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291A -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291A
KR20150134291A KR1020150071209A KR20150071209A KR20150134291A KR 20150134291 A KR20150134291 A KR 20150134291A KR 1020150071209 A KR1020150071209 A KR 1020150071209A KR 20150071209 A KR20150071209 A KR 20150071209A KR 20150134291 A KR20150134291 A KR 20150134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op
view
needle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원
Original Assignee
백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창원 filed Critical 백창원
Priority to PCT/KR2015/0051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78706A1/ko
Publication of KR20150134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29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03Fasten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23Woven or knitted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06Curved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벨크로를 비롯한 자동길이조절 버클, 회전 갈고리형 버클, 톱니형 미세길이조절 버클 등의 체결기구는, 결속력이 강력하면서도 동시에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여러 기술분야에 걸쳐 만족할만한 체결기구는 드문 실정이다.
본 발명은 대부분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 재료를 이용한 갈고리바늘세트(16)를 안전턱(65)이 형성된 버클프레임(31)에 결합시켜,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에 따라 일반 직물루프는 물론, 본 발명의 아치형루프(22) 등에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그 바늘촉(14)의 끝 부분은 가능한 한 짧게 형성되며, 특히, 그 표면은 고주파 열처리를 거쳐 둥글고 매끄러우면서도 단단하고, 탄성은 있지만 잘 구부러지거나 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갈고리바늘들이 루프와의 상호작용시 무작위로 여러 꼬인 실가닥들 사이로 잘 미끄러져 결속되게 하면서도, 소성변형이 거의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이로써, 각종 의류, 가방, 신발, 모자, 텐트, 레저 스포츠 및 등산용품, 각종 군수용품, 혈압측정 및 결속용 의료기기 등 산업적으로 여러 다양한 기술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가 있다.

Description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The one directional hook-needle-and-loop fastener being composed of the hook shaped needle and the loop, making use of the principle of the moment of a force, and the principle of the inclination-friction and the elasticity, etc., and the method to make the loop}
본 발명은,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침상(針狀)의 갈고리바늘과, 이에 맞물리는 루프의 두가지 암수 결합요소로 구성되어, 결속력(結束力)은 강력하게 하면서도 이탈력(離脫力)의 힘은 오히려 최소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업적으로 여러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일방향성찍찍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종래 어느 물체를 결속(체결)시키는 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비롯한, 옷핀, 단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 똑딱이), 후크, 벨크로, 머리핀, 헤어클립, 버클, 지퍼 등이 있으며, 이들 중 본 발명의 체결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는, 상기 벨크로와 버클 및 헤어클립과 후크를 그 예로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숫형 갈고리바늘이 종래 벨크로의 숫형 갈고리와는 그 모양과 구성 원리 및 착탈방식이 현저히 다르기는 하지만, 벨크로의 암형 루프에도 결속될 수가 있다는 점에 있어서는 상당한 유사성이 있다고 볼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 벨크로의 기술과 더불어, 본 발명 갈고리바늘의 모양과 작용원리 등이 유사한 종래 다른 기술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일방향 체결(締結)구와 루프 부재와 관련하여, 상기 벨크로(VELCRO, 상표명)의 체결구는, 일반적으로, 후크-앤-루프 체결 시스템(hook-and-loop fastener)으로서, 두 개의 결합 요소, 즉 J-형태의 직립된 후크 부재와, 이와 맞물리는 섬유 루프 부재로 구성되는 기계식 체결구이다.
아래 인용[문헌 1]에 의하면, 뒤집힌 J-형태, T-형태 및 버섯 형태와 같은 각종 유형의 후크 재료가 이용되며, 가지 유형 후크를 포함한 100% 일방향 성형된 후크 재료로 VELCRO HTH-840 및 각종 루프 재료를 소개하고 있다.
[문헌 2]에 의하면, 루프 부재로서, '스펀 본드(spun bonded)' 라는 부직 텍스타일 플라스틱 수지로 직조된, 루프형과 아치형 화이버 직물(織物)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상기 부직 웹(web, 직물)과 관련하여, [문헌 3]에서는, 소면 웹, 또는 연속 길이 섬유를 갖는 스펀 본드(spun bonded) 웹 등을 소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갈고리바늘의 모양과 그 작용 원리가 유사한 헤어클립과 관련, [문헌 4]에서는, 가발고정용 헤어핀은 여러 개의 다리가 버클링(buckling) 효과에 의해서 모발을 탈착 또는 해제할 수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과 그 모양이 유사한 것과 관련, [문헌 5]에서는, 암형 루프 고착 성분(FEMALE LOOP FASTENING COMPONENT)이 수형 후크 성분의 프롱(34)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틈(32)을 포함함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문헌 4]의 클립과, [문헌 5]의 수형 후크 프롱의 "ㄱ"자형 모양은,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침상(針狀)의 갈고리바늘의 구조가 아니므로, 섬유 루프의 아주 작은 틈새에 제대로 결속될 수가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방향 착탈 방식과 유사하면서, 갈고리바늘과 그 모양이 유사한 종래 기술과 관련, [문헌 6]은, 가발 캡의 착,탈 동작시 분리 방향과 대응하는 일방향의 걸림 접촉력을 발생하도록, 개방부 위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corn형)들을 이용한 비(非) 결속(結束)방식으로, 두피에 가발의 착용 고정력을 용이하게 함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원뿔형 돌기 구조는, 그 끝이 비교적 굵고 둥글기 때문에, 이 역시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바의 섬유루프의 아주 작은 틈새에 결속될 수가 없음은 물론, 비결속 방식이므로, 결속력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이 결합된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특히 본 발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기 뒤집힌 J-형 벨크로의 구조와 그 작용 원리 및 착탈력(着脫力)의 힘의 세기와 더불어 사용시의 문제점 등과 관련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벨크로(통상적인 찍찍이)는, 도깨비 바늘{귀침초(鬼針草), Spanish needles}에서 착안(着眼)된, 아주 작은 갈고리(hook)들, 즉 도1(J,Ja)와 같이,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의 재료로 직조된 직물 면에 거의 수직으로 직립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줄지어 결합되어 있다. 그 갈고리의 구부러진 끝 부분은 거칠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고, 이와 맞물리는 섬유 루프에 작용할 때, 그 끝 부분이, 섬유의 실가닥에 손쉽게 걸리게 되며, 또, 섬유의 틈새로 들어가 그 실가닥들을 갈고리에 걸어서 일정한 결속력(結束力) 또는 탈부착력(脫附着力)의 힘을 지니는 원리로 구성된다.특히, 미세하게 작은 갈고리들을 섬유루프의 실가닥에 걸어서 미세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탈부착시킬 수가 있는 구조적 특장점을 지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섬유 루프가 결합된 갈고리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 당기게 되면, 구부러진 갈고리가 완전히 펴질 때까지 일정한 힘을 받게 되고, 플라스틱으로 된 갈고리 그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벨크로의 착탈력(탈부착력)의 힘의 세기는, 암형 섬유루프 웹에 작용하는 각 갈고리(후크)의 착탈력의 힘의 세기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그 갈고리 수에 정비례하여 증감한다. 이는 곧, 갈고리들이 결속된 섬유루프(직물)의 표면적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탈부착력의 힘의 세기가 동시에 증감함을 의미한다.
종래 벨크로를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직립된 후크(갈고리) 부재와, 이와 맞물리는 섬유루프 부재를 어느 두 물체에 각각 결합하여, 어느 한쪽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서로 부분적으로 탈부착시키게 된다.
때문에, 떼어낼 때에는 유연성이 있는 어느 한쪽 끝 부분을 잡고 들어올리게 되면, 섬유 루프에 결속된 모든 갈고리들의 그 결속력의 힘을 부분적으로 분리시켜 이탈시킴으로써, 거의 그 표면적의 크기에 상관없이, 미세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는 편리한 특장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유연성이 없고 단단한 어느 두 물체의 곡면 또는 평면에 암수 찍찍이를 결합할 경우에는, 섬유 루프에 결속된 갈고리들을 부분적으로 이탈시킬 수가 없으므로, 갈고리들이 결속된 섬유루프의 표면적의 크기에 정비례하여 탈부착력의 힘의 세기가 동시에 증감하며, 구조적으로 그 이탈력(離脫力)의 힘만을 별도로 줄일 수가 없게 된다. 때문에, 그 결속된 표면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부착하기는 쉬우나 부착력의 힘의 세기는 오히려 커져서, 그 이탈력의 힘도 동시에 크게 증가하므로, 결국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물론, 탈부착력의 세기가 동시에 강력하다는 것은 어느 두 물체를 서로 강력하게 부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어느 면에서는 큰 장점이 되기도 하지만, 수시로 탈부착시킬 필요가 있는 등의 어느 쓰임에 있어서는, 부착력의 힘이 강력한 것이 오히려 아주 큰 불리한 단점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런 점은, 벨크로 외에 종래 여러 다른 결속부재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벨크로의 직립된 갈고리 부재가 결합된 어떤 액자형 게시판을 벽면에 고정시키고, 그 게시판 위에, 유연성이 없고 단단한 어느 물체의 평면에 섬유 루프를 접착시켜 수시로 탈부착시킬 경우를 가정해 볼 수가 있다. 이럴 경우, 섬유 루프에 결속된 갈고리들을 부분적으로 이탈시킬 수가 없고, 그 물체의 평면에 결합된 섬유루프가 이에 결속된 갈고리 부재 전체와 동시에 상호작용하여 탈부착되기 때문에, 탈부착시키고자 하는 어느 물체의 크기가 크고 무게 또한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중력에 의한 하중에 견디기 위해서는, 벨크로(찍찍이)의 표면적도 증가시켜 결합해야 하므로, 찍찍이에 부착하기는 쉬우나, 떼어낼 때는 게시판이 함께 떨어지지 않도록, 일일이 게시판을 손바닥으로 강하게 누르면서 힘들게 떼어내야만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비슷한 예로, 겔러리(화랑) 내의 벽면에 찍찍이를 접착하고, 이곳에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조각이나 그림 액자 등의 귀중한 미술품을 전시할 경우에는, 미술품의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거울수록, 안전을 위해서는 보다 더 강력한 탈부착력이 필요하므로, 보다 큰 면적의 찍찍이를 결합할 수밖에 없게 되는데, 이 역시 부착하기는 쉬우나, 다른 미술품으로 수시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 이탈력의 힘이 너무 크기 때문에, 큰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벽시계나 사진액자 또는 벽걸이용 장식품들을 벽에 설치하기 위해, 벽면에 벨크로를 접착하고,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탈부착시킬 경우에도, 벨크로의 표면적이 크면 클수록, 특히 손이 닿지 않는 비교적 높은 곳에 부착된 것을 떼어내고자 할 때에는 더 큰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군다나, 떼어낼 때는, 벽면에 붙은 벨크로가 벽지와 함께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건전지 등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벽시계나 탁상시계 뒷 면에 종래 벨크로를 부착할 경우에는, 일년에 한두번씩은 주기적으로 뒷면 건전지 뚜껑을 개방하여 교체해 줘야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더구나, 벽걸이용 대형TV 뒷면에 벨크로를 부착하고,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벽면에 탈부착시킬 경우에도, 역시 섬유루프에 결속된 갈고리들을 부분적으로 이탈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TV를 벽면에 부착하기는 쉬우나 떼어내고자할 경우에는 큰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심지어, 중대형 장식장이나 책장 등을 벽면에 탈부착시킬 경우에는 찍찍이의 표면적의 크기를 훨씬더 크게 증가시켜 뒷면 여러 군데에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에도 역시 벽면에 부착하기는 쉬우나 벽면으로부터 떼어내고자할 경우에는 부착력의 힘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빠루(노루발이 달린 쇠지레) 등을 벽면 틈새에 밀어넣어서 지렛대의 원리로 이탈시키는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밖에 없으며, 그 과정에서 제품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종래 버클에서 길이조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섬유루프 부재를 일정 길이의 벨트의 어느 한쪽 끝에 결합하고 직립된 갈고리 부재를 벨트의 다른 한쪽 끝에 결합하여 서로 탈부착시킬 경우에는, 둘 중 어느 한쪽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그 결속력의 힘을 분리시켜 이탈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거의 그 표면적의 크기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춰 마음대로 그 길이를 조절하여 탈부착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벨크로가 갖는 구조적 특성상, 갈고리의 구부러진 끝 부분이 거칠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속시 직립된 갈고리의 측면 방향으로 섬유루프를 작용시키게 되면, 거칠고 날카로운 갈고리 끝에 섬유루프의 실가닥들이 아주 손쉽게 걸려들게 된다. 때문에, 일단 벨트 라인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결속되지 않으면 외관상 보기가 흉하므로 다시 떼어내야만하는 불편을 초래하기 쉽상이다.
더욱이 청바지와 같은 옷에는 벨트를 안내하는 벨트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그 고리 속을 통과시켜야 하는데, 그 과정 중 원치 않는 위치에서 갈고리가 섬유루프의 실가닥들에 걸려들게 되면, 다시 떼어내는 데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결속시에는 반드시 갈고리의 윗 면에서 섬유루프를 벨트 라인에 맞춰 정확한 위치에 대고 눌러야만 제대로 결속시킬 수가 있게 되는데, 이는 결속시의 불편한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가 있다.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벨크로의 갈고리와 루프 부재 중 어느 한쪽을 종래 버클 프레임의 단단한 곡면부에 접착시키고 벨트에는 나머지 한쪽을 결합시켜 탈부착하고자할 경우에는, 벨트의 유연성만을 이용하여 암수 두 부재를 부분적으로 이탈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버클 프레임을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벨트 위로 들어올리게 되면, 섬유루프가 갈고리에 걸리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가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자의 마음대로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버클의 폭과 길이를 크게 형성할 경우, 암수 두 부재를 떼어낼 때에는, 비록 벨트의 유연성만을 이용하여 이탈력의 힘을 줄여 부분적으로 이탈시킬 수가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일련의 과정은 통상적인 자동버클이나 회전막대형 버클, 둥근 돌출부가 형성된 버클을 해제할 때보다는 불편한 단점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가 있게 된다. 더구나 떼어낼 때의 이탈력의 힘을 줄여 탈부착의 편리성을 추구하고자, 버클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버클에 접착된 갈고리 부재의 표면적이 작게 되면, 섬유루프와 결속력이 그만큼 약해지므로 착용후 활동할 때 원치 않은 순간에 이탈될 우려가 많게 된다.
또한, 벨크로가 결합된 벨트를 착용하여 전철 내의 의자에 앉아 조인 허리를 풀고자 할 경우나, 대중 음식점에서 식사할 때 해제하고자할 경우에는 벨크로만의 특유의 소리를 내기 때문에, 주위 사람들의 시선을 한 곳으로 끌어 때로는 민망하고 난처한 입장에 처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발생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 상기 버클과 관련하여, 본 발명과 또다른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기 버클링(buckling) 효과 또는 후크 효과 및 엉킨 머리카락을 빗질할 때의 버클링 효과 등을, 상기 벨크로의 후크-앤-루프 체결시스템과 관련시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둥글게 구부러진 갈고리(후크)에 맞물리는 루프(loop) 재료는, 상기 벨크로와 같이, J-형 갈고리에 맞물리는 섬유루프로 된 것과, 일정 형태의 고리 또는 둥근 구멍으로 된 것이 있다.
상기 고리를 루프 재료로 이용하는 "ㄷ" 자형 또는 "U" 자형으로 둥글게 구부러진 후크(갈고리)의 구성과 관련, 이는 와이셔츠의 칼라(collar) 깃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부러진 후크를 이에 맞물리는 루프 고리에 걸어서 결속하게 되고, 해제시에는 구부러진 후크를 루프 고리로부터 돌려서 해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바지 지퍼 위의 단추 대신 사용되는 "ㄱ"자형 숫형 쇠갈고리와 이에 맞물리는 암형 쇠루프를 직물에 리벳팅하여 서로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버클링 효과와 관련, 머리 빗(comb)을 이용하여 엉클어진 머리카락을 빗질할 때에는, 빗살 사이로 엉킨 머리카락들(루프)이, 버클링 효과에 의해서, 걸려들어갈 때, 그 걸림 방향으로 계속 빗어내리면 머리카락이 끊어지는 반면, 그 반대 방향으로는 엉킨 머리카락들로부터 빗살을 손쉽게 빼낼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둥근 구멍을 루프 재료로 이용하는 버클의 구성과 관련, 허리에 차는 혁대(革代), 즉 가죽 벨트에 부착된 버클(buckle)의 후크는, 도15(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마치 송이버섯 모양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 구체적 구성은, 일반적으로, 버클 프레임 면에 수직으로 돌출하여 용접된 단 한 개의 기주 밑 면에서 위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는 둥근 원뿔구조 끝에 둥근 볼 모양의 턱이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잘록(오목)한 착탈부위가 생기게 되고, 이 부위가 벨트의 착탈공(둥근 구멍) 밑 면에 걸려서 탈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둥근 돌출부의 구체적 크기와 관련, 상기 기주 밑면에서 둥근 턱까지의 전체 높이(길이)는, 제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대략 8㎜ 정도 되며, 기주 밑 면에서 상기 잘록(오목)한 부위까지의 높이는 4㎜ 정도이고, 잘록(오목)한 부위의 직경은 약 1.9㎜ 정도가 된다. 또한, 상기 둥근 턱의 직경은 수직: 약 3㎜, 수평: 약 4㎜ 정도이다.
