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530A -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 Google Patents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530A
KR20100021530A KR1020107001236A KR20107001236A KR20100021530A KR 20100021530 A KR20100021530 A KR 20100021530A KR 1020107001236 A KR1020107001236 A KR 1020107001236A KR 20107001236 A KR20107001236 A KR 20107001236A KR 20100021530 A KR20100021530 A KR 20100021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nd layer
adhesive bond
substrate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735B1 (ko
Inventor
도모유키 이시마츠
히로키 오제키
Original Assignee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21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using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6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material in insulating or poorly conductive material, e.g. conductive rub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 H05K3/323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conductive adhesives by apply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yer over an array of pa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layer and/or the carrier being conduc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5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16221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1622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75Plural core members
    • H01L2224/2908Plural core members being stacked
    • H01L2224/29082Two-lay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199Material of the matrix
    • H01L2224/2929Material of the matrix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298Fillers
    • H01L2224/29299Base material
    • H01L2224/293Base 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the layer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 H01L2224/8310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the layer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as prepeg comprising a layer connector, e.g. provided in an insulating plat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385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 H01L2224/83851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be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5Phosphorus [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3Vanadium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7Cobalt [C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8Cerium [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4Tungsten [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665Epoxy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78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 H01L2924/0781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being an ohmic electrical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78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 H01L2924/0781Adhesive characteristics other than chemical being an ohmic electrical conductor
    • H01L2924/07811Extrinsic, i.e. with electrical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74Flip chi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1Treatm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e.g. heating, cooling, roughening
    • H05K2203/1189Pressing leads, bumps or a die through an insulating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락(쇼트)을 일으키지 않고서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접착제층에 밀착된 제2 접착제층을 가지며, 상기 제1 접착제층은,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가, 상기 제2 접착제층의,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고,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각각 기판과 전자 부품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끼리를 가열 압박하면,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착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막 두께가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2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ADHESIVE FILM, CONNECTION METHOD, AND ASSEMBLY}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판에 전자 부품 또는 배선판을 접속할 때에는 이방도전성 접착제가 이용되고 있다. 이방도전성 접착제는 바인더 및 바인더 중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를 갖고 있다.
기판의 단자가 배치된 면과 전자 부품의 단자가 배치된 면의 사이에, 이방도전성 접착제를 배치하여 가열 압박하면, 연화된 바인더가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에서 눌려서 밀려, 도전성 입자가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에 협지되어, 기판과 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바인더가 눌려 밀릴 때에는, 도전성 입자의 일부가 바인더와 함께 눌려서 밀리고, 눌려서 밀린 도전성 입자가 기판의 인접하는 단자 사이 또는 전자 부품의 인접하는 단자 사이로 흘러들어가, 인접하는 단자 사이가 도전성 입자에 의해 단락(쇼트)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전성 입자가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에서 눌려 밀리게 되면,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에 의해 도전성 입자가 협지되는 수가 적어져, 도통 신뢰성도 떨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6-3233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7-230840호 공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여, 이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단락(쇼트)을 일으키지 않고서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즉,
<1>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접착제층에 밀착된 제2 접착제층을 지니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은,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가, 상기 제2 접착제층의,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고,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각각 기판과 전자 부품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가열 압박하면,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착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막 두께가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2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필름이다.
<2> 제2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가, 도전성 입자가 함유된 상태의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의 0.05배 이상 0.2배 이하인 상기 <1>에 기재한 접착 필름이다.
<3> 제1 접착제층이 최저 점도가 되는 온도와, 제2 접착제층이 최저 점도가 되는 온도의 차가 10℃ 이하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접착 필름이다.
<4>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를,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대향시키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가열 압박함으로써, 상기 기판의 단자와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에 상기 접착 필름 중의 도전성 입자를 협지시켜,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이다.
<5> 상기 <4>에 기재한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접속된 기판과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종래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단락(쇼트)을 일으키지 않고서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시킬 수 있는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접착제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로, 도 5의 횡축은 접착제의 온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점도(MPa)이다. 또, 도 5의 종축은 대수 표시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가 승온하면, 접착제는 어느 온도(여기서는 약 100℃) 범위까지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점도가 저하하지만, 어느 온도를 넘으면, 열경화성 수지의 중합이 시작되어 접착제가 경화하기 때문에, 점도가 상승으로 바뀐다.
본 발명에서 최저 점도란, 예컨대, 접착제층에 포함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중합이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시의 점도, 즉, 저하에서 상승으로 바뀔 때의 점도이다.
