, 이송유니트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저압으로 흡인작용을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가벼운 입자들이 섬유유동으로 부터 흡인작용에 의해 제거되며 예를 들어 각질 입자와 같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들이 동시에 개방 간격을 통해 방출되고 다음에 중력작용에 의해 떨어지게 되어 유리하다. 밀폐시스템을 이용할 때보다 이물질 요소들이 흡인장치를 통과하는 섬유유동으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흡인장치는 개방 간격과 근접하게 배열되고, 즉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밀폐시스템이 불필요하여 다양한 구성부품들로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이 종속항들에 공개된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는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장치를 구성하고 한 개의 비틀림부재와 한 개의 이송파이프로 구성되는 이송유니트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개략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고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5내지 도 8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장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다양한 이송유니트들을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도 1의 장치를 종방향으로 절단한 절단면도.
바늘 실린더(2)를 가진 환편기(1) 형태의 루프 형성기(loop forming machine)가 도 1에서 수직부분단면으로 개략 도시되고, 상기 바늘실린더내에서 일반적인 편직 바늘들(3)이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편직 바늘들(3)은 하기 설명에서 편직시스템으로 도시된 편직위치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캠 부품들에 의해 섬유재료(4)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우측의 환편기로서 구성되는 상기 환편기가 작업장 또는 작업실의 바닥(5)위에 설치된다. 작업자는 상기 바닥(5)에 배열된 상기 환편기(1)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캔(can)(6)들이 상기 바닥(5)위에 배열되고, 섬유를 형성하는 소모(sliver)(7)들이 상기 캔내에 배열된다.
상기 소모(7)들은 컨베이어벨트(8) 등에 의해 인장프레임(9)으로 공급되고, 작업자는 상기 바닥(5)위에 배열된 작업플랫폼(10)으로부터 상기 인장프레임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인장프레임(9)이 각각의 편직 시스템들에 제공되고, 도 1에서는 단지 한 개의 편직시스템에 제공되며, 예를 들어 상기 인장프레임(9)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세 쌍의 인장 롤러(11)들을 가진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공급스풀(14)로부터 풀어져 당겨지는 보조 실(12)이 각각의 편직시스템에 공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보조실(12)이 실안내장치에 의해 편직시스템으로 직접 공급되거나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장프레임(9)에 구성된 한 쌍의 유출롤러(11a)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공급되는 섬유웨브(fiber web)가 비틀림없는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단섬유(staple fiber)들로 구성된다. 상기 섬유웨브는 도 2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것처럼 이송장치(15)에 의해 해당 편직시스템으로 공급된다. 상기 이송장치(15)는 적어도 한 개의 비틀림 부재(16) 및 비틀림부재와 연결된 (도 2의) 이송파이프(17)를 포함한다. 