한편, 상기 버클이 결합된 가죽 벨트에는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맞춰 그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해, 상기 버클 프레임의 둥근 돌출 부위에 맞물려 결속되는 착탈 구멍(loop, 착탈공)이 대략 2~2.5㎝ 간격으로 약 5개 정도(첫 구멍과 마지막 구멍 끝 사이의 길이는 약 10㎝ 정도)가 줄지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벨트의 구멍을 통해, 버클에 돌출된 둥근 턱 부위를 밀어 넣어 결속하게 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버클의 결속을 해제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상기 버클의 둥근 돌출턱이 이보다 약간 작은 상기 벨트의 착탈 구멍 안쪽 내면에 빗면마찰의 원리로 손쉽게 들어가서 상기 잘록(오목)한 부위가 벨트 구멍 밑 측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착용시 벨트면에 수평-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결속된 벨트의 한쪽 부위를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을 벨트의 수평 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점진적으로 그 힘을 증가시키게 되면, 벨트의 구멍이 찢어지거나, 아니면 버클의 수직 돌출 부위가 부러져나가 더 이상 힘을 받을 수 없을 때까지 일정한 결속력(結束力)의 힘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버클링 효과는, 벨트 면에 나란히 수평 방향으로의 결속력(結束力)은 아주 강력한 장점이 있으면서도, 돌출부를 구멍에 밀어 넣을 때의 반대 방향으로의 수직 결속력은 아주 약하므로, 손쉽게 버클의 결속을 해제할 수가 있는 장점 또한 동시에 지니게 된다.
그런데, 버클에서는 상기의 수직 결속력이 약한 것이 결속 해제시의 편리한 장점이 되지만, 수직 결속력도 필요한 다른 기술 분야에 상기 구성원리를 적용시에는, 오히려 불리한 단점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이런 상태로 허리에 차게 되면, 상기 벨트의 구멍과 구멍 사이의 간격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비록 허리 둘레에 맞춰 벨트의 한쪽 끝을 적절히 절단하여 버클에 결합한다하더라도, 의자에 앉거나 또는 식사후나 공복시의 상황에 따라 어느 때는 너무 조이고, 또, 어느 때는 너무 헐거워서 착용자의 허리의 둘레에 맞춰 그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불편한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같은 문제를 뒷받침하는 아래 인용[문헌 7]에 의하면, 후크형 버클과 슬라이딩 타입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에 대해 소개하고 있고, 그 문제점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후크형 버클은, 장기간 사용시 버클에 형성된 고리나 돌출부에 체결되는 밴드의 결합공이 늘어나고 찢어지는 등 혁대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고,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은 사용자의 신체적인 변화에 따라 혁대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천공된 결합공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구멍을 뚫어야 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記述)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딩 타입의 버클은, 버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가압부가 밴드에 밀착되도록 하여 혁대를 고정하는데,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가압부의 톱니가 무뎌지게 되어 밴드가 미끄러져 결착력이 점차 약해지므로 사용자의 작은 신체의 변화에도 혁대가 느슨해지게 되어, 격렬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혁대가 풀리는 폐단이 따르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벨트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자동버클과 관련하여, 아래 인용[문헌 8]에 의하면, 선출원된 자동버클 벨트의 벨트구멍(12)은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그 모양이 타원형으로 변형되고, 벨트구멍(12)이 벨트(10)에 관통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미려치 못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벨트구멍(36)에 록킹핀(25)이 내부에서 외부로 끼워지도록, 내피(31)와 외피(32) 사이에 동일한 형상, 크기의 벨트구멍(36)을 갖는 신축성 보강부재(33)를 개재하여 부착하고 있다.
상기 버클의 길이 조절과 관련, 종래, 탄소나노섬유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합성섬유 등으로 직조된 벨트에, 톱니모양의 클램프 구성원리를 적용시킨 버클이 결합되어, 착용자의 신체 변화에 따라 상기 자동버클보다 훨씬 더 미세하게 그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세 길이조절 벨트도 이미 상용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회전 막대형 갈고리를, 벨트의 일정 간격으로 천공된 결합공(착탈공)에 끼워서 착탈할 수 있게 구성된 회전막대형 버클의 경우에는, 그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가 있으며, 특히 여성용 하이힐이나 멜빵 벨트 등에 적용시에는 아주 작게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외관상 미려하게 꾸밀 수 있는 장점 또한 지니고 있긴 하다. 그러나, 이 버클을 착용시 뜻하지 않은 순간에 강력한 힘이 그 결속부위에 작용할 경우에는 벨트의 결합공을 중심으로 손쉽게 절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종래 벨트 착용시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금까지 상기 언급된 버클 이외에도 갖가지 체결수단이 개발되어져 왔다. 그런데,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에 걸맞게 보다 강력한 결속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 버클의 구성 원리로는 한계점에 봉착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소형화된 버클에 있어서는 더할 나위 없이 결속력에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 버클이 안고 있는 결속력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도 미세길이조절이 가능한 버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종래 벨크로를 비롯한 상기의 여러 버클의 구성방법 그대로는 거의 불가능하다할 수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 언급된 돌출형 버클의 수평 방향으로의 결속력이 강력한 장점은 그대로 적용시키고, 버클의 수직 결속력이 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ㄷ"자형 후크를 고리로부터 돌려서 해제하는 체결방식과, "ㄱ"자형 후크의 체결방식 및 상기 빗살을 엉킨 머리카락들(루프)로부터 버클링 효과에 의해 손쉽게 해제할 수 있다는 점과, 상기 벨크로의 숫형 갈고리와 암형 섬유루프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고려하여, 지금까지 없던 전혀 새로운 결속 방식을 모색(摸索)해 보고자 한다.
일정한 직물 또는 기판 위에, 상기에 명시된 "ㄷ"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둥글게 구부러진 갈고리(후크)들을, 그 길이 방향에 나란히 종렬로 일정 간격을 두고 줄지어 형성하여, 상기 벨크로의 섬유루프에 상호작용(相互作用)시킬 경우를 가정해 보면, 그 갈고리의 끝이, 버클의 둥근 돌출부 또는 후크의 모양 그대로는 섬유 루프의 아주 작은 틈새로 들어가 결속될 수가 없는 구조적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한편, 상기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차별성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은 종래 벨크로의 갈고리 끝 부분과는 전혀 달리, 침상(針狀)의 구조로서 무작위로 일정한 직물의 아주 작은 틈새로 파고 들어가서 결속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가는 실가닥(솜을 자아 내어 꼰 것, 또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에서 사출된 monofilament들을 일정수 꼰 것)들을 씨실(위사(緯絲), 가로 건너 짜는 실)과 날실(경사(經絲), 세로 놓인 실)로 서로 교차시켜 직조시에 이루어지는, 직물 틈새(loop)의 간격은 견직물 또는 편직물의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며, 대략 1㎜ 이내로 아주 작게 직조된 직물도 있다.
반면, 상기 종래 버클의 둥근 돌출부에 결속되는 벨트의 구멍(loop)들 사이의 간격은 대략 2~2.5㎝ 정도이고, 자동버클의 경우에는 대략 1㎝ 이내이다.
이런 점들을 감안해 볼 때, 본 발명의 상기 갈고리바늘들을 상기 벨크로의 암형 섬유루프 등과 관련시켜, 버클과 벨트에 적절히 적용시키게 되면, 종래 버클에 결합된 벨트의 구멍 간격보다 훨씬더 미세하게 그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결론을 유추해 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 갈고리바늘의 강도에 따라서 이에 결속되는 루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지금까지 없던 전혀 새로운 방식의 보다 강력한 결속력을 지닌 일방향성 체결수단이 구현(具現)될 수가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에 적용되는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에 대해서는, 상기 [문헌 4]와, 아래 [문헌 9~12]에서 소개하고 있다.
[문헌 4]에서는, 가발에 사용하는 코일스프링의 형상기억합금의 특성 중 초탄성(super elasticity)과 관련, 일반금속은 탄성변형이 0.5% 정도 가능한 것에 비하여 형상기억합금은 8%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초탄성효과라고 명명됨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염분에는 Ti가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므로 Ni-Ti 계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소개하고 있다.
[문헌 9]에서는, 형상기억 효과와 형상기억합금에는 니티놀(Nitinol)이라는 니켈-티탄 합금과 동-아연 합금, 금-카드뮴 합금, 인듐-탈륨 합금 등이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형상기억합금은 형상기억효과(Shape Memory Effect: SME)와 초탄성효과(Super elasticity: SE)의 특성들을 지니고 있어, 온도변화(SME와 관련)나 응력 변화(SE와 관련)에 의하여 변형 전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는 기능을 지니며, 합금의 조성, 가공 그리고 열처리 방법에 따라 형상을 기억하는 방식이 다름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의탄성효과로 변형을 주어 늘어났던 것이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형상기억합금도, 화학조성을 변화시켜 변태점을 적당히 조절하게 되면 상온에서 고무와 같은 큰 탄성을 나타냄을 소개하고 있다.
[문헌 10]에서는, 형상기억폴리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는 문헌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또한, 형상기억폴리머와 형상기억합금에 대한 메카니즘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문헌 11]에서는, 고탄성의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소재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반응으로 형성된 선형 폴리머로서, 플라스틱과 고무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고 부드러운 질감을 제공함을 설명하고 있다. 또, Ni-Ti(니티놀)계 형상기억합금은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TPU소재로 피복될 수 있음을 소개하고 있다.
[문헌 12]에서는, Ti-Ni와 같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은 많이 구부려도 스프링의 이완된 형상을 영구적으로 변화시키지는 않음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할 경우 응력-변형량 특성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문헌 1] KR1020017003438, 2001년09월07일, 1~2쪽, 도면4~13A [문헌 2] KR1019997003019, 2000년07월25일, 1~2쪽, 7쪽 [문헌 3] KR1993-7003527, 1994년04월22일, 1~2쪽 [문헌 4] KR1020110041973, 2011년04월22일, 4~6쪽 [문헌 5] KR1019970703080, 1997년12월01일, 1~2쪽, 도면1~11 [문헌 6] KR10-1215583, 2012년12월18일, 1~6쪽, 도면1,2,4~6 [문헌 7] KR20-2013-0002565 길이조절이 가능한 혁대용 버클 [문헌 8] KR20-0304902 자동버클용 벨트 [문헌 9] KR1020120094219, 2012년08월24일, 2,3쪽 [문헌 10] KR1020040004484, 2004년01월13일 4,5쪽 [문헌 11] KR1020110125720, 2011년11월22일, 4쪽 [문헌 12] KR1020090113348, 2009년10월30일, 2쪽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벨크로는 그 표면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탈부착력의 힘은 증가하므로, 이탈력의 힘을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유일한 방법은 그 자체의 유연성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힘을 분리시켜 이탈시키는 방법밖에 없다.
때문에, 유연성이 없고 단단한 어느 두 물체의 곡면 또는 평면에 암수 벨크로를 각각 결합하여 서로 탈부착할 경우에는, 이에 작용하는 힘이 크면 클수록 반드시 이에 비례하여 벨크로의 표면적의 크기를 증가시켜 결합해야만 하는데, 벨크로의 표면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그 탈부착력의 힘도 동시에 증가하므로, 부착하기는 쉬우나 떼어낼 때는 부분적으로 힘을 분리시켜 이탈시킬 수가 없으므로 아주 큰 힘이 드는 불편한 문제점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그 크기 증가에 따른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단점은 룰론 가격 상승의 단점도 생기게 된다.
하물며, 그 크기를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비해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순간에 이탈되게 함으로써 결속력의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그만큼 많게 된다. 때문에, 벨크로가 결합된 어느 두 물체의 유연성에 상관없이, 그 표면적의 크기를 작게 하더라도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종래 벨크로의 구조 그대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유연성에 상관없이 표면적의 크기가 작더라도 결속력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이탈력의 힘을 최소화함은 물론 미세하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는, 또다른 차원의 결속부재가 반드시 필요하다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의 슬라이딩형 버클은, 상기의 여러 문제점 이외에도, 비록 압착롤러를 이용하여 벨트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는 있을지언정, 톱니형상의 가압부가 밴드(벨트)에 반복적으로 압착되기 때문에, 특히 가죽벨트에 적용시킬 경우에는, 그 압착력에 눌려서 가죽 표면에 코팅된 피복이 벗겨지거나 달아 헤져서 외관상 보기 흉하게 변질되는 문제점도 배제할 수가 없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나일론 합성섬유 등으로 직조된 벨트의 경우에는 그런 헤지는 문제점이 비교적 덜 발생하기 때문에, 주로 이같이 질기고 강한 합성섬유 벨트에만 국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상기 후크형과 슬라이딩형 버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버클이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러 기술이 추가됨에 따라 그만큼 생산비용 상승의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특히, 전술한 자동버클의 경우는 자동으로 길이를 조절하는 편리성을 추구하고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나, 이 역시 벨트구멍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서, 결국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덧붙여, 종래 허리에 차는 대부분의 버클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조이는 힘이 작용할 때에는 풀리는 경우가 적지만, 이를 조이는 힘이 작용하지 않는 다른 기술분야, 즉 핸드백 등의 폭이 작은 벨트에 적용시켜 소형화할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순간에 결속부위가 해제되는 불편함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둥근 돌출형 버클을 소형화할 경우에는 둥근 턱부위의 크기도 작아지므로, 벨트에 걸리는 힘이 약해 결속력에 문제점을 일으킬 소지가 그만큼 많아지게 된다. 상기 자동버클의 경우에도 손목시계의 벨트와 같이 아주 작은 크기의 벨트에 적용시에는 소형화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볼 수가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 체결기구에는 상기 벨크로를 비롯한 둥근 돌출형 버클, 슬아이딩형 버클, 자동길이조절 버클, 회전 막대형 버클, 톱니형 클램프를 이용한 미세길이조절 버클 이외에도 여러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추구하는 제품이 있고, 각기 어느 한 분야에 만족스러우면 다른 분야에는 미비한 그 나름대로의 장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결속력이 강력하면서도 동시에 소형화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으며, 여러 기술분야에 걸쳐 만족할만한 체결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결속력이 강력하면서도 동시에 소형화된 미세- 길이조절 벨트(The minuteness length-control belt)는 물론, 그밖에 산업적으로 여러 다양한 기술 분야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종래 통상적인 버클과 벨크로의 체결방식과는 전혀 차원이 다른 새로운 개념의 체결수단을 구성해 보이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벨크로를 비롯한 버클의 구조와는 전혀 차원이 다른,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침상의 갈고리바늘들을, 그 굵기와 탄성강도 등의 구조역학적 적성에 맞는 루프와 버클링 효과에 의해 결속되게 하여, 갈고리바늘 한 두개 만으로 버클프레임(31)의 면적의 크기를 아주 작게 구성하더라도 이에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면서도, 동시에 이탈력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는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하고자한다. 그러기 위해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
첫째, 상기 갈고리바늘의 기주(11) 밑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기판, 버클프레임 등)은, 상기 벨크로와는 달리, 일반 직물처럼 쉽게 휘어져서는 않되며,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따라서는 루프와의 상호작용시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있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 또는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단단하게 구성한다.
둘째, 갈고리바늘이 섬유루프와의 상호작용시 쉽게 구부러지거나 잘 휘어져서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상기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재료를 이용하여, 힘의 모멘트의 원리에 따라, 상기 기주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 하면서 전체 길이를 짧게 하고,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를 루프의 강도에 맞춰 적절히 형성한다.
셋째, 상기 갈고리바늘들이 일반 직물루프는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루프와의 상호작용시, 무작위로 여러 꼬인 실가닥들에 걸리지 않고 이들 틈새 사이로 잘 미끄러져 들어가 손쉽게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그 바늘촉(14)의 끝 부분을 뾰족하지만 가능한 한 짧고 둥글게 라운딩처리하여 형성하고, 특히, 그 표면은 고주파 열처리 등을 거쳐 둥글고 매끄러우면서도 단단하고, 탄성은 있지만 잘 구부러지거나 휘지 않도록 형성한다.
넷째,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 또는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한 갈고리바늘세트(16)를, 그 바늘촉(14)의 높이에 맞춰 안전턱(65)이 형성된 버클프레임(31)에 결합시켜,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에 따라 일반 직물루프는 물론, 본 발명의 아치형루프(22) 등에 결속되도록 구성한다.
다섯째, 일반 직물루프의 직물의 강도와 틈새 간격에 맞춰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 및 강도를 적절히 구성하거나, 또는 갈고리바늘의 구조역학적 특성에 맞춰 루프에 적용되는 직물의 강도와 틈새 간격 등을 적절히 조절 형성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루프의 제조방법은,
아치 형태 또는 볼록 누비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풀형 또는 오메가형 탄성복원체(23, 탄성복원섬유 등)를 일정 크기와 길이로 형성하여 바탕시트(25) 위에 하나씩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탄소나노섬유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실로 직조된 직물의 씨실과 날실 두 실 중 어느 한쪽 실의 일부를 일정 폭과 길이로 제거시킨 직물루프(24)시트를 덮어서, 상기 바탕시트 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횡렬로 한 줄 이상 아치 형태로 차례로 재봉(박음질)을 하여 아치형루프(22)를 구성하고,
이를 다시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 위에 박음질(재봉)로 결합시켜 아치형루프벨트(70)를 구성하는 루프제조방법.
이하 도(1~43)과 청구항의 청구범위에 따라 구성한다.
고강도 고탄성의 탄소강 등으로 갈고리바늘의 크기를 대형으로 형성하여 한두 개의 갈고리를 이에 걸맞는 낚싯줄로 형성된 줄루프프에 결속할 수있도록 구성하게 되면 대형의 장식장을 높낮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는 특장점도 지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못을 박아서 액자 등의 장식품을 걸게 되면, 벽면에 박힌 못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특장점이 있다.
또한, 섬유루프의 실가닥들의 틈새로 갈고리바늘이 들어가 맞물리기 때문에 그 틈새의 간격만큼 세밀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같은 방식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은 지금까지 전혀 시도된 적이 없는 것으로서, 이같은 점이 본 발명만의 큰 특장점이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는, 그 기판 위에 직립된 침상의 갈고리바늘들과, 이의 구조역학적 적성에 맞춰 직조(織造)된 섬유루프가 상호작용할 때, 상기 갈고리바늘의 기주(11) 내면 쪽 수평방향으로는, 기주의 팔의 길이가 짧아 힘의 모멘트가 작기 때문에, 잘 휘거나 변형되지 않으므로, 갈고리바늘의 직경과 탄성강도가 크면 클수록 섬유루프와의 결속력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된다.