도 5의 부호 A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된 상태의 접착제(제1 접착제층)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5의 부호 N은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제2 접착제층)의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이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 열경화성 수지의 종류 또는 배합량,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 또는 배합량을 바꿈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를 제2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은 적어도 최저 점도에 달하기 전까지는 제2 접착제층보다도 점도가 높으므로, 적어도 경화 시작 전에는 제2 접착제층에 비해서 유동성이 낮고, 제1 접착제층에 분산된 도전성 입자의 이동성도 낮다.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에는 열경화성 수지의 중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경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에 이용하는 열경화성 수지의 종류 또는 배합량, 경화제의 종류 또는 배합량을 바꿈으로써,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의 경화 개시 온도와 제2 접착제층의 경화 개시 온도의 차를 10℃ 이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대향하는 단자 사이에서 도전성 입자가 눌려서 밀려나는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대향하는 단자 사이에 포착되는 도전성 입자의 수가 증가하여, 인접하는 단자 사이가 도전성 입자로 인해 단락(쇼트)하지 않고, 도통 신뢰성이 높은 접속체를 얻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접착 필름을 롤에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예 1).
도 3b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예 2).
도 3c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예 3).
도 3d는 전자 부품을 기판에 접속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예 4).
도 4는 전자 부품이 기판에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점도와 온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양태
(접착 필름)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은,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접착제층에 밀착된 제2 접착제층을 적어도 지니고, 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한 그 밖의 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접착제층>
상기 제1 접착제층은 도전성 입자를 적어도 포함하며, 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전성 입자-
상기 도전성 입자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금속 입자 및 수지 입자의 표면에 금속 도금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실란 커플링제 및 무기 필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층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한 쪽이 제1 접착제층과 제2 접착제층과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상기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한 쪽이 제1 접착제층과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상기 무기 필러를 첨가한 쪽이 난연성 및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열경화성 수지-
상기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후술하는 제2 접착제층에 경화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지만, 경화제를 첨가한 쪽이 경화 속도가 빨라진다.
-경화제-
상기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가 에폭시 수지인 경우, 마이크로캡슐화된 아민계 경화제를 경화제에 이용하면 에폭시 수지가 음이온 중합하고, 오늄염이나 술포늄염을 경화제에 이용하면 에폭시 수지가 양이온 중합하며, 또한, 열경화성 수지가 열경화성 폴리에스테르인 경우는 유기과산화물을 경화제에 이용하면 라디칼 중합한다.
-열가소성 수지-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페녹시 수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불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
상기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비닐실란, 에폭시실란, 아미노실란, 머캅토실란, 이소시아네이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필러-
상기 무기 필러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2배 미만이 바람직하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50% 이상 15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접착제층>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상기 제1 접착제층과 밀착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예컨대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한 그 밖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열경화성 수지는 상기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다.
-그 밖의 성분-
상기 그 밖의 성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 실란 커플링제, 무기 필러 및 도전성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가소성 수지, 상기 실란 커플링제 및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다. 상기 도전성 입자로서는, 상기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 기재한 바와 같지만, 상기 제2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의 밀도는 상기 제1 접착제층에 있어서의 도전성 입자의 밀도보다도 작다.
상기 제2 접착제층에는,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한 쪽이 상기 제2 접착제층과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실란 커플링제를 첨가한 쪽이 상기 제2 접착제층과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향상되고, 무기 필러를 첨가한 쪽이 난연성 및 인접하는 단자 사이의 절연성이 향상된다.
또한, 가열에 의해서 점도가 저하하는 것이라면,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의 양쪽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예컨대,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유시키지 않고, 수지 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만을 함유시키더라도 좋다.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은 DSC(시차주사열분석)의 발열 피크 온도 영역이 60℃~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60℃보다도 낮은 경우는, 접착 필름을 피착체에 임시로 붙여, 가고정할 때에,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이 경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고, 140℃보다도 높은 경우는, 본 압착에 드는 시간이 20초를 넘어, 양산성이 나빠진다. 한편, DSC의 발열 피크가 출현하는 온도는 경화 개시 온도이며, 즉, 본 발명에서는 경화 개시 온도가 6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2 접착제층에서, 경화 개시 온도에 차가 지나치게 나면, 제1 단자 및 제2 단자가 도전성 입자를 협지하기 전에, 어느 쪽의 접착제층이 경화되어 버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접착제층의 경화 개시 온도와 상기 제2 접착제층의 경화 개시 온도의 차는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상기 제2 접착제층은 10 Pa·s 이상 100,000 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10 Pa·s 미만인 경우는 점도가 저하했을 때에 기포를 끌어들이기 쉽고, 100,000 Pa·s보다 높은 경우는 피착체를 밀어 넣지 않아, 양호한 접속 저항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제2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는 상기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보다도 낮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의 0.05배 이상 0.2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밖의 층>
그 밖의 층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접착 필름의 일례에 관해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접착 필름(10)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접착 필름(10)은, 제1 접착제층(11)과 제1 접착제층(11)의 표면에 배치된 제2 접착제층(12)을 지니고, 제1 접착제층(11)에는 도전성 입자(15)가 분산되어 있다. 도전성 입자(15)는 제1 접착제층(11)에만 분산되어 있고, 제2 접착제층(12)에는 도전성 입자는 분산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는, 접착 필름(10)의 제2 접착제층(12)측의 면에, 박리 필름(19)이 밀착 배치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박리 필름(19)이 밀착한 상태의 접착 필름(10)을 권취하여 롤(18)을 형성하면, 제1 접착제층(11)의 표면이 박리 필름(19)의 이면에 밀착한다.