환편기(1)가 상기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1의 실시예에서 각각 한 개의 비틀림부재(16a, 16b, 16c)와 이송파이프(17a, 17b, 17c)를 가진 세 개의 이송유니트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섬유재료(4)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된 제 1 비틀림부재(16a)가 한 쌍의 유출롤러(11a)들 또는 인장프레임(9)의 이송 실(godet)(18) 바로 뒤에 배열되고, 이송방향으로 배열된 마지막 이송파이프(17c)의 구성은 편직바늘(3)들의 (도 2에 도시된) 후크(19)와 근접한 위치에서 끝나며, 상기 편직바늘들은 관련 편직시스템에서 섬유수용위치까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중앙흡인장치(21)와 연결된 흡인요소(20)가 상기 편직바늘(3)뒤에 배열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스핀닝(spinning) 장치로서 구성되는 이송장치(15) 또는 비틀림부재(16)와 이송파이프(17)로 구성된 각각의 이송유니트가,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형성된 섬유웨브를 비틀림상태의 임시 실(yarn)(22)로 변환시킨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상기 비틀림부재(16)는 예를 들어 중공 원통형 몸체(23)로 제조되고,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23)의 내부공동은 예를 들어 상기 이송파이프(17)의 시작부분을 수용하고 내부공동의 구성은 측단부(24)에서 상기 이송파이프와 일치된 구조로 종료한다. 복수 개의 공기채널들이 선호되는 적어도 한 개의 공기채널(25)들이 상기 측단부(24)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모든 공기채널들은 상기 이송파이프(17)의 중심축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공기채널(25)들은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23)와 이송파이프(17)의 벽을 관통하고 공기채널의 구성은 상기 이송파이프(17)의 내부벽에서 종료한다. 작업과정에서 압축되거나 분출되는 공기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상기 공기채널(25)의 단부들로 공급되고, 상기 단부들은 상기 중공 원통형 몸체(23)의 외측을 향해 배열되어, 상기 비틀림부재(16)는 상기 유출롤러(11a)들로부터 이송파이프(17)로 이동하는 이송 실(18)의 섬유재료를 끌어당기고 동시에 상기 섬유재료를 관련 편직시스템을 향해 상기 이송파이프(17)로 전달한다. 상기 공기채널(25)들이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공기난류(26)가 이송파이프(17)내에 발생되어 상기 유출롤러(11a)들로부터 유출된 섬유재료가 흡인될 뿐 아니라 임시 실(22)로 꼬이고(spun), 여러 번의 회전이 상기 섬유재료로 전달되고 동시에 섬유재료를 콤팩트하게 만든다. 상기 임시 실(22)은 상기 이송파이프(17)의 단부까지 비틀림(twist)상태를 유지하고, 다음에 상기 비틀림은 상기 편직바늘(3)로 유입되는 섬유재료(4)의 유입부까지 풀어지고 즉, 비틀림이 영으로 감소된다(임시 비틀림효과: false twist effect). 따라서, 콤팩트한 상태지만 거의 비틀림이 없는 섬유재료(4)가 상기 편직바늘(3)들로 유입된다. 도 1을 참고할 때, 비틀림부재 및 이송파이프들( 16a/17a 내지 16c/17c)로 구성된 세 개의 이송유니트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이송유니트들이 서로에 대해 정해진 각도로 배열되고, 그 결과 상기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유출된 섬유재료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걸쳐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전달할 수 있다.
공기난류를 형성하기 위한 압축상태의 공기유동이 연속배열된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사이에서 공기 제거 개구부들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며, 앞에 배열된 이송유니트 (예를 들어, 16a, 17a)의 유출단부(28)와 뒤에 배열된 이송유니트 (예를 들어, 16b, 17b)사이에 형성된 간격(27)(도 1)에 의해 상기 공기 제거 개구부들이 제공된다.
상기 형태의 환편기들이 예를 들어, 문헌들 PCT WO 2004/179 068 A2 및 DE 10 2006 006 502 A1에 공개되며, 반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상기 문헌들을 참고한다.
