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908A -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 Google Patents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908A
KR20100022908A KR1020090020855A KR20090020855A KR20100022908A KR 20100022908 A KR20100022908 A KR 20100022908A KR 1020090020855 A KR1020090020855 A KR 1020090020855A KR 20090020855 A KR20090020855 A KR 20090020855A KR 20100022908 A KR20100022908 A KR 2010002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path
sheet member
developer
hous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560B1 (ko
Inventor
이사오 이토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시트 부재를 빼내는 개구부를 개구시킬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상 장치를 제공한다.
유입측 개구부(51)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52)에 대하여, 복로(52C)의 자유단(52D)측을 왕로(52B)을 향하여 가압하는 휨 가능한 가압판(81)(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가압판(81)은,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왕로(52B)측에 누르는 형태로 되고, 복로(52C)가 왕로(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하여 복로(52C)와 왕로(52B) 사이나 시트 부재(52)와 상측 하우징(33) 사이 등에 현상제가 끼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가압판(81)의 선단측(81B)이 화살표(Ca) 방향으로 개구되어(도 7의 (a)), 시트 부재(52)의 복로(52C)와 왕로(52B) 사이에 틈을 형성한다(도 7의 (b)). 만약 현상제가 끼어 있어도,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 배제된다.
복로, 왕로, 가압 부재, 시트 부재, 현상 장치

Description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본 발명은,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사진의 원리를 응용한 기록 장치(프린터)로서는,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동시에,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부재를 1개로 정리한 카트리지(소위,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사용한 기종이 많이 시장에 나돌고 있다.
또한, 기록 장치에 대한 소형화의 요구도 있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도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현상 장치가 있다. 이 현상 장치에는 미리 현상제가 충전되는 현상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는 유출측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에 대하여 수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미사용 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송할 때,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시트 부재에 의해 밀봉하는 기술이 있다(특허 문헌 1 내지 3 참조). 이 시트 부재는, 사용할 때에, 유저에 의해 박리되는 것이다(특허 문헌 1, 2 및 특허 문헌 3의 도 16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평07-168444호
특허 문헌 2 :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제2001-125357호
특허 문헌 3 : 일본국 공개특허 공보 평09-2674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의 발명이 채용하는 현상 장치의 구성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유지체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상기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측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유지하여 상기 상유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이며, 상기 유출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되고, 기점(基点)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往路), 상기 접어겹침부에서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復路)로 이루어져 있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 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 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2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측 개구부를 더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입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입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에서, 상기 유입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 상기 접어겹침부에서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상기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 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기 복로의 상기 자유단측을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설치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3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4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 보다 단단한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휨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5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 보다 단단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신축 변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6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복로를 일시적을 고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자유단측의 고정을 해제하는 클립인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제 7 항의 기재의 발명은, 상기 현상 장치에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기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8 항의 발명이 채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성은, 표면에 정점 잠상이 형성되는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서 가시상화하는 상기 기재의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9 항의 발명이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은, 표면에 정점 잠상이 형성된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서 가시상화하는 상기 기재의 현상 장치와, 상기 상유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가시상화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 10 항의 발명이 채용하는 현상제 수용기의 구성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외부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측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이며, 상기 유출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 상기 접어겹침부로부터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기재의 발명은, 시트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3 항의 기재의 발명은, 억지로 들어가 버린 현상제가 있을 경우에,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이 현상제를 배제하고, 시트 부재가 절단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 4 항의 기재의 발명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판체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의 힘에 저항하여 휘고,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여 복로를 왕로로부터 떼어 놓아 양 부재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5 항의 기재의 발명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부재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의 힘에 저항하여 움츠려들고,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여 복로를 왕로로부터 이격시켜 양 부재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6 항의 기재의 발명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있어서, 상기 자유단 측의 고정을 해제하여 복로를 왕로로부터 이격시켜 양 부재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제 7 항의 기재의 발명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있어서, 상기 기구가 시트 부재를 빼낼 때의 힘에 저항하여 움츠려들고,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여 복로를 왕로로부터 이격시켜 양 부재 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가 탑재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소위 탠덤형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케이싱(筐體)(2) 내에 4 개의 색(본 실시의 형상에서는 옐로우, 마젠 타, 시안, 블랙)의 화상 형성 유닛(11)(구체적으로는 11Y, 11M, 11C, 11B)이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그 하방으로는 공급용의 용지(P)가 수용되는 급지 카세트(61)가 배설(配設)되어 있는 동시에,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 대응한 개소에는 급지 카세트(61)에서의 용지(P)의 반송로가 되는 용지 반송로(62)를 종방향으로 배치한 것이다.
