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0320A -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0320A
KR20090130320A KR1020097024325A KR20097024325A KR20090130320A KR 20090130320 A KR20090130320 A KR 20090130320A KR 1020097024325 A KR1020097024325 A KR 1020097024325A KR 20097024325 A KR20097024325 A KR 20097024325A KR 20090130320 A KR20090130320 A KR 2009013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odorization filter
filter
regeneration
de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278B1 (ko
Inventor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온
Publication of KR2009013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14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 B01D2259/4141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 B01D2259/4145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using different types of adsorbents within a single bed arranged in series
    • B01D2259/4148Multiple layers positioned apart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08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cleaning air in build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탈취필터를 재생하여 장기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재생탈취필터를 갖는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AIR CLEANER HAVING REGENERATIVE FILTER, AND METHOD FOR REGENERATIVE OF AIR CLEANER FILTER}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 가스상 물질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가정 또는 다중이용시설 및 산업현장에서 입자상 물질과 세균 그리고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을 처리하여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기정화기는 먼지나 세균 등의 입자상 물질을 처리하는 복수의 필터와,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의 가스상 물질을 처리하는 탈취필터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입자상 물질을 처리하는 필터는 입자의 체효과(sieving)를 이용하는 필터와, 정전기를 이용한 전기집진기식 정전필터가 많이 이용되고, 가스상 물질을 처리하는 탈취필터의 경우 활성탄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하는 고정상 흡착필터 와, 오존을 이용한 오존산화필터 그리고 광촉매를 이용한 광촉매필터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중, 활성탄 및 제올라이트를 이용하는 고정상 흡착필터의 경우, 저농도에서 평형흡착량이 낮아지고 흡착된 흡착성분이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흡착되어 있어 외부 온도 및 농도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재탈착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또한 자체 재생기능을 갖추고 있지 못해 수명도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오존을 이용한 오존산화필터의 경우, 오존산화력을 이용한 시스템으로 필터의 교체 없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환경오염물질인 오존을 이용함으로써, 미반응된 오존이 외부로 유출될 경우 천식 및 알러지 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66353호에서와 같이,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의 경우, 광촉매의 유해성분 반응속도가 느리고 자외선의 조사를 균일하게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반응과정에서 오존 등의 2차 유해성분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을 처리하는데 적합한 탈취필터를 재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도 지속적인 탈취효율을 유지하여 결국 보다 효율적인 공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는, 흡입된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1개 이상의 입자상 물질 제거필터와; 흡입된 공기 중,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가스와 같은 가스상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재생탈취필터 및; 상기 재생탈취필터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처리하여 상기 재생탈취필터가 계속적으로 재생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재생탈취필터는 전체 원주둘레 중, 일정각도만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 이외의 나머지 각도만큼 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내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로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로타는,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다공성실리카, 활성탄,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단일 또는 복합성분으로 성형된 것일 수도 있고, 공기저항이 낮은 지지체에 대하여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다공성실리카, 활성탄,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단일 또는 복합성분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탈착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가 열교환을 이루면서 통과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다시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통과하게 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다시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열장치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이송장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와,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생탈취필터는 전체 원주둘레 중, 일정각도만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 이외의 나머지 각도만큼 일정각도씩 각각 냉각부와 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내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로타가 설치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탈착부로 송풍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상기 가열장치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탈착부로 송풍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탈착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이송장치와;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와; 상기 공기이송장치에 의해 재생탈취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탈착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는, 촉매산화장치, 흡착제장치, 냉각응축장치, 광촉매장치, 오존산화장치 중 1개 또는 1개 이상을 조합한 구성인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는, 내부공기를 일정온도로 예열시키는 히터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산화촉매하여 연소시키는 촉매층으로 이루어진 촉매산화장치인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착탈부로 송풍되는 공기는 50∼300℃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50∼400℃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탈착공기처리장치 내부를 50℃ 이상으로 예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탈취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되면서 