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877A -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877A
KR20100012877A KR20097026536A KR20097026536A KR20100012877A KR 20100012877 A KR20100012877 A KR 20100012877A KR 20097026536 A KR20097026536 A KR 20097026536A KR 20097026536 A KR20097026536 A KR 20097026536A KR 20100012877 A KR20100012877 A KR 2010001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g
hair
sheet
open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유미 도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Publication of KR2010001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Bases for wigs made of a ne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91Sweat absorbing means or deodor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10T24/2708Combined with divers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3Buckles, buttons, clasps, etc. having adhesiv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72Coated or impregn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Abstract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가발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떼어냄도 용이한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제 1 개공 (8)과 제 2 개공(9)을 갖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와,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에 돌출 설치한, 팽창된 헤드부를 갖는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3)와, 상기 모노 필라멘트를 덮도록 부설한 제 1 점착층(4)과,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에 부설한 네트부재(5)와, 상기 가옹성 면형상 시트를 2분하는 선의 제 1 측편측의 상기 네트부재의 상면에 부설한 제 2 점착층(6)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개공이,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일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해, 상기 2분하는 선상에 가느다란 형상을 갖고 설치되고, 상기 제 2 개공이,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해, 상기 2분하는 선의 제 2 측편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용 부재이다.

Description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WIG ANCHORING MEMBER AND METHOD FOR ANCHORING A WIG WITH THE MEMBER}
본 발명은, 의모(擬毛)를 심어 설치한 가발을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고정하기 위한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핀을 빗살형상으로 나열한 클립을 가발의 내측에 부착하고 그 핀으로 자모(自毛: 즉, 가발 착용자 자신의 머리카락)를 끼워 지지하는 가발용 스토퍼나(특허문헌 1), 자모를 떠서(knit) 토대를 만들고, 머리부에 가발을 얹어 그 토대와 가발의 둘레가장자리부를 꿰매붙이는 가발의 부착방법(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핀을 빗살형상으로 나열한 클립으로 자모를 끼워 지지하는 방법은, 가발의 탈착은 용이하지만, 끼워 부착하는 힘이 약하기 때문에 가발이 어긋나기 쉽고, 또한 취침시 등은 클립이 머리부에 닿아 아픔을 주기 때문에 장기간의 착용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가발 착용자의 자모를 뜨는 방법은, 고정력이 강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착용에 적합하지만, 가발의 탈착이나 자모를 뜨는데 시간이 걸려, 가발 착용자는 장시간 구속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네트형상 부재에 점착층을 첩착(貼着)하고, 상기 네트형상 부재와 점착층에 관통구멍을 형성한 가발 고정용 부재를 가발 이면의 둘레가장자리부에 첩착한 후, 가발 고정용 부재의 관통구멍에 자모를 관통시키고, 점착층을 첩착한 측에서 자모를 끼워 고정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것을 이용한 부착방법이 있다(특허문헌 3). 또한, 암측(雌側) 시트와 함께 면 파스너를 구성하는 수측(雄側) 시트를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고정하고, 가발의 내측에 암측 시트를 부착한 가발을 머리부에 얹고, 암수 쌍방의 시트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가발을 머리부에 고정하는 가발 고정구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그러나, 특허문헌 3에서는, 점착층이 두피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땀이 차는 것에 의한 가려움이나 떼어낼 때의 아픔 등을 초래하는 문제는 없지만, 가발 고정 부재의 관통구멍에 자모를 관통시켜 양면 테이프의 점착층으로 고정하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자모의 고정력이 약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자모를 끼워 지지하지 않은 점착층 부분은 밀착도가 높기 때문에, 가발 고정 부재를 떼어낼 때에 점착층끼리가 일체화되어 버려, 가발을 떼어내기 곤란하게 되거나, 이 때에 힘을 쓰는 것에 의해, 가발의 파손을 초래하거나 가발 착용자의 두피나 자모에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 이용하는 면 파스너의 수측 시트와 암측 시트와의 접합은 고정력이 약하고, 게다가 암측 시트는 열화가 빠르며, 또한 암측 시트와 수측 시트와의 접합시에 양자의 두께에 의하여 장착시 가발이 떠올라 버려, 외관이 부자연스럽게 보인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0-256911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4-277903
특허문헌 3 : 국제공개공보 W099/48394
특허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79836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탈모나 머리부에의 아픔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가발을 장착할 수 있고, 또한 떼어냄도 용이한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가발 고정용 부재는, 제 1 개공(開孔:silt) 및 제 2 개공을 갖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와, 팽창된 헤드부 (head portion)를 갖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에 돌출 설치된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와,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의 상면에 부설된 제 1 점착층과,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에 부설된 네트부재와, 가요성 면형상 시트를 2분(二分)하는 선에 의해서 구획된 제 1 측편측의 거의 전체의 범위의 네트부재의 상면에 부설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하고, 제 1 개공이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일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해서 2분하는 선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 2 개공이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삽입 통과하기 위해서 2분하는 선에 의해서 구획된 제 2 측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개공 및 제 2 개공은, 2분하는 선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긴 구멍이며, 또한 제 2 개공은 제 1 개공보다 작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제 1 점착층은, 제 1 측편측의 거의 전체의 범위와 제 2 개공을 둘러싸는 소정의 범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발명의 어느 하나의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머리부에 장착하는 본 발명의 가발의 고정방법은, 가발 고정용 부재를 제 2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가발 베이스의 이면(裏面) 소정 위치에 첩착(貼着)하여 복수개 부착하는 스텝과,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일부를 제 1 개공을 통해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측으로부터 제 1 측면측으로 꺼내는 스텝과,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제 2 개공을 통해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측으로부터 제 1 측면측으로 꺼내는 스텝과,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중 어느 한쪽을 제 1 측면의 방향으로 다른쪽측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자모의 일부 및 자모의 다른 일부를 끼우면서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을 겹쳐 맞추는 스텝을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자모의 일부 및 자모의 다른 일부가 제 1 측편측의 모노 필라멘트와 제 2 측편측의 모노 필라멘트와의 사이에서 서로 얽혀 걸어 붙여지며, 이 걸어 붙여진 상태가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발 고정용 부재는, 제 2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가발 베이스의 이면 소정 위치에 복수개 첩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측편측만이 가발 베이스에 고정되고, 제 2 측편측은 가발 베이스에 대해서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가발 베이스의 소정 위치에 복수의 가발 고정용 부재를 고정한 가발을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씌운 후,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개공에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부터 공구(工具)인 태피를 꽂아 넣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측에서 태피의 선단에 제 1 개공의 바로 아래에 있는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일부를 걸고 태피를 되돌리는 것에 의해, 자모의 일부를 제 1 개공으로부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 꺼낸다. 또한,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2 개공에 대해서도,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부터 태피를 꽂아 넣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측에서 태피의 선단에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걸고 태피를 되돌리는 것에 의해, 자모의 다른 일부를 제 2 개공으로부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 꺼낸다.
그리고, 제 1 개공 및 제 2 개공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의 일부를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끼우면서,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측의 어느 한쪽을 2분하는 선으로부터 다른쪽측으로 접어 구부려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을 겹쳐 맞추고, 이 겹쳐 맞춤에 의하여 제 1 측편측의 모노 필라멘트와 제 2 측편측의 모노 필라멘트와 자모의 일부를 서로 얽히게 하여 거는 것에 의해 걸어 붙이고, 이러한 걸어 붙여진 상태의 모노 필라멘트와 자모의 일부에 제 1 점착층이 다시 서로 얽혀,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가발이 고정된다. 가발 고정용 부재는, 이와 같이 하여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이 둘로 접어 겹쳐 맞춰지기 때문에, 면적이 대략 절반이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제 1 개공은 가발 고정용 부재의 굴곡 위치에 있다.