화상 형성 유닛(11)은, 용지 반송로(62)의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옐로우용, 마젠타용, 시안용, 블랙용의 토너상을 형성한 것이며, 각종 프로세스 유닛을 조립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2)와,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2)에 대하여 화상 형성용의 주사광을 조사하는 노광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2)는, 감광체 드럼(13)과, 이 감광체 드럼(13)을 미리 대전시키는 대전롤(14)과, 대전된 감광체 드럼(13) 상에 상기 노광 장치(21)에서 노광 형성된 정전 잠상을 대응하는 색 토너(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부극성)에서 가시상화하는 현상 장치(30)와, 감광체 드럼(13) 상의 폐 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장치(15)를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한 것이다.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12)의 기대(基台)(미도시)에는 현상 장치(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노광 장치(21)는, 케이스 내에 미도시된 반도체 레이저, 폴리곤 미러, 결상 렌즈 및 미러가 격납되어, 반도체 레이저로부터의 광을 폴리곤 미러에서 편향 주사하고, 결상 렌즈, 미러를 통하여 감광체 드럼(13) 상의 노광 포인트에 광상을 이끌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감광체 드럼(13)에 대응한 개소에는 용지 반송로(62)에 따라 순환 이동하는 반송 밸트(63)가 배설되어 있다. 이 반송 밸트(63)는, 용지(P)를 정전 흡착할 수 있는 밸트 소재(고무 또는 수지)로 구성되어, 한 쌍의 장가(張架)롤(64, 65)에 가설되어 있다.
반송 밸트(63)의 입구 부위(장가롤(64) 대향 부위)에는 용지 흡착롤(66)이 배설되어 있고, 이 용지 흡착롤(66)에 고전압인 흡착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반송 밸트(63)에 용지(P)가 흡착된다. 또한, 각 화상 형성 유닛(11)의 감광체 드럼(13)에 대응한 반송 밸트(63)의 이면측에는 전사롤(67)이 각각 배설되어 있고, 이 전사롤(67)에 의해 감광체 드럼(13)과 반송 밸트(63) 상의 용지(P)를 밀착시키고 있다. 그래서, 전사롤(67)과 감광체 드럼(13)과의 사이에는 전사 바이어스 전원에 의해 미리 정한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또한, 급지 카세트(61)에는, 용지(P)를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송출하는 픽업롤(71)이 설치되어 있고, 반송롤(72)과 레지스트레이션롤(73)를 통하여 용지(P)를 전사 위치에 보내준다.
최하류측의 화상 형성 유닛(11B)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용지 반송로(62)에는 정착 장치(74)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정착 장치(74)의 하류측에는 용지 배출용의 복수의 배출롤(76)이 설치되어 있고, 장치 케이싱(2)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77)에 배출 용지가 수용된다.
이렇게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이하의 프로세스에 의해 화상 형성이 행하여진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11Y, 11M, 11C, 11B)에는, 감광체 드럼(13)이 대전롤(14)에 의해 대전되고, 노광 장치(21)에 의해 감광체 드럼(13) 상에 잠상이 형성된 후에, 현상 장치(30)에 의해 가시상(토너상)이 형성된다.
한편, 급지 카세트(61)의 용지(P)는, 픽업롤(71)에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속출(繰出)되고, 반송롤(72) 및 레지스트레이션롤(73)을 통하여 반송 밸트(63)의 흡착 위치로 보내지고, 반송 밸트(63)에 흡착된 상태에서 전사 위치로 보내진다.
각 화상 형성 유닛(11)에서 감광체 드럼(13) 상의 토너상은, 전사롤(67)에 의해 용지(P)에 순차적으로 전사되어, 정착 장치(74)에서 용지(P) 상의 각 색성분 미정착 토너상이 정착된 후, 정착이 끝난 용지(P)는 수용부(77)로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요>
프로세스 카트리지(12)는, 감광체 드럼(13), 대전롤(14), 현상 장치(30), 클리닝 장치(15) 등을 구비하고 있다.
<현상 장치의 개요>
도 2 내지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현상 장치(30)의 사시도, 도 3은 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 중의 화살표 Ⅳ-Ⅳ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현상 장치(30)의 폭방향을 X축, 길이 방향을 Y측으로 한다.
