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693A -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693A
KR20100040693A KR1020090096355A KR20090096355A KR20100040693A KR 20100040693 A KR20100040693 A KR 20100040693A KR 1020090096355 A KR1020090096355 A KR 1020090096355A KR 20090096355 A KR20090096355 A KR 20090096355A KR 20100040693 A KR20100040693 A KR 201000406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guide
plate
air
inkjet pri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750B1 (ko
Inventor
정광춘
정해성
김기용
김경수
전성철
김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잉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잉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잉크테크
Publication of KR2010004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2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print pressure adjustment mechanisms, e.g. pressure-on-the pap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6Flat page-size platens or smaller flat platens having a greater size than line-size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2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downwardly on flat surfaces, e.g. of books, drawings, boxes, envelopes, e.g. flat-bed ink-jet printer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Ink Je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베드상에 놓여지는 피인쇄물을 공기흡입에 의해 고정하여 인쇄토록 된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에 있어서, 전면에 걸쳐 공기흡입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와; 중간이 상·하로 개방된 안내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조립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조립되고 하나이상의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각 공기통로에 조립되어 흡입펌프와 연결되는 접속구와;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프린터의 베드 위에 올려지는 출력 대상물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가 다르더라도 베드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를 센서에 의하여 체크하여 진공 흡입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피인쇄물의 훼손됨이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 베드, 안내공간, 안내통로, 진공 흡입력, 센서, UV잉크

Description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BED FOR PRINTER AND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프린터의 베드 위에 올려지는 출력 대상물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에 따라 베드 내부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를 체크하여 진공 흡입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드 표면에 피인쇄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는 그 피인쇄물이 유연성이 있는 낱장의 종이 또는 필름이나, 롤형태로 말려있는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에 피인쇄물을 삽입하여, 이송롤러가 피인쇄물을 이송하는 동안 프린터헤드가 출력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가로방향으로 수평 왕북 운동하면서 인쇄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잉크젯기술은 가정용/사무용 소형 프린터 뿐만 아니라 산업용 대형 프린터에도 널리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UV잉크를 이용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가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종이, 직물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피인쇄물 뿐 아니라 나무판, 금속판, 유리판 등과 같은 유연성이 없고 크기가 큰 피인쇄물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는 선행 특허공보 제10-0434825호 "플랫 베드타입 잉크젯 프린터"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한 "플랫베드 타입 잉크젯 프린터"는 출력매체가 유연성이 없고, 중량 또는 두께가 큰 경우에도 인쇄가 가능한 프린터로서, 내부에 공기통로를 가지며 상면에는 공기흡입구를 가지는 베드와, 상기 베드와 일체로 고정되어 베드를 지지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공기통로에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 또는 흡입하는 공기흡입기와, 상기 베드에 결합되어 헤드가 가로방향으로 수평운동하도록 안내하는 헤드바와, 헤드바가 상기의 베드에 세로방향으로 수평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는 종이 또는 필름 형태의 피인쇄물이 이송롤러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프린터헤드에 동작에 의한 인쇄가 되는 형태이지만 플랫베드 타입 잉크젯 프린터는 나무판, 금속판, 유리판 등과 같이 중량 및 크기가 큰 피인쇄물 표면에 인쇄를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피인쇄물을 베드상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프린터 헤드가 베드 전체를 수평 이동하면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의 플랫베드 타입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피인쇄물을 베드위 에 고정시키 위하여 진공의 흡입력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베드의 상면에는 공기흡입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어서, 흡입력에 의한 피인쇄물을 베드 표면에 흡착 고정시키도록 베드의 내부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공기흡입기 쪽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베드를 지지하는 기둥부가 전혀 없이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시켜 구성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다음과 같이 여러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즉, 종래의 플랫베드 타입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피인쇄물이 올려지는 베드의 전면에 걸쳐 진공 흡입력이 작용해야 하므로 피인쇄물이 베드의 크기가 작은 경우 피인쇄물이 올려지지 않은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피인쇄물을 흡착 고정시키기 위해 불필요하게 진공 흡입력은 커지게 되어 전력 소모가 많아 지게 되고, 그에 따라 진공 흡입장치에 무리를 주게 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었으며, 고출력의 진공 흡입 작동에 따른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베드의 내부는 넓은 면적의 공간을 갖고 있으므로 베드 전체에 걸쳐있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기둥부 없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중량이 무거운 피인쇄물이 올려지는 경우 베드 상면에 휨이 발생하거나 파손됨으로써 베드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큰 문제도 발생되었다.
