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120A -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120A
KR20100021120A KR1020080079864A KR20080079864A KR20100021120A KR 20100021120 A KR20100021120 A KR 20100021120A KR 1020080079864 A KR1020080079864 A KR 1020080079864A KR 20080079864 A KR20080079864 A KR 20080079864A KR 20100021120 A KR20100021120 A KR 2010002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treatment
cookware
aluminum
treatment
en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419B1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080079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419B1/ko
Priority to JP2008302732A priority patent/JP4819112B2/ja
Publication of KR2010002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조리기구 상에 문양형성과 표면처리를 통해 미려하게 도색되고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된 조리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성형 및 문양형성단계;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단계; 절삭단계; 2차 표면처리 및 문양부분의 2차 표면처리 도포재의 열처리 및 제거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문양의 형태에 따라, 성형 단계 후에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 단계를 거친 후 문양형성단계로 이행할 수 있으며, 또한, 문양의 형태에 따라, 알루미늄 평판에 문양을 형성한 후에 조리기구로서 성형한 다음 1차 표면처리 및 절삭 및 2차 표면처리로 이행할 수 있다.
알루미늄, 불소수지, 열처리, 절삭, 선삭, 도색, 내열성 도료, 다이캐스팅, 프레스, 세라믹, 표면처리, 분체, 페인트, 도금, 전해피막

Description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ALUMINUM COOKWAR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외부면을, 문양가공과 표면처리를 통해, 복수의 색상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 조리기구, 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합금 조리기구는, 알루미늄의 특성인 타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 뛰어난 성형성, 용이한 표면처리성, 그리고 미려한 외관 등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알루미늄 자체는 공기 중에 노출되면 자연 산화막이 형성되어 그 표면이 보호되지만, 알루미늄을 조리기구로 성형하게 되면, 열과 수분, 그리고 마찰이 반복적으로 가해져서 심하게 변색되고 마찰흔적이 남는 등 외관상으로 좋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리기구로서 알루미늄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외부또는 내부에 페인트, 분체, 세라믹, 피막, 불소, 도금 등으로 표면처리를 하였다.
고기능성의 불소수지는 다른 수지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불소수지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특성 중에서 내열성, 화학적 불활성, 우수한 전기적 특성, 비점착성(非粘着性) 등은 불소 수지가 갖고 있는 독특한 분자 구조 때문에 발생하는 특성들이다.
한편, 세라믹 코팅은 분말과 액상 두가지로 적용하고 있으며, 테프론 코팅의 경우보다 고강도 고온에서 사용하는 제품들에 세라믹코팅으로 적용된다. 세라믹 코팅은 내마모성, 내소부성(內燒付性), 내부식성, 내산화성이 특히 뛰어난 세라믹 박막을 코팅하여 제품의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는, 예를 들어, 그 내부를 불소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코팅하고 그 외부를 알루미늄의 메탈릭 실버색상을 보호하기 위해 전해피막처리를 하거나, 조리기구 전체를 불소수지 또는 세라믹으로 코팅하는 등 단조로운 색조를 띄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조리기구의 부가가치성을 높이기 위해 조리기구에 문양 등을 넣을 때에, 전사 또는 측면스크린 방식 등을 통하여 문양을 넣었는데, 이는 작업성이 좋지 않고, 많은 수공이 요구되며 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리기구에 문양을 넣을 때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적은 수공과 저렴한 비용으로 만들 수 있고, 조리기구를 더 미려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하여 소비자의 미적 감각을 충족하면서 고부가가치인 조리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문양가공과 표면처리를 통해 복수의 색상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국면은, 조리기구의 외부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기 위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의 판으로 조리기구의 전체 외형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조리기구의 가공면에, 가공면 표면에 대해 오목한 오목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오목문양이 남도록 상기 가공면 전체를 얇게 절삭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2차 표면처리하고 오목문양 부분 위의 2차 표면처리의 층을 열처리한 뒤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조리기구의 외부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기 