도 1과 유사한 도 3에 의하면, 도 1과 대조적으로 섬유재료를 이송하기 위해 근접하게 위치한 두 개의 이송라인들을 가지고 따라서 인접한 각각 두 개의 이송유니트(16a,17a, 16b, 17b, 16c, 17c)들을 가진 인장 프레임(9)이 도시된다. 또한, 간단한 설명을 위해, 상기 인장 프레임(9)을 구성하고 하부에 위치한 단지 두 개의 롤러(11,11a)들이 도시된다. 마지막으로, 도 3은, 마지막에 배열된 각각의 이송파이프(17c)의 단부에 각각 배열된 한 개의 실안내부(30)를 도시하고, 공급된 섬유재료(4)는 상기 실안내부에 의해 (도 2의) 편직바늘(3)들로 공급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격(27a, 27b)들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한 개의 흡인장치(31a, 31b)가 적어도 한 개의 공기제거 개구부 또는 공기제거 개구부를 형성하는 간격에 배열된다. 상기 흡인장치는 흡인파이프를 가지는 것이 선호되고, 상기 흡인파이프는 한쪽 단부를 가지며 바닥으로부터 관련 간격(27a, 27b)까지 근접하게 연장되고 다른 한쪽 단부를 가지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흡인 또는 저압공급원과 연결된다. 대기압보다 작은 예를 들어 20mbar 내지 50 mbar의 저압이 관련 간격(27a, 27b)에 직접 설정되도록 상기 흡인공급원의 흡인력이 선택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 임시 실(22)의 섬유 유동과 함께 안내되는 불순물들로부터 상기 섬유 유동이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한편으로 유리한 청소효과가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임시 실(22)이 상기 간격(27a, 27b)과 이송경로의 나머지부분을 통과할 때 임시 실(22)의 이송작용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간격(27a, 27b)들로부터 유출되고 관련 비틀림부재 (예를 들어, 16a)에 의해 형성된 공기와, 상기 간격(27a, 27b)과 근접한 비틀림부재 (예를 들어, 16b)의 흡인력을 고려하여, 상기 간격(27a, 27b)과 근접한 영역의 저압이 조정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흡인파이프의 개구부들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흡인장치(31a, 31b)들 또는 흡인파이프들은 이송파이프(17a, 17b)들에 의해 표시되는 이송방향(v)에 대해, 도 4에서 흡인장치(31b)의 중심축(32b)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수직으로 직립구성된다. 상기 이송방향(v)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상기 흡인장치를 배열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할 때, 파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흡인장치(31a)는 축(32a1, 32a2)들을 가진 위치(31a1, 31a2)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련 간격(27a)과 근접한 이송유니트(16a, 17a)의 유출단부(28a)가 경사구조로 배열되고 대각선의 전방 또는 단부 면(33a)을 가지며 흡인장치(31a)를 향하는 유출 개구부를 가지고 개구부의 축이 상기 축(32a1)에 대해 동축을 형성하며 연장될 때, 상기 축(32a1)에 해당하는 대각선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송파이프(17a)가 관련 단부에 대해 구부러져 구성되면 상기 유출단부(28a)의 상기 경사구조는 제공되지 않는다. 연속적으로 배열된 파이프들의 축들이 계속해서 일직선상에 배열되도록 직선 파이프의 단부에서 직선파이프가 대각선으로 절단되어 (도 4의) 단부면(33a)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경사구조에 기인하여, 각 이송파이프(17)의 유출단부에서 흡인작용을 위한 개구부 및 결과적으로 공간이 확대되고, 따라서 이 경우 이송방향(v)으로 측정되는 간격(27)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파이프(17b)의 유출단부에서 도 4의 대각선 전방 또는 단부면(33b)과 비교하여 이송파이프(17a)의 축에 대해 상기 단부면(33a)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참고할 때, 대각선방향으로 하부를 향하는 단부면(예를 들어 33a)과 함께 하부로부터 단부면상에 설정되는 위치(31a2)에 흡인장치(31)가 배열된다. 이 경우, 느슨하게 구속된 입자들이 중력에 의해 특히 섬유 유동 또는 임시 실(2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송파이프의 유출단부에 위치하는 이송파이프(17)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대각선방향의 단부면(33a)들이 측부를 향해 배열되고 흡인장치(31)의 축들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으로 배열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간격(27a, 27b)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섬유재료의 불필요한 늘어짐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대각선으로 연장되는 유출단부들은, 제거되어야 하는 과잉공기를 연속배열된 유입 개구부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방향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또한, 원하는 청소효과와 관련하여, 이송방향(v)으로 측정되는 간격(27a, 27b)의 길이(x1, x2)를 너무 크거나 너무 작지 않게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0< x ≤ 2 di의 치수가 특히 유리하며, 상기 di는 각각의 간격(27a, 27b) 앞에 위치한 이송파이프(17a, 17b)의 내경을 의미한다. 도 4에 명확히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치수(x)는, 전방에 위치한 이송파이프(예를 들어, 17a)의 외측변부로부터 다음에 계속되는 이송파이프(예를 들어, 17b)의 시작부까지 측정된다. 계속되는 상기 이송파이프의 유입단부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입단부 자체로서 정의되거나 관련 이송파이프와 연결된 비틀림부재 (예를 들어, 16b)의 유입 개구부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이송파이프의 유입단부에 관한 정의는, 각 구성에 의존하며 예를 들어 상기 비틀림부재가 이송파이프의 유입단부 앞에 배열되거나 또는 비틀림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송파이프가 비틀림파이프를 관통하는 지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길이(x)는, 각각 한 개의 비틀림부재(16)와 한 개의 이송파이프(17)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사이에 형성된 최소 거리를 나타낸다.
