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5501A -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5501A
KR20100055501A KR1020107006202A KR20107006202A KR20100055501A KR 20100055501 A KR20100055501 A KR 20100055501A KR 1020107006202 A KR1020107006202 A KR 1020107006202A KR 20107006202 A KR20107006202 A KR 20107006202A KR 20100055501 A KR20100055501 A KR 20100055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monitoring
air conditioner
data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지 카와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55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1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centraliz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H04Q2209/75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 H04Q2209/753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where the polling of the sub-stations is synchron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감시 장치 측으로부터 요구가 없어도 감시 장치가 구성 정보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실내기(10, 11)와 실외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30)는, 실내기(10, 11) 및 실외기(12)의 모두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고유의 제1 어댑터 ID(33)를 가지고 있다. 원격 감시 센터(70)는, 어댑터(3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어댑터(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격납(格納)하는 센터 메모리(7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어댑터(30)는, 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10, 11) 및 실외기(12)의 모두와 통신을 행하여 공기 조화 장치(1)의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수집하고, 제1 어댑터 ID(33)와 함께 원격 감시 센터(70)로 송신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 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장치의 감시를 행하기 위한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실내기나 실외기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 장치군을 감시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플로어마다 설치되어 있는 공조 기기의 데이터를 읽어내기 위하여, 상위의 감시 장치로부터 공조 기기에 대하여 데이터 송신 요구의 지시가 보내지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071198호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감시 장치 측으로부터의 데이터 송신 요구의 지시가 보내지는 것이 전제로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과제는, 감시 장치 측으로부터 요구가 없어도 감시 장치가 구성 정보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한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1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은, 기기군 감시 대상과 접속 장치와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군 감시 대상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속 장치는, 기기군 감시 대상을 구성하고 있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모두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다. 감시 장치는, 접속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접속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격납(格納)하는 감시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는, 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는 것에 의하여, 실내기 및 실외기의 모두와 통신을 행하여 기기군 감시 대상의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구성 종류 정보를 수집하고, 구성 종류 정보를 접속 장치의 ID와 함께 감시 장치로 송신한다. 덧붙여, 구성 종류 정보와 접속 장치의 ID와의 대응짓기 처리는, 접속 장치가 행하여도 무방하고, 감시 장치가 행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모두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로서는, 단순히, 개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가 포함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어느 실외기와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실내기와의 통신을, 당해 실외기를 통하여 행하는 것과 같은 경우도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접속 장치가, 전원의 공급을 받는 것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자기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 및 실외기와의 통신을 행하여, 구성 종류 정보를 수집하고, 자기의 ID와 함께 감시 장치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감시 장치 측이 적극적으로 기기 구성의 정보를 수집하지 않아도, 감시 장치에서는, 접속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접속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 및 실외기에 의한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은,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기기군 감시 대상에 대하여, 하나의 접속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기기군 감시 대상과 접속 장치가 1대 1로 대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감시 장치는 기기군 감시 대상의 고장 등을 수리하여 고장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여도, 접속 장치의 ID를 참조하는 것으로, 고장 등의 전의 시점에 있어서의 관리를 그대로 속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메모리는, 구성 종류 정보와 접속 장치의 ID를 대응지어 격납하고 있다. 그리고, 감시 장치는, 접속 장치로부터 구성 종류 정보 및 접속 장치의 ID를 수신할 때마다, 감시 메모리의 접속 장치의 ID에 대응하여 격납되어 있는 구성 종류 정보를 덮어쓰기한다.