상기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이 겹쳐 맞춰질 때에,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에 설치된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끼리가 서로 마주하여,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 1 점착층을 찢으면서 서로 꽂아 넣어져 간다. 이들 모노 필라멘트는, 제 1 개공 및 제 2 개공으로부터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의 일부를 끼우면서 상호 서로 얽히고, 또한 서로 걸려 있으므로 뽑아내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투묘효과(投錨效果 :anchoring effect)가 발생하여, 이것에 의해서 서로 얽힌 상태가 유지된다. 게다가, 이와 같이 서로 얽히고, 또한 서로 걸려진 모노 필라멘트와 자모의 일부와의 사이에는 제 1 점착층이 비집고 들어가,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이 이러한 서로 얽힘이나 서로 걸려진 정도를 늘리는 상승효과가 되어,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겹쳐 맞춘 상태, 즉 양편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의 일부가 강고하게 끼워 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개공과 제 2 개공을 2분하는 선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비교적 점유가 적은 개공 면적이면서, 자모의 일부를 태피에 걸어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 꺼내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 개공과 제 2 개공은 반드시 긴 구멍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작업적으로 약간 여유를 갖게 한 큰 원형이나 타원형, 직사각형 그 외의 형상이더라도 좋고, 요컨대 자모의 일부를 꺼낼 수 있는 형상이면 좋다.
제 2 개공의 크기는 제 1 개공보다 작게 설정하면 좋다. 여기서, 제 1 개공과 제 2 개공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가발 고정용 부재의 구성에서는, 머리부에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자모로서는 제 1 개공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가 주가 된다. 그러나, 제 1 개공으로부터 자모를 꺼낸 후에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둘로 접어 굴곡시키면, 제 1 개공은 둘로 접은 상태의 고정용 부재 (1)의 하나의 측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되고, 그 외의 부분에서는 자모와의 연결 관계가 없기 때문에 머리부와 가발 고정용 부재가 면적(面的)으로는 밀착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둘로 접었을 때의 제 2 측편에 제 2 개공을 설치하고, 그곳으로부터 제 1 개공과는 다른 자모를 꺼내는 것에 의해 머리부와 가발 고정용 부재가 2개소에서 고정되어, 가발의 들뜸이나 젖혀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 제 2 개공으로부터 꺼내는 자모는 제 1 개공의 그것보다 적어도 좋기 때문에, 제 2 개공의 크기는 제 1 개공보다 작아도 좋다.
또한, 제 1 점착층은,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편측에 있어서는 그 거의 전체에 배치되는 한편,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편측에서는 제 2 개공을 둘러싸는 소정의 범위를 제외하고 설치되지 않아, 상기 개소에 있어서 점착력이 약해진다. 이것에 의해, 가발을 떼어낼 때에는, 점착력이 약한 부분을 이용하여 겹쳐 맞춘 상태의 제 1 측편과 제 2 측편을 전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가발 고정용 부재는,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접어 겹침에 의해서 서로 마주한 모노 필라멘트가, 제 1 개공 및 제 2 개공으로부터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의 일부를 끼우면서 서로 얽히고, 또한 서로 걸려 뽑아내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투묘효과를 발생하며, 이것에 의해서 서로 얽힌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를 강고하게 끼워 지지한다. 게다가, 이와 같이 얽히고, 또한 서로 걸리는 모노 필라멘트와 자모와의 사이에 제 1 점착층이 비집고 들어가,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이 이들 서로 얽힘이나 서로 걸려진 정도를 늘리는 상승효과를 달성하여, 제 1 측편과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를 강고하게 끼워 지지하여, 가발의 부착 상태를 잘 유지한다. 그 한편,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은,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를 돌출설치한 것에 의해, 표면이 조면화(粗面化)되어 박리할 때에 필요로 하는 하중이 작아지므로, 가발을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로부터 떼어낼 때에, 가발 고정용 부재의 떼어냄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요성 면형상 시트에 꺼내어진 자모의 탈모나 머리부에의 아픔이 없어져, 가발 착용자의 부담을 경감한다.
또한, 자모를 꺼내기 위한 제 1 개공을 가발 고정용 부재의 굴곡 위치에 설치하고, 제 1 개공의 바로 아래에 있는 자모를 꺼내므로, 머리부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자모가 크게 잡아당겨지는 일이 없어져, 머리부의 아픔이 경감한다. 또한, 가발 고정용 부재의 제 2 측편에 제 2 개공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개공으로부터도 자모를 꺼냄으로써, 또 한쪽의 제 1 개공과 함께, 가발과 고정용 부재와의 사이에서 일어나는 들뜸이나 가발의 젖혀짐이 억제되어, 보다 안정된 가발의 장착을 할 수 있고, 게다가 머리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 자모가 잡아당겨지더라도 아픔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Ⅱ-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가발 이면에 부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를 가발 이면에 부착한 도 10의 ⅩⅠ-ⅩⅠ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부착 상태시의 가발 고정용 부재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부착 상태시의 가발 고정용 부재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의 모노 필라멘트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가발 고정용 부재의 모노 필라멘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가발 고정용 부재
2 : 가요성 면형상 시트
3 : 모노 필라멘트
3a :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
3b :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
4a, 4b : 제 1 점착층
5 : 네트부재
6 : 제 2 점착층
7a, 7b, 7c : 박리지
8 : 제 1 개공
9 : 제 2 개공
10a : 비점착층 부분
20 : 자모
20a : 자모(20)의 일부
20b : 자모(20)의 다른 일부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1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 도 1은 가발 고정용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 내지 도 11은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순서의 설명도, 도 12 및 도 13은 각각 가발 부착 상태시의 가발 고정용 부재의 상세 단면도, 도 14는 가발 고정용 부재의 모노 필라멘트의 확대 평면도, 도 15는 마찬가지로 모노 필라멘트의 확대 사시도이다.
(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의 구성으로서는, 직사각형으로 잘려진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에,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3)와 2개의 제 1 점착층(4a,4b)이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가요성 면형상 시트 (2)의 제 2 측면에, 네트부재(5)와 제 2 점착층(6)이 배치되어 있고, 제 1 점착층 (4a,4b)과 제 2 점착층(6)의 상면에 박리지(7a,7b,7c)가 첩착되는 동시에, 가발 고정용 부재(1)를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으로 2분하는 중심선(CL)상에 제 1 개공(8)이, 또한 제 2 측편(1b)의 거의 중앙에 제 2 개공(9)이 각각 뚫려 설치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3)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으로부터 솟아오른 축부(3a)와, 상기 축부(3a) 의 선단에 헤드부(3b)를 가로방향으로 평평하게 팽출시킨 느타리버섯과 같은 형상이고, 제 1 개공(8)과 제 2 개공(9)을 제외한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 전체에 다수 돌출 설치되어 있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2)가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비해서, 모노 필라멘트(3)는, 이것과 같은 재질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다른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어, 헤드부(3b)방향으로부터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그 전체가 측방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3b)를 팽출시킨 것에 의해, 가발 장착시에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3b)에 자모(20)가 걸리기 쉬워지고, 또한 뽑기 어렵다고 하는 투묘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머리부에 장착한 가발(21)을 떼어낼 때에, 둘로 접어 붙여 맞춘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변형예로서,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3a)나 헤드부(3b)의 일측부를 요철로 형성하면, 요철 형상에 의한 걸어멈춤 힘이 자모(20)에 가해져 한층 강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제 1 점착층(4a,4b)은,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3b)의 상면에 도포 등으로 부착된 것이고, 한쪽의 제 1 점착층(4a)은, 제 1 개공(8)과 그 양 측단 외측을 제외한 제 1 측편(1a)에 배치되고, 또한 다른쪽의 제 1 점착층(4b)은, 제 2 개공 (9)을 둘러싸는 직사각형으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점착층(4a,4b)은 상기한 박리지(7a,7b)에 피복되어 있고, 제 1 개공(8)과 제 1 점착층(4b)의 양 측단 외측에는, 점착층과 박리지를 설치하지 않은 비점착층 부분(10a,10a)이 남아 있다.
