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015A -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 - Google Patents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015A
KR20100005015A KR1020097018991A KR20097018991A KR20100005015A KR 20100005015 A KR20100005015 A KR 20100005015A KR 1020097018991 A KR1020097018991 A KR 1020097018991A KR 20097018991 A KR20097018991 A KR 20097018991A KR 20100005015 A KR20100005015 A KR 20100005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rtition member
soluble
heat exchang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노리 이마이
히데모토 아라이
마사루 타카다
요이치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5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0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6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spaced plates with inserted e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4Alkaline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15Heat and mass exchangers, e.g. with permeab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zig-zag b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spirally-wound plates or lamin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2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 F28F2275/025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by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3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with metallurgical bon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2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은,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흡습제를 함침 내지 부착시켜 두지 않고도 소망량의 흡습제를 함유한 전열교환 소자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가 제조 과정에서 파손되거나 변형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하여 생산성을 높인 것이다.
전열교환 소자

Description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PROCESS FOR MANUFACTURING TOTAL HEAT EXCHANGER ELEMENT AND TOTAL HEAT EXCHANGER ELEMENT}
본 발명은, 공조기기(空調機器) 등에서 사용되는 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열교환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습도 상태가 서로 다른 2종의 기류 사이에서 잠열(潛熱)과 현열(顯熱)의 양쪽의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全熱交換)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 등에 사용되는 열교환 소자의 하나로서, 적층 구조를 갖는 직교류형의 전열교환 소자가 있다. 이 전열교환 소자에서는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이 각각 소정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고, 개개의 소자 구성 유닛은,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이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해당 칸막이 부재와 함께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예를 들면 파형(波形)의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다.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의 주름(波目)과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의 주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교차한다.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에서의 유로와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에서의 유로에 서로 상태가 다른 2종의 기류, 일반적으로는 온습도(溫濕度) 상태가 서로 다른 2종의 공기를 흘림으로써, 이들 2종의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 를 통하여 잠열 및 현열의 교환이 행하여진다.
전열교환 소자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는데는, 칸막이 부재의 전열성(傳熱性)이나 투습성(透濕性)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칸막이 부재는 흡습성 또는 투습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의 표면에 흡습제를 부착시킨 재료로 이루어지는 전열교환기용 소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부직포, 금속 섬유, 유리 섬유 등에 의해 구성된 다공질 부재에 흡습제를 함유시켜서 기재(基材)로 하고, 이 기재의 표면에 투습막을 형성한 재료에 의해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열교환 소자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상기한 다공질 부재의 표면에 불소계 또는 탄화 수소계의 수지에 의해 흡습 확산층을 형성한 재료에 의해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열교환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시트의 표면에 흡착형 흡습제를 부착시킨 재료에 의해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전열교환기용 소자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5에는, 습기에 대한 신장(伸張) 특성이 한쪽의 면과 다른쪽의 면에서 다른 재료에 의해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열교환기가 기재되어 있다.
금일에는, 재료비의 저감이나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의 흡습제를 함침 내지 부착시킨 종이에 의해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전열교환 소자도 개발되어 있다. 수용성의 흡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염화 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사용되고, 비 수용성의 흡습제로서는, 실리카 겔,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 강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입상(粒狀) 고체가 사용된다. 필요에 응하여, 이들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에 난연제 등이 또한 첨가되는 것도 있다.
종이에 의해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형성한 전열교환 소자에서는,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시킴으로써 소자 구성 유닛이 형성되어 있고, 필요한 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각각 소정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해당 전열교환 소자가 제작된다. 이 때, 적층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소자 구성 유닛끼리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의 접합, 및 소자 구성 유닛끼리의 접합에는, 수용매형 및 유기용매형의 어느 접착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유기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전열교환 소자로부터 유기용매의 휘산이나 냄새의 방산(放散) 등이 일어난다. 또한, 유기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기용매를 회수하기 위한 장치 등과 같이 복잡하면서 고가인 보조기를 전열교환 소자의 생산 설비에 마련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특히 공조기기용의 전열교환 소자에서는, 수용매형의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많다.
