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8904A -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 Google Patents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8904A
KR20100028904A KR1020080087853A KR20080087853A KR20100028904A KR 20100028904 A KR20100028904 A KR 20100028904A KR 1020080087853 A KR1020080087853 A KR 1020080087853A KR 20080087853 A KR20080087853 A KR 20080087853A KR 20100028904 A KR20100028904 A KR 2010002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machine
needle bar
sewing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0666B1 (ko
Inventor
김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스타
Priority to KR1020080087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666B1/ko
Priority to CN2009101683480A priority patent/CN101845718B/zh
Publication of KR2010002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0Double chain-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3/00Devices incorporated in sewing machines for supplying or removing the wor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2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cilitating seaming; Hem-turning elements; Hemm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5/00Operations on the work before or after sewing
    • D05D2305/32Measuring
    • D05D2305/36Quality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부에 두 개의 바늘대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하도록 한 2본침(本針) 패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는, 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 받침부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의 고정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아암 상승장치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재봉물 고정부재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및 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축과 하축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는 복수개의 바늘대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한 2본침 패턴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를 회동시키는 바늘대 회동장치; 상기 바늘대와 연동되는 훅을 회동시키는 훅베이스 회동장치;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바늘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침 절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바늘대를 통해 두줄 재봉이 가능하므로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고, 1줄 재봉선과 2줄 재봉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절환이 필요한 재봉물에 대해서 바늘대를 각각 제어할 수 있으므로, 봉제물의 봉제선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줄 및 1줄 재봉이 복합되어 혼재된 패턴 디자인을 재봉할 시 선택적으로 바늘대 구동을 정지 또는 구동시켜 1줄 또는 2줄 재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재봉기, 테이블, 헤드부, 바늘대, 재봉물 고정부재

Description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Pattern sewing machine having with two needle stalk}
본 발명은 재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부에 두 개의 바늘대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또는 1줄 재봉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한 2본침(本針) 침절환 패턴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패턴 재봉기의 일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로서, 테이블(미도시)의 상부에서 헤드부(1)가 아암(2)에 의해 본체(3)의 전방으로 길게 돌출된 상태로서 재봉물 고정부재(4) 직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재봉기는 상축과 하축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한줄 재봉, 즉 1개의 바늘대(5)를 구비한 재봉기로서 에어백(air bag)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2줄 재봉을 요하는 작업물에 있어서, 두줄 재봉이 불가능하고, 1줄 재봉 후 이 1줄 재봉선 측부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1줄 재봉을 행하는 2단계 재봉 작업을 할 경우 작업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하여 2단계 재봉을 행할 경우, 1줄 재봉선과 2줄 재봉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상기와 같이 2줄 재봉을 하다가 수 직으로 방향을 절환할 때 내측 바늘대가 한 곳만 연속으로 재봉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측의 수직으로 방향이 절환된 부위에 재봉실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므로써, 재봉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발명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0032875호(발명의 명칭: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는, 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 받침부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의 고정 프레임(20)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아암 상승장치(30)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재봉물 고정부재(50)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및 Y축 이송수단(60,70)을 포함하고, 상축과 하축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패턴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40)는 복수의 바늘대(42,44)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는 종래 발명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정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종래 발명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재봉기 받침부는, 재봉 대상물이 올려지는 테이블(10)의 양 측단에 지지포스트(22)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지지포스트(22) 사이에 사각 강관으로 구성되는 고정프레임(20)이 수평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0)의 상면 양측에는 타원형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홀(12)은 테이블(10) 하방의 Y축(재봉기의 전후 방향) 이송수단(70; 도 4)의 움직임을 테이블(10) 상측의 재봉물 고정부재(50)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헤드부(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40)는 재봉물 고정부재(50)에 고정된 재봉 대상물을 재봉하며, 헤드부(40)와 상기 고정프레임(20) 사이에는 헤드부(40)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아암상승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의 후방에는 헤드부(40) 내의 상축(미도시)을 구동하기 위한 상축구동모터(38)가 구비되어 있다. 상축구동모터(38)는 상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가마(미도시)를 구동하기 위한 하축(미도시)과는 연결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 이송수단(60)이 테이블(10)의 상측에 X축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고, Y축 이송수단(70)이 테이블(10)의 하측 양 쪽에 Y축 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X축 이송수단(60)은 X축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은 X축 프레임(62)과, 이 X축 프레임(62)에 설치 또는 형성된 가이드레일(64)과, 이 가이드레일(64)을 따라 좌, 우로 이동하는 고정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재봉 대상물이 고정되는 상기 재봉물 고정부재(50)는 상기 고정부(66)에 결합되며, 이 고정부(66)가 상기 가이드레일(64)을 따라 좌, 우로 움직임에 따라, 헤드부(40)의 이동 없이도 X축 방향에 대해 넓은 범위의 재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Y축 이송수단(70)은 Y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Y축 이송수단(70)에는 전, 후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전, 후 방향으로 이동부(72)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이동부(72)는 전, 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성으로서, 벨트(72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트(72a)의 상측으로는 상방 돌출된 고정구(72b)가 결합되며, 고정구(72b)는 상기 벨트(72a)의 움직임에 따라 전, 후방으로 위치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72b)는 양 쪽의 Y축 이송수단(70)에 나란히 구비되며, 테이블(10)의 가이드홀(12)에 의해 상방으로 노출된다. 고정구(72b)에는 X축 프레임(62)이 연결된다.