이를 위한 대비책으로 베드 상면의 두께를 조절해 휨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베드의 소재는 표면의 평단도를 위한 단가가 비교적 높은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므로, 그에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었으며, 고가의 판매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경제적인 피해를 주는 직접적인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베드에는 피인쇄물의 중량 및 두께와 크기를 감안하여 진공 흡입력을 체크하는 감지 수단이나 제어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베드 상에 올려지는 피인쇄물의 중량 및 크기에 상관 없이 동일한 흡착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비교적 두께가 얇고 가벼운 피인쇄물이 올려진 경우 이를 체크하지 못하기 때문에 높은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는 경우 피인쇄물의 표면이 공기흡입구에 빨려 자국이 생기거나 표면이 구부러지게 되어 인쇄를 하지 못하여 피인쇄물을 훼손하게 되었으며, 이를 모르고 인쇄를 하게 되는 경우 파손된 표면에 인쇄가 되지 않아 인쇄 완료된 피인쇄물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큰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피인쇄물의 두께와 중량 및 재질등을 감안하여 일일이 수작업에 의하여 밸브를 조절함으로써 진공흡입력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잉크젯 프린터의 운용상 매우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린터의 베드 위에 올려지는 출력 대상물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에 따라 베드 내부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를 체크하여 진공 흡입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베드 표면에 올려지는 피인쇄물의 종류에 관계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상의 인쇄를 위한 안정적인 진공 흡입력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이 무거운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더라도 베드의 표면에 휨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지는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드 위에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는 최소한의 영역에 대하여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여 피인쇄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터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베드상에 놓여지는 피인쇄물을 공기흡입에 의해 고정하여 인쇄토록 된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에 있어서, 전면에 걸쳐 공기흡입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와; 중간이 상·하로 개방된 안내공간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조립되는 중간플레이트와;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하측으로 조립되고 하나이상의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각 공기통로에 조립되어 흡입펌프와 연결되는 접속구와;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흡입펌프와 연동되어 흡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프린터의 베드 위에 올려지는 출력 대상물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가 다르더라도 베드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를 센서에 의하여 체크하여 진공 흡입력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됨으로써 피인쇄물의 훼손됨이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안내공간은 두 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각 공기통로 및 이 공기통로에 설치되는 각 접속구는 상기 각 안내공간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드 위에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는 최소한의 안내 공간에 대해서만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고, 피인쇄물이 올려지지 않는 나머지 안내공간에는 진공 흡입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므로써 피인쇄물을 최적의 상태로서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진공 흡입 장치등을 가동하지 않게 되어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효율적 이고 경제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외곽으로 지지틀이 조립되어 있고, 이 지지틀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조립되어 베드 전체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안내공간에는 연속반복적으로 안내통로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내통로는 하니콤 형상을 이루어지며,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안내통로는 연속반복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안내통로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베드 내부에 마련되는 다수의 안내 통로를 갖는 중간플레이트에 의하여 최상의 인쇄를 위한 안정적이면서 베드 전체에 균일한 진공 흡입력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이 무거운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더라도 베드의 표면에 휨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중간플레이트의 각 안내통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윗면과 간격을 두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을 통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결구의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균일한 진공흡입력을 발휘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연결구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프린터의 베드 위에 올려지는 출력 대상물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에 따라 베드 내부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를 체크하여 진공 흡입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베드 표면에 올려지는 피인쇄물의 종류에 관계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의 다수의 안내 통로에 의하여 최상의 인쇄를 위한 안정적이고 균일한 진공 흡입력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이 무거운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더라도 안내통로 상이에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확실하게 베드의 밑면 전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베드의 표면에 휨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성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베드 위에 출력 대상물이 올려지는 최소한의 영역에 대하여 진공 흡입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피인쇄물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잉크젯 