한편, 갈고리바늘의 바늘촉 틈새(19) 방향으로는 팔의 길이가 기주보다 더 길기 때문에, 힘의 모멘트가 커서 상대적으로 기주보다 더 잘 변형(휨, 비틀림 변형)될 수가 있으므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섬유루프의 신축성을 이용하여 거의 힘들이지 않고 손쉽게 상기 틈새(19)로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틈새(19) 방향으로의 이탈력(離脫力)의 힘은 상대적으로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판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는 이웃하는 모든 갈고리바늘들의 상기 기주(11)에 가까운 변곡점(13) 부위에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일부로 강하게 힘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잘 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수직방향으로도 일정한 결속력을 갖게 된다.
갈고리바늘의 직경(굵기)과 크기가 비교적 작을 경우에는 그 탄성강도를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하여 이에 맞물리는 섬유루프의 쿠션에는 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특히, 갈고리바늘의 직경과 크기가 비교적 크면서 동시에 탄성강도 역시 크게 형성하게 되면,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19)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손쉽고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결속시 갈고리바늘의 기주(11) 내면 쪽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할때는 그 힘이 섬유루프에 결속된 갈고리바늘들 전체로 고루 분산되어 실리기 때문에, 적용되는 어느 물체의 무게에 맞춰 적절한 일방향성찍찍이와 이에 맞는 섬유루프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한다면, 종래 벨크로보다는 훨씬더 작은 면적으로도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충분히 견딜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그 기판의 유연성에 상관없이 종래 벨크로보다 그 표면적의 크기를 훨씬더 작게 구성하더라도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틈새(19) 방향으로 탈부착시에는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사용에도 갈고리바늘들의 피로도를 절감시켜 소성(塑性) 변형(變形)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 또한 생기게 된다.
이로써,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탄성강도를 적절히 조절형성하여,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하게 되면, 종래 벨크로보다 표면적의 크기를 훨씬더 작게 구성하더라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비교적 무게가 무거운 장식장이나 수납장, 책장 및 벽걸이용 대형 TV 등에도 적용할 수가 있음은 물론, 전술한 벨크로를 사용할 때의 불편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자연적으로 생기게 된다.
때문에, 도3과 같이, 벽면이나 고무빨판(53) 뒷면에는 일방향성찍찍이를 결합하고, 벽시계나 사진액자 또는 그림액자 등 벽걸이용 장식품들 뒷면에는 섬유루프(21, 보풀 등)를 결합한 다음, 바늘끝(14, 바늘촉)이, 중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서로 탈부착시키게 되면, 중력 방향으로의 결속력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되며, 중력 방향의 반대인 상기 틈새(19) 방향으로는 아주 손쉽고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종래에는 벽면에 콘크리트 못을 박아서 액자나 대형시계 등을 걸게 되면, 콘크리트 못이 박힌 그 위치로 고정되며 위아래로 위치를 변경하고 싶을때에는 박힌 콘크리트 못을 뽑아서 다시 못질을 해야만하며 그대로는 위치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보풀형 루프밸트나 아치형(또는 볼록누비형) 루프밸트를 적절한 길이로 길게 형성한다음, 벽면 또는 대형시계에 접착하여 본 발명의 일방향성 찍직이버클에 미세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시킬수가 있으므로 종래보다 훨씬더 편리한 특장점이 생기게 된다.
특히, 화랑 내 벽면에 전시품의 높낮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데에, 본 발명의 일방향성 찍직이버클과 루프밸트를 적용시키게 되면 보다 효과적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들을 낚싯바늘과 같은 고탄성의 특수합금 강철스프링 재료를 이용하여, 여러개의 갈고리바늘들이 고탄성 섬유루프에 맞물리도록 구성하게 되면, 일정한 힘이 작용할때 여러개의 갈고리바늘들에 그 힘이 분산되어 실리기 때문에, 낚싯바늘의 굵기처럼 아주 가늘게 형성하더라도 갈고리바늘 수가 증가할수록 이에 맞물리는 섬유루프와의 결속력의 힘은 증가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덧붙여, 갈고리바늘의 굵기(직경)는 낚싯바늘의 굵기와 같게 하면서 그 크기는 낚싯바늘의 크기보다 더 작게 하게 되면, 일정한 힘이 작용할때 힘의 모멘트가 작으므로 그만큼 잘 휘어지지 않도록 할 수가 있을 뿐만아니라, 갈고리바늘의 탄성강도가 크면 클수록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여 탈부착되기 때문에 손쉽고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 일방향성찍찍이의 갈고리바늘들은 침상(針狀)의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바늘촉(14, 바늘끝)의 날카롭고 둥근 정도에 따라서, 기존 벨크로의 섬유 루프는 물론, 일반 의복을 비롯한 다양한 섬유류도 날실로 직조시에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의 작은 루프(loop)가 형성된 것이라면, 그 갈고리바늘에 맞물리는 루프 재료로 이용될 수가 있으므로, 그 루프 재료의 선택의 폭이 종래 벨크로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넓은 것이 큰 특장점이라할 수가 있다. 때문에, 양탄자와 같은 직물도 그 자체 그대로 루프 재료로 이용될 수가 있으므로, 양탄자를 벽에 부착하고 이에 상기의 탁상시계나 여러 다양한 장식품 등을 수시로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또한, 니트 형식의 털실로 직조된 옷 등의 편직물의 경우에도 그 자체를 그대로 루프 재료로 이용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도3, 도11의 갈고리바늘 수보다 훨씬더 적은 수(약 2~8개)의 갈고리바늘들로 표면적의 크기를 아주 작게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 뒷면에 액세서리(accessory)를 결합하여 탈부착할 수도 있으며, 부착시에는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킬 수가 있으므로 종래 옷핀 등으로 부착할 때보다 흔들리지 않게 할 수가 있음은 물론, 종래 벨크로보다 훨씬더 안정적일 수가 있으며, 이탈시에는 옷이 상할 염려도 거의 없으므로 효과적일 수가 있다.
더욱이, 형상기억합금(또는 폴리머)이 적용된 갈고리바늘들로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할 경우에는 반복적인 사용에도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더욱 더 결속력의 안전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도9와 같이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에 등산용 로프를 연결하거나, 또는 도10(A,Aa,Ab,B,Ba,Bb)과 같이 구성하여, 수륙양용(水陸兩用)의 인명구조용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수해로 인해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고자 할 때에는, 일반 의복에도 손쉽게 결속되어 아주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가 있으므로 효과적일 수가 있다. 인명구조용이나 화물 운송(운반) 및 화물선적 또는 수중인양 작업용 등으로 일방향성찍찍이에 결속되는 루프 재료는, 특수제작된 대형의 마대(또는 마포)자루가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명구조용으로 대형 마대자루에 여러명의 요구조자들을 실어서 개방부 여러군데에 일방향성찍찍이를 결속시켜서 구조용 헬리콥터에 연결시켜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게 되면, 마대자루에 결속된 갈고리바늘들이 작용하는 힘이, 마대자루 표면의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 실리기 때문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때 결속된 부위가 찢어질 염려도 전혀 없으므로 결속시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허리에 두르거나 온몸을 감싸는 양탄자 등의 천(직물)도 루프 재료로 적용될 수가 있으며, 고탄성의 날실 편직물 또는 부직포를 여러겹 겹쳐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종래 마대자루 개방부 둘레에 쇠갈고리를 거는 구멍을 형성할 경우에는 그 곳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때 찢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구멍 주변에 여러겹의 천을 덧대어 재봉을 하고, 구멍내 테두리에는 쇠고리를 결합해야하므로 이로 인한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이에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를 적용시키게 되면, 소형~중대형 마대자루에 쇠갈고리에 거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마대자루 그 자체를 루프 재료로 그대로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마대자루의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아니라, 곡물 등을 담은 여러개의 소형~중대형 마대자루들을 밧줄로 연결하는 번거로운 절차없이 각각 일방향성찍찍이로 편리하게 결속시켜 한꺼번에 소형 크레인으로 운반하게 되면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도 자연적으로 생기게 된다.
또한, 곡물 포장 공장에서,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운반된 곡물포대들을 다시 중대형 마대자루에 담아 크레인으로 운반시킬 때에도, 곡물포대를 대량으로 편리하게 결속시켜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어 효과적일 수가 있다.
또한, 군대의 장갑차, 탱크, 포대 등의 외벽 둘레 일정 부위에 적절한 섬유루프를 접착하고, 도10(D,Da)와 같은 고무밴드의 양쪽 끝에는 일방향성찍찍이를 결합하여 대량의 활옆수 등의 나뭇가지를 결속시키는 위장술에 적용시키면 효과적일 수가 있다. 또한, 철모에 적용시켜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으며, 군복에 견장을 달 때에도 종래 벨크로 대신 적용시키게 되면, 군복을 그대로 루프 재료로 이용할 수가 있으므로 별도의 섬유루프를 결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 절감의 효과와 함께 실전시 나뭇가지 등에 걸려도 잘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낙하산의 경우에는 주산·보조산을 접어 넣는 포대를 인체에 착용하기 위한 흉대와 각대에,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를 적용시키게 되면,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실전시 단시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할 수가 있으므로 효과적일 수가 있다.
덧붙여,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합성 플라스틱 기판의 양쪽 끝에 일정한 거리를 두어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 두개를 대칭되게, 바늘촉(14)이 서로 마주보게 구성하고, 둘 중 어느 한쪽을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의 한쪽 끝에 그대로 루프로 이용하여 결속하게 되면, 외과 수술 뒤 환부를 감싸는 용도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 벨크로를 이용할때보다 훨씬더 생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혈압측정용 압박대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그밖에, 각종 의류, 가방, 모자, 텐트, 레저 스포츠용품, 등산용품, 각종 군수용품 결속용, 진지구축용, 집중호우시 수방용, 선박내 차량 또는 화물 결속용 등 산업적으로 여러 다양한 기술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가 있다.
[도 1]의 구성과 관련;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숫형 갈고리바늘1,2(17,18)의 구조와, 이들로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의 구조 및 암형 루프벨트를 구성해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갈고리바늘1(17)의 구조를 확대시켜 보인 측면도(A)와, 이의 변곡점 연장주(13)로부터 길이를 연장시켜 보인 확대 측면도(Aa),
상기 갈고리바늘2(18)의 확대 구조로서, 둥근 턱을 형성시켜 보인 확대 우측면도(B)와, 이의 바늘촉(14)을 기판(10)의 길이 방향에 직각되게 횡렬(가로로 줄지은)로 4개가 형성되도록, 일정한 형틀(몰드)로 성형해 보인 갈고리바늘세트(16)의 확대 평면도(Ba), 이의 정면도(Bb)와 배면도(Bc), 상기 갈고리바늘2로 구성된 갈고리바늘세트 3개를, 다시 일정 크기의 틈새(19)와 착탈공간(20)이 형성되도록, 종렬로 배열시켜 보인 확대평면도(Bd)와 이의 우측면도(Be),
상기 갈고리바늘1을 기판의 길이 방향에 나란히 종렬로 성형해 보인 갈고리바늘세트(16)의 확대 평면도(C), 이의 우측면도(Ca)와 정면도(Cb) 및 배면도(Cc)와 저면도(Cd),
상기 갈고리바늘1의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기주에서 연장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타원형의 원뿔구조로 구성된 갈고리바늘1을 고탄소강 등으로 성형하여, 사다리꼴의 경사면을 이룬 육면체의 금속 기판(10)에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와 측 부분단면도(Dd), 평면도와 정면도 및 배면도(Dc),
이를 다시 알루미늄합금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에 결합해 보인 평면도(D)와 Ly선 정단면도(Da) 및 Lx선 측단면도(Db),
상기 버클프레임(31)의 갈고리바늘1에 결속되는 5줄 루프벨트(70)를 구성해 보인 사시도(E)와 이의 확대 횡단면도(Ea),
종래 벨크로의 뒤집힌 J-형 갈고리(hook)가 섬유루프(보풀 웹)의 실가닥에 걸린 실재 확대 모습(J)과 이 갈고리를 도시해 보인 확대 측면도(Ja).
[도 2]의 구성과 관련;
도2는 도1의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성찍찍이의 갈고리바늘1,2에 결속되는 루프의 제조방법을 보인 도면으로서,
탄소나노섬유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실을 이용하여 씨실(위사, 가로실)과 날실(경사, 세로실)로 교차하여 직조된 직물에 있어서, 씨실과 날실 두 실 중 어느 한쪽 실의 일부를 제거하여 구성된 직물루프(24)시트를 일부 아치형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A)와, 이 아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풀형 탄성복원체(23)를 둥글게 말아 보인 사시도(Aa), 이 탄성복원체를 바탕시트(25) 위에 올려 놓고 재봉(박음질)을 하여 5줄 탄성복원섬유를 구성해 보인 사시도(Ab),
상기의 바탕시트 위에 탄성복원체를 하나씩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직물루프시트(24)를 아치형으로 차례로 재봉하여 5줄 아치형루프(22)를구성하고, 이를 다시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 위에 박음질(재봉)로 결합시켜 보인 루프벨트(70)의 사시도(Ac), 상기 5줄 아치형루프의 도면상 좌우 끝 단 내부에 일정 섬유를 넣어서 접착하여 마감시켜 보인 사시도(Ad), 이의 평면도와 횡단면도(Ae),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를 바탕시트로 이용하여 상기 탄성복원체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도(Af),
상기의 루프제조 방법을 바탕으로, 그 크기가 더 큰 탄성복원체가 결합된 바탕시트의 사시도(B)와 4줄 루프벨트를 구성해 보인 사시도(Ba),
상기 직물루프(24)시트의 기능과 탄성복원체(23)의 기능을 동시에 갖는 탄성복원체를, 상기 바탕시트 또는 고강도 벨트에 오메가 형태로 접착 또는 박음질(재봉)하여 구성해 보인 루프벨트의 횡단면도(C), 아치형루프들 사이에 안전턱삽탈홈(27)을 만들지 않고 구성해 보인 횡단면도(Ca),
종래 벨크로의 숫형 갈고리에 결속되는 암형 섬유루프의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본 발명의 상기 갈고리바늘1,2의 구조역학적 적성에 맞춰 새로이 구성된 보풀형섬유루프(21)의 사시도(D)와, 상기 안전턱삽탈홈(27)이 형성된 보풀형섬유루프의 평면도(Da).
[도 3]의 구성과 관련;
도3은, 도1,2를 바탕으로, 고강도 고탄성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갈고리바늘1(17)들로 성형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다시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에 접착하고, 이를 다시 벽면과 고무빨판(53)에 접착시켜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갈고리바늘1들을 기판(10)의 길이 방향에 종렬로 성형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상기 버클프레임(31)에, 각 줄마다 기주와 기주의 중간에 다음 줄의 기주가 위치하도록 접착하여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를, 그 바늘촉(14)이 중력 방향의 반대로 세워 보인 정면도와 좌측면도(A), 저면도(Aa)와 Ls선 부분횡단면도(Ab), 갈고리바늘세트(16)의 정면도와 우측면도(Ac), 버클프레임의 정면도(Ad), 벽면에 접착시켜 보인 Lp선 좌측 종단면도(Ae)와, 상기 버클프레임을 고무빨판(53)에 접착하고 보풀형섬유루프(21)를 결속시키는 모습을 보인 Lp선 좌측 종단면도(Af),
기판(10)의 길이 방향과 직각되게 횡렬로 성형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5열 횡대로 배열시켜 보인 평면도와 우측면도(B), 이 갈고리바늘세트를 더 작게 성형하여 상기 버클프레임(31)에 접착한 다음, 다시 흡착판(51)이 형성된 고무빨판(53)의 결합면(52)에 접착시켜 보인 정면도(Ba)와 좌측면도(Bb) 및 저면도(Bc), Ly선 좌측 종단면도(Bd),
이에 결속되면서 탁상시계나 액자, 액세서리(accessory) 등의 장식품 뒷면에 접착되는 보풀형섬유루프(21)의 배면도(C), 이를 상기 고무빨판의 버클프레임에 결속시켜 보인 좌측면도(Ca)와, Ly선 좌측 종단면도(Cb), 보풀형섬유루를 분리시켜 보인 Lx선 횡단면도(Cc)와, 결속시켜 보인 Lx선 횡단면도(Cd).
[도 4]의 구성과 관련;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갈고리바늘1의 기주(11) 밑에 4각형의 고착키(33)와 고착턱(34)을 형성하고, 이를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 버클기판)의 고착홈(32)에 결합시켜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찍찍이버클)의 도면으로서,
이의 정면도(A)와 이를 벽면에 접착시켜 보인 좌측면도(Aa), 평면도(Ab)와 배면도(Ac), Ly선 촤측 종단면도(Ad)와 Lp선 좌측 종단면도(Ae) 및 Lx선 횡단면도(Af),
상기 갈고리바늘1의 좌측면도(B)와 반단면도(Ba) 및 정면도(Bb)와 배면도(Bc),
상기 갈고리바늘1의 제1미끄럼곡면(12)에서 변곡점 연장주(13)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해 보인 좌측면도(C)와 정면도(Cb) 및 배면도(Cc),
상기 버클프레임을 벽면에 부착시키고, 이의 갈고리바늘1(17)에 본 발명에 따른 루프벨트(70)의 보풀형섬유루프(21, 보풀웹)를 결속시켜 보인 좌측면도(D)와, Lp선 좌측 종단면도(Da), Ls선 횡단면도(Db),
상기 버클프레임의 정면도(E)와 배면도(Ea), Ly선 촤측 종단면도(Eb)와 Lp선 좌측 종단면도(Ec).