미정화,처리된 물질을 정화,처리하면서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항균제를 첨가하게 되는 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은, (a) 흡입된 공기 중, 입자상물질 제거필터를 이용하여 입자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단계; (b) 흡입된 공기 중, 재생탈취필터를 이용하여 가스상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재생탈취필터에 의해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하여 정화,처리함으로써, 상기 재생탈취필터를 계속적으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재생탈취필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재생탈취필터의 일측에 가스센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서, 탈착공기처리장치로 촉매산화장치가 적용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6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8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10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재생탈취필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정화기 10,20 : 입자상 물질 제거필터
30 : 재생탈취필터 32 : 흡착부
34 : 흡착부 34a : 냉각부
36 : 흡착로타 40,50 : 후처리 필터
60 : 공기이송장치 100,200,300,400,500,600 : 탈착수단
110,410,610 : 가열장치
120,230,320,430,520,630 : 탈착공기처리장치
122,322,432,522,632 : 히터
124,324,434,524,634 : 촉매층
130,220,330,440,530,640 : 탈착공기이송장치
140 : 가스센서 210 : 공기압력조절장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재생탈취필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는, 공기이송경로(2)를 따라 조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10), 미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20), 재생탈취필터(30), 복수의 후처리필터(40,50) 및 공기이송장치(60)가 순차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10,20,30,40,50)들 중, 재생탈취필터(30)를 제외하고 나머지 필터(10,20,40,50)들은 필요에 따라 배열순서를 변경하거나 첨가 또는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조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10)와 미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20) 등의 입자상 물질 제거필터는 그 수량에 한정은 두지 않으나 먼지, 세균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에어필터, 미디움필터, 헤파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집진식 정전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재생탈취필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원주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만큼 가스상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부(32)와, 이 흡착부(32)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만큼 탈착에너지에 의해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는 탈착부(34)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회전이 이루어지는 흡착로타(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착로타(36)는 일정속도로 연속,회전하면서 가스상 물질의 흡착과 탈착이 반복되게 운전이 가능하고, 흡착로타(36)가 회전되지 않고 흡착과정만을 지속하다가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흡착부(32)가 파과점(breakthrough point)에 도달하게 되면 회전하면서 탈착과정을 거치는 방식으로 운전이 가능하다.
재생탈취필터(30) 내의 흡착로타(36)는, 제올라이트, 다공성실리카, 활성알루미나, 활성탄 및 규조토 중, 1종 이상을 이용하여 단일 또는 복합성분으로 구성한 후 성형하거나, 통기성이 뛰어난 하니컴구조의 절곡형 지지체에 상기한 흡착제 성분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후처리 필터(40,50)는,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한 공기 중, 잔여분의 입자상 물질과 가스상 물질을 더욱 깨끗하게 처리하거나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항균제를 방사하여 공기의 질을 더욱 쾌적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와 같은 후처리 필터(40,5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이송장치(60)에 의해 공기정화기(1)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재생탈취필터(30)의 흡착로타(36)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은, 흡착로타(36)의 회전에 따라 탈착부에서 후술되는 탈착수단(100)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진 후, 정화,처리될 수 있다.
상기 탈착수단(100)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송풍되는 공기를 흡착온도 이상의 탈착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장치(110)와, 상기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탈착공기처리장치(120)와, 이 탈착공기처리장치(12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탈착공기이송장치(130)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장치(11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는 50∼700℃까지 적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120)는 촉매를 이용한 촉매산화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착제방식, 냉각응축방식, 광촉매방식, 오존산화방식 등 제한이 없으며 이들 중, 1개 이상의 방식을 조합한 방식도 무방하다.
또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서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가능한 설치장소의 경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직접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도 무방하지만,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경우 밀폐된 공간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탈착공기처리장치(1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탈착공기처리장치(120)를 통과한 공기는 공기정화기(1)내로 재유입시켜 재처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정화기(1)를 이용한 공기정화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정화기(1) 내로 유입된 공기 중, 먼지, 세균 등과 같은 입자상 물 질은 조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10) 및 미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20)에 의해 걸러지고, 상기 입자상 물질이 걸리진 공기는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과 같은 가스상 물질이 걸러지며, 상기 가스상 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후처리 필터(40,50)들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와 더불어 카테킨 등의 항산화물질이 첨가된 상태로 공기이송장치(60)에 의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가스상 물질은, 재생탈취필터(30) 내에서 회전가능한 흡착로타(36)에 흡착되어 걸러지며, 이 흡착로타(36)가 회전하게 되면서 탈착부(34)에 연결되게 설치된 탈착수단(100)에 의해 가스상 물질이 탈착,처리되면서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 일측에 설치된 가열장치(110)에 의해 설정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송풍됨에 따라, 상기 탈착부(34)에 위치하게 되는 흡착로타(36)의 일부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고, 이와 같이 탈착된 가스상 물질은 탈착공기처리장치(120)에 의해 정화,처리된 후, 탈착공기이송장치(130)에 의해 공기정화기(1)내로 다시 유입되어 