또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흡습제가 수용성이면 해당 흡습제는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통하여 종이제의 칸막이 부재와 종이제의 간격 유지 부재의 양쪽으로 확산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수용성의 흡습제를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의 한쪽에만 미리 함침시키고, 그 후에 해당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하여 소자 구성 유닛을 제작하여도,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 의 양쪽에 흡습제가 함침한 소자 구성 유닛을 얻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 특개소58-132545호 공보
특허 문헌 2 : 특개2002-310589호 공보
특허 문헌 3 : 특개2005-24207호 공보
특허 문헌 4 : 특허 제2829356호 공보
특허 문헌 5 : 미국특허 제6,536,514호 공보
그러나, 종이제의 칸막이 부재에 수용성의 흡습제를 미리 다량 함침시키고, 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서로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을 제작하려고 하면, 생산성이 저하된다. 즉, 수용성의 흡습제가 미리 함침된 칸막이 부재는, 통상, 수용성의 흡습제를 함침시킨 장척의 원지(原紙)를 롤로 성형하고, 이 롤로부터 해당 원지를 인출하고 소정의 크기로 재단함으로써 제작되는 것인데, 수용성의 흡습제의 함침량이 많아지면 흡습제에 의한 흡습량도 많아져서 롤 내에서 원지가 합착(合着)하여, 롤로부터 원지를 인출할 수 없게 되는 블로킹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이 블로킹이 일어나면, 칸막이 부재의 제작 공정이 중단되거나, 칸막이 부재의 제작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된다. 마찬가지의 일이, 종이제의 간격 유지 부재에 수용성의 흡습제를 미리 다량 함침시킬 때나, 수용성의 다른 약제를 종이제의 칸막이 부재 또는 종이제의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다량 함침시킬 때에 관해서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종이에 수용성의 흡습제를 다량 함침시키면 그 강도가 저하되고, 해당 종이를 파형의 간격 유지 부재로 성형하려고 한 때에 파단을 일으키는 등의 이상이 생기기 쉽게 된다. 나아가서는, 소자 구성 유닛에서는 흡습에 수반하는 변형이 현저하고, 다량의 흡습제가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되어 있으면 전열교환 소자로 조립하기 까지의 사이에 해당 소자 구성 유닛이 흡습에 의해 변형을 일으켜서, 전열교환 소자로 조립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되기 쉽다. 마찬가지의 것이, 수용성의 다른 약제를 종이제의 칸막이 부재 또는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다량 함침시킬 때에 관해서도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소망량(所望量)의 약제가 함침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한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망량의 약제가 함침된 종이제의 것을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한 것이 용이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한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流通)하는 기류(氣流)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행하고, 접합 공정 및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행하고, 접합 공정 및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한다.
상기 제조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행하고, 접합 공정 및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에 관한 한 형태는,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칸막이 부재와 함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가지며,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로서,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수용성의 흡습제 및/또는 난연제를 함유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전열교환 소자이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는,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자 구성 유닛이나 전열교환 소자를 얻기 때문에, 접합 전의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에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난연제를 미리 다량 함침시켜 둘 필요성이 없다. 이 때문에,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원지(原紙)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해당 원지로부터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얻을 수 있고, 결과로서 양호한 작업성하에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 및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를 각각 롤로 성형하고, 이들의 롤로부터 각 원지를 인출하면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순차적으로 제작할 때나, 소자 구성 유닛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적층체를 제작할 때에도, 블로킹의 발생이 억제된다.
나아가서는,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얻고 나서 이들의 소자 구성 유닛을 전열교환 소자로 조립하기 까지의 사이에 각 소자 구성 유닛이 흡습에 의해 현저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의 저하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망량의 약제가 함침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전열교환 소자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열교환 소자에서 열교환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할 때의 제조 공정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전열교환 소자의 소자 구성 유닛을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할 때에 사용되는 설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전열교환 소자의 소자 구성 유닛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에 사용되는 설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부호의 설명)
1 : 칸막이 부재
5 : 간격 유지 부재
7A, 7B, 36, 62 : 접착제
10, 10a 내지 10f : 소자 구성 유닛
12 : 열교환 유닛
20 : 전열교환 소자
이하,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고 상세히 설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전열교환 소자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전열교환 소자(20)는,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이 적층 배치된 직교류형의 것이고, 도 1에는 6개의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이 도시되어 있다.
개개의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은,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1)와, 칸막이 부재(1)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파형의 간격 유지 부재(5)를 갖고 있다. 각 칸막이 부재(1) 및 각 간격 유지 부재(5)는 종이에 의해 제작되고, 이들 칸막이 부재(1) 및 간격 유지 부재(5)에는 소망하는 수용성 약제가 함침되어 있다. 각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1)와 간격 유지 부재(5)는 수용매형의 접착제(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소자 구성 유닛끼리도 수용매형의 접착제(도시 생략)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전열교환 소자(20)를 구성하는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의 주름과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의 주름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교차한다. 환언하면,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에서의 개개의 요철의 긴변 방향과,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에서의 개개의 요철의 긴변 방향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90도 또는 그것에 가 까운 각도로 교차한다. 또한, 가장 위의 소자 구성 유닛(10f)상에는, 칸막이 부재(1)와 같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천판 부재(15)가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열교환 소자(20)에서는, 개개의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1)와 간격 유지 부재(5) 사이의 공간, 각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e)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와 그 위의 소자 구성 유닛(10b 내지 10f)에 있어서의 칸막이 부재(1) 사이의 공간, 및 소자 구성 유닛(10f)에 있어서 간격 유지 부재(5)와 천판 부재(15) 사이의 공간이, 도 1중에 2점쇄선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기류의 유로가 된다.