[도 5]의 구성과 관련;
도5는, 도4의 구성을 바탕으로, 기주(11) 밑에 고착턱(34)과 육각형의 고착키(33)가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 뼈대(05)가 내설된 플라스틱 갈고리바늘2(18)를, 고착구(32)가 형성된 버클프레임(31)에 결합시키고, 이를 다시 콘크리트 벽면 내에 결합된 암형고착체(40)에 결합시킨 일방향성찍찍이의 모습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갈고리바늘2가 결합된 버클프레임의 정면도(A),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a)와 벽면에 결합시킨 Lp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b), 저면도(Ac)와 Ls선 저단면도(Ad), Lx선 부분 평단면도(Ae),
루프벨트(70)의 보풀형섬유루프(21) 결합시의 배면도(B), 좌측면도(Ba),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Bb),
기주(11) 밑에 고착턱(34)과 육각형의 고착키(33)가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이 내설된 갈고리바늘2(18)의 구조를 보인 좌측면도(C)와 이의 반단면도(Ca) 및 정면도(Cb)와 배면도(Cc), 버클프레임(31)의 정면도(D)와 배면도(Da),
[도 6]의 구성과 관련;
도6은, 도4, 도5의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합금(05)이 내설된 플라스틱 갈고리바늘1(17)을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버클프레임(31)의 고착구(32)에 결합시켜 보인 일방향성찍찍이(01)의 도면으로서,
상기 버클프레임의 평면도(A)와 우측면도(Aa) 및 저면도(Ab), Ls선 우측 부분 종단면도(Ac), Lx선 우측 부분 종단면도(Ad), 보풀형섬유루프로부터 이탈시 갈고리바늘1들이 휘어져 변형된 모습을 보인 Lx선 우측 부분 종단면도(Ae),
기주(11) 밑에 4각형의 고착키(33)와 둥근 고착턱(34)이 형성되고, 형상기억합금(05)이 내설된 갈고리바늘1의 구조를 보인 우측면도(B)와 평면도(Ba) 및 반단면도(Bb)와 저면도(Bc),
상기 상기 버클프레임의 평면도(C)와 저면도(Ca), Lx선 우측 종단면도(Cb),
상기 갈고리바늘1을 고착키(33)에 일정한 경사각도(10도)로 성형하고,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버클프레임(31)에 "빗살무늬" 구조로 결합시켜 보인 일방향성찍찍이(01)의 평면도(D)와, 이의 구성 원리(빗면마찰)를 도시한 예시도(Da), 버클프레임의 평면도(Db).
[도 7]의 구성과 관련;
도7은, 도5~도6의 구성을 바탕으로, 형상기억합금 또는 폴리머가 적용된 갈고리바늘2(18)를 경사각 약10도로 기주 밑 고착키(33)에 형성하고. 이들을 나사결합구(35)가 형성된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버클프레임(31)의 고착홈(32)에 결합시킨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이의 정면도(A)와 배면도(Aa),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b)와 Lp선 부분 종단면도(Ac),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십자볼트(42)와 육각너트(43)로 다른 결합체에 결합시켜 보인 좌측면도(B), Lp선 부분 종단면도(Ba), 받침대에 접착된 보풀형섬유루프(21)의 측면도(Bb),
상기 버클프레임의 정면도(C)와 배면도(Ca), Lx선 횡단면도(Cb)와 Lp선 좌측 종단면도(Cc),
[도 8]의 구성과 관련;
도8은, 상기 갈고리바늘1들을 기판(10)에 일정한 경사각도(약 10도)로 성형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다시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플라스틱 버클프레임(31)에 각 줄마다 엇대칭으로 접착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평면도(A)와 우측면도(Aa),
상기 기판과 버클프레임을 서로 분리해 보인 우측면도(Ab), 상기 버클프레임의 평면도(Ac), 이의 정면도와 Lx선 측단면도(Ad),
변곡점 연장주(13)의 길이는 긴 반면, 바늘촉(14)은 가능한 한 낮게 형성된 갈고리바늘1(17)을 성형기판(10)에 2개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평면도(B)와 측면도(Ba),
변곡점 연장주(13)의 길이는 길고, 바늘촉 끝이 수평접선(03)에 나란히 형성된 갈고리바늘2(18)를 성형기판(10)에 2개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측면도(D)와, 벽면 또는 액세서리(accessory) 뒷면에 접착시켜 보인 측면도(Da).
[도 9]의 구성과 관련;
도9는, 도5의 구성을 바탕으로, 고탄소강 등의 금속 합금 재료로 기주(11) 밑에 리벳홈(28)과 육각형의 고착키(33)가 형성된 갈고리바늘1(17)을, 듀랄루민 등의 합금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의 고착구(32)에 리벳캡(29)으로 리벳팅하여 결합시키고, 이를 다시 콘크리트 벽면 내에 결합된 암형고착체(40)에 결합시킨 일방향성찍찍이의 모습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갈고리바늘1이 결합된 버클프레임의 정면도(A)와 좌측면도(Aa) 및 배면도(Ab)와 저면도(Ac), 갈고리바늘1이 리벳팅되는 모습을 보인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d), Ls선 부분 평단면도(Ae), 벽면에 결합시킨 Lp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f),
루프벨트(70)의 아치형루프(22) 결합시의 좌측면도(B),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Ba), Lx선 부분 평단면도(Bb)와, 오메가형의 탄성복원체가 내설된 루프벨트의 부분 평단면도(Bc), 상기 갈고리바늘1(17)의 구조를 보인 전개도(C),
버클프레임(31)의 정면도(D)와 배면도(Da) 및 Ly선 좌측 종단면도(Db),
[도 10]의 구성과 관련;
도10은, 도9의 구성을 바탕으로, 고탄소강 등의 금속 합금 재료로 기주(11) 밑에 수나사볼트(30)와 육각형의 고착키(33)가 형성된 갈고리바늘1(17)을, 듀랄루민 등의 합금으로 성형되면서, 로프에 연결되는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버클프레임(31)의 고착구(32)에 육각너트(43)로 결합시킨 일방향성찍찍이의 모습을 보인 도면으로서,
상기 버클프레임의 정면도(A)와 좌측면도(Aa), 배면도(Ab)와 평면도(Ac) 및 저면도(Ad), 갈고리바늘1의 수나사볼트에 육각너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Ae)와 Lx선 부분 평단면도(Af), Lv선 부분 저단면도(Ag),
상기 버클프레임 2개를 좌우 대칭으로 로프에 연결시키고, 이에 루프벨트(70)의 아치형루프(22)가 결합되기 전의 좌측면도(B), 결합시의 Ly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Ba), Ls선 부분 저단면도(Bb),
상기 갈고리바늘1(17)의 구조를 보인 전개도(C),
상기 갈고리바늘1이 제거된 버클프레임(31)의 배면도(D)와 Ly선 좌측 종단면도(Da), Lx선 평단면도(Db),
[도 11]의 구성과 관련;
도11은, 도1, 도10를 바탕으로 구성된 인명구조용 등의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사다리꼴의 경사면을 이룬 육면체의 금속 기판(10)에 고탄소강 갈고리바늘1들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5줄로 결합시켜 보인 버클프레임(31)의 평면도(A)와, 배면도(Aa) 및 정면도(Ab), Ly선 부분 정단면도(Ac)와 갈고리바늘세트를 분리시켜 보인 정단면도(Ad),
상기 버클프레임 두 개를 대칭을 이루어 그 버클회전수단(54)에 벨트고리(60)가 형성된 벨트(59)를 연결하고, 이를 다시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죔벨트(58)에 고리(57)로 연결시켜 보인 인명구조용 일방향성찍찍이의 부분 측단면도(B), 상기 갈고리바늘세트의 측면도와 갈고리바늘1들을 상기 기판에 용접 시의 모습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Ba), 상기 버클프레임(31)의 버클회전수단에 벨트와 고리를 연결(link)시켜 보인 저면도(Bc),
상기 버클프레임의 구성을 바탕으로, 볼트와 너트로, 또다른 물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평면도(C), 이의 좌측면도와 Lx선 좌측 부분단면도(Ca),
[도 12]의 구성과 관련;
도12는, 도1, 도2, 도11의 구성을 바탕으로, 신체의 일부를 조이거나, 또는 결속력이 강력한 회전식 버클을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도11의 버클프레임(31)의 버클회전수단(54)에 회전축연결핀(61)이 결합되어 벨트의 벨트고리(60)와 연결되도록 구성해 보인 또다른 버클프레임의 평면도(A)와 배면도(Aa) 및 Ly선 정단면도(Ab), Lq선 부분 정단면도(Ac),
상기 버클프레임 두 개를 대칭을 이루어 그 버클회전수단(54)에 벨트고리(60)가 형성된 벨트(59)를 연결시켜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부분 측단면도(B), 갈고리바늘세트(16)를 분리시켜 보인 평면도(Ba)와 Ls선 좌측 단면도(Bb), 이에 결속되는 5줄 루프벨트의 사시도(Bc),
상기 버클프레임과 종래 버클의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갈고리바늘1보다 굵기가 더 굵은 갈고리바늘세트(16)들이 회전식 버클프레임에 4줄로 결합되도록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평면도(C), 이의 배면도(Ca)와 갈고리바늘세트를 분리시켜 보인 정면도(Cb), 좌측면도(Cc)와 Lx선 좌측 단면도(Cd), Ly선 부분 정단면도(Ce), 이에 결속되는 4줄 루프벨트의 사시도(Cf), 갈고리바늘세트(16)의 전개도와 갈고리바늘1이 기판에 용접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Cg).
[도 13]의 구성과 관련;
도13은, 도1, 도2, 도12의 구성을 바탕으로, 결속력이 강력한 회전식 버클을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도12(C~Cf)의 버클프레임(31)의 버클회전수단(54)에 링크되면서, 루프벨트의 한쪽 끝단이 결합되고, 줄가이드(62)가 형성된 또다른 버클프레임(31)을 결합시켜 보인 평면도(A)와 정면도(Aa) 및 배면도(Ab)와 저면도(Ac), Ly선 부분 배단면도(Ad), 상기 줄가이드 버클프레임(31)의 정면도(Ae)와 배면도(Af),
상기 두 버클프레임에 4줄 아치형루프벨트(70)를 연결시키고, 45도 회전시켜 보인 Lx선 좌측 단면도(B), 이의 갈고리바늘세트(16)에 4줄 아치형루프(22)를 결속시켜 보인 Lx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Ba), 상기 두 버클프레임에 상기 4줄 아치형루프벨트(70)를 각각 결속시켜 보인 좌측면도(Bb), 이의 저면도(Bc)와 Ly선 부분 배단면도(Bd).
[도 14]의 구성과 관련;
도14는, 도1, 도2, 도12, 도13의 구성을 바탕으로, 결속력이 강력한 회전식 버클을 구성해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갈고리바늘세트(16)를 5줄로 결합시킨 버클프레임(31)의 버클회전수단(54)에, 5줄 아치형 루프벨트(70)의 한쪽 끝단이 결합되는 또다른 줄가이드(62) 버클프레임(31)을 링크시켜 보인 평면도(A)와 정면도(Aa) 및 배면도(Ab)와 저면도(Ac), 상기 갈고리바늘세트(16)의 전개도(Ad), 상기 줄가이드 버클프레임(31)의 정면도(Ae)와 배면도(Af),
상기 두 버클프레임에 5줄 아치형 루프벨트(70)를 연결시키고, 45도 회전시켜 보인 Lx선 좌측 단면도(B), 이의 갈고리바늘세트(16)에 5줄 아치형루프(22)를 결속시켜 보인 Lx선 좌측 부분 종단면도(Ba), 상기 두 버클프레임에 상기 5줄 아치형루프벨트(70)를 각각 결속시켜 보인 좌측면도(Bb)와 저면도(Bc), 5줄 아치형 루프벨트의 횡단단면도(Bd).
[도 15]의 구성과 관련;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갈고리바늘1(17)이 기판(10)에 한 개가 결합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종래 돌출형 회전식 버클에 결합시킨 또다른 버클프레임(31)과, 이를 본 발명의 루프벨트(70)에 결합시켜 보인 일방향성찍찍이의 도면으로서,
이의 평면 사시도와 가죽벨트(59)에 결합된 1번루프(71)와 2번루프(72)의 사시도(A), 확대 우측면도(Aa)와 우측 부분 반단면도(Ab), 상기 버클프레임(31)을 버클회전수단(54)을 중심으로 위로 회전시켜 보인 우측면도(Ac)와 이의 1번루프(71)와 2번루프(72)를 분리시켜 보인 우측 부분 반단면도(Ad), 종래 돌출형 버클의 우측면도(Ae).
[도 16]의 구성과 관련;
도16은, 도2, 도15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갈고리바늘1(17)이 기판(10)에 두 개가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결합시킨 또다른 버클프레임(31)과, 루프벨트(70)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루프벨트를 연결시킨 버클프레임(31)을 버클회전수단(54)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보인 우측 단면도(A), 상기 버클프레임의 갈고리바늘세트를 1번루프(71)에 결합시켜 보인 우측단면도(Aa), 1번루프(71)와 2번루프(72)를 분리시켜 보인 우측 부분 반단면도(Ab),
보풀형 탄성복원체(23)를 둥글게 말아서 바탕시트(25)에 결합하고, 그 위에 날실(세로실)이 일부 제거된 직물루프(24)시트를 쒸워서 아치형루프(22)를 형성해 보인 사시도(B)와, 날실이 제거되지 않은 일반 직물루프(24)시트를 아치형루프(22)로 형성해 보인 사시도(Ba), 1,2번루프구(77,78)가 형성된 가죽외피(75)의 사시도(Bb), 루프접착면(79)이 형성된 가죽내피(76)의 사시도(Bc), 상기 아치형루프를 가죽내피와 가죽외피로 접착시켜 보인 사시도(Bd), 상기 아치형루프의 확대 횡단면도(C), 낚싯줄 등을 바탕시트 위에 아치형으로 재봉 또는 접착시켜 아치형루프를 형성해 보인 사시도(D).
[도 17]의 구성과 관련;
도17은, 도16을 바탕으로, 낚싯줄 등으로 구성되는 아치형줄루프(22)가 결합된 루프벨트(70)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가죽내피(76)와 가죽외피(75)의 루프접착면(79)에 상기 아치형줄루프(22)가 결합된 루프벨트(70)의 한쪽 가죽내피의 일부분을 절단해 보인 사시도(A)와 가죽내피의 사시도(Aa),
바탕시트(25) 위에 낚싯줄을 아치형으로 접착 또는 재봉하여 상기 아치형줄루프(22)가 형성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B),
상기 아치형줄루프(22)의 Lx선 측단면도와 이를 분리시켜보인 측단면도(C),
이 아치형 줄루프의 바늘촉작용부(74) 위에 갈고리바늘세트(16)를 작용시켜 보인 부분 측단면도(Ca),갈고리바늘을 결합시켜보인 부분 측단면도(Cb).
[도 18]의 구성과 관련;
도18은, 도15, 도16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
[도 19]의 구성과 관련;
도19는, 도15, 도16, 도18의 구성을 바탕으로, 손목시계용 루프벨트와 이에 결합되는 소형 버클프레임(31)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의 사시도(A)와 각각의 분해 사시도(Aa) 및 버클프레임의 전개도와 단면도(B).
[도 20]의 구성과 관련;
도20은, 도19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A) 및 갈고리바늘1(17) 두 개를 탈부착용 기판(10)에 용접시켜 갈고리바늘세트(16)를 구성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도(B).
[도 21]의 구성과 관련;
도21은, 도16, 도17의 구성을 바탕으로, 도19 루프벨트의 제조방법을 보인 사시도(A)와, 버클프레임(31)이 결합된 루프벨트(70)의 2번루프(72)에 결속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B).
[도 22]의 구성과 관련;
도22는, 도19, 도20 버클프레임(31)의 폭을 더 좁혀 형성하여, 단면이 둥근 로프형 루프벨트(84)에 결속되는 또다른 버클프레임(31)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와, 이 버클프레임의 전개도와 단면도(B).
[도 23]의 구성과 관련;
도23은, 도22의 버클프레임(31)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로프형 루프벨트(84)를 연결시켜 보인 사시도(A), 버클프레임(31)의 갈고리바늘세트(16)가 로프형 루프벨트에 결속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B), 저면도와 Ly선 횡단면도(Ba).
[도 24]의 구성과 관련;
도24는, 도22를 바탕으로, 또다른 버클프레임(31)에 일반 직물루프(24)를 두겹으로 접착 또는 재봉하여 구성된 루프벨트(70)를 연결시켜 보인 사시도(A), 이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B).
[도 25]의 구성과 관련;
도25는, 도24를 바탕으로, 두께가 더 얇은 또다른 버클프레임(31)에, 일반 직물루프(24)를 한 겹으로하여 구성된 루프벨트(70)를 연결시켜 보인 사시도(A), 이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B).
[도 26]의 구성과 관련;
도26은, 도25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A), 도24의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B).
[도 27]의 구성과 관련;
도27은, 갈고리바늘의 바늘촉을 일반 재봉바늘처럼 뾰족하게 형성하여 피부에 찔리지 않도록,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안전턱(63a)이 형성된 회전식안전레버(63)와 막판스프링(64)를 결합시킨 또다른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
[도 28]의 구성과 관련;
도28은, 도27의 버클프레임(31)에 회전식안전레버(63)를 링크시킨 전개도와 단면도.
[도 29]의 구성과 관련;
도29는, 도28의 버클프레임(31)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A)와, 연결고리가 결합된 벨트를 링크시켜 보인 버클프레임(31)의 사시도(B).
[도 30]의 구성과 관련;
도30은, 도27~29를 바탕으로, 자석(68)과 강철막판(69)을 이용한 회전식안전레버(63)가 링크되는 또다른 버클프레임(31)의 전개도와 단면도.
[도 31]의 구성과 관련;
도31은, 도31의 버클프레임(31)에 회전식안전레버(63)를 링크시켜 보인 전개도와 단면도(A), 이의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B).
[도 32]의 구성과 관련;
도32는, 도27~31을 바탕으로,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찍찍이집게(85)와 압착스프링(86)이 결합되는 멜빵용 버클프레임(31)의 구조를 보인 전개도와 단면도.
[도 33]의 구성과 관련;
도33은, 도32를 바탕으로,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찍찍이집게(85)와 압착스프링(86)이 결합된 멜빵용 버클프레임(31)의 구성을 보인 전개도(A), 청바지의 허리 끝 단을 직물루프(24)로 간주하여 갈고리바늘세트(16)를 결합시켜 보인 예시도로서 부분 반단면도와 측면도(B).