0< x ≤ 2di의 치수가 이용되는 장점에 의하면, 상기 임시 실(22)이 끊어진 후에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이송유니트(16,17)가 빈 상태로 작동될 때 아무런 문제없이 실을 꼬는(spin) 작업을 다시 시작하게 되며, 형성중인 실(22)이 계속적으로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유입개구부내부에 자동으로 유입된다.
특히,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든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중심선들을 가진다. 또한, 도 1은, 적어도 한 개의 이송파이프(17c)가 다른 이송파이프(17b, 17c)들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열되고 모든 파이프의 축들이 정렬되는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세 개의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이 서로 동축으로 배열된다. 대조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히 유리하고 필수적인 특징을 가진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필수적인 특징은, 상기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이 일정한 관통내경들을 가지지만 상기 내경들이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환편기(1)를 향해 점차로 감소된다는 사실에 관련된다. 특히, 이송파이프(17a)는 가장 큰 내경을 가지고, 이송파이프(17b)는 중간 크기의 내경을 가지며, 이송파이프(17c)는 가장 작은 내경을 가진다. 그 결과, 상기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에 의해 형성된 이송 라인이 처음에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고 단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가진다. 처음에 배열된 대 직경은 인장프레임(9)으로부터 유출하는 섬유유동을 교란없이 용이하게 전달하고, 단부의 소직경은 섬유재료(4)를 편직바늘(3)내부로 교란없이 용이하게 유입하게 만든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큰 내경들을 가진 전방의 이송유니트들로부터 유출하는 공기가, 후방에 위치한 이송유니트들이 가지는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에 의해 후방의 이송유니트들이 수용할 수 있는 양만큼만 후방의 이송유니트들로 전달되도록, 연속배열된 이송유니트(16,17)들사이에서 간격(27a, 27b)들의 치수가 결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송방향(v)을 향해 전방에 위치한 제 1 이송유니트(예를 들어, 16a, 17a)로부터 바로 다음에 위치한 제 2 이송유니트 (예를 들어, 16b, 17b)까지 형성된 전이부가, 상기 제 2 이송유니트 (예를 들어, 16b, 17b)로부터 추가로 다음에 위치한 제 3 이송유니트 (예를 들어, 16c, 17c)까지 형성된 전이부보다 크게 선택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이 경우, 상기 임시 실(22)은 제 1 이송파이프(22)내에서 상대적으로 큰 풍선구조를 형성하여, 계속되는 제 1 간격(27a)내에서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한다. 그 결과, 상기 간격(27a)이 형성되는 영역에서 상당 부분의 이물질들이 제거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이송파이프들, 특히 이송방향(v)으로 마지막에 배열된 이송파이프(17c)들이 감소된 해당 내경을 가져서, 상대적으로 작은 풍선구조가 형성되고 좁은 폭의 안내가 이루어지므로, 편직바늘내부로 섬유재료를 삽입하는 작업에서 유리하다.
(도 4의 )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실상 모든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이 직선으로 배열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들에 배열되며, 연속배열된 이송파이프들의 축들사이에 이송방향(v)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프셋구조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이송파이프(17a, 17b)들의 축들사이에 이격거리 또는 오프셋(A1)이 형성되고 이송파이프(17b, 17c)들의 축들사이에 오프셋(A2)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의 내경이 환편기(1)를 향해 일정하게 감소되기 때문에, A1> A2이다.