재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한 공기는 실외로 배출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로타(36)는 회전이 가능한 구성인 바,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전체면적이 순차적으로 탈착부(34)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흡착로타(36) 전체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켜 재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서 재생탈취필터의 일측에 가스센서가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탈취필터(30)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가스센서(140)가 감지하여 재생탈취필터(30)의 재생여부를 판단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재생탈취필터(30)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의 농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재생탈취필터(30)의 구동부(38)와, 탈착공기이송장치(130)의 구동부(132)가 가동되도록 하여 재생탈취필터(30)를 재생시키고, 그 농도가 설정 값 이하일 경우, 상기 구동부(38,132)들이 가동되도록 하지 않음으로써, 낮은 운전비로 최적의 처리효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재생탈취필터(30)에 흡착되는 가스상 물질은 공기정화기(1)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질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재생의 빈도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는데, 비교적 환경오염이 적은 환경에서는 재생탈취필터(30) 및 탈착수단(100)을 계속적으로 가동시킬 경우 불필요한 운전비가 소요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재생탈취필터(30)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감지하여 필요에 따라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서, 탈착공기처리장치로 촉매산화장치가 적용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공기처리장치(120)로서, 그 내부를 예열시키는 히터(122)와, 통과되는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산화촉매하여 연소시키는 촉매층(124)으로 구성된 촉매산화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22)는 촉매산화장치(120) 내부를 50℃ 이상으로 예열시키게 되며, 가스상 물질을 산화분해시키는 최적의 온도는 50∼400℃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는, 앞선 제 1실시 예에서의 공기정화기에서 재생탈착필터의 탈착수단을 고온에 의한 탈착이 아닌 압력에 의한 탈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탈착수단(200)은, 재생탈착필터(30)의 탈착부(34)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10)와, 상기 압력조절장치(21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된 공기를 흡입하여 재생탈착필터(30)의 탈착부(34)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키도록 하는 탈착공기이송장치(220)와, 상기 탈착공기이송장치(220)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230) 또한 촉매를 이용한 촉매산화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흡착제방식, 냉각응축방식, 광촉매방식, 오존산화방식 등 제한이 없으며 이들 중, 1개 이상의 방식을 조합한 방식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정화기를 이용한 공기정화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정화기(1) 내로 유입된 공기 중, 먼지, 세균 등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조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10) 및 미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20)에 의해 걸러지고, 상기 입자상 물질이 걸리진 공기는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과 같은 가스상 물질이 걸러지며, 상기 가스상 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후처리 필터(40,50)들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와 더불어 카테킨 등의 항산화물질이 첨가된 상태로 공기이송장치(60)에 의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가스상 물질은, 재생탈취필터(30) 내에서 회전가능한 흡착로타(36)에 흡착되어 걸러지며, 이 흡착로타(36)가 회전하게 되면서 탈착부(34)에 연결되게 설치된 탈착수단(200)에 의해 가스상 물질이 탈착,처리되면서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 일측에 설치된 압력조절장치(210)에 의해 설정압력으로 조절된 공기가 송풍됨에 따라, 상기 탈착부(34)에 위치하는 흡착로타(36)의 일부에 흡착되어 있는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고, 이와 같이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는 탈착공기처리장치(230)에 의해 정화,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공기이송장치(220)는 압력조절장치(210)에 의해 압력이 조절된 공기가 탈착부(34)를 통과하도록 흡입하여 탈착공기처리장치(230)로 송풍시키 게 된다.
<제 3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는,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수단을 고온에 의하여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도록 한 것을 적용하되, 탈착공기처리장치(320)를 촉매산화장치로 적용한 것이다.
상기 탈착수단(300)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고온으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310)와, 상기 열교환기(310)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에 의해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정화,처리시키는 촉매산화장치(320)와, 이 촉매산화장치(32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탈착공기이송장치(330)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촉매산화장치(320)는, 50℃ 이상으로 그 내부를 예열시키는 히터(322)와, 유입된 가스상 물질을 산화분해시키는 촉매층(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가스상 물질을 산화분해시키는 최적의 온도는 50∼400℃가 가장 바람직하나 가스상 물질의 성분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촉매산화장치(320)를 통과하여 정화,처리된 공기는 고온인 상태로 다시 열교환기(3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어 상기 탈착부(34)로 공급되는 공기를 고온 즉, 50∼300℃의 고온으로 열교환시키게 되며, 탈착공기이송장치(3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시 재생탈취필터(30)의 선단으로 유입되어 잔여 가스상 물질이 재처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기정화기를 이용한 공기정화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정화기 내로 유입된 공기 중, 먼지, 세균 등과 같은 입자상 물질은 조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10) 및 미립입자상 물질 제거필터(20)에 의해 걸러지고, 상기 입자상 물질이 걸리진 공기는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성분 등과 같은 가스상 물질이 걸러지며, 상기 가스상 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후처리 필터(40,50)들을 통과하면서 음이온, 원적외선 방사와 더불어 카테킨 등의 항산화물질이 첨가된 상태로 공기이송장치(60)에 의해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 재생탈취필터(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지는 가스상 물질은, 재생탈취필터(30) 내에서 회전가능한 흡착로타(36)에 흡착되어 걸러지며, 이 흡착로타(36)가 회전하게 되면서 탈착부(34)에 연결되게 설치된 탈착수단(300)에 의해 가스상 물질이 탈착,처리되면서 재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 일측에 설치된 열교환기(310)에 의해 설정온도로 조절된 공기가 송풍됨에 따라, 상기 탈착부(34)에 위치하는 흡착로타(36) 의 일부에 흡착되어 있는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고, 이와 같이 탈착된 가스상 물질은 촉매산화장치(320)의 촉매층(324)에서 산화분해되어 처리된다.