[도 34]의 구성과 관련;
도34는, 도32, 도33 및 종래 집게의 구성을 바탕으로, 회전식 안전장치의 이중회전수단으로서 암회전수단(88)과 숫회전수단89) 및 갈고리결합면(90)과 갈고리삽탈공(91)이 형성된 집게용 암수회전체의 전개도와 단면도.
[도 35]의 구성과 관련;
도35는, 도34의 앙수회전체를 압착스프링(86)으로 결합시켜 보인 전개도와 단면도(A), 이의 실시예를 보인 측면도와 측반단면도 및 부분 측반단면도(B), 손잡이 끝에 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해 보인 부분 측 반단면도(C).
[도 36]의 구성과 관련;
도36은, 갈고리바늘1이 용접된 기판(10)의 양쪽 측면 부위에 재봉용 줄이 삽탈되는 일정수의 줄삽탈공(94)이 형성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벨트(59)에 결합시킨 모습과 1줄 루프벨트(70)를 구성해 보인 사시도(A),
기판에 안전턱리벳(93)이 삽탈되는 리벳결합공(95)을 형성하여 벨트(59)에 리벳팅으로 결합시켜 보인 사시도(B), 상기 갈고리바늘세트를 일정한 직물 위에 리벳팅 시키고 직물루프(24)를 결합시켜 보인 보인 사시도(C).
[도 37]의 구성과 관련;
도37은, 도36을 바탕으로, 일정한 직물에 안전턱리벳(93)으로 리벳팅된 갈고리바늘세트(16)와 이에 결합되는 한줄 아치형 루프벨트(70)를 구성해 보인 사시도(A), 연결고리가 형성된 강철판에 리벳팅된 갈고리바늘세트를 고무 벨트(59)에 대칭으로 링크시켜 보인 사시도(B), 상기 갈고리바늘세트를 가방 핸드백 등의 개폐장치로서 리벳팅시켜 보인 사시도(C), 로프형 루프벨트(84)를 링크시켜 보인 사시도(D).
[도 38]의 구성과 관련;
도38은, 도2, 도36, 도37을 바탕으로, 아치형줄루프(22) 내면에 루프의 골격을 잡아주는 탄성복원플라스틱으로 된 탄성복원체(23)가 내설된 실리콘루프결합체(23a)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 이를 갈고리바늘세트(16)가 결합된 실리콘버클프레임(31a)과 함께 가방 핸드백 등의 개폐장치로 구성해 보인 사시도(B), 도36(A)의 가죽으로 구성된 버클프레임(31)을 적용시켜 보인 사시도(C).
[도 39]의 구성과 관련;
도39는, 도38을 바탕으로, 소형 전자부품 등을 접착하여 서로 탈부착시키는 용도로 두쌍의 실리콘루프결합체(23a)와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A), 한줄의 실리콘루프결합체(23a)와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B), 실리콘루프결합체(23a)와 실리콘버클프레임(31a) 각각에 벨트에 링크되는 버클회전수단(54)을 구성해 보인 사시도(C),
실리콘루프결합체(23a)에는 벨트에 링크되는 버클회전수단(54)을, 실리콘버클프레임(31a)에는 클램프(67)에 링크되는 버클회전수단(54)을구성해 보인 사시도(D).
[도 40]의 구성과 관련;
도40은, 도39를 바탕으로, 3개의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 3개가 결합되면서 고무 벨트(59)에 링크되는 버클회전수단(54)이 형성된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을 구성해 보인 사시도와 3줄 아치형 루프벨트(70)의 사시도(A),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또다른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의 사시도(B), 줄삽탈공이 형성된 또다른 버클프레임(31)에 일정한 줄이 링크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와 한줄 아치형 루프벨트(70)의 사시도(C),
3개의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 2개가 결합 되고, 이의 버클회전수단(54)에는 클램프(67)와 두줄의 아치형 루프벨트(70)가 차례로 링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D).
[도 41]의 구성과 관련;
도41은, 도39, 도40를 바탕으로, 한 개의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 두 개가 결합된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을 혈압측정용 커프(98)에 접착시켜 보인 사시도와 2줄 아치형루프(22)를 접착시킨 사시도(A),
상기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을 스판덱스 등의 직물루프(24)에 연결되도록 구성해 보인 사시도(B),
두 개의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 3개가 결합된 실리콘버클프레임(31a)의 사시도와 3줄 아치형 루프벨트(70)의 사시도(C),
[도 42]의 구성과 관련;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성찍찍이(소형과 대형)를, 가발에 적용시킨 모습을 보인 도면으로서,
비신축성망사(92)에 찍찍이착탈망사(86)의 탈부착수단으로서 일방향성찍찍이(소형,37)가 결합된 모습과, 가발의 탈부착수단으로서 일방향성찍찍이(대형,36)를 결합해 보인 평면도(A)와 정면도(Aa), 일방향성찍찍이(대형,36)의 좌측면도(Ad), 일방향성찍찍이(소형,37)의 좌측면도(Ae),
상기 일방향성찍찍이(소형과 대형)가 결합된 비신축성망사(92)와, 일방향성찍찍이(대형)에 착탈되는 보풀(21,웹)이 형성된 가발(98)의 정면도(D).
[도 43]의 구성과 관련;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갈고리바늘1(17)로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007)를, 헤드폰 스피커 본체(006) 커버와 신축성찍찍이밴드에 적용시켜, 위생커버(002)를 탈부착할 수 있게 구성해 보인 도면으로서,
스피커 본체(006) 커버 위에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결합시의 우측 부분반단면도(A)와 위생커버 제거시의 우측면도(C), 일방향성찍찍이의 확대 평면도(Ca)와 확대 측면도(Cb),
신축성찍찍이밴드의 측면에 일방향성찍찍이(007)를 2줄로 결합해 보인 우측면도(D), 일방향성찍찍이(007)를 1줄로 결합해 보인 우측면도(E).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성찍찍이는, 직립된 숫형 후크 부재로서 침상(針狀)의 갈고리바늘을 기본 구성 요소로 하여, 이와 맞물리는 암형 루프(loop)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우선 상기 두가지 암수 구성 요소 중 갈고리바늘1,2(17,18)의 구성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1,2의 구체적 구성은,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합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도1(A,Aa)와 같이, 둥근 제1미끄럼곡면(12)이 형성된 기주(11)와, 이의 변곡점에서 일정한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제2미끄럼곡면(15)에 연이어서, 상기 변곡점의 수평접선(03)상에서 외측으로 둥글게 휘어져 바늘촉(14)이 돌출되게 형성된 침상의 갈고리바늘로 구성된다.
상기 변곡점에서 제2미끄럼곡면(15)으로 연장되는 연장주(13)의 길이는,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따라, 도1(B)의 갈고리바늘2(18)와 같이, 제2미끄럼곡면(15)으로 둥글게 연장시켜 둥근 턱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변곡점 그 자체가 연장주가 되도록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늘촉(14)은 상기 수평접선(03)으로부터 외측으로 둥글게 휘어진 원뿔 모양 또는 낚싯바늘의 바늘끝(hook point) 모양으로 돌출된 침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바늘촉의 높이는 섬유루프와의 상호작용시, 즉 바늘촉을 섬유루프 위에 대고 가볍게 누르듯이 당겨 결속시킬 때, 섬유루프의 실가닥들에 걸려 들어가기 쉬울 정도의 높이로만 가능한 한 낮춰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가 있다.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탄성강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그 길이에 따라 휘어져 변형되는 정도는 전적으로 "힘의 모멘트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체(剛體)의 어느 질점(質點)에 작용하여 회전시킬려고 하는 힘의 모멘트(moment, 회전력) N 은, N = 힘의 팔(r sinθF 로 정의되며, 그 힘은 회전축으로부터 힘의 작용선(作用線)까지의 수직거리(힘의 팔)의 길이가 길수록 증가한다.(*참고문헌:대학물리학, 형설(螢雪)출판사, 1987.2.20)
그러므로, 갈고리바늘이 섬유루프와의 상호작용할 때, 상기 바늘촉(14)이 섬유 루프의 틈새로 쉽게 구부러지거나 잘 휘어지지 않고 들어가서, 제대로 잘 결속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즉, 소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재료를 이용하여, 힘의 모멘트의 원리에 따라, 상기 기주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 하면서 전체 길이를 짧게 하고,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를 루프의 강도에 맞춰 적절히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갈고리바늘의 크기가 작아 그 굵기가 가늘면 가늘수록, 상기 기주(11)의 높이를, 지주(支柱)체인 기판(10, 또는 직물)으로부터 가능한 한 낮게 구성할 필요가 있고, 동시에 전체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면서, 적절한 탄성강도를 지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가 있다. 즉, 섬유 루프의 쿠션에 잘 견디도록, 적절한 탄성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끔 구성해야 한다.
한편, 탄성 플라스틱 소재로 갈고리바늘들을 기판 위에 구성할 경우에는, 가늘게 형성하면 유연해지고 굵게 형성하면 단단해지는 플라스틱의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틀로, 도1, 도3과 같이, 기판 위에 종렬 또는 횡렬로 배열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적절한 탄성 강도로 조절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침상의 갈고리바늘이 일반 직물루프(24)와 결속될 때에는, 무작위로 씨실(위사)과 날실(경사)로 직조되는 일정한 직물의 아주 작은 틈새(loop)로 파고 들어가서 결속된다. 그런데, 갈고리바늘의 바늘촉(14) 끝이 무디고 뾰족한 정도에 따라, 또, 직물 실가닥의 굵기와 꼬인 강도에 따라, 직물의 틈새 부위를 뚫고 들어가는 천공(穿孔)력의 힘에는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루프에 이용되는, 고강도 고탄성의 탄성플라스틱 재료로 성형 사출된 모노필라멘트의 극세사 실을, 다시 여러 가닥으로 꼬아서 만든 실가닥의 굵기와 그 꼬인 강도에 따라서는, 통상적인 재봉 바늘이 그 꼬인 실가닥 부위를 뚫고 들어가는 천공력의 힘에도 큰 차이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이 상기 직물루프에 무작위로 결속될 때에, 그바늘촉(14) 끝이 그 강하게 꼬인 실가닥들을 만나게 되면, 그 부위를 뚫고 들어가서 결속하기가 매우 곤란하고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일반 청바지와 같이 통상적인 옷핀과 같은 바늘이 잘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직물을 그 루프 재료로 그대로 이용할 경우에는 갈고리바늘의 바늘촉 끝을 일반 재봉용 바늘처럼 뾰족하게 형성하여, 실가닥들의 꼬인 강도가 약하고 직조된 틈새가 비교적 넓은 일반 편직물 등에 잘 결속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도33, 도35에서와 같은 멜빵용 또는 집게용 일방향성찍찍이의 구성이 가능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갈고리바늘들이 일반 직물루프는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루프와의 상호작용시, 무작위로 여러 꼬인 실가닥들에 걸리지 않고 이들 틈새 사이로 잘 미끄러져 들어가 손쉽게 결속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은, 그 바늘촉(14)의 끝 부분을 뾰족하지만 가능한 한 짧게 하면서 동시에 둥글고 매끄럽게 라운딩처리하여 형성하고, 특히, 그 표면은 고주파 열처리 등을 거쳐 둥글고 매끄러우면서도 단단하고, 탄성은 있지만 잘 구부러지거나 휘지 않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그 둥근 바늘촉 끝이 강하고 촘촘히 꼬인 실가닥들을 만날 때에는 이들을 직접 뚫지 않고 옆으로 미끄러지게 됨으로써, 그 꼬인 실가닥들에 걸리지 않고 그 틈새 사이로 그대로 미끌어져 뚫고 들어가서 손쉽게 결속될 수가 있게 된다. 이는 갈고리바늘의 일정한 강도와 굵기 한도 내에서 그 굵기가 가늘면 가늘수록 일반 직물루프(24)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루프(22)의 틈새로 결속하기가 그만큼 손쉽게 된다.
따라서, 일반 직물루프의 직물의 강도와 틈새 간격에 맞춰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크기 및 강도, 또는 바늘촉 끝의 뾰족하고 둥근 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갈고리바늘의 구조역학적 특성에 맞춰 루프에 적용되는 직물의 강도와 틈새 간격 등을 적절히 조절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벨크로의 섬유 루프 뿐만아니라, 일정 크기의 틈새(loop)가 있는 다공질성(多孔質性)의 거의 모든 직물이, 갈고리바늘의 결속 루프 재료로서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갈고리바늘의 기주(11) 밑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기판, 버클프레임 등)은 전술한 벨크로와는 달리 일반 직물처럼 쉽게 휘어져서는 않되며,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따라서는, 도43과 같이, 스피커 커버의 둥근 테두리에 결합하기 위해서, 탄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있게 성형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 도4~도4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기판(10) 위에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고강도 고탄성의 합금 또는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단단하게 구성하고, 이를 다시 일정 형태의 버클프레임(31)에 결합하여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할 때는, 도8과 같이, 소형의 액세서리를 결속시키는 용도로 쓰이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경우, 적용되는 갈고리바늘의 바늘촉(14)의 높이에 맞춰 일정한 높이로 눌림 또는 찔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턱(65)이 버클프레임(31)에 추가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은 침상의 구조로 형성되므로 비록 바늘촉의 끝이 둥글고 매끄럽게 가공처리되기는 하지만, 바늘의 굵기가 아주 가늘면서 그 강도가 클 경우에는 이 역시 그대로 바늘로서 작용하여 손에 찔릴 수도 있게 되며, 또 루프와의 결속시 작용하는 힘이 비교적 커서 갈고리바늘이 벨트 면에 눌리게 되면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반드시 상기의 버클프레임에 안전턱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또한, 갈고리바늘의 바늘촉(14)을 일반 재봉용 바늘처럼 아주 뾰족하게 구성할 수도 있게 되는데, 이럴 경우에는 안전턱의 높이를 더 높혀 형성함과 동시에, 갈고리바늘세트(16)가 결합된 버클프레임의 폭을 더 좁혀 형성해야만 한다. 또한, 도10~도14, 도40(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프레임 양쪽 안전턱 사이로 갈고리바늘세트(16) 수에 따라 안전턱이 추가로 더 형성될 수가 있다.
그런데, 손가락은 거의 둥근 형태이므로 안전턱 사이의 폭을 어린아이 손가락 굵기보다 더 좁혀 형성한다하더라도 안전턱 윗면에 대고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비록 크게 다칠 정도는 아니지만 바늘촉 끝에 찔릴 수도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안전하게 일방향성찍직이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27~도3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버클프레임을 가능한 한 작게 형성하여 안전턱 사이의 폭을 더 좁혀 형성하면서도, 추가로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작용턱(63a)이 형성된 회전식안전레버(63)와 막판스프링(64)를 결합시킨 버클프레임(31)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구성을 바탕으로, 자석(68)과 강철막판(69)을 이용한 회전식안전레버(63)가 링크되는 또다른 버클프레임(31)을 구성하게 되면, 보다 더 편리한 안전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갈고리바늘의 크기와 굵기는, 도1(A)의 크기에 비례하여, 0.3㎜ ~ 1㎜의 소형, 1㎜ ~ 1.5㎜ 의 중형, 1.5㎜ 이상의 대형으로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맞춰 다양하게 형성될 수가 있으며, 도4(C), 도9~도18에서와 같이 크기는 작지만 기주 밑에서 변곡점 연장주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하면서 동시에 고탄소강 등의 합금으로 힘의 모멘트를 낮춰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아치형루프와의 결속력을 아주 강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속력의 강도는 그 크기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주의 높이와 굵기 및 탄성강도, 루프의 결속 강도 등에 달라질 수가 있다.
특히,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탄성강도를 낚싯바늘(피아노선 등의 강철 또는 고탄소강 등의 재료로 형성된)처럼 형성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약 2~4개의 갈고리바늘들을 일정한 금속 기판에 용접하여 구성된 아주 작은 크기의 일방향성찍찍이만으로도, 종래 비교적 표면적이 큰 벨크로의 결속력에 충분히 대응할 수가 있으므로 효과적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1,2의 구성 소재는,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맞춰, 고강도 고탄성의 플라스틱 또는 강철(탄소강) 스프링 또는 형상기억합금(또는 폴리머)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적절한 굵기와 크기로 일정한 탄성강도를 지니게끔 성형되고, 이에 맞춰 그 섬유 루프 재료의 선택도 달라질 수가 있다. 특히,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탄성강도가 크면 클수록,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여 탈부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큰 특징이다.
따라서, 섬유루프를 구성할 때는, 상기 갈고리바늘1,2의 바늘끝이 날카롭고 둥근 정도에 맞춰, 또는 그 크기와 굵기 및 탄성강도에 따른 응력(應力, 변형력), 휨응력(bending stress), 전단응력(shear stress), 탄성률{탄성체가 탄성 한계 내에서 갖는 응력(應力)과 변형과의 비} 등의 구조역학(構造力學)적 적성에 맞춰, 실가닥의 굵기와 탄성강도 및 편직물(니트) 등으로 직조시의 공간 틈새(실가닥들로 이루어지는 loop)의 조밀도(稠密度)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루프의 구성 재료는, 벨크로와 같이, 석유의 화학적 합성수지인 폴리에스터(polyester)나 폴리프로필렌(polyprophylene) 등의 탄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상기 갈고리바늘1,2가 관통하는 보풀 형태로 직조된 날실 편직물(編織物)인 스펀 본드(spun bonded) 웹(web) 등이 그 루프 재료로 이용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문헌 2]에 소개된 스펀 본드의 부직 텍스타일 플라스틱 수지로 직조된, 루프형과 아치형 화이버 직물(織物), [문헌 3]의 소면 웹, 또는 연속 길이 섬유를 갖는 스펀 본드 웹 등도 이용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갈고리바늘1,2가 관통하는 다공질성의 작은 루프(loop)를 지니면서, 적절한 쿠션이 있도록 nylon monofilament 섬유로 직조된 나일론 합성섬유도 그 루프 재료로 이용될 수가 있다. 천연펄프의 화학적 합성으로 조성된 종이타올 섬유, 다공질(多孔質)성 스폰지, 극세사 모노필라멘트로 직조된 망사, 양탄자, 부직포, 특수제작된 마대자루(인명구조용, 산업 또는 공업용, 곡물용) 등도 이용될 수가 있다.