위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의 평판 형상의 가공면에, 가공면 표면에 대해 오목한 오목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평판으로 조리기구의 전체 외형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오목문양이 남도록 상기 가공면 전체를 얇게 절삭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 여 2차 표면처리하고 오목문양 부분 위의 2차 표면처리의 층을 열처리한 뒤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삭 단계와 상기 2차 표면처리 단계 사이에, 상기 1차 표면처리면 전체를 전해피막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2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 단계에 이어, 1차 표면처리 및 2차 표면처리의 면과 표리(表裏)관계에 있는 반대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전해피막 중 하나를 사용하여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알루미늄 조리기구는 표면처리되어 오염부분에 대한 세정이 용이한 조리기구로서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복수의 색상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할 수 있어, 소비자의 미적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바람직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기구들의 사시도로서, (a)는 오목문양이 외측면과 바닥면 전체에 분포된 조리기구이고, (b)는 오목문양이 외측면에 부분적으로 분포된 조리기구이며, (c)는 오목문양을 삼각형으로 한 조리기구이고, (d)는 외측면의 일부에 다른 부분과는 상이한 색상의 띠가 형성된 조리기구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된 제1 실시 형태의 각 단계별 가공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로서, (a)는 조리기구 성형 및 문양형성단계이고, (b)는 1차 표면처리에 의한 표면처리 및 열처리단계이며, (c)는 절삭단계이고, (d) 는 2차 표면처리에 의한 표면처리이며, (e)는 오목문양 상의 2차 표면처리시의 도포재에 대한 열처리 및 제거단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조리기구(10)의 외형 성형 및 오목문양(5)의 형성단계에서는 먼저, 평판상태의 알루미늄판을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드로잉(drawing)가공한다. 이 프레스기의 성형틀(도시하지 않음)은 조리기구(10)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뿐만 아니라 이 성형틀에는, 조리기구(10)의 외부 가공면(1)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문양(5)에 대응한 볼록형상의 문양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스기를 사용한 드로잉 가공뿐만 아니라, 다이캐스팅가공을 활용할 수 있는데, 다이캐스팅가공시 금형 내부에 조리기구(10) 외형과 더불어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문양에 대응하는 볼록문양도 함께 형성하여, 용융금속을 금형에 부어 응결시에 조리기구(10)로서의 외형과 함께 오목문양이 동시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성형 및 오목문양(5)의 형성단계에서는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가공을 통해, 조리기구(10)의 외형성형과 동시에, 조리기구의 외부 가공면(1) 상의 오목문양(5)의 형성이 행해진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성형가공과 오목문양(5)의 형성가공을 분리해서 별도로 행할 수 있는데, 먼저 프레스가공을 통해 조리기구(10)의 외형을 성형한 다음에, 조리기구(10)의 외부 가공면(1)의 단면이 웨이브 형상 등 곡선 형태로 되도록 2차 가공할 때, 이와 병행해서 오목문양(5)을 형성하거나, 핫스탬핑 기구 등을 사용하여 조리기구(10)의 외부 가공면(1)에 고도의 복잡한 문양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그밖의 오목문양(5)의 형성방법으로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평탄한 알루미늄 판재에 문양을 가공하는 방법, 그리고, 동일 문양을 일정 깊이로 무수하게 배열하여 곰보형태로 가공하는 방법, 그리고, 수작업에 의한 방법 등이 있다.
도 1(c)는 제1 실시 형태에 의해 삼각형 문양(5)을 갖는 조리기구(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오목문양(5)은, ○, △ 형상뿐만 아니라, □, ◇, …, -, X, ☆, ∧ 등 그리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의 직사각형, 그리고, 이들의 조합, 그리고 로고, 꽃무늬, 캐릭터, 풍경, 회화, 문자 등과 같은 고도로 복잡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오목문양(5)의 가공면 표면으로부터의 깊이는 후술하는 표면처리층의 두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0.5-1.5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오목문양(5)을 포함한 상기 조리기구(10)의 외부 가공면(1)을, 페인트, 분체, 세라믹, 전해피막, 불소수지, 도금 등의 도포재 또는 도포방법으로 1차 표면처리면(2)을 형성한 다음 열처리하게 되는데, 일례로 불소수지를 사용한 표면처리는 일반적인 정전도장(靜電塗裝)용 피막설비에서 행한다.
상기 정전도장은 미립자화한 불소수지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 플러스 전하를 부여한 알루미늄 형재나 판재에 압축공기로 압송하여 조리기구의 해당 가공면에 흡착시키는 도장방법으로서, 이러한 정전도장을 이용한 불소수지 코팅을 통해 조리 기구(10)에는 16가지 이상의 솔리드(solid) 색상이나 메탈릭(metalic) 색상을 입힐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페인트의 경우, 그 성분을, PTFE분산액 86.8중량%, 물 3.38중량%, 방향족 탄화수소 0.56중량%, 트리에틸아민 0.17중량%, 올레인산 0.17중량%, 계면활성제 0.12중량%, 무기안료 분산액 8.8중량%로서 조성할 수 있다.