도 3a에서는 피착체인 기판(3)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기판(3)은 예컨대 LCD 패널 등이며, 유리판과 같은 기판 본체(31) 및 기판 본체(31)의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단자(35)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18)로부터 접착 필름(10)을 풀어내고, 제1 접착제층(11)을 박리 필름(19) 이면에서 박리시켜서, 제1 접착제층(11)의 표면을 노출시켜, 접착 필름(10)을 소정 형상으로 잘라낸다.
잘라낸 접착 필름(10)의 제1 접착제층(11)이 노출하는 면을 기판(3)의 제1 단자(35)가 노출하는 면에 밀착시켜, 임시로 붙인다.(도 3b).
잘라낸 접착 필름(10)에 박리 필름(19)이 밀착하고 있는 경우는, 임시로 붙이기 전 또는 임시로 붙인 후에, 박리 필름(19)을 박리하여, 제2 접착제층(12) 표면을 노출시킨다.
접착 필름(10)을 임시로 붙이는 피착체는, 기판(3)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부품(4)의 제2 단자(45)가 배치된 측의 면을 제2 접착제층(12) 표면에 밀착시켜 임시로 붙이고 나서, 제1 접착제층(11)의 표면에, 기판(3)의 제1 단자(35)가 배치된 면을 밀착시켜 가고정하더라도 좋다.
도 3c에서는, 기판(3)에 접속되는 피착체(4)이며, 기판(3)보다도 평면 형상이 작은 전자 부품(4)을 도시하고 있고, 전자 부품(4)은 부품 본체(41)와 부품 본체(41)의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2 단자(45)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접착 필름(10)을 이용하여 접속하는 피착체(4)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반도체 칩, 저항 소자, COF(Chip On Film) 디바이스 및 TAB(Tape Automated Bonding) 디바이스 등이 있다.
각 제1 단자(35)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피치)와, 각 제2 단자(45)와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범프 사이 스페이스)는 같게 되어 있으며, 각 제1 단자(35)의 바로 위의 위치에, 제2 단자(45)가 각각 위치하도록, 전자 부품(4) 위치를 맞추고,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부품(4)의 제2 단자(45)가 배치된 측의 면을 제2 접착제층(12) 표면에 밀착시켜, 가고정한다.
기판(3)의 표면 및 전자 부품(4)의 표면에는, 인접하는 제1 단자(35) 사이와 인접하는 제2 단자(45) 사이에 각각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의 깊이가, 기판(3) 표면 및 전자 부품(4)의 표면에, 각각 돌출되는 제1 단자(35) 및 제2 단자(45)의 높이로 되어 있다.
제1 단자(35)의 높이는 제2 단자(45)의 높이보다도 낮고, 가고정된 상태에서는, 제1 단자(35) 사이의 오목부 저면에는 제1 접착제층(11)이 밀착하고 있거나, 또는 이격하고 있었다고 해도, 제1 접착제층(11)과의 사이의 거리는 제2 단자(45) 사이의 오목부의 저면과 제2 접착제층(12)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다.
이 상태에서, 기판(3) 및 전자 부품(4)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가열 수단을 바싹 대어, 가고정 때보다도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압박하여 본 압착을 실시하면, 제1 단자(35) 사이의 오목부 저면은 제1 접착제층(11)과 거의 밀착하기 때문에, 제1 접착제층(11)이 가열되어 연화되더라도, 제1 접착제층(11)은 대향하는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에서 인접하는 제1 단자(35) 사이로 눌려 밀리지 않는다.
더구나, 제1 접착제층(11)의 최저 점도는 제2 접착제층(12)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으므로, 제1 접착제층(11)은 더 한층 인접하는 제1 단자(35) 사이로 흘러들어가기 어렵다.