이때, 상기 촉매산화장치(320) 내의 온도는 50∼400℃를 유지하는 바, 가스상 물질이 산화분해되어 처리된 상태에서의 공기는 고온을 유지한 상태로 열교환기(3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에 의해 설정온도 즉 50∼300℃의 온도로 변온시킨 후, 탈착공기이송장치(33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재생탈취필터(30)의 선단으로 재유입되어 재처리된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6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선 제 3실시 예와 동일한 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4실시 예>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수단(400) 중,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410)가 더 구비된 구성을 나타낸 것인 바, 앞선 실시 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탈착수단(400)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송풍되는 공기를 설정온도인 50∼300℃로 가열시키는 가열장치(410)와, 이 가열장치(41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상태로 통과하게 되는 열교환기(420)와, 이 열교환기(420)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촉매산화장치(430)와, 이 촉매산화장치(430)를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30) 선단으로 재유입시켜서 재처리하도록 하는 탈착공기이송장치(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420)는, 탈착부(34)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됨과 더불어, 촉매산화장치(430)를 통과한 공기가 다른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촉매산화장치(430)를 통과한 공기의 고온에 의해 탈착부(34)를 통과한 공기는 더 높은 온도로 열교환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32)는 촉매산화장치에 적용되는 히터, (434)는 촉매층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8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선 제 4실시 예와 동일한 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5실시 예>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에 있어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 열장치(410)가 열교환기(420)와 탈착공기이송장치(440) 사이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인 바, 앞선 실시 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가열장치(410)가 열교환기(420)와 탈착공기이송장치(440) 사이에 설치되면, 촉매산화장치(430) 및 열교환기(420)를 통과한 고온의 정화,처리된 공기가 상기 가열장치(4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공급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는 바, 상기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로 공급되는 공기는 설정온도인 50∼300℃로 가온되기가 쉬워지게 된다.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도 10참조)에서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방향이 반대로 된 것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그 구성 및 작동관계는 앞선 제 5실시 예와 동일한 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6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 적용되는 재생탈취필터를 도시한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서는 재생탈취필터(30)의 일부가 냉각부(34a)로 이루어져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를 고온의 공기가 통과함에 따라 흡착로타(36) 전체가 필요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것으로서, 재생탈취필터(30)의 구성과 이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 위치하는 흡착로타(36) 일부 의 가스상 물질을 탈착하기 위한 탈착수단(500)의 구성이 앞선 실시 예들과 상이할 뿐, 그 외 구성 및 작동관계는 동일하므로, 앞선 실시 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탈취필터(30)에는 그 내부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흡착로타(3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재생탈취필터(30)는 원주둘레를 따라 가스상 물질이 흡착되는 흡착부(32)와 탈착에너지에 의해 탈착이 일어나는 탈착부(34) 및 냉각부(34a)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재생탈취필터(30)의 원주둘레를 따라 일정각도만큼 흡착부(32)로 이루어지고, 이 흡착부(32)를 제외한 나머지 각도만큼 각각 탈착부(34)와 냉각부(34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로타(36)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들 중,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 위치하는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키기 위한 탈착수단(500)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 송풍시키는 공기를 흡착온도 이상의 탈착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장치(510)와, 상기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탈착공기처리장치(520)와, 이 탈착공기처리장치(520)를 통과한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탈착공기이송장치(530)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장치(510)로 공급되는 공기는 재생탈취필터(30)의 냉각부(34a)를 통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520)는 히터(522)와 촉매층(524)을 갖는 촉 매산화장치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 일측에 설치된 가열장치(510)에 의해 설정온도로 가열된 공기가 송풍됨에 따라, 상기 탈착부(34)에 위치하는 흡착로타(36)의 일부에 흡착되어 있는 가스상 물질이 탈착되고, 이와 같이 탈착된 가스상 물질은 탈착공기처리장치(520)에 의해 정화,처리된 후, 탈착공기이송장치(530)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거나 또는 공기정화기(1)내로 다시 유입되어 재처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흡착로타(36)는 회전이 가능한 구성인 바,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전체면적이 순차적으로 탈착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흡착로타(36) 전체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켜 재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탈착부(34)로 가열장치(510)에 의해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송풍되고, 흡착로타(36)는 연속적으로 회전하면서 탈착부(34)를 순환하게 되는 바, 흡착로타(36)는 계속해서 가열되어 필요 이상으로 가열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온 상태의 공기가 재생탈취필터(30)의 냉각부(34a)를 통해 가열장치(510)로 공급됨으로써, 탈착부(34)를 통과하는 고온의 공기에 의해 가열되는 흡착로타(36)를 냉각시켜주게 되는 바, 상기와 같은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게 된다.