이어서, 1차 표면처리가 끝난 조리기구(10)는 베이크장비로 보내져서 열처리를 거치게 되는데, 이렇게 건조됨으로써 비점착성(非粘着性), 내약품성, 내마모성, 미끄럼성에 더해, 밀착성, 내열성이 뛰어난 1차 표면처리면(2)이 형성된다.
한편, 세라믹 코팅은, 예를 들어, 기존의 화학치밀화법(化學緻密化法)이나 플라즈마 분사법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은 절삭단계로서, 제1 실시 형태의 절삭단계에서는 상기 오목문양(5)과 그 위에 입혀진 1차 표면처리층이 깎여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상대적으로 볼록한 상기 가공면(1) 전체의 1차 표면처리면(2)을 선삭을 통해 얇게 깎아냄으로써 절삭면(3)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절삭면(3)은, 하지(下地)인 알루미늄의 메탈릭 실버(metalic silver) 색상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어, 1차 표면처리층의 색상을 유지하고 있는 오목문양(5)부분과 대조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참고로 선삭 등 절삭을 통해 얻어지는 이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1차 표면처리 다음에 절삭을 하게 되면, 알루미늄 표면의 2나노미터 정도의 자연생성 산화피막이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종래에 2차 표면처리층의 착상을 돕기 위한 전(前)처리로서 행해지는 별도의 블래스트(blast)가공 등이 불필요하게 되며, 바로 2차 표면처리로 이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음 단계인 2차 표면처리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선택에 따라 상기 절삭단계에서 드러난 알루미늄의 메탈릭 실버 색상을 유지하기 위해 전해피막처리를 추가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1차 표면처리면(2) 위에 2차 표면처리를 하지않고, 상기 1차 표면처리면(2)과 표리(表裏)관계에 있는 반대면, 즉 1차 표면처리면(2)이 조리기구의 외부면일 경우 그 반대면은 조리기구의 내부면(6) 및 내부 바닥면이 될 것이고, 그리고 1차 표면처리면(2)이 조리기구의 내부면일 경우에는 그 반대면은 조리기구의 외부면이 될 것이다. 이 반대면에 대한 표면처리도 1차 표면처리와 마찬가지로,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의 도포재 또는 도포방법을 사용하여 행하고 이어서 열처리한다.
다음으로, 2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단계에서는, 절삭면(3)의 메탈릭 실버색상과, 1차 표면처리시의 색상을 유지하는 오목문양(5)의 1차 표면처리면(2)이 대조를 이루는 가운데, 조리기구(10)의 가공면 전체를 2차 표면처리를 통해 1차 표면처리 때와는 상이하면서 조화를 이루는 색상으로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의 도포재 또는 도포방법을 사용하여 표면처리를 행한다. 이때 절삭면(3)과 오목문양(5)을 포함한 가공면(1) 전체를 일거에 표면처리함으로써, 2차 표면처리 공정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어서, 2차 표면처리가 끝나면 조리기구(10)의 절삭면(3)과 그 위에 부착된 2차 표면처리면(4)의 도포재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처리를 행한다.
이로써, 상기 오목문양(5) 부분에는 1차 표면처리면(2) 위에 2차 표면처리면(4)이 얹혀 있는 상태로 되는데, 알루미늄 하지인 가공면(1)과 1차 표면처리면(2)의 도포재 사이의 결합력이, 1차 표면처리면(2)의 도포재와 2차 표면처리면(4)의 도포재 사이의 결합력보다 강하기 때문에, 상기 2차 표면처리면(4)을 가볍게 문지르거나 닦아내는 정도로 오목문양(5)의 1차 표면처리면 위의 2차 표면처리면(4)의 도포재는 용이하게 제거된다.
그리고,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의 도포재를 각각 사용하는 1차 표면처리면(2)과 2차 표면처리면(4)을 동일한 도포재 또는 도포방법으로 표면처리하거나 서로 상이한 도포재 또는 도포방법으로 표면처리하여도 무관하다.