이 비점착층 부분(10a,10a)은, 머리부로부터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떼어내 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고, 가발 고정용 부재(1)상에 자모(20)를 꺼내 둘로 접었을 때에는 제 1 점착층(4a,4b)이 접혀 겹쳐지지만, 비점착층 부분(10a, 10a)에서는 제 1 점착층(4a) 뿐이므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떼어낼 때에 이 부분을 벗겨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측면에 설치한 모노 필라멘트(3)에 의한 조면(粗面)상태와 맞물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상기 네트부재(5)는, 제 1 개공(8) 및 제 2 개공(9)을 제외한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 전체에 배치된다.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은, 가발(21)을 머리부에 고정했을 때에 머리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되기 때문에, 가요성 면형상 시트(2)가 직접 머리부에 닿는 것에 의한 위화감을 경감하고, 또한, 머리부의 피지나 땀을 흡수하여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하기 위해서 네트부재(5)를 이용한다. 또한, 본 형태의 가발 고정용 부재(1)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상에 자모(20)를 꺼낸 후에 가요성 면형상 시트(2)를 둘로 접어 구부려 자모(20)를 끼움 지지 고정시키는 구성이므로, 가요성 면형상 시트(2)를 굴곡시킨 상태를 일정기간 유지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 단체보다 상기 시트(2)에 다른 소재를 고착시키는 쪽이 바람직하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 전체에 상기의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하는 네트부재(5)를 고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점착층(6)은, 제 1 점착층(4a)과 같이, 제 1 개공(8)과 그 양측단 외측을 제외한 제 1 측편(1a)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점착층(6)의 외면을 박리지(7c)가 피복되어 있다.
(치수, 성능 조건)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가발 고정용 부재(1)의 바람직한 치수나 성능 조건을 설명한다. 모노 필라멘트(3)의 토대가 되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는, 면 파스너의 수측 시트(볼록부를 갖는 측의 시트)를 유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그 사이즈는 세로×가로 모두 2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만일,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사이즈가 20mm 미만이면, 가발 고정용 부재(1)의 1개당이 끼움 지지 고정되는 자모(20)의 개수가 줄어들어, 일정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부착할 필요가 있어, 가발(21)의 탈착 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한편, 가요성 면형상 시트(2)가 30mm를 넘는 크기가 되면, 1개당의 가발 고정용 부재(1)에 끼워 지지되는 자모(20)가 너무 많아져서, 머리부에의 부담이 커지는 동시에, 자모(20)끼리의 겹침이 생겨 균일한 힘으로 끼워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는 0.1mm 이상 0.2mm 이하가 좋다.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가 0.1mm 미만에서는, 머리부 자모(20)를 끼워지지 했을 때에 가소성 면형상 시트재(2)가 자모(20)의 굵기에 의해 요철이 되어 버려, 가발 (21)과 가발 고정용 부재(1)와의 고정력이 저하하며, 머리부와 접촉하는 면측에 위화감이 생겨 충분한 장착감을 얻을 수 없다. 한편,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가 0.2mm를 넘으면, 가발 고정용 부재(1) 자체가 두꺼워져, 가발 장착시에 가발 (21)이 뜬 상태로 부자연스러운 외관이 되고, 또한 자모(20)를 가발 고정용 부재 (1)상에 꺼낸 후에 눌러도 충분히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모노 필라멘트(3)의 간격(4,5)에 자모(20)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아, 투묘효과가 없 어져 고정력이 저하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는, 축부 (3a)의 직경 d1과 축부(3a)의 높이 h1과 헤드부(3b)의 직경 d2, d3의 각각을 0.2mm 이상 0.4mm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머리부 자모(20)의 평균적인 굵기는 0.07mm 내지 0.08mm이고,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가 0.2mm 미만에서는, 자모(20)의 끼움 지지 고정을 담당할 수 있는 자모(20)의 개수 및 모노 필라멘트(3) 자체의 표면적이 적어져서, 모노 필라멘트(3)에 의한 걸어멈춤 힘이 약해져 가발 고정용 부재(1)의 고정력이 저하한다. 한편,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가 0.4mm를 넘으면, 자모(20)의 끼움 지지 고정을 담당할 수 있는 자모(20)의 개수 및 모노 필라멘트(3) 자체의 표면적이 너무 넓어서, 자모(20)의 1개당의 걸어멈춤 힘이 분산되어 버려,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없다.
각 모노 필라멘트(3) 사이에서의 헤드부(3b)의 종횡의 간격(c1,c2)은 0.1mm 이상 0.3mm 이하의 범위, 또한 축부(3a)의 종횡의 간격(c3,c4)은 0.2mm 이상 0.4mm 이하의 범위가 적당하고, 당연하지만 헤드부(3b)의 간격(c1,c2)을 축부(3a)의 간격 (c3,c4)보다 좁게 설정한다.
모노 필라멘트(3)를 이와 같이 형성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가발 고정용 부재(1)에 자모(20)를 꺼내 눌렀을 때에, 축부(3a)의 간격(c3,c4)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20)가 상기 축부(3a)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오는 일이 없이, 자모(20)의 움직임이 제한되며, 또한 축부(3a)의 간격(c3,c4)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자모(20)가 2개 내지 3개 정도라도 가발 고정용 부재(1)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안정된 고 정력을 얻을 수 있다. 각 모노 필라멘트(3)에 있어서의 헤드부(3b)의 간격(c1,c2)을 0.1mm 미만으로 하면,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에 자모(20)가 비집고 들어가지 못하고 모노 필라멘트(3) 상면에 머문 상태가 되어, 강한 걸어멈춤 힘이 생기지 않아 고정력이 저하한다. 한편, 간격(c1,c2)이 0.3mm를 넘으면,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가 다시 모노 필라멘트의 위에 튀어나오기 쉬워져, 자모가 모노 필라멘트에 걸리지 않고 앵커 효과가 생기지 않아, 자모의 고정력이 저하한다.
또한, 각 모노 필라멘트(3)에 있어서의 축부(3a)의 종횡의 간격(c3,c4)이 0.2mm 미만이면,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자모가 적어지고, 모노 필라멘트에 의한 자모를 고정하는 힘이 약해져, 부재 전체로서의 자모의 고정력이 저하해 버린다. 한편, 간격(c3,c4)이 0.4mm를 넘으면, 또한 헤드부(3b)의 간격(c1,c2)이 축부(3a)의 간격(c3,c4)과 동등 이상이 되면, 각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는 머리부 자모(20)의 개수가 많아져, 가발 고정용 부재(1)내에서 자모(20)의 치우침이 일어나는 것, 또한 일단 각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20)가 머리부의 움직임으로 용이하게 튀어나와 자유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걸어멈춤 힘이 효과가 없어져, 고정력이 저하한다.
(제작 순서)
다음에, 상술한 치수 및 성능조건을 기초로, 가발 고정용 부재(1)의 구체적인 제작순서를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우선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와 모노 필라멘트(3)의 일체 재료로서, 면 파스너의 수측 시트로부터 길이 E가 20mm 내지 30mm, 폭 F가 20mm 내지 30mm의 직사각형으로 잘라내, 각각의 모서리부를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한다.