상기 오프셋(A)이 가지는 장점은, 인장프레임의 유출부와 실안내부(30)사이의 기하학적 위치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위치차이가 이송파이프(17)들 중 한 개를 구부릴 필요없이 오프셋에 의해 간단히 보상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상기 오프셋의 크기는 각 경우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며, 오프셋은 이송파이프들의 일반적인 내경들이 예를 들어 1.5mm 내지 4mm일 때 계속해서 배열되는 이송파이프의 내경보다 작거나 기껏해야 절반의 크기를 가져야 한다. 전방에 배열된 이송파이프에 대해 계속해서 배열되는 이송파이프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위치하거나 측부에서 오프셋(A)만큼 떨어져 위치하도록 오프셋(A)의 방향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위치는 특히 간격(27a, 27b)내에 형성된 공기상태를 참고하여 선택된다.
현재 최선의 실시예로서 고려되는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각각 한 개의 비틀림부재(35a, 35b)와 비틀림부재에 연결된 이송파이프(36a, 36b)들을 포함한 단지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을 가지며, 세 개이상의 이송유니트들이 제공될 수 있다. 부품들(35a,36a)들이 전방의 이송유니트를 형성하고, 부품(35b, 36b)들이 계속해서 배열된 후방의 이송유니트를 형성한다. 전방의 이송유니트(35a, 36a)가 가지는 유출단부(37)와 후방의 이송유니트(35b, 36b)가 가지는 유입단부(38)사이에 개방 간격(39)이 제공되며, 상기 간격(39)은 공기제거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간격(39)이 형성된 영역에 흡인장치(40)가 배열된다. 도 4와 대조적으로, 흡인장치(40)는 흡인챔버(42)를 가지고 상기 흡인챔버는 흡인파이프(41)와 연결되며, 제 1 단부벽(42a)과 상기 제 1 단부벽과 평행하고 마주보게 배열된 제 2 단부벽(42b)에 의해 상기 흡인챔버가 밀봉된다. 상기 단부벽들은 필수적으로 섬유재료의 이송방향과 수직이며 서로 이격거리를 두고 배열된다. 전방에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이송파이프(36a)가 제 1 단부벽(42a)의 통로를 통해 돌출하고 유출단부(37)를 형성하는 자유단부를 가진 상기 이송파이프(36a)가 간격(39) 및 간격에 배열된 제 2 단부벽(42b)까지 연장된다. 계속해서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유입단부(38a)와 마주보게 위치한 유출개구부(43)가 상기 제 2 단부벽(42b)에 제공된다. 제 2 단부벽(42b)이 형성된 위치에서 유출개구부의 내부단면적은 전방의 이송유니트가 가진 이송파이프(36a)의 외부단면적보다 크다.
도 4와 유사하게 이송파이프(36a)의 외측변부는 유입개구부(38)의 시작부분과 함께 간격(39)의 길이(x)를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외측변부는 유입단부(37)를 지나 약간 외측으로 돌출하고 간격(39)내부로 돌출하도록 이송파이프(36a)의 자유단부가 유출개구부(43)를 통해 돌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느슨한 상태의 섬유들과 소용돌이(swirl)를 형성하는 공기가 상기 이송파이프(36a)로부터 유출되고 비틀림부재(35b) 또는 이송파이프(36b)와 충돌하며 원형의 원주간격내부로 전달되며, 상기 원주간격은 상기 유출개구부(43)와 이송파이프(36a)사이에 형성되고, 다음에 상기 공기는 특히 상대적으로 가벼운 보풀, 불순물 등과 함께 흡인파이프(41)로 배출된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입자들은 개방된 간격(39)으로 배출되고 계속 배열된 비틀림부재(35b)내부로 유입되는 섬유유동으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상기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효과적인 청소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O-링(44)에 의해 밀봉된 제 1 단부벽(42b)내에 상기 이송파이프(36a)가 배열될 때 특히 양호한 청소효과가 이루어지고, 유출개구부(43)의 변부와 이송파이프(36a)사이의 영역에서만 흡인파이프(41)의 흡인효과가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흡인챔버(42)가 간단하게 구성되고 필요할 때 개방되며 청소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단부벽(42b)은 덮개로 구성되는 것이 편리하고, 상기 덮개는 탈착가능하고 밀봉될 수 있게 상기 흡인챔버(42)와 연결된다. 또 다른 O- 링(45)이 밀봉을 위해 이용되는 것이 편리하다. 동시에, 간격(39)내부로 개방된 이송파이프(36a)와 단부벽(42b)사이의 영역과 흡인파이프(41)를 제외하고 상기 O- 링(44,45)들에 의해 흡인챔버(42)는 완전히 밀폐된 하우징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연속배열된 이송유니트(35b, 36b)의 유입단부(38)와 이격되어 마주보게 위치한다.