더나아가, 군사용으로는 거미줄의 화학적 합섬섬유인 낙하산줄이나 신소재로서 질기고 견고한 탄소 나노섬유 등을 니트(편직물)형식으로 직조된 직물도 이용될 수가 있다. 덧붙여,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의 탄성사(彈性絲)로 직조된 합성섬유로서 신축성이 우수한 스판덱스(spandex)도 이용될 수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갈고리바늘은 침상의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바늘끝의 날카롭고 둥근 정도에 따라 거의 모든 종류의 섬유 소재를 그 루프 재료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만큼 루프 재료의 선택의 폭이 아주 넓은 것이 본 발명의 큰 특장점이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치형루프의 제조방법은, 도2와 같이 아치 형태 또는 볼록 누비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풀형 또는 오메가형 탄성복원체(23, 탄성복원섬유 등)를 일정 크기와 길이로 형성하여 바탕시트(25) 위에 하나씩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탄소나노섬유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실로 직조된 직물의 씨실과 날실 두 실 중 어느 한쪽 실의 일부를 일정 폭과 길이로 제거시킨 직물루프(24)시트를 덮어서, 상기 바탕시트 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횡렬로 한 줄 이상 아치형태로 차례로 재봉(박음질)을 하여 아치형루프(22)를 구성하고, 이를 다시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 위에 박음질(재봉)로 결합시켜 아치형루프벨트(70)를 구성한다.
특히, 아치형루프(22) 또는 직물루프(24)를 구성할 때는 갈고리바늘에 결속시, 갈고리바늘의 기주 내면에 루프의 직물이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 결속된 갈고리바늘의 기주 내면에 전적으로 힘이 실리게 하고, 바늘촉(14)은 탄성복원체(23)에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거의 힘이 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덧붙여, 도17의 루프제조방법과 관련하여 살펴보면, 모노필라멘트의 미세직경의 실가닥을 넓게 펴서 스판덱스의 바탕시트에 일정 넓이로 박음질을 하여 결합시킨 다음, 자투리 부분을 가위로 잘라내어 아치형태로 실가닥들이 바깥으로 향하게 구부리게 되면 스판덱스의 섬유가 아치형내부에 존재하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탄성복원체(23, 탄성복원섬유)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미리구멍을 형성한 가죽외피와 가죽내피1,2에 접착제로 결합하여 마무리한다.
이렇게 하여 평상시에는 섬유루프가 가죽외피의 표면에 약간 돌출된 형태로 있게 되지만, 버클프레임의 갈고리바늘세트(16)을 작용시키게 되면, 갈고리바늘의 움직임에 따라 섬유루프가 스판덱스의 신축탄성에 의해 갈고리바늘의 기주 내면으로 올라가 결합되게 되고, 해제시에는 역시 스판덱스의 탄성에 의해 아치형의 원상태로 복원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의 여러 구성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갈고리바늘1,2들로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갈고리바늘1,2들을 각각 일정수 기판(10) 위에 일체형으로 성형 또는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을, 다시 또다른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 등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 찍찍이기판, 버클기판)에 결합시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둘째, 상기 갈고리바늘1,2들을 각각 낱개로 기주(11) 밑에 일정한 고착(固着) 턱을 형성하여,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1)에 일정수 고착(固着)화시켜 구성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첫째의 구성과 관련, 우선, 일정 형태의 형틀(몰드)을 제작하여, 카본섬유 등의 고탄성 플라스틱 재료, 폴리에스터(polyester) 등의 탄성 플라스틱 재료, 또는 형상기억 폴리머 등의 재료로 성형시, 기판(10) 위에 갈고리바늘1(17)들을, 도1(C~Cd),도3(A)와 같이, 그 길이 방향과 나란히 종렬로(세로로 줄지은), 또는 갈고리바늘2(18)들을 도1(B~Be)와 같이, 갈고리바늘1을 도3(B)와 같이 직각되게 횡렬로(가로로 줄지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줄지어서, 일체형으로 갈고리바늘세트(16)을 성형한다. 이때, 두께가 얇으면 유연해지고 두꺼우면 단단해지는 플라스틱의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기판(10)의 두께 등을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탄성강도를 지니게끔 구성한다. 즉, 기판을 잘 휘도록 유연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갈고리바늘의 굵기보다는 비교적 더 얇게 성형한다.
상기 둘째의 구성과 관련, 형상기억 합금이나 고탄성의 스프링 제조용 합금 또는 낚싯바늘과 같은 피아노선이나 고탄소강의 강철 등을 이용하여, 도9, 도10과 같이, 갈고리바늘1,2를 각각 낱개로 성형하여 일정한 볼트와 너트로 버클프레임에 결합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리벳팅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둘째의 구성과 관련, 도1(Dd), 도11(Ba), 도18과 같이, 각각 일정수 종렬 또는 횡렬로 배열되게 일정한 형틀을 제작하여 거꾸로 뒤집어 고정시킨 다음, 각 기주(11)들의 밑 부분을 용접용 용제로 처리한 뒤 일정한 금속으로 성형된 기판(10) 위에 고열로 용접하여 갈고리바늘세트(16)을 구성하고, 이어서 다시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성형된 버클프레임(3)에 결합하여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금속 기판의 두께는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따라 일정한 형태로 얇게 성형하여 어느 정도의 유연성이 있게 할 수도 있고, 두껍게 성형하여 거의 유연성이 없게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성찍찍이의 상기 갈고리바늘(needle형)과 이에 맞물리는 섬유루프와의 체결(결속)방식은 종래 벨크로와는 전혀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일정 형태의 기판을 종래 벨크로의 직물처럼 반드시 유연성이 있게 구성할 필요는 전혀 없다. 상기 갈고리바늘의 탄성강도와 굵기(직경)는 종래 벨크로의 갈고리(J형)보다 가능한 한 훨씬 더 굵게 형성하고, 전술한 "힘의 모멘트의 원리"에 따라, 기주의 높이와 전체 길이를 가능한 한 짧게 형성함으로써, 결속시 이에 맞물리는 섬유 루프의 쿠션에는 잘 구부러지거나 휘지 않도록 적절하게 형성한다. 특히, 갈고리바늘을 고탄성의 합금으로 성형하여 탄성강도가 비교적 클 경우에는 주로 섬유루프의 탄성(신축성)만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반복적인 상호작용시에도 갈고리바늘의 피로도를 절감시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상기 갈고리바늘의 굵기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바늘촉(14)의 날카롭고 둥근 정도에 따라서, 섬유루프의 선택의 폭이 달라질 수가 있다. 즉, 바늘 끝이 날카로울수록 직물의 공간 틈새(loop)로 파고들기가 쉽기 때문에 그만큼 섬유루프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 된다. 반면, 바늘 끝을 둥글게 라운딩처리하여 그 둥근 정도가 클수록 직물의 공간 틈새가 더 커야 하므로 그만큼 섬유루프의 선택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따라서, 손 끝으로 스쳤을 때, "까칠까칠한 느낌이 들 정도"로 하여, 인체 피부에 접촉시 바늘촉에 찔리거나 상처를 입지 않도록 적절히 라운딩 처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낚싯바늘이나 옷핀과 같이 아주 날카롭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갈고리바늘세트(16)는, 도43(A,C,D)와 같이 헤드폰 스피커 커버에 적용시켜, 신축성밴드(003)에 2줄로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43(E)와 같이 1줄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덧붙여, 도42(A,Ad)와 같이 가발에 적용시켜, 비교적 작은 갈고리바늘세트를 일정 수의 집단을 이루어 비신축성망사(92) 위에 종렬 또는 횡렬로 한줄, 또는 여러군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갈고리바늘1,2들이 그 길이 방향과 나란히 종렬로 또는 직각되게 횡렬로 기판(10)에 구성된 갈고리바늘세트는, 갈고리바늘들을 줄지어 배열할 때, 기주(11)의 제1미끄럼곡면(12)과 이웃하는 제2미끄럼곡면(15) 사이에 일정 크기의 틈새(19)를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기주와 기주 및 변곡점 연장주(13)와 기판(10)으로 이루어지는 일정 크기의 착탈공간(20)이 함께 형성되도록 접착하여, 이 틈새와 착탈공간 안으로, 섬유 루프가,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수축 또는 이완되어 착탈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주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기판(10)에 종렬로 성형된 갈고리바늘1들을, 다시 각 줄마다 기주와 기주의 중간에 다음 줄의 기주가 위치하도록 더 촘촘하게 배열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루프와 결속되어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에, 기판에 수직되게 변곡점과 연장주 외측으로 루프가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더 강력하게 버틸 수가 있으므로, 특히 도3~도7과 같이, 벽면에 결합하여 보풀형섬유루프(21) 또는 아치형루프(22)에 결속시킬 때, 벽면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일정한 힘에 더 효과적으로 버틸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기주와 기주 사이의 간격이 촘촘할수록, 결속(結束)력의 힘은 증가한다. 따라서, 이같이 틈새의 간격과 착탈공간의 크기를,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따라, 적절히 조절 형성하게 되면, 이곳으로 결속되는 섬유 루프의 크기도 달라지므로, 이같은 방법으로 결속(結束)력의 힘을 어느 정도 조절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를, 양면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일정한 물체에 접착하고, 벽시계나 장식품 등의 물체 뒷면에는 보풀형섬유루프(21, 보풀 웹)을 접착하여, 탈부착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갈고리바늘들을 낚싯바늘용 피아노선이나 강철 또는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하여 일정한 금속 기판 위에 용접하여 성형할 경우에는, 갈고리바늘 한 두개 만으로 갈고리바늘세트를 구성하여 일방향성찍찍이의 면적의 크기를 아주 작게 구성하더라도, 탁상시계와 같은 비교적 소형의 장식품을 탈부착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특장점 중에 하나이다.
벽면에,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접착시킬 때에는, 바늘촉(14) 끝이, 중력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위쪽으로 향하게 한다. 이와는 반대로, 벽면에 보풀을 접착하고, 어느 물체의 뒷면에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접착시킬 경우에는, 그 바늘끝이 중력 방향과 같게 접착한다.
또한,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도7, 도1(C)와 같이, 일정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된 기판 위에 접착하고, 볼트와 너트로 다른 물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기판의 일정 부위에 볼트결합구(54)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맞춰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와 섬유루프를,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의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와 길이로 형성된 혁대(벨트), 또는 신축성 밴드(고무 또는 나일론 합성밴드) 양쪽 끝에 각각 접착하여 서로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여러개의 다른 물체들을 서로 묶거나 결속시키는 용도로 이용할 수가 있다.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구성은 상기 루프가 형성된 벨트를 인체에 적용시킬 경우에는 압착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갈고리바늘의 바늘촉 끝이 섬유루프를 뚫고 나올 수도 있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인체 피부에 접촉하여 불퀘한 느낌이 들게 함은 물론, 심하면 상처를 입힐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압착력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강해서 갈고리바늘의 탄성 한계치 이상으로 눌리게 되면 갈고리바늘에 소성 변형이 생겨 더이상 원상태로의 복귀가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섬유루프의 테두리나, 기판의 일정 부위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형태의 높이로 안전턱(눌림 또는 찔림방지턱, 65)을 형성한다. 이의 높이는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맞춰 갈고리바늘을 섬유루프에 체결후 최대로 압착할때 갈고리바늘의 바늘촉이 섬유루프를 뚫고 나오지 못할 정도까지의 높이로 형성한다.
이처럼 일정한 조이는 힘이 작용하는 벨트의 경우에는 항상 일방향성찍찍이의 일정 부위에 안전턱(눌림방지턱)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멜빵용 벨트(끈, 띠), 헤어 밴드, 혈압측정용 밴드, 의복 소매의 밴드, 디스크 환자의 허리 고정용 밴드 등에도 널리 적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벨트(또는 밴드)의 위치는 조이고자 하는 어느 물체 위에, 섬유 루프가 접착된 벨트의 뒷면이 닿게 하고, 섬유 루프 위에는 일방향성찍찍이가 결속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도10, 도11과 같이 인명구조용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이의 구체적 구성은, 우선, 잘 구부러지면서도 질기고 강한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일정한 형틀로 벨트결합구(54)와 함께 갈고리바늘의 소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눌림방지턱(65)이 형성된 일정 형태의 버클프레임(31)을 형성한다. 다음 그 위에, 고탄소강 등의 합금 또는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갈고리바늘을 성형하여, 도9, 도10과 같이,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팅으로 버클프레임(31)에 결합하여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한다. 또한, 갈고리바늘세트(16)를 구성하여 또다른 버클프레임에 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연결 벨트(59)가 링크(link)된 일방향성찍찍이 두개를 대칭되게,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죔벨트(58)에, 쇠고리(57)로 링크되게 구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를 인명구조용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신체 일부를 감싸는 일정한 면적의 섬유루프 양쪽 두세 군데에 대칭을 이루어 일방향성찍찍이를 결속시킨다. 덧붙여, 루프의 양쪽에 두 군데 형성된 루프벨트(70)를 상기 일방향성찍찍이에 결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일방향성찍찍이 둘중 어느 하나를, 상기 루프벨트로 대신 링크시켜 적절한 길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일방향성찍직이의 갈고리바늘들을 낚싯바늘 제조용 피아노선이나 고탄소강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약 5㎏의 무게에 견디는 낚싯바늘의 굵기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이의 구조역학적 적성에 맞춰 일정한 섬유로 직조된 섬유루프에 결속시킨다고 가정할 때, 도11(A)의 경우는 갈고리바늘이 25개가 각각의 기판(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25×5 = 125㎏으로, 대칭을 이루어 두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총 250㎏의 무게에 견딜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어느 물체에 또는 신체의 일부에,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결속한 죔벨트(37)를 당겨서 조이면 조일수록, 버클링 효과에 의해, 섬유루프가 기주의 내면에 걸리면서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결속(結束)력을 갖게 되고, 갈고리바늘의 연장주(13)와 바늘(16)은 상기 눌림방지턱(65)이 섬유루프를 압착하여 더이상 밀착될 수 없을 때까지 섬유 루프 내면에 결속된 채로 루프 위에 눌려서 밀착되므로, 보다 높은 체결 안전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성들과는 예외적으로, 도8(B,Ba, D,Da)와 같이, 상기 연장주(13)의 길이는 비교적 더 길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바늘촉(14)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 또는 상기 수평접선과 나란히 형성된 갈고리바늘1,2를, 각각 상기 기판 위에, 한 개 이상 형성하여,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갈고리바늘1,2는 일정 형태의 버클프레임(31)에 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음을 아울러 명시하고자 한다.
이렇게 하여, 이를 벽면에 부착하거나, 또는 아래 흡착용 고무빨판(53) 등에 결합하여, 소형의 장식품을 탈부착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헤어핀이나 브로치와 같은 작은 액세서리(accessory) 등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3과 같이, 갈고리바늘1로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를 흡착판(51)이 형성된 흡착(吸着)용 고무빨판(53)의 결합면(52)에 접착하고, 탁상시계나 액자, 장식품 등의 뒷 면에는, 보풀형섬유루프(21, 보풀 웹)을 접착하여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표면이 매끄러운 욕실 벽면 타일(tile)이나 유리거울 또는 판유리에 상기 고무빨판(53)의 흡착판을 부착할 때, 바늘끝(14, 바늘촉)이 중력 방향의 반대인 위로 향하게 하여, 상기 루프를 결합시키게 되면, 버클링 효과에 의해, 상기 성형기판(10)의 수평방향(중력 방향)으로 일정한 결속력을 갖게 됨은 물론, 성형기판의 수직 방향으로도 일정한 결속력을 갖게 될 뿐만아니라, 이탈시에는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손쉽게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일방향성찍찍이의 갈고리바늘들이 보풀형섬유루프(21)와의 상호작용하는 원리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갈고리바늘의 바늘촉(14) 위에, 섬유루프를 올려 놓고 바늘촉들 윗면에 대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가볍게 누르면서 당기게 되면, 줄마다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 각각의 바늘촉들이, 마치 낚싯바늘의 미늘처럼, 동시에 섬유루프(21, 보풀)의 틈새(다공질성)로 걸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바늘촉과 바늘촉들 사이에 들어간 보풀의 엉킨 실가닥들이, 상기 제1미끄럼곡면(12)과 이웃하는 제2미끄럼곡면(15) 사이의 틈새(19)로 유도(誘導)되어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에 따라, 상기 제2미끄럼곡면(15) 밑 부분으로, 마치 스폰지와 같이, 수축(收縮)되어 미끌어져 들어가면서, 상기 기주 내면의 착탈공간(20) 안으로 보풀(21) 그 자체의 탄성으로 이완(弛緩)되어 미끌어져 들어가게 되면서, 결국, 섬유 루프(보풀)의 내면에, 도3, 도4와 같이, 버클링(또는 후크)효과에 의해 결속(結束)되게 된다.
이렇게 결속된 갈고리바늘을 상기 틈새(19)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작용시켜 밀게 되면, 역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보풀의 실가닥들 그 자체 신축성과 탄성으로 수축(收縮) 또는 이완(弛緩)되어 적은 힘을 들이고도 손쉽게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결속된 섬유 루프에, 상기 기주(11) 내면 쪽으로 기판과 나란히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게 되면, 전술한 힘의 모멘트의 원리에 따라, 기주 내면 쪽으로는 기주의 팔의 길이가 짧으므로 힘의 모멘트가 작아 갈고리바늘의 직경과 탄성강도가 크면 클수록 잘 휘거나 변형되지 않으므로, 버클링 효과에 의해 기판의 수평방향으로 섬유 루프와의 결속력에 대한 안전성이 보장된다.