현상 장치(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35), 현상부(36)로 나눈 방과 개구부(31A)를 갖는 케이싱(31)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35)에 배치된 교반 나선체(41), 공급 나선체(42)와, 상기 현상부(36)에 배치된 마그 롤(43), 트리머 부재(44), 패들(45)을 구비하고 있다.
마그롤(43)의 일부는 케이싱(31)의 개구부(31A)로부터 노출되어 감광체 드럼(13)에 근접 배치된다. 트리머 부재(44)는, 마그롤(43)의 표면에 유지되는 현상제의 량을 규제한다. 패들(45)은, 현상 종료 후에 마그롤(43)에서부터 릴리스(release)된 현상제를 공급 나선체(42)측으로 되돌린다. 그리고, 교반 나선체(41), 공급 나선체(42), 마그롤(43), 및 패들(45)에는, 구동원의 회전이 기어(모두 미도시)를 통하여 전달되어, 각 부위가 회전 구동된다.
또한, 케이싱(3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32), 상측 하우징(33), 좌우에 위치한 사이드 커버(34, 34)에 의해 구성된다. 각 부위(32~34)를 조립하여 형성된 케이싱(31) 내에는, 구획용 틀(46)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로 나뉜다. 이 현상제 수용부(35) 내에는, 현상제(G)가 충전된다.
또한, 케이싱(3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와의 경계선이 되는 부위에 홈이 형성된다. 이 홈은, 하측 하우징(32)에 형성되는 하측홈(37), 상측 하우징(33)에 형성되는 상측홈(38)으로 이루어지며, 사이드 커버(34)에 형성되는 홈은 도시를 생략한다. 이 홈에는, 미사용 상태에서는 시트 부재(48)를 부착하는 구획용 틀(46)이 끼워 넣어진다.
한편, 상측 하우징(33)의 길이 방향 일측에는, 후술하는 현상제 수급부(50)가 형성된다.
여기서, 구획용 틀(46)과 시트 부재(48)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구획용 틀(46)과 시트 부재(48)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획용 틀(46)은,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를 연결시키는 유출측 개구부(47)를 갖는다. 이 유출측 개구부(47)는, 현상부(36)를 통하여 케이싱(31)의 개구부(31A)(현상부(36))와 연결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48)가 유출측 개구부(47)를 개폐시킴으로써, 현상제 수용부(35)와 개구부(31A)(현상부(36))를 연속·차단시키게 된다.
또한, 시트 부재(48)는, 베이스층과 열용착층(모두 미도시)을 중첩시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층은, 폴리 에스테르, 폴리 프로필렌, 폴리 스티렌, 나일론 등에 의해, 두께가 20㎛ 이상·50㎛ 이하로 이루어진 필름상으로 형성되고, 열용착층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를 수 %이상· 수십 % 이하 포함하는 폴리 에틸렌계 시란트를, 두께 20㎛ 이상·40㎛ 이하의 막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시트 부재(48)는, 이 유출측 개구부(47)를 밀봉함으로써, 구획용 틀(46)의 일측면에, 그 가장자리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시트 부재(48)의 길이는, 구획용 틀(46)의 길이(Y축) 방향으로 왕복하여 부착하기 위해, 현상 장치(30)의 길이 방향 길이의 2배 이상이 된다. 시트 부재(48)는, 도 5의 앞쪽이 접어겹침부(48A)가 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48A)까지가 왕로(48B)로 되어 구획용 틀(46)에 부착되고, 반화부(48A)로부터 자유단까지가 복로(48C)가 되고, 이 자유단이, 상측 하우징(33)과 하측 하우징(32) 사이에 형성된 안내홀(미도시) 및 사이드 커버(34)의 시트 통로(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구획용 틀(46)에서부터 시트 부재(48)를 박리할 때, 사이드 커 버(34)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자유단을 화살표(A)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복로(48C)가 안측에서 끌려 접어겹침부(48A)가 안측으로 차례로 이동하고, 왕로(48B)의 안측이 구획용 틀(46)로부터 순차적으로 벗겨진다. 그리고 , 시트 부재(48)가 구획용 틀(46)로부터 벗겨짐으로써, 유출측 개구부(47)가 개구되고, 현상제 수용부(35)와 현상부(36)가 연결된다.
다음에, 현상제 수급부(50)의 구조에 대하여,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4 중의 화살표 Ⅵ-Ⅵ 방향을 본 단면도이다.