해당 흡인챔버(42)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이송유니트들사이의 전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이송유니트들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이송유니트들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유니트들의 유출단부들에서 단부면들이 경사를 이루고 도면에 도시된 상기 각도들은 단지 편리를 위해 수정될 수 있는 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동일한 내용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이송파이프들 (예를 들어, 도 1의 16a, 17b, 16c, 17c)사이의 각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파이프(17, 36)들은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원형의 내부윤곽을 가질 수 있다. 윤곽이 원형으로부터 벗어나면, 이송파이프의 평균 내경이 치수 (di)로서 이용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이용되는 이송파이프의 내경이 점차로 감소하여 예를 들어, 유입개구부로부터 유출개구부들을 향해 원추형상으로 감소한다. 또한 상기 비틀림부재가 아닌 다른 비틀림부재들이, 특히 기계식 비틀림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 이송파이프내에서 임시 실의 회전운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송파이프들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이송파이프들의 내부자켓들은 적어도 한 개의 나선형 요홈을 가진다. 상기 요홈들의 피치는 비틀림부재들에 의해 규정되는 비틀림구조의 함수로서 선택되어야 한다. 또한 규정된 이송장치들은 상기 환편기이외에 루프(loop) 형성기상에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특징들과 함께 다른 특징들이 적용될 수 있다.
3.......편직바늘,
4.......섬유재료,
11a.......롤러,
15.......이송장치,
16.......비틀림부재,
17.......이송파이프,
19.......후크,
23.......중공 원통형 몸체,
24.......측단부,
25.......공기채널,
26.......공기난류

Claims (15)

  1. 인장프레임(9)과 루프 형성기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송방향(v)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각각 한 개의 유입단부(29, 37)와 한 개의 유출단부(28, 38)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이송유니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니트들은 각 한 개의 비틀림부재(16a, 16b, 16c, 35a, 35b)와 비틀림부재에 연결된 한 개의 이송파이프(17a, 17b, 17c, 36a, 36b)로 구성되며, 전방에 위치한 이송유니트의 유출단부(28, 37)와 연속해서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유입단부(29, 38)사이에 공기제거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한 개방상태의 간격(27a, 27b, 39)이 제공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간격을 향해 개방된 흡인장치(31a, 31b, 40)가 상기 간격(27a, 27b, 39)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27a, 27b, 39)이 부등식 0 <x ≤ 2 di를 만족하며 이송방향(v)으로 측정되는 최소길이 x를 가지며, 상기 di 는 전방 이송유니트의 유출단부(28,37)에 형성된 내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17a, 17b, 17c, 36a, 36b)는 이송방향(v)에 대해 점점 작아지는 내경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개이상의 이송유니트들의 유출단부(28a)가 이송유니트의 축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출개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파이프(17a, 17b, 17c, 36a, 36b)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된 두 개의 이송파이프(17a, 17b, 17c)들이 가지는 축들이, 이송방향(v)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프셋(A1, A2)을 가지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A1, A2)은, 각각 계속해서 배열된 이송파이프가 가지는 내경의 기껏해야 절반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장치가 흡인파이프(31a, 31b, 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파이프(31a)는 상기 이송방향(v)에 대해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축(32a1, 