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58Y1 -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58Y1
KR200422258Y1 KR2020060012763U KR20060012763U KR200422258Y1 KR 200422258 Y1 KR200422258 Y1 KR 200422258Y1 KR 2020060012763 U KR2020060012763 U KR 2020060012763U KR 20060012763 U KR20060012763 U KR 20060012763U KR 200422258 Y1 KR200422258 Y1 KR 200422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cooking
aluminum material
pattern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록
Original Assignee
(주)화인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인아트 filed Critical (주)화인아트
Priority to KR2020060012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재를 조리용기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와; 조리용기 표면의 유지를 탈지용액으로 제거하고, 연마작업 및 인산처리를 통해 표면 처리하는 단계와;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로 에나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조리용기를 0 온도에서 17~20% 정도의 황산용액이 담긴 수조에 80V의 전압을 인가하여 45~50분 동안 침지시켜 내,외부면을 포함하여 에나멜 페인트가 코팅되지 않은 바닥면의 나머지 부분에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버핑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된 에나멜 코팅층을 제거하여 문양부의 알루미늄재를 노출시키는 단계;로 제조하여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용기 자체의 미감이 대폭 증진되어 상품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열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의 문양부를 통해 노출된 알루미늄재를 통해 조리용기 내로 직접 전도되므로 열전도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알루미늄, 양극 산화 피막, 조리용기, 문양부

Description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Cooker with multi-patterns}
도 1은 종래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조리용기의 저면 사시도.
도 3의 (a)-(c)는 본 고안에 의해 바닥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킨 예들을 보인 조리용기들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킨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6의 (a)-(d)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별 조리용기의 상태도.
도 7의 (a)-(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별 조리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조리용기
1a : 바닥면
2 : 양극 산화 피막층
3 : 문양부
4 : 에나멜 코팅층
본 고안은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조리용기(예를 들어 프라이팬, 밥솥, 냄비, 구이판 등)를 알루미늄재로 성형할 때 바닥면 상에 알루미늄재가 그대로 노출되도록 하는 형태로 다양한 무늬의 문양부를 형성하고 상기 문양부를 제외한 모든 면에는 검정색의 양극 산화 피막층을 형성시켜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조리용기 자체의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은 원래 대단히 활성적인 금속으로 공기 중에 노출되면 금속표면이 즉시 산화되어 자연적인 산화 피막으로 덮이게 되므로 순수한 금속표면이 생기지 않는데, 이 산화 피막으로 인해 알루미늄 표면을 도금하거나 다른 금속으로 코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연 산화 피막은 두께의 한계로 공업적 이용 가치가 작아 전기적, 인공적인 방법으로 산화 피막을 더욱더 두껍게 해서 두께가 10㎛이상이 되는 산화 피막 등을 만들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각종 제품(예를 들어 조리용기 등)에 산화 피막을 입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전해액 속에 알루미늄재의 제품을 넣고 양극 산화 처리하여 그의 표면에 방식성이 우수하고 치밀한 산화 피막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방법에는 수산법, 황산법, 크롬산법 등이 있다.
이때, 수산법은 알루마이트법으로 알루미늄 제품을 2% 수용액에 넣고, 직류, 교류 또는 직류에 교류를 동시에 인가하여 표면은 단단하고 치밀한 산화 피막을 만드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전류 효율이 좋으며, 피막의 두께는 전류의 통전량에 비례한다.
또, 황산법은 15∼20% 황산액을 사용하며, 농도가 낮은 것을 사용할수록 피막이 단단하게 형성되며, 또한 연하고 흡착성이 좋은 피막을 얻으려면 전해액의 온도를 30℃ 정도로 유지하면 되는데, 이와 같은 황산법은 제조원가가 저렴하므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크롬산법은 3%의 산화크롬 수용액을 사용하며 전해액의 온도는 40℃ 정도로 유지하고, 전압을 가감하면서 통전시간을 조정하며, 전해액의 교반은 기계적으로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크롬산 피막은 내마멸성은 작으나 내식성이 대단히 크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알루미늄재 조리용기는 내면 및 외면 전체에 경질의 산화 피막을 입히고 있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재의 조리용기에 경질 산화 피막을 입히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조리시에 항상 고온의 열을 받기 때문에 열에 강한 내열성 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고, 둘째 음식물이 직접 닿는 내면의 부식을 방지하면서 중금속 오염 등을 방지함으로써 위생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종래의 조리용기에서는 용기의 내,외면을 포함하여 바닥면까지도 검정색의 산화 피막을 입힘으로써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져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2002-0051985호에서는 도 1과 같이 알루미늄으로 음식 조리용 용기(10)를 만든 후, 그 외면에 절연재로 불소수지를 사용하여 전기 차단막(11)을 코팅하고, 상기 음식 조리용 용기(10)를 피막 탱크에 넣어 전기를 통전시켜 용기(10)의 내면에 경질 피막(15)을 입히고, 상기 음식 조리용 용기(10)의 외면에 코팅한 전기 차단막(11)을 제거함으로써, 순수 알루미늄이 외부로 드러나게 하는 알루미늄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리용기의 구성은 알루미늄재로 된 조리용기의 외면 전체에 걸쳐 알루미늄이 그대로 드러나게 되므로 제조 초기에는 외관상 미려함이 유지되나, 장기간 사용시 조리용기의 외측으로 노출된 알루미늄재 자체가 공기 또는 조리용기의 사용중 접촉되는 각종 음식물 등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자연적으로 산화되어 산화 피막이 형성되므로 조리용기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어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알루미늄재로 성형되는 각종 조리용기를 제조할 때 내,외측면에는 양극 산화 피막층을 형성하고 바닥면은 다양한 무늬를 갖는 문양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도록 하여 조리용기 자체의 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의 문양부를 통해 노출된 알루미늄재를 통해 조리용기내로 직접 전도되므로 열전도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내,외측면에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양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하거나, 물고기 