<제 7실시 예>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앞선 제 6실시 예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인 바, 그 동일 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에서의 탈착수단(600)은,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 송풍시키는 공기를 흡착온도 이상의 탈착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장치(610)와, 상기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열교환기(620)와, 상기 열교환기(620)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630)와, 이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열교환기(62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공기정화기(1)로 송풍시켜서 재처리하기 위한 탈착공기이송장치(640)로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620)는 탈착부(34)를 통과하여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고온의 공기와, 상기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이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여 정화,처리된 후의 공기가 교차되면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착부(34)를 통과한 공기는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면서 매우 고온 즉, 50∼400℃를 유지하는 정화,처리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면서 더 가열된 상태로 탈착공기처리장치(640)로 공급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632)는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히터, (634)는 촉매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과정은 앞선 실시 예들과 동일한 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8실시 예>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앞선 제 6실시 예 및 제 7실시 예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인 바, 그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 예에 따른 공기정화기(1)의 탈착수단(600) 또한, 재생탈취필터(30)의 탈착부(34)에 송풍시키는 공기를 흡착온도 이상의 탈착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장치(610)와, 상기 탈착부(34)로부터 탈착된 가스상 물질을 포함하는 공기가 통과하게 되는 열교환기(620)와, 상기 열교환기(620)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630)와, 이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고 다시 상기 열교환기(62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가열장치(610)를 통과한 상태에서 이를 송풍시키기 위한 탈착공기이송장치(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620)는 탈착부(34)를 통과하여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고온의 공기와, 상기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이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여 정화,처리된 후의 공기가 교차되면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탈착부(34)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620)를 통과하면서 매우 고온 즉 50∼400℃를 유지하는 정화,처리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루면서 더 가열된 상태로 탈착공기처리장치(630)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630)를 통과하여 열교환기(620)를 거친 공기는 다시 가열장치(61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열장치(61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630) 및 열교환기(620)를 거쳐 고온으로 가열된 공기에 의해 재생탈취필터(30)의 냉각부(34a)를 통해 가열장치(610)로 유입되는 상온의 공기는 열교환을 이루어 가열된 후 탈착부(34)를 통과하게 된다.