32a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파이프(31a, 31b)는 상기 간격(27a, 27b)을 향하고 경사구조를 가지는 유출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이송파이프(17a, 17b)의 축들이 서로에 대해 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장치(40)가 흡인파이프(41)에 연결된 흡인챔버(42)를 가지고 제 1 단부벽(42a) 및 상기 제 1 단부벽과 마주보게 위치한 제 2 단부벽(42b)을 가지며, 전방의 이송유니트에 구성된 이송파이프(36a)가 제 1 단부벽(42a)의 통로를 통해 돌출하고 제 2 단부벽(42b)까지 연장되며, 간격(39)이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제 2 단부벽(42b)은 계속해서 배열된 이송유니트의 유입단부(38)와 마주보게 위치한 유출개구부(43)를 가지고, 상기 유출개구부(43)의 위치에서 상기 유출개구부(43)는 전방의 이송유니트가 가지는 이송파이프(36a)의 외측단면적보다 큰 내측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방의 이송유니트를 구성하는 이송파이프(36a)가 제 1 단부벽(42a)내에서 밀봉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부벽(42b)은, 밀봉상태로 탈착가능하게 흡인챔버(42(와 연결되는 덮개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료의 전달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한 개이상의 항을 따르는 한 개이상의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KR1020107006017A 2007-08-21 2008-08-01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 KR20100061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9870.2 2007-08-21
DE102007039870A DE102007039870A1 (de) 2007-08-21 2007-08-21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Fasermaterial zwischen einem Streckwerk und einer maschenbildenden Maschine und damit ausgerüstete Rundstrick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495A true KR20100061495A (ko) 2010-06-07

Family

ID=40154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017A KR20100061495A (ko) 2007-08-21 2008-08-01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023273A1 (ko)
EP (1) EP2217749B1 (ko)
JP (1) JP2010537062A (ko)
KR (1) KR20100061495A (ko)
CN (1) CN101809214B (ko)
BR (1) BRPI0815639A2 (ko)
DE (1) DE102007039870A1 (ko)
TW (1) TWI464309B (ko)
WO (1) WO2009024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3430A1 (en) * 2010-10-28 2019-01-10 Solar Junction Corporation Optoelectronic devices including dilute nitride
JP6177054B2 (ja) * 2013-08-29 2017-08-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機のための経糸の積極送り装置及び編機
DE102015102266A1 (de) * 2015-02-18 2016-08-18 Sipra Patententwicklungs- Und Beteiligungsgesellschaft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aschenware
CN107099930B (zh) * 2017-07-03 2018-12-07 浙江宏锋经纬编有限公司 一种经编丝往复除尘机构
EP3753885A1 (de) * 2019-06-19 2020-12-23 Heberlein AG Ansaugvorrichtung für eine textilmaschine, textilmaschine mit einer ansaugvorrichtung, verwendung von zwei zyklonelementen und verfahren zum ansaugen von garn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46197A (en) * 1964-06-09 1966-10-19 British Nylon Spinners Ltd Yarns polymeric material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JPS5612301Y2 (ko) * 1976-06-23 1981-03-20
US4107911A (en) * 1976-06-18 1978-08-22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Pneumatic spinning apparatus
CH627798A5 (de) * 1978-03-15 1982-01-29 Luwa Ag Pneumatische reinigungseinrichtung am einlauftisch einer spinnereimaschine.