형상 또는 해바라기 꽃과 같은 각종 형상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양부는 조리용기의 외측 측면부 표면에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이 실시된 조리용기의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a)-(c)는 본 고안에 의해 바닥면에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킨 예들을 보인 조리용기들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해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킨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는, 내,외측면에 각각 양극 산화 피막층(2)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조리용기(1)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는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3)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문양부(3)는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하거나, 물고기 형상 또는 해바라기 꽃과 같은 각종 형상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문양부(3)는 조리용기(1)의 외측 측면부 표면에 연장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의 (a)-(d)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별 조리용기의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의 (a)-(c)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별 조리용기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알루미 늄재의 조리용기(1)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알루미늄재를 조리용기(1)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와;
조리용기(1) 표면의 유지를 탈지용액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연마작업 및 인산처리를 통해 표면 처리하는 단계와;
표면 처리된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3)에 대응하여 형상으로 에나멜을 프린팅하여 코팅층(4)을 형성하는 단계와;
조리용기(1)를 0℃ 온도에서 17∼20% 정도의 황산용액이 담긴 수조에 80V의 전압을 인가하여 45∼50분 동안 침지시켜 내,외부면을 포함하여 에나멜 페인트가 코팅되지 않은 바닥면의 나머지 부분에 양극 산화 피막층(2)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와;
버핑을 통해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형성된 에나멜 코팅층(4)을 제거하여 문양부(3)의 알루미늄재를 노출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나멜 코팅층(4)은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 조리용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적용한 조리용기(1)를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일정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판재를 프레스에 넣고 압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도 5의 (a)와 같이 특정 형상을 갖는 조리용기(1)를 성형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조리용기(1) 표면에 묻어 있는 유지를 제거하고 알루미늄 특유의 색상을 연출하기 위하여 표면의 유지를 적당한 탈지용액으로 제거하고 가벼운 연마작업 및 인산처리를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표면 처리된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을 실크 스크린 인쇄판의 저면부에 위치시키고 에나멜을 실크 스크린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도 5의 (b) 및 도 6의 (a)와 같이 차후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3)가 형성될 부위에 문양부(3)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에나멜 코팅층(4)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에나멜 코팅층(4)의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부(3)의 형상을 갖도록 실크 스크린 인쇄를 통해 형성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사각형 또는 원형이나, 물고기 형상 또는 해바라기 꽃과 같은 각종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되, 바닥면(1a)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지름이 차츰 커지는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후, 조리용기(1)를 0℃ 온도인 상태를 갖고 17∼20% 정도의 황산용액이 담긴 수조에 넣고 80V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45∼50분 동안 침지시켜 줌으로써 상기 조리용기(1)의 내,외부면을 포함하여 에나멜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닥면(1a)의 나머지 부분에 도 5의 (c) 및 도 6의 (b)와 같이 검정색의 양극 산화 피막층(2)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양극 산화 피막층(2)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미 당 분야에 널리 알려진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정색 이외에 황금색으로 성형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리용기(1)를 16℃의 온도에서 17∼20% 정도의 황산용액이 담긴 수조에 넣고 20V의 전압을 인가하여 45분 동안 침지시키면 상기 조리용기(1)의 내,외부면을 포함하여 에나멜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닥면(1a)의 나머지 부분에 황금색의 양극 산화 피막층(2)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황금색으로 양극 산화 피막층(2)을 형성할 경우 에나골드(상품명) 처리를 하게 되면 황금색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양극 산화 피막층(2)을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색상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기 알려진 방법을 통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극 산화 피막층(2)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조리용기(1)를 황산용액 수조로부터 꺼내어 연마재가 묻은 버프를 버핑 머신에 장착하고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1a) 표면을 버핑하게 되면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실크 스크린 인쇄된 상태에 있는 다양한 무늬의 에나멜 코팅층(4)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는 도 5의 (d) 및 도 6의 (c)와 같이 다양한 문양부(3)가 형성됨은 물론 이 문양부(3)를 통해 조리용기(1) 바닥면(1a)의 알루미늄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려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문양부(3)는 도 3의 (a)와 같이 사각형의 형상이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지름이 커지는 형태로 방사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 3의 (c) 및 (d)와 같이 물고기 형상 및 해바라기 꽃과 같은 각종 모양 등이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태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1) 바닥면(1a)이 다양한 무늬를 갖고 알루미늄재 자체가 노출되는 문양부(3)에 의해 미려하게 됨은 물론 