이에 대하여, 제2 단자(45) 사이의 오목부 저면은 제2 접착제층(12)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가열에 의해서 제2 접착제층(12)이 연화되면, 제2 접착제층(12)은 대향하는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에서 인접하는 제2 단자(45) 사이로 눌려 밀리게 된다.
제2 접착제층(12)에는 도전성 입자(15)가 분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분산되어 있었다고 해도 그 밀도는 제1 접착제층(11)보다도 작다. 따라서, 인접하는 제2 단자(45) 사이에 제2 접착제층(12)이 눌려 밀리더라도, 제2 단자(45) 사이는 단락(쇼트)되지 않는다.
제2 단자(45)의 높이는 제2 접착제층(12)의 막 두께 및 도전성 입자(15)의 평균 입자 지름의 합계보다도 크고, 제2 단자(45)는 제2 접착제층(12)을 눌러 밀어내, 선단이 제1 접착제층(11)에 도달하고, 또 제1 접착제층(11)을 눌러 밀어내,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에서 도전성 입자(15)를 협지한다(도 4).
제1 접착제층(11)의 막 두께는 도전성 입자(15)의 입자 지름의 2배 미만으로 되어 있고, 도전성 입자(15)는 제1 접착제층(11)의 막 두께 방향으로 2개 이상 겹쳐 쌓이지 않으므로,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로 도전성 입자(15)를 협지할 때에, 도전성 입자(15)가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에서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에 포착되는 도전성 입자(15)의 수는 많아지므로, 제1 단자(35)와 제2 단자(45) 사이의 도통 저항이 내려가고, 도전성 입자(15)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인접하는 제1 단자(35) 사이 또는 인접하는 제2 단자(45) 사이가 단락(쇼트)되지 않는다.
제1 단자(35) 및 제2 단자(45)가 전자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더욱 가열 압박을 계속하여, 제1 접착제층(11) 및 제2 접착제층(12)이 각각 경화 개시 온도 이상으로 승온하면, 제1 접착제층(11) 및 제2 접착제층(12)이 제1 단자(35) 및 제2 단자(45)의 주위를 둘러싼 상태에서 경화하여, 전자 부품(4)이 기판(3)에 기계적으로도 접속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의 제작>
고형 수지인 페녹시 수지를 용제(톨루엔/초산에틸=1/1)에 용해시켜 고형분 30 중량%의 용해품을 얻었다.
이어서, 용해품에, 경화제, 에폭시 수지, 무기 필러, 실란 커플링제 및 도전성 입자를 페녹시 수지에 대한 배합 비율이 하기 표 1의 「ACF」란에 기재한 배합 비율이 되도록 첨가 및 혼합하여, 최종적으로, 고형분이 40 중량%이 되도록 톨루엔으로 조정한 접속 재료의 용해품을 제작했다.
접착제의 조성
상품명 연화점 ACF NCF-1 NCF-2
경화제 HX3941HP - 50부 50부 53부
에폭시 수지 EP828 - 9부 9부 13부
페녹시 수지 YP70 84℃ 0부 0부 33부
FX280 158℃ 30부 30부 0부
무기 필러 - 10부 10부 0부
커플링제 KBE403 - 1부 1부 1부
도전성 입자 AUL704 - 함유 무함유 무함유
(고형분 비율, 연화점 란의 「-」는 미측정을 나타냄)
상기 표 1에서, 상품명 「HX3941HP」는 아사히가세이케미컬즈(주)사 제조의 마이크로캡슐형 아민계 에폭시 경화제이며, 상품명 「EP828」은 재팬에폭시레진(주)사 제조의 비스페놀 A형 액상 에폭시 수지이며, 상품명 「YP70」은 도토가세이사 제조의 비스페놀 A와 비스페놀 B를 주골격에 함유하는 페녹시 수지이며, 상품명 「FX280」은 도토가세이사 제조의 플루오렌 골격 페녹시 수지이며, 상품명 「KBE403」은 신에츠가가쿠고교(주)사 제조의 에폭시 실란이며, 상품명 「AUL704」는 세키수이가가쿠고교(주)사 제조의 Ni/Au 도금 수지 입자(평균 입자 지름 4 μm)이다.
2개의 원주형 스테인리스 막대 사이에, 건조 후의 접속 재료의 막 두께가 각각 18 μm, 8 μm, 4 μm이 되도록 게이지를 협지하여, 50 μm 두께의 박리 필름 상에 접속 재료의 용해품을 얹고, 용해품이 실린 박리 필름을 상기 스테인리스 막대 사이를 통과시킨 후, 온도 90℃의 오븐에 3분간 방치하여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3종류의 막 두께 18 μm, 8 μm 및 4 μm의 접착제층(ACF)을 형성했다.