참고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32)는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적용되는 히터, (634)는 촉매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공기를 정화,처리하는 과정은 앞선 제 6,7실시 예와 동일한 바,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19)

  1. 흡입된 공기 중, 입자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1개 이상의 입자상 물질 제거필터와;
    흡입된 공기 중,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및 유해가스와 같은 가스상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재생탈취필터 및;
    상기 재생탈취필터에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처리하여 상기 재생탈취필터가 계속적으로 재생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는 전체 원주둘레 중, 일정각도만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 이외의 나머지 각도만큼 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내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로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타는,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다공성실리카, 활성탄,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단일 또는 복합성분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타는, 공기저항이 낮은 지지체에 대하여 가스상 물질에 대한 흡착성능이 큰 제올라이트, 활성알루미나, 다공성실리카, 활성탄, 규조토 중, 어느 하나의 단일 또는 복합성분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된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탈착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가 열교환을 이루면서 통과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다시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통과하게 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다시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 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8.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가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이송장치 사이에 설치되어서,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와,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는 전체 원주둘레 중, 일정각도만큼 흡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착부 이외의 나머지 각도만큼 일정각도씩 각각 냉각부와 탈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내부에는 회전이 가능한 회전로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탈착부로 송풍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유입되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상기 가열장치를 통과하면서 상기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냉각부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여 탈착부로 송풍시키는 가열장치와;
    상기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탈착부를 통과하면서 가스상 물질을 탈착시킨 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시키는 탈착공기처리장치와;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에 의해 정화,처리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탈착부를 통과한 공기와 열교환을 이룬 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거나 또는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유입시켜서 재처리시키는 공기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탈착부로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이송장치와;
    상기 재생탈취필터로 송풍되는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와;
    상기 공기이송장치에 의해 재생탈취필터를 통과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탈착공기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는, 촉매산화장치, 흡착제장치, 냉각응축장치, 광촉매장치, 오존산화장치 중 1개 또는 1개 이상을 조합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4.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는, 내부공기를 일정온도로 예열시키는 히터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가스상 물질을 산화촉매하여 연소시키는 촉매층으로 이루어진 촉매산화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5.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의 착탈부로 송풍되는 공기는 50∼300℃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6.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공기처리장치를 통과한 공기는 50∼400℃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탈착공기처리장치 내부를 50℃ 이상으로 예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탈취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되면서 미정화,처리된 물질을 정화,처리하면서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항균제를 첨가하게 되는 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
  1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재생탈취필터가 구비된 공기정화기에서, 상기 재생탈취필터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흡입된 공기 중, 입자상물질 제거필터를 이용하여 입자상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단계;
    (b) 흡입된 공기 중, 재생탈취필터를 이용하여 가스상 물질을 흡착하여 정화,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재생탈취필터에 의해 흡착된 가스상 물질을 탈착하여 정화,처리함 으로써, 상기 재생탈취필터를 계속적으로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KR1020097024325A 2007-04-23 2008-04-23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KR101143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103 2007-04-23
KR20070039103 2007-04-23
PCT/KR2008/002294 WO2008130185A1 (en) 2007-04-23 2008-04-23 Air cleaner having regenerative filter, and method for regenerative of air cleaner fi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0320A true KR20090130320A (ko) 2009-12-22
KR101143278B1 KR101143278B1 (ko) 2012-05-09

Family

ID=3987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325A KR101143278B1 (ko) 2007-04-23 2008-04-23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66803B2 (ko)
EP (1) EP2144685A4 (ko)
JP (1) JP2010524628A (ko)
KR (1) KR101143278B1 (ko)
WO (1) WO2008130185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3999A2 (en) * 2011-05-12 2012-11-15 Enbion Inc. Ai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adsorption unit provided with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sorption unit