여기에서는, 기기군 감시 대상의 구성이 증설 등에 의하여 갱신되는 일이 있어도, 그 때마다 감시 메모리에 덮어쓰기되기 때문에, 최신 정보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은, 제1 발명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접속 장치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접속 장치는, 실내기 및 실외기와 함께 기기군 감시 대상의 내장되어 있어,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기기군 감시 대상과 접속 장치와 감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기기군 개시 대상은,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포함하고 있다. 접속 장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모두와 통신 상태를 지속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다. 감시 장치는, 접속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접속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격납하는 감시 메모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하여, 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의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구성 종류 정보를 수집하고, 구성 종류 정보를 접속 장치의 ID와 함께 감시 장치로 송신한다. 덧붙여, 구성 종류 정보와 접속 장치의 ID와의 대응짓기 처리는, 접속 장치가 행하여도 무방하고, 감시 장치가 행하여도 무방하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실내기 및 실외기의 모두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로서는, 단순히, 개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 각각과 통신을 행하는 경우가 포함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어느 실외기와 냉매 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의 실내기와의 통신을, 당해 실외기를 통하여 행하는 경우도 포함된다.
여기에서는, 접속 장치가,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트리거로 하여, 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관한 구성 종류 정보를 수집하고, 자기의 ID와 함께 감시 장치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하여, 감시 장치 측이 적극적으로 기기 구성의 정보를 수집하지 않아도, 감시 장치에서는, 접속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게 된 기기가 생길 때마다, 접속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 및 실외기에 의한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감시 장치 측이 적극적으로 기기 구성의 정보를 수집하지 않아도, 감시 장치에서는, 접속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때마다, 접속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기기군 감시 대상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 및 실외기에 의한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감시 장치는 기기군 감시 대상의 고장 등을 수리하여 고장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경우여도, 접속 장치의 ID를 참조하는 것으로, 고장 등의 전의 시점에 있어서의 관리를 그대로 속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기기군 감시 대상의 구성이 증설 등에 의하여 갱신되는 일이 있어도, 그 때마다 감시 메모리에 덮어쓰기되기 때문에, 최신 정보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제5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에서는, 감시 장치 측이 적극적으로 기기 구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 없이, 구성 종류 정보의 변화의 파악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되는 시스템 개략 구성도.
도 2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기능 블록도.
도 3은 감시·관리를 위한 개략 플로차트.
도 4는 변형예 (A)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5는 변형예 (A)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개략 기능 블록도.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
도 1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공기 조화 시스템(100)은, 원격으로부터, 제어 대상인 공기 조화 장치(1, 2)의 감시 및 관리를 행하는 시스템이고, 원격 감시 센터(70)와 공기 조화 장치(1, 2)를 구비하고 있다.
원격 감시 센터(70)는, 인터넷을 통하여 공기 조화 장치(1)의 어댑터(30) 및 공기 조화 장치(2)의 어댑터(40)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어댑터(30)와, 1대의 실외기(12)와, 2대의 실내기(10, 11)를 가지고 있고, 원격 감시 센터(70)에 의하여 감시 및 관리되는 기기군 감시 대상이다. 여기서, 2대의 실내기(10, 11)는, 각각 실외기(12)에 대하여 냉매 배관에 의하여 접속되어 협동하는 것으로, 이들 3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군에 의하여 하나의 냉매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어댑터(30)는, 실외기(12), 실내기(10, 11)에 대하여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2)는, 어댑터(40)와, 1대의 실외기(23)와, 3대의 실내기(20, 21, 22)를 가지고 있고, 원격 감시 센터(70)에 의하여 감시 및 관리되는 기기군 감시 대상이다. 여기서, 3대의 실내기(20, 21, 22)는, 각각 실외기(23)에 대하여 냉매 배관에 의하여 접속되어 협동하는 것으로, 이들 4개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기기군에 의하여, 상술한 공기 조화 장치(1)와는 별개의, 하나의 냉매 계통을 구성하고 있다. 어댑터(40)는, 실외기(23), 실내기(20, 21, 22)에 대하여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 조화 장치(2)는, 1대의 실외기(23)에 대하여 3대의 실내기(20, 21, 22)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계통 보다도, 실내기가 1대분 많이 접속된 계통 구성이 채용되어 있게 된다.