이어서, 배합 비율을 상기 표 1의 「NCF-1」 및 「NCF-2」란에 기재한 것으로 바꾸고, 막 두께를 8 μm과 14 μm로 바꾼 것 이외에는 상기 ACF와 같은 방법으로 접착제층(NCF-1, NCF-2)을 제작했다.
<점도 측정>
상기 표 1의 ACF, NCF-1 및 NCF-2에 나타내는 배합 비율로 제작한 접착제층을 각각 중합시켜 100 μm 두께로 한 것을 이용하고, 응력 제어형 레오미터(Haake사 제조 RS150)를 이용하여, 최저 점도 및 최저 점도에 도달할 때의 온도(도달 온도)를 측정했다. 한편, 콘으로는 직경 8 mm, 각도 2도인 것을 사용하고, 측정 범위는 30℃~ 250℃로 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한다.
최저 점도와 도달 온도
최저 점도 ACF NCF-1 NCF-2
점도 1.1 × 104 Paㆍs 1.1 × 104 Paㆍs 1.2 × 102 Paㆍs
도달 온도 101℃ 101℃ 101℃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도전성 입자(15)의 유무에 상관없이, 도전성 입자(15) 이외의 조성이 동일한 ACF 및 NCF-1은 최저 점도와 도달 온도가 동일했다. 한편, NCF-2는 ACF 및 NCF-1과 도달 점도는 동일하지만, 최저 점도가 작았다.
NCF-2는 열경화성 수지인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의 배합 비율과, 열가소성 수지인 페녹시 수지의 종류 및 배합 비율, 및 무기 필러의 배합 비율이 ACF 및 NCF-1과는 다르므로, 열경화성 수지, 경화제,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 필러 등의 접착제 성분의 종류 또는 배합량을 바꿈으로써, 최저 점도를 변경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접착 필름의 제작>
막 두께 4 μm의 ACF, 막 두께 14 μm의 NCF-1 및 NCF-2는 하기 표 3의 조합으로 접합시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접착 필름을 제작했다.
접착 필름의 구성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ACF 층 두께 18 ㎛ 4 ㎛ 4 ㎛ 4 ㎛
입자 밀도 8000/mm2 8000/mm2 8000/mm2 3000/mm2
NCF 층 배합 조성 NCF-1 NCF-2 NCF-2
두께 14 ㎛ 14 ㎛ 14 ㎛
막 두께 18 μm의 ACF를 비교예 1의 접착 필름으로 했다. 또한, ACF 중의 도전성 입자의 밀도를 1 mm2당 8,000개에서 3,000개로 바꾼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으로 실시예 2의 접착 필름을 제작했다.
<실장 공정>
피착체로서, IC 칩(평가용 IC, 재질: 실리콘, 치수: 6.0 mm×6.0 mm, 두께: 0.4 mm, 범프: 금 스터드, 범프 두께: 20 μm, 범프 면적: 60 μm×60 μm, 범프 사이 스페이스: 20 μm, 피치: 80 μm) 및 ITO 코팅 유리(평가용 ITO 유리, 코닝사 제조, 품명: 1737F, 유리 사이즈: 세로 50 mm×가로 30 mm×두께 0.5 mm, ITO 패드 사이즈: 60 μm×60 μm, 피치: 80 μm)를 준비했다.
우선, ITO 코팅 유리 상에서, 7.0 mm×7.0 mm로 컷트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접착 필름에, 완충재(막 두께 70 μm의 테플론(등록상표))를 통해 압착기(툴 사이즈 8.0 mm×8.0 mm)를 바싹 대어, 80℃, 1 MPa, 2초 동안의 가압착 조건으로 임시로 붙였다.
이어서 IC 칩을 얼라이먼트하여, ITO 코팅 유리 상에 가고정한 후, 임시로 붙이기에 이용한 것과 동일한 압착기를 완충재(막 두께 70 μm의 테플론(등록상표))를 통해 IC 칩에 바싹 대어, 190℃, 3 MPa, 10초 동안의 본 압착 조건으로 가열 압박하고, IC 칩을 ITO 코팅 유리에 접속하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접속체를 얻었다.
한편, 범프 및 ITO 패드는 표면의 크기가 60 μm×60 μm이므로, 범프 및 ITO 패드가 접속되는 접속 면적은 3,600 μm2이다.
이들 4 종류의 접속체에 대해서, 하기 「입자 포착수」, 「포착 효율」, 「도통 저항」 및 「쇼트 발생율」을 조사했다.
[입자 포착수]
본 압착 후에, 20개의 범프에 대해서, 각 범프의 아래에 남아 있는 도전성 입자를 세었다.