프린터를 이용한 인쇄 작업 등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드가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가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더의 베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플레이트의 안내통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사시도와 요부확대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 잉크젯 프린터(100)의 베드(10)는 그 위에 놓여지는 피인쇄물(P)을 공기 흡입에 의해 밀착 고정하여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인쇄물은 종이, 직물 등과 같은 유연성이 있는 소재 뿐 아니라 나무판, 금속판, 유리판 등과 같은 유연성이 없는 소재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PCB)과 같은 전자재료 등 인쇄될 수 있는 모든 소재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기본 구성으로서, 상부플레이트(20)와, 중간플레이트(30) 및 하부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상부플레이트(20)는 소정 두께를 갖으며,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 윗면에는 전면에 걸쳐 다수의 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흡입구(21)는 베드(10) 내부의 공간 면적에 대응하여 미세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그 간격은 베드(10)의 인쇄 면적에 대응하여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정방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0)의 네 가장자리에는 상기 중간플레이트(30)와 조립될 수 있도록 다수의 체결구멍(22)이 적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플레이트(30)는 중간이 상·하로 개방된 안내공간(31)으로 이루어지지는데, 진공 흡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높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외곽으로 지지틀(32)이 조립되어 있고, 이 지지틀(3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하부플레이트(40)가 조립되어 베드(10) 전체에 가해지는 피인쇄물(P)의 하중에 대해 잘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틀(32)은 프로파일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부플레이트(20)의 가로 길이에 대응되는 가로지지대(33)과 상기 상부플레이트(20)의 세로 길이에 대응되는 세로지지대(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로지지대(33)와 세로지지대(34)가 서로 직사각형으로 조립되어 상기 지지틀(32)을 이루게 되고, 이 지지틀(32)은 다시 상부플레이트(20)의 밑면 가장자리에 나사 조립되어 상부플레이트(20)의 외곽을 마감함으로써 지지틀(32) 내측으로 안내공간(31)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40)는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하측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다수의 공기통로(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통로(41)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공기통로(41) 외곽으로 다수의 체결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공기통로(41)에는 상기 안내공간(3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해 잉크젯 프린터(100)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펌프(50)와 연결하기 위한 접속구(60)가 마련되어 상기 체결구멍(42)에 나사 조립된다.
상기 접속구(60)는 상기 공기통로(41)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흡입펌프(50)와 연결되는 플렉시블 연결호스(51)와 접속을 위한 접속보스(6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접속보스(61)에 연결호스(51)를 끼운 뒤 클램핑 처리하여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60)의 내측 일단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70)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본 구성에 의하면, 잉크젯 프린터(100)의 베드(10) 위에 올려지는 피인쇄물(P)의 종류와 중량 및 크기가 다르더라도 상기 베드(10) 내부 공간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 상태 즉, 공기의 압력을 센서(70)에 의하여 감지하여 흡입펌프(50)의 출력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장점은 종래와 같이 일정한 압력으로 가해지는 진공 흡입력에 의하여 피인쇄물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피인쇄물(P)의 중량과 크기에 맞도록 항상 안정적인 진공 흡입력으로서 베드(10) 위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 에 최상의 상태로서 고품질의 인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잉크젯프린터(100)의 베드(10)는 종래와 같이 베드 상에 올려지는 피인쇄물이 상태에 따라 진공흡입력을 수동으로 밸브 개폐 조작에 의하여 조절했던 것에 비하여 적절한 진공흡입력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프로그램화시켜 진공흡입력을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구(60)에 내부에 마련되는 센서(70)는 미리 설정되어 있지 않은 돌발 상황 예를들어, 상기 베드(10)의 공기흡입구(21)에 피인쇄물(P) 또는 기타의 물건에 의하여 공기 흡입구(21)가 가려져 안내공간(31) 내부의 진공 흡입력이 상승되더라도 센서(70)가 이를 감지하여 적정 수준의 진공흡입력을 유지하도록 흡입펌프(50)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어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고,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잉크젯 프린터의 인쇄 작업을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안내공간(31)은 두 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구성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의 전체 면적을 삼등분하여 제1 내지 제3의 안내공간(V1,V2,V3)을 확보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센서(70)는 제1 내지 제3센서(S1,S2,S3)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공기통로(41) 및 이 공기통로(41)에 설치되는 각 접속구(60)는 상기 각 제1 내지 제3안내공간(V1,V2,V3)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접속구(60)의 접속보스(61)에도 각각의 흡입펌프(50)가 연결호스(5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펌프(50)는 각각의 접속구(60)와 연결할 수 있도록 각각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중,소형급의 잉크젯 프린터의 경우에는 하나의 흡입펌프를 사용하여 밸브의 개폐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안내공간에 가해지는 진공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드(10) 위에 피인쇄물(P)이 올려지는 최소한의 안내공간(31)에 대해서만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고, 피인쇄물(P)이 올려지지 않는 나머지 안내공간(31)에는 진공 흡입력이 작용되지 않게 되므로써 피인쇄물을 최소한의 진공흡입력으로서 베드(10) 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제1안내공간(V1)에만 소형의 피인쇄물(P1)이 올라가는 경우 제1센서는 진공 흡입력을 감지하여 흡입펌프를 적절한 압력으로 가동하게 된다.