그 결과로서, 각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의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1)를 통하여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상기한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한쪽의 소자 구성 유닛에서의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소자 구성 유닛에서의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칸막이 부재(1)를 통하여 잠열 및 현열의 열교환이 행하여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열교환 소자(20)에서는, 하나의 칸막이 부재(1)와 해당 칸막이 부재(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술한 접착제에 의해 접합된 2개의 간격 유지 부재(5, 5)에 의해, 하나의 열교환 유닛(12)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1)와 간격 유지 부재(5)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끼리를 접합시켜서,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이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20)를 얻는 적층 공정이 행하여진다. 본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함에 있어서, 접합 공정 및 적층 공정의 양쪽에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한다.
도 3은,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할 때의 제조 공정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예는 배치 처리로 필요한 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제작한 후에 해당 소자 구성 유닛을 적층하여 전열교환 소자를 얻을 때의 것이고, 상술한 접합 공정(JS)과 상술한 적층 공정(LS)이 이 순번으로 행하여진다.
도시한 접합 공정(JS)에서는, 우선, 원지(5a)를 파형으로 성형하여 간격 유지 부재(5)를 얻고, 이 간격 유지 부재(5)에 있어서의 편면에서의 파형의 정부(頂部)에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접착제, 예를 들면 염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염화 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7A)를 도포한다. 뒤이어, 별도 제작한 칸막이 부재(1)를 간격 유지 부재(5)상에 배치하여 상기한 접착제(7A)에 의해 양자를 접합시키고, 이로써 소자 구성 유닛(10)을 얻는다. 이 소자 구성 유닛(10)은, 도 1에 도시한 소자 구성 유닛(10a 내지 10f)의 어느 하나가 된다. 소자 구성 유닛(10)의 제작 순서와 같은 순서로, 필요한 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제작한다.
또한, 원지(5a)에는 흡습제가 함침 내지 첨가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5)에 접합되기 전의 칸막이 부재(1)에도 흡습제가 함침 내지 첨가되어 있 지 않다. 접착제(7A)의 재료로서의 수용매형의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적층 공정(LS)에서는, 우선, 접합 공정(JS)에서 제작한 소자 구성 유닛(10) 및 다른 소자 구성 유닛(도시 생략) 각각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에서의 파형의 정부에 수용성의 흡습제, 예를 들면 염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나 염화 칼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이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7B)를 순차적으로 도포한다. 또한,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의 주름과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의 주름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교차하도록 각 소자 구성 유닛 방향을 선정하면서, 접착제(7B)가 도포된 소자 구성 유닛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착제(7B)에 의해 서로 접합시킨다. 그 후, 편면에만 칸막이 부재(1)가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5)상에, 상기한 접착제(7B)에 의해 천판 부재(15)(도 1 참조)를 접합시킨다. 천판 부재(15)까지 접합함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전열교환 소자(20)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하면, 간격 유지 부재(5)에 도포된 접착제(7A, 7B)에 용해되어 있던 수용성의 흡습제가 전열교환 소자(20)에 확산한다. 전열교환 소자(20)에서의 흡습제의 함침량은, 도포된 접착제(7A)에서의 흡습제의 함유량과, 도포된 접착제(7B)에서의 흡습제의 함유량의 합이 된다. 따라서 접착제(7A, 7B)에서의 수용성의 흡습제의 농도 및 접착제(7A, 7B)의 도포량을 적절히 선정함에 의해, 전열교환 소자(20)에서의 흡습제의 함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접착제(7A, 7B)에서의 흡습제의 농도는, 해당 흡습제의 포화 농도 이하의 범위에서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형분 40질량%의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에 물을 20질량%, 수용성의 흡습제인 염화 리튬을 15질량% 각각 혼합하면, 수지 고형분 30질량%, 물 59질량%, 염화 리튬 11질량%의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이 접착제를 도 2에 도시한 접착제(7A)로 사용하여 그 도포량을 칸막이 부재(1)의 단위면적(1㎡)당의 환산량으로 15g으로 하고, 또한 상기한 접착제를 도 2에 도시한 접착제(7B)로서도 사용하여 그 도포량을 칸막이 부재(1)의 단위면적(1㎡)당의 환산량으로 40g으로 하면, 칸막이 부재(1)에서의 단위면적(1㎡)당의 환산량으로 약 6g((15+40)×11%)의 염화 리튬을 소자 구성 유닛(10)에 함침시킬 수 있다. 물론, 염화 리튬의 포화 농도는 상기한 값보다도 더욱 높고, 물 100질량부에 대해 최대 84.8질량부(이 때의 염화 리튬의 농도는 약 46질량%)까지 용해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제(7A, 7B)의 도포량은 상술한 값보다도 더욱 큰 값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열교환 소자(20)에는 더욱 다량의 흡습제(염화 리튬)를 함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단, 접합 공정(JS)에서는, 제조 환경하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 등에 영향을 받아, 간격 유지 부재(5)나 소자 구성 유닛(10)의 변형 또는 연화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접착제(7A)의 도포량은, 해당 변형이나 연화, 및 간격 유지 부재 사이 또는 소자 구성 유닛 사이에서의 이들의 편차가 억제되도록 선정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적층 공정(LS)에서는, 전열교환 소자(20)에서의 흡습제의 함침량이 소망량이 되도록, 접합 공정에서 간격 유지 부재(5)에 도포된 접착제(7A)에서의 흡습제의 함유량과 접착제(7B)에서의 흡습제의 농도에 응하여, 접착제(7B)의 도포량을 선정한다. 