제 1 단계는, 잘라낸 직사각형의 폭방향 F의 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45%의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길이방향 E와 평행이 되도록 길이 L이 10mm 내지 15mm, 폭 I가 1mm 내지 5mm의 장방형의 제 1 개공(8)을 설치한다. 여기서 제 1 개공(8)의 위치를 직사각형의 폭 F방향의 단부로부터 전체 길이의 45%의 위치로 하는 것은, 제 1 개공(8)을 기점으로 하여 수측 시트를 길이 E방향으로 굴곡시켜 둘로 접기 했을 때에, 제 1 개공(8)이 중앙에 위치하고 수측 시트의 각 모서리부가 완전하게 일치하여 겹쳐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어긋나 겹쳐지면 겹쳐 맞춘 부분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개소의 모노 필라멘트나 점착층 부분에 자모가 얽혀 붙어 버리기 때문이다.
제 2 단계는, 제 1 개공(8)으로부터 소정간격을 둔 제 2 측편(1b)의 중앙 부분에, 장방형의 제 2 개공(9)을 제 1 개공(8)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한다. 이 제 2 개공(9)이 길이 M×폭 H는, 제 1 개공(8)보다 작게 한다. 제 2 개공(9)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도 기재한 바와 같이, 가발의 들뜸이나 젖혀짐을 방지하는 역할이고, 제 2 개공(9)으로부터 꺼내지는 자모(20)는 제 1 개공(8)의 그것보다 적어도 좋기 때문에, 제 2 개공(9)의 크기는 제 1 개공(8)보다 작게 설정한다. 또한 제 2 개공(9)을 제 1 개공(8)과 평행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발(21)의 들뜸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일 높고, 또한 머리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워 자모(20)가 잡아당겨져도 아픔이 경감된다.
제 3 단계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상면에 제 1 점착층(4a,4b)을 부설한 다. 한쪽의 제 1 점착층(4a)은,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측편(1a)의 하나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제 1 개공(8)의 일측 가장자리까지 설치되고, 또한 다른쪽의 제 1 점착제(4b)는,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2 측편(1a)에서 제 2 개공(9)을 직사각형으로 둘러싸는 소정 범위에 설치된다. 제 1 점착층(4a,4b)의 상면에는 박리지(7a, 7b)가 첩착되고, 제 1 개공(8)과 제 1 점착제(4b)의 양 측단 외측에, 점착층과 박리지를 설치하지 않은 비점착층 부분(10a,10a)이 남겨진다.
제 1 점착층(4a,4b)의 성분으로서는, 천연이나 합성의 고무계가 유연성이나 탄성이 있어 머리부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쉽고, 특히 합성고무계는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가 적어 물성이 안정되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는, 0.05mm 이상 0.2m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0.05mm 미만에서는 자모 (20)의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없고, 0.2mm를 넘으면, 가발 고정용 부재(1) 전체가 두꺼워져서 가발 장착시에 가발(21)이 뜬 상태가 되어 외관이 부자연스럽게 되는 것, 가발 고정용 부재(1)에 머리부 자모(20)를 끼워 지지시켰을 때에 각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에 자모(20)가 비집고 들어가지 못하여, 모노 필라멘트(3)에 의한 자모(20)의 걸어멈춤 효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투묘효과를 얻지 못하여 고정력이 저하한다.
또한,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은, 1.5kg/cm 이상 3.0kg/c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1.5kg/cm 미만에서는, 충분한 고정력을 얻지 못하여, 가발 고정용 부재(1)를 접어 구부려도 펼쳐져 버릴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점착력이 3.0kg/cm를 넘으면, 가발(21)을 떼어낼 때에 굴곡시킨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펼치는 것이 곤 란하게 되어, 가발 고정용 부재(1)에 꺼내어진 자모(2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없게 되며, 자모(20)에 부착한 제 1 점착층(4a,4b)의 제거 작업이 수고롭게 된다.
제 4 단계에서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 전체에 네트부재(5)를 고착한다. 네트부재(5)에는, 실(絲) 지름이 0.03mm 이상 0.08mm 이하이고 100메쉬 이상 150메쉬 이하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 지름이 0.03mm 미만이면, 가소성 면형상 시트재(2)가 두피에 직접 닿아 있는 경우나 다름이 없어, 가발 장착시의 위화감을 경감할 수 없다. 한편, 실 지름이 0.08mm를 넘으면, 네트 자체가 두꺼워지고, 가발 고정용 부재(1)가 부피가 커져 가발 장착시에 가발(21)이 들떠 외관이 부자연스럽게 보이게 된다. 또한, 네트의 메쉬 수가 100메쉬 미만이면, 네트의 그물코가 커져, 네트를 구성하고 있는 필라멘트와 그물코와의 높이의 차이가 커져, 가발 장착시의 위화감이 생기고, 부재의 굴곡시의 유지력이 네트를 고착하지 않는 경우나 별반 차이가 없게 된다. 150 메쉬를 넘으면 그물코의 사이즈가 너무 작아져서, 가발 장착시에 머리부의 피지나 땀을 흡수하지 않게 되어 불쾌감을 주고, 부재가 굴곡하기 어려워져, 그 상태의 유지력이 더 저하한다.
제 5 단계는, 가발(21)을 고정하는 부분이 되는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측편(1a)의 제 2 측면에만 제 4 단계에서 고착한 네트부재(5)의 위에 제 2 점착층 (6)을 부설하고, 상기 제 2 점착층(6)의 상면에 박리지(7c)를 첩착한다.
(고정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가발 고정용 부재(1)의 고정방법을 도 4 내지 도 1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미 서술한 도 1 내지 도 3과 도 14, 15를 적절히 참작한다. 도 10은 일반적인 가발(21)의 이면도이고, 상기 가발(21)은 둘레가장자리부(22)가 열가소성 수지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 부분이 네트(23)로 일체적으로 구성된 가발 베이스(24)의 전체에 의모(25)가 심어 설치되어 있고, 둘레가장자리부(22)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가발 고정용 부재(1)가 소정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가발(21)의 구성은, 도 10과 같은 형태일 뿐만이 아니라, 가발 베이스 전체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른바 인공피부만의 것이나 네트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 등 어느 구성이더라도 적용 가능하다.