이 현상제 수급부(50)는, 상측 하우징(33) 상에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된 긴 규제홀(50B)을 갖는 외형부(50A)와, 이 외형부(50A) 안을 접동하고, 상기 규제홀(50B)에 결합하는 돌기(50D)가 돌출하여 설치된 덮개부(50C)와, 이 덮개부(50C)를 폐문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0E)을 갖는다. 상기 상측 하우징(33) 중 현상제 수급부(50)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유입측 개구부(51)가 형성된다.
다음에, 현상제 수급부(50) 및 시트 부재(52)의 관계를 설명한다. 시트 부재(52)는, 유입측 개구부(51)를 밀봉함으로써, 상측 하우징(33)의 내측면에, 그 가장자리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시트 부재(5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좌측이 접어겹침부(52A)가 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52A)까지가 왕로(52B)가 되어 유입측 개구부(51)의 주위 부위에 부착하고,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까지가 복로(52C)가 된다. 시트 부재(52)의 자유단(52D)은, 상측 하우징(33)에 형성되는 안내홀(53)과 하측 하우징(32)에 부착되는 밀폐 밀봉재(54) 와의 사이, 또한 사이드 커버(34)에 형성된 시트 통로(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안내홀(53)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을 향하여 왕로(52B)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 되어, 하측 하우징(32)에 형성된다. 즉, 왕로(52B)에 중첩되어 반환된 복로(52C')를 그대로의 상태에서 연장시킨 자유단(52D')을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위치와, 안내홀(53)의 위치에서는, 길이L만큼 어긋나게 된다.
<실시 형태의 특징>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을 설명하기 전에, 상기 구성의 현상 장치(30)에서, 발명자는, 시트 부재를 빼내는 도중에 절단되는 원인에 대하여 추궁했다. 즉, 상술한 시트 부재(52)는, 접어겹침부(52A)가 현상제 수용부(35) 내에 배치된다. 이때문에, 반송시 등에 있어서 현상제 수용부(35) 내의 현상제(G)가 교반됨으로써, 시트 부재(52)의 접어겹침부(52A)의 내측 등에 현상제가 말려 들어가는 일이 있다.
그리고, 현상 장치(30)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 상태 그대로, 유저가 시트 부재(52)를 빼내는 작업을 시작하면, 접어겹침부(52A)의 내측에 말려 들어간 현상제(G)가 빠져나갈 수 없고, 이 현상제(G)가 시트 부재(52)를 빼내는 힘으로 압축되어 덩어리가 되고,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의 저항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무리하게 시트 부재(52)를 당기면, 시트 부재가 무리하게 당겨져, 절단에 이른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30)에 서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측 개구부(51)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52)에 대하여, 복로(52C)의 자유단(52D) 측을 왕로(52B)를 향하여 가압하는 휨 가능한 가압판(81)(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유출측 개구부(47)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48)에서도 가압판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구성· 동작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가압판(81)은, 기단측(基端側)(81A)이 하측 하우징(32) 내측에서, 안내홀(53)의 하측에 접착 고착되어, 선단측(81B)이 복로(52C)를 왕로(52B)에 가압하도록, 하측 하우징(33)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 가압판(81)은, 그 폭치수가, 시트 부재(52)의 폭치수보다도 짧고, 유입측 개구부(51)의 X축 방향의 치수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판(81)의 재질은, 시트 부재(52)의 재질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가압판(81)은, 복로(52C)를 왕로(52B)측으로 가압하는 형이 되고, 복로(52C)가 왕로(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하고, 휨의 발생을 없앤다. 또한, 가압판(81)의 복로(52C)에 대한 가압력에서, 이 복로(52C)의 일부를 절곡하여, 복로(52C)를 왕로(52B)측으로 가압하는 것과 더불어, 시트 부재(52)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현상 장치(30)를 미사용 상태 시에, 복로(52C)와 왕로(52B)와의 사이나 시트 부재(52)와 상측 하우징(33)과의 사이 등에 현상제가 끼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현상 장치(30)를 프로세스 카트리지(12)의 기대에 장착하여 사용할 시 에, 유저가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자유단(52D)을 화살표(Ba)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복로(52C)가 잡아 당겨져,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안내홀(53)에 이르는 복로(52)C)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이 가압판(81)의 가압력을 극복할 때, 선단부(81B)가 화살표(Ca)방향으로 개구되고(도 7의 (a)), 시트 부재(52)의 복로(52C)와 왕로(52B)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틈이 형성된다(도 7의 (B)). 이에 따라, 복로(52C)와 왕로(52B)와의 사이에 현상제가 가령 끼어 있을 때에도,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 형성되는 틈에 의해 배제된다.