접착제(7A)에서의 흡습제의 농도와 접착제(7B)에서의 흡습제의 농도는, 서로 제각기 선정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격 유지 부재(5)의 원지(5a)에 수용성의 흡습제를 미리 다량 함침시켜 둘 필요성이 없다. 이 때문에, 흡습에 수반하는 원지(5a)의 연화나 변형(늘어남)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고, 해당 원지(5a)를 파형으로 성형할 때의 성형 불량이나 파손이라고 말한 가공상의 이상의 발생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즉, 양호한 작업성하에서 간격 유지 부재(5)를 얻을 수 있다. 칸막이 부재(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얻고 나서 해당 소자 구성 유닛을 전열교환 소자(20)으로 조립하기 까지의 사이에 각 소자 구성 유닛이 흡습에 의해 현저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용이하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20)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도 양호한 것으로 한 것이 용이하다.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하는 경우와 같은 공수(工數)하에서, 전열교환 소자(20)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망량의 흡습제가 함침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20)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칸막이 부재(1)나 간격 유지 부재(5)의 근원이 되는 원지로서 흡습제가 함침하지 않은 것을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원지의 재료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2.
전열교환 소자를 구성하는 소자 구성 유닛은, 배치 처리에 의해 제작하는 외에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할 수도 있고,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와 칸막이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를 접합하고 장척의 소자 구성 유닛재를 제작하는 공정과, 장척의 소자 구성 유닛재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하는 공정을 행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 및 칸막이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가 각각 미리 롤로 성형된다.
도 4는, 소자 구성 유닛을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할 때에 이용되는 설비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이 설비에 의해, 장척의 소자 구성 유닛재를 제작하는 공정이 행하여진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설비에서는,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30)가 미리 롤(R1)로 성형되고, 칸막이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50)가 미리 롤(R2)로 성형되어 있다. 롤(R1)로부터 인출된 원지(30)는, 한 쌍의 성형 롤(32a, 32b)에 의해 파형으로 성형되고, 성형 롤(32b)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도중에 해당 성형 후의 원지(30)에 롤(34)에 의해 접착제(36)가 도포된다.
상기한 접착제(36)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이고, 접착제 조(槽)(38)에 저장되어 있다. 롤(34)은 부분적으로 접착제 조(38)에 침지되어 있고, 해당 롤(34)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착제(36)가 도장 롤(34)의 주 면(周面)에 부착하고, 나아가서는 파형으로 성형된 원지(30)의 편면에 도포된다. 롤(34)의 주면에 과잉의 접착제(36)가 부착하지 않도록, 해당 롤(34)의 부근에는 스퀴징 롤(40)이 배치되어 있다. 롤(34)과 스퀴징 롤(40) 간격을 조정함에 의해, 접착제(36)의 점도에 의해 정해지는 한계치 이하의 범위에서 해당 접착제(36)의 도포량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간격을 크게 하면 접착제(36)의 도포량은 많아지고, 작게 하면 도포량도 작아진다. 예를 들면, 접착제(36)의 점도가 100 내지(500)mPa·s, 접착제(36)의 비중이 대략 1일 때, 롤(34)과 스퀴징 롤(40)의 간격을 0.4㎜ 이상으로 하면, 접착제(36)의 도포량을 용이하게 50g/㎡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롤(R2)로부터 인출된 원지(50)는, 2개의 가이드 롤(52a, 52b)에 의해 프레스 롤(54)측으로 유도된다. 프레스 롤(54)은 소정이 간격을 두고 성형 롤(32b)과 대치하고 있고, 이 프레스 롤(54)에 의해 원지(50)가 소정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과정에서 해당 원지(50)와 파형으로 성형된 원지(30)가 접착제(36)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그 결과로서, 소자 구성 유닛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소자 구성 유닛재(56)가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도 4에서는 각 롤의 회전 방향, 및 각 원지(30, 50)의 반송 방향을 실선의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이 후, 도시를 생략한 재단기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재(56)를 소정의 크기로 재단하는 공정을 경유하여, 소자 구성 유닛이 연속적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자 구성 유닛을 얻을 때까지가, 접합 공정이 된다. 