[포착 효율]
포착 효율은, 본 압착 후에 몇 개의 입자가 포착되었는지를 퍼센테이지로 나타낸 값이다. 구체적으로는, IC 칩을 가고정했을 때에, 20개의 범프에 대해서, 각 범프 아래에 존재하는 도전성 입자의 수(평균)를 조사하여, 그 도전성 입자의 수 및 본 압착 후의 입자 포착수(평균)를 하기 식(1)에 대입하여 구했다.
포착 효율(%)=(본 압착 후의 입자 포착수)/(IC 칩 가고정 후에 IC 칩 범프 아래에 존재하는 입자수)×100 ……… 식(1)
[도통 저항]
본 압착 후에, IC 칩의 범프와 ITO 패드 사이의 도통 저항(단위: Ω)를 구했다. 「입자 포착수」의 최대치, 최소치, 평균 「포착 효율」 및 「도통 저항」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한다.
입자 포착수, 포착 효율, 도통 저항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입자 포착수 (단자 당) 최대치 12 13 28 10
최소치 4 4 14 6
평균 7 7 21 8
포착 효율 24.3% 24.3% 73.0% 75.1%
도전 저항 최대치 0.68 0.68 0.62 0.67
최소치 0.42 0.42 0.41 0.42
평균 0.54 0.54 0.51 0.54
(접속 면적 = 3,600 ㎛2, 측정수 N = 20)
상기 표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 포착 효율이 높았다. 실시예 2는, 도전성 입자 밀도가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반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입자 포착수 및 도통 저항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같은 정도였다.
이상으로부터,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를 제2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게 하고, 또, 제1 접착제층의 막 두께를 도전성 입자의 입자 지름의 2배 미만 정도로 작게 하면, 도전성 입자의 밀도를 높게 하지 않더라도, 높은 도통 신뢰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쇼트 발생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접착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IC 칩 및 ITO 코팅 유리를 접속할 때에, 범프 및 ITO 패드가, 수평 방향으로 10 μm 멀어지도록 미스얼라이먼트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장 공정」과 같은 조건으로 접속체를 제작했다. 인접하는 ITO 패드 사이에 30 V의 전압을 가하여, 절연 저항을 측정하고, 절연 저항 1.0×10-6Ω를 쇼트로 하여, 쇼트 발생수를 세었다(초기).
접속체를 도전 상태에서 85℃, 습도 85%의 환경 하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 쇼트 발생수를 세었다(고온 고습 방치). 200 군데에서 쇼트 발생수를 세어, 초기 및 고온 고습 방치 후의 쇼트 발생율(%)을 구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쇼트 발생율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쇼트 발생율 초기 1.00% 1.50% 0.40% 0.25%
85℃/85%/500hr 2.00% 2.50% 0.75% 0.50%
(측정수 N = 400)
상기 표 5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서, 초기 및 고온 고습 후의 쇼트 발생율이 적고, 도전성 입자가 대향하는 단자 사이에서 인접하는 단자 사이로 이동하는 양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필름형으로 성형한 제1 접착제층(11)과 제2 접착제층(12)을 맞붙여 접착 필름(10)을 제작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접착제층(12)의 재료를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도포액을 제작하여, 그 도포액을 제1 접착제층(11)의 표면에 도포한 후, 건조하면, 제2 접착제층(12)을 제1 접착제층(11) 표면에 밀착 배치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접착제층(11)의 재료 및 도전성 입자(15)를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도포액을 제작하고, 이 도포액을 제2 접착제층(12)의 표면에 도포한 후, 건조하면, 제2 접착제층(12)의 표면에 제1 접착제층(11)을 밀착 배치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층(11) 및 제2 접착제층(12)은, 동일한 박리 필름(19)의 표면과 이면에 밀착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따로따로의 박리 필름(19)에 밀착시키더라도 좋다.
접착제를 필름화하지 않고, 도전성 입자(15)가 분산된 페이스트형의 접착제를 기판(3)에 직접 도포하여 제1 접착제층(11)을 형성하고 나서, 제1 접착제층(11) 표면에 제2 접착제층(12)을 밀착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자 부품(4)에 페이스트형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접착제층(12)을 형성한 후, 제2 접착제층(12) 표면에 제1 접착제층(11)을 밀착 배치하더라도 좋다.

Claims (5)

  1.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접착제층에 밀착된 제2 접착제층을 지니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은,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가, 상기 제2 접착제층의, 경화가 시작되는 경화 개시 온도 이하에서의 최저 점도보다도 높고,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2 접착제층을 각각 기판과 전자 부품측으로 향하게 하여,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가열 압박하면,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접착 필름으로서,
    상기 제1 접착제층에는 도전성 입자가 분산되고,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막 두께가, 상기 도전성 입자의 평균 입자 지름의 2배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가, 도전성 입자가 함유된 상태의 제1 접착제층의 최저 점도의 0.05배 이상 0.2배 이하인 접착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접착제층이 최저 점도가 되는 온도와, 제2 접착제층이 최저 점도가 되는 온도와의 차가 10℃ 이하인 접착 필름.