이동부(72) 즉, 벨트(72a)의 움직임에 따른 고정구(72b)의 전, 후방을 향한 움직임에 따라, X축 프레임(62)에 연결된 재봉물 고정부재(50)도 전, 후방으로 위치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헤드부(40)의 이동 없이도 Y축 방향에 대해 넓은 범위의 재봉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X축 이송수단(60)은 X축 이송모터(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며, Y축 이송수단(70)은 측면에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X축 이송수단(60)은 테이블(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재봉물 고정부재(50)와 연결되고, Y축 이송수단(70)은 테이블(10)의 하측에 위치하여 가이드홀(12)을 통해 X축 이송수단(60)과 연결된다.
상기 X축, Y축 이송수단(60)(70)과, 상기 아암상승장치(30)에 대한 보다 자세한 구조와, 이에 따른 작용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4-0007981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특허출원 제10-2007-0032875호는 코너 부근의 재봉시 재봉되는 2줄의 재봉땀의 간격이 일정치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줄 재봉을 통해 작업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1줄 재봉선과 2줄 재봉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일측 바늘대에 의해 재봉실이 두꺼워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재봉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는, 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 받침부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의 고정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아암 상승장치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재봉물 고정부재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및 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축과 하축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는 복수개의 바늘대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한 2본침 패턴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를 회동시키는 바늘대 회동장치; 상기 바늘대와 연동되는 훅을 회동시키는 훅베이스 회동장치;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바늘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침 절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늘대 회동장치는,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장착된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일측부가 장착된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의 타측부가 장착된 구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를 회동시키는 바늘대 회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훅베이스 회동장치는, 상기 훅이 장착된 훅베이스; 상기 훅베이스의 일측부에 장착된 제1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일측부가 장착된 회동벨트; 상기 회동벨트의 타측부가 장착된 제2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를 회동시키는 훅베이스 회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침 절환장치는, 재봉기의 상축에 일측부가 장착된 바늘대 승강부재;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의 타측부와 외측부가 결합되고,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장착된 회전블럭; 상기 회전블럭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 레버부; 상기 회전블럭의 타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부의 작동을 단속하는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레버부는, 상기 회전블럭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가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블럭;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에 의해 단속을 받아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 및 상기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바늘대 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홈에 끼움 및 이탈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하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은,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부에 단속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재봉기의 헤드부에 나란히 설치된 2개의 바늘대를 통해 에어백과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두줄 재봉을 요하는 작업물에 있어서, 두줄 재봉이 가능하므로 작업 소요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바늘대에 의해 1줄 재봉선과 2줄 재봉선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봉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방향 절환이 필요한 재봉물에 대해서 바늘대를 각각 제어할 수 있으므로, 봉제물의 봉제선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줄 및 1줄 재봉라인이 복합되어 혼재된 패턴 디자인을 재봉할 시 선택적으로 바늘대 구동을 침절환시켜 1줄 또는 2줄 재봉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훅베이스 회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대 회동장치 및 침 절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침 절환장치를 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대 운동시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아울러,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대 정지시를 나타낸 참고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침 절환장치를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통한 2줄 재봉 작업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는 원형으로 형성된 2줄 재봉 작업도, 도 13은 직각으로 형성된 2줄 재봉 작업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는, 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 받침부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의 고정프레임(120)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140)를 상하 이동시키는 아암상승장치(130)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재봉물 고정부재(150)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및 Y축 이송수단(종래기술의 도면 도3a 내지 도4 참조; 60,70)을 포함하고, 상축(미도시)과 하축(미도시)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140)는 복수의 바늘대(142,144)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한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에 있어서, 바늘대 회동장치(180)와, 훅베이스 회동장치(190)와, 침 절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늘대 회동장치(180)와, 상기 훅베이스 회동장치(190)와, 상기 침 절환장치는 재봉기에 구비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작동을 제어받는다.