KR101404817B1 (ko) * 2012-06-20 2014-06-12 주식회사 애니텍 로터를 이용한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419481B1 (ko) * 2012-11-16 2014-07-14 주식회사 퓨어시스 탈취 촉매 필터 및 이의 재생 유닛을 구비한 공기제연정화 살균기
WO2014182107A1 (ko) * 2013-05-09 2014-11-13 주식회사 엔바이온 공기 정화 장치
KR101466249B1 (ko) * 2014-02-06 2014-1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제습-정수 장치
CN107913551A (zh) * 2016-10-05 2018-04-17 C&G科技有限公司 用于去除颗粒污染物或气体污染物的可交换吸附脱附装置
KR20200134558A (ko) * 2019-05-22 2020-12-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마트 미세먼지 제거 및 필터 재생시스템
KR102290473B1 (ko) * 2020-12-15 2021-08-19 (주)세라컴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87141B1 (ko) * 2022-12-28 2023-10-11 주식회사 세일에프에이 지하주차장용 공기 정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356B1 (ko) * 2005-03-24 2010-05-07 주식회사 엔바이온 에너지축열회수형 유해물질 처리설비
US20100322834A1 (en) * 2006-04-13 2010-12-23 Takehiko Ito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Gas Containing Nitrous Oxide
EP2919595A1 (en) * 2012-11-13 2015-09-23 Carrier Corporation Rotary regenerative scrubber with pinion gear and spur gear drive arrangement
WO2015011819A1 (ja) * 2013-07-25 2015-01-29 三菱電機株式会社 脱臭装置
JP5975957B2 (ja) * 2013-09-09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268122B (zh) * 2015-06-25 2018-11-0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乳化液异味气体净化装置和方法
US20180117202A1 (en) * 2016-11-03 2018-05-03 Weiming Gao Reactivatable air purification pad with molecular sieves and process
JP2018164592A (ja) * 2017-03-28 2018-10-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フィルタ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CN107754546A (zh) * 2017-11-21 2018-03-06 南京都乐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处理高浓度有机废气的冷凝催化装置及处理方法
CN108503382A (zh) * 2018-05-09 2018-09-07 宜兴市龙宸炉料有限公司 一种减轻无水炮泥生产过程中有害物溢出的处理方法
CN109126448A (zh) * 2018-09-19 2019-01-04 亚翔系统集成科技(苏州)股份有限公司 基于光催化及可逆吸附的空气净化方法
KR102298040B1 (ko) * 2019-10-18 2021-09-06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VOCs 흡착 및 상온촉매산화 시스템
CN110813019B (zh) * 2019-10-23 2020-11-10 华南理工大学 一种有机废气吸附剂真空脱附方法和装置
CN110917806A (zh) * 2019-12-09 2020-03-27 上海兰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废气一体式处理系统及组合处理方法
JP6864930B1 (ja) * 2020-02-17 2021-04-28 株式会社シバタ 多孔性物質再生装置
CN112387065B (zh) * 2020-11-14 2023-03-28 湖南正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废气氮气脱附回收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6856A1 (de) * 1987-10-28 1989-05-11 Daikin Ind Ltd Loesungsmittelrueckgewinnungseinrichtung, diese verwendendes loesungsmittelrueckgewinnungs-kreislaufsystem und dichtungskonstruktion
AT390016B (de) * 1988-05-30 1990-03-12 Andritz Ag Maschf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rueckgewinnung von loesungsmitteln
JPH044015A (ja) * 1990-04-18 1992-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脱臭機能付き除湿器
JPH0655031A (ja) * 1992-08-03 1994-03-01 Takasago Thermal Eng Co Ltd ガス状炭化水素の除去方法
JP3526892B2 (ja) * 1993-09-16 2004-05-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ホルムアルデヒド含有ガスの浄化方法
JPH09173758A (ja) * 1995-12-21 1997-07-08 Toho Kako Kensetsu Kk 高沸点溶剤回収装置
US5758508A (en) * 1996-02-05 1998-06-02 Larouche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warm moisture-laden air
JPH1015332A (ja) * 1996-07-09 1998-01-20 Zojirushi Corp 空気清浄機
JPH10128047A (ja) * 1996-10-28 1998-05-19 Toyobo Co Ltd 低濃度有機溶剤ガス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653930B2 (ja) * 1997-06-05 2005-06-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H11137944A (ja) * 1997-11-05 1999-05-25 Toho Kako Kensetsu Kk ガス処理装置
JP4256511B2 (ja) * 1999-01-12 2009-04-2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清浄器付空気調和機
JP3963608B2 (ja) * 1999-03-25 2007-08-22 株式会社大気社 気中成分濃縮装置
JP4703889B2 (ja) * 2000-06-05 2011-06-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乾式除湿機再生気体の循環濃縮処理方法
US6454834B1 (en) * 2000-08-01 2002-09-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generable air cleaning device
US6458185B1 (en) * 2001-03-29 2002-10-01 Celanese Acetate Llc Recover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carbon adsorber beds
JP2004195353A (ja) * 2002-12-18 2004-07-15 Fujitsu Ltd 排出ガス処理装置
KR100749772B1 (ko) * 2002-12-23 2007-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정화기
KR100543330B1 (ko) 2003-12-26 2006-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US7338548B2 (en) * 2004-03-04 2008-03-04 Boutall Charles A Dessicant dehumidifer for drying moist environments
US7018447B2 (en) * 2004-04-05 2006-03-28 Dürr Systems, Inc. Method of cleaning a rotary concentrator
GB2415774B (en) * 2004-06-30 2007-06-13 Alan Mole Air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US7740810B2 (en) * 2004-12-14 2010-06-22 Carrier Corporation Photocatalyst protection
ITMI20050075A1 (it) * 2005-01-21 2006-07-22 Polaris Srl Metodo ed impianto per depurare un flusso gassoso contenente composti volatili organici e-o inorganici
KR100956356B1 (ko) * 2005-03-24 2010-05-07 주식회사 엔바이온 에너지축열회수형 유해물질 처리설비
JP5248767B2 (ja) * 2005-07-13 2013-07-31 月島機械株式会社 揮発性有機化合物の濃縮装置
US7563306B2 (en) * 2005-08-05 2009-07-21 Technologies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eating and drying using shielded radiant heater
NL1030149C1 (nl) * 2005-10-10 2007-04-11 Eurocore Trading & Consultancy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regenereren van een sorptiedroger of -reiniger.