도 2에,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기능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실외기(12)에 내장되어 있는 실외 제어부(12C)와, 실내기(10)에 내장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10C)와, 실내기(11)에 내장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11C)와, 어댑터(30)가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어댑터(30)는, CPU(31)와 어댑터 메모리(32)와 통신부(39)를 가지고 있다. 실내 제어부(10C, 11C), 실외 제어부(12C)는, 어댑터(30)의 CPU(31)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받아, 각 구성 부품을 구동 제어한다. 예를 들어, 냉방 운전, 난방 운전, 설정 온도, 풍량, 풍향 등의 제어 항목이 있다. 또한, 어댑터(30)에는, 미리 고유의 제1 어댑터 ID(33)가 부여되어 있고,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다. 이 어댑터 메모리(32)는, 실내 제어부(10C, 11C), 실외 제어부(12C)와의 통신에 의하여 취득되는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계통에 있어서의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격납한다. 여기서, 계통 구성 데이터(34)란, 공기 조화 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기의 구성 정보이며, 여기에서는, 실외기(12) 1대에 대하여, 실내기(10, 11) 2대가 접속된 냉매 계통 구성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는, 공기 조화 장치(1)를 구성하는 실외기(12), 실내기(10, 11)의 기종이나 제조 번호 등에 따른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다. 덧붙여, 공기 조화 장치(1)에는, 도시하지 않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유저(user)는, 이 컨트롤러에 의하여 소정의 지시를 조작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 등을 조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1)에서는, 어댑터(30)가 공기 조화 장치(1)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보다도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2)도, 공기 조화 장치(1)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고, 실외기(23)에 내장되어 있는 실외 제어부(23C)와, 실내기(20)에 내장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20C)와, 실내기(21)에 내장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21C)와, 실내기(22)에 내장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22C)와, 어댑터(40)가 로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어댑터(40)는, CPU(41)와 어댑터 메모리(42)와 통신부(49)를 가지고 있다. 실내 제어부(20C, 21C, 22C), 실외 제어부(23C)는, 어댑터(40)의 CPU(41)로부터의 제어 지령을 받아, 각 구성 부품을 구동 제어한다. 여기에서의 제어는, 공기 조화 장치(1)와 마찬가지이고, 예를 들어, 냉방 운전, 난방 운전, 설정 온도, 풍량, 풍향 등의 제어 항목이 있다. 또한, 어댑터(40)에는, 제1 어댑터 ID(33)와는 별개의, 고유의 제2 어댑터 ID(43)가 미리 부여되어 있고, 어댑터 메모리(42)에 격납되어 있다. 이 어댑터 메모리(42)는, 실내 제어부(20C, 21C, 22C), 실외 제어부(23C)와의 통신에 의하여 취득되는 공기 조화 장치(2)의 냉매 계통에 있어서의 계통 구성 데이터(44) 및 제2 제품 번호 데이터(45)를 격납한다. 여기서, 계통 구성 데이터(44)란, 공기 조화 장치(1)와 마찬가지이고, 공기 조화 장치(2)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기의 구성 정보이며, 여기에서는, 실외기(23) 1대에 대하여, 실내기(20, 21, 22) 3대가 접속된 냉매 계통 구성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제품 번호 데이터(45)는, 공기 조화 장치(2)를 구성하는 실외기(23), 실내기(20, 21, 22)의 기종이나 제조 번호 등에 따른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다. 덧붙여, 공기 조화 장치(2)에는, 공기 조화 장치(1)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는 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유저는, 이 컨트롤러에 의하여 소정의 지시를 조작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 등을 조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2)에서는, 어댑터(40)가 공기 조화 장치(2)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구성으로 하는 경우보다도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원격 감시 센터(70)는, 인터넷을 통한 통신에 의하여 원격으로부터 공기 조화 장치(1) 및 공기 조화 장치(2)를 감시, 관리하기 위한 장치이고, CPU(71), 디스플레이(72), 브라우저(73), 센터 메모리(74), 통신부(79)를 구비하고 있다. 