상기 재봉기 받침부는 재봉 대상물이 올려지는 테이블(121)과, 상기 테이블(121)이 지지되는 고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종래기술에 관한 설명인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용이한 부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늘대 회동장치(180)는 종동풀리(181), 타이밍벨트(183), 구동풀리(185), 바늘대 회동모터(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동풀리(181)는 바늘대(142,144)의 외측부에 장착되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구동풀리(185)는 상기 종동풀리(18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바늘대 회동모터(187)는 재봉기의 아암부(102)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바늘대 회동모터(187)의 회전축에 상기 구동풀리(185)의 중심부가 결합되어진다.
상기 타이밍벨트(183)의 일측부는 상기 종동풀리(181)의 외주면에 장착되어지고, 타측부는 상기 구동풀리(18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풀리(185)의 회동력을 상기 종동풀리(181)에 전달하게된다. 이때, 상기 타이밍벨트(183)의 내주면에는 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종동풀리(181) 및 상기 구동풀리(185)의 기어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늘대 회동모터(187)의 작동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구동풀리(185)가 동회전하게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훅베이스 회동장치(190)는, 제1풀리(192), 회동벨트(193), 제2풀리(195), 훅베이스 회동모터(19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풀리(192)는 훅(가마)(106-1,106-2)이 장착된 훅베이스(191)의 하부에 장착되어지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훅(가마)(106-1,106-2)은 내부에 밑실이 감겨지는 보빈이 수용되어진다. 이때, 상기 밑실은 재봉기의 바늘(143,145)에 장착된 윗실과 실엮임을 하게된다.
상기 제2풀리(195)는 상기 제1풀리(192)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되어진다.
상기 훅베이스 회동모터(197)는 재봉기의 베드부에 장착되고, 상기 훅베이스 회동모터(197)의 회전축에 상기 제2풀리(195)의 중심부가 결합되어 상기 훅베이스 회동모터(197)의 작동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상기 제2풀리(195)가 동회전하게된다.
상기 회동벨트(193)의 일측부는 상기 제1풀리(192)의 외주면에 장착되어지고, 타측부는 상기 제2풀리(19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2풀리(195)의 회동력을 상기 제1풀리(192)에 전달하게된다. 이때, 상기 회동벨트(193)의 내주면에는 기어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풀리(192) 및 상기 제2풀리(195)의 기어부에 결합되어진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 절환장치(110)는, 바늘대 승강부재(113), 회전블럭(114)과, 클러치 레버부(117)와,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115,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113)는 재봉기의 상축(111) 끝단에 일측부가 장착되고, 타측부가 상기 회전블럭(114)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113)는 상부가 상기 상축(111)에 장착된 연결로드(113-1)와, 상기 연결로드(113-1)의 하부에 결합된 요동브라켓(11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요동브라켓(113-2)의 일측에는 결합돌기(113-3)가 돌출형성되어진다.
상기 회전블럭(114)은 상기 바늘대(142,144)의 외측부에 장착되고, 일정두께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진다.여기서, 상기 결합홈에 상기 요동브라켓(113-2)의 결합돌기(113-3)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블럭(114)이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113)에 의해 상하이동된다.