한편, 시트 부재(52)를 화살표(Bb)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복로(52C)는 화살표(Cb)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고, 반송부(52B)측의 왕로(52B)가 유출측 개구부(51)의 주위 부위로부터 벗겨지기 시작한다. 또한,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자유단(52D)을 또한 화살표(Bc) 방향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접어겹침부(52A)가 화살표 (Cc)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왕로(52B)가 박리되게 된다. 시트 부재(52)가 완전하게 빼낸 후는, 가압판(81)은 안내홀(53)을 내측으로부터 막는 뚜껑이된다.
여기서, 시트 부재(52)의 단단함(스프링 정수)에 따른 힘을 E, 가압판(18)의 단단함(스프링 정수)에 따른 힘을 F, 시트 부재를 빼낼 때의 복로(52C)(접어겹침부(52A)로부터 안내홀(53) 까지의)에 가한 장력을 G라고 하면, E<F<G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상기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즉, E<F의 관계에 있을 때, 빼낼 때에 복로(52C)에 가하는 장력(G)이 커져 F<G가 됨으로써, 상기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 다.
이렇게, 가압판(81)이, 현상 장치(30)의 미사용 상태에서, 복로(52C)를 왕로(52B)를 향하여 가압하여 양 부재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 복로(52C)의 왕로(52B)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양 부재 사이에 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52)에 현상제가 쌓이는 것을 저지하고,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52)를 파손하는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낸 변형예로, 본 발명을 구성해도 된다.
[변형예 1]
변형예 1은, 가압판(81) 대신에 가압 부재(82)를 설치한 것이다(도 8 참조). 이 가압 부재(82)는, 비틀어짐 변형 가능한 탄성 재료(예를 들면, 독립 기포의 발포 수지)에 의해 각주체(角柱體)로서 형성된다.
이 가압 부재(82)는, 기단측(82A)이 하측 하우징(32)의 내측에서, 안내홀(53)의 하측으로 접착 고정되고, 선단측(82B)이 복로(52C)를 왕로(52B)에 가압시키도록, 상측 하우징(33)을 향하여 연장되고, 시트 부재(52)의 두께 분을 놓치기 때문에, 일부에 절결부(82C)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82C)는 없어도 된다. 가압 부재(82)는,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로(52C)를 왕로(52B)측에 가압하는 형으로 되어, 복로(52C)가 왕로 (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하고, 휨 발생을 없앤다. 또한, 가압 부재(82)의 복로(52C)에 대한 가압력에서, 이 복로(52C)의 일부를 절곡하여, 복로(52C)를 왕로(52B)측에 가압시키는 것과 더불어, 시트 부재(52)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자유단(52D)을 외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복로(52C)가 잡아 당겨져,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안내홀(53)에 이르는 복로(52C)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이 가압 부재(82)의 가압력을 극복했을 때, 가압 부재(82)(선단부(82B))가 수축하는 동시에, 가압 부재(82) 자체가 비틀어진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왕로(52B)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틈이 형성된다(도 8의 (a), (b)).
이와 같이, 변형예 1에서도,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을 연주한다.
[변형예 2]
[변형예 2-1]
변형예 2는, 한 쌍의 클립(83)을 상측 하우징(33)에 설치한 것이다(도 9 및 도 10을 참조). 이들 클립(83)은,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33) 내측의, 안내홀(53)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또한, 안내홀(53)보다도 상측 하우징(33)의 현상제 수급부(50)(도 10에 미도시) 측 위치에 설치되어, 선단이 절곡되어, 휨 가능한 판재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당해 현상 장치(30)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10의 (a)에 나타난 바 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안내홀(53)에 통과시킨 후에, 복로(52C)를 절곡시키고, 시트 부재(52)의 양측이 클립(83, 83)에 걸린다. 복로(52C)에 형성된 절곡에 의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로(52C)가 왕로(52B)측에 가압시킨 상태로 되어, 복로(52C)가 왕로(52C)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 부재(52)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없앤다. 또한, 클립(83)에 복로(52C)를 걸리게함으로써, 이 복로(52C)가 절곡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되고, 복로(52C)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자유단(52D)을 외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복로(52C)가 잡아 당겨지고,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안내홀(53)에 이르는 복로(52C)에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이 클립(83)의 사이의 힘을 극복했을 때, 클립(83)이 순간적으로 신장되어, 복로(52C)를 개방하여 고정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왕로(52B)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틈이 형성되게 된다.