하지만, 제2안내공간(V2) 및 제3안내공간(V3)에는 진공 흡입력이 작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를 제2센서(S1) 및 제3센서(S3)가 이를 감지하여 흡입펌프의 가동을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가동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중형의 피인쇄물(P2)이 베드 상에 올려지는 경우에는 제1안내공간(V1) 및 제2안내공간(V2)에 진공흡입력이 함께 작용하고, 대형의 피인쇄물(P3)이 베드 상에 올려지는 경우에는 제1안내공간(V1), 제2안내공간(V2) 및 제3안내공 간(V3)에 진공흡입력이 함께 작용하게 됨으로써 이를 제1 내지 제3센서(S1,S2,S3)가 감지하여 각각의 안내공간 (V1,V2,V3)에 걸리는 진공흡입력을 서로 비교하여 피인쇄물에 중량 및 크기에 따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의 흡입펌프(50)의 출력 정도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불필요하게 진공 흡입 장치 등을 가동하지 않게 되어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운용할 수 있는 큰 장점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안내공간(31)에는 연속반복적으로 안내통로(8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안내통로(80)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작 효율성을 감안한 구성으로서 도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니콤 형상을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안내통로(80)에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구(8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81)는 하니콤 안내통로(80)를 이루는 격벽(82)에 모두 형성되어 안내통로(80) 간에 공기가 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진공 흡입력이 각각의 안내통로(80)에 균일하게 배분되어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안내통로(8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흡입구(21)가 각각의 하 니콤 안내통로(80) 상에 적절한 갯수로 배치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베드(10) 내부의 안내공간(31)에 진공 흡입력이 작용하면 하니콤 안내통로(80)에 면적에 대응하여 동일한 공기압이 작용하게 되고, 각각의 안내통로(80)는 연결구(81)를 통해 공기가 통하게 됨으로써, 공기 흡입구(21)의 흡입력도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어 상부플레이트(20)에 올려지는 피인쇄물(P)이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참고적으로 상기 하니콤 안내통로(80)를 제작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수직으로 세워 겹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한다.
다음으로 육각형의 마주보는 접착면(83)을 서로 엇갈리게 접합하고, 그 중간은 절첩될 수 있도록 절첩선(84)을 형성한 다음, 연결구(81)를 형성하기 위하여 겹쳐진 상태에서 접착면(83)과 그 양측의 면에 구멍을 타공하여 연결구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을 잡고 당기면 접착면(83)를 중심으로 양측의 절첩선(84)이 내,외측으로 절곡되면서 육각형의 하니콤 형상의 안내통로(80)가 형성되는 것이며, 하니콤 안내통로(80) 측벽에는 연결구(81)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안내통로(9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반복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안내통로(90)에는 서로 연결되는 상기 연결구(9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안내통로(90)와 상기 연결구(91)는 상기한 허니콤 안내통로(80)와 같이 안내통로(90)를 이루는 격벽(92)에 모두 형성되어 안내통로(90) 간에 공기가 서로 통하여 진공 흡입력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사각형 안내통로(90)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공기흡입구(21)가 각각의 사각형 안내통로(90)에 적절히 배치되어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베드(10) 내부의 안내공간(31)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사각형 안내통로(90)에도 각각의 면적에 대응되는 균일한 공기압이 작용하게 되고, 각각의 안내통로(90)는 연결구(91)을 통하여 공기가 서로 통하게 됨으로써, 결국 각각의 공기 흡입구의 흡입력도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어 베드(10) 상에 올려지는 피인쇄물(P)이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사각형 안내통로(90)를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정 두께와 폭을 갖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판을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수직으로 세워 격자형으로 서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드의 상부플레이트(20) 및 하부플레이트(40)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허니콤 안내통로(80) 또는 사각형 안내통로(90)의 구성에 의한 안내공간(31)을 갖는 중간플레이트(30)가 추가로 마련됨으로써, 최상의 품질로 인쇄를 할 수 있도록 베드(10) 전체에 균일한 진공 흡입력을 유지하면서도 중량이 무거운 피인쇄물(P)이 올려지더라도 하니콤 안내통로(80) 및 사각형 안내통로(90) 에 의해 지지되고, 그 외곽으로 지지틀(32)이 받쳐줌으로써 베드(10)의 표면에 휨이 발생되지 않는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하니콤 