또한, 해당 접합 공정에서 는, 파형으로 성형된 후의 원지(30)와 원지(50)를 접착제(36)에 의해 접합한 후에 재단하고 있고,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의 접합 공정으로는 미리 재단한 간격 유지 부재와 칸막이 부재를 접합하고 있지만, 접합 대상물이 원지인지의 여부에에 관계없이, 본 형태에서의 접합 공정과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접합 공정은 흡습제가 용해된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다름은 없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접합 공정에서 소자 구성 유닛(10)(도 3 참조)을 얻은 후의 적층 공정에서는,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적층 공정과 마찬가지로 접합 공정에서 제작한 소자 구성 유닛의 각각에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이들을 적층하여,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다. 개개의 소자 구성 유닛에의 상기 접착제의 도포는, 예를 들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설비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설비는, 한 쌍의 롤(60a, 60b)과, 상기한 접착제(62)가 저장된 접착제 조(64)와, 롤(60b)의 부근에 배치된 스퀴징 롤(66)과, 도시를 생략한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소자 구성 유닛(10)은 간격 유지 부재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반송 장치에 의해 한 쌍의 롤(60a, 60b)에 반송되고, 여기서 접착제(62)가 도포된다.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10)이 반송된다.
상기 한 쌍의 롤(60a, 60b)중, 상측의 롤(60a)은 소자 구성 유닛(10)을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롤로서 기능하고, 하측의 롤(60b)은 부분적으로 접착제 조(64)에 침지되어, 소자 구성 유닛(10)에 접착제(62)를 도포하는 롤로서 기능한다. 롤(60b)이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착제(62)가 롤(60b)의 주면에 부착하 고, 나아가서는 소자 구성 유닛(10)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에 도포된다. 스퀴징 롤(66)은 롤(60b)의 부근에 배치되여, 롤(60b)의 주면에 부착한 과잉의 접착제(62)를 제거한다. 롤(60b)과 스퀴징 롤(66)의 간격을 조정함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10)에의 접착제(62)의 도포량을 조정할 수 있다.
접착제(62)가 도포된 각 소자 구성 유닛(10)은, 하나의 소자 구성 유닛(10)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의 주름과 그 위 또는 아래의 소자 구성 유닛(10)에 있어서의 간격 유지 부재의 주름이 평면으로 보았을 때 90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각도로 교차하도록 그 방향이 선정되어 적층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소자 구성 유닛(10)끼리가 접착제(62)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그 결과로서, 전열교환 소자(20)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열교환 소자(20)를 제조한 경우도,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이유와 같은 이유 때문에, 소망량의 흡습제가 함침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20)를 높은 생산성하에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원지로서 흡습제가 함침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지의 재료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3.
본 형태에서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접합 공정에서만 사용하고, 적층 공정으로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를 사용한다. 소자 구성 유닛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와 같이 배치 처리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고,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와 같이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소자 구성 유닛을 배치 처리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전열교환 소자는, 도 3에 도시한 접착제(7B)로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소자 구성 유닛을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전열교환 소자는, 도 4에 도시한 접착제(62)로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칸막이 부재의 원지와 간격 유지 부재의 원지 사이에서 종이 두께나 평량(坪量)(단위면적당의 중량)에 큰 차가 있을 때에, 소자 구성 유닛에 있어서의 수용성의 흡습제의 함침량을 적게 하면, 해당 소자 구성 유닛에 큰 변형이 일어나는 일이 있다. 이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접합 공정에서 사용하여 소자 구성 유닛을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수용매형의 접착제에서의 수용성의 흡습제의 농도는, 해당 접착제의 도포량, 칸막이 부재 및 간격 유지 부재 각각의 원지에서의 종이 두께나 평량, 흡습시의 각 원지의 신축량, 건조시의 각 원지의 수축량, 전열교환 소자에서 요구되는 습도 교환 효율 등에 응하여 적절히 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한 경우도, 소망량의 흡습제가 함침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원지로서 흡습제가 함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지의 재료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전열교환 소자의 성능을 정하는 흡습제의 함침량의 관리(접착제로의 흡습제의 농도의 관리, 및 접착제의 도포량의 관리)를 접합 공정에서만 행하면 좋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를 양산한 때의 전열교환 소자 사이에서의 흡습제의 함침량의 편차를 실시의 형태 1 또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 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4.
본 형태에서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적층 공정에서만 사용하고, 접합 공정에서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를 사용한다. 소자 구성 유닛은,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와 같이 배치 처리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고,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와 같이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하여도 좋다.