이로써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단계는 일단락되며, 남은 단계에서는 제품사용에 편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손잡이 등 부착하기 위한 천공가공 및 조립공정을 거쳐 제품으로서 완성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조리기구(10)의 가공면(1)에 오목문양 즉 음각의 문양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조리기구(10)의 가공면(1)에 양각의 문양 즉 볼록문양을 형성하고자 할 때에는 가공순서가 일부 바뀌게 되는데, 우선 조리기구(10)의 성형 후에 가공면을 먼저 1차 표면처리하고 열처리한다. 이어서 볼록문양(도시생략)을 형성하는데, 볼록문양은 조리기구(10)의 내부면에 문양틀을 맞대고 펀칭하거나 프레스기로 눌러서 가공한다. 이어지는 절삭단계에서는 상기 볼록문양 상의 1차 표면처리면(도시 생략)만 절삭하고 가공면의 1 차 표면처리면을 그대로 둔다. 그리고, 이어서 1차 표면처리면과 볼록문양 전체를 2차 표면처리하여, 볼록문양 상의 2차 표면처리면을 두고 나머지 1차 표면처리면 위에 도포된 2차 표면처리면의 도포재를 가볍게 문지르거나 닦아낸다. 이때 볼록문양의 측벽과 가공면이 거의 수직을 이루면, 볼록문양의 저부 주위의 2차 표면처리 도포재는 제거하기 곤란하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고 일부러 남겨둠으로써 각 표면처리시의 색상을 선택함에 따라서는, 1차 표면처리시의 색상이 볼록문양의 색상으로 바뀌어가는 중간 단계의 색상을 연출할 수 있거나, 불록문양 주위의 음영을 연출하여 볼록문양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조리기구(10)의 외형을 성형한 다음, 이 조리기구(10)의 외부 가공면(1)에 오목문양(5)을 형성하였던 것을, 그 순서를 바꾸어, 먼저, 성형 전의 알루미늄 판재(도시하지 않음)에 오목문양(5)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 다음, 이 오목문양(5)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재를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외형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오목문양(5)을 형성한 다음에 조리기구의 외형을 성형하게 되면, 특히 고도로 복잡한 오목문양(5)을 형성할 때, 외부 가공면(1)이 곡면인 경우보다 평면인 경우가 레이저 등 다양한 기술을 응용하여 더 치밀하고 정교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어지는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공정단계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d)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리기구(10)의 사시도이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표면처리 코팅면의 비점착성과 미끄럼성, 그리고 내약품성의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미려한 조리기구를 얻는다.
먼저, 상기 조리기구(10)의 외형가공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프레스가공이나 다이캐스팅으로 행한다.
이어서, 상기 조리기구(10)의 원주방향 외부면의 일부에 띠형상의 1차 표면처리면(11)을 형성하는데, 이때 1차 표면처리면(11)은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페인트, 전해피막, 도금 중 하나의 도포재를 스프레이로서 다양하고 복잡하면서 자유로운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조리기구(10)를 열처리하여 1차 표면처리면(11)을 정착시킨다.
이어서, 2차 표면처리에서는 상기 1차 표면처리면(11)을 포함한 외부 가공면(1)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페인트, 전해피막, 도금 중 하나의 도포재로서 도포하고 건조시킨다. 이때 1차 표면처리면(11) 상에 부착된 2차 표면처리시의 도포재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하지의 가공면(1)과 1차 표면처리 도포재와의 결합력이, 1차 표면처리층과 2차 표면처리층의 층간 결합력에 비해 강하기 때문에 가볍게 문지르거나 닦아내어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열처리하여 2차 표면처리면(13)의 도포재를 정착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기구들의 사시도로서, (a)는 오목문양이 외측면과 바닥면 전체에 분포된 조리기구이고, (b)는 오목문양이 외측면에 부분적으로 분포된 조리기구이며, (c)는 오목문양을 삼각형으로 한 조리기구이고, (d)는 외측면의 일부에 다른 부분과는 상이한 색상의 띠가 형성된 조리기구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된 제1 실시 형태의 각 단계별 가공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로서, (a)는 조리기구 성형 및 문양형성단계이고, (b)는 1차 표면처리에 의한 열처리 및 표면처리단계이며, (c)는 절삭단계이고, (d)는 2차 표면처리에 의한 표면처리이며, (e)는 오목문양 상의 2차 표면처리시의 도포재에 대한 열처리 및 제거단계이다.