센터 메모리(74)에는, 통신부(79)가 인터넷을 통하여 공기 조화 장치(1, 2)의 각 어댑터(30, 40)의 통신부(39, 49)와의 통신을 행하는 것으로, 각 공기 조화 장치(1, 2)로부터 취득하는 데이터를, 제1 어댑터 ID(33)나 제2 어댑터 데이터(43)별로 정리한 기기 관리 테이블(75)이 격납된다. 그리고, CPU(71)는, 이 센터 메모리(74)에 격납되어 있는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기초하여, 브라우저(73)를 기동시켜, 디스플레이(72)에 감시를 위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기기 관리 테이블(75)은, 종합 ID 데이터(76)와 종합 계통 구성 데이터(77)와 종합 제품 번호 데이터(78)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종합 ID 데이터(76)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어댑터(30, 40)에 대하여 미리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33)나 제2 어댑터 ID(43)의 각각의 ID를 기준으로 하여, 각 어댑터(30, 40)에 대응하는 공기 조화 장치(1, 2)의 계통을 명확하게 구별한 감시 및 관리를 행하기 위하여,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데이터를 이 ID에 따라 구별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종합 계통 구성 데이터(77)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냉매 계통의 구성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종합 제품 번호 데이터(78)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구성 부품의 제품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정리한 것이다. 여기서, 종합 계통 구성 데이터(77) 및 종합 제품 번호 데이터(78)는, 상술한 종합 ID 데이터(76)와 대응지어져 센터 메모리(74)에 격납되어 있다.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감시·관리의 플로차트>
도 3에, 공기 조화 시스템(100)이 행하는 감시·관리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이 공기 조화 시스템(100)이 행하는 감시·관리를 위한 처리는, 소정의 타이밍, 예를 들어, 전원 투입의 기동 시나, 시운전 시에, 각 공기 조화 장치(1, 2)가, 자기의 계통 구성 데이터나, 제품 번호 데이터를 원격 감시 센터(70)로 주체적으로 송신하고, 원격 감시 센터(70)가 이 데이터를 축적하여 가는 것으로, 공기 조화 장치(1, 2)의 감시·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스텝 S11에서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는, 자기에게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어댑터(30, 40)가, 전원 공급을 받고 있는지 여부로 판단된다. 여기서, 어댑터(30, 40)의 CPU(31, 41)가, 전원의 공급을 받고 있다고 판단한 공기 조화 장치(1) 혹은 공기 조화 장치(2)에 관해서는, 스텝 S12로 이행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공기 조화 장치(1)와 공기 조화 장치(2)로 나누지 않고 플로차트를 간단하게 도시하고 있다(이하 마찬가지이다).
스텝 S12에서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는, 컨트롤러로부터 시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가 조작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어댑터(30, 40)의 CPU(31, 41)가 시운전을 행하는 취지의 지시를 받아들이고 있다고 판단한 공기 조화 장치(1) 혹은 공기 조화 장치(2)에 관해서는, 스텝 S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전원의 공급을 받아 시운전을 개시하는 어댑터(30)의 CPU(31)는, 통신부(39)에 의하여, 자기가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제어부(실외 제어부(12C), 실내 제어부(10C, 11C))와 통신을 행하고, 자기가 속하여 있는 공기 조화 장치(공기 조화 장치(1))의 계통 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접속 상황을 모든 접속 기기에 대하여 문의한다. 전원의 공급을 받아 시운전을 개시하는 어댑터(40)의 CPU(41)에 관하여도 마찬가지로, 통신부(49)에 의하여, 자기가 접속되어 있는 모든 제어부(실외 제어부(23C), 실내 제어부(20C, 21C, 22C))와 통신을 행하고, 자기가 속하여 있는 공기 조화 장치(공기 조화 장치(2))의 계통 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접속 상황을 모든 접속 기기에 대하여 문의한다.