소자 구성 유닛을 배치 처리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전열교환 소자는, 도 3에 도시한 접착제(7A)로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의 형태 1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소자 구성 유닛을 연속 처리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전열교환 소자는, 도 4에 도시한 접착제(36)로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되어 있지 않은 접착제, 예를 들면 아세트산 비닐계 에멀션 접착제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의 것과 마찬가 지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적층 공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서의 수용성의 흡습제의 농도, 및 해당 접착제의 도포량을 적절히 선정함에 의해, 소망량의 흡습제를 전열교환 소자에 함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한 경우, 칸막이 부재나 그 원지 및 간격 유지 부재나 그 원지에는 수용성의 흡습제를 함침시키지 않기 때문에, 칸막이 부재, 간격 유지 부재, 및 소자 구성 유닛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흡습에 수반하는 변형이나 연화, 및 이들의 편차를 억제하기 쉽다. 그 결과로서, 소망량의 흡습제가 함침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원지로서 흡습제가 함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지의 재료 비용을 삭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전열교환 소자의 성능을 정하는 흡습제의 함침량의 관리(접착제에서의 흡습제의 농도의 관리, 및 접착제의 도포량의 관리)를 적층 공정에서만 행하면 좋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를 양산한 때의 전열교환 소자 사이에서의 흡습제의 함침량의 편차를 실시의 형태 1 또는 실시의 형태 2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 보다도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실시의 형태 5.
본 형태에서는, 칸막이 부재의 원지 또는 간격 유지 부재의 원지에 미리 흡습제를 첨가한다. 다른 것은 실시의 형태 1 내지 4의 어느 하나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의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 접합 공정 및 적층 공정을 행하고,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다. 상기한 원지에 미리 첨가하는 흡습제는 수용성의 흡습제라도 좋고, 실리카 겔, 강산성 이온 교환 수지, 강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의 비수용성의 흡습제라도 좋다.
단, 전열교환 소자의 성능은 해당 전열교환 소자에 흡습제가 일양하게 분포한 때에 가장 안정되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에서의 흡습제의 농도 분포를 가능한 한 일양하게 한다는 관점에서는, 상기한 원지에 미리 첨가한 흡습제와 접합 공정 또는 적층 공정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 용해시키는 수용성의 흡습제를 서로 같은 조성의 흡습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원지에 미리 첨가하는 흡습제와 상기한 접착제에 용해시키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서로 같은 조성이면, 전열교환 소자 내로 수분을 통하여 흡습제의 확산이 일어나고, 비교적 단시간에 흡습제의 농도 분포가 일양하게 되던지, 또는 일양한 상태에 근접한다.
전열교환 소자에서의 흡습제의 양은, 상기한 원지에 미리 첨가된 흡습제의 양과, 접합 공정 또는 적층 공정에서 사용한 접착제에서의 수용성의 흡습제의 함유량의 합이 된다. 전열교환 소자에서의 흡습제의 양을 가능한 한 많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원지에 미리 다량의 흡습제를 첨가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흡습에 수반하는 원지의 연화나 변형, 또는 간격 유지 부재를 제작할 때의 성형 불량이나 파손이라는 가공상의 이상이 생기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 소자의 생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상기한 원지에 미리 첨가하는 흡습제의 양은 전열교환 소자의 생산성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한 경우도, 소망량의 흡습제가 함침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서 설명한 각 제조 방법에 의해 전열교환 소자를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흡습제의 양이 많은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것도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해 실시의 형태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접합 공정 또는 적층 공정에서 사용하는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용해시키는 수용성의 약제는 흡습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술파민산 구아니딘 등의 구아니딘염류와 같은 수용성의 난연제나 수용성의 다른 약제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접착제에 용해시키는 수용성의 약제의 종류는 1종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같은 기능 또는 서로 다른 기능을 달성하는 2종 이상의 약제를 용해시킬 수도 있다. 실시의 형태 5에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서와 같이 칸막이 부재의 원지나 간격 유지 부재의 원지에 소망하는 약제를 미리 첨가하는 경우에 관해서도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다.
수용성의 약제가 용해된 접착제의 간격 유지 부재 또는 소자 구성 유닛에의 도포는, 실시의 형태 1,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를 이용하여 행하는 외에, 예를 들면 스프레이 도포 등, 다른 수법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 소자 구성 유닛, 열교환 유닛, 및 전열교환 소자 각각의 형상에 대해서도, 제조하고자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용도나 해당 전열교환 소자에 요구되는 성능 등에 응하여 적절히 선정 가능하다. 전열교환 소자를 구성하는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은,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 끼리가 서로 밀착하고 있으면, 이들은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전열교환 소자에 있어서 소자 구성 유닛의 수는, 적절히 선 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상술한 형태 이외에 복수 가지의 변형, 수식(修飾), 조합 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에서는,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소자 구성 유닛이나 전열교환 소자를 얻기 때문에, 접합 전의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에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난연제를 미리 다량 함침시켜 둘 필요성이 없다. 이 때문에,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원지(原紙)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해당 원지로부터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얻을 수 있고, 결과로서 양호한 작업성하에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칸막이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 및 간격 유지 부재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원지를 각각 롤로 성형하고, 이들의 롤로부터 각 원지를 인출하면서 칸막이 부재나 간격 유지 부재를 순차적으로 제작할 때나, 소자 구성 유닛의 근원이 되는 장척의 적층체를 제작할 때에도, 블로킹의 발생이 억제된다.