또한, 기판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는 이웃하는 모든 갈고리바늘들의 상기 기주(11)에 가까운 변곡점(13) 부위에 힘이 집중되어 실리기 때문에, 일부로 강하게 힘을 작용시키지 않는 한 잘 휘거나 변형되지 않게 되므로, 수직방향으로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없을 때까지 일정한 결속력의 힘을 지니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 갈고리바늘을 형성할 때는, 소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낚싯바늘에 주로 이용하는 질기고 강한 고탄성의 피아노선이나 고탄소강 및 이에 준하는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여 가능한 그 굵기와 탄성강도를 크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게 일방향성찍찍이를 구성하게 되면, 섬유루프와 상호작용시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탄성)만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19) 방향으로 탈부착하게 된다.
상기 결속(結束)력의 힘은, 비록 갈고리바늘 하나 하나가 섬유루프(21, 보풀웹)에 결속되는 힘은 아주 미약(微弱)할지라도, 벨크로의 갈고리처럼, 여러 개가 일정한 집단을 이루어서 동시에 함께 섬유루프에 결속되어 작용하는 일정한 힘을 여러군데로 분산되어 실리게 함으로써 아주 큰 힘을 발휘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結束)력의 힘을 증가시키는 구성 방법과 관련, 도7, 도8과 같이, 상기 갈고리바늘들이 그 길이 방향과 나란히 기주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일직선상에서 좌우 일정한 경사각도(약 10도)를 이루도록 성형기판(10)에 종렬로 줄지어 성형한 다음, 이를 일정한 플라스틱 기판(30) 위에 각 줄마다 서로 대칭과 엇대칭을 조합시킨 "빗살무늬" 구조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경사진 갈고리바늘1들이 각 줄마다 서로 어긋난 엇대칭의 구조로도 구성할 수가 있다. 이들은 마치, 신석기 시대 즐문토기(櫛文土器, 빗살무늬 토기)의 "빗살무늬"의 구조와 흡사하다 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면, 각 갈고리바늘들이 보풀의 틈새로 들어가 서로 맞서서 버티게 됨으로써, 훨씬 더 강력한 결속력(結束力)의 힘을 얻을 수가 있으면서도, 이탈시에는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손쉽게 이탈시킬 수가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상기 "빗살무늬" 구조의 경사각도, 즉 마찰각에 따른 탈부착력의 힘의 세기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도6(Da)와 같이, 갈고리바늘의 경사면 어느 질점(質點)에 질량 m인 물체를 경사면 위로 일정한 힘을 주어 끌어올릴 때 드는 힘은, 질량 m인 물체의 무게 W(mg)가 중력에 의해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지는 힘 mg sinθ와 마찰력 F f 의 합이므로, F = mg sinθ + F f = mg sinθ + μN = mg sinθ +μ mg cosθ (단, N:수직항력, θ:마찰각, μ:마찰계수)로 표시할 수 있다.{*참고문헌:대학물리학, 형설(螢雪)출판사, 1987.2.20, 54~70p.}
따라서, 마찰계수 μ 값이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빗면 마찰각도 θ의 값에 따라 F 의 힘은 변하게 되므로, 이 각도를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맞춰 적절히 조절 형성하게 되면, 일방향성찍찍이가 그 섬유 루프에 결속될 때의, 그 결속(結束)력과 더불어 이탈력의 힘의 세기를 어느 정도 조절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 방식을 토대로, 도8(A~Ac)과 같이, 갈고리바늘들을 일정한 경사각으로 성형기판(10)에 가능한 한 작게 종렬로 성형된 것을,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일정 형태의 기판(30) 위에 좌우 대칭 또는 엇대칭으로 접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 종래 헤어클립처럼 도42와 같은 모발체결기구에 적용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상기 갈고리바늘의 바늘촉을 둥글게 라운딩 처리하고, 줄연결고리 등이 형성된 일정 형태의 기판 위에, 좌우 대칭 또는 엇대칭의 조합으로 모발 엉킴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하면, 종래 모발체결기구보다 훨씬더 가벼우면서도 크기가 작을 뿐만아니라, 엉킴의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손쉽게 모발을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결속력의 힘의 세기를 조절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의 경사각을 이용하는 방법과, 전술한 바의 기주와 기주 사이의 간격을 조절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외에 갈고리바늘의 굵기와 탄성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성형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상기 갈고리바늘1,2의 굵기를 조절하여 형성하는 방법은, 기주(11)의 굵기를 다른 곳에 비해 비교적 더 굵게 형성하면서, 제1미끄럼곡면(12)에서 점차 가늘어지는 원뿔형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기주 내면의 수평방향으로의 결속력의 힘을 훨씬 더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형상기억 효과를 이용하여 소성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결속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들에 대해서는 차후 다시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 둘째의 구성과 관련, 전술한 낚싯바늘의 구성 재료인 피아노선이나 고탄소강 및 이에준하는 고강도 고탄성의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도4~도10와 같이, 상기 갈고리바늘1,2의 기주(11) 밑에,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일정 형태의 고착키(33)와 함께, 이탈을 방지하는 일정 형태의 고착턱(34)을 추가로 형성하고,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성형된 결합기판(31)의 고착구(32)에 맞물려 고착(固着)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착키(33)와 이에 맞물리는 고착구(32)의 모양은, 도4(A, Bb,Bc, Ca,Cb, E), 도5(A, C), 도6(A, Ba,Bc, C, Db), 도8(A, C), 도9(A)와 같이, 사각형일 수도 있고, 또한, 도7(A, Bb,Bc, C)와 같이 육각형일 수도 있다. 그밖에, 방향과 위치를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또다른 그 어떤 형태일 수도 있다.
고착키와 고착턱이 형성된 상기 갈고리바늘1,2를 결합시킬 때에는, 플라스틱 그 자체의 탄성과 열(熱) 수축(收縮)-팽창(膨脹)의 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고착구(32)에 못질을 하듯이 강제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고착턱이 작은 구멍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면서 영구히 결합기판 위에 고착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도10(Bb)와 같이, 상기 기주 밑에 이탈을 방지하는 일정 형태의 고착턱을 형성하여, 성형시 일정한 기판에 함께 고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기판의 구성 소재는, 전술한 기판(30)과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기술 분야에 따라 여러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물건을 묶거나 조이는 벨트에 널리 이용되는 실리콘 합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게 되면, 잘 휘고 유연성이 있으면서도 질기고 강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가 있다.
또한, 가볍고 견고한 티타늄 합금이나 듀랄루민(duralumin, 알루미늄 경합금) 등의 유연성이 거의 없는 단단한 금속 재료일 수도 있다. 또한, 알루미늄을 고열에서 단조(鍛造)시켜 성형할 수도 있다. 특히, 갈고리바늘1,2와 마찬가지로, 낚싯대나 골프채에 사용되는, 가볍고 견고하면서도 잘 휘어지고, 복원력이 우수한 카본그라파이트(carbon graphite)나 카본섬유(carbon fiber), 유리섬유(glass fiver)와 같은 고탄성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갈고리바늘1,2의 기주(11)의 고착키 밑에 반드시 고착턱이 형성될 필요는 없다. 결합기판과 갈고리바늘의 구성 재료에 따라, 금속 재료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고착키(33) 밑에 고착턱이 제거된 기주를, 상기 결합기판의 고착구에 접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 고착턱이 제거된 것만큼 결합기판의 두께를 더 얇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고강도의 나노 플라스틱 신소재로서, 탄소 나노 입자로 조성된 질기고 견고한 탄소 나노섬유도, 상기 결합기판과 갈고리바늘의 구성 재료로 동시에 이용할 수가 있다. 더나아가, 스프링 제조용 특수합금 소재나, 스테인레스 강철 스프링 소재 등도 이용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의 낚싯바늘과 같은 피아노선이나 강철 스프링 소재로 성형된 갈고리바늘1,2의 경우에는, 상기 고착키 밑에 고착턱 대신 결합기판의 고착구(32)를 관통하는 수나사 볼트를 형성하고, 이에 육각너트를 결합시켜 결합기판에 고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벳(rivet)과 같은 일정한 턱이 형성되도록 리벳팅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으며, 기판 위에 고열 용접으로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이같은 질기고 강한 소재를 이용하게 되면, 도6(A~Ae, D)과 같이, 상기 갈고리바늘의 크기와 굵기를 비교적 더 작고 가늘게 형성하더라도, 큰 결속력의 힘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특히, 갈고리바늘들을 일정 형태의 기판에 구성시 그 기주의 제1미끄럼곡면(12)의 경사면 부위가 기판에 형성되도록 하면서, 도4(C,Ca,Cb), 도9(A~Ad)와 같이 변곡점 연장주(13)로 갈수록 가늘어지게 형성하게 되면, 이탈시에는 섬유루프의 실가닥들이 상기 기주의 경사면을 타고 섬유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여 상기 틈새(19) 방향으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훨씬더 편리하고 손쉽게 이탈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그만큼 갈고리바늘의 피로도를 줄여 소성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게 할 수가 있게 되며, 이같은 구성 방법은 본 발명의 모든 일방향성찍찍이에 그대로 적용될 수가 있음을 아울러 명시하고자 한다.
그런데, 아무리 질기고 강한 소재를 이용하여 갈고리바늘의 굵기(직경)와 탄성강도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주로 섬유 루프의 신축성만을 이용하여 탈부착시킨다 할지라도, 상기 갈고리바늘이 그 섬유 루프와의 탈부착하는 상호작용을 계속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그 과정에서, 특히 제1미끄럼곡면(12)과 변곡점 연장주(13)에 작용하는 일정한 물리적 힘에 의해, 소성(塑性) 변형(變形)이 생길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예기치 않은 강력한 물리적 힘에 의해 그 작용 부위를 탄성 한계치 이상으로 과도하게 변형시켜도 역시 소성 변형이 생기게 된다. 소성 변형이 생기면 완전한 결속력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그 형태가 변형될 때, 원상태로 원활히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또다른 해결책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갈고리바늘에, 전술한 인용[문헌 4]와 인용[문헌 7~10]에 언급된, 초탄성의 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 폴리머 재료를 적용시켜 구성하고자 한다. 이렇게 하면, 변형된 모양을 원래의 형상로 복귀할려는 힘에 의해 보다 더 강력한 결속력의 힘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특히, 인용[문헌 9]에 언급된 Ni-Ti(니티놀)계 형상기억합금은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탄성 TPU 플라스틱 소재로 피복될 수가 있으므로, 이를 적용시키게 되면, 보다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가 있다.
상기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갈고리바늘을 형성하는 방법은, 적용되는 갈고리바늘의 모양과 크기에 맞춰, 일정한 금형(몰드)를 제작하여, 도6(Bb)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재료로 일정한 뼈대(25)를 성형한 다음, 상기 고탄성 TPU 소재로 피복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도7(Bb)와 같이, 형상기억합금 뼈대를 금형에 고정시켜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시 함께 내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덧붙여, 갈고리바늘 전체를 형상기억 폴리머 재료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형성된 일방향성찍찍이의 결합기판은, 섬유 루프 외에 또다른 물체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여러 방식으로 구분하여 구성할 수가 있다.
1), 도4(A~Af, D,Dc), 도6(A~Ae, D)와 같이, 벽면, 또는 어느 물체와 접착제로 결합되게 구성할 수가 있다.
2), 도5(A~Ae, B,Ba), 도7(A~Ae)와 같이, 결합기판 모서리 4귀퉁이에는 십자스크류(41)가 관통하는 결합구(35)를 형성하고, 콘크리트 벽면에는 드릴로 구멍을 내어, 상기 십자스크류와 결합하는 암형고착체(40)를 결합시키고, 이에 다시 상기 결합기판을 십자스크류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3), 볼트와 너트로 또다른 어느 물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도8(A~Ad, B,Bb)와 같이, 상기 결합기판의 모서리 4귀퉁이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결합구(35)를 형성하고, 결합되는 물체에도 볼트가 관통하는 결합구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를 거실의 벽면에 설치하고, 화분이나 도자기 등의 장식품을 받칠 수 있는 일정 형태의 받침대에 섬유루프(보풀, 웹, 직물 등)을 접착하여 탈부착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일방향성찍찍이를 베란다 난간에 걸어서 보풀 또는 합성섬유 등이 접착된 화분 받침대 등을 탈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4), 도9(A~Ad)와 같이, 상기 1)의 방식으로 형성된 결합기판의 일정 부위에, 로프에 연결되는 일정 형태의 줄연결고리(37)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일방향성찍찍이는, 도9(B)와 같이 등산용 로프를 상기 줄연결고리에 걸어서, 일정한 매듭을 짓거나 쇠줄로 감아서 일정 크기의 줄고리가 형성되게 한 다음, 보풀(21, 웹)이 형성된 루프벨트(60) 및 특수제작된 대형의 마대자루 등과 함께, 인명 구조용, 수중 인양(引揚) 작업용, 선창가 또는 항구의 부두에서 짐을 싣고 부리는 화물 선적(船積) 작업용으로 널리 이용할 수가 있다.
즉, 상기 특수마대자루(또는 포대) 등에 수륙양용으로 일정한 물체(수중 산업쓰레기, 곡물, 볼트너트 등 각종 기자재)를 담은 다음, 일방향성찍찍이를 자루 개방부에 두세 군데로 분산결속시켜 수중인양 또는 화물선적 작업을 한다. 같은 방법으로 군부대에서는 보통의 마대자루에 모래 또는 흙을 담아서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진지구축 및 방호벽 설치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집중호우 때에는 수방용으로는 흙을 담은 마대자루를 흐르는 물살에 휩쓸리지 않게 일시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 용도로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인명 구조용으로는 상기 루프벨트(60) 대신에, 일정한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직조된 부직포 등으로 구성된 안전보호대를 사용할 수가 있다. 이 안전보호대는, 피부 손상 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 등을 여러겹 덧대어 구성하여 갈고리바늘의 바늘촉(14) 부위에 인체 피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인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는 다양한 크기로 구성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의 벨트(밴드)에 상기 일방향성찍직이와 이에 맞물리는 섬유루프를결합하여 서로 탈부착할 경우에는 갈고리 바늘이 섬유루프의 밑면에 수직으로 누르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힘이 과도하게 크게 작용할 때에는 갈고리바늘이 눌려서 바늘촉이 섬유루프를 뚫고 나와 신체의 일부에 접촉하여 불퀘한 느낌을 주거나 상처를 입힐 수도 있게 되며, 심지어 갈고리바늘에 소성 변형이 생기게 되면 원상태로의 회복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첫째, 벨트 위에 일정 두께의 섬유루프를 결합할 경우에는, 벨트 위의 섬유루프 측면에, 또는 기판 위의 측면 테두리에 일정 두께와 길이의 눌림방지턱(65)을 형성한다. 둘째, 스판덱스나 부직포 등의 직물 그 자체를 섬유루프로 그대로 이용할 경우에는, 기판의 측면 테두리와 바늘촉의 앞쪽으로 "ㄷ" 자형의 눌림방지턱(65)을 일정 두께로 형성한다. 셋째, 도( )와 같이, 벨트의 중심부에 일정 크기의 구멍을 길게 형성하여 그 내면에 섬유루프를 결합할 경우에는 벨트의 측면 부위가 자연적으로 눌림방지턱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의 여러 구성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에, 일정한 연결수단(볼트, 스크류, 벨트(혁대, 신축성 밴드, 고무밴드, 나일론 합성밴드, 등), 로프, 줄, 등)이 결합 또는 링크(link)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수단이 형성된 기판들 중에서 중복(重複)을 허락한 어느 두개를 선택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상기 바늘촉(바늘끝)이 서로 마주 보게끔, 상기 벨트, 로프, 줄 등으로 서로 결합 또는 링크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에, 회동 가능한 일정 형태의 탈부착수단(연결고리, 연결기구 등)이 형성되고, 이에 일정 형태의 섬유루프가 결합된 루프벨트(60)의 한쪽 끝단이 결합 또는 링크되어, 상기 기판의 갈고리바늘과 서로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벨크로와 버클 및 헤어클립 등의 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이들의 장점과 구조 등을 복합적으로 적용시켜 구성되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다같이 버클링 효과에 의해서 서로 다른 두 물체를 결속(체결)한다는 데 있다. 상기 일방향성찍찍이의 체결 방식이, 섬유루프를 갈고리바늘에 맞물리는 결합요소로 이용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벨크로에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결국 갈고리바늘들이 섬유루프와 버클링 효과에 의해 결속되어 그 결속력의 힘을 발휘한다는 점에 있어서는 일방향성찍찍이 그 자체를 새로운 개념의 버클(찍찍이 버클)로 보아도 무방하다 할 수가 있다. 이는 곧, 갈고리바늘들을 결합하고 있는 일정 형태의 기판(30)을, 전술한 바의 종래 버클에서 한 개의 둥근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버클프레임(buckle frame)으로 간주할 수가 있다는 결론을 유추해 볼 수가 있다.
또한, 갈고리바늘들이 섬유루프와 결속할 때는, 일정한 직물의 아주 작은 틈새(loop)로 파고 들어가서 결속되는데, 일반적으로 가는 실가닥(monofilament)들로 직조시에 이루어지는, 거의 모든 직물의 틈새(loop)의 간격은 대략 1㎜ 이내로 아주 작다. 한편, 전술한 바의 종래 버클의 둥근 돌출부에 결속되는 벨트의 구멍(loop)들 사이의 간격은 대략 2~2.5㎝ 정도이고, 자동버클의 경우에는 대략 1㎝ 이내이다. 이는 곧,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를 버클과 벨트에 적용시키게 되면, 종래 버클에 결합된 벨트의 구멍 간격보다 훨씬더 미세하게 그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시키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결론을 유추해 볼 수가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를 이용한 버클이 결합된 미세-길이조절 벨트의 구성도 얼마든지 가능함을 명시하고자 한다.
등산화의 신발끈 연결구멍 맨위쪽 양옆에 갈고리바늘끝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찍찍이버클을 리벳팅으로 연결하여 합성섬유로된 신발끈을 그대로 루프로 이용하여 갈고리바늘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등산화의 맨 윗부분 한쪽옆에는 한줄로 구성된 루프를 일정 길이로 박음질하여 결합하고 다른 한쪽에는 일정길이의 벨트를 박음질로 결합하고 이에 찍직이버클을 연결하여 한줄루프와 서로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청바지의 지퍼가 형성된 맨위쪽 양옆에 일정한 거리를두어 찍찍이버클 두개를 리벳팅으로 결합하고 청바지의 뒷부분에도 일정거리를 두어 찍직이버클을 리벳팅으로 연결하여 나중에 멜빵용 섬유벨트를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벽면에 못을 박아서 액자 등의 장식품을 걸게 되면, 벽면에 박힌 못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높낮이의 조절이 불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한 특장점이 있다.