JP2007237040A (ja) * 2006-03-07 2007-09-20 Nichias Corp 有機溶剤含有空気の処理方法
US20080011662A1 (en) * 2006-04-20 2008-01-17 Emil Milosavljevi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fluid purification
US8003058B2 (en) * 2006-08-09 2011-08-23 Airinspace B.V. Air purification devices
US8052783B2 (en) * 2006-08-25 2011-11-08 Ut-Battelle Llc Rotary adsorbers for continuous bulk separations
KR100802182B1 (ko) * 2006-09-27 2008-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나노선 필터, 그 제조방법 및 흡착물 제거방법, 이를구비한 필터링 장치
US20090320678A1 (en) * 2006-11-03 2009-12-31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Sorbent Filter for the Removal of Vapor Phase Contaminants
WO2009003174A1 (en) * 2007-06-27 2008-12-3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orbent fib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012035B1 (ko) * 2009-05-19 2011-01-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기능 캐빈형 에어필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3999A2 (en) * 2011-05-12 2012-11-15 Enbion Inc. Ai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adsorption unit provided with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sorption unit
WO2012153999A3 (en) * 2011-05-12 2013-01-24 Enbion Inc. Air purification system including adsorption unit provided with catalys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dsorption unit
KR101310945B1 (ko) * 2011-05-12 2013-10-14 주식회사 엔바이온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를 갖는 오염 공기 정화 장치 및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의 제조 방법
KR101404817B1 (ko) * 2012-06-20 2014-06-12 주식회사 애니텍 로터를 이용한 배출가스 처리장치
KR101419481B1 (ko) * 2012-11-16 2014-07-14 주식회사 퓨어시스 탈취 촉매 필터 및 이의 재생 유닛을 구비한 공기제연정화 살균기
WO2014182107A1 (ko) * 2013-05-09 2014-11-13 주식회사 엔바이온 공기 정화 장치
KR101476282B1 (ko) * 2013-05-09 2014-12-24 주식회사 엔바이온 공기 정화 장치
KR101466249B1 (ko) * 2014-02-06 2014-11-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제습-정수 장치
CN107913551A (zh) * 2016-10-05 2018-04-17 C&G科技有限公司 用于去除颗粒污染物或气体污染物的可交换吸附脱附装置
KR20200134558A (ko) * 2019-05-22 2020-12-0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스마트 미세먼지 제거 및 필터 재생시스템
KR102290473B1 (ko) * 2020-12-15 2021-08-19 (주)세라컴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587141B1 (ko) * 2022-12-28 2023-10-11 주식회사 세일에프에이 지하주차장용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24628A (ja) 2010-07-22
US8366803B2 (en) 2013-02-05
EP2144685A4 (en) 2012-01-25
US20100180763A1 (en) 2010-07-22
EP2144685A1 (en) 2010-01-20
WO2008130185A1 (en) 2008-10-30
KR101143278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278B1 (ko) 재생탈취필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재생탈취필터 재생방법
CN108568213B (zh) 台桌式实验室空气污染物去除机
KR100956356B1 (ko) 에너지축열회수형 유해물질 처리설비
US20100254868A1 (en) Purification of a fluid using ozone with an adsorbent and/or a particle filter
JP4234496B2 (ja) 活性炭を再生する方法と装置及びそれを組み込んだ空気浄化システム
KR101719540B1 (ko) 촉매 산화 설비 및 에너지 재활용 수단을 구비한 실내 농축 연소 시스템
JP2002276999A (ja) 空気換気浄化装置
US20060228275A1 (en) Unit for filtering and treatment of organic compounds,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air-conditioning unit provided with such a unit
CN106807177A (zh) 一种脱除VOCs的气体净化装置及净化方法
KR102136290B1 (ko) 에너지 절감형 농축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폐가스 처리 시스템
CN101224384A (zh) 一种用于新装修房屋的室内空气净化方法
JP2008224111A (ja) 脱臭装置
KR101310945B1 (ko)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를 갖는 오염 공기 정화 장치 및 촉매가 부착된 흡착부의 제조 방법
CN113499683B (zh) 一种基于催化氧化的VOCs复合处理系统及方法
TW202206169A (zh) 廢氣處理系統
CN201225724Y (zh) 移动式室内空气净化器
KR20010097924A (ko) 촉매연소 공기정화장치
CN210674789U (zh) 有机废气蜂窝沸石吸附浓缩催化净化装置
JP2002248317A (ja) 悪臭物質の除去方法および脱臭設備
JP5861547B2 (ja) 排水処理システム
JPH05137942A (ja) 脱臭装置
CN110925926A (zh) 一种计算机机房空气净化系统
JPH07256048A (ja) 脱臭装置
KR102591443B1 (ko) 저장-촉매분해-재생 방식의 공기 청정화 장치
JP3114789U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