안내통로(80) 또는 사각형 안내통로(90)를 갖는 중간플레이트(30)의 각 안내통로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윗면과 간격(D)을 두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간격(D)을 통하여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상기 연결구(81,91)의 역할을 대신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베드(10) 내부의 안내공간(31)에 진공흡입력이 작용하면 각각의 안내통로(80,90)에 면적에 대응하여 균일한 공기압이 작용하게 되고, 각각의 안내통로(80,90)에는 간격(D)을 통하여 공기가 서로 통하게 됨으로써, 각각의 공기 흡입구(21)의 흡입력도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어 베드 (10)상에 올려지는 피인쇄물(P)이 훼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간격을 갖는 중간플레이트(30)는 각각의 안내통로(80,90) 내부에 균일한 진공흡입력을 발휘하기 위한 또 다른 형태의 연결구 기능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는 피인쇄물이 중량 및 및 크기에 대하여 진공 흡입력이 접속구에 마련된 센서에 의하여 진공 흡입력이 비교되어 분할 구획된 각각의 안내공간에 진공 흡입력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한 안내공간은 세 개 이상 구획되어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한 센서 의 감지 위치 또한 접속구 측에 설치된 것에 제한 되지 않고 베드의 구성에 대응하여 위치 변경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내통로 및 연결구는 허니콤 또는 사각형 형상 이외에도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베드가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베드가 적용된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 도 1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더의 베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중간플레이트의 허니콤 안내통로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 3의 사시도와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더의 베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간플레이트의 사각형 안내통로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 3의 사시도와 요부확대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베드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의 진공 흡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의 베드의 진공 흡착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베드 20 : 상부플레이트
21 : 공기흡입구 22,42 : 체결구멍
30 : 중간플레이트 31 : 안내공간
32 : 지지틀 40 : 하부플레이트
41 : 공기통로 50 : 흡입펌프
51 : 연결호스 60 : 접속구
70 : 센서 80,90 : 안내통로
81,91 : 연결구 D : 간격
P : 피인쇄물 100 : 잉크젯 프린터

Claims (10)

  1. 베드상에 놓여지는 피인쇄물을 공기흡입에 의해 고정하여 인쇄토록 된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에 있어서,
    전면에 걸쳐 공기흡입구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상부플레이트(20)와;
    중간이 상·하로 개방된 안내공간(31)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0)의 하측으로 조립되는 중간플레이트(30)와;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하측으로 조립되고 하나이상의 공기통로(41)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플레이트(40)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각 공기통로(41)에 조립되어 흡입펌프(50)와 연결되는 접속구(60)와;
    흡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흡입펌프(50)와 연동되어 흡입되는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안내공간(31)은 두 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각 공기통로(41) 및 이 공기통로(41)에 설치되는 각 접속구(60)는 상기 각 안내공간(31)에 대응하여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3. 제2항에 있어서, 센서(70)는 구획된 안내공간 위에 피인쇄물이 없는 경우에 발생되는 공기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구획의 안내공간(31)에 연결된 흡입펌프(50)의 작동을 멈추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외곽으로 지지틀(32)이 조립되어 있고, 이 지지틀(32)의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상기 상부플레이트(20)와 하부플레이트(40)가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안내공간(31)에는 연속반복적으로 안내통로(80,9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80)는 하니콤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통로(90)는 연속반복되는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통로(80,90)는 서로 연결되는 연결구(81,9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플레이트(30)의 각 안내통로(80,90)의 하단부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0)의 윗면과 간격(D)을 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베드.