스텝 S14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에 관하여, 어댑터(30)의 통신부(39)가, 자기의 냉매 계통에 속하여 있고, 자기에게 접속되어 있는 실외 제어부(12C), 실내 제어부(10C, 11C)로부터의 답신을 수신한다. 그리고, 이 수신 데이터에 의하여, CPU(31)가 공기 조화 장치(1)의 냉매 계통을 구성하는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를 작성하고,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한다. 또한, 어댑터(30)의 통신부(39)가 이 각 구성 기기와의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의하여, CPU(31)는, 공기 조화 장치(1)의 각 구성 부품에 관한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작성하고,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어댑터(40)의 통신부(49)가, 자기의 냉매 계통에 속하여 있고, 자기에게 접속되어 있는 실외 제어부(23C), 실내 제어부(20C, 21C, 22C)로부터의 답신을 수신한다. 그리고, 이 수신 데이터에 의하여, CPU(41)가 공기 조화 장치(2)의 냉매 계통을 구성하는 제2 계통 구성 데이터(44)를 작성하고, 어댑터 메모리(42)에 격납한다. 또한, 어댑터(40)의 통신부(49)가 이 각 구성 기기와의 통신에 의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의하여, CPU(41)는, 공기 조화 장치(2)의 각 구성 부품에 관한 제2 제품 번호 데이터(45)를 작성하고, 어댑터 메모리(42)에 격납한다.
스텝 S15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1)에 관하여, 어댑터(30)의 통신부(39)는,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미리 어댑터(30)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지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한다. 또한, 공기 조화 장치(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어댑터(40)의 통신부(59)는, 어댑터 메모리(52)에 격납되어 있는 제2 계통 구성 데이터(44) 및 제2 제품 번호 데이터(45)를 미리 어댑터(40)에 할당되어 있는 제2 어댑터 ID와 대응지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한다.
스텝 S16에서는, 원격 감시 센터(70)의 CPU(71)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어댑터(30, 4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각 어댑터(30, 40)의 어댑터 ID가 대응지어진 데이터를 구별하면서, 어댑터 ID마다의 기기 관리 테이블(75)을 작성하고, 센터 메모리(74)에 격납하여, 데이터를 축적하여 간다. CPU(71)는, 이 센터 메모리(74)에 격납된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기초하여, 브라우저(73)를 기동시켜 디스플레이(72)에 표시 출력시키고, 원격으로부터의 감시 및 관리를 행한다.
이상의 처리는, 전원 공급이 있고, 시운전이 행하여질 때마다, 기기 관리 테이블(75)이 어댑터 ID에 기초하여 덮어쓰기되어 갱신되어 가기 때문에, 항상 최신의 정보를 감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특징>
(1)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에서는, 각 공기 조화 장치(1, 2)에 전원이 투입되어, 컨트롤러로부터 시운전의 지시가 될 때마다,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어댑터(30, 40)는, 자기의 어댑터 ID와 대응지은 기기 구성 데이터(34, 44) 및 제품 번호 데이터(35, 45)를 스스로 자동적으로 원격 감시 센터(70)로 송신한다. 그리고, 원격 감시 센터(70)에서는, 각 어댑터(30, 4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축적하여 간다. 이 때문에, 원격 감시 센터(70)에서는, 스스로 어댑터(30, 40)를 향하여 정보 수집을 행하지 않아도, 항상, 어댑터(30, 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시운전이 행하여질 때마다, 어댑터(30, 4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실외기(12, 23)에 의한 계통 구성 및 제품 번호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2)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에서는, 원격 감시 센터(70)가, 각 공기 조화 장치(1, 2)마다 설치된 어댑터(30, 40)의 어댑터 ID에 기초하여,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감시 및 관리를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1, 2)에 있어서 계통을 구성하는 실내기 등에서 고장이 생겨 구동하지 않게 된 것이 생긴 경우 등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실내기 등에 갱신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하여도, 원격 감시 센터(70)의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감시 대상의 계통 구성의 내용이 보지(保持)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러, 유저가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실내기의 갱신」에 의한 데이터의 갱신 입력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다.