우선 도 4에서는,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2 측면측을 가발(21)의 둘레가장자리부(22)에 대향시키고, 또한 제 2 측편(1b)측이 가발(21)의 안둘레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점착층(6)을 피복하는 박리지(7c)를 벗기고, 제 2 점착층(6)을 가발 베이스(24)의 둘레가장자리부(22)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첩착하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가발 고정용 부재(1)를 가발 (21) 등간격으로 부착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가발 고정용 부재(1)는 제 1 측편 (1a)측만이 둘레가장자리부(22)에 고정되고, 제 2 측편(1b)측은 가발(21)에 대해서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가발(21)을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의 소정 위치에 얹은 후, 가발 고정용 부재(1)의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측{필라멘트(3)측}으로부터 제 1 개공(8)에 태피(26)를 꽂아 넣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측{네트부재(5)측}에서, 태피(26)의 선단에 제 1 개공(8)의 바 로 아래에 있는 가발 착용자의 자모(20)의 일부(20a)를 걸어 도 7과 같이 태피(26)를 되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자모(20)의 일부(20a)를 제 1 개공(8)으로부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측으로 꺼낸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개공(8)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20)의 일부(20a)는,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의 나머지 머리카락의 상태에 따라 2개 내지 30개의 범위가 좋다. 꺼내는 개수를 많이 하면, 꺼내어진 부분이 두꺼워져 요철이 생겨 머리부에 위화감을 주고, 자모(20)의 1개당의 끼움 지지 고정력이 분산되어 버려 안정된 가발(21)의 장착을 할 수 없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개공(8)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20)의 일부(20a)를 느슨하지 않도록 하여, 제 1 측편(1a)측의 박리지(7a)를 벗긴 제 1 점착층(4a)에 접착시킨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2 개공(9)에 대해서도,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측{필라멘트(3)측}으로부터 태피(26)를 꽂아 넣고,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2 측면측{네트부재(5)측}에서, 태피 (26)의 선단에 가발 착용자의 자모(20)의 다른 일부(20b)를 걸어 태피(26)를 되돌리는 것에 의해, 상기 자모(20)의 다른 일부(20b)를 제 2 개공(9)로부터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제 1 측면측으로 꺼낸다. 제 2 개공(9)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20)의 다른 일부(20b)는,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의 나머지 머리카락의 상태에도 따르지만, 가발(21)의 둘레가장자리부(22)의 들뜸이나 젖혀짐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 1 개공(8)으로 꺼내어진 자모(20)의 일부(20a)보다 적은 1개 내지 15개의 정도로 좋다. 그리고, 제 2 개공(9)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20)의 다른 일부(20b) 를 느슨하지 않도록 하여, 제 2 측편(1b)측의 박리지(7b)를 벗긴 제 1 점착층(4b)에 접착시킨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개공(8) 및 제 2 개공(9)으로부터 꺼내어진 자모(20)의 일부(20a,20b)를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과의 사이에 끼우면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2분하는 중심선(CL)으로부터 제 1 측편(1a)을 제 2 측편(1b)측으로 접어 구부려,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을 겹쳐 맞추어, 화살표 X방향으로부터 가볍게 누르는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제 1 측편(1a)측의 모노 필라멘트(3)와 제 2 측편(1b)측의 모노 필라멘트(3)와 자모의 일부(20a,20b)가 서로 얽혀 걸려, 모노 필라멘트(3)와 자모의 일부(20a, 20b)가 걸어 붙여진다. 또한, 이러한 걸어 붙여진 상태의 모노 필라멘트(3)와 자모의 일부(20a,20b)에 제 1 점착층(4a,4b)이 서로 얽혀, 모노 필라멘트(3)와 자모의 일부(20a,20b)와의 걸어 붙임에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이 가해져서,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가발(21)이 고정된다. 가발 고정용 부재(1)는, 이와 같이 하여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이 둘로 접혀 겹쳐 맞춰지기 때문에, 둘로 접기 전에 비해 면적이 대략 절반이 된다. 또한 이 상태서, 제 1 개공(8)은 가발 고정용 부재 (1)의 굴곡 위치에 있다.
도 12 및 도 13은,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둘로 접어 겹쳤을 때의 제 1 점착층(4a,4b), 모노 필라멘트(3) 및 자모(20)의 일부(20a,20b)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고,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에 설치된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3)가 서로 마주하여, 그 상면에서 겹쳐 맞추어진 제 1 점착층(4a,4b)을 뚫어 찢으면서 서로 깊 게 꽂아 넣어져 간다. 이들 모노 필라멘트(3)는, 제 1 개공(8) 및, 제 2 개공(9)으로부터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과의 사이로 꺼내진 자모(20)의 일부(20a, 20b)를 끼우면서 서로 얽히고, 또한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3b)가 다른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3a)나 헤드부(3b), 자모(20)의 일부(20a,20b)와 서로 걸리므로 뽑아내기가 어려워진다고 하는 투묘효과가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서 서로 얽힌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얽히고, 또한 서로 걸리는 모노 필라멘트(3)나 자모(20)의 일부(20a,20b)와의 사이에 제 1 점착층(4a,4b)이 비집고 들어가, 상기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이 이들 서로 얽힘이나 서로 걸려진 정도를 늘리는 상승효과가 되고,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과의 겹쳐 맞춘 상태, 즉 양 측편(1a, 1b)의 사이에 꺼내진 자모(20)의 일부(20a,20b)가 강고하게 끼워 지지된다.
또한, 이와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를 이용하여 고정한 가발(21)을 착용자의 머리부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부착한 개소의 가발(21)의 둘레가장자리부(22)를 걷어올리고,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점착층(4b)이 도포되어 있지 않은 부분, 즉 제 2 측편(1b)의 비점착층 부분(10a,10a) 중 적어도 한쪽과 그것에 대향하는 제 1 측편(1a)의 부분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굴곡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펼쳐, 가발 고정용 부재(1)상에 꺼내진 자모(20)의 일부(20a,20b)를 제 1 개공(8) 및 제 2 개공(9)으로부터 뽑아내 가발(21) 머리부로부터 떼어낸 후, 가발(21)의 둘레가장자리부(22)에 고착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떼어낸다.
[실시예]
가발 고정용 부재(1)에 대해 3개의 실시예 및 11개의 비교예를 제작하고, 이것들을 이용하여 가발(21)을 착용자의 머리부에 고정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방법은, 실험 협력자에게 가발을 실제로 장착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정성적 평가와, 측정기기에 의한 강도(하중)를 측정하는 정량적 평가에 따랐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이용하는 가발용 고정 부재(1)로서, 이하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사이즈 : 세로 E를 25 mm, 가로 F를 20mm, 제 1 측편(1a)측의 제 1 개공(8)까지의 길이 G를 9mm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 : 0.15mm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 : 축부(3a)의 직경 d1을 0.25mm, 축부(3a)의 높이 h1을 0.40mm, 헤드부(3b)의 직경 d2를 0.40mm, 헤드부(3b)의 직경 d3을 0.30mm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 : 헤드부(3b)의 간격(c1)을 0.30mm, 헤드부(3b)의 간격(c2)을 0.15mm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 : 축부(3a)의 간격(c3)을 0.40mm, 축부(3a)의 간격(c4)을 0.20mm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 : 0.10mm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 : 2.23kg/cm
네트부재(5)의 실 지름 : 0.05mm
네트부재(5)의 메쉬 수 : 124개/인치
상기 이외의 이하의 항목에 대해서는,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를 통해 공통 으로 설정하였다.
제 1 개공(8) : 길이 L을 19 mm, 폭 I를 2mm
제 2 개공(9) : 길이 M을 10mm, 폭 H를 1mm
제 1 개공(8)과 제 2 개공(9)과의 간격 J : 4mm
비점착층 부분(10a)의 폭 K : 5mm
(실시예 2)
실시예 2에 이용하는 가발 주위정부재(1)는, 이하의 조건을 실시예 1의 그것들에 대해 작게 설정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사이즈 : 세로 E를 20mm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 : 0.11mm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 : 축부(3a)의 직경 d1을 0.20mm, 축부(3a)의 높이 h1을 0.21mm, 헤드부(3b)의 직경 d2를 0.22mm, 헤드부(3b)의 직경 d3을 0.20mm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 : 헤드부(3b)의 간격(c1)을 0.11mm, 헤드부(3b)의 간격(c2)을 0.10mm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 : 축부(3a)의 간격(c3)을 0.22mm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 : 0.05mm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 : 1.53kg/cm
네트부재(5)의 실 지름 : 0.03mm
네트부재(5)의 메쉬 수 : 100개/인치
(실시예 3)
실시예 3에 이용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1)는, 이하의 조건을 실시예 1의 그것들에 대해 크게 설정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다만, 축부(3a)의 높이 h1만은, 다른 조건과의 관계로부터 실시예 1의 그것보다 작게 설정하였다.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사이즈 : 세로 E를 30mm, 가로 F를 28mm
가요성 면형상 시트(2)의 두께 : 0.20mm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 : 축부(3a)의 직경 d1을 0.40mm, 축부(3a)의 높이 M을 0.38mm, 헤드부(3b)의 직경 d3을 0.40mm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 : 헤드부(3b)의 간격(c2)을 0.30mm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 : 축부(3a)의 간격(c4)을 0.40mm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 : 0.20mm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 : 3.00kg/cm
네트부재(5)의 실 지름 : 0.08mm
네트부재(5)의 메쉬 수 : 150개/인치
(비교예 1 내지 11)
각 비교예에 이용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1)로서는, 실시예 1에 대해 모노 필라멘트(3)의 유무를 대비하는 비교예 1, 실시예 1에 대해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를 대비하는 비교예 2 및 3, 실시예 1에 대해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을 대비하는 비교예 4 및 5, 실시예 1에 대해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을 대비하는 비교예 6 및 7, 실시예 1에 대해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를 대비하는 비교예 8 및 9를, 실시예 1에 대해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을 대비하는 비교 예 10 및 11을, 각각 제작하였다. 각 비교예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비교예 1 :모노 필라멘트(3)에 대해서, 이것을 설치하지 않고 평활한 제 1 측면 상태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2 :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에 대해서, 축부(3a)의 직경 d1을 0.10mm, 축부(3a)의 높이 h1을 0.10mm, 헤드부(3b)의 직경 d2를 0.10mm, 헤드부 (3b)의 직경 d3을 0.1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3 :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즈에 대해서, 축부(3a)의 직경 d1을 0.40mm, 축부(3a)의 높이 h1을 0.45mm, 헤드부(3b)의 직경 d2를 0.55mm, 헤드부 (3b)의 직경 d3을 0.45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4 :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에 대해서, 헤드부(3b)의 간격 (c1)을 0.05mm, 헤드부(3b)의 간격(c2)을 0.05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5 :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에 대해서, 헤드부(3b)의 간격 (c1)을 0.40mm, 헤드부(3b)의 간격(c2)을 0.4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6 :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에 대해서, 축부(3a)의 간격(c3)을 0.10mm, 축부(3a)의 간격(c4)을 0.1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7 :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에 대해서, 축부(3a)의 간격(c3)을 0.50mm, 축부(3a)의 간격(c4)을 0.5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8 :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를 0.03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 일하다.