  4. 기판의 단자와 전자 부품의 단자를,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접착 필름을 개재하여 대향시키고,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가열 압박함으로써, 상기 기판의 단자와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 사이에 상기 접착 필름 중의 도전성 입자를 협지시켜, 상기 기판과 상기 전자 부품을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방법.
  5. 제4항에 기재한 접속 방법을 이용하여 접속된 기판과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체.
KR1020107001236A 2007-06-27 2008-06-20 접착필름, 접속방법 및 접합체 KR1011937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68964A JP5311772B2 (ja) 2007-06-27 2007-06-27 接着フィルム
JPJP-P-2007-168964 2007-06-27
PCT/JP2008/061320 WO2009001771A1 (ja) 2007-06-27 2008-06-20 接着フィルム、接続方法及び接合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969A Division KR101263623B1 (ko) 2007-06-27 2008-06-20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530A true KR20100021530A (ko) 2010-02-24
KR101193735B1 KR101193735B1 (ko) 2012-10-22

Family

ID=401855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969A KR101263623B1 (ko) 2007-06-27 2008-06-20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KR1020107001236A KR101193735B1 (ko) 2007-06-27 2008-06-20 접착필름, 접속방법 및 접합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969A KR101263623B1 (ko) 2007-06-27 2008-06-20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96557B2 (ko)
JP (1) JP5311772B2 (ko)
KR (2) KR101263623B1 (ko)
CN (1) CN101755022B (ko)
HK (1) HK1141826A1 (ko)
TW (1) TWI386475B (ko)
WO (1) WO20090017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072A (ko) * 2012-03-27 2013-10-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시트, 전자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3172633A1 (ko) * 2012-05-14 2013-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0816B2 (ja) * 2009-03-31 2013-02-13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0032B2 (ja) * 2009-12-17 2014-07-23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はんだ接合補強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実装基板の製造方法
JP2012169263A (ja) * 2011-01-24 2012-09-06 Sekisui Chem Co Ltd 異方性導電材料、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体
AT511655B1 (de) * 2011-10-20 2013-02-15 Prelonic Technologies Gmbh Verfahren zum verkleben von schaltungselementen und kleber
KR101404361B1 (ko) * 2011-11-14 2014-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장치의 봉지 방법
CN103930501B (zh) * 2011-11-14 2017-09-12 Lg化学株式会社 粘合膜
KR20140139902A (ko) * 2013-05-28 2014-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방성 도전 필름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6307308B2 (ja) * 2014-03-06 2018-04-04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回路接続材料
JP6297381B2 (ja) * 2014-03-26 2018-03-20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接続体の製造方法
US20150371916A1 (en) * 2014-06-23 2015-12-24 Rohm And Haas Electronic Materials Llc Pre-applied underfill
US9439326B1 (en) * 2015-05-28 2016-09-06 Hana Micron, Inc. Electronic components
US10468363B2 (en) 2015-08-10 2019-11-05 X-Celeprint Limited Chiplets with connection posts
KR102422077B1 (ko) * 2015-11-05 2022-07-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도전성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접착 방법
US10103069B2 (en) 2016-04-01 2018-10-16 X-Celeprint Limited Pressure-activated electrical interconnection by micro-transfer printing
US10222698B2 (en) 2016-07-28 2019-03-05 X-Celeprint Limited Chiplets with wicking posts
US11064609B2 (en) 2016-08-04 2021-07-13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intable 3D electronic structure
JP6524283B2 (ja) * 2018-02-21 2019-06-0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フィルム巻装体、接続体の製造方法
DE102018107853B3 (de) * 2018-04-03 2019-07-04 Semikron Elektronik Gmbh & Co. Kg Schalt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alteinrichtung
US10796971B2 (en) 2018-08-13 2020-10-06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Pressure-activated electrical interconnection with additive repair
JP7256022B2 (ja) * 2019-02-05 2023-04-11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熱硬化性接着剤、及び、接着シート
EP4050067A1 (en) 2021-02-25 2022-08-31 Henkel AG & Co. KGaA Photocurable (meth)acrylate based adhesive
CN112599426B (zh) * 2021-03-05 2021-05-25 成都先进功率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芯片刷胶方法
KR20240032918A (ko) * 2021-09-22 2024-03-12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접속 구조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494A (en) * 1991-04-12 1992-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tape
JPH07230840A (ja) 1994-02-17 1995-08-29 Hitachi Chem Co Ltd 接続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電極の接続構造