[변형예 2-2]
또한, 도 11의 바와 같이, 개구부로부터 안내홀까지의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상측 하우징(33)에, 유입측 개구부(51)를 향하여 신장한 지지 돌기(83A)를 돌출형성하고, 그 선단 양측에 클립(83, 83)을 설치해도 된다.
그리고, 지지 돌기(83A)의 각 클립(83)에,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걸리게함으로써, 복로(52C)를 왕로(52B)측에 가압시킨 상태가 된다. 또한, 클립(83) 에 의해 복로(52C)의 고정을, 유입측 개구부(51)의 근접하게 행함으로써, 왕로(52B)에 대한 복로(52C)의 뜨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행한다.
[변형예 3]
변형예 3은, 형판(84)을 시트 부재(52)의 복로(52C)에 설치한 것이다(도 12 참조). 이 형판(84)은, 시트 부재(52)와 함께 안내홀(53)을 통과한다. 이 형판(84)의 재질은, 시트 부재(52)의 재질보다도 단단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선단 부분이 「L」자상으로 절곡된 편(84A)의 길이는 길이 L(도 6 참조)에 대응한다.
그리고, 당해 현상 장치(30)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1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형판(84)과 함께 안내홀(53)에 통과된 후에, 형판(84)의 편(84A)이, 복로(52C)를 절곡한 상측 하우징(33)의 내면에 닿을때까지 삽입한다. 이에 따라, 복로(52C)에 절곡이 형성되게 되고, 다른 예와 마찬기지로, 복로(52C)가 왕로(52B) 측에 가압시키는 상태가 되어, 복로(52C)가 왕로(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자유단(52D)을 외측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형판(84)도 함께 빼내어지고, 편(84A)에서 절곡된 부분이 안내홀(53)을 통과함으로써, 절곡이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왕로(52B)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왕로(52B)와 복로(52C)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형판(84)은, 시트 부재(52)에 미리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도 되며, 겹쳐서 안내홀(53)에 통과시켜도 된다.
[변형예 4]
변형예 4는, 시트 부재(52)의 복로(52C)의 일부를 상측 하우징(33)에 가압하는 가압판(85)을 설치한 것이다. 이 가압판(85)은, 케이싱(31)에 형성된 삽입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빼내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당해 현상장치(30)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안내홀(53)에 통과한 후에, 복로(52C)를 상측 하우징(33)의 내측으로 가압하도록, 가압판(85)를 삽입홀에 삽입한다. 이 가압판(85)에 의해, 복로(52C)의 일부에 절곡이 형성되고, 다른 예와 마찬가지로, 복로(52C)가 왕로(52B) 측에 가압시킨 상태가 되어, 복로(52C)가 왕로(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가압판(85)을 빼내고, 복로(52C)의 상측 하우징(33)에 대하여 가압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복로(52B)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왕로(52B)와 복로(52C)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변형예 5]
변형예 5는,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왕로(52B)에 가압시키고, 빼낼 때 에는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구(駒)(86)를 설치하게 된다. 이 가압구(86)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圓柱)체 일부를 노치하여 형성되고, 둘레면이 가압면(86B), 노치면이 회피면(86C)으로 된 본체부(86A)와, 이 본체부(86A)의 양측에 형성된 가장자리부(flange)(86D, 86D)와, 가장자리부(86D, 86D)의 중심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축부(86E)를 갖는다. 이 가압구(86)은, 각 축부(86E)가 케이싱(31)에 형성된 브래킷(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당해 현상 장치(30)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도 1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트 부재(52)의 복로(52C)를 안내홀(53)에 통과시킨 후에, 가압구(86)을 회전시켜, 가압면(86B)이 복로(52C)에 닿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복로(52C)가 왕로(52B)측에 가압시킨 상태가 되고, 복로(52C)가 왕로(52B)로부터 뜨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도 1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유단(52D)을 화살표(a) 방향으로 당기면, 복로(52C)가 왕로(52B)에 가압시킨 상태 그대로, 접어겹침부(52A)가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왕로(52B)가 벗겨지기 시작하고, 복로(52C)가 화살표(a) 방향에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복로(52C)에 맞는 가압면(86B)도 움직이고, 가압구(86)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대로, 시트 부재(52)를 계속 빼내면, 복로(52C)가 가압면(86B)의 가압으로부터 어긋나 회피면(86C)에 접촉한다. 이때, 가압구(86)의 복로(52C)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기 때문에, 시트 부재(52)의 복로(52C)가, 접어겹침부(52A)로부터 자유단(52D)(안내홀(53))을 향하여 왕로(52B)가 서서히 이격되도록 개구되어, 왕로(52B)와 복 로(52C)와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변형예 5에서는, 원주체의 일부를 노치하여 가압면(86B)와 회피면(86C)을 형성한 형의 가압구(86)를 사용한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현상 장치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복로(52C)를 왕로(52B)에 가압시키고,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이 가압을 해제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형상이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단면을 타원, 긴원 형상으로서, 미사용 상태에서는, 반경이 긴 부분을 복로(52C)에 대어, 복로(52C)를 왕로(52B)에 가압시키고, 시트 부재(52)를 빼낼 때에는, 반경이 짧은 부분을 복로(52C)에 대어, 복로(52C)의 왕로(52B)에 대하여 가압을 해제하면 된다.