  10. 제1항에서 제조된 베드가 장착된 잉크젯 프린터.
KR1020090096355A 2008-10-10 2009-10-09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KR101427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877 2008-10-10
KR20080099877 2008-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93A true KR20100040693A (ko) 2010-04-20
KR101427750B1 KR101427750B1 (ko) 2014-09-22

Family

ID=4210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355A KR101427750B1 (ko) 2008-10-10 2009-10-09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44586B2 (ko)
EP (1) EP2351649B1 (ko)
JP (1) JP5344265B2 (ko)
KR (1) KR101427750B1 (ko)
CN (2) CN102177027B (ko)
WO (1) WO201004191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21B1 (ko) *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딜리 싱글 패스 잉크젯 프린터용 인쇄매체 안내장치
KR102403414B1 (ko) * 2022-03-21 2022-06-02 (주)케이엠테크 인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1804A1 (en) * 2009-01-05 2010-07-08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cording apparatus
US8561988B1 (en) * 2012-06-25 2013-10-22 Xerox Corporation Media hold-down for printing system
JP2014019121A (ja) * 2012-07-23 2014-02-03 Mimaki Engineering Co Ltd 媒体支持装置および媒体加工装置
JP2014172294A (ja) * 2013-03-08 2014-09-22 Mimaki Engineering Co Ltd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方法、及びテーブル
JP5876858B2 (ja) * 2013-09-03 2016-03-02 株式会社ディムコ 吸引式搬送装置
CN105150696B (zh) * 2015-09-18 2018-01-16 深圳市润天智数字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喷墨印刷机的输送平台装置
EP3744531A1 (en) * 2015-10-23 2020-12-02 Agfa Nv Glass sheet inkjet printing device
CN105150697A (zh) * 2015-11-03 2015-12-16 江苏德兴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真空吸附平台
US10960689B2 (en) * 2016-05-27 2021-03-30 MGI Digital Technology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ubstrates in a printing machine
FR3051718A1 (fr) * 2016-05-27 2017-12-01 Mgi Digital Tech Dispositif et procede de maintien/transport de substrats dans une machine d'impression
EP3507102B1 (en) * 2016-09-02 2022-11-02 Canon Production Printing Holding B.V. Vacuum table for flat bed printer
DE102017218930A1 (de) * 2016-11-25 2018-05-30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Bogentransportelement einer Druckmaschine
CN107116604A (zh) * 2017-05-18 2017-09-01 芜湖正海汽车内饰件有限公司 一种用于聚氨酯泡沫塑料切片的吸附装置
CN108278253A (zh) * 2018-01-23 2018-07-13 上海更鑫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真空板的制作方法
JP7035611B2 (ja) * 2018-02-23 2022-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被印刷媒体保持装置
JP7109341B2 (ja) * 2018-11-05 2022-07-29 小池酸素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及び印字設備
JP2020203458A (ja) 2019-06-19 2020-12-24 株式会社リコー 吸着装置、印刷装置、搬送装置
US11014381B2 (en) * 2019-07-09 2021-05-25 Xerox Corporation Honeycomb core platen for media transport
US10987952B1 (en) * 2019-11-21 2021-04-27 Xerox Corporation Chambered vacuum transport platen enabled by honeycomb core
CN110949021A (zh) * 2019-12-30 2020-04-03 南京柚香创意文化产业有限公司 一种打印机可调性吸风装置
CN114810641A (zh) * 2021-01-29 2022-07-29 深圳市大族数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吸附控制系统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095A (ja) * 1994-08-30 1996-03-12 Graphtec Corp 記録装置の記録用紙吸着装置
KR0137812B1 (ko) 1994-12-27 1998-06-15 김정덕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US5746914A (en) * 1996-10-28 1998-05-05 Graphite Sales, Inc. Honey comb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13731B2 (ja) * 1998-03-31 2006-08-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および記録用回転ドラム載置用ダミーシート
US6452620B1 (en) * 1999-04-08 2002-09-17 Gerber Scientific Product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thermal printing
US6270074B1 (en) * 1999-04-14 2001-08-07 Hewlett-Packard Company Print media vacuum holddown
US6328440B1 (en) * 2000-01-07 2001-12-11 Hewlett-Packard Company Buckling control for a heated belt-type media support of a printer