상기 클러치 레버부(117)는 상기 회전블럭(114)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142,144)를 선택적으로 단속한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레버부(117)는 상기 회전블럭(114)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142,144)가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바늘대(142,144)의 외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블럭(118)과, 상기 슬라이드 블럭(118)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115,116)에 의해 단속을 받아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117-1)와, 상기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117-1)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117-1)와 연동되어 상기 바늘대(142,144)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홈(142-1,144-1)에 끼움 및 이탈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142,144)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하고정핀(1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115,116)은 복수개의 액츄에이터로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공압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에 단속블럭(115-1,116-1)이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117-1)의 회동을 제어하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도 14에 나타난 커브(curve) 봉제는, 2개의 바늘대(142)(144)에 의해 좌/우측의 재봉실(L)(R)이 일정 간격을 두고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원형의 방향으로 재봉하기 위해 바늘(143,145)이 장착된 바늘대(142,144)와 훅이 장착된 훅베이스(191)가 진행방향에 따라 회전해야 상기 재봉실(L)(R)의 간격이 일정하게된다. 이때, 상기 바늘대(142,144)는 바늘대 회동장치(180)에 의해 회전되어지고, 상기 훅베이스(191)는 훅베이스 회동장치(190)에 의해 회전되어진다.
상기 바늘대 회동장치(18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가 바늘대 회동모터(187)를 작동시키고, 상기 바늘대 회동모터(187)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풀리(185)가 동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185)에 일측이 장착된 타이밍벨트(183)가 종동풀리(181)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종동풀리(181)가 회전하고, 이에따라, 상기 바늘대(142,144)가 회전하게되어진다.
상기 훅베이스 회동장치(190)의 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가 훅베이스 회동모터(197)를 작동시키고, 상기 훅베이스 회동모터(197)의 회전축에 장착된 제2풀리(195)가 동회전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2풀리(195)에 일측이 장착된 회동벨트(193)가 제1풀리(192)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풀리(192)가 회전하고, 이에따라, 상기 훅베이스(191)가 회전하게되어진다.
도 15에 나타난 코너(corner) 봉제는, 상기한 각쌍침 기능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봉기의 2개의 바늘대(142,144)가 동일하게 재봉질을 하다가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좌측의 재봉실(L)이 땀(a)을 가고, 수직으로 방향을 틀어서 다시 땀(b)을 가는 동안, 좌측의 재봉실(L)이 진행하도록 좌측 바늘대(142)는 동작하고, 우측의 재봉실(R)은 홀딩 위치(h)에서 정지하도록 우측 바늘대(144)는 정지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옷감의 방향 변환(선회) 조작을 한 후, 화살표 방향으로 재봉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코너 방향으로 재봉하기 위해 상기 좌측 및 우측 바늘대(142,144)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야 하고, 이때, 상기 좌측 및 우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바늘대(142,144)는 침 절환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진다.
상기 침 절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축(111)의 동작으로 바늘대 승강부재(113)의 요동브라켓(113-2)이 상하이동되고, 상기 요동브라켓(113-2)과 결합된 회전블럭(114)이 상기 요동브라켓(113-2)과 연동된다. 이에따라, 상기 회전블럭(114)에 고정된 슬라이드 블럭(118)이 상하이동되고, 아울러 복수개의 바늘대(142,144)가 상하이동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축(111)의 동작으로 인한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113)의 이동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우측에 구비된 바늘대(142,144)를 정지하기 위해, 제어부에 제어를 받아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115,116) 중 우측에 구비된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115,116)이 작동하여 단속블럭(115-1,116-1)을 하방향으로 이동시고, 상기 단속블럭(115-1,116-1)이 클러치 레버(117-1)의 상부와 밀착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117-1)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진다. 아울러, 상기 클러치 레버(117-1)의 상부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짐에 따라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117-1)의 하부에 결합된 하고정핀(117-2)이 이동되어진다. 이때, 바늘대(142,144)의 단속홈(142-1,144-1)에 끼워진 하고정핀(117-2)이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바늘대(142,144)를 상하이동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하고정핀(117-2)의 이탈로 인하여 상기 우측의 바늘대(144)가 정지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클러치 레버(117-1)의 이동으로 상기 하고정핀(117-2)의 이탈 및 끼움되는 동작은 당업자에게 넓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특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특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특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특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특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패턴 재봉기의 일 예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종래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A'부 확대도.