가열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열전도율이 낮은 양극 산화 피막층(2)을 거치지 않고 문양부(3)를 통해 노출되는 알루미늄재 자체의 바닥면(1a)을 통해 조리용기(1) 내의 조리물에 전달되므로 열 전달 효율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재 자체가 노출되는 문양부(3)가 조리용기(1)의 사용시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조리용기(1)의 바닥면(1a)에 형성된 문양부(3)를 통해 노출되는 알루미늄재 자체가 공기 또는 각종 음식물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산화되어 산화 피막이 형성되더라도 조리용기(1)의 외측에서는 보이지 않게 됨은 물론 조리용기(1)의 내,외측면은 양극 산화 피막층(2)에 의해 도포된 형태를 유지하므로 조리용기의 외관이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품의 가치가 향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1)의 문양부(3)를 좀 더 다양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용기(1)의 바닥면(1a) 뿐만 아니라 외측면에도 문양부(3)를 형성하여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문양부(3)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밖에도 타원형이나 마름모형 또는 각종 동물의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 것임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자명한 사실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프라이팬, 밥솥, 냄비, 구이판 등과 같은 각종 조리용기를 알루미늄재로 제조할 때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조리용기 자체의 미감이 대폭 증진되어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열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바닥면의 문양부를 통해 노출된 알루미늄재를 통해 조리용기 내로 직접 전도되므로 열전도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조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내,외측면에 양극 산화 피막층이 형성된 알루미늄재의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알루미늄재가 노출되도록 다양한 형상의 문양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사각형 또는 원형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 또는 지름이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물고기 형상 또는 해바라기 꽃과 같은 각종 모양을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하여 방사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부는 조리용기의 외측 측면부 표면에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KR2020060012763U 2006-05-12 2006-05-12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KR2004222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63U KR200422258Y1 (ko) 2006-05-12 2006-05-12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63U KR200422258Y1 (ko) 2006-05-12 2006-05-12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874 Division 2006-05-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58Y1 true KR200422258Y1 (ko) 2006-07-25

Family

ID=4177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63U KR200422258Y1 (ko) 2006-05-12 2006-05-12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5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19B1 (ko) * 2008-08-14 2011-04-13 주식회사 이룸쿡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263399B1 (ko) 2011-02-09 2013-05-10 (주)화인아트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27201B1 (ko) * 2013-01-04 2014-08-07 주식회사 실바트 바닥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조리용기의 제작방법
JP7426029B2 (ja) 2020-10-01 2024-02-01 啓二郎 茂 アルミニウム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19B1 (ko) * 2008-08-14 2011-04-13 주식회사 이룸쿡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KR101263399B1 (ko) 2011-02-09 2013-05-10 (주)화인아트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427201B1 (ko) * 2013-01-04 2014-08-07 주식회사 실바트 바닥면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조리용기의 제작방법
JP7426029B2 (ja) 2020-10-01 2024-02-01 啓二郎 茂 アルミニウムおよ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086B2 (ja) 陽極処理され電気化学的に着色された外面を備える調理容器を得る方法
JP6073237B2 (ja) 着色された、硬質陽極酸化された外面を有する調理用容器を得るための方法
US20100143622A1 (en) Process for providing aluminium cookware with a copper coating
KR200422258Y1 (ko)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조리용기
US20020094424A1 (en) Method of surface treating a cookware article and an article so treated
KR20120091538A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443559B1 (ko) 다양한 색상으로 멀티 코팅된 알루미늄재의 용기 및 그제조방법
US20170268121A1 (en) Method for Obtaining a Cooking Vessel Having a Colored Hard-Anodized Outer Face
KR20090058068A (ko) 산화피막을 통한 유색의 음각 문양을 갖는 알루미늄 냄비및 이의 가공 방법
KR100527796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0975315B1 (ko)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2490B1 (ko) 알루미늄제 착색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414351Y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0206753Y1 (ko) 멀티 코팅층을 갖는 주방기구
KR101263399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20150034601A (ko) 무쇠 솥과 같은 검은색의 외관을 가지는 알루미늄 주물 솥 제조 방법
US20150053665A1 (en) Method for Obtaining a Cooking Vessel Having a Colored Hard Anodized Outer Face
KR20100082687A (ko)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1066539B1 (ko) 전기밥솥용 내솥의 제조방법
JP4047111B2 (ja) 陽極酸化膜の模様着色方法
KR200433928Y1 (ko) 전사지 코팅 주방 용기
JPH0137542Y2 (ko)
KR100815542B1 (ko)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FR2538236A1 (fr) Recipient de cuisine en aluminium ou alliage d'aluminium et procede pour sa fabrication
KR20010111925A (ko) 금속 소재를 멀티 코팅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주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