또한, 구를 회전시켜, 복로(52C)의 왕로(52B)에 대하여 가압을 가하거나, 해재시키거나 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복로(52C)에 주는 가압을 스프링 등에서 행하여도 된다. 이 때의 스프링(H)은, 시트 부재(52)의 단단함(스프링 정수)에 따른 힘을 E로 하면, E<H의 관계를 만족시키면 된다.
[변형예 6]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 3 내지 5에서는, 개구부로부터 안내홀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경우를 예시하지만, 이 거리가 긴 경우에는, 변형예 2-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 돌기(83A)를 돌출 형성시켜, 이 지지 돌기(83A)에 따른 복로(52C)의 일부를 절곡하도록 가압 수단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7]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가압 수단을 현상 장치(30)에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 것에 한정하지 않고, 토너 카트리지 등과 같이, 현상제 수용부를 구비하고, 현상제 수용부 내에 개구부를 밀봉하는 시트 부재가 채용되는 현상제 수용기에 적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변형예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가 현상 장치의 시트 부재를 빼낸 후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당해 현상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현상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미사용 상태(시트 부재의 빼내지 않고 있음)의 현상 장치에 장착한 후에, 자동적으로 시트 부재를 빼내는 기구를 구비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사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현상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실시 형태에 다른 현상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중의 화살시 Ⅳ-Ⅳ 방향으로부터 본 부분 단면도.
도 5는 구획용 틀과 시트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 중의 화살시 Ⅵ-Ⅵ 방향으로 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변형예 1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변형예 2-1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변형예 2-1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변형예 2-2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변형예 3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변형예 4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변형예 5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변형예 5에 따른 특징 부분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상 형성 장치
11(11Y, 11M, 11C, 11B) : 화상 형성 유닛
12 : 프로세스 카트리지
13 : 감광체 드럼(상유지체)
14 : 대전롤
21 : 노광 장치
30 : 현상 장치
31 : 케이싱
31A : 개구부
32 : 하측 하우징
33 : 상측 하우징
34 : 사이드 커버
35 : 현상제 수용부
36 : 수용부
43 : 마그롤(magnetic roll : 현상제 유지체)
44 : 트리머 부재(trimmer member)
45 : 패들(paddle)
46 : 구획용 틀
47 : 유출측 개구부
48, 52 : 시트 부재
48A, 52A : 접어겹침부
48B, 52B : 왕로
48C, 52C :복로
50 : 현상제 수급부
51 : 유입측 개구부
52D :자유단
53 : 안내홀
53A, 53B : 홀단면(孔端面)
54 : 밀폐 밀봉재
55 : 누설 방지 밀봉재
81 : 가압판(가압 수단)
82 : 가압 부재(가압 수단)
83 : 클립(가압 수단)
84 : 형판(型板)(가압 수단)
85 : 가압판(가압 수단)
86 : 가압구(駒)(가압 수단)
G : 현상제

Claims (10)

  1.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유지체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상기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측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수용되는 현상제를 유지하여 상기 상유지체와 대향하는 현상 영역까지 반송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이며, 상기 유출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되고, 기점(基点)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往路), 상기 접어겹침부에서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復路)로 이루어져 있는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 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현상제가 유입되는 유입측 개구부를 더 갖고,
    상기 하우징에는,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입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입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에서, 상기 유입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 상기 접어겹침부에서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상기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 되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기 복로의 상기 자유단측을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 보다 단단한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휨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시트 부재 보다 단단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신축(伸縮)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복로를 일시적을 고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자유단측의 고정을 해제하는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상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장치.