JPS5932606Y2 (ja) * 1981-10-13 1984-09-12 村田機械株式会社 空気式紡績装置における空気ノズル先端部の空気の整流板
JPS5951079U (ja) * 1982-09-25 1984-04-04 ユニチカ株式会社 湿潤紡績用仮撚ノズル
JPS6134234A (ja) * 1984-07-26 1986-02-18 Murata Mach Ltd 空気式紡績装置
DE3631400A1 (de) * 1986-09-16 1988-03-17 Fritz Stahleck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neumatischen falschdrallspinnen
JPH042829A (ja) * 1990-04-17 1992-01-07 Murata Mach Ltd 結束紡積の糸通し方法
JPH0456777U (ko) * 1990-09-17 1992-05-15
DE19925171A1 (de) * 1999-06-01 2000-12-07 Terrot Strickmaschinen Gmbh Rundstrickmaschine
ES2558304T3 (es) * 2003-03-06 2016-02-03 Reinhard KÖNIG Género de punto así como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su fabricación
ATE408037T1 (de) * 2004-07-28 2008-09-15 Fare Spa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synthetischen garnen
DE102005044082A1 (de) 2005-09-08 2007-03-15 Wilhelm Stahlecker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DE102006006502B4 (de) 2006-02-13 2018-03-08 Reinhard König Spinnstrickmaschine
WO2008086791A1 (de) * 2007-01-17 2008-07-24 Koenig Reinhard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maschenware und verfahren zu deren inbetriebnahme
DE102007018369A1 (de) 2007-04-16 2008-10-23 König, Reinhard, Dr. Ing. Spinnsystem und Verfahren für das Spinnstri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09214A (zh) 2010-08-18
EP2217749A1 (de) 2010-08-18
WO2009024116A1 (de) 2009-02-26
JP2010537062A (ja) 2010-12-02
TWI464309B (zh) 2014-12-11
BRPI0815639A2 (pt) 2015-02-18
DE102007039870A1 (de) 2009-02-26
EP2217749B1 (de) 2013-06-26
US20110023273A1 (en) 2011-02-03
TW200940770A (en) 2009-10-01
CN101809214B (zh) 201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306B2 (en) Machine for producing a knitted fabric from fibre material, in particular circular knitting machine
JP5349506B2 (ja) 紡績糸を製造する装置
TWI770227B (zh) 用於操作噴氣式紡紗裝置的方法,導紗通道及包含此導紗通道的噴氣式紡紗機
TWI513869B (zh) 用於生產針織品之設備和方法
EP2573022B1 (en) Yarn winding machine
KR20100061495A (ko) 인장프레임과 루프 형성기 사이에서 섬유재료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장착된 환편기
JP2013067882A (ja) 糸巻取機、及び紡績糸の製造方法
CN103014931A (zh) 气流纺纱装置、纺纱单元、纺纱机械及气流纺纱方法
US4674274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un yarn
TWI457480B (zh) 用以將已延伸纖維材料供應至處理該纖維材料機器的作業站的裝置
CN101622386B (zh) 用于由拉伸的纤维材料制造针织品的针织机
JP2015178688A (ja) 繊維制御部材、ドラフト装置、及び紡績機
TW200848562A (en) A mounting device for air jets in the area of drafting units
JP4980719B2 (ja) 仮撚り加工機
CN105274677A (zh) 芯纱供给单元、芯纱供给装置及纺纱机
JP2017519911A (ja) 紡績準備機
US5161362A (en) Noise-reducing access cover and yarn guide for false-twist air jets
JP7391763B2 (ja) 紡績機用の集束装置、集束装置を備えたドラフト装置、および集束装置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
JP2022020895A (ja) 空気紡績装置、空気紡績機、及び紡績方法
CN116791248A (zh) 一种用于织物环锭纺纱机的自动拼接装置及方法
CN114761632A (zh) 用于清洁纺纱位置的气流纺纱装置的方法、这种气流纺纱装置和用于这种气流纺纱装置的纱线形成单元
JP2017519912A (ja) 紡績準備機
KR0140429B1 (ko) 링레스 정방장치로 슬라이버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37508A (ko) 링 정방기의 실 잔털 발생 감소방법 및 장치
CN103484989A (zh) 纺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