Claims (4)

  1. 조리기구의 외부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기 위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의 판으로 조리기구의 전체 외형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조리기구의 가공면에, 가공면 표면에 대해 오목한 오목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오목문양이 남도록 상기 가공면 전체를 얇게 절삭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2차 표면처리하고 열처리한 뒤 오목문양 부분 위의 2차 표면처리층을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2. 조리기구의 외부를 다양한 문양으로 장식하기 위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의 평판 형상의 가공면에, 가공면 표면에 대해 오목한 오목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평판으로 조리기구의 전체 외형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1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오목문양이 남도록 상기 가공면 전체를 얇게 절삭하는 단계;
    상기 가공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분체, 전해피막, 도금, 페인트 중 하나를 사용하여 2차 표면처리하고 오목문양 부분 위의 2차 표면처리의 층을 제거한 뒤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단계와 상기 2차 표면처리 단계 사이에, 상기 1차 표면처리면 전체를 전해피막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표면처리 및 열처리 단계에 이어, 1차 표면처리 및 2차 표면처리의 면과 표리(表裏)관계에 있는 반대면 전체를 불소수지, 세라믹, 전해피막 중 하나를 사용하여 표면처리 및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20080079864A 2008-08-14 2008-08-14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02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4A KR101028419B1 (ko) 2008-08-14 2008-08-14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JP2008302732A JP4819112B2 (ja) 2008-08-14 2008-11-27 アルミ製調理器具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864A KR101028419B1 (ko) 2008-08-14 2008-08-14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120A true KR20100021120A (ko) 2010-02-24
KR101028419B1 KR101028419B1 (ko) 2011-04-13

Family

ID=42014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864A KR101028419B1 (ko) 2008-08-14 2008-08-14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19112B2 (ko)
KR (1) KR1010284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931A1 (en) * 2015-08-13 2017-10-05 American Pan Company Stay-flat sheet pa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295B1 (ko) 2010-10-08 2012-08-22 서경숙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2068750B1 (ko) * 2013-10-21 2020-01-21 쿠쿠전자 주식회사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KR101510444B1 (ko) * 2014-11-12 2015-04-10 (주) 더몰론코리아 내구성이 우수한 가열조리기구
JP2017006935A (ja) * 2015-06-18 2017-0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外板の製造方法
JP7426029B2 (ja) 2020-10-01 2024-02-01 啓二郎 茂 アルミニウム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74873B (fi) * 1984-11-02 1987-12-31 Alu Ab Oy Bottenkonstruktion foer kokkaerl.
JPS62298481A (ja) * 1986-06-16 1987-12-25 Yoshida Kogyo Kk <Ykk> 物品への模様付け方法
KR970043328A (ko) * 1995-12-30 1997-07-26 김진욱 주방용기의 고경도 표면 착색처리방법
KR100443559B1 (ko) * 2003-11-03 2004-08-09 (주)화인아트 다양한 색상으로 멀티 코팅된 알루미늄재의 용기 및 그제조방법
KR20060122245A (ko) * 2005-05-26 2006-11-30 이갑두 알루미늄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422258Y1 (ko) * 2006-05-12 2006-07-25 (주)화인아트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JP2007185551A (ja) * 2007-04-23 2007-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用鍋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80931A1 (en) * 2015-08-13 2017-10-05 American Pan Company Stay-flat sheet p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19112B2 (ja) 2011-11-24
KR101028419B1 (ko) 2011-04-13
JP2010042232A (ja)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419B1 (ko)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CN101119860B (zh) 涂敷的金属产品、其制备方法及该方法的用途
CN103586780A (zh) 一种铝合金表面喷砂图案制品及其制作方法
TW201306650A (zh) 基體表面圖案製作方法及其製品
CN106820939A (zh) 复合底锅具的生产工艺
CN103274768A (zh) 一种陶瓷材料制品表面化学蚀刻方法
KR20160098422A (ko)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결이 형성된 외부 면을 구비한 취사도구의 제품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KR101070443B1 (ko) 핫픽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핫픽스
CN102758510A (zh) 一种铝扣板的表面加工处理方法
CN1197719C (zh) 彩色不锈钢喷砂花纹图案装饰表面的形成方法
CN106893978B (zh) 一种塑胶表面仿金属壳加工的工艺
KR20160081453A (ko)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60334A (zh) 彩色金属制品及其制备方法
KR100975315B1 (ko)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17618B1 (ko) 문양이 형성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751303B1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US6375782B1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decorative stainless steel articles
KR200430749Y1 (ko) 전사지 코팅 프라이팬
KR101364548B1 (ko) 조리용기의 무늬 형성방법
JP2012522148A (ja) 金属製、特にダイカスト・アルミニウム合金製のセルフベアリング装備品モジュール及び要素、並びにそれらの可能な表面処理方法
KR20080096002A (ko) 장식용 알루미늄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H07313934A (ja) 台所用品に装飾を形成する方法
CN111055615A (zh) 一种改性金葱镭射粉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