나아가서는, 복수의 소자 구성 유닛을 얻고 나서 이들의 소자 구성 유닛을 전열교환 소자로 조립하기 까지의 사이에 각 소자 구성 유닛이 흡습에 의해 현저하게 변형하여 버리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교환 소자를 조립할 때의 작업성의 저하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망량의 약제가 함침된 종이제의 전열교환 소자를 높은 생산성하에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Claims (14)

  1.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흡습제는,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흡습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3.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 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흡습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흡습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흡습제는,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흡습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5.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난연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난연제는,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난연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7.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난연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난연제는,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난연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9.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간격 유지 부재를 마련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흡습제 및 수용성의 난연제의 각각은,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수용성의 난연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11.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상에 접합되어 기류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갖는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되고, 적층 방향으로 이웃하는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접착제에 의해 칸막이 부재와 간격 유지 부재가 서로 접합되어 있는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접합 공정과,
    접착제에 의해 소자 구성 유닛끼리를 접합시켜서, 소자 구성 유닛이 복수개 적층 배치된 전열교환 소자를 얻는 적층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용해된 수용매형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 및 상기 간격 유지 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수용성의 흡습제와 수용성의 난연제가 미리 함침되어 있고, 상기 접합 공정 및 상기 적층 공정의 적어도 한쪽에서 사용하는 접착제에 용해된 수용성의 난연제 및 수용성의 난연제의 각각은, 상기 칸막이 부재 또는 상기 간격 유지 부재에 미리 함침된 수용성의 흡습제 또는 수용성의 난연제와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 3항, 제 7항 또는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공정은,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를 서로 접합하여 소자 구성 유닛재를 얻는 소자 구성 유닛재 제작 공정과,
    상기 소자 구성 유닛재를 재단하여 소자 구성 유닛을 얻는 재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14. 시트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해당 칸막이 부재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칸막이 부재와 함께 유로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칸막이 부재의 한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와 다른쪽의 측에 형성된 유로를 유통하는 기류 사이에서 상기 칸막이 부재를 통하여 열교환을 행하는 전열교환 소자로서,
    상기 칸막이 부재와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수용성의 흡습제 및/또는 난연제를 함유한 수용매형의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교환 소자.
KR1020097018991A 2007-04-17 2007-04-17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 KR20100005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369 WO2008129669A1 (ja) 2007-04-17 2007-04-17 全熱交換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全熱交換素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015A true KR20100005015A (ko) 2010-01-13

Family

ID=39875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991A KR20100005015A (ko) 2007-04-17 2007-04-17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16542B2 (ko)
EP (1) EP2138792B1 (ko)
JP (1) JP4874389B2 (ko)
KR (1) KR20100005015A (ko)
CN (1) CN101669006B (ko)
HK (1) HK1139727A1 (ko)
PL (1) PL2138792T3 (ko)
TW (1) TW200842303A (ko)
WO (1) WO20081296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61B1 (ko) 2020-04-03 2020-08-21 주식회사 트리포트 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전열교환소자
KR102320604B1 (ko) 2021-06-18 2021-11-02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열회수용 환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9560A1 (ja) 2007-05-02 2008-11-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器
US9545037B2 (en) * 2014-01-24 2017-01-10 Baker Hughe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electric drives
FR3024533B1 (fr) * 2014-07-31 2016-08-26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changeur enthalpique ameliore
JP2017065261A (ja) * 2015-09-28 2017-04-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化粧板及び加飾樹脂成形品
CN105651098B (zh) * 2015-12-31 2018-12-18 上海交通大学 一种全热换热器功能层材料的改进方法
CN110945310A (zh) 2017-08-23 2020-03-31 三菱制纸株式会社 全热交换元件用纸和全热交换元件