비교예 9 : 제 1 점착층(4a,4b)의 두께를 0.3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0 :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을 1.02kg/c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1 :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을 3.71kg/c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11의 각 조건의 일람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9078549152-PCT00001
(실험 결과)
우선, 정성적 평가로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이용하여 머리부에 가발(21)을 고정하여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해서는, 자모(20)의 자연적인 신장에 의한 가발(21)의 들뜸이나 불안정감은 어쩔 수 없지만, 30일째라도 자모(20)를 고정하여 개소가 느슨해지는 일 없이, 고정력은 가발 장착시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또한,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가발 고정용 부재(1)의 제 1 측편(1a)과 제 2 측편(1b)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 굴곡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리는 것에 의하여 끼워 지지시킨 머리부 자모(20)를 부재로부터 뽑아냄으로써 떼어낼 수 있지만, 실험예 1 내지 3의 경우는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4a, 4b)의 부착이 적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해, 비교예 1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를 갖지 않기 때문에, 가발 장착 후 12일째에 자모(20)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가 빠져버려,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또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리는 것이 곤란하여, 펴서 벌리는 중에 부재가 파손되어 부재를 펴서 벌릴 수 없게 되어, 유기용제계의 제거액을 사용하여 시간을 들여 부재로부터 자모(20)를 떼어냈다.
비교예 2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모든 사이즈가 너무 작아서, 자모(20)가 얽혀 붙지 않기 때문에 앵커 효과가 생기지 않아, 고정력이 약하여, 가발 장착 후 12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가 빠져버려,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비교예 1과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리는 것이 곤란하여, 펴서 벌리는 중에 부재가 파손되어 부재를 펴서 벌릴 수 없게 되어, 유기용제계의 제거액을 사용하여 시간을 들여 부재로부터 자모(20)를 떼어냈다. 비교예 3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모든 사이즈가 크고, 특히 축부 높이가 너무 높아서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들어간 자모와 모노 필라멘트와의 사이의 빈틈이 커져 고정력이 약해져, 가발 장착 후 10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의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같이,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제의 부착이 적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이 너무 좁아서,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자모가 비집고 들어가지 못하여, 고정용 부재를 둘로 접어 겹쳤을 때, 한 측편과 다른 측편에 배치한 모노 필라멘트 헤드부 부분만에 의한 끼움 지지력이 되어 고정력이 약하여, 가발 장착 후 12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같이,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제의 부착이 적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비교예 5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헤드부의 간격이 너무 넓으므로,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가 머리부의 움직임에 의해서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의 밖으로 나오기 쉬워, 안정된 고정력을 얻지 못하여, 가발 장착 후 7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 (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비교예 1과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리는 것이 곤란하여, 펴서 벌리는 중에 부재가 파손되어 부재를 펴서 벌릴 수 없게 되어, 유기용제계의 제거액을 사용하여 시간을 들여 부재로부터 자모(20)를 떼어냈다.
비교예 6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이 너무 좁아,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가 각 필라멘트 축부의 사이에서 유지되지 않고 고정력이 약해져, 가발 장착 후 9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같이,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 (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 (4a,4b)의 점착제의 부착이 적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비교예 7에서는, 모노 필라멘트(3)의 축부의 간격이 너무 넓어서, 각 모노 필라멘트 사이에 비집고 들어간 자모가 각 필라멘트 사이에 들어간 자모와 필라멘트와의 사이의 빈틈이 커져 고정력이 약해져, 가발 장착 후 10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의 느슨해짐이나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 (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실시예와 같이,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제의 부착이 적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비교예 8에서는, 제 1 점착층이 얇으므로, 고정용 부재에 자모를 끼워 지지 했을 때에, 자모표면 전체가 점착층으로 덮이지 않아, 점착층에 의한 고정력이 저하하여, 가발 장착 후 8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가발 (21)의 떼어냄에 있어서는, 실시예보다 용이하게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릴 수 있어, 끼워 지지한 자모(20)의 일부(20a,20b)에도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제의 부착이 거의 없어 작업이 간편하였다. 비교예 9에서는, 제 1 점착층이 너무 두꺼워서, 고정용 부재를 둘로 접어 겹쳤을 때에, 점착층의 두께에 의해서 배치한 모노 필라멘트끼리가 충분히 서로 맞물리지 않아, 자모와, 고정 부재와의 밀착력이 저하하여, 점착층에 의한 고정력만으로 이루어져, 충분히 고정력을 얻지 못하여, 가발 장착 후 12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불안정한 장착 상태가 되었으므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냈다. 비교예 1과 같이, 가발 고정용 부재(1)를 펴서 벌리는 것이 곤란하여 펴서 벌리는 중에 부재가 파손되어 부재를 펴서 벌릴 수 없게 되어, 유기용제계의 제거액을 사용하여 시간을 들여 부재로부터 자모(20)를 떼어냈다.
비교예 10에서는,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이 너무 약해서, 가발 장착 후 5일째에 자모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거나 자모 빠짐이 일어나, 7일째에는 둘로 접어 겹친 고정용 부재가 펼쳐져 버려 머리부로부터 가발이 벗겨졌다. 비교예 11에서는,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이 강하여 실시예 1보다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실시예 1과 같이 30일째라도 자모(20)를 고정한 개소가 느슨해지는 일 없이, 고정력은 가발 장착시와 대부분 변화가 없었지만, 떼어낼 때에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이 너무 강해서 둘로 접어 겹친 고정용 부재를 펼쳐 벌릴 수 없고, 무리하게 펼치면 고정용 부재(1)가 파손되어 버려, 유기용제의 제거액을 도포하여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킨 후에 고정용 부재(1)로부터 자모(20)를 떼어냈기 때문에 떼어내기 작업이 수고스럽고, 유기용제의 사용에 의해 가발 착용자 머리부에 부담이 가해졌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강하고 안정된 가발(21)의 고정과, 가발 (21)의 떼어냄이 용이했던 것은, 가발 고정용 부재(1)로 자모(20)의 일부(20a, 20b)를 꺼내 끼움 지지 고정하는 면측 즉 제 1 측면측에, 소정의 형상 및 높이의 모노 필라멘트(3)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 것에 의해, 끼워 지지된 자모(20)의 일부(20a,20b)가 각 모노 필라멘트(3)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거나, 모노 필라멘트(3)끼리에 끼워지는 것에 의한 투묘효과와, 제 1 점착층(4a,4b)과의 상승효과에 의한 것이다. 또한, 가발(21)을 머리부로부터 떼어내는 경우에 있어서도, 자모(20)를 꺼내 끼움 지지 고정하는 측에 모노 필라멘트(3)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제 1 측면이 조면화 상태가 되어 있으므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둘로 접어 굴곡하여 밀착시킨 경우에도, 제 1 점착층(4a,4b)의 점착력이 저하함으로써 용이하게 부재를 펼쳐 벌리는 것이 가능하였다.