(3)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에서는, 원격 감시 센터(70)가, 각 공기 조화 장치(1, 2)마다 설치된 어댑터(30, 40)의 어댑터 ID에 기초하여,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제품 번호를 파악하고 있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 장치(1, 2)에 있어서 계통을 구성하는 실내기 등의 구성 부품이 파손된 경우 등에 있어서, 수리를 위하여 새로운 구성 부품을 준비하는 경우여도, 원격 감시 센터(70)의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감시 대상의 구성 부품의 제품 번호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수리를 행하는 서비스 엔지니어는, 제품 번호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필요한 구성 부품을 파악할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 관련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에서는, 전원 투입에 의한 시운전이 행하여질 때마다,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각 공기 조화 장치(1, 2)의 계통 구성 데이터(34, 44)가 자동적으로 송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장치(1)에 있어서, 실내기를 증설시켜 계통 구성에 변경이 생기는 일이 있어도, 증설 후, 전원 공급되어 시운전이 개시되면, 원격 감시 센터(70)는, 실내기가 증설된 새로운 계통 구성의 데이터를 기기 관리 테이블(75)에 축적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원격 감시 센터(70)에서는, 기기의 증설 등에 의하여 계통 구성에 변경이 생기는 경우여도, 유저가 갱신되는 계통 구성 데이터를 원격 감시 센터(70)에 있어서 직접 입력하는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센터 메모리(74)에 격납되어 있는 기기 관리 테이블(75)이 갱신되게 되어, 감시 및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공기 조화 시스템(100)의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0, 40)가, 공기 조화 장치(1, 2)에 내장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댑터(30, 40)는, 공기 조화 장치(1, 2)와는 별체로 하여 통신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 조화 시스템(200)이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여도, 상기 실시예의 공기 조화 시스템(100)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댑터(30)의 통신부(39)는,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미리 어댑터(30)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지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송신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어댑터(30)는, 어댑터 메모리(32)에 격납되어 있는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미리 어댑터(30)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짓는 일 없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각각 송신하고, 이 데이터를 수신한 원격 감시 센터(70)의 CPU(71)가,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짓는 처리를 행하여 센터 메모리(74)에 격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여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원 공급의 개시를 트리거로 하여, 어댑터(30)가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미리 어댑터(30)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지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하고, 어댑터(40)도 마찬가지로 송신하는 경우에 관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어댑터(30)가 자기와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실내 제어부(10C, 11C), 실외 제어부(12C)의 어느 하나와의 통신 상태가 끊어져 통신이 확립되지 않게 된 것을 트리거로 하여(CPU(31)가 검출하여), 어댑터(30)가, 자기와 통신이 확립되어 있는 대상에 관한 제1 계통 구성 데이터(34) 및 제1 제품 번호 데이터(35)를 미리 어댑터(30)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어댑터 ID와 대응지어 원격 감시 센터(70)에 대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어댑터(40)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원격 감시 센터(70)에서는, 스스로 어댑터(30, 40)를 향하여 정보 수집을 행하지 않아도, 통신의 확립이 끊어진 실내기 혹은 실외기가 생긴 경우에, 어댑터(30, 40)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1, 2)에 포함되는 모든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실외기(12, 23)에 의한 계통 구성 및 제품 번호에 관한 최신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감시 장치 측으로부터 요구가 없어도 감시 장치가 구성 정보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복수의 실외기와 실내기로 구성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감시나 관리에 있어서 유용하다.