US6254092B1 (en) * 2000-04-17 2001-07-03 Hewlett-Packard Company Controlling vacuum flow for ink-jet hard copy apparatus
JP4608738B2 (ja) * 2000-06-06 2011-01-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145478A (ja) * 2000-11-13 2002-05-22 Canon Inc 記録媒体検知手段及び画像形成装置
US6672720B2 (en) * 2000-12-01 2004-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r with vacuum platen having movable belt providing selectable active area
KR100434825B1 (ko) * 2002-10-01 2004-06-07 일리정공 주식회사 플랫베드 타입 잉크젯 프린터
US6679602B1 (en) * 2002-10-03 2004-01-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cuum holddown apparatus for a hardcopy device
US7219977B2 (en) * 2002-10-17 2007-05-22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liquid ejecting apparatus, method of adjusting positions of liquid droplet marks, and liquid ejecting system
JP4103536B2 (ja) * 2002-10-17 2008-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ATE466732T1 (de) * 2003-03-07 2010-05-15 Seiko Epson Corp Transportvorrichtung für aufzeichnungsmedium und aufzeichnungsgerät
US7390085B2 (en) * 2003-03-07 2008-06-24 Seiko Epson Corporation Medium transport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US7431278B2 (en) * 2003-03-26 2008-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laten used therein
JP3975956B2 (ja) * 2003-03-31 2007-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40085972A (ko) * 2003-04-02 2004-10-08 일리정공 주식회사 플랫베드 타입 플로터용 피딩장치
US7168800B2 (en) * 2003-07-17 2007-01-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cartridge
US7819519B2 (en) * 2003-12-12 2010-10-26 Inca Digital Printers Limited Printing moving substrates
JP2007168387A (ja) * 2005-12-26 2007-07-05 Fujifilm Corp 画像記録装置
JP2008030219A (ja) * 2006-07-26 2008-02-1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液体収容体、及び液体収容体の液体残量判定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21B1 (ko) * 2021-10-20 2022-03-21 주식회사 딜리 싱글 패스 잉크젯 프린터용 인쇄매체 안내장치
KR102403414B1 (ko) * 2022-03-21 2022-06-02 (주)케이엠테크 인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505093A (ja) 2012-03-01
EP2351649A2 (en) 2011-08-03
WO2010041911A3 (ko) 2010-06-24
WO2010041911A2 (ko) 2010-04-15
EP2351649B1 (en) 2015-06-17
JP5344265B2 (ja) 2013-11-20
CN104260563A (zh) 2015-01-07
US20110193921A1 (en) 2011-08-11
KR101427750B1 (ko) 2014-09-22
EP2351649A4 (en) 2012-03-14
CN102177027B (zh) 2015-03-25
US8944586B2 (en) 2015-02-03
CN102177027A (zh)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0693A (ko) 프린터용 베드 및 이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터
US8157369B2 (en) Media hold-down system having cross process chambering
US8382276B2 (en) Inkjet recording apparatus
EP2561998B1 (en) Recording paper conveyance mechanism and printing device
US20100209169A1 (en) Media hold-down device using tensioned thin guides
US20160268153A1 (en) Substrate floating apparatus, substrate transfer appratus, and substrate transport apparatus
US10449786B2 (en) Image forming system
US8070156B2 (en) Sheet adsorption device,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622632B2 (ja) 画像記録装置
CN211254557U (zh) 传动打印平台及打印设备
EP2864126A1 (en) Vacuum hole array
JP2017193136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および位置調整方法
JP201219252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14295067U (zh) Single-Pass喷墨打印设备
US9242473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self-sealing unit, and liquid ejecting head
CN107333400A (zh) 凹陷式吸嘴吸料机构
US10336068B2 (en) Liquid je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ping with floating of medium
CN1131778C (zh) 印刷机中的进纸装置
CN220332289U (zh) 一种喷墨打印吸风平台及喷墨打印机
JP2013212919A (ja) 枚葉シート搬送装置及び印刷機
JP6656044B2 (ja) 画像記録装置
KR102403414B1 (ko) 인쇄장치
US20230095538A1 (en) Mist collecting unit, and an inkjet printing apparatus having same
JP2014172294A (ja) 液体吐出装置、液体吐出方法、及びテーブル
JP2024055165A (ja) 乾燥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