  8. 표면에 정점 잠상이 형성되는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서 가시상화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표면에 정점 잠상이 형성된 상유지체와,
    상기 상유지체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에서 가시상화하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 장치와,
    상기 상유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잠상 형성 수단과,
    상기 정전 잠상을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가시상화한 토너상을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외부를 향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가 개구되고, 현상제가 유출하는 유출측 개구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밀봉하고, 사용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빼내어 상기 유출측 개구부를 개구시키는 시트 부재이며, 상기 유출측 개구부에 대하여 접어겹치어 밀봉되고, 기점으로부터 접어겹침부까지가 왕로, 상기 접어겹침부로부터 선단의 자유단이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복로로 이루어진 시트 부재와,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접어겹침부로부터 자유단을 향하여 상기 왕로로부터 서서히 이격되는 위치로되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고,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의 상기 복로가 삽입되어, 상기 시트 부재를 빼 낼 때에 당해 시트 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홀과,
    당해 현상제 수용기의 미사용 상태에서, 상기 시트 부재 중 상기 복로를 상기 왕로를 향하여 가압하고, 상기 시트 부재를 빼낼 때에, 상기 복로의 상기 왕로를 향한 가압을 해제하는 가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제 수용기.
KR1020090020855A 2008-08-20 2009-03-11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KR101030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11788A JP4609548B2 (ja) 2008-08-20 2008-08-20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JP-P-2008-211788 200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908A true KR20100022908A (ko) 2010-03-03
KR101030560B1 KR101030560B1 (ko) 2011-04-21

Family

ID=41091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855A KR101030560B1 (ko) 2008-08-20 2009-03-11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69317B2 (ko)
EP (1) EP2157483A2 (ko)
JP (1) JP4609548B2 (ko)
KR (1) KR101030560B1 (ko)
CN (1) CN101655683B (ko)
AU (1) AU2009201087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651B2 (ja) * 2008-03-21 2010-10-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6106132B2 (ja) * 2014-07-15 2017-03-29 東邦アストリー株式会社 トナー排出口の封止構造及び封止部材
CN107643667B (zh) * 2016-07-22 2023-10-20 纳思达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盒以及处理盒的包装盒
JP6664139B2 (ja) 2018-02-26 2020-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4849U (ja) * 1983-12-23 1985-07-17 京セラ株式会社 静電潜像現像装置
JPH0544828Y2 (ko) * 1987-10-07 1993-11-15
JPH01113252U (ko) * 1988-01-26 1989-07-31
JPH07168444A (ja) * 1993-12-16 1995-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285738B2 (ja) 1995-07-11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437340B2 (ja) * 1995-07-20 2003-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装置
JP2954140B2 (ja) * 1998-02-27 1999-09-27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001125357A (ja) 1999-10-25 2001-05-11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499506B2 (ja) * 2000-05-22 2004-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US6760556B2 (en) * 2002-07-16 2004-07-06 Cf Technologies Sealing member and toner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sealing member
JP2004170904A (ja) * 2002-11-08 2004-06-17 Ricoh Co Ltd 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6842595B1 (en) * 2003-10-29 2005-01-11 Static Control Components, Inc. Multi-level seal
JP3997213B2 (ja) * 2004-03-31 2007-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6195343A (ja) * 2005-01-17 2006-07-27 Canon Inc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5683B (zh) 2012-05-30
KR101030560B1 (ko) 2011-04-21
EP2157483A2 (en) 2010-02-24
AU2009201087B2 (en) 2010-09-09
CN101655683A (zh) 2010-02-24
JP4609548B2 (ja) 2011-01-12
JP2010048944A (ja) 2010-03-04
AU2009201087A1 (en) 2010-03-11
US7769317B2 (en) 2010-08-03
US20100046981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1006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27626B2 (ja) 現像剤容器、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容器の製造方法
JP200630901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24225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把持部材部品
JP3555102B2 (ja) シール部材及び収納容器並びに該シール部材を有する容器
KR101030560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JP200914567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073283A (ja) 粉体収容容器、画像形成装置
JP5712529B2 (ja) 現像装置
JP459605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JP456965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US10152021B2 (en) Cartridge that reduces contact with photosensitive member
JP2017187720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06802B2 (ja)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U2011202847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JP3970275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6024548B2 (ja) 現像ユニット、作像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5132770A (ja) トナー収容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168582A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0227703A (ja) 剤封止部材除去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221940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