1 : 공기 조화 장치(기기군 감시 대상)
2 : 공기 조화 장치(기기군 감시 대상)
10, 11, 20, 21, 22 : 실내기
12, 23 : 실외기
30 : 어댑터(접속 장치)
33 : 제1 어댑터 ID(구성 종류 정보, ID)
34 : 제1 계통 구성 데이터(구성 종류 정보, 구성 정보)
40 : 어댑터(접속 장치)
43 : 제2 어댑터 ID(구성 종류 정보, ID)
44 : 제2 계통 구성 데이터(구성 종류 정보, 구성 정보)
70 : 원격 감시 센터(감시 장치)
74 : 센터 메모리(감시 메모리)
100 : 공기 조화 시스템

Claims (5)

  1.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10, 11, 20, 21, 22)와 실외기(12, 23)를 포함하는 기기군 감시 대상(1, 2)과,
    상기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상기 실외기(12, 23)의 모두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고유의 ID(33, 43)를 가지고 있는 접속 장치(30, 40)와,
    상기 접속 장치(30, 4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접속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격납(格納)하는 감시 메모리(74)를 가지는 감시 장치(70)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장치는, 전원의 공급이 개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상기 실외기(12, 23)의 모두와 통신을 행하여 상기 기기군 감시 대상(1, 2)의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를 수집하고, 상기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를 상기 접속 장치(30, 40)의 ID(33, 43)와 함께 상기 감시 장치(70)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기기군 감시 대상(1, 2)에 대하여, 하나의 상기 접속 장치(30, 40)가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메모리(74)는, 상기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와 상기 접속 장치(30, 40)의 ID(33, 43)를 대응지어 격납하고 있고,
    상기 감시 장치(70)는, 상기 접속 장치(30, 40)로부터 상기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 및 상기 접속 장치(30, 40)의 ID(33, 43)를 수신할 때마다, 상기 감시 메모리(74)의 상기 접속 장치(30, 40)의 ID(33, 43)에 대응하여 격납되어 있는 상기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를 덮어쓰기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30, 40)는 상기 기기군 감시 대상(1, 2)에 내장되어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
  5. 하나 또는 복수의 실내기(10, 11, 20, 21, 22)와 실외기(12, 23)를 포함하는 기기군 감시 대상(1, 2)과,
    상기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상기 실외기(12, 23)의 모두와 통신 상태를 지속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고유의 ID(33, 43)를 가지고 있는 접속 장치(30, 40)와,
    상기 접속 장치(30, 40)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접속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격납하는 감시 메모리(74)를 가지는 감시 장치(70)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 장치(30, 40)는, 상기 실내기(10, 11, 20, 21, 22) 및 상기 실외기(12, 23)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통신이 확립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하여, 자기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상기 기기군 감시 대상(1, 2)의 구성 및 종류의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를 수집하고, 상기 구성 종류 정보(34, 35, 44, 45)를 상기 접속 장치(30, 40)의 ID(33, 43)와 함께 상기 감시 장치(70)로 송신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100).