다음에, 정량적 평가로서 가발 고정용 부재에 의한 자모의 끼움 지지 고정 하중과, 가발 고정용 부재를 둘로 접어 굴곡 밀착시킨 상태에서의 박리 하중을 이 하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방법 : 싱글 인장(引張)
측정기기 : 시마즈 세이사쿠쇼제 소형 탁상 시험기 EZ Test
측정조건 : 시료간 거리 50mm
인장속도 100mm/min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11의 측정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2]
하중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자모끼움지지고정내하중(kg) 0.145 0.137 0.141 0.093 0.096 0.094 0.098
고정용 부재 박리하중(kg) 2.76 2.74 2.77 4.31 3.88 2.21 2.76
하중항목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자모끼움지지고정내하중(kg) 0.102 0.091 0.095 0.115 0.125 0.08 0.169
고정용 부재 박리하중(kg) 3.05 2.50 2.16 1.96 4.42 1.57 5.21
실시예 1 내지 3의 가발 고정용 부재(1)에 의한 자모 1개당의 끼움 지지 고정 내하중이 137g부터 145g인 것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10에서는 80g부터 125g가 되어 모두 각 실시예를 밑돌았으며, 비교예 11에서는 169g가 되어 각 실시예를 웃도는 것이었다. 또한, 가발 고정용 부재(1)를 둘로 접어 굴곡 밀착시킨 상태에서의 박리 하중은, 본 실시예 1 내지 3에서는 2.74Kg로부터 2.77kg인데 비해, 비교예 1, 2, 5, 9 및 11에서는 3.05kg로부터 5.21Kg가 되어 각 실시예를 웃돌고, 비교예 4가 2.76kg로 각 실시예와 거의 동등, 비교예 3, 6, 7, 8 및 10이 1.57kg부터 2.50kg가 되어 각 실시예를 밑도는 것이었다.
표 2의 가발 고정용 부재 기능 측정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자모 끼움 지지 고정 하중이 높고, 고정용 부재 박리 하중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자모의 고정력이 강하고, 또한 가발의 떼어냄이 용이하여, 자모의 고정력과 가발 등의 떼어냄 용이성의 밸런스가 잡혀 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11에서는, 자모 끼움 지지 고정 하중이 낮은 비율에는 고정용 부재 박리 하중이 높거나, 자모 끼움 지지 고정 하중, 고정용 부재 박리 하중 모두 낮아, 자모의 고정력과 가발의 떼어냄 용이성의 밸런스가 잡혀져 있지 않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가발 고정용 부재 및 이것을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은, 가발 착용자의 두피나 자모에의 부담을 주는 일 없이,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가발을 장착 및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서 유용하고, 또한 장착시에는 가발이 들떠 외관이 부자연스러워지 않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가발을 고정하기 위한 가발 고정용 부재로서, 제 1 개공(開孔:silt) 및 제 2 개공을 갖는 가요성 면형상 시트와,
    팽창된 헤드부(head portion)를 갖고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1 측면에 돌출설치된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와,
    상기 다수의 모노 필라멘트의 상면에 부설된 제 1 점착층과,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제 2 측면에 부설된 네트부재와,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를 2분하는 선에 의해서 구획된 제 1 측편의 거의 전체의 범위의 상기 네트부재의 상면에 부설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공이 상기 가발 착용자의 자모(自毛)의 일부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2분(二分)하는 선상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개공이 상기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해서 상기 2분하는 선에 의해서 구획된 제 2 측편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공 및 상기 제 2 개공이 상기 2분하는 선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긴 구멍이고, 또한, 상기 제 2 개공이 상기 제 1 개공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이, 상기 제 1 측편의 거의 전체의 범위와 상기 제 2 개공을 둘러싸는 소정의 범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고정용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의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하여, 가발 베이스와 의모(擬毛)를 포함한 가발을 가발 착용자의 머리부에 장착하는 가발의 고정방법으로서,
    상기 가발 고정용 부재를 상기 제 2 점착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발 베이스의 이면 소정 위치에 첩착(貼着)하여 복수개 부착하는 스텝과,
    상기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일부를 상기 제 1 개공을 통하여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상기 제 2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측으로 꺼내는 스텝과,
    상기 가발 착용자의 자모의 다른 일부를 상기 제 2 개공을 통하여 상기 가요성 면형상 시트의 상기 제 2 측면측으로부터 상기 제 1 측면측으로 꺼내는 스텝과,
    상기 제 1 측편과 상기 제 2 측편의 어느 한쪽을 상기 제 1 측면의 방향으로 다른 쪽 측으로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측편과 상기 제 2 측편과의 사이에 상기 자모의 일부 및 상기 자모의 다른 일부를 끼우면서 상기 제 1 측편과 상기 제 2 측편을 겹쳐 맞추는 스텝을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자모의 일부 및 상기 자모의 다른 일부가 상기 제 1 측편측의 상기 모노 필라멘트와 상기 제 2 측편측의 상기 모노 필라멘트와의 사이에서 서로 얽혀 걸어 붙여지고, 이 걸어 붙여진 상태가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에 의 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의 고정방법.