또한 등산화의 맨 윗부분 한쪽옆에는 한줄로 구성된 루프를 일정 길이로 박음질하여 결합하고 다른 한쪽에는 일정길이의 벨트를 박음질로 결합하고 이에 찍직이버클을 연결하여 한줄루프와 서로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청바지의 지퍼가 형성된 맨위쪽 양옆에 일정한 거리를두어 찍찍이버클 두개를 리벳팅으로 결합하고 청바지의 뒷부분에도 일정거리를 두어 찍직이버클을 리벳팅으로 연결하여 나중에 멜빵용 섬유벨트를 탈부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일방향성찍찍이를 하나의 버클로 간주하고, 그 기판에 종래 버클에서 벨트의 한쪽 끝 부분을 결합하는 일정 형태의 탈부착수단(회전 가능한 톱니형 쇠갈고리 등이 형성된)으로서의 결합기구(연결고리)가 링크되어 상기 기판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갈고리바늘의 직경(굵기)과 탄성강도를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하여, 탈부착시 주로 섬유루프의 신축성(탄성)만을 이용하게 되면, 상기 틈새(19)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손쉽고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가 있게 됨은 물론, 반복적인 상호작용시에도 갈고리바늘의 피로도를 절감시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산업적으로 여러 다양한 기술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갈고리바늘의 구성 재료는 적용되는 기술분야에 따라 폴리에스터 등의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어느정도 유연성이 있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피아노줄과 같은 고탄소강, 티타늄과 같은 고강도 고탄성의 재료, 니켈-티타늄 합금(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 폴리머 및 고강도 고탄성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탄성은 있지만 잘 휘지 않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고강도의 금속을 이용할 경우, 그 바늘촉의 끝 부분은 뾰족하지만 거칠지 않고 둥글고 매끄러우면서도, 가능한 한 짧게 형성하여 루프와 상호작용시 잘 구부러지거나 휘어져 변형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 표면은 고주파 열처리를 거쳐 매끄럽고 단단하게 가공처리함으로써, 갈고리바늘들이 무작위로 일반 직물(편직물, 견직물 등)의 틈새(루프)로 들어갈 때, 여러 가닥의 모노필라멘트로 꼬인 실가닥들 사이로 잘 미끄러져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호작용시 소성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손목시계의 루프벨트에 형성되는 구멍(loop)은 지름 약 2.5~3㎜, 길이 약 2~2.5㎝ 정도로 형성하여 약 5㎜ 간격으로 1번, 2번루프의 순으로 2개를 줄지어 구성한다. 이렇게 하여 1번루프에는 사용자의 손목 두께에 맞춰 세밀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찍찍이버클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고, 2번루프에는 시계줄을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시계를 벗을 필요가 있을때 결속한다. 이렇게 하면 다시 시계를 착용할때 종래 보다 착용속도를 월등히 향상시키면서도 세밀하게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있는 효과가 생기게 된다.
상기 손목시계의 루프벨트를 구성하는 재료는 세장의 가죽시트로 구성되며, 얇으면서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가죽시트에 루프의 돌출부가 삽탈되는 상기 루프구멍이 형성되면서 루프의 접착면이 접착되는 외피와, 이의 밑면에 접착되면서 상기 루프의 접착면의 크기에 맞는 구멍이 형성된 중간내피와, 다시 이의 밑면에 상기 푸프의 밑면이 함께 접착되는 바탕시트로 구성된다.
상기 섬유루프와 찍찍이버클을 종래 물건을 묶거나 조이는데 널리 쓰이는 실리콘합성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여 성형시 함께 내설되도록 하여 플라스틱 미세길이조절벨트에 적용시켜 구성할수도있음을 아울러 명시하고자한다.
모노필라멘트의 미세직경의 실가닥을 넓게펴서 스판덱스의 바탕시트에 일정 넓이로 박음질을 하여 결합시킨 다음, 자투리 부분을 가위로 잘라내어 아치형태로 실가닥들이 바깥으로 향하게 구부리게 되면 스판덱스의 섬유가 아치형내부에 존재하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탄성복원섬유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미리구멍을 형성한 가죽외피와 가죽내피1,2에 접착제로 결합하여 마무리한다. 이렇게 하여 평상시에는 섬유루프가 가죽외피의 표면에 약간 돌출된 형태로 있게되지만, 찍찍이버클을 작용시키게되면 갈고리바늘의 움직임에 따라 섬유루프가 스판덱스의 신축탄성에의해 갈고리바늘의 기주내면으로 올라가 결합되게 되고, 해제시에는 역시 스판덱스의 탄성에 의해 아치형의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방향성찍찍이는, 대부분 피아노선 등의 고강도 고탄소강이나 티타늄 등의 재료로 구성되는 침상의 숫형 갈고리바늘과, 이에 맞물리면서 거미줄이나 탄소나노 플라스틱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실로 직조되는 암형 섬유루프의 두가지 암수 결합요소로 구성되며, 이 두 결합요소의 강도로서 체결강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한 두 개의 갈고리바늘만으로도 종래 그 어떤 체결기구보다 훨씬더 강력한 결속력의 안전성이 보장되면서도 이탈력의 힘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될 뿐만아니라, 상기 갈고리바늘 수의 증감에 따라 초강력 미세길이조절 찍찍이버클에서부터 일정 직물에 리벳팅되는 최소형 미세길이조절 찍찍이버클에 이르기까지 산업적으로 그 적용범위가 광범위한 것으로서 산업적 이용가능성이 있다.
01:일방향성찍찍이(찍찍이버클), 03:수평접선, 05:뼈대(형상기억합금), 10:기판, 11:기주, 12:제1미끄럼곡면, 13:변곡점 연장주, 14:바늘촉, 15:제2미끄럼곡면,
16:갈고리바늘세트(set, 갈고리바늘1,2를, 하나 또는 둘 이상 기판의 길이 방향에 종렬 또는 횡렬로 배열시켜 성형 또는 용접하여 구성된 갈고리바늘 뭉치), 16a:탈부착스프링,
17:갈고리바늘1, 18:갈고리바늘2, 19:틈새, 20:착탈공간, 21:보풀형섬유루프(스펀본드 웹, 보풀),
22:아치형루프(볼록누비형 루프, 아치형섬유루프, 아치형줄루프(낚싯줄, 테니스라켓 스트링, 낙하산줄 등의 가는 루프용줄(81) 또는 실가닥 등으로 구성된 루프)),
23:탄성복원체(형태가 변형될 때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복원시키는 탄성체로서, 고탄성의 실가닥들로 엉클어진 보풀형탄성복원섬유(또는 탄성체)를 비롯하여, 오메가형 탄성복원섬유, 탄성복원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됨), 23a:실리콘루프결합체,
24:직물루프(탄소나노섬유, 나일론 합성섬유, 폴리에스터 등으로 직조된 합성섬유, 특수마대, 포대, 양탄자, 부직포, 스판덱스 등),
25:바탕시트(아치형 등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체를 결합하는 직물시트로서, 나일론 폴리에스터 탄소나노섬유 등으로 직조된 합성벨트, 일반직물, 스판덱스 등),
26:안전턱작용부위, 27:안전턱삽탈홈, 28:리벳홈, 29:리벳캡, 30:수나사볼트, 31:버클프레임(찍찍이기판, 버클기판), 31a:실리콘버클프레임, 32:고착구, 33:고착키, 34:고착턱, 35:나사결합구, 37:줄연결고리, 40:암형고착체, 41:십자스크류, 42:십자볼트, 43:육각너트, 51:흡착판, 52:결합면, 53:고무빨판, 54:버클회전수단(회전링크절), 56:로프, 57:고리(쇠고리, 연결고리, 플라스틱고리, 등), 58:죔벨트,
59:벨트(합성섬유, 실리콘합성 플라스틱, 탄성고무, 신축성밴드의 벨트 끝에 연결고리가 형성된 연결고리벨트 등),
60:벨트고리, 61:회전축연결핀, 62:줄가이드, 63:회전식안전레버(찔림방지레버 등), 63a:작용턱, 64:막판스프링, 65:안전턱(눌림 또는 찔림방지턱), 66:버클가이드, 67:클램프, 68:자석(고무자석 등), 69:강철막판,
70:루프벨트(혁대, 신축성밴드, 고무밴드, 나일론 합성밴드 등 벨트의 일정 부위에 상기 아치형루프, 보풀형루프 등이 일정한 폭과 길이로 결합된 것, 또는 상기 스판덱스나 부직포, 나일론 합성섬유 등이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결합된 것),
71:1번루프, 72:2번루프, 74:바늘촉작용부, 75:가죽외피, 76:가죽내피, 77:1번루프구, 78:2번루프구, 79:루프접착면, 80:루프접착시트, 81:루프용줄, 83:재봉(박음질)부위, 84:로프형 루프벨트, 85:찍찍이집개, 86:압착스프링, 88:암회전수단, 89:숫회전수단, 90:갈고리결합면, 91:갈고리삽탈공, 92:압착판, 93:안전턱리벳(직물, 가죽 등과 기판 결합용), 94:줄삽탈공, 95:리벳결합공, 96:휨변형탄성부위, 97:휨변형접착판, 98:혈압측정용 커프, 99:에어호스(튜브).

Claims (20)

  1. 침상(針狀)의 갈고리바늘과 이에 관통되어 맞물리는 루프의 두가지 암수 결합요소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에 있어서,
    일정한 플라스틱 또는 합금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둥근 제1미끄럼곡면(12)이 형성된 기주(11)와, 이의 변곡점에서 일정한 형태로 둥글게 연장되는 제2미끄럼곡면(15)에 연이어서, 상기 변곡점의 수평접선상(03)에서 외측으로 둥글게 휘어져 바늘촉(14)이 돌출되게 형성된 침상의 갈고리바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찍찍이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의 기판 위에 하나가 구성되거나, 또는 둘 이상 종렬 또는 횡렬로 상기 바늘촉이 일정한 방향으로 향하게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줄지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을 줄지어 구성함에 있어, 일정 크기의 틈새(19)와 착탈공간(20)이 형성되어, 상기 루프와의 상호작용으로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로 착탈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4. 제1항 ~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의 기주 밑에,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일정 형태(4각~6각형 등)의 고착키(33)와 고착턱을 형성하여, 상기 기판에 형성된 고착구(32)에 맞물려 고착(固着)되거나,
    또는, 상기 갈고리바늘과 기판을 일정한 결합수단(접착, 리벳팅, 용접, 볼트와 너트 등)으로 고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5. 제1항 ~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들이 그 길이 방향과 나란히 기주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 일직선상에서 좌우 일정한 경사각으로,
    각 줄마다 서로 대칭 또는 일정 간격으로 서로 어긋난 엇대칭을 이루는 빗살무늬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6. 제1항 ~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의 바늘촉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또는 상기 수평접선과 나란히), 또 전체 길이는 비교적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기판 위에 하나 이상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7. 제1항 ~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뒷면 일정 부위에 흡착판(51, 고무빨판)이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흡착판의 결합면(52)에 상기 갈고리바늘에 맞물리는 섬유루프가 결합 또는 링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8. 제1항 ~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0)에 일정수의 갈고리바늘이 성형 또는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를 안전턱(65)이 형성된 버클프레임(31)에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쪽 측면에 재봉용 줄이 삽탈되는 일정수의 줄삽탈공(9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양쪽 측면에 안전턱리벳(93)이 삽탈되는 리벳결합공(95)을 형성하여 가방, 핸드백 벨트, 일정 직물 등에 리벳팅으로 결합시켜 미세 길이조절 개폐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1. 제8항에 있어서,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찍찍이집게(85)가 압착스프링(86)의 탄성력으로 개폐되는 멜빵용 버클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프레임에 회전식 안전장치로서 안전턱(63a)이 형성된 회전식안전레버(63)와 막판스프링(64)를 링크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3. 제1항 ~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수의 갈고리바늘이 용접된 갈고리바늘세트(16) 두 개가 결합된 실리콘버클프레임(31a)과 2줄 아치형루프(22)를 혈압측정용 커프(98)에 접착시켜, 혈압측정용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4. 제1항 ~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정 부위에, 회전 가능한 일정 형태의 회전수단(연결고리, 결합기구 등)이 형성되고, 이에 벨트 또는 루프벨트(70)의 한쪽 끝단이 링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5. 제1항 ~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들 중에서 중복을 허락한 어느 두개를 선택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으로 상기 바늘촉이 서로 마주 보게끔, 상기 벨트, 로프, 줄 등으로 서로 결합 또는 링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6. 제1항 ~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두개를 연결벨트(59)와 고리(57)로, 줄연결고리(37)가 형성된 죔벨트(58)에 링크되게 구성하거나, 또는, 이렇게 구성된 기판들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루프벨트로 결합 또는 링크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7. 제1항 ~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바늘을 버클링 효과에 의해 가발을 결속-해제시키는 가발체결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8.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되어 압착되는 회전식 집게용 암수회전체의 압착면 위에, 갈고리바늘이 결합되는 갈고리결합면(90)과 갈고리바늘이 삽탈되는 갈고리삽탈공(9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19. 제1항 ~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루프는, 상기 갈고리바늘의 크기와 굵기 및 탄성강도에 따른 응력(應力, 변형력), 탄성률, 상기 바늘끝의 날카롭고 둥근 정도 등의 구조역학적 적성에 맞춰,
    상기 갈고리바늘이 관통하는 일정 크기의 루프가 형성되도록 일정한 섬유(인조, 합성, 천연) 실로 직조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성찍찍이.
  20. 아치 형태 또는 볼록 누비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보풀형 또는 오메가형 탄성복원체(23, 탄성복원섬유 등)를 일정 크기와 길이로 형성하여 바탕시트(25) 위에 하나씩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탄소나노섬유 등의 고강도 고탄성의 실로 직조된 직물의 씨실과 날실 두 실 중 어느 한쪽 실의 일부를 일정 폭과 길이로 제거시킨 직물루프(24)시트를 덮어서, 상기 바탕시트 위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여 횡렬로 한 줄 이상 아치 형태로 차례로 재봉(박음질)을 하여 아치형루프(22)를 구성하고, 이를 다시 고강도 고탄성의 벨트 위에 박음질(재봉)로 결합시켜 아치형루프벨트(70)를 구성하는 루프제조방법.
KR1020150071209A 2014-05-21 2015-05-21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Ceased KR20150134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5123 WO2015178706A1 (ko) 2014-05-21 2015-05-21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738 2014-05-21
KR20140060738 2014-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291A true KR20150134291A (ko) 2015-12-01

Family

ID=54882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09A Ceased KR20150134291A (ko) 2014-05-21 2015-05-21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2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045A (zh) * 2019-03-26 2019-06-21 张宏伟 全自动魔术贴推带机及其魔术贴带件移送结构
CN112021738A (zh) * 2020-09-01 2020-12-04 苏丹 一种粘扣布料
CN116463809A (zh) * 2023-06-16 2023-07-21 江苏沛飞特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滚筒式纺织物倒勾型起绒器
CN117236142A (zh) * 2023-11-13 2023-12-15 江苏新筑预应力工程有限公司 解算索杆系的有限质点分析方法、系统及介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14045A (zh) * 2019-03-26 2019-06-21 张宏伟 全自动魔术贴推带机及其魔术贴带件移送结构
CN109914045B (zh) * 2019-03-26 2022-04-05 广东金悦来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魔术贴推带机及其魔术贴带件移送结构
CN112021738A (zh) * 2020-09-01 2020-12-04 苏丹 一种粘扣布料
CN116463809A (zh) * 2023-06-16 2023-07-21 江苏沛飞特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滚筒式纺织物倒勾型起绒器
CN116463809B (zh) * 2023-06-16 2023-10-10 江苏沛飞特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滚筒式纺织物倒勾型起绒器
CN117236142A (zh) * 2023-11-13 2023-12-15 江苏新筑预应力工程有限公司 解算索杆系的有限质点分析方法、系统及介质
CN117236142B (zh) * 2023-11-13 2024-01-26 江苏新筑预应力工程有限公司 解算索杆系的有限质点分析方法、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923B2 (en) Coupling members for closure devices and systems
US10335306B2 (en) Supporter
US5074013A (en) Releasable shear-resistant fabric joining apparatus
RU24126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парика и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парика с помощью указ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00236287A1 (en) Necklace cover
TWI670106B (zh) 膝關節用支承具
EP2521467B1 (en) Slip lock grommet
KR20150134291A (ko)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US20100162468A1 (en) Mini belt and method using the same
CN101370449A (zh) 用于延长阴茎的装备
US9060590B2 (en) Backpack frame
US11576451B2 (en) Dual band adjustable belt loop fastening device
US20200323298A1 (en) Suspender and Suspender Fasteners
TW201538139A (zh) 手關節用繃帶
WO2015149119A1 (en) A fastening device for a rope-like material used as a part of a belt
JP7017429B2 (ja) 固定用ベルト、それを用いた固定方法、及び固定用ベルト部材
US20190350286A1 (en) Low profile sock device
WO2015178706A1 (ko) 힘의 모멘트의 원리 및 빗면마찰과 탄성의 원리 등을 이용한 갈고리바늘과 루프로 구성되는 일방향성찍찍이와 루프제조방법
US10076202B1 (en) Apparatus to help disabled persons pull up pants and underpants simultaneously after using the toilet
WO2006116791A1 (en) Webbing fastener
US20160143377A1 (en) Tie-free apron, and a method for its use
JPH0754245Y2 (ja) コルセット
CN103976478A (zh) 带束带与锁扣件的袜子以及用于固定袜子的束带
RU175666U1 (ru) Шлевка
CN216776205U (zh) 一种永久起搏器术后病员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8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9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