AU6015596A (en) * 1995-06-13 1997-01-09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Semiconductor device, wiring board for mounting semiconducto r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emiconductor device
US6010768A (en) * 1995-11-10 2000-01-04 Ibiden Co., Lt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method of producing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resin filler
TW340967B (en) * 1996-02-19 1998-09-21 Toray Industries An adhesive sheet for a semiconductor to connect with a substrate, and adhesive sticking tape for tab, an adhesive sticking tape for wire bonding connection, a substrate for connecting with a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device
US6034331A (en) * 1996-07-23 2000-03-07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Connection sheet and electrode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method using the connection sheet
ID19337A (id) * 1996-12-26 1998-07-02 Ajinomoto Kk Film perekat antar-pelapis untuk papan pembuat kabel cetakan berlapis-banyak dan papan kabel cetakan berlapis-banyak memakai film ini
JP3530980B2 (ja) * 1997-02-27 2004-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接着構造、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20010046021A1 (en) * 1997-08-28 2001-11-29 Takeshi Kozuka A conductive particle to conductively bond conductive members to each other, an anisotropic adhesive containing the conductive partic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0195584A (ja) * 1998-12-25 2000-07-14 Sony Corp 電気的接続装置と電気的接続方法
US6512031B1 (en) * 1999-04-15 2003-01-28 Shin-Etsu Chemical Co., Ltd. Epoxy resin composition, laminate film us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US7244675B2 (en) * 2000-03-23 2007-07-17 Son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materials and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TW492215B (en) * 2000-03-23 2002-06-21 Sony Corp Electric connection material and electric connection method
JP3912515B2 (ja) * 2002-07-18 2007-05-0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液状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US20060240198A1 (en) * 2003-06-04 2006-10-26 Sekisui Chemical Co., Ltd. Curing resin composition, sealing material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146044A (ja) * 2003-11-12 2005-06-09 Sumitomo Electric Ind Ltd 異方導電性接着剤
JP5196703B2 (ja) * 2004-01-15 2013-05-15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接着フィルム
KR100601341B1 (ko) * 2004-06-23 2006-07-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접착필름
JP2006032335A (ja) 2005-07-06 2006-02-02 Hitachi Chem Co Ltd 異方導電性接着フィル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072A (ko) * 2012-03-27 2013-10-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접합 시트, 전자 부품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3172633A1 (ko) * 2012-05-14 2013-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KR20130127392A (ko) * 2012-05-14 2013-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제품의 제조 방법
US9856403B2 (en) 2012-05-14 2018-01-02 Lg Chem, Ltd. Method of prepa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6175A1 (en) 2010-04-22
KR101263623B1 (ko) 2013-05-10
HK1141826A1 (en) 2010-11-19
JP2009007443A (ja) 2009-01-15
TW200914569A (en) 2009-04-01
TWI386475B (zh) 2013-02-21
KR101193735B1 (ko) 2012-10-22
WO2009001771A1 (ja) 2008-12-31
KR20120060923A (ko) 2012-06-12
US8796557B2 (en) 2014-08-05
CN101755022A (zh) 2010-06-23
JP5311772B2 (ja) 2013-10-09
CN101755022B (zh)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23B1 (ko)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JP5010990B2 (ja) 接続方法
KR101150613B1 (ko) 접착 필름, 접속 방법 및 접합체
US7341642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ic device
JP3365367B2 (ja) Cog実装品および接続材料
JP498409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801666B2 (ja) 電極の接続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接続部材
TWI775373B (zh) 連接結構體的製造方法
KR20130069908A (ko) 이방성 도전 필름
CN1532903A (zh) 连接构件的制造方法
KR20110039510A (ko) 압착 장치, 압착 방법, 실장체 및 압압판
JP3959654B2 (ja) マルチチップ実装法
JP3856233B2 (ja) 電極の接続方法
JP2006352166A (ja) マルチチップ実装法
JP4378788B2 (ja) Icチップの接続方法
JP4402750B2 (ja) 回路電極の接続方法
JP4635312B2 (ja) 接着剤組成物、回路接続材料、回路接続用接着剤組成物、接続体及び半導体装置
JP4635313B2 (ja) 接着剤組成物、回路接続用接着剤組成物、回路接続材料、接続体及び半導体装置
JP2001127107A (ja) 接続材料および接続体
US2023007048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nection body, and connection body
JP2012015544A (ja) 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接続構造体並びに接続方法
WO2024090129A1 (ja) 接続材料、接続構造体、及び接続構造体の製造方法
JP2004111993A (ja) 電極の接続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接続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