KR20097026536A 2007-05-30 2008-05-23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 KR201000128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43433 2007-05-30
JP2007143433 200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77A true KR20100012877A (ko) 2010-02-08

Family

ID=40093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26536A KR20100012877A (ko) 2007-05-30 2008-05-23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141560B2 (ko)
EP (1) EP2156759B1 (ko)
JP (1) JP4882000B2 (ko)
KR (1) KR20100012877A (ko)
CN (1) CN101730485B (ko)
AU (1) AU2008259136B2 (ko)
CA (1) CA2688566A1 (ko)
DK (1) DK2156759T3 (ko)
ES (1) ES2624599T3 (ko)
HK (1) HK1141414A1 (ko)
RU (1) RU2412626C1 (ko)
TW (1) TWI342753B (ko)
WO (1) WO20081496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40Y1 (ko) * 2017-03-04 2018-02-13 송지연 고정수단을 갖는 가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3568B2 (ja) * 2006-08-31 2012-02-22 株式会社アデランス 自毛活用型かつら
RU2009114861A (ru) * 2006-11-21 2010-12-27 Адеранс Холдингс Ко., Лтд. (Jp) Пари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3134280U (ja) * 2007-05-29 2007-08-0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用装着具
US20110073122A1 (en) * 2008-06-05 2011-03-31 Sayuri Shigematsu Wig base
KR20100088250A (ko) * 2009-01-30 2010-08-09 강기표 전후좌우 신축가능한 가발
US8567413B2 (en) * 2009-06-10 2013-10-29 Celebrity Signature International, Inc. Hair addition for providing bump up effect
NZ591084A (en) * 2010-02-12 2012-08-31 Beverly May Waters A method of attaching a hair extension where a first bundle of hair is passed through an aperture in the base of the extension and attaches to a second bundle which does not pass through the base
DE202010000513U1 (de) * 2010-03-31 2010-06-10 Arcos Die Haarprofis Handels-Gmbh Haarersatz mit integrierter Sicherungseinrichtung
IT1402213B1 (it) * 2010-10-05 2013-08-28 Biase Di Estensione per capelli
US20120145174A1 (en) * 2010-12-13 2012-06-14 Frazier Carol W Braid-on wig hair extension
CN103169185B (zh) * 2011-12-26 2016-02-03 自然艺术公司 假发
JP6050049B2 (ja) * 2011-12-26 2016-12-21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
US8584682B1 (en) * 2012-10-31 2013-11-19 Sarah Naylor Scarf with hairpiece device
JP2015074845A (ja) * 2013-10-08 2015-04-20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かつら
JP6663701B2 (ja) * 2015-12-10 2020-03-13 因幡電機産業株式会社 長尺体用巻付部材
US10058138B2 (en) 2016-01-26 2018-08-28 Gunter Alex Hair band with hair carrying strips without looped hair ends
US10721982B2 (en) * 2017-04-18 2020-07-28 Hairuwear Inc. Hairpiece having perimeter with pass-through openings
JP7246967B2 (ja) * 2019-02-25 2023-03-28 Juki株式会社 植毛装置
JP7431146B2 (ja) 2020-11-25 2024-02-14 株式会社アデランス 毛髪用止着具、毛髪用止着具を備えたヘアエクステンション、毛髪用止着具を備えたかつらベース、毛髪用止着具の装着方法及び毛髪用止着具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470A (en) * 1970-11-17 1973-04-03 J Wilson Means for securing hair pieces and the like to the head and a method of using same
US3662766A (en) * 1971-03-10 1972-05-16 Ralph Maassen Method of attaching a hairpiece
US4198734A (en) * 1972-04-04 1980-04-22 Brumlik George C Self-gripping devices with flexible self-gripping means and method
US4239829A (en) * 1980-02-04 1980-12-16 Cohen Howard S Adhesive bonding of hook and loop type fabric surfaces
US4453555A (en) * 1982-08-23 1984-06-12 Hairline Creations, Inc. Hairpiece founda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38662A (en) * 1985-05-03 1988-04-19 Glenda Kalt Universal clamp
US5221276A (en) * 1989-09-19 1993-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textured fastener
JPH03134280A (ja) 1989-10-20 1991-06-07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オイルポンプ
JPH0527017A (ja) * 1991-07-19 1993-02-05 Shiyoudenriyoku Kosoku Tsushin Kenkyusho:Kk 物体検出装置
JP2529757Y2 (ja) * 1991-09-17 1997-03-1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止着部材
DE4235025C2 (de) * 1992-10-16 1994-12-15 Georg Wiegner Haarwickler
US5456963A (en) * 1993-12-22 1995-10-10 Eclipse Hair Design Hair gripping end papers for permanent wav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DE29500740U1 (de) * 1994-06-14 1995-03-09 Wiegner Georg Lockenwickler
US5636414A (en) * 1995-02-24 1997-06-10 Litchholt; John J. Two mechanism mechanical fastener
US5662128A (en) * 1995-10-11 1997-09-02 Habibi; Masood Adjustable hair curler and method of use
DE19631422A1 (de) * 1996-08-06 1998-02-12 Beiersdorf Ag Selbstklebend ausgerüstete Trägermaterialien
US6393673B1 (en) * 1997-07-31 2002-05-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chanical-fastening element
US5799669A (en) * 1997-09-09 1998-09-01 Briggs; Blanca Flor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hair coloring designs
JPH11131315A (ja) * 1997-10-30 1999-05-18 Aderans Co Ltd 頭飾品固定部材及びこれを使用する頭飾品並びに頭飾品の取付方法
US6012460A (en) * 1998-02-06 2000-01-11 Kikuchi; Naomi Wig
US6267118B1 (en) 1998-03-23 2001-07-31 Aderans Co., Ltd. Wig fixing memb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5992424A (en) * 1999-04-02 1999-11-30 Flash For Hair Perth Amboy, Inc Hairpiece and method of attaching hairpiece to user's head
US6701580B1 (en) * 2002-12-05 2004-03-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erlocking fastener including adhesive portions
CA2514044A1 (en) * 2003-07-28 2005-02-03 Aderans Co., Ltd. Double-stick adhesive tape for wig and wig provided with the same
KR200347485Y1 (ko) * 2004-01-16 2004-04-13 곽영식 벨크로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US20050252518A1 (en) * 2004-05-17 2005-11-17 Hortencia Salinas Hair extension
JP4560718B2 (ja) * 2004-10-25 2010-10-13 株式会社アデランスホールディングス かつら用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かつら並びに製造方法
JP3134280U (ja) * 2007-05-29 2007-08-09 株式会社アデランス かつら用装着具
NZ591084A (en) * 2010-02-12 2012-08-31 Beverly May Waters A method of attaching a hair extension where a first bundle of hair is passed through an aperture in the base of the extension and attaches to a second bundle which does not pass through the ba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740Y1 (ko) * 2017-03-04 2018-02-13 송지연 고정수단을 갖는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12626C1 (ru) 2011-02-27
US20100170527A1 (en) 2010-07-08
US8141560B2 (en) 2012-03-27
CN101730485A (zh) 2010-06-09
EP2156759B1 (en) 2017-03-29
TWI342753B (en) 2011-06-01
AU2008259136B2 (en) 2011-11-10
TW200916006A (en) 2009-04-16
AU2008259136A1 (en) 2008-12-11
EP2156759A4 (en) 2016-03-02
EP2156759A1 (en) 2010-02-24
CA2688566A1 (en) 2008-12-11
JP4882000B2 (ja) 2012-02-22
JPWO2008149697A1 (ja) 2010-08-26
ES2624599T3 (es) 2017-07-17
WO2008149697A1 (ja) 2008-12-11
CN101730485B (zh) 2012-02-22
DK2156759T3 (en) 2017-07-10
HK1141414A1 (en)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877A (ko) 가발 고정용 부재와 이 가발 고정용 부재를 이용한 가발의 고정방법
AU738071B2 (en) Element and method for fixing a wig to a head of a wearer
SA92130015B1 (ar) مكون غائر غير مغزول لأداة تثبيت يمكن فكها وإعادة تثبيتها وطريقة لصناعة ذلك المكون
TWI793109B (zh) 髮片暨髮片的製作方法以及施作方法
AU2008256022A1 (en) Apparatus for wearing a wig
US8726912B2 (en) Head ornament fastening member and head ornament
JP5981702B2 (ja) 面ファスナーのための複合材要素
JP4576634B2 (ja) 毛髪用止着具、この止着具を用いたかつら及びその装着方法
KR20150134291A (ko)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JPH1181021A (ja) かつら並びにその止着方法
JP3229740U (ja) 理美容用ケープ
JP7138128B2 (ja) かつらの取付方法
JP3913051B2 (ja) 生理用ショーツ
JP4351301B2 (ja) かつら並びにかつらの止着方法
JP2953652B2 (ja) かつら
JP2003102774A (ja) 貼付時の取扱性が改善された伸縮貼付薬
JP3886070B2 (ja) かつら並びにかつらの止着方法
JP4369537B2 (ja) かつら止着用部材並びにかつらの止着方法
JPH0532492Y2 (ko)
JP3092364U (ja) ランドセル用背負いバンド
KR20220000748U (ko) 마스크용 테이프
KR101547426B1 (ko) 이탈력의 힘을 최소화한 일방향성 찍찍이가 결합된 신축성찍찍이밴드와 헤드폰 스피커 커버
JP2015074845A (ja) かつ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