JP7207763B2 (ja) * 2018-06-27 2023-01-18 株式会社Welcon 熱輸送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26794B2 (ja) * 2018-07-11 2022-02-28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7004856B2 (ja) * 2019-02-08 2022-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流路板製造装置及び流路板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4621A (en) * 1979-01-08 1980-07-18 Mitsubishi Electric Corp Moisture-permeable gas shielding
JPS58132545A (ja) 1982-02-02 1983-08-06 株式会社西部抜研 全熱交換器用素材の製造法
JPS6226498A (ja) * 1985-07-26 1987-02-04 Japan Vilene Co Ltd 全熱交換素子
JP2829356B2 (ja) 1990-08-24 1998-11-25 株式会社西部技研 全熱交換器用素子およびその製造法
DE4129700C2 (de) 1990-09-14 2001-03-22 Seibu Giken Fukuoka K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ärmetauscherelements, sowie danach hergestelltes Wärmetauscherelement
JP3233169B2 (ja) 1992-05-03 2001-11-26 株式会社西部技研 全熱交換器用素子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254400A (ja) 1995-03-17 1996-10-01 Hitachi Ltd 全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84692A (ja) * 1995-12-28 1997-07-15 Ebara Corp 熱交換エレメント
JPH1054691A (ja) * 1996-08-08 1998-02-24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の間隔板及び熱交換器用部材及び熱交換器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3362611B2 (ja) * 1996-09-12 2003-01-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該熱交換器の熱交換部材の製造方法
JPH10212691A (ja) * 1997-01-29 1998-08-11 Tokushu Paper Mfg Co Ltd 全熱交換器用紙
JP3501075B2 (ja) * 1999-05-10 2004-02-23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CA2283089C (en) 1999-05-10 2004-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preparing it
JP4660955B2 (ja) 2001-04-11 2011-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素子
JP4252892B2 (ja) * 2001-06-01 2009-04-08 三菱製紙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用紙
JP3969064B2 (ja) * 2001-11-16 2007-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熱交換換気装置
JP2004225969A (ja) 2003-01-22 2004-08-12 Seibu Giken Co Ltd 全熱交換素子
JP4221708B2 (ja) 2003-07-04 2009-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
GB2417315B (en) * 2003-10-15 2006-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Heat exchanging element
JP4206894B2 (ja) * 2003-10-15 2009-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全熱交換素子
JP2006150323A (ja) * 2004-11-01 2006-06-15 Japan Gore Tex Inc 隔膜およびその製法、並びに該隔膜を備えた熱交換器
US20080105418A1 (en) * 2005-07-27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Element and Heat Exchange Ventilator Including the Same
US7320361B2 (en) 2005-10-28 2008-01-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Heat exchang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961B1 (ko) 2020-04-03 2020-08-21 주식회사 트리포트 열회수형 환기시스템의 전열교환소자
KR102320604B1 (ko) 2021-06-18 2021-11-02 주식회사 와이디산업 열회수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38792A4 (en) 2013-07-24
JPWO2008129669A1 (ja) 2010-07-22
WO2008129669A1 (ja) 2008-10-30
EP2138792A1 (en) 2009-12-30
PL2138792T3 (pl) 2019-01-31
EP2138792B1 (en) 2018-09-12
US8316542B2 (en) 2012-11-27
TWI346765B (ko) 2011-08-11
CN101669006B (zh) 2012-07-04
US20110146961A1 (en) 2011-06-23
JP4874389B2 (ja) 2012-02-15
TW200842303A (en) 2008-11-01
CN101669006A (zh) 2010-03-10
HK1139727A1 (en)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5015A (ko) 전열교환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전열교환 소자
DE69918411T2 (de) Wärmetauscher und Verfahren zur seiner Herstellung
US8550151B2 (en) Heat exchanger
KR101160398B1 (ko) 전열교환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6566945B2 (ja) エンタルピー交換器素子及び製造方法
EP2472210B1 (en) Total enthalpy heat exchange element
KR102455119B1 (ko) 엔탈피 교환기 요소, 그러한 요소를 포함하는 엔탈피 교환기 및 이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8089199A (ja) 全熱交換器
CN102610836B (zh) 离散支撑的湿侧板
US20140050894A1 (en) Meltblown-Spunbonded-Meltblown Laminated Fabric
EP2584081B1 (en) Self-adhesive fiber mat
JP5610777B2 (ja) 全熱交換素子
EP3805685B1 (en) Total heat exchange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9210236A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WO2016053097A1 (en) Air-conditioner module and use thereof
WO2016053100A2 (en) A method of conditioning air and an air-conditioner module
FI126661B (fi) Menetelmä alusmateriaalin valmistamiseksi sekä alusmateriaali
JP2006097958A (ja) 熱交換器
CN116529553A (zh) 分隔板、使用该分隔板的全热交换元件和全热交换器、以及分隔板的制造方法
JP2006071149A (ja) 熱交換素子
JP2006064342A (ja) 熱交換素子
WO2022172339A1 (ja) 対向流型全熱交換素子用の仕切板、対向流型全熱交換素子および熱交換換気装置
US8038128B2 (en) Evaporative humidifier pad made of rigidifying layer laminated to paper lay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JPH03143545A (ja) 熱交換用の気液接触型充填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229

Effective date: 201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