도 4는 종래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훅베이스 회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대 회동장치 및 침 절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침 절환장치를 를 나타낸 일부 분해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대 운동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바늘 대 정지시를 나타낸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의 침 절환장치를 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를 통한 2줄 재봉 작업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는 원형으로 형성된 2줄 재봉 작업도, 도 13은 직각으로 형성된 2줄 재봉 작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 아암부 106-1,106-2 : 훅(가마)
110 : 침 절환장치
111 : 상축 113 : 바늘대 승강부재
113-1 : 연결로드 113-2 : 요동브라켓
113-3 : 결합돌기 114 : 회전블럭
115,116 :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
115-1,116-1 : 단속블럭 117 : 클러치 레버부
117 -1 : 클러치 레버 117-2 : 하고정핀
117-3 : 스프링 117-4 : 래치
118 : 슬라이드 블럭
119 : 스토퍼 120 : 고정프레임
121 : 테이블 130 : 아암상승장치
140 : 헤드부 142,144 : 바늘대
142-1,144-1 : 단속홈 143,145 : 바늘
180 : 바늘대 회동장치 181 : 종동풀리
183 : 타이밍벨트 185 : 구동풀리
187 : 바늘대 회동모터 190 : 훅베이스 회동장치
191 : 훅베이스 192 : 제1풀리
193 : 회동벨트 195 : 제2풀리
197 : 훅베이스 회동모터

Claims (7)

  1. 재봉기를 지지하는 재봉기 받침부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의 고정 프레임상에 설치되어 상기 재봉기의 헤드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아암 상승장치와, 상기 재봉기 받침부에 설치되어 재봉물 고정부재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및 Y축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축과 하축의 구동이 별도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는 복수개의 바늘대를 구비하여 연속적인 2줄 재봉이 가능한 2본침 패턴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를 회동시키는 바늘대 회동장치;
    상기 바늘대와 연동되는 훅을 회동시키는 훅베이스 회동장치; 및
    상하 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상기 복수의 바늘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침 절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 회동장치는,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장착된 종동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일측부가 장착된 타이밍벨트;
    상기 타이밍벨트의 타측부가 장착된 구동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를 회동시키는 바늘대 회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베이스 회동장치는,
    상기 훅이 장착된 훅베이스;
    상기 훅베이스의 일측부에 장착된 제1풀리;
    상기 종동풀리에 일측부가 장착된 회동벨트;
    상기 회동벨트의 타측부가 장착된 제2풀리; 및
    상기 구동풀리를 회동시키는 훅베이스 회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 절환장치는,
    재봉기의 상축에 일측부가 장착된 바늘대 승강부재;
    상기 바늘대 승강부재의 타측부와 외측부가 결합되고,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장착된 회전블럭;
    상기 회전블럭의 일측부에 장착되어 상하이동되는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클러치 레버부;
    상기 회전블럭의 타측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부의 작동을 단속하는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부는,
    상기 회전블럭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가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바늘대의 외측부에 구비된 슬라이드 블럭;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에 의해 단속을 받아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 및
    상기 복수개의 클러치 레버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클러치 레버와 연동되어 상기 바늘대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속홈에 끼움 및 이탈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바늘대의 상하이동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하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 단속수단은,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부에 단속블럭이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 레버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KR1020080087853A 2008-09-05 2008-09-05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KR10104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53A KR101040666B1 (ko) 2008-09-05 2008-09-05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CN2009101683480A CN101845718B (zh) 2008-09-05 2009-08-27 双针切换式花样缝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7853A KR101040666B1 (ko) 2008-09-05 2008-09-05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8904A true KR20100028904A (ko) 2010-03-15