KR1020107006202A 2007-08-31 2008-08-28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000555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26469 2007-08-31
JP2007226469A JP5125330B2 (ja) 2007-08-31 2007-08-31 空気調和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5501A true KR20100055501A (ko) 2010-05-26

Family

ID=403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202A KR20100055501A (ko) 2007-08-31 2008-08-28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1763B2 (ko)
EP (1) EP2199698A1 (ko)
JP (1) JP5125330B2 (ko)
KR (1) KR20100055501A (ko)
CN (1) CN101790668B (ko)
AU (1) AU2008292389B2 (ko)
WO (1) WO20090285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060B1 (ko) * 2010-03-08 2016-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제어방법
JP5677577B2 (ja) * 2011-07-27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機器管理装置、空調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空調機器管理方法
CN104737551B (zh) * 2012-10-23 2018-05-25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装置、监视系统以及通信方法
US10190795B2 (en) * 2013-09-10 2019-01-29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Air conditioner diagnostic system, air condition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6110288B2 (ja) * 2013-11-29 2017-04-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JP6141242B2 (ja) * 2014-08-28 2017-06-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6345090B2 (ja) * 2014-11-19 2018-06-20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934415B1 (ja) * 2015-05-01 2016-06-15 株式会社 タキズミ 機器管理支援システム、機器管理支援サーバ、機器管理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9611B2 (ja) 2016-01-22 2023-06-12 セメダイン株式会社 光硬化性組成物、及び製品
JP2018074507A (ja) * 2016-11-02 2018-05-10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中央データ収集装置、現地データ収集装置、遠隔監視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9150674A (zh) * 2018-08-13 2019-01-0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故障提示系统、方法及其装置、设备、存储介质
CN109812939B (zh) * 2019-03-29 2020-10-23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变频空调保护控制方法及装置
JP6856090B2 (ja) * 2019-06-07 2021-04-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機器管理システム
JP6985621B2 (ja) * 2019-11-26 2021-1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738A (ja) * 2000-03-02 2001-09-07 Sanyo Electric Co Ltd 冷凍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280674A (ja) * 2000-03-29 2001-10-10 Sanyo Electric Co Ltd 空調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2071198A (ja) 2000-08-28 2002-03-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ブラウザ利用空調制御システム
JP2002277028A (ja) * 2001-03-21 2002-09-25 Sanyo Electric Co Ltd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方法
JP4095389B2 (ja) * 2002-09-18 2008-06-04 大阪瓦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
JP4129594B2 (ja) * 2003-04-15 2008-08-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システム
WO2004107071A1 (ja) * 2003-05-29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異常処理システム
JP4014578B2 (ja) * 2004-03-30 2007-11-28 三洋電機株式会社 通信中継装置
US7307820B2 (en) * 2004-06-21 2007-12-11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 for arc fault detection
US20080061714A1 (en) * 2006-08-08 2008-03-13 Wei-Hao Syu Switch control system of HomePlug and method thereof
US7533086B2 (en) * 2006-09-08 2009-05-12 Ricoh Co., Ltd.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btaining vendor identification of a remote device of merged compan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8292389B2 (en) 2011-10-06
JP5125330B2 (ja) 2013-01-23
AU2008292389A1 (en) 2009-03-05
WO2009028587A1 (ja) 2009-03-05
JP2009058187A (ja) 2009-03-19
US8301763B2 (en) 2012-10-30
US20110145395A1 (en) 2011-06-16
CN101790668A (zh) 2010-07-28
CN101790668B (zh) 2013-01-23
EP2199698A1 (en)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5501A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104364585B (zh) 冷冻装置管理系统
KR100851009B1 (ko) 멀티에어컨의 통합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85733A (ko) 리모트 성능 감시 장치 및 리모트 성능 감시 방법
JP5677577B2 (ja) 空調機器管理装置、空調機器管理プログラム、及び空調機器管理方法
JP6167971B2 (ja) 遠隔管理システム
CN102056784A (zh) 车辆用空调装置、车辆空调管理系统以及车辆空调管理方法
WO2020166447A1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6279685A (ja) 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遠隔監視装置
JP5822583B2 (ja) 空調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5291642A (ja) 設備機器の性能劣化評価方法、設備機器の性能劣化評価システムおよび設備機器の情報収集装置
CN101843111A (zh) 远程监视系统
CN104422089A (zh) 空调系统
CN112393381A (zh) 空调监测系统
US8001230B2 (en) Group management apparatus and group management system
JP2005084882A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設備機器管理方法
JP4404163B1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管理方法
JP7262458B2 (ja) 機器管理システム
JP2006126907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7395027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遠隔監視方法
WO2021176594A1 (ja) 遠隔保守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及び遠隔保守管理システム
KR20100024788A (ko) 냉동공조기 원격 관리 시스템
JP2005083638A (ja) 運転報告作成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運転報告作成方法
JP2004070788A (ja)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および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用のアダプタ
JP6584533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