KR101040666B1 KR101040666B1 (ko) 2011-06-13

Family

ID=4217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853A KR101040666B1 (ko) 2008-09-05 2008-09-05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0666B1 (ko)
CN (1) CN10184571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854A (ko) * 2011-08-31 2013-03-08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쌍침 재봉기
KR20130054149A (ko) * 2011-11-14 2013-05-24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이에 적합한 침절환 장치
CN111270428A (zh) * 2020-03-19 2020-06-12 深圳市宜荣科技有限公司 一种机头移动车缝的自动缝纫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0920B (zh) * 2010-12-08 2015-07-29 日星株式会社 缝纫机及其驱动控制方法
WO2013073830A1 (ko) * 2011-11-14 2013-05-23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이에 적합한 침절환 장치
JP5859302B2 (ja) * 2011-12-26 2016-02-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3382629A (zh) * 2012-05-02 2013-11-06 东莞市嘉龙皮革机械有限公司 一种机头和梭床架独立驱动同步旋转机构
CN103194866B (zh) * 2013-04-08 2014-10-15 东莞市名菱工业自动化科技有限公司 梭床同步旋转机构
CN103361899B (zh) * 2013-07-1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缝纫机的多针杆模块
CN104988677A (zh) * 2015-07-24 2015-10-21 宁波高新区宁源科技服务有限公司 多色绣花机绣针机构
CN106637704A (zh) * 2015-11-04 2017-05-10 天津宝盈电脑机械有限公司 双头臂式可升降缝纫机结构
CN108589080A (zh) * 2018-07-17 2018-09-28 张章生 一种缝纫机及其针杆旋转直驱机构
CN110438680B (zh) * 2019-08-14 2024-03-08 浙江爱柯美缝纫机有限公司 家用缝纫机的加固缝变换机构
CN110409065B (zh) * 2019-08-22 2021-08-31 上海鲍麦克斯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缝纫机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8347A (en) * 1966-11-01 1969-04-15 Bunsaku Taketomi Needle-bar device with double needle action in fancy-stitching sewing machine
US4048932A (en) * 1976-02-17 1977-09-20 The Singer Company Bight stop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JP2501109B2 (ja) * 1987-07-17 1996-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安全装置
JPH06178886A (ja) * 1992-12-11 1994-06-28 Brother Ind Ltd 2本針ミシンにおける針及び釜の間隔設定装置
JPH07275537A (ja) * 1994-04-13 1995-10-24 Aisin Seiki Co Ltd ミシン頭部駆動装置
US6988455B2 (en) * 2003-07-02 2006-01-24 Sunstar Machinery Co., Ltd. Sewing machine
KR20050079500A (ko) * 2004-02-06 2005-08-10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
JP4722440B2 (ja) * 2004-09-22 2011-07-13 Juki株式会社 二本針ミシンの針棒機構
KR20060065017A (ko) * 2004-12-09 2006-06-14 썬스타 산업봉제기계 주식회사 재봉기
JP4492385B2 (ja) * 2005-02-21 2010-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鳩目穴かがりミシ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4854A (ko) * 2011-08-31 2013-03-08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쌍침 재봉기
KR20130054149A (ko) * 2011-11-14 2013-05-24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 및 이에 적합한 침절환 장치
CN111270428A (zh) * 2020-03-19 2020-06-12 深圳市宜荣科技有限公司 一种机头移动车缝的自动缝纫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45718B (zh) 2013-08-14
KR101040666B1 (ko) 2011-06-13
CN101845718A (zh)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666B1 (ko) 2본침 침절환 패턴 재봉기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6636741B2 (ja) ミシン
JP2013048716A (ja) 二本針ミシン
JP4261698B2 (ja) ミシンの布送り機構
US8312823B2 (en) Sewing machine
JP2010213767A (ja) ミシンの糸切り装置
CN103194860B (zh) 纽扣孔锁边缝纫机
JP2006187522A (ja) 玉縁縫いミシン
JP4228368B2 (ja) ミシン
JP4614755B2 (ja) ミシン
JP5084296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4336589B2 (ja) 千鳥縫いミシン
KR101170841B1 (ko) 루퍼 구동 장치
EP1847640B1 (en) Multifunction sewing machine designed to sew fabrics using different layouts and types of stitches
EP2192220A1 (en) Buttonholing machine
KR20080089985A (ko) 2본침 패턴 재봉기
JP4176108B2 (ja) 横編機におけるステッチプレッサー
KR100723545B1 (ko) 미싱
JP3192566U (ja) ベルト−ループ・ミシン
KR100665306B1 (ko) 시퀸 이송장치
JP3555992B2 (ja) 環縫いミシンにおける糸外し方法
JP4105913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US1370473A (en) Button-sewing machine
JP2014000356A (ja)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